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거문고

색인 거문고

문고는 낮고 중후한 소리부터 높은 소리까지 넓은 옥타브의 소리를 내는 한국의 전통 현악기이.

73 처지: 느티나무 (KBS), 동아국악콩쿠르, 물계자, 백결 선생, 백낙준 (국악인), 개금역, 발현악기, 가야금, 거문고자리, 고구려, 보허자, 병주 (음악), 계고 (인물), 극종, 극상, 금보 (악보), 비파, 김경남 (조선), 김용진 (1878년), 김희조 (음악가), 김일손, 김윤덕 (1918년), 국악한마당의 에피소드 목록, 남양초등학교 백금분교, 남원경, 남원군, 남원시, 다비, 단 짜인, 스이킨쿠쓰, 우륵의 12곡, 우희종, 히코네 병풍, 희빈 장씨, 이방운, 이규보, 이득윤, 이우 (1542년), 이인식 (음악인), 이수경 (1882년), 죽림칠현, 청풍체 하림조, 칠현금, 팔음, 탄현, 수덕사, 영산회상 (음악), 오금동 (서울), 옥보고, 현악기, ..., 양덕수, 양금신보, 연화산 (경남), 사쿠마 쇼잔, 삼국시대의 음악, 세악, 서평군, 함 (성씨), 함재운, 함화진, 합자보, 한갑득, 한국 전통 악기, 한국음악, 한국전통문화고등학교, 한승호, 안장 (신라), 신라금, 신청, 신쾌동, 월드비트 비나리, 왕산악, 2018년 동계 올림픽 폐막식.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3 더) »

느티나무 (KBS)

《느티나무》는 2008년 11월 18일부터 2010년 5월 7일까지 KBS 1TV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새로운!!: 거문고와 느티나무 (KBS) · 더보기 »

동아국악콩쿠르

동아국악콩쿠르는 동아일보에서 주최하는 국악 경연회이.

새로운!!: 거문고와 동아국악콩쿠르 · 더보기 »

물계자

물계자(勿稽子, ?~?)는 신라 내해 이사금 때의 장군이자 충신이.

새로운!!: 거문고와 물계자 · 더보기 »

백결 선생

백결(百結, 414년 ~ ?) 또는 백결 선생(百結 先生)은 신라 전기의 거문고 명수이.

새로운!!: 거문고와 백결 선생 · 더보기 »

백낙준 (국악인)

백낙준(白樂俊, 1884년 ~ 1936년)은 근세 대한제국 조선 황조 시대와 일제 강점기 시대 거문고 산조 명인이.

새로운!!: 거문고와 백낙준 (국악인) · 더보기 »

개금역

역(開琴驛)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동에 있는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지하철역이.

새로운!!: 거문고와 개금역 · 더보기 »

발현악기

발현악기(撥絃樂器)는 손톱, 손가락 또는 피크 같은 도구로 줄을 퉁겨 연주하는 악기이.

새로운!!: 거문고와 발현악기 · 더보기 »

가야금

야금(伽倻琴)은 한국의 전통 현악기로 거문고와 비슷하나 다른 말로 가얏.

새로운!!: 거문고와 가야금 · 더보기 »

거문고자리

문고자리()는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가지 별자리 중 하나로, 국제천문연맹의 88가지 현대 별자리 중 하나이.

새로운!!: 거문고와 거문고자리 · 더보기 »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새로운!!: 거문고와 고구려 · 더보기 »

보허자

《보허자》(步虛子) 또는 장춘불로지곡(長春不老之曲)은 국악 당악 곡이.

새로운!!: 거문고와 보허자 · 더보기 »

병주 (음악)

병주(倂奏)는 한국의 전통 음악에서 두 악기가 나란히 연주되는 것으로, ‘2중주’에 해당.

새로운!!: 거문고와 병주 (음악) · 더보기 »

계고 (인물)

(階古, ? ~ ?)는 신라의 음악가이.

새로운!!: 거문고와 계고 (인물) · 더보기 »

극종

극종(克宗, ?~?)은 신라 때의 거문고의 명인이.

새로운!!: 거문고와 극종 · 더보기 »

극상

극상은 신라 시대의 음악가이.

새로운!!: 거문고와 극상 · 더보기 »

금보 (악보)

보를 편찬하고 선조 5년에 책을 낸 것이.

