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고려 문종

색인 고려 문종

문종(文宗, 1019년 12월 29일 (음력 12월 1일) ~ 1083년 9월 2일 (음력 7월 18일)은 고려 제11대 황제(재위 1046년 ~ 1083년)이다. 초명은 서(緖), 휘는 휘(徽), 자는 촉유(燭幽), 묘호는 문종, 시호는 강정명대장성인효황제(剛定明大章聖仁孝皇帝)이다. 불교 중흥에 힘썼으므로 특별히 인효성황제(仁孝聖皇帝)이라고도 부른다. 문종의 치세 이래를 고려의 황금기라고 한다. 즉위 초 문하시중 최충에게 명하여 율령(律令)·서산(書算)을 정리하도록 명하였으며, 그의 치세기간 중 이자연과 최충을 통해 문치 정책을 펼쳤다. 현종(顯宗)과 원혜왕후 김씨(金氏)의 셋째 아들이다.

272 처지: 도생승통, 도선답산가, 동주 최씨, 마 (성씨), 마전군, 목천 마씨, 목천 상씨, 명의왕후, 문 (성씨), 문경태후, 문정왕후 (고려), 문종, 문하시중, 개부의동삼사, 개성 고씨, 개성 김씨, 개성후, 간장, 강릉공, 강감찬, 박인량, 가락국기, 거창 유씨, 거창 신씨, 경릉, 경릉 (고려 문종), 경주 김씨, 경상도선생안, 경연, 경화왕후, 고 (성씨), 고려, 고려 명종, 고려 공민왕, 고려 의종, 고려 정종 (10대), 고려 순종, 고려 숙종, 고려 현종, 고려 선종, 고려 신종, 고려대장경, 고려의 불교, 고려의 역대 국왕, 고려의 역대 왕후, 고려의 토지제도, 고려청자, 고려사절요, 고려실록, 고려왕릉, ..., 고흥 류씨, 고열, 보령궁주, 복녕궁주, 공주, 공화후, 변한후, 괴산 음씨, 광릉공, 광평공, 광평공 (1083년), 봉상시, 부여공, 균여전, 귀주사 (함주군), 금관후, 비파, 김덕지, 김인위, 김은부, 김충찬, 김약진 (고려), 대령궁주, 대릉, 대릉 (고려), 대목왕후, 대방공, 대부 (칭호), 대한민국의 대학, 대원공, 교방가무희, 교장총록, 구례 화엄사 원통전 앞 사자탑, 국대부인, 국자감 (고려), 남원 만복사지,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 내시원, 낙랑후, 낙랑후 (왕경), 낙랑후 (왕침), 녹봉, 당적, 당하제명기, 효사왕후, 용절덕비, 울산 김씨, 승덕공주, 승경궁주, 장경궁주, 장흥 마씨, 장흥 임씨, 장흥 위씨, 장연 문씨, 장원정, 작위, 임개 (고려), 평양 김씨, 평양공 (동음이의), 흥경공주, 흥수궁주, 흥왕사, 이 (성씨), 이공수, 이자량, 이자덕, 이자겸, 이자인, 이자연 (고려), 이인로, 이호 (고려 전기), 이허겸, 이석 (고려), 이한 (고려 문신), 인목덕비, 인경현비, 인평왕후, 인절현비, 인천 이씨,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의 역사, 인예순덕왕후, 음악사 연표, 의천, 은평구, 은정 (고려), 적경궁주, 제주마, 제안공 (왕서), 정문 (고려), 정배걸, 정간왕, 정의왕후, 정현 (고려), 정선 문씨, 진주교방굿거리춤, 진주포구락무, 진한공, 지맹, 철원 최씨, 초계 정씨, 초제,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윤관, 파평 윤씨, 위 (성씨), 위계정, 상 (성씨), 상당후, 상안공, 태평어람, 태원 선우씨, 태왕태후,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수령궁주, 수안택주, 혁련정 (고려), 영국사 (사찰), 최용 (고려), 최충, 최윤의, 양헌왕, 양헌왕 (고려), 행주 은씨, 연덕궁주, 연창궁주, 허백, 풍기읍, 사심관, 삼사 (행정기관), 선우 (성씨), 선희왕후, 성저십리, 서경 (고려), 서낭당,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의 역사, 손 (성씨), 소 (성씨), 통의후, 애상군,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해동 (별칭), 해린, 해남 윤씨, 해평 길씨, 해주 최씨, 한국 불교의 역사, 한국의 도교, 한국의 궁중무용, 한국의 유교, 한국의 행정 구역, 한국의 역사,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한산후, 안찰사, 안수궁주, 안산 김씨,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신 (성씨), 십이공도, 원목왕후, 원인재,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원순숙비, 원혜왕후, 원성왕후, 원신궁주, 훈요십조, 황보영, 황태후, 외명부, 외척, 화순궁주, 화엄사, 왕경, 왕경 (1117년), 왕진 (고려), 왕휘, 왕태후, 왕수 (동음이의), 왕영 (낙랑공), 왕원, 1019년, 1047년, 1048년, 1049년, 1050년, 1051년, 1052년, 1053년, 1054년, 1055년, 1056년, 1057년, 1058년, 1059년, 1060년, 1061년, 1062년, 1063년, 1064년, 1065년, 1066년, 1067년, 1068년, 1069년, 1070년, 1071년, 1072년, 1073년, 1074년, 1075년, 1076년, 1077년, 1078년, 1079년, 1080년, 1081년, 1082년, 1083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22 더) »

도생승통

생승통 왕탱(道生僧統 王竀, ? ~ 1112년 경)은 고려의 왕족이자 승려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도생승통 · 더보기 »

도선답산가

《도선답산가(道詵踏山歌)》는 도선이 지었다고 전하는 감여서(堪輿書)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도선답산가 · 더보기 »

동주 최씨

동주 최씨(東州 崔氏)는 강원도 철원군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동주 최씨 · 더보기 »

마 (성씨)

마(馬, 麻)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마 (성씨) · 더보기 »

