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공자

색인 공자

공자() 또는 공부자(기원전 551년 ~ 기원전 479년)는 유교의 시조(始祖)인 고대 중국 춘추시대의 정치가사상가교육자이고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인도의 사상 > 불교 > 원시유교 > 공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노나라의 문신이자 작가이면서, 시인이.

292 처지: Epic Rap Battles of History, 덩샤오핑, 도가, 도교, 도참, 동방 18현, 동관왕묘, 동부 (후한), 동사 (이종휘), 류샤오보, 린뱌오, 맹꽁이서당, 맹자, 맹사성, 만주국 위안, 마오쩌둥, 명심보감, 무마시, 문묘, 문묘 (하노이), 문묘 제례악, 문화 대혁명, 묵가, 묵자, 미자, 미중, 강릉향교, 강재시화, 강희제, 강위, 박영효, 강완숙, 건륭제, 결과에 호소, 경전, 법가, 고려의 교육, 고문 (서체),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고성향교, 곡부 공씨, 보즐, 보숙승, 공 (성씨), 공량유, 공덕귀, 공문십철, 공광, 공부 (유적), 공자 평화상, ..., 공자의 제자, 공자학원, 공충, 공산불뉴, 공성, 공손룡 (춘추), 공안국, 계영배, 계손사, 변법자강 운동, 괴산향교, 괄목상대, 관중 (춘추), 불교, 불교의 역사, 부여, 부섭, 기 (사성), 기자지, 기원전 479년, 기원전 551년, 기원전 5세기, 기원전 6세기, 기후 시, 기후현, 금 (성씨), 금수회의록, 비간 (상나라), 김구, 김효임, 김효주 (종교인), 김인후, 김종수 (1728년), 대구광역시, 대국, 대당고김씨부인묘명, 대한민국의 대학, 눈강, 교동향교, 교보생명 광화문글판, 구양수, 군자, 두문동칠십이인, 남자 (여자), 나주향교 대성전, 딩저우 시, 노 (춘추 전국), 노 정공, 노 애공, 노자, 논리학의 역사, 논어, 다퉁 구 (타이베이 시), 당률, 스콧 니어링, , 효경, , 슈리성, 자로, 자공, 자기 (동음이의), 자장 (동음이의), 자치통감강목, 자오원쉬안, 자사, 자산 (춘추), 장기향교, 장자크 루소, 재아, 편년체, 폴커 초츠, 이고 (당나라), 이이, 이사 (진나라), 이토 진사이, 인 (유교), 인문학, 일본 주자학, 일관도, 음력 8월 27일, 음양, 의산문답, 의암별제, 은진 구씨, 제 경공 (26대), 제자백가, 제주향교, 제사상, 전례 문제, 전국 시대, 전의향교, 전주향교 대성전, 전손사, 정도전, 정구 (1543년), 정통론, 정약용, 정신, 조광조, 조선 연산군, 조소앙, 조식 (1501년), 존화양이, 좌구명, 종교, 주공 단, 주공삼, 주희, 중국 철학, 중국 연극, 중국어의 한글 표기, 중화인민공화국의 세계유산, 증자 (사상가), 직장 (장례), 지닝 시, 창전동 (이천시), 철학, 철학당 공원, 청권사, 초주, 춘추, 춘추 (동음이의), 춘추 전국 시대, 춘추 시대, 춘추결옥, 춘추번로, 춘추곡량전, 춘추공양전, 춘추좌씨전, 취푸 시, 쿵더청, 유길준, 유교, 유교 (동음이의), 유언 (삼국지), 유여 (사람), 유학, 육우당 (활동가), 육적, 윤치호의 사상, 윤휴, 융저우 시, 상하이 시, 상앙, 태상노군, 태양신, 순자, 순자 (책), 수원향교, 숙량흘, 숙중회, 숙신, 영천향교 대성전, 오정동 (대전), 오상 (유교), 옹정제, 예기, 예형, 현공사, 최림, 최충, 향교, 양녕로, 양녕대군, 양전, 양전 (춘추), 양호 (삼국지), 행동 지침, 여장, 여흥 민씨, 역경, 연극의 역사, 연기향교, 연성공, 사공 (관직), 사기 (역사서), 사회과학, 사회정치철학자 목록, 사회철학, 사직 (역사), 산둥 요리, 산둥성, 삼공 (유적), 삼교, 피휘, 석가모니, 석전대제, 선인, 선성, 성덕왕, 성리학, 성선설, 성악설, 세계문학전집 목록, 세계에서 가장 큰 조각상 목록, 서경 (책), 서경덕, 서울 문묘, 서울 문묘 은행나무, 송 (성씨), 송갑조, 송익필, 송시열, 소크라테스, 통일적 다민족국가론, 통일신라의 교육, 함헌, 해동 (별칭), 한·당 시대의 사상, 한비, 한국의 도교, 한국의 유교, 한국의 역사, 한국의 신흥종교, 한얼교, 한시, 안 (성씨), 안고 (춘추), 안회, 안영, 안향, 하안, 하후연, 아무르강, 아타나시우스 키르허, 학문, 신돈, 신문화운동, 신흥 종교, 신정 (춘추), 신사임당, 시경, 시즈타니 학교, 후궁 (중국), 후한, 홍명집, 홍대용, 완주 고산향교 대성전, 왕자지, 2008년 2월, 9월 28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42 더) »

Epic Rap Battles of History

Epic Rap Battles of History는 에픽 로이드와 나이스 피터가 만든 유튜브 영상 시리즈로, 역사에 등장하는 인물이나 영화, 만화 등에 등장하는 가상인물들끼리 랩으로 배틀을 하는 내용이.

새로운!!: 공자와 Epic Rap Battles of History · 더보기 »

덩샤오핑

덩샤오핑(1904년 8월 22일 ~ 1997년 2월 19일)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공자와 덩샤오핑 · 더보기 »

도가

노자상 도가(道家) 또는 노장사상(老莊思想)은 중국사상(中國思想)의 여명기인 춘추전국시대 이래 유가(儒家)와 함께 중국 철학의 두 주류를 이루었던 학파이.

새로운!!: 공자와 도가 · 더보기 »

도교

(道敎)는 고대 중국에서 발생한 종교로서, 신선사상을 근본으로 하여 음양오행복서무축참위 등을 더하고, 거기에 도가(道家)의 철학을 도입하고, 다시 불교의 영향을 받아 성립.

새로운!!: 공자와 도교 · 더보기 »

도참

(圖讖) 또는 참위(讖緯)는 내용형식에 관계 없이 미래에 일어날 일에 대한 예언 혹은 징조를 통칭하는 낱말로, 특히 인간 생활의 길흉화복 또는 성쇠득실(盛衰得失)에 대한 예언 혹은 징조를 가리키는 낱말이.

새로운!!: 공자와 도참 · 더보기 »

동방 18현

동방 18현(東方 十八賢) 또는 동국 18현(東國 十八賢)은 문묘에 종사된 한국의 유학자들을 말.

새로운!!: 공자와 동방 18현 · 더보기 »

동관왕묘

서울 동관왕묘(서울 東關王廟)는 중국 촉나라의 장수 관우를 모신 사당으로,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 1963년 1월 21일에 보물 제142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공자와 동관왕묘 · 더보기 »

동부 (후한)

동부(董扶, ? ~ ?)는 중국 후한 말의 인물로 자는 무안(茂安)이며 익주 광한군 면죽현(綿竹縣) 사람이.

새로운!!: 공자와 동부 (후한) · 더보기 »

동사 (이종휘)

《동사》(東史)는 조선 후기 이종휘(1731년 ~ 1797년)가 지은 역사 책이.

새로운!!: 공자와 동사 (이종휘) · 더보기 »

류샤오보

샤오보(유효파; 劉曉波, 1955년 12월 28일 ~ 2017년 7월 13일)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전 정치 평론가, 반체제 인사, 작가, 노동 운동.

새로운!!: 공자와 류샤오보 · 더보기 »

린뱌오

린뱌오(1907년 12월 5일 ~ 1971년 9월 13일)는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공자와 린뱌오 · 더보기 »

맹꽁이서당

맹꽁이서당은 만화가 윤승운이 창작한 역사명랑만화이.

새로운!!: 공자와 맹꽁이서당 · 더보기 »

맹자

맹자(기원전 372년?~기원전 289년?)는 공자의 사상을 이어 발전시킨 유학자이.

새로운!!: 공자와 맹자 · 더보기 »

맹사성

맹사성(孟思誠, 1360년 8월 28일/음력 7월 17일 ~ 1438년 10월 22일/음력 10월 4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정치인, 유학자이.

새로운!!: 공자와 맹사성 · 더보기 »

만주국 위안

만주국 위안(滿州國 圓)은 1932년 6월부터 1945년 11월까지 만주국에서 사용된 통화이.

새로운!!: 공자와 만주국 위안 · 더보기 »

마오쩌둥

천안문에 있는 유화 마오쩌둥(1893년 12월 26일 ~ 1976년 9월 9일)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공자와 마오쩌둥 · 더보기 »

명심보감

명심보감(明心寶鑑)은 고려 시대 충렬왕 때 민부상서(民部尙書)·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낸 추적(秋適)이 1305년에 중국 고전에서 선현들의 금언(金言)·명구(名句)를 엮어서 저작.

새로운!!: 공자와 명심보감 · 더보기 »

무마시

무마 시(巫馬施, 기원전 521년 ~ ?)는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 공자의 제자로, 자는 자기(子期)이며 노나라 또는 진(陳)나라 사람이.

