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개체군 병목현상

색인 개체군 병목현상

병목과 회복혹은 멸종을 나타내는 곡선 개체군 병목현상(個體群瓶-現象)은 집단유전학에서 질병이나 자연 재해 등으로 개체군 크기가 급격히 감소한 이후에 적은 수의 개체로부터 개체군이 다시 형성되면서 유전자 빈도와 다양성에 큰 변화가 생기게 되는 현상으로서, 일반적으로 한 종의 개체수의 상당부분이 죽음을 당하거나 번식을 못해 전체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

16 처지: , 개미 군체, 개체군, 자바코뿔소, 절멸, 집단 유전학, 진화, 창시자 효과, 코모도왕도마뱀, 유럽들소, 유전자 부동, 유전자 다양성, 유전자풀, 오스트로네시아인, 하플로그룹, 핀지랩.

(학명: Canis lupus familiaris)는 식육목 개과 개속에 속하는 동물로, 회색늑대(Canis lupus)의 아종으로, 현대에서 가장 널리 분포하며 개체 수가 가장 많은 지상 육식 동물이.

새로운!!: 개체군 병목현상와 개 · 더보기 »

개미 군체

미굴의 석고 주조물 뉴사우스웨일스 옥슬리와일드리버스 국립공원의 개미언덕과 개미길 마하라슈트라 푸네) 개미 군체는 개미가 그들의 생애주기를 조직하는 기본 단위.

새로운!!: 개체군 병목현상와 개미 군체 · 더보기 »

개체군

(個體群, population)은 같은 서식지에서 살고 있는 생물 개체들의 집단이.

새로운!!: 개체군 병목현상와 개체군 · 더보기 »

자바코뿔소

자바코뿔소(자와코뿔소) 또는 순다코뿔소(Rhinoceros sondaicus)는 코뿔소과에 속하며 현존하는 코뿔소 5종 중 하나이.

새로운!!: 개체군 병목현상와 자바코뿔소 · 더보기 »

절멸

도도, 1651년에 Jan Savery 그림, 최근에 멸종한 동물의 대표 격이다. 생태학에서 절멸(絶滅, extinction) 또는 멸종(滅種)은 생존해 있던 종의 개체가 더 이상 세계에서 확인되지 않게 되는 것을 말. 해당 종을 구성하던 마지막 개체가 사망하는 시점을 멸종 시기로 본. 따라서 야생 동물의 경우에는 멸종을 판단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 일련의 연구에 의하면 지구상에 등장했던 종의 99% 이상이 멸종.

새로운!!: 개체군 병목현상와 절멸 · 더보기 »

집단 유전학

집단 유전학은 집단으로서 나타내는 유전형질들의 분포, 유전, 질병 연관성등을 연구하는 유전학과 진화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개체군 병목현상와 집단 유전학 · 더보기 »

진화

화(進化)는 생물 집단이 여러 세대를 거치면서 변화를 축적해 집단 전체의 특성을 변화시키고 나아가 새로운 종의 탄생을 야기하는 관찰된 자연 현상을 가리키는 생물학 용어이.

새로운!!: 개체군 병목현상와 진화 · 더보기 »

창시자 효과

창시자 효과에 대한 간단한 설명. 왼쪽의 원래 집단에서 일부가 떨어져 나와 만들어진 개체군의 다양한 변이를 볼 수 있다. 창시자 효과(創始者效果,Founder Effect)는 집단유전학에서 한 개체군에서 낮은 빈도의 대립인자를 가진 몇몇 개체들이 새로운 곳으로 이주했을 때, 그 대립인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효과를 말. 개체군 병목 현상과 함께 유전적 부동의 원인 중 하나이며, 새롭게 형성되는 개체군의 유전자빈도는 기존의 개체군과 매우 달라짐으로서 진화의 방향에 큰 영향을 주. 창시자 효과는 새로운 지역에서 인구 집단을 유 전적으로 대표하지 않은 소수의 이주민이있을 때 발생하는 경우가 많. 이는 작은 개체군 이기 때문에 유전자 부동의 영향이 증가하고, 근친 교배가 증가하며, 유전적 변이가 상대적으로 적음은 경우가 많. 이것은 제한된에서 관찰 할 수있는 유전자 풀의 갈라파고스화 현상을 일으키게 되어, 격리 등 다른 지리적 요인이 함께 작용할 경우, 개체군의 형질이 완전히 달라지게 되며 종분화가 일어나는 기반이.