새로운!!: 거문고와 금보 (악보) · 더보기 »

비파

1893년 시카고 세계 박람회에 출품되었던 비파 비파(琵琶)는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퍼져 있는 발현악기로서 중국으로부터 널리 퍼져나갔으나 본래 중국의 악기는 아니고 서역에서 유입된 것으로 보인.

새로운!!: 거문고와 비파 · 더보기 »

김경남 (조선)

경남(金景南, 고종~일제 강점기)은 근세조선의 거문고 명인이.

새로운!!: 거문고와 김경남 (조선) · 더보기 »

김용진 (1878년)

용진(金容鎭, 1878년 ~ 1968년 2월 14일)은 한국의 서화가이.

새로운!!: 거문고와 김용진 (1878년) · 더보기 »

김희조 (음악가)

희조(金熙祚, 1920년 11월 21일 ~ 2001년 9월 4일)는 대한민국의 음악가이자 군인이며 대학 교수이.

새로운!!: 거문고와 김희조 (음악가) · 더보기 »

김일손

일손(金馹孫, 1464년 ~ 1498년 7월)은 조선 성종·연산군 때의 문신이며 학자, 사관, 시인이.

새로운!!: 거문고와 김일손 · 더보기 »

김윤덕 (1918년)

윤덕(金允德, 1918년 12월 21일 ~ 1978년)은 가야금 산조와 거문고 산조의 명인이.

새로운!!: 거문고와 김윤덕 (1918년) · 더보기 »

국악한마당의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KBS 1TV의 국악 프로그램인 《국악한마당》의 방영 목록이.

새로운!!: 거문고와 국악한마당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남양초등학교 백금분교

양초등학교 백금분교는 충청남도 청양군 남양면 백금리 273-2에 있었던 공립 초등학교이.

새로운!!: 거문고와 남양초등학교 백금분교 · 더보기 »

남원경

남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남원경(南原京) 또는 남원소경(南原小京)은 신라의 광역 행정구역인 9주 5소경의 한 소경(小京)으로 지금의 남원시이.

새로운!!: 거문고와 남원경 · 더보기 »

남원군

원군(南原郡)은 전라북도 남원시의 이전 행정 구역이.

새로운!!: 거문고와 남원군 · 더보기 »

남원시

원시청 남원시(南原市)는 대한민국 전라북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거문고와 남원시 · 더보기 »

다비

비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거문고와 다비 · 더보기 »

단 짜인

17현의 단 짜인 단 짜인(檀箏)은 베트남의 전통 현악기이.

새로운!!: 거문고와 단 짜인 · 더보기 »

스이킨쿠쓰

엔코지의 스이킨쿠쓰 스이킨쿠쓰(수금굴)는 일본 정원의 장식 중 하나로, 물방울로 거문고 소리를 나게 하는 장치이.

새로운!!: 거문고와 스이킨쿠쓰 · 더보기 »

우륵의 12곡

우륵의 12곡은 대가야의 가실왕이 악사(樂師) 우륵에게 명하여 가야금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작곡한 12개의 곡이.

새로운!!: 거문고와 우륵의 12곡 · 더보기 »

우희종

우희종(禹希宗, 서울, 1958년 ~)은 대한민국의 수의학자이.

새로운!!: 거문고와 우희종 · 더보기 »

히코네 병풍

스고로쿠를 하는 모습 (병풍 확대) 히코네 병풍은 일본 간에이 (1624~1644년) 시대에 제작된 작가 미상의 병풍이.

새로운!!: 거문고와 히코네 병풍 · 더보기 »

희빈 장씨

희빈 장씨(禧嬪 張氏, 1659년 11월 3일 (음력 9월 19일) ~ 1701년 11월 7일 (음력 10월 8일)), 장희빈(張禧嬪) 또는 옥산부대빈 장씨(玉山府大嬪 張氏)는 조선의 제19대 왕 숙종의 빈(嬪)으로, 제20대 왕 경종(景宗)의 어머니이.

새로운!!: 거문고와 희빈 장씨 · 더보기 »

이방운

이방운 (李昉運, 1761년 ~ ?) 은 조선 말기의 화가이.