새로운!!: 공자와 무마시 · 더보기 »

문묘

문묘(文廟)는 문선왕묘(文宣王廟)의 약자로 공자묘(孔子廟)라고도 부른.

새로운!!: 공자와 문묘 · 더보기 »

문묘 (하노이)

문묘 문묘(Văn Miếu, 文廟)는 베트남 하노이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공자와 문묘 (하노이) · 더보기 »

문묘 제례악

문묘제례악(文廟祭禮樂)은 공자를 비롯하여 안자(顔子)·자사(子思)와 같은 중국의 성현과 설총·최치원과 같은 한국의 성현에게 제사하는 문묘제향에 쓰이는 음악이.

새로운!!: 공자와 문묘 제례악 · 더보기 »

문화 대혁명

1976년 베이징. “(윗줄) 신선한 피와 생명으로 당중앙을 보위하자! (아랫줄) 신선한 피와 생명으로 마오(마오쩌둥) 주석을 보위하자! 문화 대혁명(文化大革命)은 1966년 5월부터 1976년 12월까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벌어졌던 사회상·문화상·정치상 소란으로, 공식 명칭은 무산계급문화대혁명()이고 약칭은 문혁()이.

새로운!!: 공자와 문화 대혁명 · 더보기 »

묵가

묵가(墨家)는 춘추전국시대에 존재하였던 제자백가의 한 학파로, 묵자(墨子, 기원전 470~391?)를 시조로 하며, 전국시대에 활약하다가, 진시황의 통일 이후 홀연히 사라졌.

새로운!!: 공자와 묵가 · 더보기 »

묵자

묵자(기원전 470?~391?)는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송 허난 성에서 탄생한 사상가이자 철학자이.

새로운!!: 공자와 묵자 · 더보기 »

미자

미자(微子, ? ~ ?)는 중국 상나라의 왕족이자, 서주의 제후국인 송나라의 초대 공작(재위: 기원전 1038년 ? ~ 기원전 1025년 ?)이.

새로운!!: 공자와 미자 · 더보기 »

미중

미중(微仲, ? ~ ?)은 중국 서주의 제후국인 송나라의 제2대 공작(재위: ? ~ ?)이.

새로운!!: 공자와 미중 · 더보기 »

강릉향교

강릉향교(江陵鄕校)는 강원도 강릉시에 있는 향교이.

새로운!!: 공자와 강릉향교 · 더보기 »

강재시화

《강재시화(薑齋詩話)》는 명말 청초(淸初)의 학자 왕부지(王夫之)의 저서 모음집이.

새로운!!: 공자와 강재시화 · 더보기 »

강희제

200px 강희제(康熙帝, 순치(順治) 11년 음력 3월 18일 (1654년 5월 4일) ~ 강희(康熙) 61년 음력 11월 13일 (1722년 12월 20일))는 청나라의 제4대 황제(재위 1661년 ~ 1722년)이자, 산해관 입관(入關)산해관을 넘어 중국 대륙에 들어가 지배하기 시작하였다는 뜻이.

새로운!!: 공자와 강희제 · 더보기 »

강위

강위(姜瑋, 1820년 5월 2일 ~ 1884년 4월 5일)는 조선 말기의 한학자, 개화 사상가, 시인이자 금석학자.

새로운!!: 공자와 강위 · 더보기 »

박영효

박영효(朴泳孝, 1861년 ~ 1939년 양력 9월 21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 사상가로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공자와 박영효 · 더보기 »

강완숙

강완숙(姜完淑, 1760년 ~ 1801년 7월 2일(음력 5월 22일))은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한 천주교 순교자이.

새로운!!: 공자와 강완숙 · 더보기 »

건륭제

보친왕 시절의 건륭제 건륭제(乾隆帝, 강희(康熙) 50년 음력 8월 13일 (1711년 9월 25일) ~ 가경(嘉慶) 4년 음력 1월 3일 (1799년 2월 7일))는 청나라의 제6대 황제(재위 1735년 ~ 1796년)이.

새로운!!: 공자와 건륭제 · 더보기 »

결과에 호소

에 호소 (영: appeal to consequences, 라: argumentum ad consequentiam)는 어떠한 전제 (통상은 신념)에 따르면 최종적으로 바람직한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가 이끌리는 것에 기초를 두고, 그 전제가 참 (또는 거짓)이라고 결론 붙이는 논증이.

새로운!!: 공자와 결과에 호소 · 더보기 »

경전

경전(經典)은 종교의 믿음 또는 교리의 근간을 이루는 문서이.

새로운!!: 공자와 경전 · 더보기 »

법가

법가(法家)는 중국의 역사에서 춘추전국시대(770~221 BC)의 제자백가 가운데에서도 주요 유파 넷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공자와 법가 · 더보기 »

고려의 교육

의 교육은 고려 시대 동안 행해진 교육을 의미하며, 연대적으로는 918년부터 1392년까지이.

새로운!!: 공자와 고려의 교육 · 더보기 »

고문 (서체)

문(古文)은 전서가 성립된 이전의 서체로서 현존하는 최고의 문자인 귀갑수골문(龜甲獸骨文)을 위시하여 은·주 고동기(古銅器)의 명문(銘文) 등을 총칭하여 부르고 있. 허신(許愼)의 서(序)의 설면에서는 공자의 벽중(壁中)에서 나온 문자를 가리키고 있. 신나라 왕망(王莽) 때에는 대전(大篆)까지도 고문이라 하였.

새로운!!: 공자와 고문 (서체) · 더보기 »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1646년 7월 1일 ~ 1716년 11월 14일)는 독일의 철학자이자 수학자이.

새로운!!: 공자와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 더보기 »

고성향교

성향교(固城鄕校)는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에 있는 향교이.

새로운!!: 공자와 고성향교 · 더보기 »

곡부 공씨

곡부 공씨(曲阜 孔氏)는 중국에서 유래한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공자와 곡부 공씨 · 더보기 »

보즐

보즐(步騭, ? ~ 247년)은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동오의 정치가로, 자는 자산(子山)이며 임회군 회음현(淮陰縣) 사람이.

새로운!!: 공자와 보즐 · 더보기 »

보숙승

보숙 승(步叔乘, ? ~ ?)은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 공자의 제자로, 자는 자거(子車)이며 제나라 사람이.

새로운!!: 공자와 보숙승 · 더보기 »

공 (성씨)

공(孔, 公)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공자와 공 (성씨) · 더보기 »

공량유

공량 유(公良孺, ? ~ ?)는 중국 춘추시대의 사상가 공자의 제자로, 자는 자정(子正)이며 진(陳)나라 사람이.

새로운!!: 공자와 공량유 · 더보기 »

공덕귀

공덕귀(孔德貴, 1911년 4월 21일 ~ 1997년 11월 24일, 경남 통영)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교육자, 사회사업가이자 여성운동가, 신학자, 종교인, 사회기관단체인, 야당운동가이며, 영부인으로 대한민국의 제4대 대통령 윤보선의 두 번째 아내이.

새로운!!: 공자와 공덕귀 · 더보기 »

공문십철

공문십철(孔門十哲)은 공자의 제자 중 가자 뛰어난 열 명을 이른.

새로운!!: 공자와 공문십철 · 더보기 »

공광

공광(孔光, 기원전 65년 ~ 기원후 5년)은 전한 말의 학자이자 정치가로, 자는 자하(子夏)이.

새로운!!: 공자와 공광 · 더보기 »

공부 (유적)

행공부 공부의 내부 공부(孔府)는 중화인민공화국 산둥성 취푸 시 중심부에 위치한 공자의 직계 자손과 그 가족이 살았던 저택을 말. 공자를 제사 하는 공묘 동쪽에 위. 역대 왕조의 보호를 받고 있던 공자 직계 자손(공가)이 거주했기 때문에 중국 유수한 규모를 자랑하는 저택이었지만, 공가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에 타이완으로 이주하였고, 현재는 관광지로서 일반 공개되고 있. 1994년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에 공묘, 공림과 함께 삼공으로 등록되었.

새로운!!: 공자와 공부 (유적) · 더보기 »

공자 평화상

공자 평화상(孔子 平和賞)은 2010년 12월에 제정된 중화인민공화국의 평화상으로, 평화에 공헌한 인물에 수여.

새로운!!: 공자와 공자 평화상 · 더보기 »

공자의 제자

공자의 제자 또는 공자의 문인은 그 수가 많아 이름이 알려져 있는 사람만도 70명을 넘고 있. 사마천의 《사기》〈중니 제자 열전〉에 그 명단이 기록되어 있. 공자(孔子)의 제자 가운데 뛰어난 70인을 칠십자(七十子)라고 하는데, 기록에 따라서는 육십일자(六十一子) 또는 칠십이현(七十二賢)이.

새로운!!: 공자와 공자의 제자 · 더보기 »

공자학원

공자학원(孔子學院)은 중국 교육부가 세계 각 나라에 있는 대학교들과 교류해, 중국의 문화나 중국어등의 교육 및 전파를 위해 세워진 교육 기관이.

새로운!!: 공자와 공자학원 · 더보기 »

공충

공충(孔忠, ? ~ ?)은 춘추 시대의 사상가 공자(孔子)의 조카이자 제자로, 자는 자멸(子蔑)이며, 노(魯)나라 곡부(曲阜) 사람이.

새로운!!: 공자와 공충 · 더보기 »

공산불뉴

공산불뉴(公山不狃)는 전국시대 노나라 사람이.

새로운!!: 공자와 공산불뉴 · 더보기 »

공성

공성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공자와 공성 · 더보기 »

공손룡 (춘추)

공손 룡(公孫龍, 기원전 498년 ~ ?)은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 공자의 제자로, 자는 자석(子石)이며 초나라 사람이.

