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고려 태조

색인 고려 태조

조(高麗 太祖, 877년 1월 31일 (음력 1월 14일)《고려사절요》 제1권 태조 신성대왕〈고려사절요/제1권/태조 신성대왕〉"신라 헌강왕(憲康王) 3년 정유(877) 정월 14일 병술에 태조를 송악 남쪽 사제(私第)에서 낳으니" ~ 943년 7월 4일 (음력 5월 29일))는 후삼국 시대(後三國 時代) 후고구려(後高句麗)의 장군(將軍)이자 고려(高麗)의 초대 황제(재위:918년 7월 25일~943년 7월 4일)이.

700 처지: CNTV, 능창, 능환, 덴주, 돌산군, 도곡면, 도참, 도선, 도안면, 도암면 (화순군), 독도의 역사, 동구 (광주광역시), 동국통감, 동촌동 (대구), 동양원부인, 동산원부인, 동학사, 동화사, 류 (성씨), 류공권, 말티고개, 만월대, 마 (성씨), 마로현, 마난, 마의태자, 마전군, 면천 복씨, 목포의 역사, 목포시, 목천 돈씨, 목천 우씨, 목천 장씨, 목천 상씨, 몽량원부인, 몽탄면, 명봉사, 명의왕후, 무속신앙, 무송 유씨, 문덕왕후, 문막읍, 문명 IV: 워로드, 문배주, 문공왕후, 문혜왕후, 문성왕, 문성왕후, 문원대왕, 묘법, ..., 묘호, 미륵산 (경상남도), 배 (성씨), 배방읍, 배현경, 백탁, 발갱이들소리, 개부의동삼사, 개성 왕씨, 개성특급시, 개성역사유적지구, 발해, 발해고, 발해의 역대 국왕, 반포면, 반야월역, 박 (성씨), 강동동 (울산), 강릉 김씨, 강릉 최씨, 강릉 성씨, 강릉 함씨, 강릉 왕씨, 강릉시, 강보육, 박욱, 강정구 (1945년), 강조, 강지연, 강충, 강윤성, 박술희, 박수문, 박수경, 강씨 (후고구려), 강선힐, 강서구 (부산광역시), 강화군, 강화군의 행정 구역, 밀양시, 건릉, 건봉사, 격구, 견권, 견훤, 벽란도, 경명왕, 경기도, 경기도의 성 목록, 경장태자, 경주 배씨, 경주 김씨, 경주시, 경춘원군, 경상도, 경순왕, 벽성군, 경애왕, 경화궁부인, 법등군, 법안종, 고 (성씨), 고려, 고려 경종, 고려 광종, 고려 대종, 고려 국조, 고려 의조, 고려 정종 (3대), 고려 태조, 고려 혜종, 고려 예종, 고려 현종, 고려 성종, 고려 세조, 고려 안종, 고려-거란 전쟁, 고려의 문화, 고려의 건국 신화, 고려의 북진 정책, 고려의 불교, 고려의 교육, 고려의 음악, 고려의 역대 국왕, 고려의 역대 왕후, 고려의 역사, 고려의 토지제도, 고려사, 고려사절요, 고려실록, 고려왕릉, 고령가야, 고명대신, 고부군, 고구려, 고운사, 고창 전투, 고창 상원사 대웅전, 고언랑, 고암면, 곤명면, 보덕왕, 보양, 본관, 과거제, 과천군, 과천시, 과천시의 행정 구역, 복 (성씨), 복녕궁주, 공주시, 복지겸, 공산 동수 전투, 공성현, 공신, 계남면, 광교산, 광교신도시, 광주 이씨, 광주 지씨, 광주광역시, 광주군 (경기도), 광주원부인, 광주원군, 광양군, 봉덕동, 봉림산문, 봉사십조, 봉암사, 관찰사, 관서 지방, 북벌, 북구 (부산광역시), 궁예, 궁예도성, 권지고려국사, 불로봉무동, 분사 제도, 부평군, 부채, 부천시, 부여군, 귀주 대첩, 긍양, 금관가야, 금사면, 비로사 (영주시), 빛나거나 미치거나 (드라마), 김 (성씨), 김갑수 (배우), 김경응 (배우), 김경손 (고려), 김경애 (배우), 김부식, 김정희, 김행 (동음이의), 김행파, 김해 김씨, 김약선, 김한충, 대도수, 대령궁주, 대목왕후, 대명궁부인, 대명주원부인, 대방공, 대광현, 대구광역시, 대군, 대인선, 대종, 대서원부인,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대원공, 교하 노씨, 구미시, 구진 (고려), 구산문, 구성동 (용인시), 국 (성씨), 국대부인, 국대부인 견씨, 국자감 (고려), 국조, 군 (작위), 군벌, 두품, 남경읍, 남북국 시대, 남한산성면, 남원군, 남원시, 낭주 최씨, 나주 김씨, 나주 자미산성, 나주 오씨, 나주 연씨, 낙랑공주 (동음이의), 낙랑공주 (고려), 농소동 (울산), 논산 개태사지, 논산시, 단촌면,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 당 숙종, 당악 김씨, 효덕태자, 효목태자, 효명태자, 효은태자, 효제태자, 효지태자, 효성태자, 효화태자, 용 (성씨), 용검, 용궁 곡씨, 용의 눈물, 우 (성씨), 우산국, 운문사, 운봉군, 울릉군, 울진군, 울산 박씨, 울산 김씨, 울산 오씨, 울산광역시, 울산광역시의 역사, 승과, 자리군, 장 (성씨), 장화왕후, 편년통록, 임존성, 임휴사, 평 (성씨), 평산 박씨, 평산 유씨, 평산 신씨, 흥덕 장씨, 흥방궁주, 흥복원부인, 흥수궁주, 흥화궁군, 이 (성씨), 이벌찬, 이계인, 이금서, 이자연 (고려), 이흔암, 이주좌, 이천 서씨, 이천시, 이총언, 이엄 (고려), 인천광역시의 역사, 인애군, 일리천 전투, 일산동구, 음력 1월 14일, 음력 5월 29일, 음악사 연표, 의창, 의성 김씨, 의성 홍씨, 의성부원부인, 의성부원대군, 의성군, 의성읍, 의신면, 의화왕후, 은부, 제국의 아침, 제주 고씨, 제주특별자치도, 제안공 (왕서), 전 견훤묘, 전라도, 전의 이씨, 전주 견씨, 정덕왕후, 정도전 (드라마), 정릉, 정릉 (신성왕후), 정목부인, 정개 (태봉), 정읍 천곡사지 칠층석탑, 정주 류씨, 정안국, 정화왕후, 조명남 (성우), 조민기, 조이군, 조선 태조, 조선의 사회제도, 족하, 종간, 죽방부인, 죽산 박씨, 증평읍, 증통국사, 직지사, 진 (성씨), 진평왕, 진주 형씨, 지장보살, 지훤, 차 (성씨), 차전놀이, 창릉, 창릉 (고려), 창녕읍, 철원군의 도로 목록, 청도면,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 청주 고씨, 청주 한씨, 청주남원부인, 청주원부인, 청풍면 (화순군), 청안군, 청원군, 천년의 신화, 천녕 견씨, 천추전부인, 천추태후 (드라마), 천상열차분야지도, 천태종, 천수, 천수 (고려), 천안도독부, 천안부원부인, 천안시, 초계면, 충담, 충주 평씨, 충주 유씨, 춘천시, 취민유도, 칠북면, 칠대실록, 칠원읍, 친정, 치호, 콩나물, 유 (성씨), 유긍달, 유금필, 유재량, 유진 (고려), 유차달, 윤 (성씨), 윤관, 율촌면, 패엽사, 파평 윤씨, 파주 염씨, 팔공산, 팔관회, 팔선, 위숙왕후, 상 (성씨), 상갈동, 상귀, 상달, 상애, 탐라, 태 (성씨), 태봉, 태장동 (원주시), 태평 (고려), 태인 허씨, 태조, 태조 왕건 (동음이의), 태조 왕건 (드라마), 태조 왕건 (영화), 태조산, 태종무열왕, 태화강, 태왕태후, 탄문, 순천 박씨, 순천시 (전라남도), 순천시 (전라남도)의 행정 구역, 순안왕대비, 수릉, 수릉 (신정왕후), 수명태자, 수미산문, 수안 이씨, 수원군, 숙목부인, 영광군 (전라남도), 영남 지방, 영평 마씨, 영흥 최씨, 영천시, 영천시의 행정 구역, 영현면, 오현철, 호경, 혜거, 예방 (고려), 예안면, 예화부인, 현릉, 현릉 (고려 태조), 최 (성씨), 최승로, 최승우, 최응, 최지몽, 최수종, 최언위, 어진, 언양 김씨, 양검, 양근 함씨, 양근군,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양주군, 양주시, 양천 허씨, 양산시, 양산시의 행정 구역, 여양 진씨, 여엄, 역분전, 역사 연표,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연 (성씨), 연등회, 연주 (고려), 연안 차씨, 염 (성씨), 염상 (고려), 염신약, 헌목대부인, 헌의왕후, 헌정왕후, 헌숙왕후, 헌애왕후, 허 (성씨), 허가바위, 허월, 풍기군, 풍수, 풍양 조씨, 사찬 (관직), 사천시, 사소부인 (신라), 사심관, 삼국 및 고려 시대의 과학기술, 삼국 시대, 삼국 시대의 문학, 삼척 김씨, 삼사 (행정기관), 삼화사, 선도성모 설화, 선의왕후 (고려), 선정왕후 (목종), 선산 김씨, 성목장공주, 성무부인, 성거산, 성낙만, 성주군, 성산구, 성안동 (울산), 세조, 서 (성씨), 서경 (고려),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의 역사, 서포면, 서전원부인, 서필, 속리산, 송정동 (울산), 소가야, 소광주원부인, 소율희, 소서원부인, 소안도, 소황주원부인, 통일신라, 통의후, 통진군, 함평 이씨, 함창군, 함안 조씨, 합천 이씨, 해량원부인, 해인사, 해주 오씨, 해주 최씨, 해주 왕씨, 해주시, 해안역, 한 (성씨), 한반도, 한국, 한국 불교의 역사, 한국의 도교 사상, 한국의 반란 목록, 한국의 불교 사상, 한국의 종교, 한국의 유교, 한국의 수도, 한국의 역사, 한국의 연극, 한국의 연호, 한국의 성씨와 이름, 한천면, 한산주, 안 (성씨), 안동 권씨, 안동 장씨, 안동시, 안동시의 역사, 안수궁주, 안심동, 안심역, 하림궁, 하북면, 하회마을, 하음 봉씨, 하서주, 아자개, 아지태, 아시아의 역사, 신 (성씨), 신 안동 김씨, 신덕왕후, 신라, 신라의 역대 왕비, 신립, 신명순성왕후, 신강 (고려), 신검, 신정왕후, 신정왕후 (고려), 신주원부인, 신천 강씨, 신숭겸, 신혜왕후, 신사임당, 신성왕후, 신안 주씨, 시무 28조, 시흥시, 시중, 시중 (신라의 관직), 원공국사, 원균, 원비디, 원녕태자, 원용왕후, 원장태자,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원주역, 원준량, 원창왕후, 훈요십조, 월경지, 월경원부인, 월화원부인, 후백제, 후광주원부인, 후삼국 시대, 후삼국 시대 인물 목록, 홍 (성씨), 홍주 홍씨, 홍유, 황보 (성씨), 황보제공, 황제, 황주 황보씨, 황주량, 황태후, 황산 전투 (936년), 외왕내제, 환곡, 환선길, 화정면 (여수시), 화순읍, 화엄사, 왕 (한국 성씨), 왕망, 왕건 (동음이의), 왕건반정, 왕경, 왕규 (1142년), 왕규 (함규), 왕규의 난, 왕국모 (고려의 무신), 왕국모 (고려의 문신), 왕욱, 왕자지, 왕평달, 왕흥, 왕희순 (고려), 왕의, 왕직, 왕충 (1078년), 왕충 (고려 초기), 왕융, 왕위군, 왕태, 왕태후, 왕순식, 왕예 (고려), 왕식렴, 왕신, 왕원, KBS 연기대상, 10세기, 1월 31일, 7월 4일, 877년, 918년, 919년, 920년, 921년, 922년, 923년, 924년, 925년, 926년, 927년, 928년, 929년, 930년, 931년, 932년, 933년, 934년, 935년, 936년, 937년, 938년, 939년, 940년, 941년, 942년, 943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650 더) »

CNTV

CNTV는 대한민국의 (주)씨엔티브이(구. 씨엔엔터테인먼트)가 운영하는 사극 전문 유료방송 채널로 2002년 10월에 개국하였으며 당초 케이블 영화채널이었으나 OCN에 밀려 고전을 면치 못하자 2003년 10월 시리즈 무비 전문 채널로 탈바꿈했고 2009년 8월 역사극 전문채널로 변경.

새로운!!: 고려 태조와 CNTV · 더보기 »

능창

능창(能昌, ? ~ 910)은 후삼국시대(9後三國時代)의 서남해안(西南海安)을 장악했던 해상(海上)세력의 수장(水葬)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능창 · 더보기 »

능환

능환(能奐, ? ~ 936년 9월)은 후백제(後百濟)의 무관(武官), 정치가(政治家), 역신(逆臣)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능환 · 더보기 »

덴주

주()는, 일본 남북조 시대의 연호(元号) 중 하나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덴주 · 더보기 »

돌산군

산군(突山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남동부에 있었던 옛 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돌산군 · 더보기 »

도곡면

곡면(道谷面)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화순군 남부에 위치한 면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도곡면 · 더보기 »

도참

(圖讖) 또는 참위(讖緯)는 내용형식에 관계 없이 미래에 일어날 일에 대한 예언 혹은 징조를 통칭하는 낱말로, 특히 인간 생활의 길흉화복 또는 성쇠득실(盛衰得失)에 대한 예언 혹은 징조를 가리키는 낱말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도참 · 더보기 »

도선

순천 선암사 선각국사 도선 진영 도선(道詵, 827~898, 전라남도 영암 출생)은 신라 말기의 승려이며 풍수설의 대가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도선 · 더보기 »

도안면

안면(道安面)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증평군의 유일한 면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도안면 · 더보기 »

도암면 (화순군)

암면(道岩面)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화순군 남부에 위치한 면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도암면 (화순군) · 더보기 »

독도의 역사

이 문서에서는 독도의 역사에.

새로운!!: 고려 태조와 독도의 역사 · 더보기 »

동구 (광주광역시)

동구(東區)는 광주광역시의 구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동구 (광주광역시) · 더보기 »

동국통감

동국통감(東國通鑑)은 단군조선에서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편년체로 기록한 사서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동국통감 · 더보기 »

동촌동 (대구)

동촌동(東村洞)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동촌동 (대구) · 더보기 »

동양원부인

동양원부인 유씨(東陽院夫人 庾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초대 왕 태조 왕건의 제9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동양원부인 · 더보기 »

동산원부인

동산원부인 박씨(東山院夫人 朴氏)는 후삼국시대(後三國時代) 후백제(後百濟)의 왕족(王族)으로, 태조(太祖)의 제17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동산원부인 · 더보기 »

동학사

동학사동학사(東鶴寺)는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동학사 · 더보기 »

동화사

동화사(桐華寺)는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에 있는 절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동화사 · 더보기 »

류 (성씨)

(柳, 劉)씨는 동아시아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류 (성씨) · 더보기 »

류공권

공권(柳公權, 1132년 ~ 1196년)은 고려의 문신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류공권 · 더보기 »

말티고개

말티고개 또는 말티재는 충청북도 보은군 장안면 속리산의 언덕으로 충북 보은군 장안면 장재리 산5-12번지에 해당.

새로운!!: 고려 태조와 말티고개 · 더보기 »

만월대

만월대(滿月臺)는 고려의 정궁터로 개성시 송악동 송악산 남쪽 기슭에 있. 만월대는 919년(고려 태조 2년)에 창건되었.