마전군

마전군(麻田郡)은 지금의 연천군 미산면 마전리를 중심으로 연천군의 미산면과 왕징면, 백학면에 있었던 경기도의 옛 군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마전군 · 더보기 »

목천 마씨

목천 마씨(木川 馬氏)는 충청남도 천안시 목천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목천 마씨 · 더보기 »

목천 상씨

목천 상씨(木川 尙氏)는 충청남도 천안시 목천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목천 상씨 · 더보기 »

명의왕후

명의왕태후 유씨(明懿王太后 柳氏, ? ~ 1112년 음력 7월 14일)는 고려의 제15대 왕 숙종의 왕비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명의왕후 · 더보기 »

문 (성씨)

문(文)씨는 한국과 중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문 (성씨) · 더보기 »

문경태후

순덕왕후 이씨(順德王后 李氏, ? ~ 1118년 음력 9월 5일) 또는 문경왕태후(文敬王太后)는 고려의 제16대 왕 예종의 제2비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문경태후 · 더보기 »

문정왕후 (고려)

문정왕후 왕씨(文貞王后 王氏, ? ~ 1138년 음력 6월 15일)는 고려의 제16대 왕 예종의 제3비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문정왕후 (고려) · 더보기 »

문종

문종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고려 문종와 문종 · 더보기 »

문하시중

문하시중(門下侍中)은 고려시대의 중서문하성의 최고 관리로 품계는 종1품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문하시중 · 더보기 »

개부의동삼사

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는, 고대 중국의 관직의 이름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개부의동삼사 · 더보기 »

개성 고씨

성 고씨(開城 髙氏)는 개성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개성 고씨 · 더보기 »

개성 김씨

성 김씨(開城 金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개성 김씨 · 더보기 »

개성후

성후 왕개(開城侯 王暟, ? ~ 1062년 음력 8월 28일)은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개성후 · 더보기 »

간장

국의 전통 간장 간장()은 음식의 간을 맞추는, 짠맛이 나는 흑갈색 액체 장으로, 콩을 소금물에 발효시켜 만. 장(醬) 또는 장유(醬油)라고도 부른.

새로운!!: 고려 문종와 간장 · 더보기 »

강릉공

강릉공 왕온(江陵公 王溫, ? ~ 1146년 음력 5월 14일)은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강릉공 · 더보기 »

강감찬

강감찬(姜邯贊 또는 姜邯瓚, 948년 12월 22일(음력 11월 19일) ~ 1031년 9월 9일(음력 8월 20일))은 고려의 문관(文官)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강감찬 · 더보기 »

박인량

박인량(朴寅亮, 1024년 ~ 1096년)은 고려의 학자·문신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박인량 · 더보기 »

가락국기

《가락국기》(駕洛國記)는 가락국의 역사를 서술한 책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가락국기 · 더보기 »

거창 유씨

창 유씨(居昌 劉氏)는 경상남도 거창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거창 유씨 · 더보기 »

거창 신씨

창 신씨(居昌 愼氏)는 경상남도 거창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거창 신씨 · 더보기 »

경릉

경릉은 중국과 한국의 왕릉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경릉 · 더보기 »

경릉 (고려 문종)

경릉(景陵)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장풍군에 위치한 고려 제11대 문종의 능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경릉 (고려 문종) · 더보기 »

경주 김씨

경주 김씨(慶州 金氏)는 경상북도 경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경주 김씨 · 더보기 »

경상도선생안

경상도선생안(慶尙道先生案) 고려 문종 때부터 조선을 거쳐 대한제국 시대에 이르기 까지 경상도 도백(道伯)을 지낸 이들의 명단을 수록한 『증보 경상도선생안』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경상도선생안 · 더보기 »

경연

명 신종 경연 경연(經筵)은 왕에게 유학의 경서(經書)와 사서(史書)를 진강(進講)해 드리고 논의(論議)를 받는 학술제도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경연 · 더보기 »

경화왕후

경화왕후 이씨(敬和王后 李氏, 1079년 ~ 1109년 음력 7월 29일)는 고려의 제16대 왕 예종의 제1비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경화왕후 · 더보기 »

고 (성씨)

(高)씨는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고 (성씨)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고려 · 더보기 »

고려 명종

명종(明宗, 1131년 11월 8일 (음력 10월 17일) ~ 1202년 12월 3일 (음력 11월 17일)은 고려 제19대 국왕(재위: 1170년 ~ 1197년)이다. 휘는 호(晧), 자는 지단(之旦), 묘호는 명종, 시호는 황명광효대왕(皇明光孝大王)이다. 인종과 공예태후 임씨(任氏)의 셋째 아들이며 의종의 동생이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고려 명종 · 더보기 »

고려 공민왕

공민왕(恭愍王, 1330년 5월 23일 (음력 5월 6일) ~ 1374년 10월 27일 (음력 9월 22일), 재위: 1351년 ~ 1374년)은 고려의 제31대 국왕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고려 공민왕 · 더보기 »

고려 의종

의종(毅宗, 1127년 5월 23일 (음력 4월 11일) ~ 1173년 11월 7일 (음력 10월 1일『고려사』 권19, 「세가」19, 명종 3년(1173) 10월 1일(경신)))은 고려 제18대 국왕(재위: 1146년 ~ 1170년)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고려 의종 · 더보기 »

고려 정종 (10대)

정종(靖宗) 1018년 8월 31일 (음력 7월 18일) ~ 1046년 6월 24일 (음력 5월 18일)은 고려 제10대 국왕(제위: 1034년 ~ 1046년)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고려 정종 (10대) · 더보기 »

고려 순종

순종(順宗, 1047년 12월 28일 (음력 12월 9일) ~ 1083년 12월 5일 (음력 10월 23일))은 고려 제12대 국왕(재위: 1083년)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고려 순종 · 더보기 »

