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색인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황 요한 바오로 2세(라틴어: Ioannes Paulus PP. II, 이탈리아어: Papa Giovanni Paolo II)는 제264대 교황(재위: 1978년 10월 16일 ~ 2005년 4월 2일)으로 본명은 카롤 유제프 보이티와(폴란드어: Karol Józef Wojtyła)이.

417 처지: 러시아 내셔널 오케스트라, 도널드 윌리엄 우얼, 동방 정교회, 동정 마리아의 집, 로랑조제프마리위스 앵베르, 로마 미사 경본, 로마 가톨릭 성인 달력, 로마 가톨릭교회, 로마 교황청, 로마 순교록, 로마 테르미니 역, 루르드의 성모, 루마니아 총대주교 테오치스트, 루이 마리 링 망카네코운, 루이마리 드 몽포르, 르완다 집단학살, 리처드 윌리엄슨, 리카르도 마리아 카를레스 고르도, 릴라 수도원, 마르탱 뤼크 위앵, 마르셀 르페브르, 마리니콜라앙투안 다블뤼, 마리아 막달레나, 마리아 가브리엘라, 마리아 파우스티나 코발스카, 마리아론, 마녀사냥, 마담 투소,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메리 매킬럽, 메흐메트 알리 아자, 메토디우스, 모스크바 총대주교 알렉세이 2세, 모제타, 묵주, 묵시록의 여인, 미카엘 (대천사), 민극가, 발터 카스퍼, 갈릴레오 갈릴레이, 반젤리스의 음반 목록, 바도비체, 바벨 대성당, 바티칸 비밀문서고, 바티칸 출판사, 바티칸 텔레비전 방송국, 바티칸 시국 위원회, 바티칸 시국의 교통, 바티칸 시국의 철도, 바티칸 시국의 유로 주화, ..., 박봉손, 강우일, 박큰아기, 박희순 루치아, 박종원 (종교인), 박아기, 박후재, 밀란 코마르, 가타리나 드렉셀, 가톨릭 마드리드 대교구, 가톨릭 나가사키 대교구, 가톨릭대학교, 가톨릭교회 교리서, 베르나르 루이 볼리외, 베르나르 펠레이, 베르나르 티시에 드 마예레, 베드로 십자, 경신성사성, 게오르크 라칭거, 게오르크 스테르진스키, 고순이, 고성소, 고통받는 교회 돕기, 보진카 계획, 과달루페의 성모, 과학과 종교의 관계, 계산성당, 궁핀메이, 권득인, 권희, 권진이, 불가타, 그레뱅 박물관, 그리스도인일치촉진평의회, 기독교, 기독교 비판, 기적의 메달, 비르질리오 노에, 비톨트 루토스와프스키, 비아 델라 콘칠리아치오네, 김 로사, 김 루치아, 김 루치아 (곱추), 김 바르바라, 김 율리에타, 김 테레사, 김대건, 김대중,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김효임, 김효주 (종교인), 김운회, 김장금, 김임이, 김제준, 김수환, 김업이, 김성우, 김성임, 김아기, 대전광역시, 대한민국 대통령과 교황의 면담 목록, 대한민국-성좌 관계, 대한민국의 대외 관계, 냉전, 누르시아의 베네딕토, 교회 일치주의, 교회의 어머니, 교육성, 교황, 교황 레오 13세, 교황 목록, 교황 문장, 교황 바오로 6세, 교황 베네딕토 15세, 교황 베네딕토 16세,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영국 방문, 교황 비오 11세, 교황 비오 12세, 교황 비오 9세, 교황 요한 23세, 교황 요한 바오로 1세, 교황 즉위식, 교황 프란치스코, 교황 알렉산데르 6세, 교황 십자가, 교황관, 교황의 레갈리아와 휘장, 교황청 성서위원회, 남명혁, 남경문 (1796년), 남이관, 남종삼, 나가시마 시게오, 디오니지 테타만치, 넬슨 만델라, 노트르담 대성당, 노태우, 논현동성당, 뉴트 깅리치, 다미앵 신부, 다하우 강제 수용소, 니콜라스 스테노, 니혼쨩의 등장인물, FC 샬케 04, 스페인의 동성결혼, 스타드 드 라 메노, 스타니스와프 리우코, 스테판 비신스키, 스테파노 곱비, 우크라이나의 로마 가톨릭교회, 우술임, 우세영, 트랜스포비아, 요한, 요한 바오로 2세 공항,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 요안나 프란치스카 드 샹탈, 요아힘 마이스너, 자매 교회, 자크 샤스탕, 장루이 토랑, 장마리 뤼스티제, 장인남, 장익 (1933년), 장주기, 장성집, 임치백, 크리스토프 쇤보른, 클레멘스 홀, 퍼슈커이 라슬로, 폴란드, 폴란드의 로마 가톨릭교회, 폴란드의 킨가, 이 바르바라, 이 가타리나, 이 아가타, 이매임, 이명서, 이문우, 이간난, 이경이, 이광렬, 이광헌, 이용훈 (1951년), 이인덕, 이정희 (종교인), 이츠하크 라빈, 이윤일, 이영덕 (종교인), 이영희 막달레나, 이호영 베드로, 이연희 (종교인), 이소사, 이해찬, 이한택, 인류복음화성, 일본항공, 제1차 십자군, 제4차 십자군, 제로 아워 (텔레비전 프로그램), 전경협, 전두환, 전장운, 정문호, 정국보, 정의배, 정정혜, 정철염, 정하상, 정원지 (종교인), 정화경, 조 막달레나, 조반니 살다리니, 조기 (기례), 조증이, 조지 펠, 조지아 정교회, 조윤호 (종교인), 조신철, 조화서, 존 패트릭 폴리, 존 티토, 주교 지팡이, 주교관, 주교회의, 주님의 기도, 주세페 시리, 중국-바티칸 관계, 중화 타이베이, 진제선사, 천주교 대구대교구, 천주교 군종교구, 추기경, 추기경단 단장, 카롤루스 대제상, 카를 1세 (오스트리아), 카사 로사다, 칼요제프 라우버, 치타 폰 부르봉파르마, 켄터키 커널,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바르톨로메오스 1세,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디미트리오스 1세, 콘클라베, 코맥 머피오코너, 쿠바, 유대철, 유흥식, 유제프 글렘프, 유정률, 유진길, 유소사, 파울 아우구스틴 마이어, 파파모빌레, 파티마 (포르투갈), 파티마의 성모, 타르치시오 베르토네, 타임 올해의 인물, 수도회성, 오를란디 실종사건, 오카다 다케오, 오푸스 데이, 호세 마리아 디아즈 산후르호,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 예지 두데크, 현경련, 현석문, 최경환 (종교인), 최기산, 최창무, 최창흡, 최영이 (종교인), 최형, 에디트 슈타인, 에스토니아의 로마 가톨릭교회, 에우데르 카마라, 헤르젝 노비의 레오폴도, 여우목고개, 여의도공원, 역사 연표, 연대자유노조, 연옥 (기독교), 허계임, 허협, 키릴로스 (9세기), 키스 마이클 패트릭 오브라이언, 키쿠치 이사오, 사도궁, 사도좌 공석, 사로프의 세라핌, 사토와키 아사지로, 산 프란체스코 대성당, 산궈시,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 삼김시대, 피에르 모방, 피에르 오메트르, 피에르 에이트, 피에르앙리 도리, 피에트렐치나의 비오, 피터 턱슨, 프랜시스 조지, 프랑수아 마르티, 프란치스코 페르난도 데 카필라, 프레데리크 빌렘 데 클레르크,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의 학살, 성 베드로 사제 형제회, 성 비오 10세회, 성모 승천, 성녀 마르타 호텔, 성인 (종교), 세계 청년 대회, 세디아 게스타토리아, 손자선, 손선지, 손소벽, 토머스 모어, 소련의 붕괴, 쇼와 시대, 앤더슨 쿠퍼, 앨프리드 슈에레브, 해방 신학, 야기엘론스키 대학교, 야세르 아라파트, 알로이시우스 암브로직, 알로지제 스테피나츠, 알무데나 대성당, 한국의 로마 가톨릭 성인,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한재권, 알폰소 마리아 푸스코, 한이형, 한영이, 한아기, 안데르스 아르보렐리우스, 안나 가타리나 엠머릭, 안니발레 부니니, 안토니오 마리아 로우코 발레라, 하마오 후미오, 하나의 중국, 아네슈카 체스카, 아우렐리오 사바타니, 아이슬란드의 로마 가톨릭교회, 아일랜드 단식투쟁,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악마, 앙드레 뱅트루아, 앙헬 수키아 고이코에체아, 셰이 기븐, 테라모, 테레사 수녀, 테오도로 오비앙 응게마 음바소고, 신앙교리성, 심의회 (로마 교황청), 십자가 언덕, 시메옹프랑수아 베르뇌, 시몽 마리 앙투안 쥐스트 랑페르 드 브르트니에르, 시나이 정교회, 시에나의 가타리나, 시성성, 원귀임,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국립 대성당, 웨일스 공 찰스, 후전충, 홍병주, 홍금주, 홍영주, 황석두, JP2, 1 유로 주화, 1 유로센트 주화, 10 유로센트 주화, 10월 16일, 10월 22일, 10월 7일, 1920년, 1978년, 1978년 10월 콘클라베, 1984년, 1989년, 1989년 10월, 1998년, 2 유로 주화, 2 유로센트 주화, 20 유로센트 주화, 2000 투데이, 2000년대, 2005년, 2005년 4월, 2005년 콘클라베, 2011년, 2011년 5월, 2014년, 20세기, 20세기 연표, 3월 20일, 4월 27일, 4월 2일, 5 유로센트 주화, 50 유로센트 주화, 5·18 광주 민주화 운동, 5월 13일, 5월 18일, 5월 1일, 5월 3일, 5월 6일, 6월 26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67 더) »

러시아 내셔널 오케스트라

시아 내셔널 오케스트라(Russian National Orchestra)는 모스크바에 본거지를 둔 러시아의 대표적인 관현악단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러시아 내셔널 오케스트라 · 더보기 »

도널드 윌리엄 우얼

윌리엄 우얼(1940년 11월 12일 -)은 미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추기경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도널드 윌리엄 우얼 · 더보기 »