새로운!!: 고려 태조와 만월대 · 더보기 »

마 (성씨)

마(馬, 麻)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마 (성씨) · 더보기 »

마로현

마로현(馬老縣)은 전라남도 광양시 일대의 백제시대 지명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마로현 · 더보기 »

마난

마난(麻煖)은 고려의 장군이며, 고려 개국공신(開國功臣)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마난 · 더보기 »

마의태자

마의태자(麻衣太子, 912년? ~ ?)는 신라 하대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마의태자 · 더보기 »

마전군

마전군(麻田郡)은 지금의 연천군 미산면 마전리를 중심으로 연천군의 미산면과 왕징면, 백학면에 있었던 경기도의 옛 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마전군 · 더보기 »

면천 복씨

면천 복씨(沔川卜氏)는 충청남도 당진시 면천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면천 복씨 · 더보기 »

목포의 역사

선사 시대에 동검이 시 부근에서 출토된 점을 볼 때, 선사시대인들이 살았다고 추정하고 있. 백제 때 물아혜군으로 불렸다가, 신라 때 무안군으로 개칭되었.

새로운!!: 고려 태조와 목포의 역사 · 더보기 »

목포시

목포시청 청사 목포시(木浦市)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서남부 무안반도 남단에 있는 시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목포시 · 더보기 »

목천 돈씨

목천 돈씨(木川 頓氏)는 을지문덕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목천 돈씨 · 더보기 »

목천 우씨

목천 우씨(木川 于氏)는 충청남도 천안시 목천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목천 우씨 · 더보기 »

목천 장씨

목천 장씨(木川 張氏)는 충청남도 천안시 목천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목천 장씨 · 더보기 »

목천 상씨

목천 상씨(木川 尙氏)는 충청남도 천안시 목천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목천 상씨 · 더보기 »

몽량원부인

몽량원부인 박씨(夢良院夫人 朴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초대 왕 태조 왕건의 제28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몽량원부인 · 더보기 »

몽탄면

몽탄면(夢灘面)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무안군에 위치한 면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몽탄면 · 더보기 »

명봉사

명봉사(鳴鳳寺)는 경상북도 예천군 효자면의 소백산 자락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명봉사 · 더보기 »

명의왕후

명의왕태후 유씨(明懿王太后 柳氏, ? ~ 1112년 음력 7월 14일)는 고려의 제15대 왕 숙종의 왕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명의왕후 · 더보기 »

무속신앙

무속신앙(巫俗信仰), 또는 간단히 무속(巫俗), 무(巫)는 한국의 전통적인 샤머니즘(Shamanism) 즉, 무당으로 불리는 중재자가 신령과 인간을 중재하는 종교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무속신앙 · 더보기 »

무송 유씨

무송 유씨(茂松 庾氏)는 전라북도 고창군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무송 유씨 · 더보기 »

문덕왕후

문덕왕후 유씨(文德王后 劉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문덕왕후 · 더보기 »

문막읍

문막읍(文幕邑)은 강원도 원주시의 행정구역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문막읍 · 더보기 »

문명 IV: 워로드

문명 IV:워로드(Civilization IV:Warlords)는 2006년 파이락시스 게임즈가 출시한 문명 IV의 첫 번째 확장팩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문명 IV: 워로드 · 더보기 »

문배주

문배주 또는 문배술은 한국의 전통 술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문배주 · 더보기 »

문공왕후

문공왕후 박씨(文恭王后 朴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제3대 왕 정종의 왕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문공왕후 · 더보기 »

문혜왕후

문혜왕후 유씨(文惠王后 柳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추존왕인 문원대왕의 왕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문혜왕후 · 더보기 »

문성왕

문성왕(文聖王, ? ~ 857년, 재위:839년 ~ 857년)은 신라의 제46대 왕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문성왕 · 더보기 »

문성왕후

문성왕후 박씨(文成王后 朴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제3대 왕 정종의 제2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문성왕후 · 더보기 »

문원대왕

문원대왕(文元大王)은 고려(高麗)의 태자(太子)이자 태조(太祖)와 신명순성왕후(神明順成王后)의 소생 성은 왕(王) 이름은 정(貞) 본관 개성(開城).

새로운!!: 고려 태조와 문원대왕 · 더보기 »

묘법

묘법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고려 태조와 묘법 · 더보기 »

묘호

묘호(廟號)는 중국, 한국, 베트남 등 동양의 봉건 왕조 국가에서 황제 또는 국왕과 같은 군주에게만 붙인 칭호로 군주가 승하한 뒤 태묘(太廟, 또는 종묘)에서 군주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되었.

새로운!!: 고려 태조와 묘호 · 더보기 »

미륵산 (경상남도)

미륵산(彌勒山)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통영시 봉평동에 있는 해발 461m의 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미륵산 (경상남도) · 더보기 »

배 (성씨)

배(裵)씨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배 (성씨) · 더보기 »

배방읍

배방읍(排芳邑)은 충청남도 아산시의 동남부에 위치한 읍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배방읍 · 더보기 »

배현경

배현경(裵玄慶)은 고려 개국공신 중 한 명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배현경 · 더보기 »

백탁

백탁(白卓, ? ~ ?)은 후고구려(태봉)와 고려 초의 문인.학자이자 문신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백탁 · 더보기 »

발갱이들소리

발갱이들소리는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과 지산동에 전해지는 논매기소리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발갱이들소리 · 더보기 »

개부의동삼사

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는, 고대 중국의 관직의 이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개부의동삼사 · 더보기 »

개성 왕씨

성 왕씨(開城 王氏)는 황해북도 개성특급시를 관향으로 삼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개성 왕씨 · 더보기 »

개성특급시

성특급시(開城特級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의 남부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개성특급시 · 더보기 »

개성역사유적지구

성 역사유적 지구(開城歷史遺蹟地區)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있는 개성 일대에 집중된 고려 시대 유적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개성역사유적지구 · 더보기 »

발해

발해(渤海, 698년 ~ 926년)는 고구려 멸망 이후 고구려를 계승하여 대조영이 건국한 국가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발해 · 더보기 »

발해고

《발해고》(渤海考)는 조선 정조 8년(1784년)에 규장각검서로 일하던 실학자 류득공유득공(柳得恭)은 '유득공'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발해고 · 더보기 »

발해의 역대 국왕

아래는 발해(渤海)를 통치한 국왕들의 목록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발해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반포면

반포면(反浦面)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공주시의 면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반포면 · 더보기 »

반야월역

반야월역(半夜月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구 안심로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반야월역 · 더보기 »

박 (성씨)

외 박(朴)씨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박 (성씨) · 더보기 »

강동동 (울산)

강동동(江東洞)은 울산광역시 북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강동동 (울산) · 더보기 »

강릉 김씨

강릉 김씨(江陵 金氏)는 강원도 강릉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강릉 김씨 · 더보기 »

강릉 최씨

강릉 최씨(江陵 崔氏)는 강원도 강릉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강릉 최씨 · 더보기 »

강릉 성씨

강릉 성씨(江陵 成氏)는 강원도 강릉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강릉 성씨 · 더보기 »

강릉 함씨

강릉 함씨(江陵 咸氏)는 강원도 강릉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강릉 함씨 · 더보기 »

강릉 왕씨

강릉 왕씨(江陵王氏)는 고려 시대 한국의 성씨 중 하나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강릉 왕씨 · 더보기 »

강릉시

강릉시의 로고 강릉시(江陵市)는 대한민국 강원도 동해안 중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강릉시 · 더보기 »

강보육

강보육(康寶育)은 신라(新羅) 말기의 송악(松岳)지역의 승려, 호족으로, 고려(高麗) 태조 왕건(太祖 王建)의 증외고조부이며, 왕건(王建)의 증조모 정화왕후(貞和王后)의 친정아버지였.

새로운!!: 고려 태조와 강보육 · 더보기 »

박욱

박욱(朴郁)은 고려 초기의 인물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박욱 · 더보기 »

강정구 (1945년)

강정구(姜禎求, 1945년 3월 18일 ~, 경상남도 창녕군 출생)는 대한민국의 사회학자, 통일운동가이며 동국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를 역임하였.

새로운!!: 고려 태조와 강정구 (1945년) · 더보기 »

강조

강조(康兆, 964년 ~ 1010년 12월 31일(음력 11월 24일))는 고려 시대의 무장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강조 · 더보기 »

강지연

강지연(康之淵)은 고려시대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강지연 · 더보기 »

강충

강충(康忠)은 신라시대 말기의 문신, 호족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강충 · 더보기 »

강윤성

강윤성(康允成, ? - 1358년 12월)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강윤성 · 더보기 »

박술희

박술희(朴述熙 또는 朴述希, ? ~945년 10월 24일(음력 9월 16일))는 신라(新羅) 말기와 후삼국시대(後三國時代, 사람이며, 고려(高麗) 초기의 무신(武神)이다. 태조(太祖)의 측근 중의 한 사람이다. 면천 박씨(沔川朴氏)의 시조로 고려高麗) 전기의 무신(武神)이자, 개국공신으로 시호는 엄의(嚴毅)이다. 대승(大丞) 득의(得宜)의 아들이다. 눌지 마립간(訥祗 麻立干)시대의 문신 박제상(朴堤上)과 백결 선생(百結 先生)의 후손이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박술희 · 더보기 »

박수문

박수문 (朴守文) 고려의 전기 공신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박수문 · 더보기 »

박수경

박수경(朴守卿, ? ~ 964년)은 고려 초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평주(平州)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박수경 · 더보기 »

강씨 (후고구려)

강씨(康氏, ? ~915년)는 신라(新羅)말 후삼국 시대(後三國時代) 후고구려(後高句麗) 사람으로, 후고구려(後高句麗)(태봉국)의 왕비(王妃)였.

새로운!!: 고려 태조와 강씨 (후고구려) · 더보기 »

강선힐

강선힐(康瑄詰)은 후고구려(高句麗) 태봉(泰封)의 장군이며 조선공(造船工)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강선힐 · 더보기 »

강서구 (부산광역시)

강서구(江西區)는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서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강서구 (부산광역시) · 더보기 »

강화군

강화군(江華郡)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서북부의 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강화군 · 더보기 »

강화군의 행정 구역

강화군의 행정구역은 1읍 12면 185개 리로 되어 있. 강화군의 면적은 인천광역시 전체 면적의 약 40%에 해당하는 411.3km2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강화군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밀양시

밀양시(密陽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동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밀양시 · 더보기 »

건릉

릉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고려 태조와 건릉 · 더보기 »

건봉사

봉사(乾鳳寺)는 강원도 고성군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건봉사 · 더보기 »

격구

격구(擊毬)는 전통 공놀이로서 통상적으로 편을 갈라 나무 채나 막대기 등을 이용해 달걀 크기 정도의 공을 쳐서 일정한 거리에 있는 구문(毬門)에 공을 넣어 경기장 밖으로 나가게 하거나, 구멍에 넣는 공놀이들을 가리.

새로운!!: 고려 태조와 격구 · 더보기 »

견권

(堅權)은 후삼국 시대 무장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견권 · 더보기 »

견훤

훤(甄萱, 867년~936년 9월 27일(음력 9월 9일) 재위:892년/900년~935년 음력 3월)은 후백제를 건국한 후백제의 시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견훤 · 더보기 »

벽란도

벽란도(碧瀾渡)는 고려 시대에 외국의 사신과 상인들이 빈번하게 왕래하던 나루(渡)로, 예성강 하구에 위치한 고려의 국제 무역항이었.

새로운!!: 고려 태조와 벽란도 · 더보기 »

경명왕

경명왕(景明王, ? ~ 924년, 재위: 917년 ~ 924년)은 신라의 제54대 왕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경명왕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경기도 · 더보기 »

경기도의 성 목록

음은 경기도에 있는 성들의 목록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경기도의 성 목록 · 더보기 »

경장태자

경장태자(敬章太子,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경장태자 · 더보기 »

경주 배씨

경주 배씨(慶州 裵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경주 배씨 · 더보기 »

경주 김씨

경주 김씨(慶州 金氏)는 경상북도 경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경주 김씨 · 더보기 »

경주시

경주시(慶州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경주시 · 더보기 »

경춘원군

경춘원군(慶春院君, ? ~ 960년 이후)은 고려(高麗)의 태자(太子)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경춘원군 · 더보기 »

경상도

경상도 경상도(慶尙道)는 경상남도, 경상북도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영남 지방(嶺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고려 태조와 경상도 · 더보기 »

경순왕

경순왕(敬順王. ? ~ 978년)은 신라의 제56대 군주(재위: 927년 ~ 935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경순왕 · 더보기 »

벽성군

벽성군(碧城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벽성군 · 더보기 »

경애왕

경애왕(景哀王, ? ~927년, 재위:924년~927년)은 신라의 제55대 왕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경애왕 · 더보기 »

경화궁부인

경화궁부인 임씨(慶和宮夫人 林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 혜종의 딸이자 광종의 제2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경화궁부인 · 더보기 »

법등군

법등군(法登君, 생몰년 미상)은 고려의 왕자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법등군 · 더보기 »

법안종

법안종은 선종오가의 한 종파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법안종 · 더보기 »

고 (성씨)

(高)씨는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 (성씨)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려 · 더보기 »

고려 경종

경종(景宗, 955년 11월 9일 (음력 윤 9월 22일) ~ 981년 8월 13일 (음력 7월 11일))은 고려 제5대 국왕(재위: 975년 ~ 981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려 경종 · 더보기 »

고려 광종

광종(光宗, 925년~975년 7월 4일 (음력 5월 23일)은 고려 제4대 황제(재위: 949년~975년)이다. 휘는 소(昭), 자는 일화(日華), 묘호는 광종, 시호는 홍도선열평세숙헌의효강혜대성황제(弘道宣烈平世肅憲懿孝康惠大成皇帝)이다. 태조의 넷째 아들, 신명순성왕후의 셋째 아들로서 요절한 왕태, 정종의 동생이다. 비는 대목왕후 황보씨(皇甫氏)로 태조와 신정왕후의 딸로 이복누이이며, 후궁인 경화궁부인 임씨(慶和宮夫人)는 배다른 형 혜종의 딸이다. 949년 3월 동복 형 정종의 선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중국의 연호를 사용하지 않고 949년 광덕(光德), 960년 준풍(峻豊) 등의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고, 중국 후주로부터 과거제도를 받아들여 처음 과거를 실시하였다. 노비안검법으로 부당하게 노비가 된 양민들을 석방하였고, 민생안정과 백성구휼에 힘을 썼다. 그러나 960년 평농서사(評農書史) 권신Daum 지식 http://durl.kr/5fyrth 이 대상(大相) 준홍(俊弘) 등의 역모를 고변한 이후 이를 빌미로 호족들을 대량으로 숙청하였고, 이복형 혜종의 아들 흥화궁군, 동복형 정종의 아들 경춘원군, 태조의 서자인 이복동생 효은태자 등을 처형하였고 자신의 장남인 태자 주(胄) 역시 의심하였다. 과거 시험으로 선발된 관료들과 후주에서 귀화한 관료들을 통해 호족 세력을 견제하고 왕권을 강화하는 한편 관복 제도를 새로 제정하여 조정의 기강을 바로 잡았다. 불교 장려에도 관심을 갖고 사찰의 중건과 중수를 지원하였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려 광종 · 더보기 »

고려 대종

종(戴宗, ? ~ 969년 11월)은 고려(高麗)의 태자(太子)이자 추존왕(追尊王)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려 대종 · 더보기 »

고려 국조

국조 원덕대왕(國祖 元德大王)은 고려 태조의 증조부이자 의조의 아버지, 세조의 할아버지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려 국조 · 더보기 »

고려 의조

의조(懿祖, 생몰년 미상)는 신라 말기 인물로, 고려의 추존왕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려 의조 · 더보기 »

고려 정종 (3대)

정종(定宗, 923년~949년 4월 13일(음력 3월 13일)은 고려 제3대 황제(재위: 945년 10월 23일~949년 4월 13일)이다. 휘는 요(堯), 자는 의천(義天), 묘호는 정종(定宗), 시호는 지덕장경정숙영인경간장원문명대왕(至德章敬正肅令仁簡敬莊元文明大王)이다. 정종은 태조 왕건과 신명순성왕태후(神明順成王太后) 사이의 아들이며, 비(妃)는 문공왕후(文恭王后) 박씨(朴氏)와 문성왕후(文成王后) 박씨로 박영규와 견훤의 딸인 국대부인 견씨 사이의 딸들이다. 왕식렴의 도움으로 박술희를 제거하고 왕규의 난을 진압한 뒤에 신하들의 추대로 즉위하였으나, 정통성 문제로 집권기반이 취약하였다. 서경으로의 천도를 계획하였으나 성사시키지 못하였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려 정종 (3대) · 더보기 »