새로운!!: 공자와 공손룡 (춘추) · 더보기 »

공안국

공안국(孔安國, ? ~ ?)은 전한 초기의 학자로, 자는 자국(子國)이며 노국 사람이.

새로운!!: 공자와 공안국 · 더보기 »

계영배

영배의 단면과 작동 과정. 계영배(戒盈杯)는 잔의 형태를 한 장난감이.

새로운!!: 공자와 계영배 · 더보기 »

계손사

손 사(季孫斯, ? ~ 기원전 492년)는 노나라 대부로, 계손씨의 영수.

새로운!!: 공자와 계손사 · 더보기 »

변법자강 운동

변법자강 운동(變法自強 運動)은 캉유웨이가 추진한 정치 운동이었.

새로운!!: 공자와 변법자강 운동 · 더보기 »

괴산향교

산향교(槐山鄕校)는 충청북도 괴산군에 있는 향교이.

새로운!!: 공자와 괴산향교 · 더보기 »

괄목상대

목상대(刮目相對)는 《삼국지》에서 유래한 고사성어이.

새로운!!: 공자와 괄목상대 · 더보기 »

관중 (춘추)

이오(管夷吾, 기원전 725년? ~ 기원전 645년)는 중국 춘추 시대 초기 제나라의 정치가이자 사상가로, 자는 중(仲)이며 영상(潁上) 사람이.

새로운!!: 공자와 관중 (춘추)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공자와 불교 · 더보기 »

불교의 역사

이 문서는 인도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인 인도 불교의 역사, 즉 인도 불교사에 대해 특히.

새로운!!: 공자와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부여

부여(扶餘, 기원전 2세기 ~ 494년)는 한민족의 고대국가로 여겨지는 초기 국가(연맹 왕국)들 중 하나로, 지금의 쑹화강 유역을 중심으로 지금의 만주 일대(하얼빈, 아청, 위수, 눙안, 창춘, 솽양, 지린, 옌지, 훈춘, 치치하얼, 룽장)를 지배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 고구려에 의해 부여는 병합되었.

새로운!!: 공자와 부여 · 더보기 »

부섭

부섭(傅燮, ? ~ 187년)은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남용(南容)이며 양주(凉州) 북지군(北地郡) 영주현(靈州縣) 사람이.

새로운!!: 공자와 부섭 · 더보기 »

기 (사성)

(杞, ? ~ 기원전 445년)는 중국 주나라의 제후국이.

새로운!!: 공자와 기 (사성) · 더보기 »

기자지

《기자지》(箕子志)는 활자본이며 5권 1책이.

새로운!!: 공자와 기자지 · 더보기 »

기원전 47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공자와 기원전 479년 · 더보기 »

기원전 55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공자와 기원전 551년 · 더보기 »

기원전 5세기

원전 5세기는 기원전 500년부터 기원전 401년까지를 말.

새로운!!: 공자와 기원전 5세기 · 더보기 »

기원전 6세기

원전 6세기는 기원전 600년부터 기원전 501년까지를 말.

새로운!!: 공자와 기원전 6세기 · 더보기 »

기후 시

후 시()는 기후현 중남부에 위치하는 시이자 현청 소재지이.

새로운!!: 공자와 기후 시 · 더보기 »

기후현

후 현()은 일본 혼슈 중앙부의 주부 지방에 있는 내륙현이.

새로운!!: 공자와 기후현 · 더보기 »

금 (성씨)

(琴, 今, 金)씨는 한국의 성씨 및 중국의 성씨다 능.

새로운!!: 공자와 금 (성씨) · 더보기 »

금수회의록

수회의록(禽獸會議錄)은 1908년에 나온 안국선의 소설이.

새로운!!: 공자와 금수회의록 · 더보기 »

비간 (상나라)

봉신연의의 비간(왼쪽 그림) 비간(比干)은 상나라 후기의 현인이.

새로운!!: 공자와 비간 (상나라) · 더보기 »

김구

(金九, 1876년 8월 29일 ~ 1949년 6월 26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인, 교육자, 통일운동가, 정치인이.

새로운!!: 공자와 김구 · 더보기 »

김효임

효임(金孝任, 1814년 ~ 1839년 9월 26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공자와 김효임 · 더보기 »

김효주 (종교인)

효주(金孝珠, 1816년 ~ 1839년 9월 3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공자와 김효주 (종교인) · 더보기 »

김인후

인후(金麟厚, 1510년 ~ 1560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공자와 김인후 · 더보기 »

김종수 (1728년)

종수(金鍾秀, 1728년 ~ 1799년 1월 7일)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자와 김종수 (1728년) · 더보기 »

대구광역시

광역시(大邱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동남부 내륙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공자와 대구광역시 · 더보기 »

대국

국(大國)은 일반적으로 국가의 규모가 큰 나라를 의미하며, 동아시아에서는 역사적으로 주나라 이후 중국의 정통성을 이어받았다고 인정받은 나라를 말. 이에 영향을 받아서 동아시아의 각국들은 자신들보다 열세에 있는 국가나 민족에 대하여 대국을 자처하였.

새로운!!: 공자와 대국 · 더보기 »

대당고김씨부인묘명

당고김씨부인묘명(大唐故金氏夫人墓銘)은 중국 당나라에 살았던 신라인 김씨 부인의 묘지명이.

새로운!!: 공자와 대당고김씨부인묘명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대학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대학에 관한 것이.

새로운!!: 공자와 대한민국의 대학 · 더보기 »

눈강

강() 혹은 나하(那河)는 중국 북동부의 강이.

새로운!!: 공자와 눈강 · 더보기 »

교동향교

동향교(喬桐鄕校)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면에 있는 향교이.

새로운!!: 공자와 교동향교 · 더보기 »

교보생명 광화문글판

보생명 사옥과 그 한가운데 걸린 광화문글판. 교보생명 광화문글판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광화문광장 부근의 교보생명 사옥 외부에 내걸린 대형 글판이.

새로운!!: 공자와 교보생명 광화문글판 · 더보기 »

구양수

양수 구양수(歐陽脩, 1007년 ~ 1072년)는 중국 송나라 인종 ~ 신종 때의 정치가ㆍ시인ㆍ문학자ㆍ역사학자이.

새로운!!: 공자와 구양수 · 더보기 »

군자

자(君子)는 유교에서 '성품이 어질고 학식이 높은 지성인'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공자와 군자 · 더보기 »

두문동칠십이인

문동칠십이인(杜門洞七十二人) 또는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은 고려 멸망 직후 고려에 충성을 다하고 절개를 지켰다고 전하는 72인의 유신(遺臣)들을 가리.

새로운!!: 공자와 두문동칠십이인 · 더보기 »

남자 (여자)

자(南子)는 춘추시대 위 영공의 아내이.

새로운!!: 공자와 남자 (여자) · 더보기 »

나주향교 대성전

주향교 대성전(羅州鄕校大成殿)은 나주향교의 대성전이.

새로운!!: 공자와 나주향교 대성전 · 더보기 »

딩저우 시

딩저우 시() 는 중화 인민 공화국 허베이 성 바오딩시 소속 현급시였으나 2013년부로 허베이성 성정부 직할 현급 행정구역이 되었.

새로운!!: 공자와 딩저우 시 · 더보기 »

노 (춘추 전국)

원전 5세기의 중국: 노(魯)나라는 지도에서 Lu로 표시되어 있다 노나라(魯, 기원전 1046년 ~ 기원전 256년)는 지금의 취푸시에 위치한 나라로, 주나라 무왕이 아우인 주공 단에게 내린 봉토를 그의 아들인 백금에게 다스리게 하던 제후국으로 주나라의 혈족국가이.

새로운!!: 공자와 노 (춘추 전국) · 더보기 »

노 정공

정공(魯 定公, ? ~ 기원전 495년, 재위 기원전 509년 ~ 기원전 495년)은 중국 노나라의 제26대 임금이.

새로운!!: 공자와 노 정공 · 더보기 »

노 애공

애공(魯哀公, ? ~ 기원전 467년)은 노나라의 제27대 군주이.

새로운!!: 공자와 노 애공 · 더보기 »

노자

Renard, (2002), p.16 노자(老子)는 춘추시대 초나라의 철학자로 전해지고 있. 성은 이(李), 이름은 이(耳), 시호는 담(聃)이.

새로운!!: 공자와 노자 · 더보기 »

논리학의 역사

리학의 역사는 타당한 추론을 탐구하는 학문인 논리학의 발전사를 말. 형식논리학은 고대의 중국, 인도, 그리스에서 발전.

새로운!!: 공자와 논리학의 역사 · 더보기 »

논어

《논어》(論語)는 공자와 그 제자들의 대화를 기록한 책으로 사서의 하나이.

새로운!!: 공자와 논어 · 더보기 »

다퉁 구 (타이베이 시)

퉁 구의 위치 디화가 다퉁 구() 는 중화민국 타이베이 시의 시할구이.

새로운!!: 공자와 다퉁 구 (타이베이 시) · 더보기 »

당률

당률(唐律)은 형법으로 중국 당나라 시대에 세워졌.

새로운!!: 공자와 당률 · 더보기 »

스콧 니어링

스콧 니어링(1883년 8월 6일 ~ 1983년 8월 24일)은 미국의 경제학자이.

새로운!!: 공자와 스콧 니어링 · 더보기 »

효(孝)하는 마음으로, 동양에서 충(忠)과 더불어 가장 중요하게 여겨진 가치관이.