고려 숙종

숙종(肅宗, 1054년 9월 2일 (음력 7월 28일) ~ 1105년 11월 10일 (음력 10월 2일)은 고려 제15대 국왕(재위: 1095년 ~ 1105년)이다. 초명은 희(熙), 휘는 옹(顒), 자는 천상(天常), 시호는 문혜강정명효대왕(文惠康正明孝大王). 문종과 인예왕후 이씨의 아들로 순종과 선종의 동복아우이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고려 숙종 · 더보기 »

고려 현종

현종(顯宗, 992년 8월 1일(음력 7월 1일)《고려사》〈세가〉권5 ~ 1031년 6월 17일(음력 5월 25일)은 고려 제8대 국왕(재위: 1009년 ~ 1031년)이다. 휘는 순(詢), 자는 안세(安世), 보위 즉위 이전의 작위는 대량원군이었고, 묘호는 현종, 시호는 대효덕위달사원문대왕(大孝德威達思元文大王)이며 불교 승려 시절 법명은 선재(禪齋)이다. 태조의 아들 안종(安宗)과 헌정왕후 황보씨(皇甫氏)의 아들이다. 안종 왕욱과 경종의 계비 헌정왕후의 사통으로 출생하여 암살 위기를 모면하고 1009년 강조의 정변으로 5촌 조카이자 이종사촌 형인 목종이 폐위되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이후 거란의 두 차례 침입으로 피난을 다녀오기도 했다. 1009년 2월부터 1031년 6월까지 재위하는 동안 1009년 2월부터 이듬해 1010년 11월까지 강조(康兆)가 섭정하였고 1010년 11월부터 1031년 6월 붕어할 때까지 친정하였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고려 현종 · 더보기 »

고려 선종

선종(宣宗, 1049년 10월 9일 (음력 9월 10일) ~ 1094년 6월 17일 (음력 5월 2일)은 고려 제13대 국왕(재위: 1083년 ~ 1094년)이다. 휘는 운(運), 초명은 증(蒸) 또는 기(祈)이다. 자는 계천(繼天), 묘호는 선종(宣宗), 시호는 관인현순안성사효대왕(寬仁顯順安成思孝大王)이다. 문종과 인예태후(仁睿太后) 이씨(李氏)의 아들이다. 국원공에 책봉되었다가 친형 순종이 3개월만에 요절하여 왕위를 계승하였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고려 선종 · 더보기 »

고려 신종

신종(神宗, 1144년 8월 11일 (음력 7월 11일) ~ 1204년 2월 15일 (음력 1월 13일)은 고려 제20대 국왕(재위: 1197년 ~ 1204년)이다. 휘는 탁(晫), 자는 지화(至華), 묘호는 신종(神宗), 시호는 경공정효대왕(敬恭靖孝大王)이다. 인종과 공예태후 임씨(恭睿太后 任氏)의 다섯째 아들이자 의종과 명종의 막내동생이다. 1197년부터 1204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최충헌(崔忠獻)이 실권을 맡았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고려 신종 · 더보기 »

고려대장경

《고려 대장경(高麗大藏經)》은 고려에서 간행한 대장경을 이르며 다음과 같.

새로운!!: 고려 문종와 고려대장경 · 더보기 »

고려의 불교

불화 미륵하생경변상도 이 문서는 고려 시대의 불교를 설명.

새로운!!: 고려 문종와 고려의 불교 · 더보기 »

고려의 역대 국왕

의 역대 황제는 흔히 조, 종의 묘호로 부르나, 원나라의 내정간섭이 시작된 충렬왕 이후부터는 묘호를 사용하지 못하여 시호를 통칭으로 사용하며, 우왕과 창왕은 성명이 통용.

새로운!!: 고려 문종와 고려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고려의 역대 왕후

의 왕후(高麗의 王后)는 고려 왕조 국왕의 정실 부인(正宮)으로서 왕후의 자리에 있던 사람을 말. 출전은 고려사, 원사이지만 고려사의 기준에 달려 있.

새로운!!: 고려 문종와 고려의 역대 왕후 · 더보기 »

고려의 토지제도

의 토지제도는 시기에 따라, 신분 또는 공역에 따라, 수조권자 또는 소유권자에 따라 차별을 두고 국가에서 지급하거나 소유권을 인정하였.

새로운!!: 고려 문종와 고려의 토지제도 · 더보기 »

고려청자

청자칠보투각향로(국보95호) 고려청자(高麗靑磁)는 고려 문종(文宗) 전후에 송(宋)의 화남 절강성 월주요(華南浙江省越州窯)의 영향을 받고 일어난 것으로서 그 변천은 청자의 발생에서 쇠퇴까지 각 기간을 3기, 300년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장 타당한 방법으로 알려지고 있. 그리고 이러한 시대 구분과 해당 기간 중의 청자의 특색과는 밀접한 연관을 갖. 초기의 청자는 매우 소박한 데서 출발하여 점차 기술이 숙련됨에 따라 예종(睿宗)·인종(仁宗) 때에 이르러 이른바 비색청자시대(翡色靑磁時代)를 이루며 고려청자의 진면목을 보이는 상감청자를 낳는데 이는 순전히 고려인의 창의력에 의한 것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고려청자 · 더보기 »

고려사절요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는 조선 문종(文宗) 때 완성한 고려의 편년사(編年史)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고려사절요 · 더보기 »

고려실록

《고려실록》(高麗實錄)은 《고려왕조실록》(高麗王朝實錄)을 지칭하는 것으로 고려왕조에서 편찬한 실록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고려실록 · 더보기 »

고려왕릉

왕릉(高麗王陵)은 고려의 역대 국왕과 왕후의 무덤으로 개성, 개풍군, 장풍군,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위.

새로운!!: 고려 문종와 고려왕릉 · 더보기 »

고흥 류씨

흥 류씨(高興 柳氏)는 전라남도 고흥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고흥 류씨 · 더보기 »

고열

열(高烈, 미상~1056년 4월 20일(윤3월 3일『고려사』 권7, 「세가」7, 문종 10년(1056) 윤3월 3일(을유)))은 여진 출신의 고려의 무신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고열 · 더보기 »

보령궁주

보령궁주(保寧宮主, ? ~ 1113년)는 고려 시대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보령궁주 · 더보기 »

복녕궁주

복녕궁주(福寧宮主, 1096년 ~ 1133년)는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복녕궁주 · 더보기 »

공주

공주(公主, Princess)는 한자 문화권 국가에서 제왕(帝王)의 딸, 즉 왕녀에게 주어진 작위 내지 칭호.