고려 태조

조(高麗 太祖, 877년 1월 31일 (음력 1월 14일)《고려사절요》 제1권 태조 신성대왕〈고려사절요/제1권/태조 신성대왕〉"신라 헌강왕(憲康王) 3년 정유(877) 정월 14일 병술에 태조를 송악 남쪽 사제(私第)에서 낳으니" ~ 943년 7월 4일 (음력 5월 29일))는 후삼국 시대(後三國 時代) 후고구려(後高句麗)의 장군(將軍)이자 고려(高麗)의 초대 황제(재위:918년 7월 25일~943년 7월 4일)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려 태조 · 더보기 »

고려 혜종

혜종(惠宗, 912년~945년 10월 23일 (음력 9월 15일))은 고려(高麗) 제2대 군주(재위:943년~945년)이다. 자(字)는 승건(承乾), 휘(暉)는 무(武), 묘호(廟號)는 혜종(惠宗), 시호(諡號)는 인덕명효선현고평경헌의공대왕(仁德明孝宣顯高平景憲義恭大王)이다. 왕건(王建)의 맏아들이다. 어머니는 오다련(吳多憐)의 딸 장화왕후(莊和王后) 오씨(吳氏)이며, 비(妃)는 대광(大匡) 임희(林曦)의 딸인 의화왕후(義和王后)이다. 외가의 가세가 미약하여 지위의 위협을 받게 되자 부왕 태조 왕건(太祖 王建)은 고려(高麗) 건국 직후 그를 바로 정윤(正尹)으로 삼은 뒤에 921년 정식으로 태자에 책봉하였다. 재위 3년만에 사망하였으나 사망원인은 불명확하다. 태조 왕건(太祖 王建)의 적통을 이어받아 왕위에 오른 혜종(惠宗)의 위상은 남다른 바가 있으니 고려사(高麗史) 태묘악장(太廟樂章)에서 혜종(惠宗)은 어느 왕들보다 칭송을 받게 된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려 혜종 · 더보기 »

고려 예종

예종(睿宗, 1079년 2월 11일 (음력 1월 7일) ~ 1122년 5월 15일 (음력 4월 8일), 재위: 1105년 ~ 1122년)은 고려 제16대 국왕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려 예종 · 더보기 »

고려 현종

현종(顯宗, 992년 8월 1일(음력 7월 1일)《고려사》〈세가〉권5 ~ 1031년 6월 17일(음력 5월 25일)은 고려 제8대 국왕(재위: 1009년 ~ 1031년)이다. 휘는 순(詢), 자는 안세(安世), 보위 즉위 이전의 작위는 대량원군이었고, 묘호는 현종, 시호는 대효덕위달사원문대왕(大孝德威達思元文大王)이며 불교 승려 시절 법명은 선재(禪齋)이다. 태조의 아들 안종(安宗)과 헌정왕후 황보씨(皇甫氏)의 아들이다. 안종 왕욱과 경종의 계비 헌정왕후의 사통으로 출생하여 암살 위기를 모면하고 1009년 강조의 정변으로 5촌 조카이자 이종사촌 형인 목종이 폐위되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이후 거란의 두 차례 침입으로 피난을 다녀오기도 했다. 1009년 2월부터 1031년 6월까지 재위하는 동안 1009년 2월부터 이듬해 1010년 11월까지 강조(康兆)가 섭정하였고 1010년 11월부터 1031년 6월 붕어할 때까지 친정하였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려 현종 · 더보기 »

고려 성종

성종(成宗, 961년 1월 15일 (960년 음력 12월 26일) ~ 997년 11월 29일 (음력 10월 27일))은 고려 제6대 국왕(재위: 981년 ~ 997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려 성종 · 더보기 »

고려 세조

세조 왕륭(高麗 世祖 王隆, ? ~ 897년 5월)은 후삼국시대 후고구려의 군인이자 정치인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려 세조 · 더보기 »

고려 안종

안종(安宗, ? ~ 996년 음력 7월 7일(7월 24일))은 고려(高麗)의 태자(太子)이자 추존 국왕(追尊 國王)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려 안종 · 더보기 »

고려-거란 전쟁

-거란 전쟁은 993년, 1010년, 1019년에 고려와 거란의 요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려-거란 전쟁 · 더보기 »

고려의 문화

의 문화는 신라 말기부터 시작되어 고려 전기에 꽃피운 호족 문화, 무신 정권기의 은거한 선비들의 시가 문화, 후기의 성리학적 문화와 원나라의 영향을 받은 문화로 구성되어 있. 한편 고려 전반에 걸쳐 귀족 문화의 성격을 띠었.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려의 문화 · 더보기 »

고려의 건국 신화

의 임금들은 용왕의 외손으로 고려 왕족은 그래서 겨드랑이에 비늘이 있다는 전설이 있. 태조를 비롯하여 태조의 조상들, 작제건, 보육에 대한 전설과 신화가 내려온.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려의 건국 신화 · 더보기 »

고려의 북진 정책

북진 정책(北進政策)은 고려 건국이념의 하나로 고려 시대를 일관(一貫)한 정책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려의 북진 정책 · 더보기 »

고려의 불교

불화 미륵하생경변상도 이 문서는 고려 시대의 불교를 설명.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려의 불교 · 더보기 »

고려의 교육

의 교육은 고려 시대 동안 행해진 교육을 의미하며, 연대적으로는 918년부터 1392년까지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려의 교육 · 더보기 »

고려의 음악

아래는 고려의 음악을 설명한 것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려의 음악 · 더보기 »

고려의 역대 국왕

의 역대 황제는 흔히 조, 종의 묘호로 부르나, 원나라의 내정간섭이 시작된 충렬왕 이후부터는 묘호를 사용하지 못하여 시호를 통칭으로 사용하며, 우왕과 창왕은 성명이 통용.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려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고려의 역대 왕후

의 왕후(高麗의 王后)는 고려 왕조 국왕의 정실 부인(正宮)으로서 왕후의 자리에 있던 사람을 말. 출전은 고려사, 원사이지만 고려사의 기준에 달려 있.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려의 역대 왕후 · 더보기 »

고려의 역사

이 문서는 고려의 역사에 대해서 서술.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려의 역사 · 더보기 »

고려의 토지제도

의 토지제도는 시기에 따라, 신분 또는 공역에 따라, 수조권자 또는 소유권자에 따라 차별을 두고 국가에서 지급하거나 소유권을 인정하였.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려의 토지제도 · 더보기 »

고려사

《고려사》(高麗史)는 조선 초기 1392년부터 1451년까지 59년 동안 조선 태조, 태종, 세종, 문종에 이르기까지 만들고 수정한 고려 시대에 대한 역사서로서, 기전체(紀傳體)로 된 고려 왕조의 정사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려사 · 더보기 »

고려사절요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는 조선 문종(文宗) 때 완성한 고려의 편년사(編年史)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려사절요 · 더보기 »

고려실록

《고려실록》(高麗實錄)은 《고려왕조실록》(高麗王朝實錄)을 지칭하는 것으로 고려왕조에서 편찬한 실록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려실록 · 더보기 »

고려왕릉

왕릉(高麗王陵)은 고려의 역대 국왕과 왕후의 무덤으로 개성, 개풍군, 장풍군,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위.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려왕릉 · 더보기 »

고령가야

령가야(古寧伽倻)는 6가야 중 유일하게 실체가 확인되지 않는 가야 소국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령가야 · 더보기 »

고명대신

명대신(顧命大臣)은 고명지신 이라고도 하며, 황제나 국왕의 임종시 임금의 유언을 받드는 대신으로 나라의 뒷일을 부탁받는 신하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명대신 · 더보기 »

고부군

부군(古阜郡)은 정읍시 고부면, 덕천면, 소성면, 영원면, 이평면, 정우면과 부안군 백산면 일대에 있었던 옛 고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부군 · 더보기 »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구려 · 더보기 »

고운사

운사(孤雲寺)는 경상북도 의성군의 등운산 자락에 위치한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운사 · 더보기 »

고창 전투

창 전투는 930년 신라 고창(현재 안동)에서 고려의 왕건과 후백제의 견훤이 치른 결전으로 927년 공산 동수 전투와 함께 후삼국 시대 중요한 전투로 꼽히며, 왕건이 승리해 후삼국 통일의 기반을 다지고 후백제는 쇠.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창 전투 · 더보기 »

고창 상원사 대웅전

상원사대웅전(上院寺大雄殿)은 전라북도 고창군 상원사에 있는 대웅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창 상원사 대웅전 · 더보기 »

고언랑

언랑(顧彦朗, ? ~ 891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87년부터 891년 사망할 때까지 절도사(節度使)의 신분으로써 동천(東川, 본거지는 지금의 쓰촨 성 몐양 시)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언랑 · 더보기 »

고암면

암면(高岩面)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녕군의 면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고암면 · 더보기 »

곤명면

명면(昆明面)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사천시의 면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곤명면 · 더보기 »

보덕왕

보덕왕(報德王) 또는 보덕국왕(報德國王) 고안승(高安勝, ? ~ 683년 이후, 재위: 670년 ~ 683년) 또는 고안순(高安舜)은 고구려의 유민으로 고구려 부흥운동 지도자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보덕왕 · 더보기 »

보양

보양(寶壤, ?~?)은 신라 말, 고려 초의 승려이며, 지식(智識)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보양 · 더보기 »

본관

본관(本貫)은 시조(始祖)의 관향, 곧 고향을 뜻하며, 본적(本籍), 본(本), 관향(貫鄕)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고려 태조와 본관 · 더보기 »

과거제

북송의 과거 과거(科擧)는 중국과 한국 등에서 시험을 치러서 관리를 뽑는 제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과거제 · 더보기 »

과천군

(果川郡)은 경기도의 옛 행정구역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과천군 · 더보기 »

과천시

시(果川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과천시 · 더보기 »

과천시의 행정 구역

시의 행정 구역은 6개의 동으.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과천시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복 (성씨)

복(卜)씨는 중국 및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복 (성씨) · 더보기 »

복녕궁주

복녕궁주(福寧宮主, 1096년 ~ 1133년)는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복녕궁주 · 더보기 »

공주시

공주시(公州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중앙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공주시 · 더보기 »

복지겸

복지겸(卜智謙)은 고려(高麗)의 개국 공신(開國 公信)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복지겸 · 더보기 »

공산 동수 전투

공산 동수 전투(公山 棟藪 戰鬪)는 후삼국 시대인 927년 신라 공산(公山, 현 팔공산) 동수(棟藪, 현 지묘동)에서 고려의 왕건과 후백제의 견훤이 치른 전투로 견훤이 왕건군을 기습 공격해 대승을 거두었고 이곳에서 신숭겸 등 8명의 장수가 전사해 지명이 공산에서 팔공산으로 바뀌었다는 설화도 있고 반야월 등 대구의 대표 지명들이 이 전투에서 생.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공산 동수 전투 · 더보기 »

공성현

공성현(功城縣)은 지금의 연천군 연천읍을 중심으로 남북국 시대에 있던 옛 행정구역의 명칭으로 지금 연천군의 모체(母體)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공성현 · 더보기 »

공신

공신은 나라에 공이 있는 자에게 군주가 등수를 내려 매기는 작호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공신 · 더보기 »

계남면

면(Gyenam-myeon, 溪南面)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장수군의 면 단위 행정구역 중 하나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계남면 · 더보기 »

광교산

광교산(光敎山)은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와 용인시 수지구에 걸쳐있는 높이 582m의 산으로 백운산(564m), 바라산(428m), 우담산(425m), 청계산(618m)으로 이어주면서 수원과 용인을 아우르는 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광교산 · 더보기 »

광교신도시

광교신도시(光敎新都市, Gwanggyo New Town)는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원천동, 하동과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일원에 11,282천 m² 규모로 조성되고 있으며(관할구역은 수원시가 전체의 88%, 용인시가 나머지 12%를 관할하고 있다) 강남, 분당, 판교를 잇는 경부축 연결 선상에 위치하고 있. 3만 1천세대의 가구에 7만 7천명이 거주하게 되며, 개발사업의 주체는 경기도, 수원시, 용인시, 경기도시공사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광교신도시 · 더보기 »

광주 이씨

광주 이씨(廣州 李氏)는 경기도 광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광주 이씨 · 더보기 »

광주 지씨

광주 지씨(光州池氏)는 광주(光州)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광주 지씨 · 더보기 »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남서부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광주광역시 · 더보기 »

광주군 (경기도)

광주군(廣州郡)은 경기도 광주시의 2001년 3월까지의 행정구역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광주군 (경기도) · 더보기 »

광주원부인

광주원부인 왕씨(廣州院夫人 王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초대 왕 태조 왕건의 제15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광주원부인 · 더보기 »

광주원군

광주원군(廣州院君, ? ~ 945년 이후)은 고려(高麗)의 태자(太子)이자 태조(太祖)와 소광주원부인(小廣州院夫人)의 아들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광주원군 · 더보기 »

광양군

광양군(光陽郡)은 전라남도 광양시의 이전 행정 구역으로, 1995년 1월 1일 동광양시와 통합하여 도농복합도시가 되었.

새로운!!: 고려 태조와 광양군 · 더보기 »

봉덕동

봉덕동(鳳德洞)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남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봉덕동 · 더보기 »

봉림산문

봉림산문(鳳林山門) 또는 봉림산파(鳳林山派)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선종 구산의 하나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봉림산문 · 더보기 »

봉사십조

봉사십조(封事十條)는 명종 26년(1196)에 쿠데타로 이의민(李義旼) 일당을 숙청하고 정권을 잡은 다음, 최충헌 형제가 왕에게 올린 서정개혁안 10개조를 말. 그 내용은 다음과 같.

새로운!!: 고려 태조와 봉사십조 · 더보기 »

봉암사

봉암사 전경(2015년 5월 25일 촬영) 봉암사는 대한민국의 경상북도 문경시에 위치한 사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봉암사 · 더보기 »

관찰사

사(觀察使)는, 중국 당대(唐代)에서 비롯하여 훗날 한국의 조선(朝鮮), 나아가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초기 일본에도 설치되었던 지방행정 감찰을 맡은 관직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관찰사 · 더보기 »

관서 지방

서 지방(關西地方)은 현재의 평양직할시, 평안남도, 평안북도, 자강도 일대를 가리키는 조선의 지역 구분 용어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관서 지방 · 더보기 »

북벌

북벌(北伐)은 단순히 그 의미를 풀면 "북쪽을 정벌한다"라는 뜻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북벌 · 더보기 »

북구 (부산광역시)

부산 북구청 대동화명대교 북구(北區)는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북서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북구 (부산광역시) · 더보기 »

궁예

궁예(金弓裔, 869년 음력 5월 5일 ~ 918년 7월 24일, 재위: 901년 7월 ~ 918년 7월 24일(음력 6월 14일))는 신라의 왕가 서족(王家 庶族) 출신의 승려이자, 태봉의 군주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궁예 · 더보기 »

궁예도성

궁예도성(弓裔都城) 또는 궁예성지(弓裔城址)는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홍원리 풍천원(楓川原) 일대에 있는 태봉국의 도성 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궁예도성 · 더보기 »

권지고려국사

국사(權知高麗國事) 또는 권지조선국사(權知朝鮮國事)는 918년부터 975년까지 오대 십국 시대와 송나라에서 고려의 국왕에게 봉하는 칭호이자 1392년부터 1401년까지 명나라의 황제가 조선의 국왕을 봉하는 칭호였.

새로운!!: 고려 태조와 권지고려국사 · 더보기 »

불로봉무동

불.봉무동(不老.鳳舞洞)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불로봉무동 · 더보기 »

분사 제도

분사 제도(分司制度)는 서경(西京, 평양)을 부도(副都)로 생각한 고려에서 개경의 관아(官衙)를 서경에도 나누어 설치한 제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분사 제도 · 더보기 »

부평군

부평군(富平郡)은 과거 경기도의 행정구역이었.

