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공조 (행정기관)

색인 공조 (행정기관)

공조(工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203 처지: 류관 (조선), 류순정, 류후조, 맹사성, 민희 (1614년), 민응수, 민점, 민종도, 민진원, 민영목, 박규수, 박기수, 강음 단씨, 박익, 박종래, 박종경, 박종훈 (1773년), 박윤수, 박태상, 박숭질, 박영원, 공회빈 윤씨, 공조, 권돈인, 권균, 기묘사화, 기년아람, 김류 (1571년), 김만중, 김명원, 김병기 (1818년), 김병익 (1837년), 김극성, 김노경, 김용겸, 김재찬, 김희 (1729년), 김희순, 김이재, 김이소, 김응기, 김전, 김좌근, 김종정, 김질 (1422년), 김치인, 김온순 (1812년), 김호규, 김사목, 김성근 (1835년), ..., 김약로, 김안국, 김학진, 김학성 (1807년), 교하 노씨, 남공철, 남용익, 남태제, 장현광, 이만수 (1752년), 이만성 (1659년), 이면승, 이명 (1496년), 이명식, 이건 (조선 중기 왕족), 이경재 (1800년), 이경일, 이경억, 이복원, 이병정, 이관명, 이기 (1476년), 이기조, 이단하, 이재협, 이재완, 이희갑 (조선), 이인명, 이인엽, 이익보, 이존수, 이직보, 이지연 (조선), 이치중, 이유청 (조선), 이유원 (1814년), 이휘지, 이상진 (1614년), 이태좌, 이예 (1419년), 이언강, 이연상, 이헌구 (1784년), 이헌국, 이성원 (1725년), 이세백, 이세화, 이약우, 이학수 (1780년), 이시백, 이시수, 정만석, 정범조 (1833년), 정기세, 정낙용, 정재숭, 정인지, 정존겸, 정창순, 정초 (조선), 정치화, 정유길, 정상순, 정태화, 정순붕, 정호 (1648년), 정석오, 정홍순, 조도빈, 조인영, 조익 (조선), 조진관, 조상경 (1681년), 조상진, 조현명, 유명천, 유명현, 유상운, 유후조, 육조, 윤덕준, 윤동섬, 윤개, 윤급, 윤자운, 윤임, 윤휘, 윤호 (1424년), 윤선각, 상평통보, 상산군부인 송씨, 오시복, 최규서, 최항 (1409년), 어유소, 양정 (조선), 여이징, 허자, 엄흥도, 성세창, 서매수, 서명균, 서명선, 서문중, 서당보, 서정수, 서종급, 서종태, 서준보, 서유방, 서유녕, 송근수, 송창 (1633년), 송상기, 송환기, 한계원, 한용귀, 한흥일, 한익모, 한응인, 안구 (조선), 안당, 신회, 신임, 신익상, 신응조, 신윤무, 심능악, 심결, 심기원, 심회, 심재, 심희수, 심이택 (1832년), 심의면, 심상규, 심수현, 심온, 심언광, 심열, 심풍지, 심통원, 원두표, 홍명하, 홍경모 (조선), 홍낙순, 홍종응, 홍중보, 홍수헌, 홍언필, 홍석주, 황승원, 황형 묘.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53 더) »

류관 (조선)

(柳灌, 1484년 ~ 1545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류관 (조선) · 더보기 »

류순정

순정 영정 류순정 (柳順汀, 1459년 ~ 1512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 성리학자이자 사림파 정치인의 한사람으로 1506년의 중종 반정에 참여하였.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류순정 · 더보기 »

류후조

후조((柳厚祚),1799년 ~ 1876년)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며, 류성룡의 8대손으로 류심춘의 아들이며 본관은 풍산(豊山)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류후조 · 더보기 »

맹사성

맹사성(孟思誠, 1360년 8월 28일/음력 7월 17일 ~ 1438년 10월 22일/음력 10월 4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정치인, 유학자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맹사성 · 더보기 »

민희 (1614년)

민희(閔熙, 1614년 ~ 1687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민희 (1614년) · 더보기 »

민응수

민응수(1684년 ~ 1750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영조 때 우의정을.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민응수 · 더보기 »

민점

민점(閔點, 1614년 ~ 168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민점 · 더보기 »

민종도

민종도(1633 ~ 1693)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민종도 · 더보기 »