새로운!!: 고려 문종와 공주 · 더보기 »

공화후

공화백 왕영(恭化伯 瑛, 1126년 ~ 1186년 음력 10월 10일)은 고려 시대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공화후 · 더보기 »

변한후

변한후 왕음(卞韓侯 王愔, ? ~ 1086년 음력 9월 12일)은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변한후 · 더보기 »

괴산 음씨

산 음씨(槐山 陰氏)는 충청북도 괴산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괴산 음씨 · 더보기 »

광릉공

광릉공 왕면(廣陵公 沔, ? ~ 1218년)은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광릉공 · 더보기 »

광평공

광평공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고려 문종와 광평공 · 더보기 »

광평공 (1083년)

광평공(廣平公, 1083년 - 1170년 1월 12일)은 고려 중기의 왕족, 정치인, 의사로 이름은 왕원(王源)이며 고려 문종의 손자이자 추존왕 양헌왕 왕도의 아들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광평공 (1083년) · 더보기 »

봉상시

봉상시(奉常寺)는 조선의 행정기관으로 국가의 제사와 시호 등을 맡아보던 기관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봉상시 · 더보기 »

부여공

부여공 왕수(扶餘公 王㸂, ? ~ 1112년 음력 6월 10일)는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부여공 · 더보기 »

균여전

여전(均如傳) 혹은 《대화엄수좌원통양중대사 균여전(大華嚴首座圓通兩重大師均如傳)》은 고려 초기의 승려 균여(均如)의 일대기를 적은 전기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균여전 · 더보기 »

귀주사 (함주군)

주사(歸州寺)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사찰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귀주사 (함주군) · 더보기 »

금관후

후 왕비(金官侯 王㶨, ? ~ 1092년 음력 4월 14일)는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금관후 · 더보기 »

비파

1893년 시카고 세계 박람회에 출품되었던 비파 비파(琵琶)는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퍼져 있는 발현악기로서 중국으로부터 널리 퍼져나갔으나 본래 중국의 악기는 아니고 서역에서 유입된 것으로 보인.

새로운!!: 고려 문종와 비파 · 더보기 »

김덕지

덕지(金德摯. 생몰년 미상)는 신라 하대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김덕지 · 더보기 »

김인위

인위(金因謂,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문신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김인위 · 더보기 »

김은부

은부(金殷傅, ? ~ 1017년 6월 11일(음력 5월 15일))는 고려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현종의 장인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김은부 · 더보기 »

김충찬

충찬(金忠贊, ? ~ 1036년 7월)은 고려시대 전기의 외척, 문신, 정치인으로 고려 현종의 장인인 김은부(金殷傅)의 아들이며, 원성왕후, 원혜왕후, 원평왕후의 남매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김충찬 · 더보기 »

김약진 (고려)

약진(金若珍, 생년 미상 ~ 1082년)은 고려(高麗)의 문신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김약진 (고려) · 더보기 »

대령궁주

령궁주(大寧宮主, ? ~ 1114년)는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대령궁주 · 더보기 »

대릉

릉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고려 문종와 대릉 · 더보기 »

대릉 (고려)

릉(戴陵)은 고려 제11대 문종의 제2비 인예왕후 이씨의 능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대릉 (고려) · 더보기 »

대목왕후

목왕후 황보씨(大穆王后 皇甫氏)는 고려의 제4대 왕인 광종의 비(妃)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대목왕후 · 더보기 »

대방공

방공 왕보(帶方公 王俌, ? ~ 1128년 음력 4월 16일)는 고려 시대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대방공 · 더보기 »

대부 (칭호)

부(大夫)는 고대 중국에서 사용했던 신분 호칭의 하나로서 한국과 일본, 베트남 왕조에서도 사용되었.

새로운!!: 고려 문종와 대부 (칭호)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대학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대학에 관한 것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대한민국의 대학 · 더보기 »

대원공

원공 왕효(大原公 王侾, 1093년 ~ 1161년 5월 6일(음력 4월 10일))는 고려 시대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대원공 · 더보기 »

교방가무희

《교방가요》에 실린 교방가무 교방가무희(敎坊歌舞戱)는 고려·조선 시대에, 교방악(敎坊樂)을 사용한 가무희를 통틀어 이르던 말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교방가무희 · 더보기 »

교장총록

《교장총록(敎藏總錄)》은 고려의 승려인 대각국사 의천(義天: 1055~1101)이 편찬한 불교 장소(章疏)의 목록을 수록한 책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교장총록 · 더보기 »

구례 화엄사 원통전 앞 사자탑

화엄사 원통전 앞 사자탑(求禮 華嚴寺 圓通殿 앞 獅子塔)은 전라남도 구례군, 화엄사에 있는 통일신라의 석탑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구례 화엄사 원통전 앞 사자탑 · 더보기 »

국대부인

국대부인(國大夫人·國太夫人)은 중국과 한반도의 제·왕국에서 사용했던 외명부(外命婦) 관작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국대부인 · 더보기 »

국자감 (고려)

국자감(國子監)은 992년(고려 성종 11)에 설립된 고려 시대 국립 고등 교육 기관으로 수도 개경에 위치하였.

새로운!!: 고려 문종와 국자감 (고려) · 더보기 »

남원 만복사지

만복사지(萬福寺址)는 고려 문종때 창건한 절 터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남원 만복사지 · 더보기 »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

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南原 萬福寺址 石造如來立像)은 전라북도 남원시 왕정동 만복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조 여래 입상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 · 더보기 »

내시원

시원(內侍院)은 고려 시대 근시문무관(近侍文武官)들이 소속된 관청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내시원 · 더보기 »

낙랑후

낙랑후는 다음의 인물을 가리.