새로운!!: 고려 태조와 부평군 · 더보기 »

부채

주선.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소장. 차선(차면선).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소장 일본의 둥글부채 접부채(쥘부채) 부채는 손으로 흔들어 바람을 일으키는 기구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부채 · 더보기 »

부천시

부천시(富川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서부에 위치한 시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부천시 · 더보기 »

부여군

부여군(扶餘郡)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부여군 · 더보기 »

귀주 대첩

주 대첩(龜州大捷)은 1019년 3월 10일 (음력 2월 1일) 고려군이 요나라군을 귀주(龜州, 현재의 평안북도 구성시)에서 물리쳐 승리한 전투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귀주 대첩 · 더보기 »

긍양

긍양(兢讓: 878-956)은 신라 말기 및 고려 초의 고승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긍양 · 더보기 »

금관가야

야(金官伽倻), 본가야(本伽倻)는 42년부터 532년까지 존재했던 나라로, 신라에게 멸망하기 전 국명은 가락국(駕洛國)이었.

새로운!!: 고려 태조와 금관가야 · 더보기 »

금사면

사면(金沙面)은 경기도 여주시의 면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금사면 · 더보기 »

비로사 (영주시)

비로사(毘盧寺)는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비로사 (영주시) · 더보기 »

빛나거나 미치거나 (드라마)

《빛나거나 미치거나》는 2015년 1월 19일부터 2015년 4월 7일까지 MBC에서 방영된 월화 특별 기획 드라마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빛나거나 미치거나 (드라마) · 더보기 »

김 (성씨)

외 김(金)씨는 성씨의 하나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김 (성씨) · 더보기 »

김갑수 (배우)

갑수(1957년 4월 7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김갑수 (배우) · 더보기 »

김경응 (배우)

경응(1964년 8월 13일 ~)은 대한민국의 성우 겸 연기자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김경응 (배우) · 더보기 »

김경손 (고려)

경손(金慶孫, ? ~ 1251년)은 고려 후기의 장군이자 몽고군에 맞서 용감하게 싸운 호국 영웅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김경손 (고려) · 더보기 »

김경애 (배우)

경애(金暻愛, 1945년 10월 3일, 전북 남원 ~ 현재)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김경애 (배우) · 더보기 »

김부식

부식(金富軾, 1075년 ~ 1151년)은 《삼국사기》를 쓴 고려 시대 학자·문신·역사가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김부식 · 더보기 »

김정희

정희가 그린 불이선란도(不二禪蘭圖) 김정희(金正喜, 정조 10년(1786년) 6월 3일(1786년 6월 28일) ~ 철종 7년(1856년) 10월 10일(1856년 11월 7일))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서예가, 금석학자, 고증학자, 화가, 실학자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김정희 · 더보기 »

김행 (동음이의)

행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고려 태조와 김행 (동음이의) · 더보기 »

김행파

행파(金行波)는 고려 초기의 호족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김행파 · 더보기 »

김해 김씨

씨(金海 金氏)는 경상남도 김해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김해 김씨 · 더보기 »

김약선

약선(金若先)은 고려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김약선 · 더보기 »

김한충

충(金漢忠, 1043년 ∼1120년)은 고려의 문신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김한충 · 더보기 »

대도수

수(大道秀,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무신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대도수 · 더보기 »

대령궁주

령궁주(大寧宮主, ? ~ 1114년)는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대령궁주 · 더보기 »

대목왕후

목왕후 황보씨(大穆王后 皇甫氏)는 고려의 제4대 왕인 광종의 비(妃)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대목왕후 · 더보기 »

대명궁부인

명궁부인 유씨(大明宮夫人 柳氏)는 고려의 제5대 왕 경종의 제5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대명궁부인 · 더보기 »

대명주원부인

명주원부인 왕씨(大溟州院夫人 王氏)는 고려의 초대 왕 태조 왕건의 제14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대명주원부인 · 더보기 »

대방공

방공 왕보(帶方公 王俌, ? ~ 1128년 음력 4월 16일)는 고려 시대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대방공 · 더보기 »

대광현

광현(大光顯)은 발해의 마지막 태자.

새로운!!: 고려 태조와 대광현 · 더보기 »

대구광역시

광역시(大邱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동남부 내륙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대구광역시 · 더보기 »

대군

(大君)은 고려 시대 및 조선 시대에 왕자들에게 내려진 작호의 일종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대군 · 더보기 »

대인선

인선(大諲譔, 생몰년 미상, 재위: 906년? ~ 926년) 은 발해 최후의 국왕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대인선 · 더보기 »

대종

종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고려 태조와 대종 · 더보기 »

대서원부인

서원부인 김씨(大西院夫人 金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 초대 왕 태조 왕건의 제19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대서원부인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정부표준영정(政府標準影幀)은 한국의 역사에 등장하는 인물 중에서 민족적으로 추앙받고 있는 선현들의 영정 난립을 방지하기 위해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지정한 영정을 말. 모든 정부표준영정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훈령으로 지정된 《영정·동상 심의 규정》에 따른 심의 절차에 따라 지정되거나 해제.

새로운!!: 고려 태조와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 더보기 »

대원공

원공 왕효(大原公 王侾, 1093년 ~ 1161년 5월 6일(음력 4월 10일))는 고려 시대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대원공 · 더보기 »

교하 노씨

씨(交河 盧氏)는 경기도 파주시 교하동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교하 노씨 · 더보기 »

구미시

미시(龜尾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구미시 · 더보기 »

구진 (고려)

(具鎭, 생몰년 미상)은 태봉(泰封)과 고려(高麗)의 문신(文臣) 겸(謙) 정치가(政治家)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구진 (고려) · 더보기 »

구산문

선종 구산(禪宗九山Nine Mountain Monasteries)은 남북국 시대의 신라 때부터 시작되어 고려 태조 때 완성된 불교 선종(禪宗)의 구산문(九山門)을 가리.

새로운!!: 고려 태조와 구산문 · 더보기 »

구성동 (용인시)

성동(駒城洞)은 용인시 기흥구의 동북부에 위치한 행정동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구성동 (용인시) · 더보기 »

국 (성씨)

국(鞠, 國, 菊)씨는 중국 및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국 (성씨) · 더보기 »

국대부인

국대부인(國大夫人·國太夫人)은 중국과 한반도의 제·왕국에서 사용했던 외명부(外命婦) 관작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국대부인 · 더보기 »

국대부인 견씨

국대부인 견씨(國大夫人 甄氏)는 후백제(後百濟)의 초대 군주(君主) 견훤(甄萱)과 왕비 박씨(王妃 朴氏)의 딸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국대부인 견씨 · 더보기 »

국자감 (고려)

국자감(國子監)은 992년(고려 성종 11)에 설립된 고려 시대 국립 고등 교육 기관으로 수도 개경에 위치하였.

새로운!!: 고려 태조와 국자감 (고려) · 더보기 »

국조

국조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국조 · 더보기 »

군 (작위)

(君)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왕실의 종실, 외척 또는 공신에게 주었던 작호(爵號)로서 군작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고려 태조와 군 (작위) · 더보기 »

군벌

일본 전국시대의 가장 강력한 군벌 중 하나였던 우에스기 켄신. 군벌(軍閥, warlord)은 군대의 상부층이 자기가 가진 군사력을 배경으로, 정부·의회에 대하여 상대적 독자성을 갖고 강대한 권력과 정치권력을 장악한 경우를 말. 무장한 군대를 갖추고 특정 지역을 군사적으로 지배하며, 일반적인 경우 군벌은 공식적인 지위에 비해 실질적으로 갖고 있는 권력이 훨씬.

새로운!!: 고려 태조와 군벌 · 더보기 »

두품

(頭品)은 신라의 골품제의 하나로, 일종의 신분제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두품 · 더보기 »

남경읍

경읍(1958년 3월 12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남경읍 · 더보기 »

남북국 시대

북국 시대(南北國時代)는 698년는 1784년에 유득공에 의해 창조된 북부의 만주와 연해주를 중심으로 한 발해의 건국 이후 남부의 한반도에 있는 신라와 공존하던 시대를 일컫는 역사 용어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남북국 시대 · 더보기 »

남한산성면

산성면(南漢山城面)은 경기도 광주시의 면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남한산성면 · 더보기 »

남원군

원군(南原郡)은 전라북도 남원시의 이전 행정 구역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남원군 · 더보기 »

남원시

원시청 남원시(南原市)는 대한민국 전라북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남원시 · 더보기 »

낭주 최씨

낭주 최씨(朗州 崔氏)는 전라남도 영암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낭주 최씨 · 더보기 »

나주 김씨

주 김씨(羅州 金氏)는 전라남도 나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나주 김씨 · 더보기 »

나주 자미산성

주 자미산성(羅州 紫薇山城)은 전라남도 나주시 반남리 대안리와 신촌리에 위치한 백제의 토석혼축 산성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나주 자미산성 · 더보기 »

나주 오씨

주 오씨(羅州 吳氏)는 전라남도 나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나주 오씨 · 더보기 »

나주 연씨

주 연씨(羅州 連氏)는 전라남도 나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나주 연씨 · 더보기 »

낙랑공주 (동음이의)

낙랑공주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고려 태조와 낙랑공주 (동음이의) · 더보기 »

낙랑공주 (고려)

낙랑공주(樂浪公主)는 고려(高麗)의 공주(公主)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낙랑공주 (고려) · 더보기 »

농소동 (울산)

농소동(農所洞)은 울산광역시 북구의 행정동 농소1동, 농소2동, 농소3동의 통칭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농소동 (울산) · 더보기 »

논산 개태사지

산 개태사지(論山 開泰寺址)는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천호리에 있는 사철 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논산 개태사지 · 더보기 »

논산시

산시(論山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논산시 · 더보기 »

단촌면

면(丹村面)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의성군의 면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단촌면 · 더보기 »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는 SBS에서 2016년 8월 29일부터 2016년 11월 1일까지 방영된 월화 드라마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 · 더보기 »

당 숙종

당 숙종 이형(唐肅宗 李亨, 711년 ~ 762년 음력 5월 18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7대 황제이며, 아버지는 당 현종 이융기, 어머니는 추존된 원헌황후 양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당 숙종 · 더보기 »

당악 김씨

당악 김씨(唐岳 金氏)는 평안남도 중화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당악 김씨 · 더보기 »

효덕태자

효덕태자(孝德太子,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효덕태자 · 더보기 »

효목태자

효목태자 왕의(孝穆太子 王義)는 고려(高麗)의 태자(太子)이자 태조(太祖)와 동양원부인(東陽院夫人)의 장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효목태자 · 더보기 »

효명태자

효명태자(孝明太子,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왕자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효명태자 · 더보기 »

효은태자

효은태자 왕원(孝隱太子 王垣)은 고려(高麗)의 태자(太子)이자 태조(太祖)와 동양원부인(東陽院夫人)의 소생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효은태자 · 더보기 »

효제태자

효제태자(孝悌太子,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왕자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효제태자 · 더보기 »

효지태자

효지태자(孝祗太子)는 고려(高麗)의 태자(太子) 이. 태조(太祖)와 천안부원부인(天安府院夫人)의 소생 성은 왕(王), 이름은 전해지지 않. 본관은 개성(開城).

새로운!!: 고려 태조와 효지태자 · 더보기 »

효성태자

효성태자(孝成太子, ? - 976년)는 고려(高麗)의 태자(太子)이자 태조(太祖)와 천안부원부인(天安府院夫人) 장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효성태자 · 더보기 »

효화태자

효화태자(孝和太子,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효화태자 · 더보기 »

용 (성씨)

용씨(龍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용 (성씨) · 더보기 »

용검

용검(甄龍劍, ? ~ 936년 음력 9월)은 후백제 초대 군주 견훤의 셋째 아들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용검 · 더보기 »

용궁 곡씨

용궁 곡씨(龍宮 曲氏)는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용궁 곡씨 · 더보기 »

용의 눈물

《용의 눈물》은 1996년 11월 24일부터 1998년 5월 31일까지 방송된 KBS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용의 눈물 · 더보기 »

우 (성씨)

우(禹, 于)는 중국 및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우 (성씨) · 더보기 »

우산국

우산국(于山國)은 삼국시대에 현재의 경상북도 울릉군인 울릉도와 부속섬을 다스리.

새로운!!: 고려 태조와 우산국 · 더보기 »

운문사

운문사 안내도 운문사 법당 운문사(雲門寺)는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호거산(虎踞山, 운문산)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운문사 · 더보기 »

운봉군

운봉군(雲峰郡)은 지금의 운봉읍을 중심으로 서쪽의 아영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운봉군 · 더보기 »

울릉군

울릉군(鬱陵郡)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해상의 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울릉군 · 더보기 »

울진군

울진군(蔚珍郡)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해안 최북단에 있는 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울진군 · 더보기 »

울산 박씨

울산 박씨(蔚山 朴氏)는 울산광역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울산 박씨 · 더보기 »

울산 김씨

울산 김씨(蔚山 金氏)는 울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울산 김씨 · 더보기 »

울산 오씨

울산 오씨(蔚山 吳氏)는 울산광역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울산 오씨 · 더보기 »

울산광역시

울산광역시(蔚山廣域市)는 대한민국 남동부 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울산광역시 · 더보기 »

울산광역시의 역사

반구대암각화 울산광역시의 역사는 선사시대 무렵부터 시작하여 반구대암각화라는 역사적 증거물을 남겼고, 이후에도 한강 이남의 지정학적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

새로운!!: 고려 태조와 울산광역시의 역사 · 더보기 »

승과

승과(僧科) 또는 승과제도(僧科制度)는 고려 때 승려를 대상으로 한 과거제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승과 · 더보기 »

자리군

자리군(資利君, 생몰년 미상)은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자리군 · 더보기 »

장 (성씨)

장(張, 章, 莊, 蔣)씨는 성씨의 하나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장 (성씨) · 더보기 »

장화왕후

장군시절의 태조 왕건과 오씨(훗날의 장화왕후) 장화왕후 오씨(莊和王后 吳氏)는 오다련(吳多憐)과 연덕교(連德交) 소생이자 태조(太祖)의 제2왕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장화왕후 · 더보기 »

편년통록

통록(編年通錄)은 고려 의종(毅宗) 때 검교군기감 김관의(金寬毅)가 쓴 역사책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편년통록 · 더보기 »

임존성

예산 임존성(禮山 任存城)은 한국의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봉수산 꼭대기에 있는 둘레 약 3km의 산성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임존성 · 더보기 »

임휴사

임휴사(臨休寺)는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의 앞산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임휴사 · 더보기 »

평 (성씨)

평(平)씨는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평 (성씨) · 더보기 »

평산 박씨

평산 박씨(平山 朴氏)는 황해도 평산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평산 박씨 · 더보기 »

평산 유씨

평산 유씨(平山 庾氏)는 황해도 평산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평산 유씨 · 더보기 »

평산 신씨

평산 신씨(平山 申氏)는 황해도 평산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평산 신씨 · 더보기 »

흥덕 장씨

흥덕 장씨(興德張氏) 또는 흥성 장씨(興城 張氏)는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흥덕 장씨 · 더보기 »

흥방궁주

흥방궁주(興芳宮主)는 고려(高麗)의 궁주(宮主)이자 태조(太祖)와 신명순성왕후(神明順成王后)의 딸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흥방궁주 · 더보기 »

흥복원부인

흥복원부인 홍씨(興福院夫人 洪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초대 왕 태조 왕건의 제12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흥복원부인 · 더보기 »

흥수궁주

흥수궁주(興壽宮主, ? ~ 1123년)는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흥수궁주 · 더보기 »

흥화궁군

흥화궁군(興化宮君, ? ~ 960년 이후)은 고려(高麗)의 태자(太子)이자 고려(高麗)의 제2대 국왕 혜종과 의화왕후의 장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흥화궁군 · 더보기 »

이 (성씨)

외 이(李, 異, 伊)씨는 동아시아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이 (성씨) · 더보기 »

이벌찬

이벌찬(伊伐湌)은 신라의 17관등(官等)의 제1등으로 이찬의 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이벌찬 · 더보기 »

이계인

이계인(李桂仁, 1952년 5월 16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이계인 · 더보기 »

이금서

이금서(李金書)는 고려초 문신으로, 호는 남계(南溪), 본관은 경주(慶州)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이금서 · 더보기 »

이자연 (고려)

이자연(李子淵, 1003년 ~ 1061년)은 고려의 문신이자 문종의 외척(外戚)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이자연 (고려) · 더보기 »

이흔암

이흔암(伊昕巖, ? ~918년)은 고려 초기의 마군대장군(馬軍大將軍)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이흔암 · 더보기 »

이주좌

이주좌(李周佐, ? ~ 1040년 음력 8월)는 고려 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이주좌 · 더보기 »

이천 서씨

이천 서씨(利川徐氏)는 경기도 이천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이천 서씨 · 더보기 »

이천시

200px 이천시(利川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이천시 · 더보기 »

이총언

이총언(李悤言, 858년~938년)은 신라 말, 고려 초의 군인이자 행정가로 고려의 개국공신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이총언 · 더보기 »

이엄 (고려)

이엄(利嚴: 870-936)은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의 고승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이엄 (고려) · 더보기 »

인천광역시의 역사

대동여지도에 그려진 인천 부근 인천광역시의 역사는 선사시대인 구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 원삼국시대에 미추홀이 있었다고 추정되며, 삼국 시대에 고구려의 영토가 된 뒤로는 매소홀현(買召䑸䎱)으로 불리다가 다시 신라의 영토가 되었고 경덕왕이 소성(邵城)이라 이름지었.

