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고속철도

색인 고속철도

속철도(高速鐵道, high-speed rail) 또는 초특급(超特急, super-express)은 여객 철도의 한 유형으로, 기존의 비고속철도 중 가장 빠른 특급보다 더 빠른 철도 차량, 또 그에 대응할 수 있는 시설들을 지칭.

229 처지: AGV, AVE, AVE (동음이의), CAF 오아리스, CR400, CRH380A, CRH380B, CRH380C, EMU-300, 러시아의 고속철도, 도리카이 차량 기지, 도카이도 신칸센, 도키 (열차), 독일철도 403급, 독일철도 406급, 독일철도 407급, 라이트 레일, 라티나 역, 렌페, 렌페 100급, 렌페 103급, 렌페 104급, 렌페 114급, 렌페 120급·렌페 121급, 렌페 490급, 레일젯, 레일팀, 레일웨이 가제트 인터내셔널, 링컨 서비스, 말라가, 메트로 라이너, 모스크바-베이징 고속철도, 모스크바-카잔 고속철도, 모스크바-상트페테르부르크 고속철도, 바이마르, 간선철도, 건널목, 경부, 경부고속철도, 경부고속선, 경부선, 버드 메트로라이너, 고트하르트 베이스 터널, 볼스터리스 대차, 공기 용수철, 복선 (철도), 공항철도, 광명역, 광선강 고속철도, 봄바디어 제피로, ..., 분기기, 부산광역시의 교통, 그랜드 히카리, 극한 직업의 에피소드 목록, 브라질, 브라질 고속철도, 블루워터 (열차), 빨강, 김천역, 대전 새마을호 열차 탈선 사고, 대전광역시, 구마모토 종합 차량소, 구미역, 뒤셀도르프 국제공항, 나스노 (열차), 나폴리, 노스이스트 리저널, 노스이스트 코리더, 뉴펜돌리노, 다니가와 (열차), FS ETR 500급, HEMU-430X, HSL 자위트, HSR-350x, ICE 1, ICE 2, ICE 3, ICE 4, ICE S, ICE T, ICE TD, 스우 고속철도, 스히폴-안트베르펜 고속선, 용산구, 우광 고속철도, 우쓰노미야 시, 트랜스포드, 트레니탈리아, 승강장, IZY, 히카리 레일스타, 큐슈신칸센, 평면교차, 인터시티익스프레스, 인터시티익스테멘털, 일본의 대외 관계, 전자파 적합성, 전산 유체 역학, 조에쓰 신칸센, 주오 신칸센, 중국고속철도 CRH1, 중국고속철도 CRH2, 중국고속철도 CRH3, 중국고속철도 CRH5, 중국고속철도 CRH6, 중국철도 DJJ1, 중국철도 중화지성, 중국철로고속, 중화민국의 대외 관계, 중화인민공화국의 고속철도, 집전장치, 징광 고속철도, 징스 고속철도, 징타이 고속철도, 징하 고속철도, 징후 고속철도, 지멘스 벨라로, 지선철도, 철도, 철도의 전철화, 체크포인트 찰리, 천안아산역, 칭타이 고속철도, 카디널 (암트랙), 카사블랑카-탕헤르 고속철도, 코임브라 B 역, 쿠알라룸푸르, 유레일, 유로메드, 유로나이트, 유로듀플렉스, 유로스타, 파스텍 360, 탈리스, 탈고 아브릴, 타이완 고속철도, 타이완 고속철도 700T형 전동차, 수도권 전철 1호선, 수서고속철도, 수서평택고속선, 영국 철도 373, 영국 철도 374, 영국 철도 395, 영국 철도 800, 영국 철도 801, 영국 철도 802, 오리엔트 역,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 오토트레인, 호남고속선, 호남선 작업인부 사고, 호쿠리쿠 신칸센, 예루살렘 고속철도, 현대로템, 에어프랑스-KLM, 연접대차, 열차, 허벙 고속철도, 허페이 지하철, 허푸 고속철도, 키스톤 (암트랙), 산요 신칸센, 산타아폴로니아 역,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 삽산, 프랑스의 대외 관계, 프레시아로사 1000, 선단 고속철도, 터널, 터키의 교통, 소콜 (열차), 쇼와 시대, 항푸선 고속철도, 야마비코 (열차), 한국고속철도, 한국철도공사, 알파 펜둘라르, 하이퍼루프, 암트랙의 운행 노선, 아빌리아 리버티, 아오바 (열차), 아사마 (열차), 아사히 (열차), 아산역, 아셀라 익스프레스, 앙카라, 쉬란 고속철도, 신축이음매, 신칸센, 신칸센 0계 전동차, 신칸센 1000계 전동차, 신칸센 500계 900번대 전동차, 신칸센 951계 전동차, 신칸센 952계·953계 전동차, 신칸센 955계 전동차, 신칸센 961계 전동차, 신칸센 962계 전동차, 신칸센 E4계 전동차, 신칸센 E7계·W7계 전동차, 신칸센 E954계 전동차, 신칸센 E955계 전동차, 신칸센 N700계 전동차, 웨스트 히카리, 후쿤 고속철도, 후한룽 고속철도, 홋카이도 신칸센, KTX 여승무원 고용 분쟁, KTX-DD, KTX-I, KTX-산천, MTR CRH380A, OUIGO, SBB-CFF-FFS RABDe 500, SNCF TGV 라포스테, SNCF TGV 듀플렉스, SNCF TGV 이리스, SNCF TGV POS, TGV, TGV 001, TGV 리리아, V250, YHT, 10월 1일, 12월 26일, 2011년, 2012년, 2012년 12월, 2016년 가오슝 지진, 5월 18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79 더) »

AGV

AGV(아제베) 또는 FS ETR 575급()은 프랑스 알스톰의 고속철도 차량 혹은 그 개발 프로젝트를 의미.

새로운!!: 고속철도와 AGV · 더보기 »

AVE

AVE S-103 AVE 로고 AVE는 렌페가 운영하는 스페인의 고속철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AVE · 더보기 »

AVE (동음이의)

AVE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AVE (동음이의) · 더보기 »

CAF 오아리스

CAF 오아리스()는 스페인의 고속철도 차량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CAF 오아리스 · 더보기 »

CR400

중국고속철도 CR400형() 또는 중국 표준형 고속철도() 또는 푸싱하오()는 중화인민공화국 철도부에서 운영하는 고속열차로 중화인민공화국의 중국고속철도를 제조한 CRRC 칭다오 시팡, CRRC 창춘 시팡, CRRC 탕산에서 개발한 고속철도 차량으로 2016년부터 도입.

새로운!!: 고속철도와 CR400 · 더보기 »

CRH380A

CRH380A형 전철 또는 CRH2-380형 전철()은 중화인민공화국 철도부(중국 국철)가 새로 건설한 도시간 고속철도 여객 전용선에 영업 운전을 위해, 중국 남차 청도 사방 기차 차량의 CRH2C(CRH2-300) 형식의 전철을 기반으로 개발 중인 고속철도 차량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CRH380A · 더보기 »

CRH380B

CRH380B형 전철()은 중국고속철도 CRH3 차량을 기반으로 개발된 중화인민공화국의 고속철도 차량으로 허셰호()로 불린.

새로운!!: 고속철도와 CRH380B · 더보기 »

CRH380C

CRH380C형 전철()은 중국고속철도 CRH3과 CRH380B를 기반으로 시속 최고 영업 속도 380km를 목표로 만들어진 고속철도 차량으로 허셰호()로 불린.