동방 정교회

이콘 동방 정교회(東方正敎會,)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교세가 큰 기독교로 약 2억 5천만 명 이상의 인구가 믿고 있.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종교 중의 하나로 (아나톨리아를 포함한) 그리스와 동유럽, 캅카스, 근동의 역사와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 정교회(正敎會) 또는 보편 정교회라고도 불린.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동방 정교회 · 더보기 »

동정 마리아의 집

동정 마리아의 집 경당의 외관 동정 마리아의 집()은 터키 셀주크에서 7킬로미터 떨어진 에페소 인근의 코레소스 산에 자리한 기독교와 이슬람교의 공동 순례지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동정 마리아의 집 · 더보기 »

로랑조제프마리위스 앵베르

랑조제프마리위스 앵베르(Laurent-Joseph-Marius Imbert, 1797년 4월 15일 ~ 1839년 9월 21일)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사제이며, 한국어명은 범세형(范世亨)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로랑조제프마리위스 앵베르 · 더보기 »

로마 미사 경본

랑스 북부 지방의 14세기 필사본 로마 미사 경본 《트리엔트 공의회에 따른 로마 미사 경본》 1962년; 감사 기도 부분.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 따른 로마 미사 경본》(제3표준판, 라틴어판) 2002년. 로마 미사 경본(Missale Romanum)은 기독교의 로마 예법에서 사용하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미사 경본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로마 미사 경본 · 더보기 »

로마 가톨릭 성인 달력

1340-60년경, 중세 성인 달력 필사본의 일부. 도미니코 수도회에서 사용하였다(투르쿠 지역). 이 문서는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인정하는 그리스도교의 성인(聖人) 축일을 표시한 달력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로마 가톨릭 성인 달력 · 더보기 »

로마 가톨릭교회

마 가톨릭교회(), 천주교(天主敎) 또는 가톨릭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약 12억 명의 신자를 가진 세계 최대 규모의 기독교 교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로마 교황청

마 교황청(~敎皇廳)은 기독교에서 성좌의 행정기관이며 교황과 더불어 로마 가톨릭교회 전체를 통솔하는 중앙통제기구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로마 교황청 · 더보기 »

로마 순교록

순교자에 관한 삽화(8세기 필사본의 일부) 로마 순교록(Martyrologium Romanum)은 기독교 전례서의 하나로, 주로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해마다 지내는 성인들의 축제일을 제시한 전례력의 근거를 이루는 책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로마 순교록 · 더보기 »

로마 테르미니 역

|이름.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로마 테르미니 역 · 더보기 »

루르드의 성모

르드의 성모상 루르드의 성모 대성당 루르드의 성모()는 18회에 걸쳐 나타났다고 보고된 성모 마리아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루르드의 성모 · 더보기 »

루마니아 총대주교 테오치스트

마니아의 총대주교이자 왈라키아의 수도대주교 테오치스트(1915년 2월 7일 ~ 2007년 7월 30일)는 1986년부터 2007년까지 재임했던 루마니아 정교회 총대주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루마니아 총대주교 테오치스트 · 더보기 »

루이 마리 링 망카네코운

섬네일 루이 마리 링 망카네코운(Louis-Marie Ling Mangkhanekhoun, 1944년 4월 8일 -)은 라오스의 로마 가톨릭교회 고위 성직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루이 마리 링 망카네코운 · 더보기 »

루이마리 드 몽포르

성 루이마리 그리그뇽 드 몽포르(1673년 1월 31일 - 1716년 4월 28일)는 프랑스의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루이마리 드 몽포르 · 더보기 »

르완다 집단학살

르완다 집단학살(Genocide in Rwanda)이란 1994년 르완다에서 르완다 내전중에 벌어진 후투족에 의한 투치족과 후투족 중도파들의 집단 학살을 말. 4월 6일부터 7월 중순까지 약 100여일간 최소 50만명이 살해당했으며 대부분의 인권 단체들은 약 80만명에서 100만명이 살해당했다고 주장.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르완다 집단학살 · 더보기 »

리처드 윌리엄슨

리처드 윌리엄슨 주교 리처드 윌리엄슨(Richard Nelson Williamson, 1940년 3월 8일 -)은 영국인 로마 가톨릭교회 주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리처드 윌리엄슨 · 더보기 »

리카르도 마리아 카를레스 고르도

리카르도 마리아 카를레스 고르도(1926년 9월 24일 - 2013년 12월 17일)는 스페인의 로마 가톨릭교회 추기경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리카르도 마리아 카를레스 고르도 · 더보기 »

릴라 수도원

릴라 수도원 릴라 수도원()은 불가리아 남서부 릴라 산맥에 위치한 동방 정교회 수도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릴라 수도원 · 더보기 »

마르탱 뤼크 위앵

마르탱 뤼크 위앵(Martin Luc Huin, 1836년 10월 20일 ~ 1866년 3월 30일) 또는 위앵 마르티노 루카는 프랑스의 가톨릭 선교사로서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마르탱 뤼크 위앵 · 더보기 »

마르셀 르페브르

마르셀 르페브르 대주교 마르셀 프랑수아 마리에 조제프 르페브르(1905년 11월 29일 - 1991년 3월 25일)는 프랑스인 로마 가톨릭교회 대주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마르셀 르페브르 · 더보기 »

마리니콜라앙투안 다블뤼

마리니콜라앙투안 다블뤼(1818년 3월 16일 프랑스 아미앵 ~ 1866년 3월 30일(음력 2월 14일), 충청남도 보령)은 프랑스 파리 외방전교회의 선교사이며 천주교 조선교구의 제5대 교구장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마리니콜라앙투안 다블뤼 · 더보기 »

마리아 막달레나

마리아 막달레나 또는 막달라 마리아(original Biblical Greek: Μαρία ἡ Μαγδαληνή, literally "Mary the Magdalene")는 기독교 신약성서의 복음서에 등장하는 예수 그리스도의 여성 추종자중 한 명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마리아 막달레나 · 더보기 »

마리아 가브리엘라

마리아 가브리엘라 사게두(1914년 3월 17일 ~ 1939년)는 트라피스트 수도회에 소속된 이탈리아인 수녀였으며, 25살의 나이에 그로타페라타 수녀원에서 결핵으로 사망.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마리아 가브리엘라 · 더보기 »

마리아 파우스티나 코발스카

성녀 마리아 파우스티나 코발스카(1905년 8월 25일 - 1938년 10월 5일)는 폴란드의 로마 가톨릭교회 수녀이자 신비가, 시현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마리아 파우스티나 코발스카 · 더보기 »

마리아론

마리아론은 예수 그리스도의 어머니인 성모 마리아에 대해 연구하는 기독교의 신학 분야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마리아론 · 더보기 »

마녀사냥

마녀로 판명된 여인을 화형시키는 장면을 묘사한 삽화. 마녀사냥(魔女 -)은 중세 중기부터 근대 초기에 이르기까지 유럽, 북아메리카, 북아프리카 일대에 행해졌던 마녀나 마법 행위에 대한 추궁과 재판에서부터 형벌에 이르는 일련의 행위를 말. '마녀사냥'을 '마녀재판'이라고 일컫.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마녀사냥 · 더보기 »

마담 투소

마담 투소 박물관과 런던 플라네타늄 마담 투소(Madame Tussauds)는 런던 본점을 포함한 여러 나라 대도시에 있는 밀랍 인형 박물관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마담 투소 · 더보기 »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성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1894년 1월 8일 - 1941년 8월 14일)는 폴란드인이자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의 수도사제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 더보기 »

메리 매킬럽

메리 매킬럽 메리 매킬럽(Mary MacKillop, 1842년 1월 15일 ~ 1909년 8월 8일)은 오스트레일리아의 로마 가톨릭교회 수녀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메리 매킬럽 · 더보기 »

메흐메트 알리 아자

메흐메트 알리 아자(1958년 1월 9일 -)는 터키의 암살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메흐메트 알리 아자 · 더보기 »

메토디우스

성 키릴루스와 성 메토디우스 형제 메토디우스 또는 메토디오스(826년 ~ 885년 4월 6일)는 비잔티움 제국의 기독교 신학자이자 선교사이며 대모라바 왕국의 대주교였.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메토디우스 · 더보기 »

모스크바 총대주교 알렉세이 2세

모스크바 및 전 루시 총대주교 알렉시 2세(1929년 2월 23일 - 2008년 12월 5일)는 러시아 정교회의 제15대 총대주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모스크바 총대주교 알렉세이 2세 · 더보기 »

모제타

자주색 모제타를 입은 주교와 검은색 모제타를 입은 의전사제 붉은색 모제타를 입은 추기경 모제타()는 기독교의 고위 성직자들이 입던 팔꿈치까지 내려오는 짧은 망토로 가슴 앞쪽에서 단추를 채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모제타 · 더보기 »

묵주

루르드의 성모 - 묵주를 오른쪽 팔에 걸고 기도하는 모습. 묵주(默珠) 또는 로사리오는 라틴어로 장미 화관을 뜻하는 ‘로사리우스’(Rosarius)에서 유래한 말로, 가장 보편적이며 전통적인 기독교의 성물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묵주 · 더보기 »

묵시록의 여인

페테르 파울 루벤스가 그린 묵시록의 여인으로 등장한 성모 마리아. 그림 속에서 성모는 흰색 드레스와 푸른색 외투를 입었으며, 발로 뱀의 머리를 밟아 부수어뜨리고 있다. 묵시록의 여인은 신약성경의 요한 묵시록 12장 1절~18절에 등장하는 인물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묵시록의 여인 · 더보기 »

미카엘 (대천사)

미카엘()은 유대교와 기독교, 이슬람교의 대천사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미카엘 (대천사) · 더보기 »

민극가

민극가(閔克可, 1788년 ~ 1840년 1월 30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민극가 · 더보기 »

발터 카스퍼

발터 카스퍼(1933년 3월 5일 -)는 독일의 로마 가톨릭교회 추기경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발터 카스퍼 · 더보기 »

갈릴레오 갈릴레이

릴레오 갈릴레이(Galileo Galilei, 1564년 2월 15일 ~ 1642년 1월 8일)는 이탈리아의 철학자, 과학자, 물리학자, 천문학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갈릴레오 갈릴레이 · 더보기 »

반젤리스의 음반 목록

음은 반젤리스의 음반 목록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반젤리스의 음반 목록 · 더보기 »

바도비체

바도비체()는 돌노실롱스키에 주 서부에 있는 마을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바도비체 · 더보기 »

