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계산 복잡도 이론

색인 계산 복잡도 이론

산 복잡도 이론(Computational complexity theory)은 컴퓨터 과학에서 계산 이론의 분야로, 계산 문제를 푸는 알고리즘을 복잡도에 따라 분류하여 문제의 모임을 구성하는 방법을 연. 이 때 알고리듬의 수행은 실제 컴퓨터가 할 수 있지만, 평가하는 데에는 튜링 기계와 관련이 있는 정량화된 방법을 사용.

71 처지: AI-완전, BQP, CCT, Co-NP, Co-NP-완전, EXPSPACE, EXPTIME, 랜덤 접근 기계, 레오니드 레빈, 미하엘 라빈, 반복 로그, 복잡도 종류, 복잡도 종류 목록, 계산 가능성 이론, 계산 이론, 부분집합 합 문제, 그래프 이론, 다항 시간, IP (복잡도), 스티븐 울프럼, 재귀 열거 집합, 폐포연산, 포커 슈트라센, 이산수학, 점근 표기법, 정렬 알고리즘, 정지 문제, 조합최적화, 집합 덮개 문제, 추상 기계, 카라추바 알고리즘, 컴퓨팅 문서 색인, 컴퓨터 과학, 컴퓨터 과학자, 컴퓨터 과학자 목록, 유계오차 확률적 다항시간, 상수 시간, 샤프-P, 샤프-P-완전, 타원곡선 암호, 양자 컴퓨터, 선형 시간, 퇴플리츠 행렬, 애플소프트 베이직, 함수 문제, 알고리즘 분석, 안전성 증명, 아커만 함수, 실행 시간 (알고리즘), 시간 복잡도, ..., 외판원 문제, 환산 (복잡도), 확률적 튜링 기계, 확률적 알고리즘, L (동음이의), L (복잡도), MAX-SNP, NC (복잡도), NL, NL (복잡도), NP, P-완전, PCP, PH (복잡도), PSPACE, PSPACE-완전, R (복잡도), RP (복잡도), UP, UP (복잡도), ZPP.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1 더) »

AI-완전

AI-완전 (영: AI-complete)은 인공지능의 테마 중에서도 가장 곤란한 것을 가리키는 학술적이지 않은 용어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AI-완전 · 더보기 »

BQP

BQP는 계산 복잡도 이론 용어로 '유계오차 양자 다항시간'(有界誤差 量子 多項時間, Bounded error, Quantum, Polynomial time)의 약자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BQP · 더보기 »

CCT

CCT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CCT · 더보기 »

Co-NP

산 복잡도 이론에서 co-NP는 복잡도 종류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Co-NP · 더보기 »

Co-NP-완전

산 복잡도 이론에서 복잡도 종류 co-NP-완전(co-NP-complete)이란 co-NP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의 집합을 말. 여기서 어렵다는 것은, P에 들어갈 가능성이 낮다는 뜻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Co-NP-완전 · 더보기 »

EXPSPACE

산 복잡도 이론에서 EXPSPACE는 결정론적 튜링 기계가 \colorBlueO(2^p(n)) 공간을 써서 풀 수 있는 판정 문제의 집합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EXPSPACE · 더보기 »

EXPTIME

산 복잡도 이론에서 복잡도 종류 EXPTIME(EXP라고도 한다)은 결정론적 튜링 기계가 \colorBlueO(2^p(n))시간에 풀 수 있는 모든 판정 문제의 집합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EXPTIME · 더보기 »

랜덤 접근 기계

접근 머신(Random-access machine, RAM)은 컴퓨터 과학에서 레지터스 머신 중 일반적인 등급 내에 속하는 추상적인 기계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랜덤 접근 기계 · 더보기 »

레오니드 레빈

오니드 레빈 레오니드 아나톨리에비치 레빈(1948년 11월 2일 ~)은 소비에트 연방 드네프로페트로프스크(현 우크라이나의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에서 출생한 전산학자, 수학자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레오니드 레빈 · 더보기 »

미하엘 라빈

미하엘 오제르 라빈(1931년 9월 1일 ~)은 이스라엘의 저명한 전산학자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미하엘 라빈 · 더보기 »

반복 로그

학에서, n의 반복 로그()는 n (보통 "로그-스타"(log star)이라고 읽는다)로 쓰며, 로그 함수를 반복적으로 적용시켜서 결과 값이 1보다 같거나 작아질 때 까지 걸리는 횟수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반복 로그 · 더보기 »

복잡도 종류

복잡도 종류(複雜度 種類)는 계산 복잡도 이론에서 계산 복잡도에 따라서 문제를 분류한 것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복잡도 종류 · 더보기 »

복잡도 종류 목록

이 문서는 계산 복잡도 이론에서 다루는 복잡도 종류 목록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복잡도 종류 목록 · 더보기 »