새로운!!: 고속철도와 CRH380C · 더보기 »

EMU-300

EMU-300(Electric Multiple Unit-300)은 시험차량 HEMU-430X의 기술을 이용하여 만들 예정인 한국철도공사의 고속철도 차량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EMU-300 · 더보기 »

러시아의 고속철도

시아의 고속철도 노선 러시아의 고속철도는 오는 2020년부터 개통 예정으로 러시아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현재 모스크바-카잔 고속철도 노선이 건설 중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러시아의 고속철도 · 더보기 »

도리카이 차량 기지

리카이 차량 기지() 또는 도리 기지()는 오사카부 셋쓰 시에 있는 신칸센 차량 사업소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도리카이 차량 기지 · 더보기 »

도카이도 신칸센

이도 신칸센()은 신칸센 노선의 하나로 도쿄 도 지요다 구에 있는 도쿄 역에서 오사카부 오사카 시에 있는 신오사카 역까지를 잇는 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 노선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도카이도 신칸센 · 더보기 »

도키 (열차)

()는 동일본 여객철도가 운영하는 조에쓰 신칸센에서 운행개시된 고속열차로 도키의 경우 일본어로 따오기를 의미.

새로운!!: 고속철도와 도키 (열차) · 더보기 »

독일철도 403급

독일철도 403급() 또는 인터시티익스프레스 3호()는 독일철도의 고속열차로 인터시티익스프레스를 운영하고 있. 1997년부터 2006년까지 제작되었.

새로운!!: 고속철도와 독일철도 403급 · 더보기 »

독일철도 406급

독일철도 406급() 또는 인터시티익스프레스 3M호()는 독일철도의 고속열차로 인터시티익스프레스를 운영하고 있. 1997년부터 도입되었.

새로운!!: 고속철도와 독일철도 406급 · 더보기 »

독일철도 407급

독일철도 407급() 또는 인터시티익스프레스 벨라로 D호()는 독일철도의 고속열차로 인터시티익스프레스를 운영하고 있. 2008년부터 2012년까지 도입되었.

새로운!!: 고속철도와 독일철도 407급 · 더보기 »

라이트 레일

로스앤젤레스에서 대부분의 대중교통 확장은 라이트 레일에 의해 이루어져왔다. 유타교통국의 TRAX는 미국에서 매우 빨리 성장하고 있는 라이트 레일 시스템 중 하나다. 라이트 레일(Light rail), 혹은 LRT(Light Rail Trasit)는 노면전차와 비슷한 형태의 열차와 궤도를 이용한 도시교통수단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라이트 레일 · 더보기 »

라티나 역

역은 이탈리아 라치오 주에 있는 라티나 시의 주 철도역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라티나 역 · 더보기 »

렌페

(RENFE)는 스페인의 공영 철도 기업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렌페 · 더보기 »

렌페 100급

100급 또는 AVE 100급()은 스페인의 철도 기업인 렌페가 운행하는 고속열차로 AVE 최초의 고속철도 차량으로 TGV 아틀랑티크 모델을 기반으로 제작.

새로운!!: 고속철도와 렌페 100급 · 더보기 »

렌페 103급

103급 또는 AVE 103급()은 스페인의 철도 기업인 렌페가 운행하는 고속열차로 AVE 최초의 동력분산식 고속철도 차량으로 지멘스 벨라로 모델을 기반으로 제작.

새로운!!: 고속철도와 렌페 103급 · 더보기 »

렌페 104급

104급()은 스페인의 철도 기업인 렌페가 운행하는 고속열차로 아반트에서 운행하고 있. 펜돌리노 차량을 기반으로 개발되었.

새로운!!: 고속철도와 렌페 104급 · 더보기 »

렌페 114급

114급()은 스페인의 철도 기업인 렌페가 운행하는 고속열차로 아반트에서 운행하고 있. 펜돌리노 차량을 기반으로 개발되었.

새로운!!: 고속철도와 렌페 114급 · 더보기 »

렌페 120급·렌페 121급

120급() 또는 렌페 121급()은 2001년 알스톰, CAF에서 발주해 현재는 57편성이 운행하고 있. 또한 이 열차의 명칭은 세피아()란 명칭이 있. 2009년에 YHT 노선에 도입하기 위해 터키에 수주.

새로운!!: 고속철도와 렌페 120급·렌페 121급 · 더보기 »

렌페 490급

490급 또는 인터시티 2000()은 스페인의 철도 기업인 렌페가 운행하는 고속열차로 알라리스에서 운행하고 있. 펜돌리노 차량을 기반으로 개발되었.

새로운!!: 고속철도와 렌페 490급 · 더보기 »

레일젯

일젯 레일젯()은 오스트리아의 고속철도로 오스트리아와 체코에서 운행.

새로운!!: 고속철도와 레일젯 · 더보기 »

레일팀

일팀은 2007년에 설립된 세계 최초의 고속철도 동맹이자 세계 최초의 민간 철도 동맹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레일팀 · 더보기 »

레일웨이 가제트 인터내셔널

일웨이 가제트 인터내셔널(Railway Gazette International)는 영국 내의 철도 업계 잡지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레일웨이 가제트 인터내셔널 · 더보기 »

링컨 서비스

링컨 서비스()는 미국 일리노이 주 시카고 유니언 역에서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 게이트웨이 모티모덜 트랜스포테이션 센터까지 운행되는 고속철도 열차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링컨 서비스 · 더보기 »

말라가

말라가의 중심가인 라리오스 가 말라가()는 스페인 남부의 항구 도시로 지중해를 마주하고 있. 2007년 기준 시의 인구는 561,250명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말라가 · 더보기 »

메트로 라이너

메트로 라이너()는 미국의 고속철도로 1969년에 도입되어 1980년대까지 뉴욕 ~ 워싱턴 D.C.간 최고 속도 190km 주행.

새로운!!: 고속철도와 메트로 라이너 · 더보기 »

모스크바-베이징 고속철도

모스크바-베이징 고속철도()는 2015년부터 추진 중인 국제 고속철도 노선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 러시아 모스크바 구간을 7,000km 구간에 30시간 안으로 주행하는 노선을 계획하고 있. 몽골 울란바토르, 러시아 이르쿠츠크, 카자흐스탄 아스타나, 러시아 첼랴빈스크, 러시아 카잔을 경유하며 총 비용은 2,420억 미국 달러가 소요될 것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모스크바-베이징 고속철도 · 더보기 »

모스크바-카잔 고속철도

모스크바-카잔 고속철도()는 모스크바와 카잔 사이를 연결하는 러시아의 고속철도 노선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모스크바-카잔 고속철도 · 더보기 »

모스크바-상트페테르부르크 고속철도

모스크바-상트페테르부르크 고속철도()는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 사이를 연결하는 러시아의 고속철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모스크바-상트페테르부르크 고속철도 · 더보기 »

바이마르

바이마르()는 독일 튀링겐 주에 있는 문화도시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바이마르 · 더보기 »

간선철도

선철도(幹線鐵道)는 철도 네트워크에서 기반이 되는 노선을 뜻. 이 때문에 한 나라의 수송 역량의 절대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 또한 이 노선을 기반으로 많은 지선철도가 연결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 고속열차와 특급열차가 집중적으로 배. 대표적인 노선으로 한국의 경부선이나 호남선이 있. 1960년대 일본과 1980년대 독일, 프랑스에서는 도시권의 확대에 따라 간선철도가 도시를 관통하는 모양이 되었.

새로운!!: 고속철도와 간선철도 · 더보기 »

건널목

국의 건널목 프랑스의 건널목 건널목()은 철도길과 각종 도로가 평면으로 서로 엇갈리는 곳을 말. 크로스로드, 또는 약자로 CR이라 부른.

