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교종

색인 교종

종(敎宗)이란 부처의 교설 및 그것을 문자로 나타낸 경전을 바탕으로 하는 종지(宗旨)를 뜻하며, 불어종(佛語宗)이라고도 하고, 부처의 일심(一心)을 전하는 불심종(佛心宗)으로서의 선종(禪宗)의 입장에서 불교를 판별(判別)하여 교선2종(敎禪二宗)으로 나눈 데에서 비롯.

39 처지: 백용성, 간화결의론, 법계 (역사), 고려, 고려의 불교, 보우 (조선), 봉선사, , 교종 (동음이의), 승과, 크립토잔틴, 이자겸, 의천, 정혜쌍수, 조선 말기의 선론, 조선의 불교, 종경록, 지눌, 천태교학, 천태종,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태현, 오교 구산, 오교 양종, 억불 정책, 여엄, 열반종, 삼국 시대의 불교, 삼화사, 선 (불교), 선교 양종, 통일신라의 불교, 한국 불교의 종파, 한국 불교의 역사, 한국의 불교, 한국의 불교 사상, 원돈성불론, 화엄교학, 화엄종.

백용성

백용성(白龍城, 1864년 5월 8일 ~ 1940년 2월 20일)은 대한민국 일제강점기의 승려이자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교종와 백용성 · 더보기 »

간화결의론

《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은 고려의 승려 보조국사 지눌(知訥: 1158-1210)이 저술한 책으로 불교 교리를 해설한 책이.

새로운!!: 교종와 간화결의론 · 더보기 »

법계 (역사)

법계(法階)는 크게 다음의 두 가지 뜻이 있.

새로운!!: 교종와 법계 (역사)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교종와 고려 · 더보기 »

고려의 불교

불화 미륵하생경변상도 이 문서는 고려 시대의 불교를 설명.

새로운!!: 교종와 고려의 불교 · 더보기 »

보우 (조선)

보우(普雨: 1515~1565)는 조선 명종 때의 승려이.

새로운!!: 교종와 보우 (조선) · 더보기 »

봉선사

봉선사(奉先寺)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전읍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교종와 봉선사 · 더보기 »

음과 같은 뜻을 뜻.

새로운!!: 교종와 교 · 더보기 »

교종 (동음이의)

종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교종와 교종 (동음이의) · 더보기 »

승과

승과(僧科) 또는 승과제도(僧科制度)는 고려 때 승려를 대상으로 한 과거제이.

새로운!!: 교종와 승과 · 더보기 »

크립토잔틴

립토잔틴. 크립토잔틴(Cryptoxanthin)은 천연 카로티노이드 색소이.

새로운!!: 교종와 크립토잔틴 · 더보기 »

이자겸

이자겸(李資謙, ? ~ 1127년 1월 19일/1126년 음력 12월 5일 중앙일보 2009년 12월 22일)은 고려시대 중기의 문신이자 정치인, 섭정이자 시인이었.

새로운!!: 교종와 이자겸 · 더보기 »

의천

상화 의천(義天: 1055년 10월 30일(음력 9월 28일) ~ 1101년 10월 28일(음력 10월 5일))은 고려시대의 왕족 출신 승려, 작가이.

새로운!!: 교종와 의천 · 더보기 »

정혜쌍수

정혜쌍수(定慧雙修)는 고려의 승려인 지눌(知訥: 1158-1210)이 제창한 사상으로, 의천의 교관겸수(敎觀兼修) 사상이 교종으로써 선종을 융섭하고자 한 것이라면 정혜쌍수 사상은 선종으로써 교종을 융섭한 것이.

새로운!!: 교종와 정혜쌍수 · 더보기 »

조선 말기의 선론

조선 말기의 선론(朝鮮末期의 禪論)은, 백파 긍선(白坡亘璇: 1767~1852)이 자신의 저서 《선문수경(禪文手鏡)》에서 펼친 선론(禪論)을 중심하여, 불립문자(不立文字)를 종지로 하는 선(禪)에 대한 19세기 전반에 있었던 이론적 논쟁을 가리키는 것으로, 조선 말기 불교의 특징을 이루는 논쟁이.

새로운!!: 교종와 조선 말기의 선론 · 더보기 »

조선의 불교

조선의 불교, 즉 조선 시대의 불교는 고려 말기의 불폐(佛弊)로 인해 조선 시대에는 억불숭유(抑佛崇儒) 정책이 강조되어 많은 법난을 겪었.

새로운!!: 교종와 조선의 불교 · 더보기 »

종경록

《종경록(宗鏡錄)》은 오대(五代)로부터 북송(北宋)에 걸친 선승(禪僧) 영명연수(永明延壽: 904~975)의 저작으로, 100권으로 되어 있.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종경록,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영명연수는 선종5가(禪宗五家)의 일파인 법안종(法眼宗)에 속하며, 천태(天台)화엄(華嚴)법상(法相) 등의 교종(敎宗)과 선종(禪宗)을 융화회통(融和會通)케 하려는 교선일치(敎禪一致)를 주장한 선승이.