바벨 대성당

바벨 대성당()이라고도 불리는 바벨 언덕의 성 스타니슬라오와 성 벤체슬라오의 왕립 주교좌 대성당()은 폴란드 크라쿠프의 바벨 언덕에 있는 로마 가톨릭교회 성당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바벨 대성당 · 더보기 »

바티칸 비밀문서고

바티칸 비밀문서고()는 성좌에서 선포한 모든 법령을 보관하기 위해 바티칸 시국에 세운 중앙 저장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바티칸 비밀문서고 · 더보기 »

바티칸 출판사

바티칸 출판사(약칭 LEV)는 1926년 설립된 성좌의 출판사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바티칸 출판사 · 더보기 »

바티칸 텔레비전 방송국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바티칸 텔레비전 방송국 · 더보기 »

바티칸 시국 위원회

휘장 바티칸 시국 위원회(라틴어: Pontificia Commissio pro Civitate Vaticana)는 바티칸 시국의 입법부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바티칸 시국 위원회 · 더보기 »

바티칸 시국의 교통

비아 델라 콘칠리아치오네에서 바라본 성 베드로 대성전과 성 베드로 광장. 바티칸 시국의 교통은 나라 전체가 1.05km 길이와 0.85km 폭으로 이루어진 작은 도시국가이기 때문에, 공항이나 고속도로가 없. 일반 성인이 평균 걷는 속도를 시간당 3.6km로 간주했을 경우, 바티칸 시 전체를 가로지르는 데는 20분도 채 걸리지 않. 그러한 연유로, 바티칸의 기반시설 대부분은 성 베드로 광장과 성 베드로 대성전 내의 복도와 통로, 그리고 대성전과 광장 주위를 둘러싼 건물들 및 건물들 사이사이의 보도로 구성되어 있. 바티칸 시 서쪽 귀퉁이에는 헬리콥터 이착륙장이 있는데, 이곳은 바티칸의 고위 성직자 및 방문객들을 위하여 사용하고 있.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바티칸 시국의 교통 · 더보기 »

바티칸 시국의 철도

바티칸 철도 바티칸 시국의 철도는 바티칸 시국의 약 300미터 구간을 달리는 세계에서 가장 짧은 국영철도인 바티칸 철도()가 유일한 철도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바티칸 시국의 철도 · 더보기 »

바티칸 시국의 유로 주화

바티칸 시국의 유로 주화는 바티칸 시국 우표 화폐 수집국에서 발행하며 이탈리아 로마에 있는 이탈리아 국립 인쇄 조폐공사에서 주조.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바티칸 시국의 유로 주화 · 더보기 »

박봉손

박봉손(朴鳳孫, 1796년 ~ 1839년 9월 26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박봉손 · 더보기 »

강우일

강우일(姜禹一, 1945년 10월 12일 ~)은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성직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강우일 · 더보기 »

박큰아기

박큰아기(朴大阿只, 1786년 ~ 1839년 9월 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박큰아기 · 더보기 »

박희순 루치아

박희순(朴喜順, 1801년 ~ 1839년 5월 24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박희순 루치아 · 더보기 »

박종원 (종교인)

박종원(朴宗源, 1793년 ~ 1840년 1월 31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박종원 (종교인) · 더보기 »

박아기

박아기(朴阿只, 1783년 ~ 1839년 5월 24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박아기 · 더보기 »

박후재

박후재(朴厚載, 1799년 ~ 1839년 9월 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박후재 · 더보기 »

밀란 코마르

밀란 코마르(1921년 6월 4일 ~ 2006년 1월 20일)는 슬로베니아, 아르헨티나의 철학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밀란 코마르 · 더보기 »

가타리나 드렉셀

성녀 가타리나 드렉셀(Katharine Drexel, 1858년 11월 26일 - 1955년 3월 3일)은 미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수녀이자 자선활동가, 교육자, 성인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가타리나 드렉셀 · 더보기 »

가톨릭 마드리드 대교구

마드리드 대교구()는 스페인 마드리드에 있는 로마 가톨릭교회 대교구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가톨릭 마드리드 대교구 · 더보기 »

가톨릭 나가사키 대교구

릭 나가사키 대교구()는 일본 나가사키 관구의 중심 교구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가톨릭 나가사키 대교구 · 더보기 »

가톨릭대학교

릭대학교(가톨릭大學校,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는 1855년에 개교한 대한민국의 천주교 계통 사립 대학으로, 한국 최초의 로마 가톨릭교회 신학교이자 고등교육기관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가톨릭대학교 · 더보기 »

가톨릭교회 교리서

릭교회 교리서()는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발간하는 기독교 교리서로, 1992년에 프랑스어와 라틴어로 처음 발행되고 1997년에 라틴어 표준판이 공포되었.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가톨릭교회 교리서 · 더보기 »

베르나르 루이 볼리외

베르나르 루이 볼리외(Bernard Louis Beaulieu, 1840년 10월 8일 ~ 1866년 3월 7일)는 프랑스인 선교사로서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베르나르 루이 볼리외 · 더보기 »

베르나르 펠레이

2008년 루르드에서의 베르나르 펠레이 베르나르 펠레이(Bernard Fellay, 1958년 4월 12일 -)는 스위스의 주교이자 전통 가톨릭 단체인 성 비오 10세회의 총장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베르나르 펠레이 · 더보기 »

베르나르 티시에 드 마예레

thumb 베르나르 티시에 드 마예레(1945년 9월 14일 -)는 성 비오 10세회의 주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베르나르 티시에 드 마예레 · 더보기 »

베드로 십자

성 베드로의 십자 베드로 십자(Petrine Cross는 십자의 1종으로, 라틴 십자를 천지 반대로 한 형상의 것이다. 기독교의 상징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역십자 (逆十字)라고도 불린다.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베드로 십자 · 더보기 »

경신성사성

경신성사성(敬信聖事省)은 동방 가톨릭교회와는 뚜렷하게 다른 라틴 전례의 거행과 관련된 직무 대부분과 기독교 성사들에 대한 몇 가지 법적인 문제들을 담당하는 로마 교황청의 심의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경신성사성 · 더보기 »

게오르크 라칭거

오르크 라칭거 게오르크 라칭거(1924년 1월 15일 -)는 독일의 기독교 성직자이자 독일 레겐스부르크 주교좌 성당 소년 성가대의 지휘자로 유명한 음악가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게오르크 라칭거 · 더보기 »

게오르크 스테르진스키

오르크 막시밀리안 스테르진스키(1936년 2월 9일 ~ 2011년 6월 30일)는 독일 가톨릭교회의 추기경이자 베를린 대교구장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게오르크 스테르진스키 · 더보기 »

고순이

순이(高順伊, 1798년 ~ 1839년 12월 2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고순이 · 더보기 »

고성소

성소(古聖所) 또는 림보()는 기독교의 신학에서 예수를 미처 알지 못하고 원죄 상태를 유지한 채 죽은 사람들의 사후 상태에 대한 신학적 유추에 근거를 둔 내세관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고성소 · 더보기 »

고통받는 교회 돕기

통받는 교회 돕기()은 로마 가톨릭 교회의 국제적인 사목원조기관으로, 독일 쾨니히슈타인(Königstein)에 총사무국이 있. 일반적으로 영어 약자 ACN으로 칭하고 세계 각국에 위치한 지부는 그 뒤에 국가의 이름을 붙여 'ACN KOREA'와 같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고통받는 교회 돕기 · 더보기 »

보진카 계획

보진카 계획(Bojinka、아라비아어:بجنكة)은 알카이다가 1995년 1월 21일에 실행하려 했지만 미수에 그친 테러계획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보진카 계획 · 더보기 »

과달루페의 성모

의 성모 과달루페의 성모()는 16세기 멕시코에서 발현했다고 전해지는 성모 마리아를 일컫는 호칭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과달루페의 성모 · 더보기 »

과학과 종교의 관계

학과 종교가 서로 화합을 이루는 장면을 그리는 작품 "교육" (1890). 과학과 종교는 역사를 통해 전 세계에서 다양한 형태를 가져왔으며, 대립적 관계에 설 수도 있고 서로 상호보완적 관계에도 설 수 있.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과학과 종교의 관계 · 더보기 »

계산성당

주교 대구대교구 계산주교좌대성당, 통칭 계산성당(桂山聖堂)은 대구광역시 중구 계산오거리에 위치한 천주교 대구대교구교구장 대주교의 주교좌 성당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계산성당 · 더보기 »

궁핀메이

궁핀메이(龔品梅, 1901년 8월 2일 - 2000년 3월 12일)는 중국 로마 가톨릭교회의 추기경이자 상하이 교구장 주교(1950-2000)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궁핀메이 · 더보기 »

권득인

득인(權得仁, 1805년 ~ 1839년 5월 24일(음력 4월 12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권득인 · 더보기 »

권희

희(權喜, 1794년 ~ 1839년 9월 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권희 · 더보기 »

권진이

이(權珍伊, 1819년 ~ 1840년 1월 31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권진이 · 더보기 »

불가타

불가타(Vulgata) 또는 새 라틴어 성경은 5세기 초에 라틴어로 번역된 기독교 성경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불가타 · 더보기 »

그레뱅 박물관

뱅 박물관()은 프랑스 파리 9구의 그랑 불르바르에 있는 밀랍 인형 박물관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그레뱅 박물관 · 더보기 »

그리스도인일치촉진평의회

리스도인일치촉진평의회()는 로마 가톨릭 교회 교황청 내에 있는 부서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그리스도인일치촉진평의회 · 더보기 »

기독교

독교(基督敎)From Ancient Greek Khristós (Latinized as Christus), translating Hebrew מָשִׁיחַ, Māšîăḥ, meaning "the anointed one", with the Latin suffixes -ian and -itas.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기독교 · 더보기 »

기독교 비판

독교에 대한 비판은 기독교 자체 또는 교회나 기독교인에 대한 비판으로 기독교의 역사와 더불어 늘 있어왔.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기독교 비판 · 더보기 »

기적의 메달

적의 메달 (앞면과 뒷면) 기적의 메달() 또는 기적의 패는 성녀 가타리나 라부레가 성모 마리아의 요청에 따라 만든 메달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기적의 메달 · 더보기 »

비르질리오 노에

섬네일 비르질리오 노에(1922년 3월 30일 - 2011년 7월 24일)는 이탈리아 가톨릭교회의 추기경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비르질리오 노에 · 더보기 »