새로운!!: 고속철도와 건널목 · 더보기 »

경부

경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고속철도와 경부 · 더보기 »

경부고속철도

용산 진주 경전선 경부고속철도(京釜高速鐵道)는 행신역, 서울역, 용산역,인천국제공항역, 수서역에서 부산역, 포항역, 마산역, 진주역을 잇는 한국고속철도의 운행 계통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경부고속철도 · 더보기 »

경부고속선

경부고속선(京釜高速線)은 경부선 금천구청역과 부산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경부선 KTX의 전용 선로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경부고속선 · 더보기 »

경부선

경부본선(京釜本線)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동자동의 서울역과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의 부산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 노선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경부선 · 더보기 »

버드 메트로라이너

버드 메트로라이너()는 미국의 고속철도로 1969년에 도입되어 1980년대까지 뉴욕 ~ 워싱턴 D.C.간 최고 속도 190km 주행.

새로운!!: 고속철도와 버드 메트로라이너 · 더보기 »

고트하르트 베이스 터널

thumb 고트하르트 베이스 터널(GBT)은 스위스 남부의 알프스 산맥을 관통하는 57.09 km의 터널로, 세계에서 가장 긴 터널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고트하르트 베이스 터널 · 더보기 »

볼스터리스 대차

205계 전동차용) 볼스터리스 대차()는, 보기 대차에서 차체 중량을 받는 부품인 볼스터를 생략.

새로운!!: 고속철도와 볼스터리스 대차 · 더보기 »

공기 용수철

공기 용수철(空氣龍鬚鐵)은 압축공기의 탄력성을 이용한 용수철 장치를 가리.

새로운!!: 고속철도와 공기 용수철 · 더보기 »

복선 (철도)

복선 전철 복선(複線)은 선로를 두 가닥 놓아 양방향으로 열차가 동시에 지나서 다닐 수 있도록 한 것을 말.

새로운!!: 고속철도와 복선 (철도) · 더보기 »

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철도 직통열차 공항철도(空港鐵道)는 여객용 공항과 도심을 연결하는 철도의 통칭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공항철도 · 더보기 »

광명역

광명역(光明驛)은 대한민국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에 있는 경부고속철도의 철도역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광명역 · 더보기 »

광선강 고속철도

광선강 고속철도()는 중화인민공화국의 광저우 남역과 홍콩 가우룽 서역을 연결하는 고속철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광선강 고속철도 · 더보기 »

봄바디어 제피로

봄바디어 제피로()는 캐나다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숀에서 개발한 고속열차로 중화인민공화국의 철도 기업인 중화인민공화국 철도부의 발주로 개발 되었.

새로운!!: 고속철도와 봄바디어 제피로 · 더보기 »

분기기

분기기의 동작 원리. 분기기(分岐器)는 열차나 차량을 한 궤도에서 다른 궤도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궤도상에 설치한 설비를 말.

새로운!!: 고속철도와 분기기 · 더보기 »

부산광역시의 교통

에어부산의 항공기 부산광역시의 교통은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큰 대도시라는 점과 지리적으로 산과 바다를 접하고 있는 곳이라는 점, 관광이 발달한 도시라는 점 등을 특징으로 다른 지역의 교통과는 다른 독특한 모습을 보이고 있.

새로운!!: 고속철도와 부산광역시의 교통 · 더보기 »

그랜드 히카리

히카리()는 1989년부터 2002년까지 운행한 히카리의 열차 명칭으로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 후 서일본여객철도가 운영한 고속열차 등급으로, 100N계()라고 부른.

새로운!!: 고속철도와 그랜드 히카리 · 더보기 »

극한 직업의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EBS 1TV의 상상을 초월하는, 극도로 힘든 작업 환경 속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극한의 직업에 종사하는 삶을 다루는 리얼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인 《극한 직업》 의 방영 목록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극한 직업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브라질

브라질 연방공화국(), 줄여서 브라질()은 남아메리카에 위치한 연방제 공화국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브라질 · 더보기 »

브라질 고속철도

300px 브라질 고속철도(TAV, Trem de Alta Velocidade)는 브라질에서 진행 중인 고속철도 사업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브라질 고속철도 · 더보기 »

블루워터 (열차)

블루워터()는 미국 일리노이 주 시카고 유니언 역에서 미시간 주 포트휴런 포트휴런 역까지 운행되는 장거리 열차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블루워터 (열차) · 더보기 »

빨강

빨강(red) 또는 적색(赤色), 홍색(紅色)은 가시광선을 구성하는 색 중에서 파장이 가장 긴 색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빨강 · 더보기 »

김천역

역(金泉驛)은 경상북도 김천시 평화동에 있는 경부선의 철도역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김천역 · 더보기 »

대전 새마을호 열차 탈선 사고

전 새마을호 열차 탈선 사고(大田 -號列車脫線事故)는 2003년 5월 30일 오후 1시 50분쯤 대전광역시 중구 오류동 서대전역 인근 계룡육교 철거 작업 중 육교 상판이 붕괴되어 선로로 추락,서울역당시에는 고속철도가 개통되기 전이었기 때문에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열차도 서울역에서 시종착하였.

새로운!!: 고속철도와 대전 새마을호 열차 탈선 사고 · 더보기 »

대전광역시

전광역시(大田廣域市)는 대한민국의 중앙부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대전광역시 · 더보기 »

구마모토 종합 차량소

마모토 종합 차량소()는 구마모토현 구마모토 시에 있는 신칸센 차량 사업소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구마모토 종합 차량소 · 더보기 »

구미역

미역(龜尾驛)은 경상북도 구미시 원평동에 있는 경부선의 기차역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구미역 · 더보기 »

뒤셀도르프 국제공항

셀도르프 국제공항()(IATA: DUS, ICAO: EDDL)은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주도인 뒤셀도르프에 있는 국제공항으로, 뒤셀도르프의 중심가에서 북쪽으로 약 6 km 떨어져 있. 독일에서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 뮌헨 국제공항에 이어 세 번째로 이용객이 많은 공항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뒤셀도르프 국제공항 · 더보기 »

나스노 (열차)

스노()는 동일본 여객철도가 도호쿠 신칸센에서 운영하는 열차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나스노 (열차) · 더보기 »

나폴리

리(Napoli)는 이탈리아 남부에 있는 도시로, 캄파니아 주의 주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나폴리 · 더보기 »

노스이스트 리저널

스이스트 리저널()는 미국 뉴욕 주 뉴욕 펜실베이니아 역,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 남부 역, 매사추세츠 주 스프링필드 유니언 역에서 버지니아 주 뉴포트뉴스 뉴포트뉴스 역, 버지니아 주 노퍽 노퍽 역, 버지니아 주 린치버그 캠퍼 스트리트 역까지 운행되는 고속철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노스이스트 리저널 · 더보기 »

노스이스트 코리더

스이스트 코리더()는 미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철도 노선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노스이스트 코리더 · 더보기 »

뉴펜돌리노

리노()는 프랑스의 철도 제조 기업인 알스톰에서 제작된 고속열차로 2006년부터 제작하고 있.

새로운!!: 고속철도와 뉴펜돌리노 · 더보기 »

다니가와 (열차)

와 또는 타니가와()는 동일본 여객철도가 운영하는 조에쓰 신칸센에서 운행개시된 고속열차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다니가와 (열차) · 더보기 »

FS ETR 500급

FS ETR 500급()은 이탈리아의 고속철도 차량으로 1993년부터 순차별로 도입.

새로운!!: 고속철도와 FS ETR 500급 · 더보기 »

HEMU-430X

HEMU-430X(Highspeed Electric Multiple Unit - 430km/h eXperiment)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의 주도로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등이 참여하여 진행 중인 차기 고속철도 시제차량 제작 및 기술 개발 프로젝.

새로운!!: 고속철도와 HEMU-430X · 더보기 »

HSL 자위트

HSL 자위트는 네덜란드와 벨기에를 잇는 고속선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HSL 자위트 · 더보기 »

HSR-350x

HSR-350x(High Speed Rail - 350km/h eXperiment)는 한국형 고속 철도 차량의 시험차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HSR-350x · 더보기 »

ICE 1

인터시티익스프레스 1호() 또는 독일철도 401급()은 독일철도의 고속열차로 인터시티익스프레스를 운영하고 있. 독일의 고속열차 중 최초로 출시된 열차로 1989년부터 1993년까지 도입되었.