계산 가능성 이론

산 가능성 이론(計算可能性理論) 또는 재귀 이론(再歸理論)은 수학기초론의 중요한 분야이자 컴퓨터 과학에서는 계산 이론의 한 갈래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계산 가능성 이론 · 더보기 »

계산 이론

산 이론(計算理論, Theory of computation)은 컴퓨터 과학의 한 갈래로, 어떤 문제를 컴퓨터로 풀 수 있는지, 또 얼마나 효율적으로 풀 수 있는지를.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계산 이론 · 더보기 »

부분집합 합 문제

부분집합 합 문제(subset sum problem)는 계산 복잡도 이론과 암호학에 관련된 문제로, 유한 개의 정수로 이루어진 집합이 있을 때 이 집합의 부분집합 중에서 그 집합의 원소를 다 더한 값이 0이 되는 경우가 있는지를 알아내는 문제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부분집합 합 문제 · 더보기 »

그래프 이론

6개의 꼭짓점과 7개의 변을 갖는 그래프 그래프 이론(graph理論)은 수학에서 객체 간에 짝을 이루는 관계를 모델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학 구조인 그래프에 대한 연구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그래프 이론 · 더보기 »

다항 시간

항 시간(多項時間)은 어떠한 문제를 계산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 m(n)이 문제의 크기 n의 다항식 함수보다 크지 않은 것을 가리.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다항 시간 · 더보기 »

IP (복잡도)

산 복잡도 이론에서 IP(Interactive Polynomial time)는 대화형 증명 체계로 풀 수 있는 문제의 집합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IP (복잡도) · 더보기 »

스티븐 울프럼

스티븐 울프럼 스티븐 울프럼(Stephen Wolfram, 1959년 8월 29일, 런던 ~)은 영국의 물리학자, 수학자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스티븐 울프럼 · 더보기 »

재귀 열거 집합

산 이론에서, 재귀 열거 집합(Recursively enumberable set, 귀납 가산 집합), 열거 가능 집합(Enumerable set), 계산 가능 집합(computable set), 준결정성 집합(semidecidable set), 튜링 인식 가능 집합(Turing-recognizable set)은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집합 S를 말.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재귀 열거 집합 · 더보기 »

폐포연산

수학에서 집합 S의 폐포연산(閉包演算, closure operation) 또는 폐포연산자(閉包演算子, closure operator)란, S의 멱집합 \mathcal(S)에서 자기 자신으로 보내는 함수 \operatorname: \mathcal(S)\rightarrow \mathcal(S) 중 모든 X,Y\subseteq S에 대해 다음 성질을 만족하는 것을 말.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폐포연산 · 더보기 »

포커 슈트라센

슈트라센 또는 볼커 스트라센(Volker Strassen,1936년 4월 29일 출생~)은 독일의 수학자로, 콘스탄츠 대학교 (University of Konstanz)의 수학 및 통계학과 명예 교수입.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포커 슈트라센 · 더보기 »

이산수학

이산수학(Discrete mathematics, 離散數學)은 이산적인 수학 구조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으로, 연속되지 않는 공간을.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이산수학 · 더보기 »

점근 표기법

점근 표기법(asymptotic notation)은 어떤 함수의 증가 양상을 다른 함수와의 비교로 표현하는 수론과 해석학의 방법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점근 표기법 · 더보기 »

정렬 알고리즘

전산학과 수학에서 정렬 알고리즘이란 원소들을 번호순이나 사전 순서와 같이 일정한 순서대로 열거하는 알고리즘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정렬 알고리즘 · 더보기 »

정지 문제

산 복잡도 이론에서 정지문제(停止問題, halting problem)는 판정 문제의 일종으로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 1936년에 앨런 튜링이 모든 가능한 입력값에 대해 정지문제를 풀 수 있는 일반적인 알고리즘 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정지 문제 · 더보기 »

조합최적화

응용수학과 전산학에서 조합최적화는 최적화 문제의 일종으로서, 운용 과학, 알고리즘 이론, 계산 복잡도 이론과 관련되어 있고, 인공지능, 수학, 소프트웨어 공학과 영역이 겹. 조합최적화에서는 일반적으로 어렵다고 보는 문제를.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조합최적화 · 더보기 »

집합 덮개 문제

집합 덮개 문제(set cover)는 전산학과 복잡도 이론에서 다루는 오랜 문제로, 어떠한 전체집합과 그 집합의 부분집합들이 주어졌을 때, 부분집합들 중에서 가능한 한 적은 집합을 골라서 그 집합들의 합집합이 원래 전체집합이 되도록, 즉 그 집합들이 원래 전제집합을 '덮도록' 집합을 선택하는 문제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집합 덮개 문제 · 더보기 »

추상 기계

상기계(抽象機械, abstract machine)는 컴퓨터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이상적인 모형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추상 기계 · 더보기 »