민진원

민진원(閔鎭遠, 1664년 ~ 1736년)은 조선 후기의 척신으로 민유중의 아들이며, 민진후의 남동생, 인현왕후의 작은오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민진원 · 더보기 »

민영목

민영목(閔泳穆, 1826년~ 1884년 10월 18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민씨 척족세력의 거두의 한사람이었.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민영목 · 더보기 »

박규수

박규수(朴珪壽, 1807년 10월 27일 ~ 1877년 2월 9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박규수 · 더보기 »

박기수

박기수(1774년 ~ 184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박기수 · 더보기 »

강음 단씨

강음 단씨(江陰 段氏)는 중국에서 유래한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강음 단씨 · 더보기 »

박익

박익(朴翊, 1332년 ~ 1398년)은 고려의 문신으로, 두문동 72현의 한 사람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박익 · 더보기 »

박종래

박종래(朴宗來, 1746년 ~ 1831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박종래 · 더보기 »

박종경

박종경(朴宗慶, 1765년 ~ 1817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박종경 · 더보기 »

박종훈 (1773년)

박종훈(1773년 ~ 1841년) 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헌종 때 좌의정을.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박종훈 (1773년) · 더보기 »

박윤수

박윤수(1753년 ~ 1824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박윤수 · 더보기 »

박태상

박태상(1636년 ~ 169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본관은 반남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박태상 · 더보기 »

박숭질

박숭질(朴崇質, 1435년 ~ 1507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박숭질 · 더보기 »

박영원

박영원(朴永元, 1791년 ~ 185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철종 때 좌의정을.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박영원 · 더보기 »

공회빈 윤씨

공회빈 윤씨(恭懷嬪 尹氏, 1550년대? ~ 1592년 4월 14일/음력 3월 3일)는 조선의 왕족으로 순회세자의 빈이며 명종과 인순왕후의 며느리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공회빈 윤씨 · 더보기 »

공조

공조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공조 · 더보기 »

권돈인

인(權敦仁, 1783년 ~ 185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헌종과 철종 때 영의정을.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권돈인 · 더보기 »

권균

(權鈞, 1464년 ~ 1526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권균 · 더보기 »

기묘사화

묘사화(己卯士禍)는 1519년(중종 14) 음력 11월에 조선에서 남곤(南袞), 심정(沈貞), 홍경주(洪景舟), 김전(金詮), 중종(中宗) 등이 조광조(趙光祖), 김식 등 신진사림의 핵심인물들을 몰아내어 죽이거나 혹은 귀양보낸 사건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기묘사화 · 더보기 »

기년아람

《기년아람(紀年兒覽)》은 조선 후기의 학자인 이만운이 지은 역사서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기년아람 · 더보기 »

김류 (1571년)

(金瑬, 1571년 ~ 1648년 3월 5일)는 조선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김류 (1571년) · 더보기 »

김만중

만중(金萬重, 1637년 ~ 1692년)은 조선 문신이자, 소설가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김만중 · 더보기 »

김명원

명원(金命元, 1534년 ~ 1602년 12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응순, 호는 주은, 시호는 충익, 본관은 경주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김명원 · 더보기 »

김병기 (1818년)

병기(金炳冀, 1818년~1875년)는 조선 후기의 외척이자 권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김병기 (1818년) · 더보기 »

김병익 (1837년)

병익(金炳翊, 1837년~1921년)은 구한말의 관료로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으로, 자는 좌경(左卿)이며, 본관은 (신)안동(安東)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김병익 (1837년) · 더보기 »

김극성

극성(金克成, 1474년 윤6월 19일『김극성 행장』 ~ 1540년 4월 5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성지(成之), 본관은 광산(光山)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김극성 · 더보기 »

김노경

경(金魯敬, 1766년 ~ 1837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김노경 · 더보기 »

김용겸

용겸(金用謙, 1702년 ~ 1789년)은 조선 후기의 학자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김용겸 · 더보기 »

김재찬

재찬(金載瓚, 1746년 ~ 1827년)은 조선의 정치가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김재찬 · 더보기 »

김희 (1729년)

희(1729년 ~ 1800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본관은 광산으로, 김장생의 후손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김희 (1729년) · 더보기 »

김희순

희순(金羲淳, 1757년 ~ 1821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김희순 · 더보기 »

김이재

이재(1767년 ~ 1847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본관은 안동으로, 안동 김씨 세도 정치의 중심 인물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김이재 · 더보기 »