새로운!!: 교종와 종경록 · 더보기 »

지눌

(知訥, 1158년~1210년 4월 22일(음력 3월 27일))은 고려의 승려이.

새로운!!: 교종와 지눌 · 더보기 »

천태교학

학(天台敎學)은 《법화경》을 근본 경전으로 하여, 천태종의 개조인 천태지자대사(天台智者大師) 지의(智顗: 538-597)가 대성한 중국 불교의 교학이.

새로운!!: 교종와 천태교학 · 더보기 »

천태종

종(天台宗TiantaiTendaiLotus School)은 《법화경》(法華經Lotus Sūtra)을 소의경전으로 하는 불교 종파이.

새로운!!: 교종와 천태종 · 더보기 »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곡 선봉사 대각국사비(漆谷 僊鳳寺 大覺國師碑)는 경상북도 칠곡군 선봉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비석이.

새로운!!: 교종와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 더보기 »

태현

현(太賢)은 일명 대현(大賢)이라고도 하며, 8세기 중엽 신라 경덕왕 때의 승려로, 유가종(瑜伽宗)의 조사이.

새로운!!: 교종와 태현 · 더보기 »

오교 구산

오교 구산(五敎九山)은 신라 중기에 성립된 교종의 5교와 신라 말기와 고려 초에 성립된 선종의 9산을 통칭하여 부르는 낱말이.

새로운!!: 교종와 오교 구산 · 더보기 »

오교 양종

오교 양종(五敎兩宗)은 고려(918-1392) 중기에서 조선(1392-1897) 초기에 걸친 중세와 근세 초기 한국의 불교 교파를 총칭하는 낱말이.

새로운!!: 교종와 오교 양종 · 더보기 »

억불 정책

억불 정책(抑佛政策) 또는 배불 정책(排佛政策)은 조선 왕조(1392-1897)가 500년 내내 불교를 탄압한 정책이.

새로운!!: 교종와 억불 정책 · 더보기 »

여엄

여엄(麗嚴, 862년~930년)은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의 선승(禪僧)이.

새로운!!: 교종와 여엄 · 더보기 »

열반종

열반종(涅槃宗)은 대승 불교 경전인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을 강구하는 불교 학파 또는 종파이.

새로운!!: 교종와 열반종 · 더보기 »

삼국 시대의 불교

이 문서는 한국 역사에서 고구려백제신라의 삼국 시대에 전개된 불교를 설명.

새로운!!: 교종와 삼국 시대의 불교 · 더보기 »

삼화사

삼화사 가이드맵 삼화사(三和寺)는 강원도 동해시의 무릉계곡 입구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 유서 깊은 절이.

새로운!!: 교종와 삼화사 · 더보기 »

선 (불교)

선정(禪定)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선(禪)이란, 중국 대륙에서 5세기에 발전하기 시작한 대승불교의 한 조류이.

새로운!!: 교종와 선 (불교) · 더보기 »

선교 양종

선교 양종(禪敎兩宗)은 조선 시대 세종 6년에 기존의 불교 종파들이 선종과 교종의 양종으로 통폐합되었던 조선 시대의 불교 종파를 일컫는 낱말이.

새로운!!: 교종와 선교 양종 · 더보기 »

통일신라의 불교

통일신라의 불교를 크게 3등분하면 다음과 같.

새로운!!: 교종와 통일신라의 불교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종파

삼국 시대에 불교가 전래된 이래, 한국 불교에서는 때로는 새로운 종파가 성립되기도 하고 때로는 기존의 종파들이 통합되기도 하면서 여러 종파들이 성립발전하였.

새로운!!: 교종와 한국 불교의 종파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새로운!!: 교종와 한국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의 불교

국의 불교는 기원후 4세기와 5세기경 삼국 시대(三國時代)에 동진 시대(317-420)와 남북조 시대(439-589)의 중국을 거쳐 들어온 종교로서 한국 민족과 더불어 자라온 중요한 종교 사상의 하나이.

새로운!!: 교종와 한국의 불교 · 더보기 »

한국의 불교 사상

본 문서 한국의 불교 사상은, 한국에 전래된 불교에서 전개된 사상을 설명.

새로운!!: 교종와 한국의 불교 사상 · 더보기 »

원돈성불론

《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은 고려의 승려 보조국사 지눌(知訥: 1158-1210)의 저서로 화엄 사상의 대의를 밝힌 책이.

새로운!!: 교종와 원돈성불론 · 더보기 »

화엄교학

화엄교학(華嚴敎學)은 《화엄경》을 근본 경전으로 하여 현수대사 법장(法藏: 643-712)이 대성한 화엄종의 교학이.

새로운!!: 교종와 화엄교학 · 더보기 »

화엄종

화엄종(華嚴宗)은 《화엄경(華嚴經)》을 소의 경전으로 하는 불교 종파이.

새로운!!: 교종와 화엄종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교학.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