새로운!!: 고속철도와 ICE 1 · 더보기 »

ICE 2

인터시티익스프레스 2호() 또는 독일철도 402급()은 독일철도의 고속열차로 인터시티익스프레스를 운영하고 있. 1995년부터 1998년까지 도입되었.

새로운!!: 고속철도와 ICE 2 · 더보기 »

ICE 3

인터시티익스프레스 3호() 또는 독일철도 403급, 406급, 407급()은 독일철도의 동력 분산식 고속 열차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ICE 3 · 더보기 »

ICE 4

인터시티익스프레스 4호() 또는 독일철도 412급()은 독일철도의 고속열차로 인터시티익스프레스를 운영하고 있. 구형 인터시티익스프레스 차량과 기존에 운행하고 있는 ICE 1, ICE 2를 전량 교체하기 위해 개발된 차량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ICE 4 · 더보기 »

ICE S

인터시티익스프레스 슈넬파르트호() 또는 독일철도 410.1급()은 독일철도의 고속 시험열차로 여기서 S는 슈넬파르트()를 의미.

새로운!!: 고속철도와 ICE S · 더보기 »

ICE T

인터시티익스프레스 동력분산호() 또는 독일철도 411급, 415급 또는 오스트리아 연방철도 4011급()는 독일철도와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의 고속열차로 인터시티익스프레스를 운영하고 있. 지멘스, 알스톰이 이 열차를 제작.

새로운!!: 고속철도와 ICE T · 더보기 »

ICE TD

인터시티익스프레스 동력분산디젤호() 또는 독일철도 605급()는 독일철도의 고속열차로 인터시티익스프레스를 운영하고 있. 지멘스,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숀이 이 열차를 제작.

새로운!!: 고속철도와 ICE TD · 더보기 »

스우 고속철도

스우 고속철도()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우한 역과 스자좡 역을 연결하는 고속철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스우 고속철도 · 더보기 »

스히폴-안트베르펜 고속선

스히폴-안트베르펜 고속선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스히폴 국제공항과 벨기에 안트베르펜을 잇는 고속선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스히폴-안트베르펜 고속선 · 더보기 »

용산구

용산구(龍山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한강 위쪽 중간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용산구 · 더보기 »

우광 고속철도

우광 고속철도()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우한 역과 광저우 남역을 연결하는 고속철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우광 고속철도 · 더보기 »

우쓰노미야 시

우쓰노미야 대로 우쓰노미야 시()는 도치기현 중부에 위치하는 시이자 현청 소재지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우쓰노미야 시 · 더보기 »

트랜스포드

스포드(TransPod Inc.) 는 초고속 교통수단을 연구 및 생산하는 캐나다 회사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트랜스포드 · 더보기 »

트레니탈리아

리아 (Trenitalia)는 이탈리아의 국유 철도 운영사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트레니탈리아 · 더보기 »

승강장

승강장(乘降場) 혹은 타는 곳, 플랫폼()은 전철역이나 철도역에서 화물이나 승객이 열차에 타고 내리기 위해 만든 시설물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승강장 · 더보기 »

IZY

IZY는 프랑스와 벨기에의 저가 고속철도 브랜드 이름으로 프랑스와 벨기에를 오가는 국제 고속열차를 운행하고 있. 프랑스의 철도 기업인 SNCF가 6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벨기에 국철이 40% 지분을 보유하고 있. 탈리스의 모기업으로 2016년 3월 1일에 언론에 발표되었고 같은 해 4월 3일부터 운행에 들어.

새로운!!: 고속철도와 IZY · 더보기 »

히카리 레일스타

히카리 레일스타()는 히카리의 열차 명칭으로 웨스트 히카리의 후속으로 도입되었.

새로운!!: 고속철도와 히카리 레일스타 · 더보기 »

큐슈신칸센

슈신칸센, 또는 규슈 신칸센()은 일본 후쿠오카현 후쿠오카 시 하카타 구에 있는 하카타 역과 가고시마현 가고시마 시에 있는 카고시마 중앙역을 잇는 큐슈여객철도의 신칸센 노선이다.

새로운!!: 고속철도와 큐슈신칸센 · 더보기 »

평면교차

평면교차(平面交叉)란 두 개의 다른 철도 노선이나 도로 등이 동일한 평면상에서 서로 엇갈리는 지점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평면교차 · 더보기 »

인터시티익스프레스

ICE 3 프랑스와벨기에를 이어갈 예정인 벨라로 D 인터시티익스프레스(InterCityExpress), 약칭 이체에()는 독일 철도(Deutsche Bahn)에서 운영하는 고속철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인터시티익스프레스 · 더보기 »

인터시티익스테멘털

인터시티익스테멘털() 또는 인터시티익스프레스 V호() 또는 독일철도 410급()은 독일철도의 고속 시험열차로 여기서 V는 '실험,시험'이라는 뜻의 버슈우()를 의미.

새로운!!: 고속철도와 인터시티익스테멘털 · 더보기 »

일본의 대외 관계

2014년 3월 25일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대한민국 박근혜 대통령, 미국 버락 오바마 대통령, 일본 아베 신조 총리의 공동 기자회견 태평양 전쟁 이후부터 현재까지 일본의 대외 관계는,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1951년) 및 각국과의 배상・보상조약을 거쳐 재구축된 것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일본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전자파 적합성

전자기 적합성 시험실 전자기 적합성은 전기·전자 기기 가 우발적으로 발생하여 전파되는 원치 않는 전자기력 에너지, 즉 전자기 장해(EMI)로부터 받는 장해를 적정 수준 이하로 낮추는 것을 연구하는 전기 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전자파 적합성 · 더보기 »

전산 유체 역학

속 공기 흐름에서 컴퓨터 시뮬레이션 전산 유체 역학(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은 유체 현상을 기술한 비선형 편미분 방정식인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Navier-Stokes Equations)을 FDM (Finite Difference Method), FEM (Finite Element Method), FVM(Finite Volume Method) 등의 방법들을 사용하여 이산화하여 대수 방정식으로 변환하고, 이를 수치 기법(numerical methods)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유체 유동 문제를 풀고 해석하는 것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전산 유체 역학 · 더보기 »

조에쓰 신칸센

조에쓰 신칸센()은 일본 사이타마현 사이타마 시 오미야 구에 있는 오미야 역과 니가타현 니가타 시 주오 구에 있는 니가타 역을 잇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신칸센 노선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조에쓰 신칸센 · 더보기 »

주오 신칸센

야마나시 시험선에서의 자기부상열차, 2005년 11월 주오신칸센 경로 주오 신칸센, 또는 츄오신칸센(중앙신간선)은 도쿄, 나고야, 오사카를 연결하기 위해 구상된 일본의 자기부상열차 철도 노선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주오 신칸센 · 더보기 »

중국고속철도 CRH1

중국고속철도 CRH1형()은 중화인민공화국 철도부에서 운영하는 국영철로로 제6차 철도증속 계획에 의해 2004년부터 시작된 광선 철로 등의 고속철도 차량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중국고속철도 CRH1 · 더보기 »

중국고속철도 CRH2

CRH2형 전철()은 중화인민공화국 철도부의 제6차 재래선 증속 계획을 위해 일본의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구입한 고속 철도차량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중국고속철도 CRH2 · 더보기 »

중국고속철도 CRH3

CRH3형 전철()은 중화인민공화국 철도부의 제6차 재래선 증속 계획을 위해 독일 지멘스의 기술 제공 라이선스에 의해서 중화인민공화국의 차량 메이커가 제조하는 고속철도 차량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중국고속철도 CRH3 · 더보기 »

중국고속철도 CRH5

중국고속철도 CRH5형() 중화인민공화국 철도부에서 운영하는 국영철로로 제6차 철도 고속화 계획에 의해 프랑스의 TGV를 제조한 알스톰과 제휴해 도입된 고속철도 차량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중국고속철도 CRH5 · 더보기 »

중국고속철도 CRH6

중국고속철도 CRH6형() 중화인민공화국 철도부에서 운영하는 고속열차로 중화인민공화국의 상하이 지하철을 제조한 CRRC 난징 시팡에서 개발한 고속철도 차량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중국고속철도 CRH6 · 더보기 »

중국철도 DJJ1

중국철도 DJJ1() 또는 블루 애로우()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시범 고속열차 차량으로 CRRC 정저우 기관차, CRRC 창춘 철도 차량에서 제조되었.