김이소

이소(1735년 ~ 1798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김이소 · 더보기 »

김응기

응기(金應箕, 1455년 ~ 1519년 6월 10일『김응기 묘갈명』)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백춘(伯春), 본관은 선산(善山)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김응기 · 더보기 »

김전

전(金詮, 1458년 ~ 1523년)은 조선 전기, 중기의 문신, 학자로 자는 중륜(仲倫), 호는 나헌(懶軒)·능인(能人), 시호는 충정공(忠貞公)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김전 · 더보기 »

김좌근

좌근(金左根, 1797년~186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외척으로 안동김씨 세도기 후반의 중심인물이었.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김좌근 · 더보기 »

김종정

종정(金鍾正, 1722년 ~ 1787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김종정 · 더보기 »

김질 (1422년)

(金礩, 1422년 ~ 1478년 2월 24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무신,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김질 (1422년) · 더보기 »

김치인

인(金致仁, 1716년 ~ 1790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영조와 정조 때 영의정을.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김치인 · 더보기 »

김온순 (1812년)

온순(金蘊淳, 1812년 ~ ?)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김온순 (1812년) · 더보기 »

김호규

호규(金虎圭, 1911년 11월 22일 ~ 1961년 8월 5일)는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 출신 관료, 사회운동가로, 해방 후 반민특위에 기소.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김호규 · 더보기 »

김사목

사목(1740년 ~ 182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순조 때 우의정과 좌의정을.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김사목 · 더보기 »

김성근 (1835년)

성근(金聲根, 1835년 양력 3월 19일 ~ 1919년 양력 11월 27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 서예가, 정치인이자 성리학자이며 대한제국의 정치인, 일제 강점기의 관료, 조선귀족, 친일반민족행위자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김성근 (1835년) · 더보기 »

김약로

약로(金若魯, 1694년 ~ 1753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김약로 · 더보기 »

김안국

안국(金安國, 1478년 (성종 9년) 9월 2일 (음력 8월 6일) ~ 1543년 (중종 38년) 2월 7일 (음력 1월 4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김안국 · 더보기 »

김학진

학진(金鶴鎭, 1838년 양력 4월 3일 ~ 1917년 양력 12월 13일)은 조선 말기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김학진 · 더보기 »

김학성 (1807년)

학성(1807년 ~ 187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김학성 (1807년) · 더보기 »

교하 노씨

씨(交河 盧氏)는 경기도 파주시 교하동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교하 노씨 · 더보기 »

남공철

공철(南公轍, 1760년 ~ 184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남공철 · 더보기 »

남용익

용익(1628년 ~ 169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의령, 호는 호곡, 자는 운경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남용익 · 더보기 »

남태제

제(南泰齊, 1699년 ~ 1776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남태제 · 더보기 »

장현광

여헌 장현광 영정 (18세기 이모본) 여헌 장현광 영정 (1633년작) 장현광(張顯光, 1554년 ~ 1637년 9월 7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학자, 문신, 정치인, 철학자, 작가, 시인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장현광 · 더보기 »

이만수 (1752년)

이만수(李晩秀, 1752년 ~ 1820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만수 (1752년) · 더보기 »

이만성 (1659년)

이만성(1659년 ~ 172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숙종 때 판서를.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만성 (1659년) · 더보기 »

이면승

이면승(1766년 ~ 183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본관은 전주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면승 · 더보기 »

이명 (1496년)

이명 (1496년 ~ 1572년)은 조선의 문신이며, 명종 때 좌의정을.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명 (1496년) · 더보기 »

이명식

이명식(1720년 ~ 1800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명식 · 더보기 »

이건 (조선 중기 왕족)

이건(李楗, 1505년 ~ 1571년은 조선 중기의 왕족, 문신으로 태종의 차남 효령대군 보의 5대손으로 전성군 이대(李對)의 아들이다. 권신 이량의 형이고, 명종비 인순왕후 심씨, 심의겸, 심충겸 등의 외삼촌이다. 본관은 전주이고 자는 국한(國閑), 경상남도 출신.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건 (조선 중기 왕족) · 더보기 »

이경재 (1800년)

이경재(1800년 ~ 1873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흥선대원군의 측근이었.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경재 (1800년) · 더보기 »

이경일

이경일(李敬一, 1734년 ~ 182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경일 · 더보기 »