새로운!!: 고려 문종와 낙랑후 · 더보기 »

낙랑후 (왕경)

낙랑후 왕경(樂浪侯 王璥, 생몰년 미상)은 고려의 왕자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낙랑후 (왕경) · 더보기 »

낙랑후 (왕침)

낙랑후 왕침(樂浪侯 王忱, ? ~ 1083년 음력 4월 20일)은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낙랑후 (왕침) · 더보기 »

녹봉

녹봉(祿俸) 또는 봉록(俸祿)은 관리에게 지급하는 급료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녹봉 · 더보기 »

당적

당적(唐笛)은 관악기의 하나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당적 · 더보기 »

당하제명기

《당하제명기》(棠下題名記)는, 조선 초기의 문신 하연(河演)이 작성한 고려 문종(文宗) 32년(1078년) 이래의 경상도(慶尙道) 지역의 역대 관찰사(觀察使)의 명단을 기록한 문헌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당하제명기 · 더보기 »

효사왕후

효사왕후 김씨(孝思王后 金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제9대 왕 덕종의 제3비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효사왕후 · 더보기 »

용절덕비

용절덕비 김씨(容節德妃 金氏, ? ~ 1102년 음력 3월)는 고려의 제10대 왕 정종의 제4비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용절덕비 · 더보기 »

울산 김씨

울산 김씨(蔚山 金氏)는 울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울산 김씨 · 더보기 »

승덕공주

승덕공주(承德公主, 생몰년 미상)는 고려 시대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승덕공주 · 더보기 »

승경궁주

승경궁주(承慶宮主, ? ~ 1158년 이전)는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승경궁주 · 더보기 »

장경궁주

장경궁주 이씨(長慶宮主 李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제12대 왕 순종의 제3비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장경궁주 · 더보기 »

장흥 마씨

장흥 마씨(長興馬氏)는 전라남도 장흥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장흥 마씨 · 더보기 »

장흥 임씨

장흥 임씨(長興 任氏)는 전라남도 장흥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장흥 임씨 · 더보기 »

장흥 위씨

장흥 위씨(長興 魏氏)는 전라남도 장흥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장흥 위씨 · 더보기 »

장연 문씨

장연 문씨(長淵 文氏)는 황해도 장연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장연 문씨 · 더보기 »

장원정

장원정(長源亭)은 고려 문종 때 도선의 것이라는 의 도참설을 근거로 해서 연기(延基)의 방책으로 서강(西江:禮成江)변에 세운 소이궁(小離宮)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장원정 · 더보기 »

작위

작위(爵位)는 왕족이나 공적이 뛰어난 귀족에게 수여하던 명예의 칭호 또는 그 계급을 가리.

새로운!!: 고려 문종와 작위 · 더보기 »

임개 (고려)

임개(林槩, ? ~ 1107년)는 고려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임개 (고려) · 더보기 »

평양 김씨

평양 김씨(平壤 金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평양 김씨 · 더보기 »

평양공 (동음이의)

평양공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고려 문종와 평양공 (동음이의) · 더보기 »

흥경공주

흥경공주(興慶公主, ? ~ 1176년)는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흥경공주 · 더보기 »

흥수궁주

흥수궁주(興壽宮主, ? ~ 1123년)는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흥수궁주 · 더보기 »

흥왕사

흥왕사(興王寺)는 고려 때 개경 근처에 있던 사찰로서 오늘날 존재하지 않.한국사 > 중세사회의 발전 > 귀족사회와 무인정권 > 귀족문화 > 흥왕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고려의 대표적 사찰들 중 하나로서 정치적인 집합소로 이용.

새로운!!: 고려 문종와 흥왕사 · 더보기 »

이 (성씨)

외 이(李, 異, 伊)씨는 동아시아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이 (성씨) · 더보기 »

이공수

이공수(李公壽, ? ~ 1137년)는 고려중기의 문신, 정치인이며 본관은 인천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이공수 · 더보기 »

이자량

이자량(李資諒, ? - 1123년(인종 1))은 고려 중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본관은 인천으로, 처음 이름은 자훈(資訓)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이자량 · 더보기 »

이자덕

이자덕(李資德, 1071(문종 25)∼1138(인종 16)) 고려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이자덕 · 더보기 »

이자겸

이자겸(李資謙, ? ~ 1127년 1월 19일/1126년 음력 12월 5일 중앙일보 2009년 12월 22일)은 고려시대 중기의 문신이자 정치인, 섭정이자 시인이었.

새로운!!: 고려 문종와 이자겸 · 더보기 »

이자인

이자인(李資仁, ? ∼ 1091년(선종 8))는 고려시대 중기의 문신, 외척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이자인 · 더보기 »

이자연 (고려)

이자연(李子淵, 1003년 ~ 1061년)은 고려의 문신이자 문종의 외척(外戚)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이자연 (고려) · 더보기 »

이인로

인천 원인재에 있는 이인로 문학비 이인로(李仁老, 1152년 ~ 1220년)는 고려시대 중기의 문신, 학자이자 시인, 작가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이인로 · 더보기 »

이호 (고려 전기)

이호(李顥, ? ~ ?)는 고려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이호 (고려 전기) · 더보기 »

이허겸

이허겸(李許謙, ? - ?)은 고려의 외척으로 고려 문종의 장인 이자연의 할아버지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이허겸 · 더보기 »

이석 (고려)

이석(李碩, 생몰년 미상)은 고려 전기의 문신이며 이자연의 셋째아들로 고려 선종의 비 사숙왕후의 친정아버지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이석 (고려) · 더보기 »

이한 (고려 문신)

이한(李翰, 생몰년 미상)은 고려시대의 문신이며, 이자연의 아버지이고, 현종의 장인 김은부의 처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이한 (고려 문신) · 더보기 »

인목덕비

인목덕비 김씨(仁穆德妃 金氏, ? ~ 1094년 음력 6월 16일)는 고려의 제11대 왕 문종의 제5비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인목덕비 · 더보기 »