새로운!!: 거문고와 이방운 · 더보기 »

이규보

이규보 이규보(李奎報, 1169년 1월 15일(음력 1168년 12월 16일) ∼ 1241년 10월 8일(음력 9월 2일))는 고려의 문신이.

새로운!!: 거문고와 이규보 · 더보기 »

이득윤

이득윤(李得胤, 1553년 ~ 1630년)은 조선 중기(선조-광해군)의 정치가·학자·음악 이론가이.

새로운!!: 거문고와 이득윤 · 더보기 »

이우 (1542년)

이우(李瑀, 1542년 ~ 1609년)는 조선의 서화가이.

새로운!!: 거문고와 이우 (1542년) · 더보기 »

이인식 (음악인)

이인식(李寅植, ?~?)은 근세 조선(헌종 ~ 고종)의 피리의 명인이.

새로운!!: 거문고와 이인식 (음악인) · 더보기 »

이수경 (1882년)

이수경(李壽卿, 1882년 ~ 1955년 3월 12일)은 조선(고종), 일제 강점기의 거문고의 명인이.

새로운!!: 거문고와 이수경 (1882년) · 더보기 »

죽림칠현

죽림칠현도 죽림칠현(竹林七賢)은 중국 위(魏)·진(晉) 왕조 시절 완적(阮籍), 혜강(嵆康), 산도(山濤), 상수(向秀), 유령(劉伶), 완함(阮咸), 왕융(王戎)을 가리.

새로운!!: 거문고와 죽림칠현 · 더보기 »

청풍체 하림조

청풍체 하림조(淸風體河臨調)는 우륵(于勒)이 남긴 185곡명 가운데 유일하게 전승하는 우륵의 예맥으로, 대한민국의 악조(樂調)의 시초이.

새로운!!: 거문고와 청풍체 하림조 · 더보기 »

칠현금

현금(七絃琴; 고금: 古琴)은 고대 중국의 현악기이.

새로운!!: 거문고와 칠현금 · 더보기 »

팔음

증보문헌비고에서는 한국 악기를 나눌 때, 제작 재료에.

새로운!!: 거문고와 팔음 · 더보기 »

탄현

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거문고와 탄현 · 더보기 »

수덕사

수덕사(修德寺)는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덕숭산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거문고와 수덕사 · 더보기 »

영산회상 (음악)

〈영산회상〉(靈山會相)은 주로 조선 후기에 연주하는 10여개의 곡으로 구성된 모음곡이.

새로운!!: 거문고와 영산회상 (음악) · 더보기 »

오금동 (서울)

오금동(梧琴洞)은 서울특별시 송파구의 법정동 및 행정동이.

새로운!!: 거문고와 오금동 (서울) · 더보기 »

옥보고

옥보고(玉寶高)는 신라 경덕왕 때의 음악가로서 신라 육두품 귀족 출신으로 그의 아버지는 사찬(沙飡)이라는 관직을 지낸 옥공영(玉恭永)이.

새로운!!: 거문고와 옥보고 · 더보기 »

현악기

피아노의 현. 현악기(絃樂器)는 현의 진동을 이용하여 소리를 내는 악기이.

새로운!!: 거문고와 현악기 · 더보기 »

양덕수

양덕수(梁德壽)는 조선 중기(선조 ~ 광해군)의 음악 이론가이.

새로운!!: 거문고와 양덕수 · 더보기 »

양금신보

양금신보(梁琴新譜)는 경상남도 진주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거문고 악보이.

새로운!!: 거문고와 양금신보 · 더보기 »

연화산 (경남)

연화산(蓮華山)은 경상남도 고성군에 있는 산으로 옥녀봉, 선도봉, 망선봉의 세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 1983년 9월 29일에 도립공원으로 지정 되었.

새로운!!: 거문고와 연화산 (경남) · 더보기 »

사쿠마 쇼잔

사쿠마 쇼잔 (1811-1864). 사쿠마 쇼잔 조난비(교토) 사쿠마 쇼잔(1811년 3월 22일~1864년 8월 12일)은 에도 시대의 일본의 정치가이자 학자로, 사쿠마 조잔(さくま ぞうざん)이라고 불리.

새로운!!: 거문고와 사쿠마 쇼잔 · 더보기 »

삼국시대의 음악

, 백제, 신라의 삼국은 각각 특색 있는 음악 문화를 발전시.