카라추바 알고리즘

바 알고리즘은 소련의 수학자 아나톨리 알렉세예비치 카라추바가 1960년에 발견하고 1962년에 공개한, 큰 수에 대한 효과적인 곱셈 알고리즘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카라추바 알고리즘 · 더보기 »

컴퓨팅 문서 색인

항목: 프로그래머의 목록, 컴퓨팅 인물의 목록, 컴퓨터 과학자의 목록, 기본 컴퓨터 과학 주제의 목록, 알고리즘 및 데이터 구조 관련 용어 목록.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컴퓨팅 문서 색인 · 더보기 »

컴퓨터 과학

학()은 전산 이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중점을 둔 정보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컴퓨터 과학 · 더보기 »

컴퓨터 과학자

학자, 전산학자는 컴퓨터 과학의 지식을 습득하는 과학자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컴퓨터 과학자 · 더보기 »

컴퓨터 과학자 목록

이 문서는 컴퓨터 과학자의 목록으로서,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활동한 연구가와 저술가의 목록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컴퓨터 과학자 목록 · 더보기 »

유계오차 확률적 다항시간

유계오차 확률적 다항시간(有界誤差 確率的 多項時間), BPP(Bounded-error, Probabilistic, Polynomial time)는 계산 복잡도 이론에서 확률적 튜링 기계로 모든 문제에 대해서 최대 1/3의 오류가 발생하면서 다항시간에 풀 수 있는 판정 문제의 집합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유계오차 확률적 다항시간 · 더보기 »

상수 시간

산 복잡도 이론에서 상수 시간(常數 時間) 또는 O(1)의 시간이란, 어떤 문제를 풀이하는데 필요한 수학적 연산 시간이 주어진 입력 자료에 관계 없이 일정할 때의 연산 시간을 의미.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상수 시간 · 더보기 »

샤프-P

산 복잡도 이론에서 복잡도 종류 #P는 개수를 세는 문제들로 이루어진 집합으로, 여기에 들어 있는 문제는 NP에 속한 판정 문제와 연. 다른 복잡도 종류하고 다르게 #P는 판정문제가 아니라 함수 문제의 집합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샤프-P · 더보기 »

샤프-P-완전

산 복잡도 이론에서 #P-완전은 복잡도 종류의 일종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샤프-P-완전 · 더보기 »

타원곡선 암호

원곡선 암호(楕圓曲線暗號, Elliptic curve cryptography)는 타원곡선 이론에 기반한 공개 키 암호 방식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타원곡선 암호 · 더보기 »

양자 컴퓨터

양자 컴퓨터의 기초가 되는 큐비트를 그림으로 나타내기 위한 블로흐 구 모형 양자 컴퓨팅(量子 -, quantum computing) 또는 양자 컴퓨터(quantum computer)는 얽힘(entanglement)이나 중첩(superposition) 같은 양자역학적인 현상을 이용하여 자료를 처리하는 계산 기계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양자 컴퓨터 · 더보기 »

선형 시간

선형 시간(線型時間, Linear time)이란, 계산 복잡도 이론에서, 입력의 길이 n에 대하여, 어떤 알고리즘의 실행시간이 선형(\colorBlueO(n))이 되는 것을 뜻. 예를 들면, 입력된 숫자열의 총합을 계산하는 순서는 숫자열의 길이에 비례하는 시간이 필요.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선형 시간 · 더보기 »

퇴플리츠 행렬

선형대수학에서, 퇴플리츠 행렬(Toeplitz行列)은 대각선 위의 성분들이 같은 정사각 행렬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퇴플리츠 행렬 · 더보기 »

애플소프트 베이직

애플소프트 베이직(Applesoft BASIC)은 정수 베이직에 이어 두 번째로 애플 2 컴퓨터에 내장된 베이직 프로그래밍 언어로 마이크로소프트가 공급.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애플소프트 베이직 · 더보기 »

함수 문제

산 복잡도 이론에서 함수 문제란 판정 문제가 아닌 문제들, 다시 말해서 답이 예/아니오보다 복잡한 문제들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함수 문제 · 더보기 »

알고리즘 분석

알고리즘 분석()은 컴퓨터 과학에서 알고리즘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기억 용량과 같은) 자원의 수를 결정하는 일을 가리.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알고리즘 분석 · 더보기 »

안전성 증명

암호학에서, 어떤 시스템이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면 증명가능한 안전성(provable security)을 가지고 있다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안전성 증명 · 더보기 »

아커만 함수

산 가능성 이론에서, 빌헬름 아커만의 이름을 딴 아커만 함수(Ackermann函數)는 가장 간단하고 가장 먼저 발견된 원시 재귀 함수가 아닌 완전히 정의된 계산 가능 함수의 예시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아커만 함수 · 더보기 »

실행 시간 (알고리즘)