인경현비

인경현비 이씨(仁敬賢妃 李氏, ? - ?)는 고려 문종의 제3비이며 문하시중 이자연의 둘째 딸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인경현비 · 더보기 »

인평왕후

인평왕후 김씨(仁平王后 金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 제11대 왕 문종의 제1비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인평왕후 · 더보기 »

인절현비

인절현비 이씨(仁節賢妃 李氏, ? ~ 1082년 음력 7월 29일)는 고려의 제11대 왕 문종의 제4비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인절현비 · 더보기 »

인천 이씨

인천 이씨(仁川 李氏)는 인천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인천 이씨 · 더보기 »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는 대한민국의 서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인천광역시 · 더보기 »

인천광역시의 역사

대동여지도에 그려진 인천 부근 인천광역시의 역사는 선사시대인 구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 원삼국시대에 미추홀이 있었다고 추정되며, 삼국 시대에 고구려의 영토가 된 뒤로는 매소홀현(買召䑸䎱)으로 불리다가 다시 신라의 영토가 되었고 경덕왕이 소성(邵城)이라 이름지었.

새로운!!: 고려 문종와 인천광역시의 역사 · 더보기 »

인예순덕왕후

인예왕후(仁睿王后, ? ~ 1092년)는 고려 제11대 왕 문종의 왕비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인예순덕왕후 · 더보기 »

음악사 연표

음악사 연표는 서양 음악사와 동양 음악사(한국 음악사 포함)를 나타낸 연표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음악사 연표 · 더보기 »

의천

상화 의천(義天: 1055년 10월 30일(음력 9월 28일) ~ 1101년 10월 28일(음력 10월 5일))은 고려시대의 왕족 출신 승려, 작가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의천 · 더보기 »

은평구

은평구(恩平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북서부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은평구 · 더보기 »

은정 (고려)

은정(殷鼎)은 고려의 문신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은정 (고려) · 더보기 »

적경궁주

적경궁주(積慶宮主, 생몰년 미상)는 고려 시대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적경궁주 · 더보기 »

제주마

제주마(濟州馬, Equus caballus)는 제주특별자치도에 자생하는 조랑말의 총칭으로, 1986년 2월 8일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347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고려 문종와 제주마 · 더보기 »

제안공 (왕서)

제안공 왕서(齊安公 王偦, ? ~ 1131년 음력 2월 14일)는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제안공 (왕서) · 더보기 »

정문 (고려)

정문(鄭文, 미상~1106년 1월 9일(음력 1105년 12월 3일))은 고려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정문 (고려) · 더보기 »

정배걸

정배걸(鄭倍傑, ? ~ 1051년)은 고려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정배걸 · 더보기 »

정간왕

정간왕(靖簡王, 1021년 8월 ~ 1069년 11월)은 현종의 넷째 아들로, 고려 전기의 왕족, 문신이며 추존왕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정간왕 · 더보기 »

정의왕후

정의왕후 왕씨(貞懿王后 王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제12대 왕 순종의 제1비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정의왕후 · 더보기 »

정현 (고려)

정현(鼎賢, 972년 ~ 1054년)은 고려의 승려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정현 (고려) · 더보기 »

정선 문씨

정선 문씨(旌善文氏)는 강원도 정선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정선 문씨 · 더보기 »

진주교방굿거리춤

주교방굿거리춤(晋州敎坊굿거리춤)은 1997년 1월 30일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21호로 지정되었으며, 진주 교방에 의해 전승되는 굿거리춤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진주교방굿거리춤 · 더보기 »

진주포구락무

주포구락무(晋州抛毬樂舞)는 진주에서 전승되고 있는 놀이춤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진주포구락무 · 더보기 »

진한공

공 왕유(辰韓公 王愉, ? ~ 1099년 음력 11월 4일)는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진한공 · 더보기 »

지맹

맹(智猛, 988년 ~ ?)은 고려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지맹 · 더보기 »

철원 최씨

원 최씨(鐵原 崔氏)는 강원도 철원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철원 최씨 · 더보기 »

초계 정씨

정씨(草溪 鄭氏)는 경상남도 합천군 초계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초계 정씨 · 더보기 »

초제

제(醮祭)는 고려 시대에 제신(諸神)에게 지내던 제사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초제 · 더보기 »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곡 선봉사 대각국사비(漆谷 僊鳳寺 大覺國師碑)는 경상북도 칠곡군 선봉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비석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 더보기 »

윤관

윤관(尹瓘, 미상 ~ 1111년 6월 15일 (음력 5월 8일))은 고려 중기의 문신·군인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윤관 · 더보기 »

파평 윤씨

평 윤씨(坡平尹氏)는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파평 윤씨 · 더보기 »

위 (성씨)

위(魏, 韋, 衛, 尉)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위 (성씨) · 더보기 »

위계정

위계정(魏繼廷, 1038년? ~ 1107년)은 고려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위계정 · 더보기 »

상 (성씨)

상(尙)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상 (성씨) · 더보기 »

상당후

상당후 왕필(上黨侯 王佖, ? ~ 1099년)은 고려 시대의 왕족으로, 숙종과 명의왕후(明懿王后) 유씨(柳氏)의 아들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상당후 · 더보기 »

상안공

상안공 왕수(常安公 王琇, ? ~ 1095년 음력 3월 6일)는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상안공 · 더보기 »

태평어람

《태평어람》 한태화(韓泰華) 교정본 《태평어람》(太平御覽)은 중국 북송 초기의 학자 이방(李昉) 등이 태평흥국 2년 ~ 8년(977년 ~ 983년) 사이에 편찬한 유서(類書)의 일종으로, 본래 이름은 《태평총류》(太平總類)였으나 태종이 매일 밤마다 3권씩 읽은 사실에 유래하여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

새로운!!: 고려 문종와 태평어람 · 더보기 »

태원 선우씨

원 선우씨(太原 鮮于氏)는 기자조선을 기원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태원 선우씨 · 더보기 »