비톨트 루토스와프스키

비톨트 루토스와프스키.http://wlodek.future-net.pl 사진의 저작권은 W. Pniewski와 L. Kowalski에게 있음. 비톨트 루토스와프스키(1913년 1월 25일~1994년 2월 7일)는 폴란드의 작곡가로 20세기 유럽의 주요 작곡가 중 하나였으며, 특히 그의 후반기 30년간의 작품들은 그로 하여금 폴란드의 탁월한 작곡가로서 인정받도록 하였.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비톨트 루토스와프스키 · 더보기 »

비아 델라 콘칠리아치오네

비아 델라 콘칠리아치오네()는 ‘화해의 길’이라는 뜻으로 로마 안에 있는 보르고 거리에 있는 도로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비아 델라 콘칠리아치오네 · 더보기 »

김 로사

사(金--, 1784년 ~ 1839년 7월 20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김 로사 · 더보기 »

김 루치아

아(金---, 1818년 ~ 1839년 7월 20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김 루치아 · 더보기 »

김 루치아 (곱추)

아(金---, 1769년 ~ 1839년 9월)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인 기해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김 루치아 (곱추) · 더보기 »

김 바르바라

바르바라(金----, 1805년 ~ 1839년 5월 27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김 바르바라 · 더보기 »

김 율리에타

율리에타(金----, 1784년 ~ 1839년 9월 26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김 율리에타 · 더보기 »

김 테레사

사(金---, 1797년 ~ 1840년 1월 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김 테레사 · 더보기 »

김대건

(金大建, 1821년 8월 21일 ~ 1846년 9월 16일, 세례명: 안드레아)은 한국인으로서 최초의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이자, 순교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김대건 · 더보기 »

김대중

중(金大中, 1924년 1월 6일 ~ 2009년 8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제15대 대통령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김대중 · 더보기 »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중 내란음모사건(金大中內亂陰謀事件)은 1980년 신군부세력이 김대중을 비롯한 민주화 운동가 20여 명이 북한의 사주를 받아 내란음모를 계획하고, 광주 민주화 운동을 일으켰다는 혐의를 조작해, 군사재판에 회부한 사건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 더보기 »

김효임

효임(金孝任, 1814년 ~ 1839년 9월 26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김효임 · 더보기 »

김효주 (종교인)

효주(金孝珠, 1816년 ~ 1839년 9월 3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김효주 (종교인) · 더보기 »

김운회

운회(金雲會, 1944년 10월 18일 ~)는 대한민국의 가톨릭 성직자.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김운회 · 더보기 »

김장금

장금(金長金, 1789년 ~ 1839년 7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김장금 · 더보기 »

김임이

임이(金任伊, 1811년 ~ 1846년 9월 20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김임이 · 더보기 »

김제준

제준(金濟俊, 1796년 ~ 1839년 9월 26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김제준 · 더보기 »

김수환

수환(金壽煥, 1922년 7월 2일 ~ 2009년 2월 16일)은 대한민국의 천주교 성직자이자 사회운동가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김수환 · 더보기 »

김업이

업이(金業伊, 1774년 ~ 1839년 5월 24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김업이 · 더보기 »

김성우

성우(金星禹, 1795년 ~ 1841년 4월 2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김성우 · 더보기 »

김성임

성임(金成任, 1787년 ~ 1839년 7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김성임 · 더보기 »

김아기

아기(金阿只, 1787년 ~ 1839년 5월 24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김아기 · 더보기 »

대전광역시

전광역시(大田廣域市)는 대한민국의 중앙부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대전광역시 · 더보기 »

대한민국 대통령과 교황의 면담 목록

이 문서는 대한민국 대통령과 교황의 면담 일정 목록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대한민국 대통령과 교황의 면담 목록 · 더보기 »

대한민국-성좌 관계

민국-성좌 관계는 대한민국과 성좌(바티칸 시국) 간의 관계를 말. 성좌는 국제 연합(UN)의 승인 이전에 대한민국을 가장 먼저 인정하여, 1947년 8월 패트릭 번 주교를 주한 교황 사절로 파견함으로써 대한민국 정부가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승인받는데 결정적인 힘을 실어주었.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대한민국-성좌 관계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대외 관계

이 문서에서는 대한민국의 대외 관계에 대한 내용을 서술.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대한민국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냉전

냉전(冷戰)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부터 1991년까지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을 비롯한 양측 동맹국 사이에서 갈등, 긴장, 경쟁 상태가 이어진 대립 시기를 말. '냉전'이라는 표현은 버나드 바루크가 1947년에 트루먼 독트린에 관한 논쟁 중 이 말을 써서 유명해졌는데, 이것은 무기를 들고 싸운다는 의미의 전쟁인 열전(熱戰)과 다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냉전 · 더보기 »

누르시아의 베네딕토

르시아의 베네딕토(480년 - 543년 3월 21일)는 ‘좋게 말한’ 또는 ‘축복된’이란 뜻으로 그리스도교의 성인 가운데 한 사람이며, 로마 가톨릭교회와 성공회에서는 유럽과 학생들의 수호 성인으로 공경받고 있. 과거 한국에서는 한자로 음차하여 분도(芬道)라고 부르기도 하였.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누르시아의 베네딕토 · 더보기 »

교회 일치주의

회 일치주의는 개신교회와 정교회의 협력으로 시작된 교회 일치 운동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교회 일치주의 · 더보기 »

교회의 어머니

회의 어머니()는 교황 바오로 6세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기간 중에 성모 마리아에게 공식적으로 헌정한 호칭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교회의 어머니 · 더보기 »

교육성

육성(敎育省)은 신학교(인류복음화성과 동방교회성에서 감독하는 곳은 제외)와 수도회와 재속회로 구성된 기독교 단체들, 교회 또는 평신도 속인에 의존하는 대학교, 학부, 협회 그리고 고등학교의 학습 그리고 교회 당국에 종속된 학교와 교육기관 등에 대한 책임을 담당하는 로마 교황청의 심의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교육성 · 더보기 »

교황

황(敎皇)은 《교황청 연감》에 따르면 로마의 주교이자 가톨릭교회 전체의 영적 지도자이며 바티칸 시국의 국가원수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교황 · 더보기 »

교황 레오 13세

황 레오 13세(라틴어: Leo PP. XIII, 이탈리아어: Papa Leone XIII)는 제256대 교황(재위: 1878년 2월 20일 - 1903년 7월 20일)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교황 레오 13세 · 더보기 »

교황 목록

성 베드로 대성전에 안장된 교황들의 명단이 새겨진 대리석판. 라틴어로 표기된 교황들의 이름 옆에 있는 숫자는 해당 교황의 시신이 매장된 년도를 가리킨다. 이 문서는 《교황청 연감》의 ‘로마 교황들’(I Sommi Pontefici Romani)에 실린 교황 연대표를 토대로 작성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 목록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교황 목록 · 더보기 »

교황 문장

황 문장은 기독교에서 교황을 상징하는 고유한 문장을 말. 최초로 문장을 사용한 것으로 확신하는 교황은 인노첸시오 4세(1243-1254)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교황 문장 · 더보기 »

교황 바오로 6세

황 바오로 6세(라틴어: Paulus PP. VI, 이탈리아어: Papa Paolo VI)는 제262대 교황(재위: 1963년 6월 21일 - 1978년 8월 6일)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교황 바오로 6세 · 더보기 »

교황 베네딕토 15세

황 베네딕토 15세(라틴어: Benedictus PP. XV, 이탈리아어: Papa Benedetto XV)는 제258대 교황(재위: 1914년 9월 3일 - 1922년 1월 22일)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교황 베네딕토 15세 · 더보기 »

교황 베네딕토 16세

황 베네딕토 16세(1927년 4월 16일 ~)는 제265대 교황(재위: 2005년 4월 24일 ~ 2013년 2월 27일)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교황 베네딕토 16세 · 더보기 »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영국 방문

영국에 온 교황 베네딕토 16세. 2010년의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영국 방문은 2010년 9월 16일부터 9월 19일까지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인 베네딕토 16세가 국빈 자격으로는 처음으로 영국을 공식 방문한 사건이다(1982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방영은 개인적인 방문이었다).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영국 방문 · 더보기 »

교황 비오 11세

황 비오 11세(라틴어: Pius PP. XI, 이탈리아어: Papa Pio XI)는 제259대 교황(재위: 1922년 2월 6일 ~ 1939년 2월 10일)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교황 비오 11세 · 더보기 »

교황 비오 12세

황 비오 12세(라틴어: Pius PP. XII, 이탈리아어: Papa Pio XII)는 제260대 교황(재위: 1939년 3월 2일 ~ 1958년 10월 9일)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교황 비오 12세 · 더보기 »

교황 비오 9세

황 비오 9세()는 제255대 교황(재위: 1846년 6월 16일 ~ 1878년 2월 7일)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교황 비오 9세 · 더보기 »

교황 요한 23세

황 요한 23세()는 제261대 교황(재위: 1958년 10월 28일 - 1963년 6월 3일)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교황 요한 23세 · 더보기 »

교황 요한 바오로 1세

황 요한 바오로 1세(1912년 10월 17일~ 1978년 9월 28일)는 제263대 교황(재위: 1978년 9월 3일 - 1978년 9월 28일)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교황 요한 바오로 1세 · 더보기 »

교황 즉위식

황 즉위식은 교황직의 인증을 위한 가톨릭교회의 로마 전례로 집전되지만 비잔티움 전례 요소도 포함된 미사로 진행.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교황 즉위식 · 더보기 »

교황 프란치스코

황 프란치스코(1936년 12월 17일 ~)는 제266대 교황(재위: 2013년 3월 19일 ~)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교황 프란치스코 · 더보기 »

교황 알렉산데르 6세

황 알렉산데르 6세(라틴어: Alexander PP. VI, 이탈리아어: Papa Alessandro VI)는 제214대 교황(재위: 1492년 8월 11일 - 1503년 8월 18일)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교황 알렉산데르 6세 · 더보기 »

교황 십자가

황 십자가 교황 십자가는 기독교의 상징물 중 하나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교황 십자가 · 더보기 »

교황관

황관을 쓴 교황 비오 10세의 사진 교황관(敎皇冠)은 기독교의 상징물 중 하나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교황관 · 더보기 »