실행 시간은 알고리즘 분야나 계산 복잡도 이론에서 어떤 프로그램이 시작하여 종료되기까지 걸리는 시간 길이를 뜻.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실행 시간 (알고리즘) · 더보기 »

시간 복잡도

산 복잡도 이론에서 시간 복잡도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입력의 함수 관계를 가리.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시간 복잡도 · 더보기 »

외판원 문제

외판원 문제의 해결책. 외판원 문제(外販員問題) 또는 순회 외판원 문제는 조합 최적화 문제의 일종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외판원 문제 · 더보기 »

환산 (복잡도)

복잡도 이론과 계산 복잡도 이론에서 환산(reduction)은 어떤 문제를 다른 문제로 변형하는 과정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환산 (복잡도) · 더보기 »

확률적 튜링 기계

확률적 튜링 기계(Probabilistic Turing machine)는 비결정론적 튜링 기계의 하나로, 기계의 다음 상태가 확률적으로 정해지는 성질을.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확률적 튜링 기계 · 더보기 »

확률적 알고리즘

확률적 알고리즘(probabilistic algorithm) 또는 무작위 알고리즘(randomized algorithm)은 난수를 발생시켜 진행과정을 결정하는 알고리즘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확률적 알고리즘 · 더보기 »

L (동음이의)

L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L (동음이의) · 더보기 »

L (복잡도)

산 복잡도 이론에서 L(LSPACE 또는 DLOGSPACE)은 결정론적 튜링 기계가 로그 기억 공간을 써서 풀 수 있는 판정 문제의 복잡도 종류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L (복잡도) · 더보기 »

MAX-SNP

산 복잡도 이론에서 MAX-SNP는 최적화 문제의 근사 가능성에 대한 복잡도 종류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MAX-SNP · 더보기 »

NC (복잡도)

산 복잡도 이론에서 NC(Nick's Class)는 프로세서가 다항 개인 병렬 컴퓨터가 다항로그 시간에 판정할 수 있는 판정 문제의 집합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NC (복잡도) · 더보기 »

NL

NL, Nl, nl는 다음 뜻을 가지고 있.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NL · 더보기 »

NL (복잡도)

산 복잡도 이론에서 NL(Nondeterministic Logarithmic-space)은 비결정론적 튜링 기계가 로그 기억 공간을 써서 풀 수 있는 판정 문제의 복잡도 종류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NL (복잡도) · 더보기 »

NP

NP, Np, np는 다음 뜻을 가지고 있.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NP · 더보기 »

P-완전

산 복잡도 이론에서 복잡도 종류 P-완전은 판정 문제의 집합으로, 병렬 컴퓨터가 빠르게 풀 수 있는 문제들을 분석하는 데 쓸모가 있. 어떤 판정 문제가 P-완전이려면 P에 대해 완전해야.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P-완전 · 더보기 »

PCP

PCP는 다음 뜻을 가지고 있.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PCP · 더보기 »

PH (복잡도)

산 복잡도 이론에서 복잡도 종류 PH는 다항 계층에 있는 모든 복잡도 종류의 합집합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PH (복잡도) · 더보기 »

PSPACE

산 복잡도 이론에서 PSPACE는 결정론적 튜링 기계나 비결정론적 튜링 기계가 시간은 얼마든지 쓸 수 있고, 공간은 다항 공간만 써서 풀 수 있는 판정 문제들의 집합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PSPACE · 더보기 »

PSPACE-완전

산 복잡도 이론에서 PSPACE-완전은 복잡도 종류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PSPACE-완전 · 더보기 »

R (복잡도)

산 복잡도 이론에서 R은 튜링 기계로 풀 수 있는 결정 문제들의 복잡도 종류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R (복잡도) · 더보기 »

RP (복잡도)

복잡도 이론에서, RP (확률적 다항시간, randomized polynomial time)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만족하는 확률적 튜링 기계가 존재하는 문제들의 복잡도 종류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RP (복잡도) · 더보기 »

UP

UP, Up, up는 다음 뜻을 가지고 있.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UP · 더보기 »

UP (복잡도)

산 복잡도 이론에서 UP 곧, 모호하지 않은 비결정론적 다항 시간(Unambiguous non-deterministic Polynomial-time)이란 비결정론적 튜링 기계가 입력마다 받아들이는 경로를 최대 한 개만으로 해서 다항 시간에 풀 수 있는 판정 문제들의 복잡도 종류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UP (복잡도) · 더보기 »

ZPP

산 복잡도 이론에서 복잡도 종류 ZPP(오차 없는 확률적 다항시간, Zero-error Probabilistic Polynomial time)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지니는 확률적 튜링 기계가 존재하는 문제로 이루어진 집합이.

새로운!!: 계산 복잡도 이론와 ZPP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계산복잡도이론, 복잡도 이론.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