새로운!!: 고속철도와 중국철도 DJJ1 · 더보기 »

중국철도 중화지성

중국철도 중화지성() 또는 DJJ2 또는 차이나 스타()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시범 고속열차 차량으로 CRRC 정저우 기관차, CRRC 다퉁 기관차, CRRC 창춘 철도 차량, CRRC 칭다오 철도 차량에서 제조되었.

새로운!!: 고속철도와 중국철도 중화지성 · 더보기 »

중국철로고속

CRH380A CRH380CL CR400AF CR400BF CRH380D CRH380BG 중국철로고속(China Railway High-speed, CRH)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철도 전용으로 도입된 고속철도 차량으로 외국에서 기술 이전을 목적으로 라이선스 생산된 철도 차량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중국철로고속 · 더보기 »

중화민국의 대외 관계

이 문서에서는 중화민국의 대외 관계(中華民國의 對外 關係)에 대해서.

새로운!!: 고속철도와 중화민국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중화인민공화국의 고속철도

중화인민공화국의 고속철도 노선 중화인민공화국의 고속철도(中华人民共和国高速铁路)는 2007년부터 개통된 중화인민공화국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현재까지 수 많은 노선이 건설 중에 있.

새로운!!: 고속철도와 중화인민공화국의 고속철도 · 더보기 »

집전장치

KTX-산천에 사용되고 있는 싱글암 팬터그래프 집전장치(集電裝置)는 철도차량 등에서 외부로부터 전력을 수전받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적 장. 크게 더블암, 싱글암, 집전봉, 차상집전 등의 방식이 존재.

새로운!!: 고속철도와 집전장치 · 더보기 »

징광 고속철도

징광 고속철도()는 중화인민공화국의 베이징 서역과 광저우 남역(广州南站)를 연결하는 고속철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징광 고속철도 · 더보기 »

징스 고속철도

징스 고속철도()는 중화인민공화국의 베이징 서역과 스자좡 역을 연결하는 고속철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징스 고속철도 · 더보기 »

징타이 고속철도

징타이 고속철도() 또는 징푸 고속철도()는 베이징에서 타이완 타이베이를 연결하는 중화인민공화국의 고속철도 노선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징타이 고속철도 · 더보기 »

징하 고속철도

징하 고속철도()는 중화인민공화국의 베이징 싱훠 역과 하얼빈 역을 연결하는 고속철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징하 고속철도 · 더보기 »

징후 고속철도

징후 고속철도()는 중화인민공화국의 베이징 서역과 상하이 훙차오역을 연결하는 고속철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징후 고속철도 · 더보기 »

지멘스 벨라로

멘스 벨라로()는 독일의 동력분산식의 고속철도 차량의 한 종류로 독일철도에서 운행되고 있는 ICE 3를 기반으로 하고 있. ICE 3와 달리 지멘스 벨라로는 지멘스의 완제품으로 스페인의 국영 철도 기업인 렌페가 AVE의 노선망에 도입하기 위해, 지멘스 벨라로 E()를 도입.

새로운!!: 고속철도와 지멘스 벨라로 · 더보기 »

지선철도

선철도(支線鐵道)는 간선철도에서 갈라져 나온 철도 노선으로, 간선철도가 다니지 않는 곳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거나 두 개의 간선철도를 이어주는 역할을.

새로운!!: 고속철도와 지선철도 · 더보기 »

철도

400px 400px 철도(鐵道)는 철 궤도와 철차륜의 마찰을 주행 방식으로 하는 광범위한 운송수단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철도 · 더보기 »

철도의 전철화

공 전차선 방식에 의해서 전철화된 철도. 카터너리식 전차선 지지장치가 있다. 비전철화 철도의 전철화(鐵道의 電鐵化)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열차(전기기관차, 전동차)가 다닐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설을 철도에 설치하는 것을 말.

새로운!!: 고속철도와 철도의 전철화 · 더보기 »

체크포인트 찰리

1986년도 체크 포인트 찰리 체크포인트 찰리() 또는 단순히 체크포인트 C()는 냉전 당시 동베를린과 서베를린을 분단하던 베를린 장벽의 가장 유명한 검문소를 연합군에서 지칭했던 지명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체크포인트 찰리 · 더보기 »

천안아산역

안아산역(온양온천)(天安牙山驛(溫陽溫泉))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장재리에 있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천안아산역 · 더보기 »

칭타이 고속철도

칭타이 고속철도()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칭다오 역과 타이위안 역을 연결하는 고속철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칭타이 고속철도 · 더보기 »

카디널 (암트랙)

()는 미국 뉴욕 주 뉴욕 펜실베이니아 역에서 일리노이 주 시카고 유니언 역까지 운행되는 지역열차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카디널 (암트랙) · 더보기 »

카사블랑카-탕헤르 고속철도

300px 카사블랑카-탕헤르 고속철도(LGV Tangier-Casablanca)는 모로코에서 진행 중인 고속철도 사업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카사블랑카-탕헤르 고속철도 · 더보기 »

코임브라 B 역

임브라 B 역()은 포르투갈의 코임브라에 위치한 역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코임브라 B 역 · 더보기 »

쿠알라룸푸르

알라룸푸르(줄여서: KL, 자위 문자: كوالا لمڤور)는 말레이시아 연방의 최대 도시이자 수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쿠알라룸푸르 · 더보기 »

유레일

유레일 그룹()은 유럽의 철도 관련 회사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유레일 · 더보기 »

유로메드

렌페 130급 유로메드()는 스페인의 철도 기업인 렌페에서 운행하고 있는 고속열차 등급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유로메드 · 더보기 »

유로나이트

유로나이트 로고 유로나이트()는 유럽 연합을 잇는 야간열차 브랜드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유로나이트 · 더보기 »

유로듀플렉스

유로듀플렉스() 또는 SNCF TGV 2N2()는 SNCF, ONCF의 고속열차로 TGV를 운영하고 있. 설계 초기부터 국제 고속열차에 운행하기 위해 설계된 고속열차로 2011년부터 알스톰에 의해 제작되었.

새로운!!: 고속철도와 유로듀플렉스 · 더보기 »

유로스타

유로스타()는 영국 런던의 세인트 팬크러스()역, 프랑스 파리의 북역(), 벨기에 브뤼셀의 남역()을 최고 속도 300km/h로 잇는 국제 고속철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유로스타 · 더보기 »

파스텍 360

스텍 360은 동일본여객철도의 신칸센 시험 열차용으로, 다음과 같은 모델이 존재.

새로운!!: 고속철도와 파스텍 360 · 더보기 »

탈리스

리스-PBKA 탈리스 (Thalys)는 프랑스, 네덜란드, 벨기에, 독일을 연결하는 국제 고속철도로 1996년 6월 2일에 처음 운행하기 시작.