교황의 레갈리아와 휘장

황의 레갈리아와 휘장은 기독교의 상징물 중 하나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교황의 레갈리아와 휘장 · 더보기 »

교황청 성서위원회

황청 성서위원회는 자문위원들의 도움을 받는 추기경 위원회로서, 로마에서 모임을 가져 성경 내용의 타당한 해석과 그릇된 주장에 대한 옹호를 확실하게 하고 있. 위원회의 역할은 회칙 《섭리의 하느님》을 통해 개설되었.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교황청 성서위원회 · 더보기 »

남명혁

명혁(南明赫, 1802년 ~ 1839년 5월 24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남명혁 · 더보기 »

남경문 (1796년)

경문(南景文, 1796년 ~ 1846년 9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남경문 (1796년) · 더보기 »

남이관

이관(南履灌, 1780년 ~ 1839년 9월 26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남이관 · 더보기 »

남종삼

종삼(南鍾三, 1817년 ~ 1866년 3월 7일)은 조선의 문신이며,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남종삼 · 더보기 »

나가시마 시게오

시마 시게오(1993년에 두 번째 감독으로 취임하기 이전까지 신문을 비롯한 언론에서 ‘長島 茂雄’(동음)라고 표기했는데 ‘嶋’(시마)는 상용한자가 아니라서 ‘長島’(나가시마)라는 성으로 표기했다(더욱이 《거인의 별》이나 《도카벤》 등과 같은 창작물들이 대다수는 ‘長島’라고 표기했다). 따라서 ‘島’(시마)라고 표기하는 건 본래는 오기이다. 그러나 1993년 이전에 나온 서적 등에서는 상기가 잘못돼서 정착됐던 탓인지, 또는 같은 어구에 대해 다른 표기의 범위로서 이렇게 표기되는 경우가 많다. 친족이라도 공식적인 장소에서는 차녀인 미나·차남인 마사오키가 ‘長島’라는 표기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구장 전광판에서는 현역 시절부터 ‘長嶋’를 사용한 예가 있어서 은퇴 경기를 치른 고라쿠엔 구장에서도 이 표기를 사용했다. 1936년 2월 20일 ~)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야구 지도자, 야구 해설가·평론가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나가시마 시게오 · 더보기 »

디오니지 테타만치

오니지 테타만치(1934년 3월 14일 ~ 2017년 8월 5일)는 이탈리아 가톨릭교회의 추기경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디오니지 테타만치 · 더보기 »

넬슨 만델라

슨 롤리랄라 만델라(Nelson Rolihlahla Mandela, 1918년 7월 18일 ~ 2013년 12월 5일)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평등 선거 실시 후 뽑힌 세계 최초의 흑인 대통령이었.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넬슨 만델라 · 더보기 »

노트르담 대성당

르담 대성당: 서쪽 입면 노트르담 대성당: 후진의 외부 모습 노트르담 대성당: 벽날개 프랑스 파리 시테 섬에 있는 노트르담 대성당의 야경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은 프랑스 파리의 시테 섬의 동쪽 반쪽에 있는 프랑스후기고딕 양식의 성당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노트르담 대성당 · 더보기 »

노태우

우(盧泰愚, 1932년 12월 4일 ~)는 대한민국의 제13대 대통령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노태우 · 더보기 »

논현동성당

현동성당(NonHyun Catholic Church)은 1976년 5월 25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설립된 로마 가톨릭교회의 성당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논현동성당 · 더보기 »

뉴트 깅리치

깅리치(2011년) 하원 의원 시절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왼쪽)과 환담을 나누고 있는 깅리치(1985년 5월 20일) 뉴턴 르로이 "뉴트" 깅리치(1943년 6월 17일 ~)는 미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뉴트 깅리치 · 더보기 »

다미앵 신부

미앙 또는 다미앵 신부(Pater Damiaan, 1840년 ∼ 1889년)는 벨기에의 로마 가톨릭 신부로 본명은 요제프 데 뵈스터(Jozef De Veuster)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다미앵 신부 · 더보기 »

다하우 강제 수용소

방 직후 정문 1997년에 세워진 수용소 기념물 다하우 강제 수용소()는 나치 독일의 강제 수용소로서 독일에 최초로 개설된 곳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다하우 강제 수용소 · 더보기 »

니콜라스 스테노

스 스테노(1638년 1월 11일 - 1686년 11월 25일)는 17세기 덴마크의 해부학자 겸 지질학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니콜라스 스테노 · 더보기 »

니혼쨩의 등장인물

혼쨩의 등장인물은 2채널 뉴스 속보판에서 탄생하여 한글판에서 성장한 픽션인 《니혼쨩》에 등장하는 가공의 인물들을 소개한 것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니혼쨩의 등장인물 · 더보기 »

FC 샬케 04

FC 겔젠키르헨-샬케 04 e. V. 혹은 흔히 약칭으로 FC 샬케 04 (FC Schalke 04) 나 샬케 (Schalke) 는 독일의 축구단으로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겔젠키르헨의 샬케 지구에서 비롯된 클럽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FC 샬케 04 · 더보기 »

스페인의 동성결혼

스페인의 동성결혼은 2005년 7월 3일부터 법적으로 인정받고 있. 2004년 총선에서 승리한 스페인 사회노동자당 정부와 총리 호세 루이스 로드리게스 사파테로는 동성결혼을 허용하기 위한 캠페인을 벌였.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스페인의 동성결혼 · 더보기 »

스타드 드 라 메노

스타드 드 라 메노()는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 있는 축구 경기장으로, 흔히 라 메노(La Meinau)라는 이름으로 부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스타드 드 라 메노 · 더보기 »

스타니스와프 리우코

스타니스와프 리우코(1945년 7월 4일 ~)는 폴란드의 성직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스타니스와프 리우코 · 더보기 »

스테판 비신스키

바르샤바에 있는 그의 동상 스테판 비신스키(1901년 8월 3일 - 1981년 5월 28일)는 폴란드 가톨릭교회의 고위 성직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스테판 비신스키 · 더보기 »

스테파노 곱비

스테파노 곱비(1930년 3월 22일 - 2011년 6월 29일)는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스테파노 곱비 · 더보기 »

우크라이나의 로마 가톨릭교회

이 문서는 우크라이나의 로마 가톨릭교회 문서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우크라이나의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우술임

우술임(禹述任, 1803년 ~ 1846년 9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우술임 · 더보기 »

우세영

우세영(禹世英, 1845년 ~ 1866년 3월 11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우세영 · 더보기 »

트랜스포비아

스포비아(Transphobia)는 성전환과 트랜스젠더들에 대하여 적대적인 태도와 감정을 갖는 것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트랜스포비아 · 더보기 »

요한

요한은 유대교에서 기원한 이름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요한 · 더보기 »

요한 바오로 2세 공항

요한 바오로 2세 공항() 또는 폰타델가다 공항(Aeroporto de Ponta Delgada)은 포르투갈 아소르스 자치 지방 상미겔 섬 폰타델가다에 위치한 공항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요한 바오로 2세 공항 · 더보기 »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349년경 – 407년)또는 요한 크리소스톰(John Chrysostom)은 초기 기독교의 교부이자 제37대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였.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 · 더보기 »

요안나 프란치스카 드 샹탈

성녀 요안나 프란치스카 드 샹탈(1572년 1월 28일 - 1641년 12월 13일)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성인이며, 남편을 여읜 후에 가톨릭 여자 수도회를 설립하였.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요안나 프란치스카 드 샹탈 · 더보기 »

요아힘 마이스너

경 문장 요아힘 마이스너 (1933년 12월 25일 - 2017년 7월 5일)는 독일 가톨릭교회의 추기경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요아힘 마이스너 · 더보기 »

자매 교회

자매 교회(姊妹敎會)는 20세기 기독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로서 로마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 간의 관계를 설명할 때 사용.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자매 교회 · 더보기 »

자크 샤스탕

자크 오노레 샤스탕(Jacques Honor Chastan, 한국명: 정아각백(鄭牙各伯), 1803년 7월 10일 ~ 1839년 9월 21일)은 프랑스인 사제로서,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자크 샤스탕 · 더보기 »

장루이 토랑

장루이 피에르 토랑(1943년 4월 3일 -)은 프랑스 가톨릭교회의 추기경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장루이 토랑 · 더보기 »

장마리 뤼스티제

장마리 뤼스티제(1926년 9월 17일 - 2007년 8월 5일)는 프랑스 가톨릭교회의 추기경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장마리 뤼스티제 · 더보기 »

장인남

장인남(張仁南, 1949년 10월 30일 ~)은 대한민국 출신의 교황청 외교관이자 대주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장인남 · 더보기 »

장익 (1933년)

장익(張益, 1933년 11월 20일 ~)은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성직자이자 시민사회단체인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장익 (1933년) · 더보기 »

장주기

장주기(張周基, 1803년 ~ 1866년 3월 3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장주기 · 더보기 »

장성집

장성집(張--, 1786년 ~ 1839년 5월 26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장성집 · 더보기 »

임치백

임치백(林致百, 1803년 ~ 1846년 9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임치백 · 더보기 »

크리스토프 쇤보른

리스토프 마리아 미하엘 휴고 다미안 페터 알베르트 그라프 폰 쇤보른(1945년 1월 22일 -)은 오스트리아 가톨릭교회의 추기경이자 신학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크리스토프 쇤보른 · 더보기 »

클레멘스 홀

멘스 홀은 바티칸 시국의 성 베드로 대성전과 가까이 있는 사도 궁전에 있는 홀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클레멘스 홀 · 더보기 »

퍼슈커이 라슬로

슈커이 라슬로(1927년 5월 8일 - 2015년 8월 17일)는 헝가리의 로마 가톨릭교회 추기경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퍼슈커이 라슬로 · 더보기 »

폴란드

공화국(), 약칭 폴란드(Poland)는 중앙유럽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폴란드 · 더보기 »

폴란드의 로마 가톨릭교회

966년에 폴란드가 기독교를 공인한 이래, 가톨릭교회는 폴란드에서 종교적·문화적·정치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맡아왔.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폴란드의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폴란드의 킨가

성녀 킨가(1224년 3월 5일 - 1292년 7월 23일) 또는 성녀 쿠네군다는 폴란드 가톨릭교회의 성인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폴란드의 킨가 · 더보기 »

이 바르바라

이 바르바라(李----, 1825년 ~ 1839년 5월 27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이 바르바라 · 더보기 »