새로운!!: 공자와 효 · 더보기 »

효경

《효경》(孝經)은 유가의 주요 경전인 십삼경(十三經)의 하나이.

새로운!!: 공자와 효경 · 더보기 »

용산의 용 용(龍)은 동아시아의 신화 및 전설에 등장하는 상상의 동물로 여겨 지지만 수 많은 역사 기록에 남아 있는 동물 이. 특히 중국에서는 신성한 동물, 즉 영수(靈獸)라고 하여 매우 귀하게 여. 용은 영수 중에서도 특히 귀하게 여겨져, 용이 모습을 드러내면 세상이 크게 변할 전조라고 믿어졌.

새로운!!: 공자와 용 · 더보기 »

슈리성

수례문 세이덴2006년 5월 촬영 성벽2004년 7월 촬영 슈리 성()은 오키나와현 나하 시에 있으며, 예전에는 해외무역의 거점인 나하 항을 내려보는 언덕에 있던 성이.

새로운!!: 공자와 슈리성 · 더보기 »

자로

중유(仲由, 기원전 542년 ~ 기원전 480년)는 중국 춘추 시대 노나라의 학자이자 관료로, 자는 자로(子路) 또는 계로(季路)이며 변(卞) 사람이.

새로운!!: 공자와 자로 · 더보기 »

자공

목 사(端木賜, 기원전 520년 ~ 기원전 456년?)은 중국 춘추 시대 위나라의 유학자이자 관료로, 자는 자공(子貢, 子贛)이.

새로운!!: 공자와 자공 · 더보기 »

자기 (동음이의)

자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공자와 자기 (동음이의) · 더보기 »

자장 (동음이의)

자장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공자와 자장 (동음이의) · 더보기 »

자치통감강목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은 은 송나라 때 주희가 쓴 중국의 역사서이.

새로운!!: 공자와 자치통감강목 · 더보기 »

자오원쉬안

자오원쉬안(1960년 6월 9일 ~)은 타이완과 홍콩의 배우이.

새로운!!: 공자와 자오원쉬안 · 더보기 »

자사

자사(子思, 기원전 483년? ~ 기원전 402년?)는 노나라(魯)의 유학자이.

새로운!!: 공자와 자사 · 더보기 »

자산 (춘추)

자산(子産, ? ~ 기원전 522년)은 중국 춘추 시대 정나라의 정치가로, 성은 희(姬), 씨는 국(國), 이름은 교(僑)이며 '자산'은 자이.

새로운!!: 공자와 자산 (춘추) · 더보기 »

장기향교

장기향교(長鬐鄕校)는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에 있는 향교이.

새로운!!: 공자와 장기향교 · 더보기 »

장자크 루소

장 자크 루소(Jean-Jacques Rousseau, 1712년 6월 28일 ~ 1778년 7월 2일)는 스위스 제네바 공화국에서 태어난 프랑스의 사회계약론자이자 직접민주주의자, 공화주의자, 계몽주의 철학자이.

새로운!!: 공자와 장자크 루소 · 더보기 »

재아

재아(宰我)는, 공자(孔子)의 문인이.

새로운!!: 공자와 재아 · 더보기 »

편년체

(編年體)는 한자 문화권에서 역사책을 쓸 때 사용되는 체제이.

새로운!!: 공자와 편년체 · 더보기 »

폴커 초츠

(Volker Zotz, 1956년 10월 28일 ~) 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유대계 종교철학자이.

새로운!!: 공자와 폴커 초츠 · 더보기 »

이고 (당나라)

이고(李翺, 774년~836년)는 중국 당나라의 사상가이.

새로운!!: 공자와 이고 (당나라) · 더보기 »

이이

이이(李珥, 1537년 1월 7일(1536년 음력 12월 26일) ~ 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공자와 이이 · 더보기 »

이사 (진나라)

이사(李斯, 기원전 284년 ~ 기원전 208년)는 중국 전국시대 ~ 진나라의 철학자·정치가로, 자는 통고(通古)이며 초나라 상채(上蔡) 사람이.

새로운!!: 공자와 이사 (진나라) · 더보기 »

이토 진사이

이토 진사이/호리카와 문인에 의한 초상 이토 진사이〔), 간에이() 4년 음력 7월 20일(서기 1627년 8월 30일) ~ 칸에이() 2년 음력 3월 12일(서기 1705년 4월 5일)〕은 에도 시대 전기에 활약한 유학자, 사상가로서 교토에서 목재상을 하는 집안에서 태어났다. 일상생활 가운데 있는 윤리와 인간 모습을 탐구해 제시했다. 이름은, 어려서는 유정(維貞), 커서는 유정(維禎)이다. 가명 통칭은, 원길(源吉), 원좌(源佐), 원칠(源七)이다. 옥호(屋号)는, 쓰루야 시치에몬()이다. 진사이(仁斎)는 호고 시호는 고카쿠 선생().

새로운!!: 공자와 이토 진사이 · 더보기 »

인 (유교)

인(仁)은 유교에서 인간성, 즉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본질이라고 보는 인간의 덕성으로 또한 유교 윤리의 최고 덕목이.

새로운!!: 공자와 인 (유교) · 더보기 »

인문학

학자 플라톤 인문학(人文學)은 인간과 인간의 근원문제, 인간의 사상과 문화에 관해 탐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공자와 인문학 · 더보기 »

일본 주자학

일본 주자학은 에도 시대에 발전한 일본의 성리학 학파이.

새로운!!: 공자와 일본 주자학 · 더보기 »

일관도

일관도(一貫道)는 중국에서 만들어진 도교의 하나로, 불교와 유교가 융합된 것이 특징이.

새로운!!: 공자와 일관도 · 더보기 »

음력 8월 27일

음력 8월 27일은 음력 8월의 27번째 날이.

새로운!!: 공자와 음력 8월 27일 · 더보기 »

음양

음양(陰陽, "dark-bright" 또는 "negative-positive")은 동양의 철학적 사고의 틀이.

새로운!!: 공자와 음양 · 더보기 »

의산문답

《의산문답》(醫山問答)은 1766년(조선 영조 42년) 홍대용이 지은 책으로서, 《담헌서(湛軒書)》내집에 보유로 포함되어 있. 북학파 실학자인 홍대용의 통합과학적 사상을 종합적으로 보여 주었다는 평을 받고 있.

새로운!!: 공자와 의산문답 · 더보기 »

의암별제

의암별제의 포구락무 의암별제(義巖別祭)는 매년 음력 6월에 길일을 택하여 논개를 추고하기 위해 기생들만이 치른 대규모 의식으로, 악공을 제외하고 제관(祭官) 등 모든 의식을 여자(기생)들이 주관하는 독특한 제전이며, 선비들의 음악인 정악(正樂)을 사용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행사이.

새로운!!: 공자와 의암별제 · 더보기 »

은진 구씨

은진 구씨(恩津 邱氏)는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공자와 은진 구씨 · 더보기 »

제 경공 (26대)

경공(景公, ? ~ 기원전 490년, 재위: 기원전 548년 ~ 기원전 490년)은 춘추시대 제나라의 제26대 후작이.

새로운!!: 공자와 제 경공 (26대) · 더보기 »

제자백가

제자백가(諸子百家) 또는 현상적 표현인 백가쟁명(百家爭鳴)는 춘추전국시대(기원전 770~221)의 여러 사상가와 그 학파들을 말. 주나라(周)가 동으로 천도한 후의 동주(東周: 기원전 771~256) 시대에서는 종주권이 쇠약해짐에 따라 제후들이 세력을 추구하면서 거리낌이 없어져서 약육강식이 잇달아 일어나자 중국 천하는 소란하게 되었.

새로운!!: 공자와 제자백가 · 더보기 »

제주향교

제주향교(濟州鄕校)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용담1동에 있는 향교이.

새로운!!: 공자와 제주향교 · 더보기 »

제사상

제사상은 제사 또는 제례를 지낼 때 제물을 벌여 놓는 상이.

새로운!!: 공자와 제사상 · 더보기 »

전례 문제

전례 문제(典禮問題)는 로마 가톨릭교회 내에서 초기 중국 전교 과정에서 수도회들 간에 발생한 전통·습관 문제에 관한 논쟁이.

새로운!!: 공자와 전례 문제 · 더보기 »

전국 시대

전국 시대 전국 시대, 시대별 변천도 전국 시대(戰國時代, 기원전 403년 ~ 기원전 221년)는 기원전 403년부터 진(秦)나라가 중국 통일을 달성한 기원전 221년까지의 기간을 가리키며, 그 시기의 이야기가 주로 《전국책(戰國策)》에서 보여지므로 전국시대라 불린.

새로운!!: 공자와 전국 시대 · 더보기 »

전의향교

전의향교(全義鄕校)는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

새로운!!: 공자와 전의향교 · 더보기 »

전주향교 대성전

전주향교 대성전(全州鄕校 大成殿)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전주향교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공자와 전주향교 대성전 · 더보기 »

전손사

전손 사(顓孫師, 기원전 503년 ~ ?)는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 공자의 제자로, 자는 자장(子張)이며 진(陳)나라 사람이.

새로운!!: 공자와 전손사 · 더보기 »

정도전

정도전(鄭道傳, 1342년~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유학자, 혁명가(革命家)이.

새로운!!: 공자와 정도전 · 더보기 »

정구 (1543년)

정구(鄭逑, 1543년 7월 9일 ~ 1620년 1월 5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철학자, 역사학자, 작가, 서예가, 의학자이자 임진왜란기의 의병장이.