새로운!!: 고려 태조와 인천광역시의 역사 · 더보기 »

인애군

인애군(仁愛君)은 고려(高麗)의 태자(太子)이자 태조(太祖)와 정덕왕후(貞德王后)의 아들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인애군 · 더보기 »

일리천 전투

일리천 전투는 936년(고려태조 19) 9월에 고려군과 후백제군이 일선군(一善郡)의 일리천(一利川, 구미시 인동면)에서 치른 전투로, 고려가 후백제에 압도적으로 승리하였.

새로운!!: 고려 태조와 일리천 전투 · 더보기 »

일산동구

일산동구(一山東區)는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의 구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일산동구 · 더보기 »

음력 1월 14일

음력 1월 14일은 음력 1월의 14번째 날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음력 1월 14일 · 더보기 »

음력 5월 29일

음력 5월 29일은 음력 5월의 29번째 날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음력 5월 29일 · 더보기 »

음악사 연표

음악사 연표는 서양 음악사와 동양 음악사(한국 음악사 포함)를 나타낸 연표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음악사 연표 · 더보기 »

의창

의창(義倉)이란 고려 시대에 시행된 빈민 구제 제도이자 국립 구호기관으로, 가난한 백성에게 양곡을 대출하고 그것을 다시 회수하는 진휼곡창이었.

새로운!!: 고려 태조와 의창 · 더보기 »

의성 김씨

의성 김씨(義城 金氏)는 경상북도 의성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의성 김씨 · 더보기 »

의성 홍씨

의성 홍씨(義城 洪氏)는 경상북도 의성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의성 홍씨 · 더보기 »

의성부원부인

의성부원부인 홍씨(義城府院夫人 洪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초대 왕 태조 왕건의 제26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의성부원부인 · 더보기 »

의성부원대군

의성부원대군(義城府院大君)은 고려(高麗)의 태자(太子)이자, 태조(太祖)와 의성부원부인(義城府院夫人)의 아들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의성부원대군 · 더보기 »

의성군

의성군(義城郡)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중앙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의성군 · 더보기 »

의성읍

의성읍(義城邑)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의성군의 군청 소재지이며, 교통, 산업의 중심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의성읍 · 더보기 »

의신면

의신면(義新面)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진도군에 위치한 면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의신면 · 더보기 »

의화왕후

의화왕후 임씨(義和王后 林氏)는 혜종(惠宗)의 정비(靜妃)로 진주(晉州) 지금의 충청북도(忠淸北道) 진천군(鎭川郡)) 출신이며 대광(大匡) 임희(林曦)의 딸이다. 본관은 진천(鎭川)이다. 혜종(惠宗)이 태자(太子)이던 시절에 그와 결혼하였고 922년 12월에 박술희(朴述熙)의 건의로 혜종(惠宗)을 정윤(正胤) 왕태자(王太子)으로 삼으면서 그녀도 태자비(太子妃)에 책봉되었다. 그 뒤 흥화군(興化君), 경화궁부인(慶化宮夫人), 정헌공주(貞憲公主)를 낳았다. 943년 부군(副君) 혜종(惠宗)이 즉위하여 왕후(王后)에 책봉되었으며, 사후에는 시호를 의화왕후(義和王后)라 하였고 능호는 순릉(順陵)이며 혜종묘(惠宗廟)에 배장하였다. 목종(穆宗) 5년 4월에 성의(成懿)의 시호(諡號)를 추가하고 현종(顯宗) 5년 3월에 경신(景信)을, 18년 4월에 회선(懷宣)을, 그리고 고종(高宗)40년 10월에 정순(靖順)을 추가하였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의화왕후 · 더보기 »

은부

은부(猌鈇, ? ~ 918년)는 궁예의 부하로서, 후고구려를 건국하는 데 많은 전공이 있었.

새로운!!: 고려 태조와 은부 · 더보기 »

제국의 아침

《제국의 아침》(帝國의 아침)은 2002년 3월 2일부터 2003년 1월 26일까지 KBS가 방영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제국의 아침 · 더보기 »

제주 고씨

제주 고씨(濟州 髙氏)는 제주도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제주 고씨 · 더보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濟州特別自治道)는 대한민국 남해상의 섬을 관할하는 특별자치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제주특별자치도 · 더보기 »

제안공 (왕서)

제안공 왕서(齊安公 王偦, ? ~ 1131년 음력 2월 14일)는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제안공 (왕서) · 더보기 »

전 견훤묘

전 견훤묘(傳 甄萱墓)는 견훤왕릉(甄萱王陵)이라 부르기도 하며,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금곡리에 있는 능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전 견훤묘 · 더보기 »

전라도

전라도(全羅道)는 전라북도와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남 지방(湖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고려 태조와 전라도 · 더보기 »

전의 이씨

전의 이씨(全義 李氏)는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전의 이씨 · 더보기 »

전주 견씨

전주 견씨(全州 甄氏)는 전라북도 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전주 견씨 · 더보기 »

정덕왕후

정덕왕후 류씨(貞德王后 柳氏)는 고려 태조의 6번째 왕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정덕왕후 · 더보기 »

정도전 (드라마)

《정도전》(鄭道傳) 은 KBS 1TV에서 2014년 1월 4일부터 2014년 6월 29일까지 방송된 정도전의 일대기를 그린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정도전 (드라마) · 더보기 »

정릉

정릉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고려 태조와 정릉 · 더보기 »

정릉 (신성왕후)

정릉(貞陵)은 고려 제1대 태조의 제5비인 신성왕후 김씨의 능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정릉 (신성왕후) · 더보기 »

정목부인

정목부인 왕씨(貞穆夫人 王氏)는 태조(太祖)의 제8비이고 본관은 명주(溟州)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정목부인 · 더보기 »

정개 (태봉)

정개(政開)는 태봉의 국왕 궁예의 마지막 연호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정개 (태봉) · 더보기 »

정읍 천곡사지 칠층석탑

정읍 천곡사지 칠층석탑(井邑 泉谷寺址 七層石塔)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정읍시 망제동 천곡사 터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정읍 천곡사지 칠층석탑 · 더보기 »

정주 류씨

정주 류씨(貞州 柳氏)는 황해북도 개풍군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정주 류씨 · 더보기 »

정안국

정안국(定安國, 938년 ~ 986년)은 발해의 유민들이 세운 국가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정안국 · 더보기 »

정화왕후

정화왕후 강씨(貞和王后 康氏)는 고려의 추존왕비이며 태조 왕건의 증조할머니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정화왕후 · 더보기 »

조명남 (성우)

조명남(趙明男, 1943년 6월 14일 ~)은 대한민국의 성우, 텔레비전 연기자, 연극배우, 영화배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조명남 (성우) · 더보기 »

조민기

조민기(趙珉基, 1965년 11월 5일 ~ 2018년 3월 9일)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조민기 · 더보기 »

조이군

조이군(助伊君)은 고려(高麗)의 태자(太子)이자 태조(太祖)와 정덕왕후(貞德王后)의 아들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조이군 · 더보기 »

조선 태조

조선 태조(朝鮮 太祖, 1335년 10월 27일 (음력 10월 11일) ~ 1408년 6월 18일 (음력 5월 24일), 재위: 1392년 8월 5일 (음력 7월 17일) ~ 1398년 10월 14일 (음력 9월 5일))는 고려 말의 무신 겸 정치가이자 조선의 초대 왕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조선 태조 · 더보기 »

조선의 사회제도

조선의 사회제도는 크게 토지 제도, 납세 제도, 가족 제도, 신분 제도로 나누어 정리할 수 있. 조선왕조 건국 주체세력이 추구하던 경제구조는 민생안정과 더불어 국가수입을 증대시켜 부강한 재무국가(財務國家)를 만드는 것이었.

새로운!!: 고려 태조와 조선의 사회제도 · 더보기 »

족하

족하(足下)는 공식, 비공식 등에서 아주 가까운 곳이란 뜻으로 전하여 편지글 등에서 가깝고 대등한 사람에 대한 경칭으로 쓰인.

새로운!!: 고려 태조와 족하 · 더보기 »

종간

종간(宗侃, ? ~ 918년)은 태봉 군주 궁예(弓裔)의 참모(參謀)이자 관리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종간 · 더보기 »

죽방부인

죽방부인(竹房夫人. 생몰년 미상)은 신라 제56대 왕 경순왕의 왕후(王后)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죽방부인 · 더보기 »

죽산 박씨

죽산 박씨(竹山 朴氏)는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죽산 박씨 · 더보기 »

증평읍

증평읍(曾坪邑)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증평군의 서부를 흐르는 미호천의 지류 보강천 좌안에 위치한 증평군의 군청 소재지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증평읍 · 더보기 »

증통국사

증통국사(證通國師)는 고려(高麗)의 태자(太子)이자 승려(僧侶)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증통국사 · 더보기 »

직지사

직지사 입구 직지사(直指寺)는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황악산(黃嶽山)에 위치한 사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직지사 · 더보기 »

진 (성씨)

(陳. 晉, 眞, 秦)씨는 한국의 성씨 및 중국의 성씨.

새로운!!: 고려 태조와 진 (성씨) · 더보기 »

진평왕

평왕(眞平王, ? ~ 632년, 재위 579년 ~ 632년)은 신라의 제26대 왕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진평왕 · 더보기 »

진주 형씨

주 형씨(晋州邢氏)는 경상남도 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진주 형씨 · 더보기 »

지장보살

장보살(地藏菩薩, 산스크리트어: क्षितिगर्भ, 크시티가르바)은 석가모니불의 열반 후 세상에 내려올 때까지의 무불 시대(말법 시대)에 육도 중생(六道衆生)을 교화하겠다는 큰 서원을 세운 보살(대비보살)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지장보살 · 더보기 »

지훤

훤(池萱)은 후백제(後百濟)의 귀족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지훤 · 더보기 »

차 (성씨)

(車)씨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차 (성씨) · 더보기 »

차전놀이

전놀이(車戰놀이)는 국가무형문화재 제24호로 지정된 경상북도 안동시 일대에서 행하던 민속놀이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차전놀이 · 더보기 »

창릉

창릉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고려 태조와 창릉 · 더보기 »

창릉 (고려)

창릉(昌陵)은 고려의 추존왕 세조(왕륭)과 부인 위숙왕후의 합장릉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창릉 (고려) · 더보기 »

창녕읍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창녕읍(昌寧邑)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녕군의 행정구역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창녕읍 · 더보기 »

철원군의 도로 목록

음은 철원군의 도로 목록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철원군의 도로 목록 · 더보기 »

청도면

청도면(淸道面)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밀양시의 면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청도면 · 더보기 »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靑磁 淳化四年銘 壺)는 ‘순화 4년’이 새겨진 고려 청자 항아리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 · 더보기 »

청주 고씨

청주 고씨(淸州髙氏)는 충청북도 청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청주 고씨 · 더보기 »

청주 한씨

청주 한씨(淸州 韓氏)는 충청북도 청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청주 한씨 · 더보기 »

청주남원부인

청주남원부인 김씨(淸州南院夫人 金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제3대 왕 정종의 제3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청주남원부인 · 더보기 »

청주원부인

청주원부인 김씨(淸州院夫人 金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제2대 왕 혜종의 제3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청주원부인 · 더보기 »

청풍면 (화순군)

청풍면(淸豊面)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화순군 남부에 위치한 면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청풍면 (화순군) · 더보기 »

청안군

청안군(淸安郡)은 한국의 옛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충청북도 증평군 전 지역과 청원군 북이면·오창읍의 일부, 괴산군 청안면·사리면, 진천군 초평면과 음성군 원남면의 일부를 이루고 있었.

새로운!!: 고려 태조와 청안군 · 더보기 »

청원군

옛 청원군의 지도 청원군(淸原郡)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중서부에 있었던 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청원군 · 더보기 »

천년의 신화

의 신화는 대한민국의 게임 회사 HQ팀이 제작한 RTS게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천년의 신화 · 더보기 »

천녕 견씨

녕 견씨(川寧 堅氏)는 경기도 여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천녕 견씨 · 더보기 »

천추전부인

전부인(千秋殿夫人)는 고려(高麗)의 왕족(王族)이다. 광종(光宗)과 대목왕후(大穆王后)의 딸이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천추전부인 · 더보기 »

천추태후 (드라마)

《천추태후》(千秋太后)는 KBS가 2009년 1월 3일부터 2009년 9월 27일까지 방영한 대하드라마이며 집필자 중 한 명인 손영목 작가는 해당 작품에 앞서 2002년 7월 방영될 예정이었던 무협드라마 의 집필자로 낙점됐지만 제작비 문제, 주요 배우 캐스팅 섭외 등으로 편성이 무산.

새로운!!: 고려 태조와 천추태후 (드라마) · 더보기 »

천상열차분야지도

370px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는 조선 초기부터 석각본, 목판본, 필사본 등으로 제작·보급된 한국의 전천천문도(全天天文圖)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천상열차분야지도 · 더보기 »

천태종

종(天台宗TiantaiTendaiLotus School)은 《법화경》(法華經Lotus Sūtra)을 소의경전으로 하는 불교 종파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천태종 · 더보기 »

천수

*덴슈(天守)는 일본 성의 대표적인 건물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천수 · 더보기 »

천수 (고려)

수(天授)는 고려(高麗)의 태조 왕건(太祖 王建)이 사용하였던 연호(年號)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천수 (고려) · 더보기 »

천안도독부

안도독부(天安都督府)는 930년에 후백제를 견제하기 위해 고려 태조가 현재 천안시에 설치하였던 기구였.

새로운!!: 고려 태조와 천안도독부 · 더보기 »

천안부원부인

안부원부인 임씨(天安府院夫人 林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초대 왕인 태조 왕건의 제11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천안부원부인 · 더보기 »

천안시

안시의 전경 천안시(天安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동북부 내륙에 있는 시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천안시 · 더보기 »

초계면

면(草溪面)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합천군의 면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초계면 · 더보기 »

충담

충담 (忠湛, 869년 ~ 940년) 은 신라 말 고려 초의 승려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충담 · 더보기 »

충주 평씨

충주 평씨(忠州平氏)는 충청북도 충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충주 평씨 · 더보기 »

충주 유씨

충주 유씨(忠州劉氏)는 충청북도 충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충주 유씨 · 더보기 »

춘천시

시(春川市)는 대한민국 강원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자, 강원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춘천시 · 더보기 »

취민유도

민유도(取民有度)는 고려 태조 왕건이 내세운 조세 정책의 기본 이념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취민유도 · 더보기 »

칠북면

북면(漆北面)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함안군의 면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칠북면 · 더보기 »

칠대실록

실록(七代實錄)은 고려 태조에서 목종에 이르는 7대왕의 실록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칠대실록 · 더보기 »

칠원읍

원읍(漆原邑)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함안군의 읍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칠원읍 · 더보기 »

친정

정(親征)은 국가원수가 직접 출정하여 정벌하는 일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친정 · 더보기 »

치호

호라는 타명 혹은 별호를 사용한 이에는 다음과 같은 이들이 있었.