이 가타리나

이 가타리나(李~, 1783년 - 1839년 10월)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이 가타리나 · 더보기 »

이 아가타

이 아가타(李---, 1824년 ~ 1840년 1월 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이 아가타 · 더보기 »

이매임

이매임(李梅任, 1788년 ~ 1839년 7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이매임 · 더보기 »

이명서

이명서(李--, 1821년 ~ 1866년 12월 1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이명서 · 더보기 »

이문우

이문우(李文祐, 1810년 ~ 1840년 2월 1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이문우 · 더보기 »

이간난

이간난(李干蘭, 1814년 ~ 1846년 9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이간난 · 더보기 »

이경이

이경이(李瓊伊, 1814년 ~ 1840년 1월 31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이경이 · 더보기 »

이광렬

이광렬(李光烈, 1795년 ~ 1839년 7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이광렬 · 더보기 »

이광헌

이광헌(李光獻, 1787년 ~ 1839년 5월 24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이광헌 · 더보기 »

이용훈 (1951년)

이용훈(李容勳, 1951년 9월 13일 ~)은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성직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이용훈 (1951년) · 더보기 »

이인덕

이인덕(李仁德, 1818년 ~ 1840년 1월 31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이인덕 · 더보기 »

이정희 (종교인)

이정희(李貞喜, 1799년 ~ 1839년 9월 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이정희 (종교인) · 더보기 »

이츠하크 라빈

이츠하크 라빈(1922년 3월 1일 ~ 1995년 11월 4일, 히브리어:יצחק רבין) 은 이스라엘의 군인·정치가이자, 2차례의 총리(1974~77, 1992~95)를.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이츠하크 라빈 · 더보기 »

이윤일

이윤일(李--, 1823년 ~ 1867년 1월 21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이윤일 · 더보기 »

이영덕 (종교인)

이영덕(李榮德, 1811년 ~ 1839년 12월 29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이영덕 (종교인) · 더보기 »

이영희 막달레나

이영희(李英喜, 1809년 ~ 1839년 7월 20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이영희 막달레나 · 더보기 »

이호영 베드로

이호영(李--, 1803년 ~ 1838년 11월 2일)은 조선 말기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회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이호영 베드로 · 더보기 »

이연희 (종교인)

이연희(李連熙, 1804년 ~ 1839년 9월 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이연희 (종교인) · 더보기 »

이소사

이소사(李召史, 1784년 ~ 1839년 5월 24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이소사 · 더보기 »

이해찬

이해찬(李海瓚, 1952년 7월 10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이해찬 · 더보기 »

이한택

이한택(李漢澤, 1934년 12월 5일 ~)은 대한민국의 주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이한택 · 더보기 »

인류복음화성

인류복음화성 청사 인류복음화성(人類福音化省)은 기독교 선교 활동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는 로마 교황청의 심의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인류복음화성 · 더보기 »

일본항공

일본항공 주식회사()은 일본의 국책 항공사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일본항공 · 더보기 »

제1차 십자군

제1차 십자군은 1095년 예루살렘으로 출병한 기독교 사상 최초의 십자군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제1차 십자군 · 더보기 »

제4차 십자군

제4차 십자군(1202년~1204년)은 교황 인노첸시오 3세의 촉구로 원래 이슬람 세력을 물리치기 위해 기획되고 예루살렘이 아닌 이슬람교의 본거지인 이집트 공략을 목표로 한 기독교의 십자군이었.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제4차 십자군 · 더보기 »

제로 아워 (텔레비전 프로그램)

제로 아워(Zero Hour)는 비극적이었던 사건들을 한 시간으로 재현 다큐멘터리 드라마로 제작한 것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제로 아워 (텔레비전 프로그램) · 더보기 »

전경협

전경협(全敬俠, 1790년 ~ 1839년 9월 26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전경협 · 더보기 »

전두환

전두환 (全斗煥, 1931년 1월 18일 ~)은 대한민국 제11•12대 대통령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전두환 · 더보기 »

전장운

전장운(全長雲, 1811년 ~ 1866년 3월 9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전장운 · 더보기 »

정문호

정문호(鄭--, 1801년 ~ 1866년 12월 1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정문호 · 더보기 »

정국보

정국보(丁--, 1799년 ~ 1839년 5월 20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정국보 · 더보기 »

정의배

정의배(丁義培, 1795년 ~ 1866년 3월 11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정의배 · 더보기 »

정정혜

정정혜(丁情惠, 1797년 ~ 1839년 12월 2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정정혜 · 더보기 »

정철염

정철염(鄭鐵艶, 1817년 ~ 1846년 9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정철염 · 더보기 »

정하상

성 정하상 바오로(丁夏祥, 1795년 ~ 1839년 9월 22일)은 조선의 천주교 순교자, 평신도 신학자, 교회 지도자로 1801년 신유박해로 순교한 정약종의 아들이자 정약용의 조카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정하상 · 더보기 »

정원지 (종교인)

정원지(鄭--, 1846년 ~ 1866년 12월 1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정원지 (종교인) · 더보기 »

정화경

정화경(鄭--, 1807년 ~ 1840년 1월 23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정화경 · 더보기 »

조 막달레나

조 막달레나(趙~, 1806년 - 1839년 10월)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조 막달레나 · 더보기 »

조반니 살다리니

조반니 살다리니(1924년 12월 11일 - 2011년 4월 18일)는 이탈리아의 추기경이자 로마 가톨릭교회의 토리노 대교구장(1989-1999)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조반니 살다리니 · 더보기 »

조기 (기례)

조기(弔旗)란 기를 통하여 국가나 단체, 개인등에 대한 조의,기념등을 나타내는 기례(旗禮)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조기 (기례) · 더보기 »

조증이

조증이(趙曾伊, 1781년 ~ 1839년 12월 2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조증이 · 더보기 »

조지 펠

조지 펠(1941년 6월 8일 -)는 오스트레일리아의 로마 가톨릭교회 추기경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조지 펠 · 더보기 »

조지아 정교회

발 4000m, 캅카스 산의 뒷편에서는 2200m 고지대에 있는 츠민다 사메바 교회 조지아 정교회()는 조지아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기독교 종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조지아 정교회 · 더보기 »

조윤호 (종교인)

조윤호(趙--, 1848년 ~ 1866년 12월 2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조윤호 (종교인) · 더보기 »

조신철

조신철(趙信喆, 1795년 ~ 1839년 9월 26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조신철 · 더보기 »

조화서

조화서(趙--, 1815년 ~ 1866년 12월 31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조화서 · 더보기 »

존 패트릭 폴리

존 패트릭 폴리(1935년 11월 11일 - 2011년 12월 11일)는 미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추기경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존 패트릭 폴리 · 더보기 »

존 티토

존 티토()는 자신이 2036년 미래에서 온 1998년생 남성이라고 주장한 누리꾼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존 티토 · 더보기 »

주교 지팡이

서방 교회식 주교 지팡이를 짚고 있는 가톨릭교회의 대주교. 주교 지팡이()는 기독교의 고위 성직자인 주교가 휴대하는 지팡이로, 소유주의 직무를 상징한 것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주교 지팡이 · 더보기 »

주교관

주교관(主敎冠)은 그리스어로 ‘μίτρα(‘머리띠’ 또는 ‘두건’)’라는 뜻으로, 기독교에서 주교품 이상의 고위 성직자들이 전례용으로 머리에 쓰는 전통적인 모자를 말.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주교관 · 더보기 »

주교회의

주교회의(主敎會議)는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특정한 지역 내에 있는 주교들의 공식적인 회합을 의미.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주교회의 · 더보기 »

주님의 기도

주님의 기도는 기독교의 기도문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주님의 기도 · 더보기 »

주세페 시리

주세페 시리(1906년 5월 20일 - 1989년 5월 2일)는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교회의 추기경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주세페 시리 · 더보기 »

중국-바티칸 관계

바티칸 시국의 국기 중화민국의 국기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기 이 문서는 중국과 바티칸 시국의 관계에 대해 설명.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중국-바티칸 관계 · 더보기 »

중화 타이베이

중화 올림픽 위원회 엠블럼 중화민국의 국기 타이완, 중국 타이베이, 또는 차이니스 타이베이(약칭 TPE)는 국공 내전에 패하여 망명된 이후의 중화민국이 국제 기구에 가입할 때 주로 사용하는 대체명칭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중화 타이베이 · 더보기 »

진제선사

제(眞際) 선사(음력 1934년 1월 12일/양력 2월 25일 ~)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선승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진제선사 · 더보기 »

천주교 대구대교구

주교 대구대교구(天主敎大邱大敎區,)는 대한민국의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남부 지역을 관할하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구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천주교 대구대교구 · 더보기 »

천주교 군종교구

민국 로마 가톨릭교회의 군종교구(軍宗敎區, Military Ordinariate of Korea)는 대한민국의 군에 복무하는 가톨릭신자 장병의 관리를 위하여 설정된 특수 교구의 하나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천주교 군종교구 · 더보기 »

추기경

경의 문장. 상단의 갈레로와 가운데의 방패, 그 사이에 있는 십자가, 그리고 양 옆의 술과 맨 밑의 사목표어로 구성되어 있다. 갈레로는 주교가 교구를 방문할 때 전통적으로 쓰고 다녔던 모자로, 주교의 사목 책임을 표현한다. 붉은 갈레로와 그 아래 술 5단은 추기경임을 암시한다. 방패 아래쪽의 띠에는 사목표어가 라틴어로 새겨진다. 추기경(樞機卿)은 교황 다음의 권위와 명예를 누리는 가톨릭의 고위 성직자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추기경 · 더보기 »

추기경단 단장

경단 단장()은 기독교에서, 로마 가톨릭교회 추기경단의 의장을 말하며 주교급 추기경들 가운데 수석 추기경이 맡는 것이 일반적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추기경단 단장 · 더보기 »

카롤루스 대제상

스 대제상 시상식이 열리는 아헨 시청 2000년 카롤루스 대제상을 수상한 빌 클린턴 카롤루스 대제상 또는 샤를마뉴상, 카를상()은 유럽의 통합에 기여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상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카롤루스 대제상 · 더보기 »

카를 1세 (오스트리아)