이경억

이경억(李慶億, 1620년 ~ 1673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경억 · 더보기 »

이복원

이복원(李福源, 1719년 ~ 1792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복원 · 더보기 »

이병정

이병정(1742년 ~180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정조의 총애를 받았던 대신이며, 본관은 전주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병정 · 더보기 »

이관명

이관명(1661년 ~ 173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관명 · 더보기 »

이기 (1476년)

이기(李芑, 1476년 10월 26일 ~ 1552년 4월 28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권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기 (1476년) · 더보기 »

이기조

이기조(李基祚, 1595년 ~ 1653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기조 · 더보기 »

이단하

이단하(李端夏, 1625년 ∼ 1689년) 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단하 · 더보기 »

이재협

이재협(1731~1790)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정조 때 영의정을.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재협 · 더보기 »

이재완

이재완(李載完, 1855년 음력 12월 5일 ~ 1922년 양력 8월 11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왕족이며 대한제국의 황족, 관료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재완 · 더보기 »

이희갑 (조선)

이희갑(1764년 ~ 1847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한산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희갑 (조선) · 더보기 »

이인명

이인명(李寅命, 1819년 ~ 1887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인명 · 더보기 »

이인엽

이인엽(1656년 ~ 1710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본관은 경주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인엽 · 더보기 »

이익보

이익보(1708년 ~ 1767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익보 · 더보기 »

이존수

이존수(1772년 ~ 1829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본관은 연안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존수 · 더보기 »

이직보

이직보(李直輔, 1738년 ~ 1811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직보 · 더보기 »

이지연 (조선)

이지연(1777년 ~ 1841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헌종 때 우의정을.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지연 (조선) · 더보기 »

이치중

이치중(1726년 ~ 180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치중 · 더보기 »

이유청 (조선)

이유청(李惟淸, 1459년『이유청 묘표』 ~ 1531년 11월 27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직재(直哉), 본관은 한산(韓山)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유청 (조선) · 더보기 »

이유원 (1814년)

이유원(李裕元, 1814년 8월 12일 ~ 1888년 9월 5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유원 (1814년) · 더보기 »

이휘지

이휘지(1715년 ~ 1785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정조 때 우의정을.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휘지 · 더보기 »

이상진 (1614년)

이상진(李尙眞, 1614년 ~ 169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상진 (1614년) · 더보기 »

이태좌

이태좌(李台佐, 1660년 ~ 1739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태좌 · 더보기 »

이예 (1419년)

이예(李芮,1419년 ~ 1480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예 (1419년) · 더보기 »

이언강

이언강(1648년 ~ 1717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언강 · 더보기 »

이연상

이연상(1715~1782)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좌의정 이건명의 증손으로, 본관은 전주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연상 · 더보기 »

이헌구 (1784년)

이헌구(1784년 ~ 1858년)는 조선의 문신이며, 순조 때 문과에 급제해서 대촉, 성균관대사성, 이조참의, 전라도관찰사, 이조참판, 한성부판윤, 공조판서, 사헌부대사헌, 형조판서, 예조판서, 평안도관찰사, 병조판서, 우참찬, 이조판서, 판의금부사, 지돈녕부사, 우의정, 좌의정, 판중추부사를.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헌구 (1784년) · 더보기 »

이헌국

이헌국 (1525~1602)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헌국 · 더보기 »

이성원 (1725년)

이성원(李性源, 1725년 ~ 179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성원 (1725년) · 더보기 »

이세백

이세백(李世白, 1635년 ~ 1703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세백 · 더보기 »

이세화

이세화(李世華, 1630년 ~ 1701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세화 · 더보기 »

이약우

이약우(李若愚, 1782~1860)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약우 · 더보기 »

이학수 (1780년)

이학수(1780년 ~?)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본관은 연안으로 문과 급제 후 관직이 이조참의, 성균관대사성, 검교대교, 우승지, 홍문관부제학, 사간원대사간, 이조참판, 경상도관찰사, 도총관, 한성부판윤, 형조판서, 예조판서, 평안도관찰사, 판의금부사, 이조판서, 수원유수, 공조판서, 병조판서, 판돈녕부사에 이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학수 (1780년) · 더보기 »

이시백

이시백(李時白, 1581년 11월 5일(음력 10월 10일)∼ 1660년 6월 9일(음력 5월 2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시백 · 더보기 »