새로운!!: 고려 태조와 치호 · 더보기 »

콩나물

콩나물 무침 콩나물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음식재료 중 하나로, 그늘에서 발아시킨 대두의 뿌리를 자라게 한 식료품을 말. 데친 후 양념에 무쳐 먹거나 국을 끓여 먹기도 하며, 밥을 지을 때 넣. 숙취를 풀어주는 효과가 있어 해장국 재료로 많이 쓰인.

새로운!!: 고려 태조와 콩나물 · 더보기 »

유 (성씨)

(柳, 劉) 또는 유(兪, 庾)씨는 중국 및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유 (성씨) · 더보기 »

유긍달

유긍달(劉兢達)은 후고구려(後高句麗)의 무장이자 태조(太祖)의 장인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유긍달 · 더보기 »

유금필

유금필 또는 유검필(庾黔弼, ? ~941년 음력 4월)은 고려(高麗)의 무신(武臣) 겸(謙) 정치가(政治家)로 평주(平州: 평산)(平山) 출생이며, 태조(太祖)을 도와 고려(高麗)를 건국(建國)하는 데 큰 공을 세웠.

새로운!!: 고려 태조와 유금필 · 더보기 »

유재량

유재량(1979년 7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유재량 · 더보기 »

유진 (고려)

유진(劉瑨, ? ~ 1019년)은 고려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유진 (고려) · 더보기 »

유차달

(柳車達, 880년 음력 8월 28일 ~ ?)은 문화 류씨의 시조로 고려조의 건국 공신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유차달 · 더보기 »

윤 (성씨)

윤(尹)씨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윤 (성씨) · 더보기 »

윤관

윤관(尹瓘, 미상 ~ 1111년 6월 15일 (음력 5월 8일))은 고려 중기의 문신·군인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윤관 · 더보기 »

율촌면

율촌면(栗村面)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여수시의 면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율촌면 · 더보기 »

패엽사

엽사(貝葉寺)는 황해남도 안악군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패엽사 · 더보기 »

파평 윤씨

평 윤씨(坡平尹氏)는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파평 윤씨 · 더보기 »

파주 염씨

주 염씨(坡州 廉氏)는 경기도 파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파주 염씨 · 더보기 »

팔공산

공산(八公山)은 대구광역시 동구와 경상북도 영천시, 군위군, 칠곡군, 경산시에 걸쳐 있는 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팔공산 · 더보기 »

팔관회

회(八關會)는 신라 때 시작되어 고려 때까지 이어진 불교 의식(儀式)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팔관회 · 더보기 »

팔선

바다를 건너고 있는 중국의 팔선: 고려의 팔선은 중국의 팔선과는 달리 불교의 부처.cw보살.cw우바이 등이 도교의 선인이 되었다 팔선(八仙)은 주로 중국 신화의 전설적인 도교 선인을 가리.

새로운!!: 고려 태조와 팔선 · 더보기 »

위숙왕후

위숙왕후(威肅王后)은 고려의 추존 왕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위숙왕후 · 더보기 »

상 (성씨)

상(尙)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상 (성씨) · 더보기 »

상갈동

상갈동(上葛洞)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있는 동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상갈동 · 더보기 »

상귀

상귀(相貴, ? ~ 936년?)는 후백제의 장수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상귀 · 더보기 »

상달

상달(尙疸)은 후백제의 장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상달 · 더보기 »

상애

상애(尙哀)는 후백제의 장수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상애 · 더보기 »

탐라

국(耽羅國, 기원전 2337년 ~ 1402년)은 제주도의 왕국이었.

새로운!!: 고려 태조와 탐라 · 더보기 »

태 (성씨)

(太)씨는 발해 고왕 대조영(大祚榮)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태 (성씨) · 더보기 »

태봉

봉(泰封)은 후삼국 시대를 구성하던 나라로, 901년에 궁예를 국왕으로 하고 송악(개성)을 도읍삼아 건국하였.

새로운!!: 고려 태조와 태봉 · 더보기 »

태장동 (원주시)

장동(台壯洞)은 대한민국의 강원도 원주시에 설치된 동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태장동 (원주시) · 더보기 »

태평 (고려)

평(泰評, 생몰년 미상은 고려(高麗)의 문신이다. 황해도(黃海道) 연안(沿岸) 에서 태어났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태평 (고려) · 더보기 »

태인 허씨

인 허씨(泰仁 許氏)는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태인 허씨 · 더보기 »

태조

조(太祖)는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로서, 보통 나라를 세운 개국 군주나 개국 군주 이전 터전을 잡은 조상에게 붙는 묘호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태조 · 더보기 »

태조 왕건 (동음이의)

조 왕건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고려 태조와 태조 왕건 (동음이의) · 더보기 »

태조 왕건 (드라마)

《태조 왕건》(太祖 王建)은 KBS에서 후삼국시대부터 삼별초, 공민왕 시대까지 다룬 고려사 시리즈 중 첫 번째로 2000년 4월 1일부터 2002년 2월 24일까지 방영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태조 왕건 (드라마) · 더보기 »

태조 왕건 (영화)

《태조 왕건》은 고려 태조를 주제로한 1970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태조 왕건 (영화) · 더보기 »

태조산

조산(太祖山)은 충청남도 천안시 성거읍·목천면에 걸쳐 있는 산으로 고려 태조가 이곳에 머물렀다고 태조산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태조산 · 더보기 »

태종무열왕

종무열왕(太宗武烈王, 603년~661년 음력 6월)은 신라(新羅)의 제29대 임금(재위: 654년~661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태종무열왕 · 더보기 »

태화강

화강(太和江)은 울산광역시를 횡으로 가로질러 흐르는 대한민국의 강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태화강 · 더보기 »

태왕태후

왕태후(太王太后)는 현 국왕의 조모뻘로, 주로 선선대 국왕의 정실 부인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태왕태후 · 더보기 »

탄문

문(坦文, 900년~975년)은 고려의 승려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탄문 · 더보기 »

순천 박씨

순천 박씨(順天 朴氏)는 전라남도 순천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순천 박씨 · 더보기 »

순천시 (전라남도)

순천시(順天市)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동부에 있는 시로, 전라남도청 동부청사가 있. 1995년 승주군과 통합하여 도농복합시가 되었.

새로운!!: 고려 태조와 순천시 (전라남도) · 더보기 »

순천시 (전라남도)의 행정 구역

순천시의 행정 구역은 1읍 10면 13동으로 구성되어 있. 순천시의 면적은 907.41km2이며, 인구는 2015년 8월 31일을 기준으로 110,025 세대 281,219명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순천시 (전라남도)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순안왕대비

순안왕대비(順安王大妃, 생몰년 미상)는 고려(高麗)의 공주(公主)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순안왕대비 · 더보기 »

수릉

수릉에는 다음의 뜻이 있.

새로운!!: 고려 태조와 수릉 · 더보기 »

수릉 (신정왕후)

수릉(壽陵)은 고려 제1대 태조의 제4비인 신정왕후 황보씨의 능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수릉 (신정왕후) · 더보기 »

수명태자

수명태자(壽命太子)는 고려(高麗)의 태자(太子)이자 태조(太祖)와 헌목대부인(獻穆大夫人)의 소생 성은 왕(王) 이름은 전해지지 않. 본관은 개성(開城)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수명태자 · 더보기 »

수미산문

수미산문(須彌山門) 또는 수미산파(須彌山派)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선종 구산의 하나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수미산문 · 더보기 »

수안 이씨

수안 이씨(遂安 李氏)는 황해북도 수안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수안 이씨 · 더보기 »

수원군

수원군(水原郡)은 경기도의 옛 행정 구역으로, 경기도 화성군의 이전 행정구역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수원군 · 더보기 »

숙목부인

숙목부인 임씨(肅穆夫人 林氏, 생몰년 미상)은 고려(高麗)의 초대 국왕(國王) 태조(太祖)의 제10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숙목부인 · 더보기 »

영광군 (전라남도)

영광군(靈光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서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영광군 (전라남도) · 더보기 »

영남 지방

영남 지방(嶺南地方)은 소백산맥 동남부에 위치한 한국의 지역 구분 용어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영남 지방 · 더보기 »

영평 마씨

영평 마씨(永平 麻氏)는 경기도 포천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영평 마씨 · 더보기 »

영흥 최씨

영흥 최씨(永興 崔氏)는 함경남도 영흥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영흥 최씨 · 더보기 »

영천시

영천시(永川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남동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영천시 · 더보기 »

영천시의 행정 구역

영천시의 행정구역은 1읍 10면, 5동으로 구성되어 있. 영천시의 면적은 920.29km2로 경상북도의 4.8%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구는 2011년 6월 30일을 기준으로 44,789세대 102,302명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영천시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영현면

영현면(永縣面)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고성군에 있는 면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영현면 · 더보기 »

오현철

오현철(吳賢喆, 1985년 6월 28일~)은 대한민국의 배우, 마술사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오현철 · 더보기 »

호경

강호경(康虎景, 생몰년 미상)은 신라 말기의 군인, 개성의 호족으로 고구려 출신 신라의 장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호경 · 더보기 »

혜거

혜거(惠居, 899년 ~ 974년)는 고려 광종 시기의 승려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혜거 · 더보기 »

예방 (고려)

예방(藝方)은 10세기 인물로, 고려 초의 술사(術師)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예방 (고려) · 더보기 »

예안면

예안면(禮安面)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의 면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예안면 · 더보기 »

예화부인

예화부인 왕씨(禮和夫人 王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초대 왕 태조 왕건의 제18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예화부인 · 더보기 »

현릉

현릉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고려 태조와 현릉 · 더보기 »

현릉 (고려 태조)

현릉(顯陵)은 황해북도 개풍군 해선리에 있는 태조 왕건과 그의 정실 왕후 신혜왕후의 무덤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현릉 (고려 태조) · 더보기 »

최 (성씨)

외 최(崔)씨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최 (성씨) · 더보기 »

최승로

승로(崔承老, 927년 ~ 989년 6월 17일(음력 5월 12일))는 고려 초의 유학자, 문관, 시인, 문장가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최승로 · 더보기 »

최승우

승우(崔承祐, ? ~ ?)은 신라 말기의 문인이자, 후삼국의 하나인 후백제의 관료, 정치가, 문인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최승우 · 더보기 »

최응

응(崔凝, 898년~932년은 고려(高麗)의 문신(文臣)이자 최우달(崔祐達)이며 태조(太祖)의 책사(策士)이다 본관:황주(黃州) 성은 최(崔) 이름은 응(凝)이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최응 · 더보기 »

최지몽

몽(崔知夢, 906년 ~ 987년)은 고려의 관료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최지몽 · 더보기 »

최수종

수종(崔秀宗, 1962년 12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최수종 · 더보기 »

최언위

언위(崔彦撝, 868년 ~ 944년)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의 유학자이고 문신(文臣) 겸 향가 작가이자 한시 시인이며 서예가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최언위 · 더보기 »

어진

조선 태조의 어진 어진(御眞)은 왕의 초상화를 뜻. 어진 말고도 진용(眞容)·진(眞)·진영 (眞影)·수용(睢容)·성용(聖容)·영자(影子)·영정(影幀)·어용(御容)·왕상(王像)·어영(御影) 이라는 단어들로 불리었다가 1713년(숙종 39년) 숙종어진을 그릴 당시 어용도사도감도제조(御容圖寫都監都提調)였던 이이명의 건의에 따라 ‘어진’이라는 명칭으로 통일하였.

새로운!!: 고려 태조와 어진 · 더보기 »

언양 김씨

언양 김씨(彦陽金氏)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언양 김씨 · 더보기 »

양검

양검(甄良劍, ? ~ 936년 음력 9월)은 후백제 초대 군주 견훤의 둘째 아들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양검 · 더보기 »

양근 함씨

양근 함씨(楊根 咸氏)는 경기도 양평군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양근 함씨 · 더보기 »

양근군

양근군(楊根郡)은 과거 경기도의 행정구역이었.

새로운!!: 고려 태조와 양근군 · 더보기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楊平 菩提寺址 大鏡大師塔碑)는 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활약한 승려인 대경대사(大鏡大師) 여엄(麗嚴: 862∼930)의 행적을 기록한 탑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 더보기 »

양주군

양주군(楊州郡)은 경기도 양주시의 이전 행정구역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양주군 · 더보기 »

양주시

양주시(楊州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양주시 · 더보기 »

양천 허씨

양천 허씨(陽川 許氏)는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구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양천 허씨 · 더보기 »

양산시

양산시청 양산시(梁山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동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양산시 · 더보기 »

양산시의 행정 구역

양산시의 행정 구역은 1읍, 4개면, 8개동으로 구성되어 있. 2012년 8월 1일을 기준으로 양산시의 인구는 269,058으로, 경상남도에서 창원, 김해, 진주에 이어 4번째로 많은 인구를 가지고 있. 면적은 485.18km2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양산시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여양 진씨

여양 진씨(驪陽 陳氏)는 충청남도 홍성군 장곡면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여양 진씨 · 더보기 »

여엄

여엄(麗嚴, 862년~930년)은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의 선승(禪僧)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여엄 · 더보기 »

역분전

역분전(役分田)은 940년(태조 23년)에 통일에 공을 세운 신료, 군사들에게 관등에 관계없이 인품과 공로만을 기준으로 지급한 수조지를 말. 개국공신에 대한 논공행상적 성격이 강했으며 이후 경종 때 전시과가 마련될 때까지 유지되었.

새로운!!: 고려 태조와 역분전 · 더보기 »

역사 연표

역사 연표는 세계사를 적은 연표로 한국사도 포함되어 있.

새로운!!: 고려 태조와 역사 연표 · 더보기 »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KBS 1TV 《역사저널 그날》의 방영 목록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연 (성씨)

연(延, 燕, 淵) 또는 련(連)씨는 성씨의 하나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연 (성씨) · 더보기 »

연등회

연등회(燃燈會)는 한국에서 부처님오신날을 즈음해서 등불을 밝혀 세상을 밝히고자 하는 불교 행사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연등회 · 더보기 »

연주 (고려)

연주(連珠)는 고려의 장군이며, 고려 개국공신(開國功臣)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연주 (고려) · 더보기 »

연안 차씨

연안 차씨(延安 車氏)는 황해도 연안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연안 차씨 · 더보기 »

염 (성씨)

염(廉, 閻)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염 (성씨) · 더보기 »

염상 (고려)

염상(廉湘, ? ~ ?)은 고려의 재상이며, 고려 개국공신(開國功臣)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염상 (고려) · 더보기 »

염신약

염신약(廉信若, 1118년 ~ 1192년 12월 6일(음력 10월 30일))은 고려의 문신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염신약 · 더보기 »

헌목대부인

목대부인 평씨(獻穆大夫人 平氏, 생몰년 미상)는 태조의 제7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헌목대부인 · 더보기 »

헌의왕후

의왕후 유씨(獻懿王后 劉氏)는 고려(高麗)의 제5대 왕(王) 경종(景宗)의 제2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헌의왕후 · 더보기 »

헌정왕후

정왕후(獻貞王后, ~992년 음력 7월 1일 또는 993년 음력 3월 19일)는 고려의 왕족으로, 고려의 제5대 왕 경종의 제4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헌정왕후 · 더보기 »

헌숙왕후

숙왕후 김씨(獻肅王后 金氏, 951년? ~ ?)는 고려 제5대 왕 경종의 제1왕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헌숙왕후 · 더보기 »

헌애왕후

애왕후(獻哀王后, 964년 ~ 1029년 1월 20일 (음력 1월 3일)는 고려의 왕족, 왕비로 고려의 5대 왕 경종의 세 번째 왕비이다. 7대 왕 목종의 모후로, 태조의 아들인 대종과 선의왕후에서 출생하였다. 시호로는 응천계성정덕왕태후(應天啓聖靜德王太后)라 하며 흔히 천추태후(千秋太后)라고도 한다. 경종 사후 궐밖에 나가 살다가 외가 쪽 친척인 김치양과 자주 만나던 중 사통하여 아들을 얻었고, 목종 즉위 후 섭정을 하였으나 자신의 친조카 대량원군을 암살하려 하였다. 경종의 제1비인 헌숙왕후와는 고종 사촌간이었고, 제4비 헌정왕후는 그의 친동생이었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헌애왕후 · 더보기 »

허 (성씨)

(許)씨는 한국과 중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허 (성씨) · 더보기 »

허가바위

바위는 탑산 아래 절벽 및 서울특별시 강서구 가양동 산1-2번지에 있는 구멍 뚫린 바위.