태왕태후

왕태후(太王太后)는 현 국왕의 조모뻘로, 주로 선선대 국왕의 정실 부인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태왕태후 · 더보기 »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順天仙巖寺大覺國師義天眞影)은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선암사에 있는 초상화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 더보기 »

수령궁주

수령궁주(壽寧宮主, 생몰년 미상)는 고려 시대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수령궁주 · 더보기 »

수안택주

수안택주(遂安宅主, 1088년 ~ 1128년)는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수안택주 · 더보기 »

혁련정 (고려)

혁련 정(赫連挺, ? ~ ?)은 고려 문종 때의 학자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혁련정 (고려) · 더보기 »

영국사 (사찰)

영국사(寧國寺)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 누교리에 있는 조계종의 사찰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영국사 (사찰) · 더보기 »

최용 (고려)

용(崔湧, ? ~ 1119년)는 고려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해주(海州)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최용 (고려) · 더보기 »

최충

충(崔沖, 984년 ~ 1068년 10월 13일(음력 9월 15일))은 고려 전기의 문신(文臣)이자 유학자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최충 · 더보기 »

최윤의

윤의(崔允儀, 1102년 ~ 1162년)는 고려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해주(海州)이며 초명은 최천우(崔天祐)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최윤의 · 더보기 »

양헌왕

양헌왕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고려 문종와 양헌왕 · 더보기 »

양헌왕 (고려)

양헌왕(禳憲王, ? ~ 1099년) 또는 조선공(朝鮮公)은 고려 전기의 왕족이자, 추존왕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양헌왕 (고려) · 더보기 »

행주 은씨

행주 은씨(幸州 殷氏)는 경기도 고양시 행주동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행주 은씨 · 더보기 »

연덕궁주

연덕궁주(延德宮主)는 고려에서 왕비의 호칭으로 쓰인 것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연덕궁주 · 더보기 »

연창궁주

연창궁주 노씨(延昌宮主 盧氏, ? ~ 1048년 음력 3월 16일)는 고려의 제10대 왕 정종의 제5비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연창궁주 · 더보기 »

허백

백(許伯, ? ~ 1357년)은 고려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허백 · 더보기 »

풍기읍

풍기읍(豊基邑)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주시의 읍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풍기읍 · 더보기 »

사심관

사심관(事審官)은 고려 때의 관직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사심관 · 더보기 »

삼사 (행정기관)

삼사(三司)는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의 중앙 행정관청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삼사 (행정기관) · 더보기 »

선우 (성씨)

선우(鮮于)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선우 (성씨) · 더보기 »

선희왕후

선희왕후 김씨(宣禧王后 金氏, ? ~ 1126년 음력 2월 22일)는 고려의 제12대 왕 순종의 제2비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선희왕후 · 더보기 »

성저십리

경조오부도 성저십리(城底十里)는 조선 시대 당시 한성부에 속한 성외(城外) 지역으로, 한성부 도성으로부터 4km(10리) 이내의 지역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성저십리 · 더보기 »

서경 (고려)

서경(西京)은 고려삼경(高麗三京)의 하나로서 오늘날의 평양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서경 (고려) · 더보기 »

서낭당

강원도 강릉에 위치한 진또배기 성황당 성황당 입구 서낭당은 한국의 무속신앙에서 신을 모시는 사당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서낭당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서울특별시의 역사

서울특별시는 대한민국의 수도이며, 과거 백제, 조선의 수도였.

새로운!!: 고려 문종와 서울특별시의 역사 · 더보기 »

손 (성씨)

손(孫)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손 (성씨) · 더보기 »

소 (성씨)

소(蘇, 蕭, 邵)씨는 한국 및 중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소 (성씨) · 더보기 »

통의후

통의후 왕교(通義侯 王僑, 1097년 ~ 1119년 음력 4월 19일)는 고려 중기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통의후 · 더보기 »

애상군

애상군 왕방(哀殤君 王昉, 생몰년 미상)은 고려의 왕자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애상군 · 더보기 »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陜川 海印寺 大藏經板) 또는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트리피타카 코레아나)은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에 있는, 고려가 몽골의 침입을 불력(佛力)으로 막아내고자 1236년(고종 23년) 강화군에서 조판에 착수하여 15년이 지난 1251년(고종 38년)까지 총 16년에 걸쳐 완성한 고려의 대장경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 더보기 »

해동 (별칭)

동(海東)은 한국에 대한 별칭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해동 (별칭) · 더보기 »

해린

린(海麟, 984년~1067년)은 고려 중기의 승려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해린 · 더보기 »

해남 윤씨

윤씨(海南 尹氏)는 전라남도 해남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해남 윤씨 · 더보기 »

해평 길씨

평 길씨(海平 吉氏)는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해평 길씨 · 더보기 »

해주 최씨

주 최씨(海州 崔氏)는 황해도 해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해주 최씨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한국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의 도교

국의 도교는 한국에서 전개된 도교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한국의 도교 · 더보기 »

한국의 궁중무용

앵전 한국의 궁중무용은 궁중 진연(進宴)과 의식에 쓰던 무용으로 정재(呈才).

새로운!!: 고려 문종와 한국의 궁중무용 · 더보기 »

한국의 유교

동아시아의 사상의 흐름은 크게 유교와 불교 그리고 도교인데, 한국은 이러한 세 가지 사상적 요소를 모두 흡수·구비하여 발전시켜 왔. 그 가운데서도 중국과는 지역적으로 인접한 까닭에 고대로부터 유교사상이 한국에 들어와 민족정신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

새로운!!: 고려 문종와 한국의 유교 · 더보기 »

한국의 행정 구역

국은 현재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두 정치체로 나뉘어 있.

새로운!!: 고려 문종와 한국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한국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이 문서는 현재까지 알려진 한국의 왕자(황자)와 왕녀(공주, 궁주, 옹주)의 목록을 담고 있.