를 1세(1887년 8월 17일 ~ 1922년 4월 1일)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마지막 황제, 오스트리아의 마지막 황제, 헝가리의 마지막 왕, 보헤미아의 마지막 왕, 크로아티아와 슬라보니아, 달마티아의 마지막 왕이자 트란실바니아 마지막 대공이었.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카를 1세 (오스트리아) · 더보기 »

카사 로사다

아르헨티나 대통령궁 카사 로사다 카사 로사다()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있는 건물로 한국어로 풀이하면 "분홍빛의 저택"이라는 뜻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카사 로사다 · 더보기 »

칼요제프 라우버

요제프 라우버 추기경 섬네일 칼요제프 라우버(1934년 4월 11일 -)는 독일의 로마 가톨릭교회 추기경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칼요제프 라우버 · 더보기 »

치타 폰 부르봉파르마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폰 부르봉파르마(1892년 5월 9일 ~ 1989년 3월 14일)는 카를 1세의 배우자로서,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마지막 황후였.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치타 폰 부르봉파르마 · 더보기 »

켄터키 커널

(Kentucky Colonel)은 미국 켄터키 주에서 수여하는 최고의 명예직위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켄터키 커널 · 더보기 »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바르톨로메오스 1세

바르톨로메오스 1세(1940년 2월 29일 -)는 제270대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1991년 11월 2일 -)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바르톨로메오스 1세 · 더보기 »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디미트리오스 1세

미트리오스 1세(1914년 9월 8일 - 1991년 10월 2일)는 제268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1972년 7월 16일 - 1991년 10월 2일)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디미트리오스 1세 · 더보기 »

콘클라베

베가 행해지는 장소인 시스티나 성당. 콘클라베()는 ‘열쇠가 있어야 들어갈 수 있는 방’, ‘걸쇠로 문을 잠근 방’을 의미하는 단어로,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황을 선출하는 선거 시스템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콘클라베 · 더보기 »

코맥 머피오코너

맥 머피오코너(1932년 8월 24일 ~ 2017년 9월 1일)는 영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추기경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코맥 머피오코너 · 더보기 »

쿠바

바 공화국(쿠바共和國, República de Cuba 레뿌블리까 데 꾸바), 줄여서 쿠바(Cuba 꾸바)는 카리브 해의 카리브 제도에 있는 가장 큰 섬과 인근 섬들로 이루어진 아메리카 유일의 사회주의 국가이며, 수도는 아바나, 공용어는 에스파냐어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쿠바 · 더보기 »

유대철

유대철(劉大喆, 1826년 - 1839년 10월 31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으로, 그들 중 가장 나이 어린 성인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유대철 · 더보기 »

유흥식

유흥식(兪興植, 1951년 11월 17일 -)은 대한민국의 가톨릭 성직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유흥식 · 더보기 »

유제프 글렘프

유제프 글렘프(1929년 12월 18일 - 2013년 1월 23일)는 폴란드 가톨릭교회의 추기경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유제프 글렘프 · 더보기 »

유정률

유정률(劉正律, 1837년 ~ 1866년 2월 1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유정률 · 더보기 »

유진길

유진길(劉進吉, 1791년 ~ 1839년 9월 22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유진길 · 더보기 »

유소사

유소사(柳召史, 1761년 ~ 1839년 11월 2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유소사 · 더보기 »

파울 아우구스틴 마이어

섬네일 파울 아우구스틴 마이어(1911년 3월 23일 - 2010년 4월 30일)는 독일 가톨릭교회의 추기경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파울 아우구스틴 마이어 · 더보기 »

파파모빌레

크로아티아를 방문한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교황 전용차. 파파모빌레() 또는 교황 전용차(敎皇專用車)는 교황이 공적인 외출을 할 때 사용하도록 특별히 제작된 의전차량을 가리키는 비공식적인 이름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파파모빌레 · 더보기 »

파티마 (포르투갈)

마()는 1917년 종교적 환시가 발생한 장소로 유명한 포르투갈의 도시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파티마 (포르투갈) · 더보기 »

파티마의 성모

1917년 당시 루치아 도스 산토스(가운데)와 그녀의 사촌들인 프란치스코 마르토(오른쪽)와 히야친타 마르토(왼쪽) 파티마의 성모()는 포르투갈의 산타렝 현 빌라노바데오렘에 있는 마을 파티마에서 세 명의 어린 목동에게 나타났다는 성모 마리아를 부르는 칭호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파티마의 성모 · 더보기 »

타르치시오 베르토네

르치시오 베르토네의 문장 타르치시오 베르토네(1934년 12월 2일 -)는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교회 추기경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타르치시오 베르토네 · 더보기 »

타임 올해의 인물

1950년 타임 올해의 인물, '미군'. 이와같이 불특정다수가 선정되는 경우도 있다. 올해의 인물(Person of the Year)은 미국의 잡지 《타임》이 선정하여 발표하는 그 해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친 인물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타임 올해의 인물 · 더보기 »

수도회성

수도회성(修道會部)은 회원의 입회와 육성, 승인과 해체, 관리 감독, 학습, 재산 관리, 서원에 대한 관면과 회원의 퇴회 등 봉헌생활회(남녀수도회 및 재속회)와 사도생활단과 관련된 모든 것을 총괄하는 로마 교황청의 심의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수도회성 · 더보기 »

오를란디 실종사건

오를란디 실종사건()은 1983년 이탈리아 로마에서 음악 레슨을 받기 위해 집을 나섰다 사라진 소녀 엠마누렐라 오를란디(당시 15세)의 실종 사건을 말. 이 사건이 터지며 교황청과 마피아간의 검은 거래와 바티칸의 치부가 드러나 세계적인 논란이 되었.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오를란디 실종사건 · 더보기 »

오카다 다케오

오카다 다케오(岡田武夫, 1941년 10월 24일 -)는 일본의 로마 가톨릭교회 성직자로 2000년부터 2017년까지 도쿄 대교구장을.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오카다 다케오 · 더보기 »

오푸스 데이

성 십자가와 오푸스 데이()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속인교구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오푸스 데이 · 더보기 »

호세 마리아 디아즈 산후르호

호세 마리아 디아즈 산후르호(1818년 10월 25일 - 1858년 7월 20일)는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의 스페인 선교사로 플라테아 주교의 교구 신부로 중앙 베트남 교구의 신부였.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호세 마리아 디아즈 산후르호 · 더보기 »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

Coat of arms of Josemaría Escrivá 성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1902년 1월 9일 - 1975년 6월 26일) 또는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 데 발라게르()는 스페인 가톨릭교회의 사제이자 성직자치단체 오푸스 데이의 창설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 · 더보기 »

예지 두데크

예지 두데크 (1973년 3월 23일, 리브니크 ~) 는 폴란드의 전 축구 선수로, 현역 시절 골키퍼로 활약.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예지 두데크 · 더보기 »

현경련

현경련(玄敬連, 1794년 ~ 1839년 12월 29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현경련 · 더보기 »

현석문

현석문(玄錫文, 1797년 ~ 1846년 9월 19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현석문 · 더보기 »

최경환 (종교인)

경환(崔京煥, 1805년 ~ 1839년 9월 12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최경환 (종교인) · 더보기 »

최기산

산(崔基山, 1948년 5월 16일 ~ 2016년 5월 30일)은 대한민국의 가톨릭 성직자.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최기산 · 더보기 »

최창무

창무(崔昌武, 1936년 9월 15일 -)는 천주교 광주대교구 제8대 교구장을 지낸 은퇴 대주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최창무 · 더보기 »

최창흡

창흡(崔昌洽, 1786년 ~ 1839년 12월 29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최창흡 · 더보기 »

최영이 (종교인)

영이(崔榮伊, 1818년 ~ 1840년 2월 1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최영이 (종교인) · 더보기 »

최형

형(崔炯, 1814년 ~ 1866년 3월 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최형 · 더보기 »

에디트 슈타인

에디트 슈타인() 또는 십자가의 성녀 데레사 베네딕타, 성녀 에디타 슈타인(1891년 10월 12일 - 1942년 8월 9일)은 독일의 로마 가톨릭교회 수녀이자 철학자, 순교자, 성녀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에디트 슈타인 · 더보기 »

에스토니아의 로마 가톨릭교회

역사적으로 에스토니아에 기독교 신앙이 전해진 것은 13세기 초, 독일의 튜튼 기사단을 통해서였.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에스토니아의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에우데르 카마라

동 에우데르 페소아 카마라(1909년 2월 7일-1999년 8월 27일)또는 돔 헬더 까마라는 브라질의 로마 가톨릭 교회 대주교이자 해방신학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에우데르 카마라 · 더보기 »

헤르젝 노비의 레오폴도

헤르젝 노비의 성 레오폴도(1866년 5월 12일 - 1942년 7월 30일)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카푸친 작은형제회 수사사제이자 성인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헤르젝 노비의 레오폴도 · 더보기 »

여우목고개

여우목고개는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과 동로면 사이에 위. 높이는 해발 620m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여우목고개 · 더보기 »

여의도공원

여의도 공원(汝矣島公園)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있는 공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여의도공원 · 더보기 »

역사 연표

역사 연표는 세계사를 적은 연표로 한국사도 포함되어 있.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역사 연표 · 더보기 »

연대자유노조

연대자유노조(連帶自由勞組)는 폴란드의 노동 조합으로 1980년 9월에 레흐 바웬사가 그단스크에서 창설한 단체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연대자유노조 · 더보기 »

연옥 (기독교)

연옥(燃獄)은 기독교 신학에서, 특히 로마 가톨릭교회의 내세관 중의 하나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연옥 (기독교) · 더보기 »

허계임

임(許季任, 1773년 ~ 1839년 9월 26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허계임 · 더보기 »

허협

협(許-, 1796년 ~ 1840년 1월 31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허협 · 더보기 »

키릴로스 (9세기)

성 키릴로스와 성 메토디우스 형제 키릴로스또는 키릴루스(827년 ~ 869년 2월 14일)는 동로마 제국의 기독교 수사이자 신학자이며 선교사이자 언어학자였.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키릴로스 (9세기) · 더보기 »

키스 마이클 패트릭 오브라이언

스 마이클 패트릭 오브라이언(1938년 3월 17일 ~ 2018년 3월 19일)은 스코틀랜드 가톨릭교회의 추기경이자 전직 세인트앤드루스-에든버러 대교구장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키스 마이클 패트릭 오브라이언 · 더보기 »