새로운!!: 고려 태조와 허가바위 · 더보기 »

허월

월(金許越)은 고려초의 승려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허월 · 더보기 »

풍기군

풍기군(豊基郡)은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시 서북지역에 있던 옛 행정구역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풍기군 · 더보기 »

풍수

풍수지리(風水地理) 한자어의 뜻을 풀이한 그림 '''자연(風水)이 땅(地)의 모든 기운을 다스림(理)''' 한양의 명당 입지 풍수(風水)는 땅과 공간의 해석과 활용에 대한 동아시아의 고유 사상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풍수 · 더보기 »

풍양 조씨

풍양 조씨(豐壤 趙氏)는 경기도 남양주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풍양 조씨 · 더보기 »

사찬 (관직)

사찬(沙飡)은 520년(법흥왕 7년)에 시행한 신라의 관등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사찬 (관직) · 더보기 »

사천시

사천시(泗川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서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사천시 · 더보기 »

사소부인 (신라)

사소부인(娑蘇夫人) 또는 서술산성모(西述山聖母)는 《삼국유사》에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 거서간의 생모로 전혀 내려오는 인물로, 경주시 선도산의 산신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사소부인 (신라) · 더보기 »

사심관

사심관(事審官)은 고려 때의 관직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사심관 · 더보기 »

삼국 및 고려 시대의 과학기술

민국의 고대, 중세의 과학기술자들은 주목할 만한 과학기술 유산을 남겨 놓았.

새로운!!: 고려 태조와 삼국 및 고려 시대의 과학기술 · 더보기 »

삼국 시대

삼국 시대(三國時代)는 기원전 1세기부터 중앙집권적 국가로 발전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과 그 판도에 영향을 끼친 가야 연맹을 포함한 4개 국가가 한반도와 만주 일대에 세워지면서부터 7세기에 신라에 의해 통일되기까지의 시대를 가리.

새로운!!: 고려 태조와 삼국 시대 · 더보기 »

삼국 시대의 문학

삼국 시대의 문학은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이 성립된 시기와 후삼국 시대까지 대개 서기 1세기부터 10세기에 이르는 기간에 형성되었.

새로운!!: 고려 태조와 삼국 시대의 문학 · 더보기 »

삼척 김씨

삼척 김씨(三陟 金氏)는 강원도 삼척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삼척 김씨 · 더보기 »

삼사 (행정기관)

삼사(三司)는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의 중앙 행정관청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삼사 (행정기관) · 더보기 »

삼화사

삼화사 가이드맵 삼화사(三和寺)는 강원도 동해시의 무릉계곡 입구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 유서 깊은 절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삼화사 · 더보기 »

선도성모 설화

선도성모 설화(仙桃聖母說話) 또는 사소부인 설화(娑蘇夫人說話), 파소부인 설화는 신라의 건국자 박혁거세의 생모인 사소가 중국 또는 북방에서 경주 선도산으로 와서 박혁거세를 낳아 길렀다는 전승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선도성모 설화 · 더보기 »

선의왕후 (고려)

선의왕후 유씨(宣義王后) 또는 선의왕태후 유씨는 고려의 추존왕 대종(戴宗)의 비(妃)로, 성종(成宗)의 모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선의왕후 (고려) · 더보기 »

선정왕후 (목종)

선정왕후 유씨(宣正王后 劉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제7대 왕 목종의 왕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선정왕후 (목종) · 더보기 »

선산 김씨

선산 김씨(善山 金氏) 또는 '일선 김씨'(一善 金氏)는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선산 김씨 · 더보기 »

성목장공주

성목장공주(成穆長公主, ?-?)는 고려 전기의 왕족이자 추존 공주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성목장공주 · 더보기 »

성무부인

성무부인 박씨(聖茂夫人 朴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초대 왕 태조 왕건의 제25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성무부인 · 더보기 »

성거산

성거산(聖居山)은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579m의 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성거산 · 더보기 »

성낙만

성낙만(成樂萬, 1975년 10월 19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성낙만 · 더보기 »

성주군

성주군(星州郡)은 경상북도 서남부에 있는 군으로, 동쪽으로는 낙동강을 경계로 대구광역시 달성군과 경상북도 칠곡군, 서북쪽으로는 경상북도 김천시, 남쪽으로는 경상남도 거창군과 경상북도 고령군, 경상남도 합천군과 경계를 이. 군청 소재지는 성주읍이고, 행정 구역은 1읍 9면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성주군 · 더보기 »

성산구

성산구(城山區)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의 중동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성산구 · 더보기 »

성안동 (울산)

성안동(聖安洞)은 울산광역시 중구의 행정동, 법정동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성안동 (울산) · 더보기 »

세조

세조(世祖)는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로, 왕조의 창업자이거나, 왕조 성립 이전에 이미 창업의 기틀을 세운 제왕, 창업에 가까운 업적을 세운 제왕, 망한 왕조를 다시 세운 제왕, 또한 국가의 체계를 완성시킨 제왕에게 올리는 묘호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세조 · 더보기 »

서 (성씨)

서(徐)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서 (성씨) · 더보기 »

서경 (고려)

서경(西京)은 고려삼경(高麗三京)의 하나로서 오늘날의 평양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서경 (고려)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서울특별시의 역사

서울특별시는 대한민국의 수도이며, 과거 백제, 조선의 수도였.

새로운!!: 고려 태조와 서울특별시의 역사 · 더보기 »

서포면

서포면(西浦面)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사천시의 면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서포면 · 더보기 »

서전원부인

서전원부인(西殿院夫人,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초대 왕 태조 왕건의 제21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서전원부인 · 더보기 »

서필

서필(徐弼, 901년 ~ 965년)은 고려 초의 명신으로 서신일이 나이 팔순이라는 매우 늦은 나이에 본 아들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서필 · 더보기 »

속리산

속리산 (俗離山)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보은군과 괴산군, 경상북도 상주시에 걸쳐 있는 높이 1,058m의 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속리산 · 더보기 »

송정동 (울산)

송정동(松亭洞)은 울산광역시 북구의 법정동 및 행정동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송정동 (울산) · 더보기 »

소가야

소가야(小伽倻)는 여섯개의 가야 가운데 신라 유리왕 19년(42년)에 경상남도 고성군 부근에 세워진 나라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소가야 · 더보기 »

소광주원부인

소광주원부인 왕씨(小廣州院夫人 王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초대 왕 태조 왕건의 제16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소광주원부인 · 더보기 »

소율희

소율희(蘇律熙, 생몰년 미상), 또는 김율희(金律熙)는, 10세기 초 김해의 호족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소율희 · 더보기 »

소서원부인

소서원부인 김씨(小西院夫人 金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 초대 왕 태조 왕건의 제20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소서원부인 · 더보기 »

소안도

소안도(所安島)는 대한민국 남해안의 섬으로, 전라남도 완도군 소안면에 속. 면적은 23.22 km2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소안도 · 더보기 »

소황주원부인

소황주원부인(小黃州院夫人, 생몰년 미상)은 고려의 초대 왕 태조 왕건의 제24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소황주원부인 · 더보기 »

통일신라

통일신라(統一新羅)란 백제와 고구려가 멸망한 이후인 668년부터 후삼국 시대 직전의 신라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통일신라 · 더보기 »

통의후

통의후 왕교(通義侯 王僑, 1097년 ~ 1119년 음력 4월 19일)는 고려 중기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통의후 · 더보기 »

통진군

통진군(通津郡)은 경기도의 옛 행정구역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통진군 · 더보기 »

함평 이씨

평 이씨(咸平 李氏)는 전라남도 함평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함평 이씨 · 더보기 »

함창군

창군(咸昌郡)은 함창읍을 중심으로 공검면과 이안면의 상주시 북부 1읍2면에 있던 옛 행정 구역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함창군 · 더보기 »

함안 조씨

안 조씨(咸安 趙氏)는 경상남도 함안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함안 조씨 · 더보기 »

합천 이씨

합천 이씨(陜川 李氏)는 경상남도 합천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합천 이씨 · 더보기 »

해량원부인

량원부인(海良院夫人, 생몰년 미상)은 고려의 초대 왕 태조 왕건의 제29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해량원부인 · 더보기 »

해인사

인사(海印寺)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가야산 중턱에 있는 사찰로서 팔만대장경이 세계기록유산, 팔만대장경을 보관하는 장경판전이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해인사 · 더보기 »

해주 오씨

주 오씨(海州 吳氏)는 황해도 해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해주 오씨 · 더보기 »

해주 최씨

주 최씨(海州 崔氏)는 황해도 해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해주 최씨 · 더보기 »

해주 왕씨

주 왕씨(海州 王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해주 왕씨 · 더보기 »

해주시

주시(海州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자 황해남도청 소재지 그리고 황해남도의 유일한 시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해주시 · 더보기 »

해안역

안역(解顔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로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해안역 · 더보기 »

한 (성씨)

(韓, 漢)씨는 중국 및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한 (성씨) · 더보기 »

한반도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한반도의 모양 한반도(韓半島)는 정치지리학적으로 동아시아에 위치해 있으며, 지형학적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동북쪽 끝에 있는 반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한반도 · 더보기 »

한국

국(韓國) 또는 조선(朝鮮)은 한민족의 나라를 말. 현대사에서 한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한국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한국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의 도교 사상

국의 도교(道敎)를 다루는 관점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 있. 하나는 한국의 도교가 한국 고래의 민족 고유 신앙에 원류를 두고 있다는 관점에서 한국의 도교를 설명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한국의 도교가 중국에서의 도교, 즉 중국 민족의 민간 신앙을 바탕으로 하여 황로사상(黃老思想)을 중심으로 정립된 후한(後漢: 25~220) 말기의 기원후 2세기 전반기에 장각(張角: ?~184)이 개창한 태평도(太平道)와 장릉(張陵: 34~156)이 개창한 오두미도(五斗米道)를 도교의 원류로 보는 관점에서 한국의 도교를 설명하는 경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한국의 도교 사상 · 더보기 »

한국의 반란 목록

국사 반란 목록은 한국사에서 있었던 반란을 모아 편집한 것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한국의 반란 목록 · 더보기 »

한국의 불교 사상

본 문서 한국의 불교 사상은, 한국에 전래된 불교에서 전개된 사상을 설명.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한국의 불교 사상 · 더보기 »

한국의 종교

국의 종교(韓國_宗敎)는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지역에서 믿어지는 종교를 말. 여기에서는 역사를 위주로 설명.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한국의 종교 · 더보기 »

한국의 유교

동아시아의 사상의 흐름은 크게 유교와 불교 그리고 도교인데, 한국은 이러한 세 가지 사상적 요소를 모두 흡수·구비하여 발전시켜 왔. 그 가운데서도 중국과는 지역적으로 인접한 까닭에 고대로부터 유교사상이 한국에 들어와 민족정신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한국의 유교 · 더보기 »

한국의 수도

음은 한국사에 존재했던 여러 나라들의 수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한국의 수도 · 더보기 »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한국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의 연극

국 연극(韓國_演劇)의 장르는 가면극, 인형극, 판소리, 창극, 신파극, 신극의 여섯으로 크게 나눌 수 있.梁在淵, 문화·민속/한국의 연극/한국의 연극[서설], 《글로벌 세계 대백과》.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한국의 연극 · 더보기 »

한국의 연호

국의 연호는 고구려 광개토왕이 최초로 사용한 이래 몇 차례 사용되었.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한국의 연호 · 더보기 »

한국의 성씨와 이름

국의 이름은 성(姓)과 명(名)으로 구성되며, 이를 합하여 성명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한국의 성씨와 이름 · 더보기 »

한천면

면(寒泉面)은 전라남도 화순군에 위치한 면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한천면 · 더보기 »

한산주

남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한산주(漢山州) 또는 한주(漢州)는 신라의 광역 행정구역인 9주 5소경의 한 주(州)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한산주 · 더보기 »

안 (성씨)

안(安, 顔)씨는 한국의 성씨 및 중국의 성씨.

새로운!!: 고려 태조와 안 (성씨) · 더보기 »

안동 권씨

안동 권씨(安東 權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안동 권씨 · 더보기 »

안동 장씨

안동 장씨(安東 張氏)는 경상북도 안동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안동 장씨 · 더보기 »

안동시

안동시(安東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중북부에 있는 시이자, 경상북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안동시 · 더보기 »

안동시의 역사

안동시의 역사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의 역사에 대해서.

새로운!!: 고려 태조와 안동시의 역사 · 더보기 »

안수궁주

안수궁주(安壽宮主,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안수궁주 · 더보기 »

안심동

안심동(安心洞)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구의 행정동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안심동 · 더보기 »

안심역

안심(혁신도시·첨복단지)역(安心(革新都市·尖複團地)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구 안심로 송정삼거리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지하철역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안심역 · 더보기 »

하림궁

림궁(河臨宮)은 신라의 진흥왕(眞興王)이 청풍강 유역을 점령하고 순수한 강역에서 악사(樂師) 우륵(于勒)을 불러 탄주한 별궁(別宮)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하림궁 · 더보기 »

하북면

북면(下北面)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양산시의 면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하북면 · 더보기 »

하회마을

회마을(河回里)은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에 있는 민속마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하회마을 · 더보기 »

하음 봉씨

음 봉씨(河陰 奉氏)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하음 봉씨 · 더보기 »

하서주

남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하서주(河西州) 또는 명주(溟州)는 신라의 광역 행정구역인 9주 5소경의 한 주(州)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하서주 · 더보기 »

아자개

아자개(阿慈介)는 후백제(後百濟) 군주 견훤(甄萱)의 아버지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아자개 · 더보기 »

아지태

아지태(阿志泰)는 태봉(후고구려) 군주 궁예(弓裔)의 관리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아지태 · 더보기 »

아시아의 역사

아시아의 문명을 잇는 실크로드 몽골제국 이전의 아시아 아시아의 역사는 동아시아와 남아시아, 중동등의 해안 지역과 이를 잇는 유라시아 스텝 지역의 역사 등으로 이루어져 있. 해안 지역에서는 메소포타미아와 인더스 강, 황하 등의 큰 강 유역에서 주요 고대 문명이 발생하였.

새로운!!: 고려 태조와 아시아의 역사 · 더보기 »

신 (성씨)

신(申, 辛, 愼)씨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신 (성씨) · 더보기 »

신 안동 김씨

신 안동 김씨(新 安東 金氏)는 신라 말 고창의 성주로 있다가 고려의 개국공신이 되어 고려 태조로부터 안동을 식읍으로 하사받고 태사공(太師公)에 봉해진 김선평(金宣平)을 시조.

새로운!!: 고려 태조와 신 안동 김씨 · 더보기 »

신덕왕후

신덕왕후 강씨(神德王后 康氏, 1356년 7월 12일(음력 6월 14일) ~ 1396년 9월 15일(음력 8월 13일))는 조선 태조(太祖)의 계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신덕왕후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고려 태조와 신라 · 더보기 »

신라의 역대 왕비

음은 신라의 왕비 연대표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신라의 역대 왕비 · 더보기 »

신립

신립(申砬, 1546년 10월 23일 ~ 1592년 4월)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신립 · 더보기 »

신명순성왕후

신명순성왕후 유씨(神明順成王后 劉氏, ? ~ 951년전) 태조의 제3왕비이며, 정종과 광종의 모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신명순성왕후 · 더보기 »

신강 (고려)

신강(信康, 생몰년 미상)은 후백제 말기, 고려 전기의 관인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신강 (고려) · 더보기 »

신검

신검(甄神劍,? ~ 936년 9월 26일(음력 9월 8일?), 재위: 935년 11월 15일(음력 10월 17일)~936년 9월 26일(음력 9월 8일?)은 후백제(後百濟)의 두 번째 왕이자 마지막 왕이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신검 · 더보기 »

신정왕후

신정왕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고려 태조와 신정왕후 · 더보기 »

신정왕후 (고려)

신정왕후(神靜王后, 900년대 초 - 983년 8월 19일 (음력 7월 9일)는 고려 태조의 왕비(제4비)이다. 성은 황보(皇甫), 본관은 황주(黃州)이며, 정식시호는 정헌의경선덕자경신정왕태후(定憲懿敬宣德慈景神靜王太).