새로운!!: 고속철도와 탈리스 · 더보기 »

탈고 아브릴

아브릴()은 스페인의 철도 제조 기업인 탈고가 개발 중인 고속철도 차량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탈고 아브릴 · 더보기 »

타이완 고속철도

이완 고속철도의 일반석 타이완 고속철도(대만고속철로)는 중화민국 타이베이 시와 가오슝 시를 잇는 철도 노선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타이완 고속철도 · 더보기 »

타이완 고속철도 700T형 전동차

이완 고속철도 700T형 전동차()는 타이완 고속철도의 고속열차로 타이완 고속철도를 운영하고 있. 타이완 고속철도 공사 소속에 속해있.

새로운!!: 고속철도와 타이완 고속철도 700T형 전동차 · 더보기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首都圈 電鐵 一號線)은 경기도 동두천시에 있는 소요산역부터 인천광역시 중구에 있는 인천역,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천안역, 충청남도 아산시에 있는 신창역,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광명역 그리고 경기도 오산시에 있는 서동탄역 등을 잇는 수도권 전철의 운행 계통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수도권 전철 1호선 · 더보기 »

수서고속철도

수서고속철도(水西高速鐵道) 또는 SRT(에스알티, Super Rapid Train, START)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역에서 수서평택고속선,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호남선을 경유하여 부산역, 광주송정역, 목포역까지 구간 운행하는 에스알의 고속철도 운행 계통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수서고속철도 · 더보기 »

수서평택고속선

수서평택고속선(水西平澤高速線)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역을 기점으로 하여 동탄역, 지제역을 지나 평택연결선에서 경부고속선과 연결되는 SR의 고속철도 노선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수서평택고속선 · 더보기 »

영국 철도 373

영국 철도 373(), 유로스타 e300() 또는 TGV TMST는 유로스타 인터내셔널의 고속열차로 유로스타를 운영하고 있. 내셔널 레일, SNCF, 벨기에 국철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 2014년에 지멘스 벨라로를 기반으로 한 차량인 영국 철도 374의 도입과 유로스타 e320()의 부여로 기존에 운행했던 TGV TMST는유로스타 e300()으로 부여받게 되었.

새로운!!: 고속철도와 영국 철도 373 · 더보기 »

영국 철도 374

영국 철도 374() 또는 유로스타 e320()은 유로스타 인터내셔널의 고속열차로 유로스타를 운영하고 있. 지멘스 벨라로를 기반으로 개발된 고속열차로 2010년 7월에 내셔널 레일이 런던 ~ 쾰른 ~ 암스테르담 전용 열차를 운행하기 위해 10편성을 발주했고 2014년에 7편성을 추가로 발주.

새로운!!: 고속철도와 영국 철도 374 · 더보기 »

영국 철도 395

영국 철도 395() 또는 재벌린()은 영국의 고속철도 차량으로 2009년부터 순차별로 도입.

새로운!!: 고속철도와 영국 철도 395 · 더보기 »

영국 철도 800

영국 철도 800()은 영국의 고속철도 차량으로 2015년부터 도입을 시작.

새로운!!: 고속철도와 영국 철도 800 · 더보기 »

영국 철도 801

영국 철도 801() 또는 슈퍼 익스프레스()는 영국의 고속철도 차량으로 2015년부터 생산을 시작.

새로운!!: 고속철도와 영국 철도 801 · 더보기 »

영국 철도 802

영국 철도 802()은 영국의 고속철도 차량으로 2017년부터 생산을 시작.

새로운!!: 고속철도와 영국 철도 802 · 더보기 »

오리엔트 역

오리엔트 역()은 노르트 선에 위치한 포르투갈 리스본의 주요 철도역 중. 스페인의 건축가 산티아고 칼라트라바가 설계하였으며, 1998년 세계 박람회를 위해 지어졌.

새로운!!: 고속철도와 오리엔트 역 · 더보기 »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약자:ÖBB 또는 ÖBB-Konzern)는 오스트리아의 국영 철도 회사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 · 더보기 »

오토트레인

오토트레인()은 버지니아 로튼 로튼 역 (워싱턴 D.C.)과 플로리다 샌포드 샌포드 역 (올랜도)간 1376킬로미터 가량의 구간을 운행하는 암트랙에 운행되는 지역열차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오토트레인 · 더보기 »

호남고속선

호남고속선(湖南高速線)은 경부고속선 오송역에서 호남선 광주송정역을 잇는 고속철도 노선으로, 고속열차의 전용 선로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호남고속선 · 더보기 »

호남선 작업인부 사고

호남선 작업인부 사고(湖南線作業人夫事故)는 2003년 2월 14일 밤 광주역을 출발하여 서울역으로 가려던 무궁화호 열차가 익일 새벽 1시경 감곡역 인근에서 선로 보수 작업 중이던 공사 업체 직원 7명을 치어 숨지게 한 사고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호남선 작업인부 사고 · 더보기 »

호쿠리쿠 신칸센

호쿠리쿠 신칸센()은 조신에쓰 지방과 호쿠리쿠 지방을 경유하여 도쿄도와 오사카 시를 연결하는 계획의 정비 신칸센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호쿠리쿠 신칸센 · 더보기 »

예루살렘 고속철도

300px 예루살렘 고속철도(Plan A1 and Railway 29, High-speed railway to Jerusalem)는 이스라엘에서 진행 중인 고속철도 사업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예루살렘 고속철도 · 더보기 »

현대로템

현대로템(Hyundai Rotem)은 대한민국의 철도차량 및 방산제품 제작 업체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현대로템 · 더보기 »

에어프랑스-KLM

에어프랑스-KLM()은 프랑스 파리 파리 샤를 드 골 공항에 본부를 두고 있는 항공 지주회사로 스카이팀 항공 동맹에 속해 있.

새로운!!: 고속철도와 에어프랑스-KLM · 더보기 »

연접대차

연접대차의 예(KTX 차량의 객차) 연접대차(連接臺車)란, 철도차량의 대차 중 두 차체 사이에 1개의 대차를 설치한 것을 가리.

새로운!!: 고속철도와 연접대차 · 더보기 »

열차

열차 열차(列車)는 한 대 이상의 차들이 서로 일렬로 연결되어 있는 차를 가리.

새로운!!: 고속철도와 열차 · 더보기 »

허벙 고속철도

벙 고속철도()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허페이 남역과 벙부 남역을 연결하는 고속철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허벙 고속철도 · 더보기 »

허페이 지하철

이 지하철 (간체자|중국어) 허페이 도시철도 (간체자|중국어)는 2016년12월26일에 개통된 허페이시의 고속지하철 시스템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허페이 지하철 · 더보기 »

허푸 고속철도

속철도()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허페이 남역과 푸저우 역을 연결하는 고속철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허푸 고속철도 · 더보기 »

키스톤 (암트랙)

스톤() 또는 키스톤 서비스()는 미국 뉴욕 주 뉴욕 펜실베이니아 역 또는 펜실베니아 주 필라델피아 30th 스트리트 역에서 펜실베이니아 주 해리스버그 해리스버그 역까지 운행되는 고속철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키스톤 (암트랙) · 더보기 »

산요 신칸센

산요 신칸센()은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 시 요도가와 구에 있는 신오사카 역과 후쿠오카현 후쿠오카 시 하카타 구에 있는 하카타 역을 잇는 서일본 여객철도(JR 서일본)의 신칸센 노선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산요 신칸센 · 더보기 »

산타아폴로니아 역

산타아폴로니아 역()은 포르투갈 리스본의 주요 철도역 중. 오랜 역사를 간직한 리스본 알파마 지역의 테주 강가에 위치하며, 포르투갈 철도의 제1간선인 노르트 선의 리스본 종착역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산타아폴로니아 역 · 더보기 »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三成-東灘 廣域急行鐵道)는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삼성역과 경기도 화성시의 동탄역을 잇게 될 광역급행철도노선으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의 우선 추진 노선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 · 더보기 »

삽산

삽산() 또는 지멘스 벨라로 러스()는 러시아의 고속철도로 상트페테르부르크 모스크바 역과 니즈니노브고로드 니즈니노브고로드 역에서 모스크바 레닌그라드 역까지 운행.