새로운!!: 공자와 정구 (1543년) · 더보기 »

정통론

정통론(正統論)은 이전 국가의 멸망과 새로운 국가의 창건을 통한 왕조나 정권의 교체가 있거나 한 국가 내의 혈연적·세력적 분열이 있는 경우, 기존의 국가가 가졌던 정당성을 어느 국가가 계승 또는 담보하고 있는지에 대한 역사적·정치적·철학적 담론의 총체를 말. 정윤론(正閏論)이.

새로운!!: 공자와 정통론 · 더보기 »

정약용

화성성역의궤에 실린 거중기 정약용(丁若鏞, 1762년 8월 5일(음력 6월 16일) ~ 1836년 4월 7일(음력 2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저술가·시인·철학자·과학자·공학자이다. 본관은 나주, 자는 미용(美庸), 호는 다산(茶山)·사암(俟菴)·탁옹(籜翁)·태수(苔叟)·자하도인(紫霞道人)·철마산인(鐵馬山人)·문암일인(門巖逸人), 당호는 여유당(與猶堂)이다. 시호는 문도(文度)이다.

새로운!!: 공자와 정약용 · 더보기 »

정신

정신(精神)은 육체나 물질에 대립되는 영혼이나 마음, 사물을 느끼고 생각하며 판단하는 능력 또는 그런 작용, 마음의 자세나 태도, 사물의 근본적인 의의나 목적 또는 이념이나 사상 등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공자와 정신 · 더보기 »

조광조

조광조(趙光祖, 1482년 8월 23일/음력 8월 10일 ~ 1520년 1월 10일/1519년 음력 12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공자와 조광조 · 더보기 »

조선 연산군

연산군(燕山君, 1476년 11월 23일 (음력 11월 7일) ~ 1506년 11월 20일 (음력 11월 6일), 재위 1494년 ~ 1506년)은 조선의 제10대 왕이.

새로운!!: 공자와 조선 연산군 · 더보기 »

조소앙

조소앙(趙素昻, 1887년 4월 30일 ~ 1958년 9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 교육자이.

새로운!!: 공자와 조소앙 · 더보기 »

조식 (1501년)

조식(曺植, 1501년 7월 10일(음력 6월 26일) ~ 1572년 2월 21일(음력 2월 8일))은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이고 영남학파의 거두이.

새로운!!: 공자와 조식 (1501년) · 더보기 »

존화양이

존화양이(尊華攘夷)는 중국을 존중하고 오랑캐를 물리친다는 뜻으로, 중화사상의 일부 관념이.

새로운!!: 공자와 존화양이 · 더보기 »

좌구명

좌구명(左丘明, 기원전 556년 ~ 기원전 451년)은 중국 춘추시대 말기 노나라의 역사가이.

새로운!!: 공자와 좌구명 · 더보기 »

종교

슬라브 신이교의 상징. 종교(宗敎)란 규정된 믿음을 공유하는 이들로 이루어진 신앙 공동체와 그들이 가진 신앙 체계나 문화적 체계(cultural system)를 말. 종교는 인간과 관련된 존재의 우주적 질서(a cosmic order of existence)이.

새로운!!: 공자와 종교 · 더보기 »

주공 단

주 문공 희단 주공 단(周公 旦)은 주나라의 정치가로 문왕의 아들이자 무왕의 동생이.

새로운!!: 공자와 주공 단 · 더보기 »

주공삼

주공삼(朱孔三, 1875년 ~ ?)은 일제 강점기의 개신교(장로교) 목사이며, 시인으로도 활약하였.

새로운!!: 공자와 주공삼 · 더보기 »

주희

주자 주희(朱熹, 1130년 ~ 1200년)는 중국 남송의 유학자로, 주자(朱子), 주부자(朱夫子), 주문공(朱文公) 송태사휘국문공(宋太師徽國文公)이라는 존칭이나 봉호로도 불린.

새로운!!: 공자와 주희 · 더보기 »

중국 철학

중국 철학(中國哲學Chinese philosophies) 또는 중국의 사상(中國의 思想Chinese thoughts)은 중국에서 전개된 철학 또는 사상을 가리.

새로운!!: 공자와 중국 철학 · 더보기 »

중국 연극

중국 연극은 크게 나누어 고전극과 현대극으로 구별.

새로운!!: 공자와 중국 연극 · 더보기 »

중국어의 한글 표기

중국어의 한글 표기(中國語-表記)는 중국어를 한글로 적는 외래어 표기법이.

새로운!!: 공자와 중국어의 한글 표기 · 더보기 »

중화인민공화국의 세계유산

만리장성 려산 중화인민공화국은 47개의 세계유산을 가지고 있고,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유산을 가지고 있. 중국은 세계 문화 자연유산에 대한 보호위원회를 1985년 12월 12일에 비준하였.

새로운!!: 공자와 중화인민공화국의 세계유산 · 더보기 »

증자 (사상가)

증자(曾子, 기원전 505년~기원전 435년)는 중국 전국 시대의 유가(儒家) 사상가이.

새로운!!: 공자와 증자 (사상가) · 더보기 »

직장 (장례)

직장(直葬)은 장례식 없이 인간의 시체를 화장 또는 매장하는 것이.

새로운!!: 공자와 직장 (장례) · 더보기 »

지닝 시

닝 시(제녕)는 중화인민공화국 산둥 성 서남부에 위치하는 지급시이.

새로운!!: 공자와 지닝 시 · 더보기 »

창전동 (이천시)

창전동(倉前洞)은 대한민국 경기도 이천시의 중앙에 위치한 동이.

새로운!!: 공자와 창전동 (이천시) · 더보기 »

철학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시는 모습 철학(哲學, 고대 그리스어: φιλοσοφία)은 존재, 지식, 가치, 이성, 인식 그리고 언어 등의 일반적이며 기본적인 대상의 실체를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공자와 철학 · 더보기 »

철학당 공원

학당 공원 철학당 공원()는 일본 도쿄도 나카노 구에 위치한 공원이.

새로운!!: 공자와 철학당 공원 · 더보기 »

청권사

청권사(淸權祠)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에 있는 조선 태종의 둘째 아들이자 세종의 형인 효령대군(孝寧大君) 보(補)의 사당과 묘소로 정식 명칭은 청권사부묘소(淸權祠附墓所)이.

새로운!!: 공자와 청권사 · 더보기 »

초주

주(譙周, 199년 이전 ~ 270년)는 중국 삼국 시대 촉(蜀)의 정치가로, 자는 윤남(允南)이며 익주(益州) 파서군(巴西郡) 서충국(西充國) 사람이.

새로운!!: 공자와 초주 · 더보기 »

춘추

《춘추》(春秋)는 공자가 노나라 사관이 저작한 역사서에 자신의 글을 적어서 다시 편찬한 노나라의 역사서이.

새로운!!: 공자와 춘추 · 더보기 »

춘추 (동음이의)

(春秋)는 글자 그대로는 ‘봄과 가을’이라는 뜻으로, 한국어에서 일반적으로 나이를 높여 부르는 말이.

새로운!!: 공자와 춘추 (동음이의) · 더보기 »

춘추 전국 시대

전국 시대(春秋戰國時代, 기원전 770년 ~ 기원전 221년)는 춘추 시대와 전국 시대를 아울러 부르는 말로, 기원전 770년 주(周)왕조의 천도 후부터 기원전 221년 시황제(始皇帝)의 통일까지에 해당.

새로운!!: 공자와 춘추 전국 시대 · 더보기 »

춘추 시대

시대 (기원전 771~256) 주나라 시기 제후 분포도 춘추 시대(기원전 770~403)는 중국의 역사에서 기원전 770년에서 기원전 403년 사이의 시기를 말하며, 주나라의 동천 이후 진나라의 중국 통일까지의 시기를 부르는 춘추 전국 시대의 전반기에 해당.

새로운!!: 공자와 춘추 시대 · 더보기 »

춘추결옥

옥(春秋決獄), 또는 경의결옥(経議決獄)은, 고대 중국의 재판 기준의 하나이.

새로운!!: 공자와 춘추결옥 · 더보기 »

춘추번로

번로(春秋繁露)는 전한 중기의 유학자 동중서의 저서로 전해지는 책이.

새로운!!: 공자와 춘추번로 · 더보기 »

춘추곡량전

곡량전(春秋穀梁傳)은 춘추공양전, 춘추좌씨전과 같이 춘추삼전 중의 하나이.

새로운!!: 공자와 춘추곡량전 · 더보기 »

춘추공양전

공양전(春秋公羊傳)은 춘추의 주석서이며, 춘추좌씨전, 춘추곡량전과 함께 '춘추삼전'이라고 불리고 있.

새로운!!: 공자와 춘추공양전 · 더보기 »

춘추좌씨전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은 공자(孔子)가 편찬한 것으로 전해지는 역사서인 《춘추》의 대표적인 주석서 중 하나로, 기원전 700년경부터 약 250년간의 역사가 쓰여져 있. 또 다른 명칭으로는 좌전(左傳), 좌씨전(左氏傳), 좌씨춘추(左氏春秋).

새로운!!: 공자와 춘추좌씨전 · 더보기 »

취푸 시

(곡부)는 중화인민공화국 산둥 성 지닝 시의 관할에 있는 현급시이.

새로운!!: 공자와 취푸 시 · 더보기 »

쿵더청

쿵더청 쿵더청(공덕성, 孔德成, 1920년 2월 23일 ~ 2008년 10월 28일)은 공자의 77대 직계자손이.