새로운!!: 고려 태조와 신정왕후 (고려) · 더보기 »

신주원부인

신주원부인 강씨(信州院夫人 康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초대 왕 태조 왕건의 제22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신주원부인 · 더보기 »

신천 강씨

신천 강씨(信川 康氏)는 황해남도 신천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신천 강씨 · 더보기 »

신숭겸

신숭겸(申崇謙, 전라남도 곡성군 용산재, ? ~ 927년 9월?)은 후삼국시대 태봉 말기 및 고려 초기의 무신으로, 고려의 개국 공신으로, 궁예의 부장이었으나 918년 왕건을 추대하여 고려 건국에 기여하였으며 927년 공산 전투에서 왕건의 갑옷을 바꾸어 입고 대신 전사하였.

새로운!!: 고려 태조와 신숭겸 · 더보기 »

신혜왕후

신혜왕후 류씨(神惠王后 柳氏)는 고려 태조의 제1왕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신혜왕후 · 더보기 »

신사임당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년 12월 5일(음력 10월 29일) ~ 1551년 6월 20일(음력 5월 17일)) 또는 신사임(申師任), 사임당 신씨(師任堂申氏)는 조선 시대 중기의 문인이자 유학자, 화가, 작가, 시인이었.

새로운!!: 고려 태조와 신사임당 · 더보기 »

신성왕후

신성왕태후 김씨(神成王太后 金氏) 또는 신성왕후(神成王后)는 신라의 왕족 출신 고려의 왕후로 고려 태조 왕건의 제5왕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신성왕후 · 더보기 »

신안 주씨

신안 주씨(新安 朱氏) 또는 능성 주씨(綾城 朱氏)는 중국에서 유래한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신안 주씨 · 더보기 »

시무 28조

시무 28조(時務二十八條)는 고려 초 문신 최승로(崔承老)가 6대 임금 성종에게 건의한 28조의 시무책(時務策)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시무 28조 · 더보기 »

시흥시

장현동 시흥시청사 시흥시(始興市)는 경기도의 중서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시흥시 · 더보기 »

시중

시중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고려 태조와 시중 · 더보기 »

시중 (신라의 관직)

시중은 신라의 관직으로, 당나라의 문하시중을 본따 만든 직책이며 원래 651년 진덕여왕 시절에 처음 시행된 관직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시중 (신라의 관직) · 더보기 »

원공국사

원공국사(930-1018)는 고려 광종 때의 승려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원공국사 · 더보기 »

원균

원균(元均, 1540년 2월 12일 (음력 1월 5일) ~ 1597년 8월 27일 (음력 7월 15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 군인으로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장수들 중의 한사람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원균 · 더보기 »

원비디

원비디(元肥·D, Wonbi·D)는 대한민국의 일양약품이 생산·판매한 인삼 드링크 및 자양강장제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원비디 · 더보기 »

원녕태자

원녕태자(元寧太子, ? ~976년)는 고려(高麗)의 태자(太子)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원녕태자 · 더보기 »

원용왕후

원용왕후 유씨(元容王后 柳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제8대 왕 현종의 제5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원용왕후 · 더보기 »

원장태자

원장태자(元莊太子)은 고려(高麗) 의 태자(太子)이자 태조(太祖)와 정덕왕후(貞德王后)의 아들이다, 성은 왕(王), 이름은 전해지지 않. 본관은 개성(開城).

새로운!!: 고려 태조와 원장태자 · 더보기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原州 興法寺址 眞空大師塔 및 石棺)은 신라 말 고려 초의 고승 진공대사의 사리탑과 석관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 · 더보기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原州 興法寺址 眞空大師塔碑)는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안창리 흥법사지에 있는 진공대사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로 대한민국의 보물 제463호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 더보기 »

원주역

원주역(原州驛)은 대한민국 강원도 원주시 학성동에 있는 중앙선의 철도역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원주역 · 더보기 »

원준량

원준량(元俊良, ? - ?)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군인, 정치인으로 임진왜란 때의 장군 원균, 원연, 원용의 아버지이자 원사웅의 조부였.

새로운!!: 고려 태조와 원준량 · 더보기 »

원창왕후

원창왕후(元昌王后,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추존 왕후로, 추존왕 의조(작제건)의 부인이자 태조 왕건과 왕식렴의 할머니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원창왕후 · 더보기 »

훈요십조

훈요 십조(訓要十條)는 《고려사》에 수록된, 고려 태조가 후손에게 남겼다는 열 가지 가르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훈요십조 · 더보기 »

월경지

(그림 1) C의 주권이 B에 속해 있으며, B의 경계를 넘어 존재하기 때문에 C는 B의 '''월경지'''이다. 이에 대해 C는 A의 영토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A의 '''위요지'''이다. (그림 2) C는 B의 월경지이지만, A와 D가 국경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위요지는 아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레소토(빨강 부분)를 완전히 감싸고 있다. 월경지(越境地)는 특정 국가나 특정 행정구역에 속하면서 본토와는 떨어져, 주위를 다른 나라·행정구역 등에 둘러싸여 격리된 곳을 말. 월경지 외에 비지(飛地)·비입지(飛入地)·포령(包領) 등의 용어도 쓰인.

새로운!!: 고려 태조와 월경지 · 더보기 »

월경원부인

월경원부인 박씨(月鏡院夫人 朴氏)는 고려의 초대 왕 태조 왕건의 제27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월경원부인 · 더보기 »

월화원부인

월화원부인 양씨(月華院夫人 梁氏)은 고려의 초대 왕 태조 왕건의 제23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월화원부인 · 더보기 »

후백제

후백제(後百濟, 892년~936년)는 892년(신라 진성여왕 6년)에 백제의 부흥 운동을 시작으로 900년 견훤이 완산주(오늘날의 전주시)를 도읍으로 삼아 세운 나라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후백제 · 더보기 »

후광주원부인

후광주원부인 왕씨(後廣州院夫人 王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제2대 왕 혜종의 제2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후광주원부인 · 더보기 »

후삼국 시대

후삼국 시대(後三國時代, 892년 ~ 936년)는 남북국 시대의 신라와 발해가 병립(竝立)하고 있을 때로, 892년 비장 견훤이 서남부의 무진주(현 광주)를 점령 후 왕이라 칭하지 않고 대신 개국공을 칭한 후부터 936년 고려의 왕건이 신라와 후백제를 정복해 통일하기까지의 시기를 가리.

새로운!!: 고려 태조와 후삼국 시대 · 더보기 »

후삼국 시대 인물 목록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후삼국 시대 인물 목록 · 더보기 »

홍 (성씨)

홍(洪)씨는 성씨의 하나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홍 (성씨) · 더보기 »

홍주 홍씨

홍주 홍씨(洪州 洪氏)는 충청남도 홍성군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홍주 홍씨 · 더보기 »

홍유

홍유(洪儒)는 고려 초기의 무신(武臣)이자 고려 개국공신 가운데 한 명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홍유 · 더보기 »

황보 (성씨)

황보(皇甫)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황보 (성씨) · 더보기 »

황보제공

황보제공(皇甫悌恭)은 고려(高麗) 초기의 호족으로 태조(太祖)비 신정왕후(神靜太后)의 아버.

새로운!!: 고려 태조와 황보제공 · 더보기 »

황제

황제(皇帝)는 제국(帝國)의 세습 군주의 존호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황제 · 더보기 »

황주 황보씨

황주 황보씨(黃州 皇甫氏)는 황해북도 황주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황주 황보씨 · 더보기 »

황주량

황주량(黃周亮, 983? ~ 1043년)은 고려 전기의 문신이자 학자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황주량 · 더보기 »

황태후

황태후(皇太后)는 전 황제의 정실 배우자이며, 현 황제의 어머니뻘 되는 황실 여성에게 붙이는 칭호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황태후 · 더보기 »

황산 전투 (936년)

황산 전투는 일리천 전투에서 패주한 후백제군이 황산벌에서 치른 최후의 결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황산 전투 (936년) · 더보기 »

외왕내제

외왕내제(外王內帝)는 외부적으로는 국왕을 칭하지만 내부적으로는 황제를 칭하는 이중 체제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외왕내제 · 더보기 »

환곡

환곡(還穀)은 조선 시대에 있었던 구휼(救恤) 제도 가운데 하나로서, 흉년 또는 춘궁기에 곡식을 빌려 주고 풍년·추수기에 되받는 진휼제도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환곡 · 더보기 »

환선길

환선길(桓宣吉, ?년 ~918년) 왕건의 궁예 추출 정변 이후 왕건에게 반란을 일으킨 장군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환선길 · 더보기 »

화정면 (여수시)

화정면(華井面)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여수시의 면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화정면 (여수시) · 더보기 »

화순읍

화순읍(和順邑)은 전라남도 화순군에 위치한 읍으로, 지리상 화순군 서북부에 위치하고 동쪽으로 동면, 이서면, 서쪽으로 나주시, 남쪽으로는 한천면, 능주면, 도곡면에 접하고, 북쪽으로는 광주광역시 동구와 남구에 접하고 있. 거창읍, 옥천읍, 증평읍, 울릉읍처럼 군 전체 인구의 50%이상이 거주하는 몇 안되는 읍 중 하나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화순읍 · 더보기 »

화엄사

화엄사(華嚴寺)는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에 위치한 사찰로 대한불교 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화엄사 · 더보기 »

왕 (한국 성씨)

왕(王)씨는 한국 성씨 순위는 82위로 2만명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왕 (한국 성씨) · 더보기 »

왕망

왕망(王莽, 기원전 45년 ~ 기원후 25년 10월 6일)은 중국 전한 말기의 관료이자 신나라의 황제로, 자는 거군(巨君)이며 위군 원성현(元城縣) 사람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왕망 · 더보기 »

왕건 (동음이의)

왕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고려 태조와 왕건 (동음이의) · 더보기 »

왕건반정

왕건반정또는 고려의 성립은 918년에 왕건이 태봉의 왕 궁예를 내쫓고 국호를 고려로 되돌린 것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왕건반정 · 더보기 »

왕경

왕경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고려 태조와 왕경 · 더보기 »

왕규 (1142년)

왕규(王珪, 1142년 ~ 1228년)는 고려 중기 문신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왕규 (1142년) · 더보기 »

왕규 (함규)

(咸規, 생년 미상 ~ 945년) 또는 왕규(王規)는 고려 전기의 재신(宰臣)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왕규 (함규) · 더보기 »

왕규의 난

왕규의 난(王規之亂)은 고려 초기 왕실의 외척 왕규(王規)가 자신의 손자인 광주원군(廣州院君)을 왕위에 등극시키기 위해 일으킨 반란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왕권이 미약한 데에서 발생한 고려 혜종(惠宗) 때의 왕위 계승을 둘러싸고 일어난 사건으로 고려사에서 승자에 의해 왜곡된 기록의 대표적인 사례로 여.

새로운!!: 고려 태조와 왕규의 난 · 더보기 »

왕국모 (고려의 무신)

왕국모(王國髦, ? ~ 1095년)는 고려의 무신이자 왕족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왕국모 (고려의 무신) · 더보기 »

왕국모 (고려의 문신)

왕국모(王國髦, ? ~ ?)는 고려 현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강릉(江陵)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왕국모 (고려의 문신) · 더보기 »

왕욱

왕욱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고려 태조와 왕욱 · 더보기 »

왕자지

왕자지(王字之, 1066년 ~ 1122년 5월 2일 (음력 3월 24일))는 고려 중기의 문신, 외교관, 음악가이자 군인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왕자지 · 더보기 »

왕평달

왕평달(王平達)은 신라(新羅)의 문신으로 고려(高麗) 의 태조(太祖)의 숙부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왕평달 · 더보기 »

왕흥

왕흥(王興, ? ~ 1401년)은 여말선초의 정치인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왕흥 · 더보기 »

왕희순 (고려)

왕희순(王希順)은 신라(新羅)말 고려(高麗) 초기 사람으로 고려(高麗)의 개국공신(開國功臣) 삼한벽상익찬공신(三韓壁上翊贊功臣) 2등이었.

새로운!!: 고려 태조와 왕희순 (고려) · 더보기 »

왕의

왕의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고려 태조와 왕의 · 더보기 »

왕직

왕직(王稷)는 고려(高麗)의 태자(太子)이자 태조(太祖)와 흥복원부인(興福院夫人)의 아들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왕직 · 더보기 »

왕충 (1078년)

왕충(王冲, 1078년 ~ 1159년)은 고려 중기의 왕족, 문신, 정치가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왕충 (1078년) · 더보기 »

왕충 (고려 초기)

왕충(王忠)은 고려(高麗) 초기의 무신(武臣)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왕충 (고려 초기) · 더보기 »

왕융

왕융 또는 왕륭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고려 태조와 왕융 · 더보기 »

왕위군

왕위군(王位君)은 고려(高麗) 의 태자(太子)이자 태조(太祖)와 정덕왕후(貞德王后)의 아들이다, 성은 왕(王), 이름은 전해지지 않. 본관은 개성(開城).

새로운!!: 고려 태조와 왕위군 · 더보기 »

왕태

왕태(王泰, ~921년)는 고려(高麗)의 태자(太子)이자 태조(太祖)와 신명순성왕후(神明順成王后)의 장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왕태 · 더보기 »

왕태후

왕태후(王太后)는 독립국 국왕의 친모를 일컫는 칭호였.

새로운!!: 고려 태조와 왕태후 · 더보기 »

왕순식

왕순식(王順式)은 강원도 명주의 호족 허월(許越)의 아들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왕순식 · 더보기 »

왕예 (고려)

왕예(王乂)는 신라 말 고려 초 명주의 호족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왕예 (고려) · 더보기 »

왕식렴

왕식렴(王式廉, 생년 미상 ~ 949년 2월 7일 (음력 1월 7일)은 신라 출신 후고구려의 귀족이자 고려의 왕족으로 태조 왕건의 백부 왕평달의 아들이며 왕건의 사촌동생이다. 국역 《고려명신전》(2004, 남공철 저, 김동주 역 성남 문화원 발행) 32쪽. 고려의 개국공신이자 정종 즉위를 도운 공로로 광국익찬공신에 책록되었다. 왕신과 왕육의 형이며, 왕희순과는 사촌간이다. 본관은 개성(開城) 시호는 위정(威靜).

새로운!!: 고려 태조와 왕식렴 · 더보기 »

왕신

왕신(王信, ? ∼927년 1월)은 고려(高麗) 전기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왕신 · 더보기 »

왕원

왕원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고려 태조와 왕원 · 더보기 »

KBS 연기대상

KBS 연기대상()은 한 해 동안 KBS 드라마에서 연기를 한 연기자를 그 대상으로 하여 1987년부터 시작하여 매년 12월 31일 밤에 생방송으로 진행하는 시상식 프로그램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KBS 연기대상 · 더보기 »

10세기

10세기는 901년부터 1000년까지이.

새로운!!: 고려 태조와 10세기 · 더보기 »

1월 31일

1월 3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번째(윤년일 경우도 3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고려 태조와 1월 31일 · 더보기 »

7월 4일

7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5번째(윤년일 경우 18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고려 태조와 7월 4일 · 더보기 »

87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877년 · 더보기 »

91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918년 · 더보기 »

91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919년 · 더보기 »

92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920년 · 더보기 »

92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921년 · 더보기 »

92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922년 · 더보기 »

92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923년 · 더보기 »

92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924년 · 더보기 »

92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925년 · 더보기 »

92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926년 · 더보기 »

92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927년 · 더보기 »

92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928년 · 더보기 »

92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929년 · 더보기 »

93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930년 · 더보기 »

93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931년 · 더보기 »

93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932년 · 더보기 »

93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933년 · 더보기 »

93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934년 · 더보기 »

93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935년 · 더보기 »

93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936년 · 더보기 »

93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937년 · 더보기 »

93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938년 · 더보기 »

93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939년 · 더보기 »

94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940년 · 더보기 »

94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941년 · 더보기 »

94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942년 · 더보기 »

94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태조와 943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고려 왕건, 신성대왕, 왕 건, 왕건, 태조 왕건, 태조신성대왕, 후대량원부인, 후대량원부인 이씨.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