이시수

이시수(李時秀, 1745년 ~ 1821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이시수 · 더보기 »

정만석

정만석(1758년 ~ 183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우의정을.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정만석 · 더보기 »

정범조 (1833년)

정범조(鄭範朝, 1833년 ~ 1898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정범조 (1833년) · 더보기 »

정기세

정기세(鄭基世, 1814년 ~ 1884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정기세 · 더보기 »

정낙용

정낙용(鄭洛鎔, 1827년 음력 11월 24일 ~ 1914년 양력 2월 1일)은 조선 말기의 무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정낙용 · 더보기 »

정재숭

정재숭(鄭載嵩, 1632년 ~ 1692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정재숭 · 더보기 »

정인지

정인지(鄭麟趾, 1396년 12월 28일 ~ 1478년 11월 26일)는 조선 초기의 문신·성리학자이며 한글학자, 역사가, 정치인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정인지 · 더보기 »

정존겸

정존겸(1722년 ~ 179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좌의정 정지화의 후손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정존겸 · 더보기 »

정창순

정창순(鄭昌順, 1727년 ~?)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정창순 · 더보기 »

정초 (조선)

정초(鄭招, ? ~ 1434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정초 (조선) · 더보기 »

정치화

정치화(鄭致和, 1609년 ~ 1677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정치화 · 더보기 »

정유길

정유길(鄭惟吉, 1515년 11월 30일 ~ 1588년 9월 28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선조 때 좌의정을.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정유길 · 더보기 »

정상순

정상순(鄭尙淳, 1723년 ~ 1786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정상순 · 더보기 »

정태화

정태화(鄭太和, 1602년 2월 12일(음력 1월 21일)~ 1673년 11월 16일(음력 10월 8일))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정태화 · 더보기 »

정순붕

정순붕(鄭順朋, 1484년 ~ 1548년 4월 21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정순붕 · 더보기 »

정호 (1648년)

정호(鄭澔, 1648년 ~ 1736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정호 (1648년) · 더보기 »

정석오

정석오(1692년 ~ 1749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영조 때 좌의정을.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정석오 · 더보기 »

정홍순

정홍순(1720년 ~ 178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정조 때 우의정을.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정홍순 · 더보기 »

조도빈

조도빈(1665년 ~ 1729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조도빈 · 더보기 »

조인영

조인영(趙寅永, 1782년 ~ 185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조인영 · 더보기 »

조익 (조선)

조익(趙翼, 1579년 5월 2일(음력 4월 7일)~ 1655년 4월 16일(음력 3월 10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조익 (조선) · 더보기 »

조진관

조진관(趙鎭寬, 1739년 ~ 1808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조진관 · 더보기 »

조상경 (1681년)

조상경(趙尙絅, 1681년 ~ 1746년)은 조선의 문신 겸 시인이며 정치가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조상경 (1681년) · 더보기 »

조상진

조상진(趙尙鎭, 1740년 ~ 182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조상진 · 더보기 »

조현명

조현명(趙顯命, 1690년 ~ 1752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조현명 · 더보기 »

유명천

유명천(1633년 ~ 170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남인의 핵심인물이었.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유명천 · 더보기 »

유명현

유명현(1643년 ~ 1703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유명현 · 더보기 »

유상운

상운(柳尙運, 1636년 ~ 1707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숙종 때 영의정을.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유상운 · 더보기 »

유후조

후조(1799년 ~ 1876년)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며, 류성룡의 8대손으로 류심춘의 아들이며 본관은 풍산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유후조 · 더보기 »

육조

육조(六曹)는 고려와 조선에서 행정을 각각 분담하여 집행하였던 여섯 개의 중앙 관서를 가리.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육조 · 더보기 »

윤덕준

윤덕준(1658년 ~ 1717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윤덕준 · 더보기 »

윤동섬

윤동섬(尹東暹, 1710년 ~ 1795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윤동섬 · 더보기 »

윤개

윤개(尹漑, 1494년 ~ 1566년 3월 22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여옥(汝沃), 본관은 파평(坡平)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윤개 · 더보기 »

윤급

상화 윤급(尹汲, 1697년 음력 2월 30일 ~ 1770년 음력 5월 19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윤급 · 더보기 »

윤자운

윤자운(尹子雲, 1416년 ~ 1478년)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윤자운 · 더보기 »