새로운!!: 공자와 쿵더청 · 더보기 »

유길준

유길준(兪吉濬, 1856년 양력 11월 21일(음력 10월 24일) ~ 1914년 양력 9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교관, 작가이며 대한제국의 정치가·개화 사상가·계몽운동가이.

새로운!!: 공자와 유길준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공자와 유교 · 더보기 »

유교 (동음이의)

유교는 다음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공자와 유교 (동음이의) · 더보기 »

유언 (삼국지)

유언(劉焉, ? ~ 194년)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군랑(君郞)이며 형주 강하군 경릉현(竟陵縣) 사람이.

새로운!!: 공자와 유언 (삼국지) · 더보기 »

유여 (사람)

공왕 유여(魯共王 劉餘, ? ~ 기원전 129년)는 중국 전한의 황족 · 제후왕으로, 공왕 계통의 첫 노왕이.

새로운!!: 공자와 유여 (사람) · 더보기 »

유학

유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공자와 유학 · 더보기 »

육우당 (활동가)

육우당(六友堂, 본명: 윤현석(尹賢碩), 1984년 8월 7일 ~ 2003년 4월 26일)은 대한민국의 학생 운동가 출신 동성애자 인권 운동가, 시민운동가이자 시조 시인, 작가, 평론가이.

새로운!!: 공자와 육우당 (활동가) · 더보기 »

육적

육적(陸績, 188년 ~ 219년)은 중국 후한 말의 관료이자 학자로, 자는 공기(公紀)이며, 오군 오현(吳縣) 사람이.

새로운!!: 공자와 육적 · 더보기 »

윤치호의 사상

윤치호 본 문서는 윤치호의 사상에 대하여 설명.

새로운!!: 공자와 윤치호의 사상 · 더보기 »

윤휴

윤휴(尹鑴, 1617년 10월 14일 ~ 1680년 5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공자와 윤휴 · 더보기 »

융저우 시

융저우(영주)는 중화인민공화국 후난 성 남부에 위치한 지급시이.

새로운!!: 공자와 융저우 시 · 더보기 »

상하이 시

상하이()는 중국 본토 동부의 창강() 하구에 있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직할시이.

새로운!!: 공자와 상하이 시 · 더보기 »

상앙

상앙(商鞅, 기원전 395년? ~ 기원전 338년)은 고대 중국의 전국시대 진나라의 법가를 대표하는 중요한 정치가였.

새로운!!: 공자와 상앙 · 더보기 »

태상노군

상노군(太上老君)은 노자(老子)를 신격화한 것이.

새로운!!: 공자와 태상노군 · 더보기 »

태양신

Trundholm sun chariot), 북유럽 청동기 시대(1700?~500 BC) 태양신(太陽神) 또는 태양여신(太陽女神)은 태양이 종교적 숭배와 신앙의 대상으로 신격화되어 형성된 신이.

새로운!!: 공자와 태양신 · 더보기 »

순자

순자(荀子, 기원전 298년? ~ 기원전 238년?)는 고대 중국의 전국시대(戰國時代, 기원전 403년 ~ 기원전 221년) 말기의 유가 사상가이자 학자로,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중국의 사상 > 제자백가의 사상 > 순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이름은 순황(荀況)이.

새로운!!: 공자와 순자 · 더보기 »

순자 (책)

《순자(筍子)》는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 BC 403~221) 말기의 유가 사상가 순자(荀子: BC 298?~238?)의 말과 글을 모은 것이.

새로운!!: 공자와 순자 (책) · 더보기 »

수원향교

수원향교(水原鄕校)는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매교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

새로운!!: 공자와 수원향교 · 더보기 »

숙량흘

숙량흘(叔梁紇: ? ~ 기원전 548년)은 춘추시대 노나라의 군인으로, 성은 자(子), 씨는 공(孔), 이름은 흘(紇)이고, 숙량(叔梁)은 자이.

새로운!!: 공자와 숙량흘 · 더보기 »

숙중회

숙중 회(叔仲會, 기원전 501년 ~ ?)는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 공자의 제자로, 자는 자기(子期)이며, 노나라 또는 진(晉)나라 사람이.

새로운!!: 공자와 숙중회 · 더보기 »

숙신

숙신(肅愼 영어: Sushen, 중국어: 肃慎, 병음: Sùshèn)은 주대(周代)에 중국의 동북 지방에 살던 동이인 퉁구스계 민족을 일컫던 말이.

새로운!!: 공자와 숙신 · 더보기 »

영천향교 대성전

영천향교 대성전(永川鄕校 大成殿)은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동 영천향교 내에 있. 대한민국의 보물 제616호로 지정되어 있. 공자를 비롯한 성현 7명의 위패를 봉안하고 봄, 가을마다 제향을 올리고 있. 조선 세종 17년(1435년)에 건립되었고 그 후 중종 8년(1513년)경 군수 김흠조가 중수하였으며, 광해군 14년(1622년)경 군수 황효의가 다시 중수하는 등 여러 차례의 중수를 거쳐 오늘날에 이르.

새로운!!: 공자와 영천향교 대성전 · 더보기 »

오정동 (대전)

오정동(梧井洞)은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대덕구의 행정동, 법정동이.

새로운!!: 공자와 오정동 (대전) · 더보기 »

오상 (유교)

오상(五常)은 유교의 인(仁)·의(義)·예(禮)·지(智)·신(信)의 다섯 덕목(德目)을 말. 공자는 그의 가르침에서 인간의 덕으로서 인을 중시하여 지(知)·용(勇)과 아울러 그 소중함을 설명했으나, 맹자는 인에 의(義)를 더하고 또 예·지를 넣어 인·의·예·지를 인간의 4개 덕목이.

새로운!!: 공자와 오상 (유교) · 더보기 »

옹정제

옹정제(雍正帝, 강희(康熙) 17년 음력 10월 30일 (1678년 12월 13일) ~ 옹정(雍正) 13년 음력 8월 22일 (1735년 10월 8일))는 청나라의 제5대 황제(재위 1722년 ~ 1735년)이자 1644년 명나라가 멸망한 직후 청나라 군대의 산해관 입관(入關) 뒤 중국 대륙을 실질적으로 통치한 정통 황조로서의 세 번째 황제이.

새로운!!: 공자와 옹정제 · 더보기 »

예기

《예기》(禮記)는 중국 고대 고유가(儒家)의 경전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예법(禮法)의 이론과 실제를 풀이한 책이.

새로운!!: 공자와 예기 · 더보기 »

예형

예형(禰衡, 173년 ~ 198년)은 중국 후한 말의 인물로, 자는 정평(正平)이며 청주 평원군 반현(般縣) 사람이.

새로운!!: 공자와 예형 · 더보기 »

현공사

220px 현공사(悬空寺)는 중화인민공화국 산시 성 다퉁 시 훈위안 현에 위치한 사원이.

새로운!!: 공자와 현공사 · 더보기 »

최림

림(崔林, ? - 244년 12월진수, 《삼국지》 권4 제왕기)은 중국 삼국 시대 조위의 관료로, 자는 덕유(德儒)이며 기주 청하국 동무성현(東武城縣) 사람이.

새로운!!: 공자와 최림 · 더보기 »

최충

충(崔沖, 984년 ~ 1068년 10월 13일(음력 9월 15일))은 고려 전기의 문신(文臣)이자 유학자이.

새로운!!: 공자와 최충 · 더보기 »

향교

경주향교 향교(鄕校)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있었던 국립 지방 교육기관이.

새로운!!: 공자와 향교 · 더보기 »

양녕로

상도터널 입구 양녕로(讓寧路)는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동 남부순환로에서 국사봉터널을 거쳐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 한강대교 북단에 이르는 남부순환로 4차선 도로이.

새로운!!: 공자와 양녕로 · 더보기 »

양녕대군

양녕대군(讓寧大君, 1394년 ~ 1462년 9월 7일)은 조선 시대 초기의 왕세자이자 왕족, 정치인, 화가, 시인이.

새로운!!: 공자와 양녕대군 · 더보기 »

양전

양전에는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

새로운!!: 공자와 양전 · 더보기 »

양전 (춘추)

양전(粱鱣, 기원전 522년? 사마천(司馬遷), 《사기(史記)》 권67 중니제자열전(仲尼弟子列傳) 512년? 왕숙(王肅), 《공자가어(孔子家語)》 권9 칠십이제자해(七十二弟子解) ~ ?)은 중국 춘추시대의 사상가 공자(孔子)의 제자로, 자는 숙어(叔魚)이며, 제(齊)나라 사람이.

새로운!!: 공자와 양전 (춘추) · 더보기 »

양호 (삼국지)

양호(羊祜, 221년 ~ 278년)는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 ~ 진나라의 장수로 자는 숙자(叔子)이며, 연주(兗州) 태산군(泰山郡) 남성현(南城縣) 사람이.

새로운!!: 공자와 양호 (삼국지) · 더보기 »

행동 지침

행동지침(code of conduct)은 국가간의 합으로서 특히 국제기구 내에서 통일적인 행동의 표본을 마련하는 데 이용.

새로운!!: 공자와 행동 지침 · 더보기 »

여장

여장한 소년(독일의 사진작가 빌헬름 폴 글뢰덴 촬영) 여장(女裝)은 각 지역 및 사회의 문화에 따라 「여성용」으로 규정되어 있는 옷이나 장식품을 남성이 착용하여 여성의 모습이 되는 것을 가리.

새로운!!: 공자와 여장 · 더보기 »

여흥 민씨

여흥 민씨(驪興 閔氏)는 경기도 여주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공자와 여흥 민씨 · 더보기 »

역경

《역경(易經)》은 유학(儒學)의 삼경 중 하나로, 세계의 변화에 관한 원리를 기술한 책이라 일컬어지고 있. 《주역(周易)》이.