새로운!!: 고속철도와 삽산 · 더보기 »

프랑스의 대외 관계

랑스의 대외 관계에 대한 설명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프랑스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프레시아로사 1000

시아로사 1000() 또는 ETR 1000 또는 봄바디어 제피로 300()은 이탈리아의 철도 기업인 트랜이탈리아()가 2010년에 발주한 차량으로 봄바디어 제피로 모델을 기반으로 제작된 차량으로 기존 제피로 250 모델과 달리 최고 영업 속도 300km/h를 달성 했으며 이탈리아의 철도 제작 기업인 안살도브레다와 합작으로 제작하면서 최고 영업 속도 360km/h를 달성.

새로운!!: 고속철도와 프레시아로사 1000 · 더보기 »

선단 고속철도

선단 고속철도()는 중화인민공화국의 고속철도로 선양 시와 단둥 시 사이를 시속 250km로 연결하는 고속 철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선단 고속철도 · 더보기 »

터널

오른쪽 터널()은 땅 속을 뚫어 만든 통로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터널 · 더보기 »

터키의 교통

의 교통은 터키의 교통 시스템을 다루는 항목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터키의 교통 · 더보기 »

소콜 (열차)

ES250() 또는 소콜(Сокол)은 러시아 철도에 사용될 예정이었던 고속 열차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소콜 (열차) · 더보기 »

쇼와 시대

쇼와 시대()는 20세기 일본의 연호의 하나로, 쇼와 천황의 통치에 해당하는 1926년 12월 25일부터 1989년 1월 7일까지를 가리.

새로운!!: 고속철도와 쇼와 시대 · 더보기 »

항푸선 고속철도

항푸선 고속철도()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항저우 동역과 선전 북역을 연결하는 고속철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항푸선 고속철도 · 더보기 »

야마비코 (열차)

야마비코()는 동일본 여객철도가 도호쿠 신칸센에서 운영하는 열차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야마비코 (열차) · 더보기 »

한국고속철도

국고속철도(韓國高速鐵道) 또는 KTX(Korea Train eXpress)는 대한민국 고속철도 체계의 통칭으로, 2004년 4월 1일 개통되어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고 있.

새로운!!: 고속철도와 한국고속철도 · 더보기 »

한국철도공사

국철도공사(韓國鐵道公社, Korea Railroad Corporation) 또는 코레일(Korail)은 대한민국의 국유 철도 영업과 관련 사무를 담당하는 국토교통부 산하의 공기업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한국철도공사 · 더보기 »

알파 펜둘라르

알파 펜둘라르()는 포르투갈 국영철도회사 CP가 운영하는 펜돌리노 계열의 고속 틸팅열차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알파 펜둘라르 · 더보기 »

하이퍼루프

이퍼루프 내부 콘셉트. 하이퍼루프()는 엘론 머스크가 이끌고 있는 백트레인(진공튜브 열차) 유형의 고속 철도를 말. 시속 1,280 km(마하 1.06)의 속도를.

새로운!!: 고속철도와 하이퍼루프 · 더보기 »

암트랙의 운행 노선

아래는 암트랙의 운행 노선 목록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암트랙의 운행 노선 · 더보기 »

아빌리아 리버티

아빌리아 리버티()는 프랑스의 철도 제작 기업인 알스톰이 판매하는 고속열차 모델로 AGV 모델을 기반으로 제작되었.

새로운!!: 고속철도와 아빌리아 리버티 · 더보기 »

아오바 (열차)

아오바()는 1982년부터 동일본 여객철도가 운영하는 도호쿠 신칸센에서 운행개시된 고속열차로 아오바의 어원은 일본어로 녹색잎을 의미.

새로운!!: 고속철도와 아오바 (열차) · 더보기 »

아사마 (열차)

아사마()는 1997년부터 동일본 여객철도가 운영하는 호쿠리쿠 신칸센에서 운행개시된 고속열차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아사마 (열차) · 더보기 »

아사히 (열차)

아사히()는 1982년부터 동일본 여객철도가 운영하는 조에쓰 신칸센에서 운행개시된 고속열차로 아사히의 어원은 일본어로 아침을 의미.

새로운!!: 고속철도와 아사히 (열차) · 더보기 »

아산역

아산역(牙山驛)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장재리에 있는 장항선의 철도역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아산역 · 더보기 »

아셀라 익스프레스

아셀라 익스프레스()는 암트랙이 워싱턴 D.C부터 보스턴까지 운영하는 고속 틸팅열차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아셀라 익스프레스 · 더보기 »

앙카라

앙카라()는 터키의 수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앙카라 · 더보기 »

쉬란 고속철도

쉬란 고속철도()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쉬저우 동역과 란저우 서역을 연결하는 고속철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쉬란 고속철도 · 더보기 »

신축이음매

신축이음매란 철로레일의 이음매부분을 비스듬이 사선으로 겹쳐놓는 것을 말. 신축이음매를 설치하는 이유는 철로레일의 이음매부분이 추운 겨울에 간격이 벌어져서 기차바퀴가 지나갈 때 발생하는 물리적 충격과 소음을 완화시키고 차체 바퀴의 손상도 예방하기 위한 것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신축이음매 · 더보기 »

신칸센

신칸센 E5계 신칸센 200계 ~ E4계 신칸센 0계 ~ N700계 신칸센(신간선)은 일본의 고속 철도 체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신칸센 · 더보기 »

신칸센 0계 전동차

신칸센 0계 전동차()는 1964년 도카이도 신칸센이 개업하면서 개발 및 투입된 일본국철(현 JR)이 운영하는 일본 고속 철도 신칸센의 초창기 열차였.

새로운!!: 고속철도와 신칸센 0계 전동차 · 더보기 »

신칸센 1000계 전동차

신칸센 1000계 전동차()는 1961년에 일본국유철도가 개발한 고속열차로 도카이도 신칸센 노선을 기반으로 제작.

새로운!!: 고속철도와 신칸센 1000계 전동차 · 더보기 »

신칸센 500계 900번대 전동차

신칸센 500계 900번대 전동차() 또는 WIN350은 1992년에 서일본여객철도가 개발한 고속열차로 운용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만든 열차로 훗날 신칸센 500계 전동차의 원형이 되었.

새로운!!: 고속철도와 신칸센 500계 900번대 전동차 · 더보기 »

신칸센 951계 전동차

신칸센 951계 전동차()는 1969년에 일본국유철도가 개발한 고속열차로 도카이도 신칸센 노선을 기반으로 제작.

새로운!!: 고속철도와 신칸센 951계 전동차 · 더보기 »

신칸센 952계·953계 전동차

신칸센 952계·953계 전동차() 또는 STAR21은 1992년에 동일본여객철도가 개발한 고속열차로 운용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제작.

새로운!!: 고속철도와 신칸센 952계·953계 전동차 · 더보기 »

신칸센 955계 전동차

신칸센 955계 전동차() 또는 300X는 1994년에 도카이여객철도가 개발한 고속열차로 운용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제작.

새로운!!: 고속철도와 신칸센 955계 전동차 · 더보기 »

신칸센 961계 전동차

신칸센 961계 전동차()는 1973년에 일본국유철도가 개발한 고속열차로 도호쿠 신칸센, 조에쓰 신칸센을 기반으로 제작.

새로운!!: 고속철도와 신칸센 961계 전동차 · 더보기 »

신칸센 962계 전동차

신칸센 962계 전동차()는 1979년에 일본국유철도가 개발한 고속열차로 도호쿠 신칸센, 조에쓰 신칸센을 기반으로 제작.