윤임

윤임(尹任, 1487년 ~ 1545년 8월 30일)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이자 인척.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윤임 · 더보기 »

윤휘

윤휘(尹暉, 1571년 - 1644년)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윤휘 · 더보기 »

윤호 (1424년)

윤호 묘비명 윤호(尹壕, 1424년 ~ 1496년 4월 9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외척으로 성종의 장인이며 중종의 외할아버지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윤호 (1424년) · 더보기 »

윤선각

윤선각/국형(尹先覺/國馨), 1543년 ~ 1611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파평(坡平).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윤선각 · 더보기 »

상평통보

상평통보 앞면(선혜청 주조) 상평통보 뒷면(선혜청 주조) 상평통보(常平通寶)는 조선시대에 주조된 화폐로 조선의 화폐 단위인 문(文)의 교환 수단 가운데 하나였.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상평통보 · 더보기 »

상산군부인 송씨

은언군과 상산군부인의 묘비 상산군부인 송씨(常山郡夫人 宋氏, 1753년 10월 15일 ~ 1801년 4월 4일)은 조선후기의 왕족이자 천주교 순교자로, 사도세자의 서자 은언군 이인(恩彦君 李姻)의 정실 부인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상산군부인 송씨 · 더보기 »

오시복

오시복(1637년 ~ ?)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남인의 핵심 인물이었.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오시복 · 더보기 »

최규서

서(崔奎瑞, 1650년 ~ 1735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최규서 · 더보기 »

최항 (1409년)

항(崔恒, 1409년 ~ 1474년)은 조선의 문신이자 학자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최항 (1409년) · 더보기 »

어유소

어유소(1434년 ~ 1489년)는 조선 초기의 무신, 군인, 정치인으로 자(字)는 자유(子遊)이며, 본관은 충주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어유소 · 더보기 »

양정 (조선)

양정 (楊汀, ? ~ 1466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양정 (조선) · 더보기 »

여이징

여이징(呂爾徵, 1588년∼1656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여이징 · 더보기 »

허자

자의 글씨 허자(許磁, 1496년 음력 윤 3월 13일 ~ 1551년 3월 14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작가, 정치인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허자 · 더보기 »

엄흥도

엄흥도 영정 엄흥도 (嚴興道, ?~?) 는 조선 전기의 문신, 충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엄흥도 · 더보기 »

성세창

성세창(成世昌, 1481년 ~ 1548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성세창 · 더보기 »

서매수

서매수(徐邁修, 1731년 ~ 1818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서매수 · 더보기 »

서명균

서명균(徐命均, 1680년 ~ 1745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서명균 · 더보기 »

서명선

서명선(徐命善, 1728년 ~ 1791년)은 조선의 문신 겸 정치가 및 시인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서명선 · 더보기 »

서문중

서문중(徐文重, 1634년 ~ 1709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서문중 · 더보기 »

서당보

서당보(1806년 ~ 1883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고종 때 영의정을.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서당보 · 더보기 »

서정수

서정수(? ~ 1804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본관은 대구로 정조의 신임을 받은 문관이었.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서정수 · 더보기 »

서종급

서종급(1688년 ~ 176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서종급 · 더보기 »

서종태

서종태(徐宗泰, 1652년 ~ 171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서종태 · 더보기 »

서준보

서준보(徐俊輔, 1770년 ~ 1856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서준보 · 더보기 »

서유방

서유방(徐有防, 1741년 ~ 1798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서유방 · 더보기 »

서유녕

서유녕(徐有寧, 1733년 8월 3일 - 1789년 5월 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서유녕 · 더보기 »

송근수

송근수(宋近洙, 1818년 ~ 1903년)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송근수 · 더보기 »

송창 (1633년)

송창(宋昌, 1633년 ~ 1706년 7월 5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관료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송창 (1633년) · 더보기 »

송상기

송상기(宋相琦, 1657년 ~ 1723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송상기 · 더보기 »

송환기

송환기(宋煥箕, 1728년 ~ 1807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송환기 · 더보기 »

한계원

원(1814년 ~ 1882년)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며, 고종 때 우의정을.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한계원 · 더보기 »

한용귀

용귀(1747년 ~ 1828년)은 조선 후기의 영의정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한용귀 · 더보기 »

한흥일

흥일(韓興一, 1587년 ~ 1651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한흥일 · 더보기 »