새로운!!: 공자와 역경 · 더보기 »

연극의 역사

연극의 역사에서는 동양 및 서양 연극의 흐름을.

새로운!!: 공자와 연극의 역사 · 더보기 »

연기향교

연기향교(燕岐鄕校)는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

새로운!!: 공자와 연기향교 · 더보기 »

연성공

연성공(衍聖公)은, 중국의 봉작(封爵)의 이름으로, 공자(孔子)의 적손(嫡孫)이 대대로 세습하였던 작위이.

새로운!!: 공자와 연성공 · 더보기 »

사공 (관직)

사공(司空)은, 고대 중국, 한국 왕조의 관직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공자와 사공 (관직) · 더보기 »

사기 (역사서)

《사기》(史記)는, 중국 전한 왕조 무제 시대에 사마천이 저술한 중국의 역사서이며, 중국 이십사사의 하나이자 정사의 으뜸으로 꼽힌.

새로운!!: 공자와 사기 (역사서) · 더보기 »

사회과학

사회과학은 시장경제를 포함한 다양한 사회 현상을 연구한다. 인도 남부 사이다페트의 시장 사회과학(社會科學)은 인간과 인간 사이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사회 현상과 인간의 사회적 행동을 탐구하는 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공자와 사회과학 · 더보기 »

사회정치철학자 목록

음은 사회 정치 철학자의 목록이.

새로운!!: 공자와 사회정치철학자 목록 · 더보기 »

사회철학

사회철학(社會哲學, social philosophy)은 (일반적으로 인간의) 사회적 행동 양상에 관한 철학적 연구이.

새로운!!: 공자와 사회철학 · 더보기 »

사직 (역사)

사직(社稷)은, 고대 중국과 그 제도를 모방한 주변의 왕조에서 군주가 토지의 신인 사(社)에게 제사지내는 제단과, 곡식의 신인 직(稷)을 제사지내기 위해 만든 단을 함께 어우르는 말이.

새로운!!: 공자와 사직 (역사) · 더보기 »

산둥 요리

산둥 요리(山東料理 또는 鲁菜)는 중국의 산둥 성에 태어난 요리로 중국 팔대요리(팔대차이)의.

새로운!!: 공자와 산둥 요리 · 더보기 »

산둥성

산둥 성(산동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부의 성이.

새로운!!: 공자와 산둥성 · 더보기 »

삼공 (유적)

삼공(三孔)은 취푸 시에 있는 공자 연고의 사적인 공부, 공묘, 공림을 삼공이라고 하여 1994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

새로운!!: 공자와 삼공 (유적) · 더보기 »

삼교

어린 석가모니를 노자에게 건네는 공자 그림 삼교(三敎)는, 고대 중국에서 유교, 불교, 도교의 세 종교를 아울러 가리키던 용어로, 유불도(儒佛道) 또는 유불선(儒佛仙)이.

새로운!!: 공자와 삼교 · 더보기 »

피휘

청나라 강희제의 피휘. 강희제의 이름 현엽(玄燁)에서 마지막 획을 긋지 않았다. 이런 피휘법을 결획(缺劃)이라 한다. 피휘(避諱)는 군주나 자신의 조상의 이름에 쓰인 글자를 사용하지 않는 관습이.

새로운!!: 공자와 피휘 · 더보기 »

석가모니

석가모니(釋迦牟尼Śākyamuni, 기원전 624년? ~ 544년? 생몰연대가 확실하지 않아 여러 설이 있지만, 세계불교도대회에서 이것(기원전 624년? ~ 544년)을 공식 채택하였다. 그 외 기원전 563년 ~ 483년, 기원전 565년 ~ 485년, 기원전 463년 ~ 383년설이 있다.)는 불교의 교조이.

새로운!!: 공자와 석가모니 · 더보기 »

석전대제

석전(釋奠)이란 문묘(文廟)에서 공자(孔子)를 비롯한 선성선현(先聖先賢)에게 제사지내는 의식이.

새로운!!: 공자와 석전대제 · 더보기 »

선인

선인(仙人)은 신선(神仙神僊)이라고도 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새로운!!: 공자와 선인 · 더보기 »

선성

선성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공자와 선성 · 더보기 »

성덕왕

성덕왕(聖德王, ? ~ 737년)은 신라의 제33대 왕(재위: 702년 ~ 737년)이.

새로운!!: 공자와 성덕왕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공자와 성리학 · 더보기 »

성선설

성선설(性善說)은 공자(孔子)와 더불어 유가(儒家)의 대표적 사상가인 맹자(孟子)가 주장한 인간의 심성(心性)에 대한 학설로, "인간의 본성(本性)은 선(善)하다"는 학설이.

새로운!!: 공자와 성선설 · 더보기 »

성악설

성악설(性惡說)은 공자(孔子)맹자(孟子)와 더불어 유가(儒家)의 대표적 사상가 중 한 명인 순자(荀子: 기원전 298?~238?)가 주장한 인간의 심성(心性)에 대한 학설로, "인간의 본성(本性)은 악(惡)하다"는 학설이.

새로운!!: 공자와 성악설 · 더보기 »

세계문학전집 목록

세계문학전집 목록은 각종 세계문학전집의 목록을 합쳐놓은 것이.

새로운!!: 공자와 세계문학전집 목록 · 더보기 »

세계에서 가장 큰 조각상 목록

전세계 각 조각상의 크기 비교. 왼쪽부터 노산대불 (중국, 153m), 자유의 여신상 (미국, 93m), 조국은 부른다 (러시아, 91m), 구세주 그리스도상 (브라질, 38m), 다비드상 (이탈리아, 5.17m) 순이다. 다음은 세계에서 가장 큰 조각상 목록이.

새로운!!: 공자와 세계에서 가장 큰 조각상 목록 · 더보기 »

서경 (책)

《서경(書經)》은 중국 유교의 5경(五經) 가운데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이.

새로운!!: 공자와 서경 (책) · 더보기 »

서경덕

서경덕(徐敬德, 1489년 3월 18일(음력 2월 17일)~1546년 8월 13일(음력 7월 7일))은 조선 중기의 학자로서, 주기파(主氣派)의 거유이.

새로운!!: 공자와 서경덕 · 더보기 »

서울 문묘

서울 문묘(文廟)는 유교를 집대성한 문성왕(文聖王)인 공자와 그의 제자 및 한국와 중국의 대유(大儒)의 위패를 모시고 봉향하는 사당 건물이다. 문묘(文廟)는 정전인 대성전(大成殿)과 그 앞 마당 좌·우의 동무(東廡)와 서무(西廡), 그리고 삼문(三門, 神門)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문묘 대성전에는 공자(公子)를 정위(正位)로 하여 대 성인(四大 聖人)인 안자·증자·자사·맹자를 배향하고, 공문 10철(孔門 十哲) 및 송조 6현(宋朝 六賢)과 우리나라 18현인(東方 十八賢)의 위패를 종사하고 있다. 문묘와 함께 있는 성균관(成均館)은 조선시대에 인재 양성을 위해 현 위치에 설치된 국가 최고 교육기관으로 국자감(國子監)·국학(國學)·태학(太學)·반궁(泮宮) 등으로도 불렸다. 성균관은 명륜당(明倫堂)과 동재(東齋)·서재(西齋)로 구성되었다. 성균관·문묘는 태조 7년(1398)에 창건되었으나 정종 2년(1400)에 화재로 소실되었다. 그 후 태종(1407)에 다시 지은 것이 임진왜란의 병화로 거의 대부분 소실되고 말았다. 전쟁이 끝난 후 성균관의 유생들이 전국적으로 자금을 모아 선조 34∼35년(1601∼1602)에 대성전을 중건하고, 36∼37년(1603∼1604)에 동무·서무·신문·중문을, 39년(1606)에는 명륜당과 동재·서재를 중건 확충하였다. 인조 4년(1626)에는 정록청(正錄廳)·존경각(尊經閣)·양현고(養賢庫) 등을 재건하였으며, 고종6년(1869)의 한 차례 보수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성균관·문묘를 구성하는 건물 중에서 보물로 지정된 건물은 대성전·명륜당·동무·서무·삼문 등 모두 5동이다. 서울 문묘 일원은 성균관대학교 교문을 들어서면 오른쪽에 일곽을 이루며 위치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숭교방(崇敎坊)이었던 곳이다. 원래 입구에 반교(伴橋)가 있었으나 현존하지 않는다. 문묘 일원은 크게 남쪽의 대성전 일곽과 그 후편의 명륜당 일곽으로 나뉘었다. 대성전 일곽에는 공간제향(祭享)을 이루는 문묘시설의 건물군이 있고, 명륜당 일곽에는 시설교학(敎學)의 건물군들이 배치되어 있다. 문묘 일원에는 보물로 지정된 대성전(大成殿)·명륜당(明倫堂)·동무(東廡)·서무(西廡)·삼문(三門) 등 5동 건물을 제외하고, 서무 서북쪽으로 제기고와 제학당, 전사청과 숙수청이 각각 일곽을 형성하고 있고, 명륜당 남쪽 앞 마당 좌·우로 남북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는 동재(東齋)·서재(西齋), 동재 동편에 있는 진사식당, 그 북쪽의 창고, 명륜당 북동쪽으로 존경각(尊經閣)·육일각(六一閣)·정록청·서리청·향관청(享官廳) 등의 건물들이 있다. 명륜당의 서북쪽 담 밖으로는 비천당(丕闡堂)이 있으며, 그 뒤쪽에 계성사(啓聖祠)가 별도로 있었으나 지금은 없다.