새로운!!: 고속철도와 신칸센 962계 전동차 · 더보기 »

신칸센 E4계 전동차

신칸센 E4계 전동차()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신칸센 차량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신칸센 E4계 전동차 · 더보기 »

신칸센 E7계·W7계 전동차

신칸센 E7계·W7계 전동차()는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및 서일본 여객철도(JR 서일본) 의 신칸센 차량이다. 2015년 호쿠리쿠 신칸센에서 등급으로 영업운전을 개시하여 E2계 대체하고 있으며 2015년에는 호쿠리쿠 신칸센 구간인 나가노 역 ~ 가나자와 역 구간에서 연장 운행되고 있다. 총 30개 편성이 도입 됐으며 동일본 여객철도는 19개 편성을, 서일본 여객철도는 11개 편성을 도입했다.

새로운!!: 고속철도와 신칸센 E7계·W7계 전동차 · 더보기 »

신칸센 E954계 전동차

신칸센 E954계 전동차() 또는 파스텍 360S()는 2005년에 동일본여객철도가 개발한 고속열차로 파스텍 계열의 1편성으로 마지막 S는 신칸센을 의미.

새로운!!: 고속철도와 신칸센 E954계 전동차 · 더보기 »

신칸센 E955계 전동차

신칸센 E955계 전동차() 또는 파스텍 360Z()는 2006년에 동일본여객철도가 개발한 고속열차로 파스텍 계열의 2편성으로 마지막 Z는 재래선을 의미.

새로운!!: 고속철도와 신칸센 E955계 전동차 · 더보기 »

신칸센 N700계 전동차

신칸센 N700계 전동차()는 도카이도 신칸센, 산요 신칸센, 큐슈 신칸센용으로 개발된 신칸센 차량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신칸센 N700계 전동차 · 더보기 »

웨스트 히카리

웨스트 히카리()는 1988년부터 2000년까지 운행한 히카리의 열차 명칭으로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 후 서일본여객철도가 운영한 고속열차 명칭으로, 0계 WR, SK편성으로 운용.

새로운!!: 고속철도와 웨스트 히카리 · 더보기 »

후쿤 고속철도

후쿤 고속철도()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상하이 훙차오역과 쿤밍 남역을 연결하는 고속철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후쿤 고속철도 · 더보기 »

후한룽 고속철도

후한룽 고속철도()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상하이 역과 청두 동역을 연결하는 고속철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후한룽 고속철도 · 더보기 »

홋카이도 신칸센

혼슈 방향에서 바라본 세이칸 터널 입구. 홋카이도 신칸센의 운행을 위해 협궤와 더불어 표준궤를 병설하였다. 홋카이도 신칸센()은 일본 아오모리현 아오모리 시에서 홋카이도 삿포로 시 사이 구간에 신설될 예정에 있는 고속선(신칸센)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홋카이도 신칸센 · 더보기 »

KTX 여승무원 고용 분쟁

KTX 여승무원 고용 분쟁은 2006년 3월 1일부터 현재까지 미해결 중인 사건으로 2004년 4월 이후 승무하다 2006년 5월에 계약 만료로 해지된 전직 KTX 고속철도 여승무원의 고용 문제에 관한 것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KTX 여승무원 고용 분쟁 · 더보기 »

KTX-DD

KTX-DD(Korea Train eXpress-DOUBLE DECK)는 현대로템이 개발한 고속철도 차량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KTX-DD · 더보기 »

KTX-I

KTX (100000호대)(Korea Train eXpress-I) 또는 TGV-K는 프랑스의 알스톰 사의 기술로 개발하여 대한민국의 현대로템이 조립,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고속철도 차량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KTX-I · 더보기 »

KTX-산천

KTX-산천(KTX-山川) 및 SRT는 한국철도공사와 에스알에서 각각 운용하는 고속철도 차량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KTX-산천 · 더보기 »

MTR CRH380A

항철공사 CRH380A()는 홍콩의 항철공사에서 운영하는 고속열차로 광선강 고속철도 노선에 도입을 위해 생산된 고속철도 차량으로 오는 2018년부터 운행에 들어갈 예정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MTR CRH380A · 더보기 »

OUIGO

OUIGO는 프랑스의 저가 고속철도 브랜드 이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OUIGO · 더보기 »

SBB-CFF-FFS RABDe 500

SBB-CFF-FFS RABDe 500(ICN)은 스위스의 고속철도 차량이자 틸팅 열차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SBB-CFF-FFS RABDe 500 · 더보기 »

SNCF TGV 라포스테

SNCF TGV 라포스테()는 SNCF, 라포스테의 고속열차로 TGV를 운영하고 있. 설계 초기부터 우편 고속열차에 운행하기 위해 설계된 고속열차로 1978년부터 1986년까지 알스톰에 의해 TGV 쉬드-에스트로 제작되었.

새로운!!: 고속철도와 SNCF TGV 라포스테 · 더보기 »

SNCF TGV 듀플렉스

SNCF TGV 듀플렉스()는 프랑스의 국철인 SNCF와 OUIGO에서 운영하는 TGV 계열의 프랑스 고속철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SNCF TGV 듀플렉스 · 더보기 »

SNCF TGV 이리스

SNCF TGV 이리스()는 SNCF의 고속열차로 TGV를 운영하고 있. 설계 초기부터 SNCF TGV 레조 차량으로 설계되었.

새로운!!: 고속철도와 SNCF TGV 이리스 · 더보기 »

SNCF TGV POS

SNCF TGV POS()는 SNCF, 스위스 연방 철도의 고속열차로 TGV를 운영하고 있. 설계 초기부터 국제 고속열차에 운행하기 위해 설계된 고속열차로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알스톰에 의해 제작되었.

새로운!!: 고속철도와 SNCF TGV POS · 더보기 »

TGV

제베 TGV(테제베,, ‘고속 철도’)는 프랑스의 고속철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TGV · 더보기 »

TGV 001

TGV 001 TGV 001()은 일본의 신칸센 제작으로 인해 자극을 받으면서 프랑스가 최초로 고속열차로 실제로 영업 운행을 하지않았.

새로운!!: 고속철도와 TGV 001 · 더보기 »

TGV 리리아

TGV 리리아()는 프랑스의 국제 고속철도 브랜드 이름으로 프랑스와 스위스를 오가는 국제 고속열차를 운행하고 있. 프랑스의 철도 기업인 SNCF가 74%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스위스 연방 철도가 26% 지분을 보유하고 있.

새로운!!: 고속철도와 TGV 리리아 · 더보기 »

V250

V250()은 네덜란드의 고속철도 차량으로, 차량 모델은 이탈리아의 디자인 기업인 피난파라나에서 디자인을 했고 철도 제조 기업인 안살도브레다 (현, 히타치 레일 이탈리아)에서 제작.

새로운!!: 고속철도와 V250 · 더보기 »

YHT

YHT()는 터키의 고속철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YHT · 더보기 »

10월 1일

10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4번째(윤년일 경우 27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고속철도와 10월 1일 · 더보기 »

12월 26일

12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0번째(윤년일 경우 36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고속철도와 12월 26일 · 더보기 »

2011년

201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2011년 · 더보기 »

2012년

201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02년 이후 10년만에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2012년 · 더보기 »

2012년 12월

;방송.

새로운!!: 고속철도와 2012년 12월 · 더보기 »

2016년 가오슝 지진

2016년 가오슝 지진은 2016년 2월 6일 오전 3시 57분(현지 시간)에 중화민국 타이난에서 동남쪽 36km 떨어진 곳에서 발생한 규모 6.4, 깊이 10km의 지진이.

새로운!!: 고속철도와 2016년 가오슝 지진 · 더보기 »

5월 18일

5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8번째(윤년일 경우 13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고속철도와 5월 18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고속 철도, 고속 열차, 고속전철, 고속열차, 초특급, 초특급 열차, 초특급열차, 세계의 고속철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