새로운!!: 거문고와 삼국시대의 음악 · 더보기 »

세악

세악(細樂)은 한국의 전통 음악에서 비교적 음량이 적고 실내에 알맞은 음색의 악기로 2~4정도의 작은 편성을 말. 거문고·가야금·양금으로 현악만의 합주와 대금·피리(세피리)·해금의 관악만의 합주가 있. 현과 관을 합하고 장구를 곁들이.

새로운!!: 거문고와 세악 · 더보기 »

서평군

서평군 이요(西平君 李橈, 1687년 ~ 1756년)는 조선의 왕족이자 문신이.

새로운!!: 거문고와 서평군 · 더보기 »

함 (성씨)

(咸)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거문고와 함 (성씨) · 더보기 »

함재운

재운(咸在韻, 1854년 ~ 1916년)은 조선 말기의 국악인이.

새로운!!: 거문고와 함재운 · 더보기 »

함화진

화진(咸和鎭, 1884년 ~ 1948년)은 일제 강점기에 주로 활동한 국악인이.

새로운!!: 거문고와 함화진 · 더보기 »

합자보

합자보(合字譜)는 거문고와 같은 현악기의 주법, 즉 왼손의 짚는 법과 오른손의 타는 법을 뜻하는 약자로 된 여러 기호를 모아 짠 악보이.

새로운!!: 거문고와 합자보 · 더보기 »

한갑득

갑득(韓甲得, 1919년 ~ 1987년)은 거문고 산조의 명인이.

새로운!!: 거문고와 한갑득 · 더보기 »

한국 전통 악기

국 전통 악기(韓國 傳統 樂器)는 한국 전통 음악에 쓰이는 악기로 수십 종에 이르며, 여러 기준으로 나누어 볼 수 있. 한국 전통 악기는 50 ~ 60여 종에 이른.

새로운!!: 거문고와 한국 전통 악기 · 더보기 »

한국음악

조선시대『악학궤범』 향부악기도설에 나오는 향비파와 당비파 한국음악(韓國音樂)의 기반이 된 음계는 한반도 및 중국 동북부 등과 교류하여 고대시대부터 전래되어오는 것과 근대화와 산업화에 의한 빠른 문화유입에 의한 음악적 반응을 포함하여 한민족(韓民族)의 음악을 총칭.

새로운!!: 거문고와 한국음악 · 더보기 »

한국전통문화고등학교

국전통문화고등학교(韓國傳統文化高等學校)는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중인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거문고와 한국전통문화고등학교 · 더보기 »

한승호

승호(韓承鎬, 1924년 3월 10일~2010년 1월 28일).

새로운!!: 거문고와 한승호 · 더보기 »

안장 (신라)

안장(安長, ? ~ ?)은 신라의 거문고 명인이.

새로운!!: 거문고와 안장 (신라) · 더보기 »

신라금

신라금(新羅琴) 또는 시라기 고토는 신라의 현악기이.

새로운!!: 거문고와 신라금 · 더보기 »

신청

신청(神廳)은 무당을 도와서 음악연주를 담당했던 무부계의 사무를 관장하는 곳이.

새로운!!: 거문고와 신청 · 더보기 »

신쾌동

신쾌동(申快童, 1910년 ~ 1977년)은 거문고의 명인이.

새로운!!: 거문고와 신쾌동 · 더보기 »

월드비트 비나리

월드비트 비나리(Worldbeat Vinari)는 사회적 기업 들소리 소속의 대한민국 종로 2가 시네코아 비나리 전용관에서 상설공연을 하고 있는 한국 전통 음악그룹이.

새로운!!: 거문고와 월드비트 비나리 · 더보기 »

왕산악

왕산악(王山嶽, ?~?)은 고구려 양원왕(陽原王) 때의 재상이며, 거문고 연주자이.

새로운!!: 거문고와 왕산악 · 더보기 »

2018년 동계 올림픽 폐막식

2018년 동계 올림픽 폐막식은 2018년 2월 25일 오후 8시(현지 시각)에, 대한민국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진행된 2018년 동계 올림픽의 폐막 행사이.

새로운!!: 거문고와 2018년 동계 올림픽 폐막식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현학금.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