새로운!!: 공자와 서울 문묘 · 더보기 »

서울 문묘 은행나무

서울 문묘 은행나무(서울 文廟 銀杏나무)는 성균관대학교 경내 문묘에 있는 은행나무이.

새로운!!: 공자와 서울 문묘 은행나무 · 더보기 »

송 (성씨)

송(宋)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공자와 송 (성씨) · 더보기 »

송갑조

송갑조 영정 송갑조(宋甲祚, 1574년 ∼ 1628년)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공자와 송갑조 · 더보기 »

송익필

송익필(宋翼弼, 1534년 2월 10일 ∼ 1599년 8월 8일)은 조선 중기의 서얼 출신 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공자와 송익필 · 더보기 »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새로운!!: 공자와 송시열 · 더보기 »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기원전 470년 경 – 기원전 399년 5월 7일)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

새로운!!: 공자와 소크라테스 · 더보기 »

통일적 다민족국가론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은 중화인민공화국이 동북공정, 서남공정, 서북공정 등의 역사공정에서 기본으로 삼는 논리로서, 현재 중국 땅에 있는(혹은 과거에 지금의 중국 땅에 있었던) 모든 민족은 광의의 중국인에 속하며, 그들의 역사 또한 중국의 역사와 직결된다는 것이.

새로운!!: 공자와 통일적 다민족국가론 · 더보기 »

통일신라의 교육

통일신라의 교육은 통일신라 시기의 교육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시점부터 고려 성립 이전.

새로운!!: 공자와 통일신라의 교육 · 더보기 »

함헌

(咸軒, 1508년 ~ ?)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자와 함헌 · 더보기 »

해동 (별칭)

동(海東)은 한국에 대한 별칭이.

새로운!!: 공자와 해동 (별칭) · 더보기 »

한·당 시대의 사상

이 문서 한·당 시대의 사상(漢唐時代의 思想)은, 한나라(漢: 기원전 206~기원후 220) 시대로부터 위진남북조 시대(魏晉南北朝時代: 220~589)를 지나 수나라(隋: 581~618)당나라(唐: 618~907)오대십국 시대(五代十國時代: 907~960)에 이르기까지 약 1천년 동안의 중국의 중세(中世) 시대에서 전개된 사상을 설명.

새로운!!: 공자와 한·당 시대의 사상 · 더보기 »

한비

비(韓非, 기원전 280년? ~ 기원전 233년)는 《한비자》를 저술한 전국 시대 중국의 정치철학자, 사상가, 작가이.

새로운!!: 공자와 한비 · 더보기 »

한국의 도교

국의 도교는 한국에서 전개된 도교이.

새로운!!: 공자와 한국의 도교 · 더보기 »

한국의 유교

동아시아의 사상의 흐름은 크게 유교와 불교 그리고 도교인데, 한국은 이러한 세 가지 사상적 요소를 모두 흡수·구비하여 발전시켜 왔. 그 가운데서도 중국과는 지역적으로 인접한 까닭에 고대로부터 유교사상이 한국에 들어와 민족정신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

새로운!!: 공자와 한국의 유교 · 더보기 »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새로운!!: 공자와 한국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의 신흥종교

국의 신흥종교(韓國-新興宗敎)는 구한말의 정치적·사회적 혼란기에 출현한 종교들이 그 효시.

새로운!!: 공자와 한국의 신흥종교 · 더보기 »

한얼교

얼교는 1965년 신정일(申正一, 1938년~1999년)이 창시한 대한민국의 종교이.

새로운!!: 공자와 한얼교 · 더보기 »

한시

시(漢詩)는 한자(漢字)로 쓰인 근대 이전에 만들어진 시를 일컫는 말로서, 주로 중국과 그 주변 한자 문화권인 한국, 일본, 베트남에서 만들어졌.

새로운!!: 공자와 한시 · 더보기 »

안 (성씨)

안(安, 顔)씨는 한국의 성씨 및 중국의 성씨.

새로운!!: 공자와 안 (성씨) · 더보기 »

안고 (춘추)

안고(顔高, 기원전 501년 ~ ?), 또는 안각(顔刻), 안산(顔産)은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 공자의 제자로, 자는 자교(子驕)이며, 노나라 사람이.

새로운!!: 공자와 안고 (춘추) · 더보기 »

안회

안회 안회(顔回, 기원전 521년? ~ 기원전 491년?)는 중국 춘추시대 노나라 사람으로, 공자의 제자이.

새로운!!: 공자와 안회 · 더보기 »

안영

안영(晏嬰, ? ~ 기원전 500년)은 중국 춘추시대 제나라(齊)의 명재상이.

새로운!!: 공자와 안영 · 더보기 »

안향

안향 초상 (국보 제111호) 안향(安珦, 1243년 ~ 1306년)은 고려의 명신(名臣)·학자이.

새로운!!: 공자와 안향 · 더보기 »

하안

안이 작성한 공자의 논어의 주해석. 하안(何晏, 193년? ~ 249년)은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정치가이자 사상가였.

새로운!!: 공자와 하안 · 더보기 »

하후연

후연(夏侯淵, ? ~ 219년)은 중국 후한 말 조조 휘하의 장군으로 자는 묘재(妙才)이며 예주 패국 초현(譙縣) 사람이.

새로운!!: 공자와 하후연 · 더보기 »

아무르강

아무르 강() 또는 헤이룽 강(나나이어: Даи Мангбо (Dai Mangbo), 니브히어: La)은 상류의 실카 강과 오논 강을 포함하면 길이 4,444 km(세계 8위), 면적은 205만 2000 km²(세계 10위).

새로운!!: 공자와 아무르강 · 더보기 »

아타나시우스 키르허

림 설명 아타나시우스 키르허 (Athanasius Kircher, 때때로 잘못 표기되어 kirchner, 라틴어: Athanasius Kircherus 1601년 혹은 1602년 5월 2일 ~ 1680년)는 17세기 독일의 예수회 수사 겸 학자이자 40여개의 작품들, 특히 비교 종교학, 지질학, 의학 분야를 출판했던 박식가이.

새로운!!: 공자와 아타나시우스 키르허 · 더보기 »

학문

학문(學問, Academia)은 배우고 익히는 것이.

새로운!!: 공자와 학문 · 더보기 »

신돈

신돈(辛旽, 1322년 ~ 1371년 8월 21일 (음력 1371년 7월 11일))은 고려 말의 승려 출신 정치가이.

새로운!!: 공자와 신돈 · 더보기 »

신문화운동

신문화운동(新文化運動)은 중화민국 초기인 1910년대에 유교적이고 봉건적인 제도와 전통에 반대하여 일어난 문화 운동을 말하며, 천두슈 등에 의한 급진적 문화운동을 좁게 가리키는 말로도 사용.

새로운!!: 공자와 신문화운동 · 더보기 »

신흥 종교

신흥 종교(新興宗敎)는 기존 종교와 비교할 때 최근에 성립한 종교를 널리 일컫는 용어이.

새로운!!: 공자와 신흥 종교 · 더보기 »

신정 (춘추)

신정(申棖, ? ~ ?)은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 공자의 제자이.

새로운!!: 공자와 신정 (춘추) · 더보기 »

신사임당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년 12월 5일(음력 10월 29일) ~ 1551년 6월 20일(음력 5월 17일)) 또는 신사임(申師任), 사임당 신씨(師任堂申氏)는 조선 시대 중기의 문인이자 유학자, 화가, 작가, 시인이었.

새로운!!: 공자와 신사임당 · 더보기 »

시경

《시경(詩經)》은 중국 최초의 시가집이.

새로운!!: 공자와 시경 · 더보기 »

시즈타니 학교

강당 시즈타니 학교()는 오카야마현 비젠 시 시즈타니에 있는 옛 학교이.

새로운!!: 공자와 시즈타니 학교 · 더보기 »

후궁 (중국)

중국의 후궁은 중화민국 이전 중국 대륙에 존재했던 옛 국가의 역대 중국 제왕(帝王)의 측실(側室·妾室)을 가리.

새로운!!: 공자와 후궁 (중국) · 더보기 »

후한

후한(後漢, 25년~220년)은 전한이 신나라의 왕망에 의하여 멸망한 이후, 한 왕조의 일족인 광무제 유수가 한 왕조를 부흥시킨 나라이.

새로운!!: 공자와 후한 · 더보기 »

홍명집

《홍명집(弘明集)》은 양나라(梁)의 승려 승우(僧祐: 445~518)가 502년에서 518년 사이에 건초사(建初寺)에서 엮은 것으로, 주로 동진(東晋)제나라(齊)양나라(梁)에 걸친 호교론집(護敎論集)이.

새로운!!: 공자와 홍명집 · 더보기 »

홍대용

홍대용(洪大容, 1731년 5월 12일 ~ 1783년 11월 17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자 과학 사상가이.

새로운!!: 공자와 홍대용 · 더보기 »

완주 고산향교 대성전

완주 고산향교 대성전(完州 高山鄕校 大成殿)은 전라북도 완주군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공자와 완주 고산향교 대성전 · 더보기 »

왕자지

왕자지(王字之, 1066년 ~ 1122년 5월 2일 (음력 3월 24일))는 고려 중기의 문신, 외교관, 음악가이자 군인이.

새로운!!: 공자와 왕자지 · 더보기 »

2008년 2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공자와 2008년 2월 · 더보기 »

9월 28일

9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1번째(윤년일 경우 27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자와 9월 28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공부자, 공자의 사상, 중니, 콘푸키우스.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