새로운!!: 개체군 병목현상와 창시자 효과 · 더보기 »

코모도왕도마뱀

모도왕도마뱀(Varanus komodoensis)은 인도네시아의 코모도 섬, 린카 섬, 플로레스 섬, 길리모탕 섬, 파달 섬 등에서 서식하는 대형 도마뱀이.

새로운!!: 개체군 병목현상와 코모도왕도마뱀 · 더보기 »

유럽들소

(''Żubr'')라는 이름의 개체 유럽들소(또는 비젠트,Bison bonasus)는 들소의 일종이며 유럽에서 생존하는 지상 포유류 중 가장 무거운 동물이.

새로운!!: 개체군 병목현상와 유럽들소 · 더보기 »

유전자 부동

유전자 부동(한자:遺傳子 浮動, 영어:Genetic drift)은 생물 집단의 생식 과정에서 유전자의 무작위 표집으로 나타나는 대립형질의 발현 빈도 변화를 가리키는 생물학 용어이.

새로운!!: 개체군 병목현상와 유전자 부동 · 더보기 »

유전자 다양성

유전자 다양성(遺傳子多樣性)은 하나의 종에서 나타나는 유전자의 생물 다양성을 뜻하는 개념이.

새로운!!: 개체군 병목현상와 유전자 다양성 · 더보기 »

유전자풀

집단유전학에서 유전자풀() 또는 유전자급원(遺傳子給源)은 어떠한 생물 종이나 개체 속에 있는 고유의 대립형질의 총량을 말. 커다란 유전자풀은 상당한 유전적 다양성이 있음을 말해 주며 이는 치열한 선택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튼튼한 개체 수와 관련되어 있. 그러나 낮은 유전적 다양성 (근친 교배, 개체 병목효과 참조)은 적응도를 떨어트리고 멸종 가능성을 높여 준. 이 유전자풀이라는 용어는 1951년에 T.도브잔스키가 제창한 것으로, 유전자풀의 변화에 따라 생물이 진화하는 것으로 보고 있. 최재천 교수는 '유전자군'이라는 번역명을 제안하였.

새로운!!: 개체군 병목현상와 유전자풀 · 더보기 »

오스트로네시아인

오스트로네시아인(Austronesians), 오스트로네시아족(Austronesian peoples) 또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Austronesian-speaking peoples)은 아시아, 오세아니아, 아프리카에 있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다양한 사람들이.

새로운!!: 개체군 병목현상와 오스트로네시아인 · 더보기 »

하플로그룹

분자진화(Molecular Evolution)에서 하플로그룹(Haplogroup, 그리스어: απλούς, haploûs, "한겹의, 단일의, 단순한")은 분자 진화 연구에서 단일 핵산염기 다형현상(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변이로 공통의 선조를 공유하는 유사한 하플로타입(Haplotype)의 집단이.

새로운!!: 개체군 병목현상와 하플로그룹 · 더보기 »

핀지랩

right 오른쪽 끝에 있는 것이 핀지랩이다. 핀지랩(Pingelap)은 태평양의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환초섬으로, 많은 주민이 전색맹을 가지고 있. 면적은 1.8km.

새로운!!: 개체군 병목현상와 핀지랩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개체 병목효과, 개체군 병목 현상, 병목 효과, 병목효과, 유전자 병목 현상.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