한익모

익모 한익모(韓翼謩, 1703년 ~ ?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文臣)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한익모 · 더보기 »

한응인

응인(韓應寅, 1554년 ~ 161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한응인 · 더보기 »

안구 (조선)

안구(安玖, ? ~ 1441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안구 (조선) · 더보기 »

안당

안당(安瑭, 1460년 ~ 1521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자는 언보, 호는 영모당, 시호는 정민, 본관은 순흥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안당 · 더보기 »

신회

신회(申晦, 1706년 ~ ?)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신회 · 더보기 »

신임

신임(申銋, 1642년 ~ 1725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신임 · 더보기 »

신익상

신익상(申翼相, 1634년 ~ 1697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신익상 · 더보기 »

신응조

신응조(1804년 ~ 1899년)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며, 고종 때 우의정과 좌의정을.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신응조 · 더보기 »

신윤무

신윤무(辛允武, ? ~ 1513년)는 조선 전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영월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신윤무 · 더보기 »

심능악

심능악(沈能岳, 1766년 ~ 184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유한(維翰), 본관은 청송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심능악 · 더보기 »

심결

심결(沈決, 1419년 ~ 147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심결 · 더보기 »

심기원

심기원(沈器遠, 1587년 ~ 164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심기원 · 더보기 »

심회

심회(沈澮, 1418년 ~ 1493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심회 · 더보기 »

심재

심재(1624년 ~ 1693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심재 · 더보기 »

심희수

심희수(沈喜壽, 1548년 ~ 1622년)는 조선의 문신으로 자는 백구(伯懼), 호는 일송(一松) 또는 수뢰루인(水雷累人), 시호는 문정(文貞)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심희수 · 더보기 »

심이택 (1832년)

심이택(沈履澤, 1832년 ~ 189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송이고, 형조판서 심의면(沈宜冕)의 아들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심이택 (1832년) · 더보기 »

심의면

심의면(沈宜冕, 1808년 ~ 186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주경(周卿), 본관은 청송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심의면 · 더보기 »

심상규

심상규(沈象奎, 1766년 ~ 1838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심상규 · 더보기 »

심수현

심수현(1663년 ~ 173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영조 때 영의정을.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심수현 · 더보기 »

심온

심온(沈溫, 1375년 ~ 1419년 1월 18일 (1418년 음력 12월 23일))은 고려 시대 말기와 조선 시대 초기의 문신이자, 세종의 국구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심온 · 더보기 »

심언광

심언광(沈彦光, 1487년 ~ 154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심언광 · 더보기 »

심열

심열(沈悅, 1569년 ~ 1646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심열 · 더보기 »

심풍지

심풍지(沈豊之, 1738년 ~ 1793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심풍지 · 더보기 »

심통원

심통원(沈通源, 1499년 ~ 1572년 7월 8일)은 조선 중기의 권신, 척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심통원 · 더보기 »

원두표

원두표(元斗杓, 1593년 ~ 1664년)는 조선후기의 문신, 공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원두표 · 더보기 »

홍명하

홍명하(洪命夏, 1608년 ~ 1668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홍명하 · 더보기 »

홍경모 (조선)

홍경모(洪敬謨, 1774년~1851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홍경모 (조선) · 더보기 »

홍낙순

홍낙순(洪樂純, 1723년 ~ ?)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홍낙순 · 더보기 »

홍종응

홍종응(1783년 ~ ?)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홍종응 · 더보기 »

홍중보

홍중보(洪重普, 1612년 ~ 1671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홍중보 · 더보기 »

홍수헌

홍수헌(1640년 ~ 1711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남양이며, 노론의 핵심 인물로, 김창집, 이이명, 이유, 이여와 친분이 두터웠.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홍수헌 · 더보기 »

홍언필

홍언필(洪彦弼, 1476년 ~ 1549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자는 자미, 호는 묵재, 시호는 문희, 본관은 남양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홍언필 · 더보기 »

홍석주

홍석주(洪奭周, 1774년 ~ 1842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홍석주 · 더보기 »

황승원

황승원(黃昇源, 1732년 ~ 1807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황승원 · 더보기 »

황형 묘

황형 묘(黃衡 墓)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월곳리에 있는 조선 성종·중종 때의 무신인 황형(黃衡, 1459 - 1520)의 묘소이.

새로운!!: 공조 (행정기관)와 황형 묘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공조참판, 공조판서.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