새로운!!: 고려 문종와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 더보기 »

한산후

산후 왕윤 또는 왕균(漢山侯 王昀, 생몰년 미상)은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한산후 · 더보기 »

안찰사

안찰사(按察使)는 고려 때의 지방 장관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안찰사 · 더보기 »

안수궁주

안수궁주(安壽宮主,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안수궁주 · 더보기 »

안산 김씨

안산 김씨(安山 金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안산 김씨 · 더보기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安城 七長寺 慧炤國師碑)는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비석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더보기 »

신 (성씨)

신(申, 辛, 愼)씨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신 (성씨) · 더보기 »

십이공도

십이공도(十二公徒)는 고려 문종 이후 개경에 있었던 12개 사학(私學)의 생도(生徒)를 총칭한 것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십이공도 · 더보기 »

원목왕후

원목왕후 서씨(元穆王后 徐氏, ? ~ 1057년 음력 5월 12일)는 고려의 제8대 왕 현종의 제6비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원목왕후 · 더보기 »

원인재

원인재(源仁齋)는 고려 전기의 인천의 호족이며 현종비 원성왕후, 원혜왕후, 원평왕후의 외조부이자 문종비 인예왕후, 인경현비, 인절현비의 증조할아버지인 이허겸의 사당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원인재 · 더보기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原州 法泉寺址 智光國師塔)은 원래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법천사지에 있었으나 한일병탄 직후 오사카로 밀반출되었다가 반환되어 경복궁에 있다가 현재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문지동, 국립문화재연구소에 있. 1962년 12월 20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101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고려 문종와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 더보기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原州 法泉寺址 智光國師塔碑)는 강원도 원주시 법천사지에 세워져 있는, 고려 문종 때 국사(國師)이며 법상종의 고승인 지광국사(984년 ~ 1070년)의 탑비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 더보기 »

원순숙비

원순숙비 김씨(元順淑妃 金氏, ? ~ 1055년 음력 12월 이전)는 고려의 제8대 왕 현종의 제8비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원순숙비 · 더보기 »

원혜왕후

원혜태후 김씨(元惠太后 金氏, ? ~ 1022년 음력 6월 30일)는 고려 현종의 제4비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원혜왕후 · 더보기 »

원성왕후

원성왕태후 김씨(元成王太后 金氏, ? ~ 1028년 8월 15일(음력 7월 22일))는 고려의 제8대 왕 현종의 제3비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원성왕후 · 더보기 »

원신궁주

원신궁주(元信宮主,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후궁으로 제13대 왕 선종의 제3비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원신궁주 · 더보기 »

훈요십조

훈요 십조(訓要十條)는 《고려사》에 수록된, 고려 태조가 후손에게 남겼다는 열 가지 가르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훈요십조 · 더보기 »

황보영

황보 영(皇甫穎, ? ~ 1047년 10월 24일)은 고려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황보영 · 더보기 »

황태후

황태후(皇太后)는 전 황제의 정실 배우자이며, 현 황제의 어머니뻘 되는 황실 여성에게 붙이는 칭호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황태후 · 더보기 »

외명부

외명부(外命婦)는 황·왕실의 여성이나 공신의 어머니 혹은 처, 그리고 문무대신의 어머니 혹은 처로서 봉호(封號)된 여성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외명부 · 더보기 »

외척

외척(外戚)은 어머니 쪽의 친척을 이르는 말로 동양에서는 역사적으로 왕후, 황후 혹은 후궁의 친정사람들을 이르는 말로 쓰였.

새로운!!: 고려 문종와 외척 · 더보기 »

화순궁주

화순궁주(和順宮主,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화순궁주 · 더보기 »

화엄사

화엄사(華嚴寺)는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에 위치한 사찰로 대한불교 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화엄사 · 더보기 »

왕경

왕경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고려 문종와 왕경 · 더보기 »

왕경 (1117년)

안평공 왕경(安平公 王璥, 1117년 ~ 1177년)은 고려 초기의 왕족으로 문종의 증손자이며 조선공 왕도의 손자이며, 숙종의 외손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왕경 (1117년) · 더보기 »

왕진 (고려)

왕진(王璡, ? - 1072년)은 고려 중기의 왕족으로, 현종 순의 손자이며 정간왕에 추증된 왕기(王基)의 장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왕진 (고려) · 더보기 »

왕휘

왕휘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고려 문종와 왕휘 · 더보기 »

왕태후

왕태후(王太后)는 독립국 국왕의 친모를 일컫는 칭호였.

새로운!!: 고려 문종와 왕태후 · 더보기 »

왕수 (동음이의)

왕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고려 문종와 왕수 (동음이의) · 더보기 »

왕영 (낙랑공)

낙랑공 왕영(樂浪公 王瑛, 1043년~1112년)은 고려 전기의 왕족으로 현종의 손자이자 정간왕의 차남이.

새로운!!: 고려 문종와 왕영 (낙랑공) · 더보기 »

왕원

왕원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고려 문종와 왕원 · 더보기 »

101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19년 · 더보기 »

104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47년 · 더보기 »

104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48년 · 더보기 »

104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49년 · 더보기 »

105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50년 · 더보기 »

105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51년 · 더보기 »

105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52년 · 더보기 »

105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53년 · 더보기 »

105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54년 · 더보기 »

105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55년 · 더보기 »

105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56년 · 더보기 »

105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57년 · 더보기 »

105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58년 · 더보기 »

105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59년 · 더보기 »

106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60년 · 더보기 »

106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61년 · 더보기 »

106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62년 · 더보기 »

106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63년 · 더보기 »

106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64년 · 더보기 »

106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65년 · 더보기 »

106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66년 · 더보기 »

106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67년 · 더보기 »

106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68년 · 더보기 »

106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69년 · 더보기 »

107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70년 · 더보기 »

107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71년 · 더보기 »

107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72년 · 더보기 »

107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73년 · 더보기 »

107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74년 · 더보기 »

107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75년 · 더보기 »

107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76년 · 더보기 »

107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77년 · 더보기 »

107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78년 · 더보기 »

107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79년 · 더보기 »

108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80년 · 더보기 »

108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81년 · 더보기 »

108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82년 · 더보기 »

108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문종와 1083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고려 낙랑군, 인효대왕.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