키쿠치 이사오

이사오(菊地功, 1958년 11월 1일 -)는 일본 가톨릭교회의 고위 성직자로 2017년부로 도쿄 대교구의 대주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키쿠치 이사오 · 더보기 »

사도궁

사도 궁전 사도궁()은 성 베드로 대성당의 오른쪽에 있는 건물들의 집합체로 교황이 직접 거주, 집무하는 곳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사도궁 · 더보기 »

사도좌 공석

성좌의 문장 사도좌 공석(使徒座空席)은 라틴어로 ‘주교좌가 비어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황직이 공석 상태일 경우를 일컫는 교회법 용어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사도좌 공석 · 더보기 »

사로프의 세라핌

사로프의 성 세라핌(1759년 7월 30일 - 1833년 1월 14일)은 러시아에서 유명한 정교회 수사이자 신비가 가운데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사로프의 세라핌 · 더보기 »

사토와키 아사지로

사토와키 아사지로 추기경의 문장 사토와키 아사지로(1904년 2월 1일 - 1996년 8월 8일)는 일본의 로마 가톨릭교회 고위 성직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사토와키 아사지로 · 더보기 »

산 프란체스코 대성당

산 프란체스코 대성당()은 프란치스코회로 불리는 작은 형제회의 모교회로, 아시시의 프란치스코의 출생지인 이탈리아 중부 아시시에 있는 로마 가톨릭 바실리카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산 프란체스코 대성당 · 더보기 »

산궈시

산궈시 추기경의 문장 산궈시(單國璽, 1923년 12월 3일 ~2012년 8월 22일)는 중화민국 로마 가톨릭교회 추기경으로 푸인 대학 의장, 화롄 교구와 가오슝 교구의 교구장 주교를 역임하였.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산궈시 · 더보기 »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은 이탈리아 로마에 있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대성당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 · 더보기 »

삼김시대

민국의 시계열적 정당 지도 삼김시대는 대한민국의 근현대사에서 1970년대 부터 2000년대 까지 김대중, 김영삼, 김종필이 정치의 전면에 나섰던 보스정치 시대를 의미.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삼김시대 · 더보기 »

피에르 모방

에르 필리베르 모방(한국명: 나백다록(羅伯多祿), 1803년 9월 20일 ~ 1839년 9월 21일(음력 8월 14일)) 신부는 파리 외방 전교회의 회원이며, 한국교회사 최초의 서양인 천주교 선교사로 여. 그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로 인해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피에르 모방 · 더보기 »

피에르 오메트르

에르 오메트르(Pierre Aumaître, 1837년 4월 8일 ~ 1866년 3월 30일) 또는 오메트르 베드로는 프랑스의 선교사로서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피에르 오메트르 · 더보기 »

피에르 에이트

에르 에티엔 루이 에이트(1934년 6월 4일 - 2001년 6월 11일)는 프랑스 가톨릭교회의 추기경이자 저명한 교의신학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피에르 에이트 · 더보기 »

피에르앙리 도리

에르앙리 도리(Pierre-Henri Dorie, 1839년 9월 23일 ~ 1866년 3월 7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피에르앙리 도리 · 더보기 »

피에트렐치나의 비오

에트렐치나의 성 비오(1887년 5월 25일 - 1968년 9월 23일)는 이탈리아의 카푸친 작은형제회 사제이며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고 있. 그의 원래 이름은 프란체스코 포르지오네()이며, 비오라는 이름은 카푸친 작은형제회에 입회할 때 받은 이름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피에트렐치나의 비오 · 더보기 »

피터 턱슨

턱슨 추기경 피터 코드워 아피아 턱슨(1948년 10월 11일 ~)은 가나의 가톨릭 성직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피터 턱슨 · 더보기 »

프랜시스 조지

시스 유진 조지(Francis Eugene George, 1937년 1월 16일 - 2015년 4월 17일)는 미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추기경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프랜시스 조지 · 더보기 »

프랑수아 마르티

브리엘 오귀스트 프랑수아 마르티(1904년 5월 18일 - 1994년 1월 16일)는 프랑스 가톨릭교회의 추기경이자 파리 대교구장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프랑수아 마르티 · 더보기 »

프란치스코 페르난도 데 카필라

스코 페르난도 데 카필라(1607년 ~ 1648년)는 스페인의 도미니코회 선교사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프란치스코 페르난도 데 카필라 · 더보기 »

프레데리크 빌렘 데 클레르크

리크 빌럼 데 클레르크(1936년 3월 18일 ~)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정치인이다. 1989년부터 1994년까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대통령을 지냈으며, 아파르트헤이트 체제의 마지막 대통령인 동시에 넬슨 만델라와 대타협을 통해 아파르트헤이트 체제를 끝낸 인물이다. 그의 임기에 흑인의 보통평등비밀투표권이 보장되었고, 다른 법적 권리들도 백인과 동등해졌다. 1994년부터 1996년까지는 대리통령을 맡았다.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프레데리크 빌렘 데 클레르크 · 더보기 »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의 학살

신교 신도들을 학살하는 로마 가톨릭 신도들 (프랑수아 뒤부아 그림)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의 학살 판화(Gravure allemande) 성 바르톨로매오 축일 학살()은 기독교의 역사상 1572년 8월 24일(성 바르톨로메오의 축일) 부터 10월까지 있었던 로마 가톨릭교회 추종자에 의한 개신교 신도들을 학살한 사건을 가리.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의 학살 · 더보기 »

성 베드로 사제 형제회

성 베드로 사제 형제회(약칭 FSSP)는 교황과 일치해 있는 전통 가톨릭 성향의 로마 가톨릭교회 사도 생활단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성 베드로 사제 형제회 · 더보기 »

성 비오 10세회

성 비오 10세회()는 프랑스인 로마 가톨릭교회 대주교 마르셀 르페브르가 설립한 전통 가톨릭 단체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성 비오 10세회 · 더보기 »

성모 승천

성모 승천(聖母昇天)은 기독교에서 성모 마리아가 선종한 후, 하느님에 의해 육체와 영혼을 수반하고 하늘나라에 들어 올림을 받았다는 믿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성모 승천 · 더보기 »

성녀 마르타 호텔

성녀 마르타의 집(영어 Santa Martha House / 라틴어 Domus Sanctae Marthae)은 성 베드로 대성전 근처, 종전의 순례자 숙소 자리에 지어진 현대식 숙박시설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성녀 마르타 호텔 · 더보기 »

성인 (종교)

성인(聖人, saint)은 종교에서 성인됨(聖, holiness)의 상태를 선천적으로건 후천적으로건 가졌거나 보인 사람들로서 타 신도들에게 모범이 되는 사람을 말. (이 문서에서는 각 종교들을 가나다순으로 나열한다.) 한편, 종교 외적으로도, 윤리적으로 특히 훌륭한 삶을 산 사람을 높여 부를 때 성인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성인 (종교) · 더보기 »

세계 청년 대회

'''세계 청년 대회 2000''', 로마 세계 청년 대회(World Youth Day, 약칭 WYD)는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젊은이들 위주로 주최하는 행사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세계 청년 대회 · 더보기 »

세디아 게스타토리아

교황 비오 7세가 타고 다니던 세디아 게스타토리아. 세디아 게스타토리아는 1978년까지 교황이 타고 다니던 가마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세디아 게스타토리아 · 더보기 »

손자선

손자선(孫--, 1844년 ~ 1866년 5월 18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손자선 · 더보기 »

손선지

손선지(孫--, 1820년 ~ 1866년 12월 1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손선지 · 더보기 »

손소벽

손소벽(孫小碧, 1801년 ~ 1840년 1월 31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손소벽 · 더보기 »

토머스 모어

머스 모어 경(1478년 2월 7일~1535년 7월 6일) 또는 성 토마스 모어()는 잉글랜드 왕국의 법률가, 저술가, 사상가, 정치가이자 기독교의 성인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토머스 모어 · 더보기 »

소련의 붕괴

15. 우즈베키스탄 소련의 붕괴는 1991년 12월 26일 소련 최고 소비에트의 142-Н 선언으로 일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소련의 붕괴 · 더보기 »

쇼와 시대

쇼와 시대()는 20세기 일본의 연호의 하나로, 쇼와 천황의 통치에 해당하는 1926년 12월 25일부터 1989년 1월 7일까지를 가리.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쇼와 시대 · 더보기 »

앤더슨 쿠퍼

앤더슨 쿠퍼(Anderson Cooper, 1967년 6월 3일 ~)는 기자, 작가, 그리고 방송인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앤더슨 쿠퍼 · 더보기 »

앨프리드 슈에레브

앨프리드 슈에레브(Alfred Xuereb, 1958년 10월 14일)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몬시뇰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앨프리드 슈에레브 · 더보기 »

해방 신학

방 신학(解放神學)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콜롬비아 메데인에서 가톨릭 주교회의 즉, 메데인 회의(1968년) 후 라틴 아메리카에서 시작된 진보적인 기독교의 신학 운동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해방 신학 · 더보기 »

야기엘론스키 대학교

야기엘론스키 대학교(이니셜 UJ, 역사적인 이름: 일반 연구원, 크라쿠프 대학 등)는 카지미에쉬 대왕이 폴란드 수도가 크라쿠프였던 1364년 설립하였.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야기엘론스키 대학교 · 더보기 »

야세르 아라파트

야세르 아라파트 (1929년 8월 4일 - 2004년 11월 11일)는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PLO)의 초대 수반(1996년 ~ 2004년)이었.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야세르 아라파트 · 더보기 »

알로이시우스 암브로직

알로이시우스 암브로직(1930년 1월 27일 ~ 2011년 8월 26일)은 캐나다 가톨릭교회의 추기경이자 토론토 대교구장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알로이시우스 암브로직 · 더보기 »

알로지제 스테피나츠

알로지제 빅토르 스테피나츠(1898년 5월 8일 - 1950년 2월 10일)는 크로아티아의 로마 가톨릭교회 추기경이자 자그레브 대교구장(1937년 - 1950년)을 지낸 인물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알로지제 스테피나츠 · 더보기 »

알무데나 대성당

산타 마리아 라 레알 데 라 알무데나 대성당()은 스페인 마드리드에 있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마드리드 대교구 대성당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알무데나 대성당 · 더보기 »

한국의 로마 가톨릭 성인

국에는 로마 가톨릭 성인이 모두 103명 있으며 모두 조선 정부의 박해로 순교한 가톨릭 신자들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한국의 로마 가톨릭 성인 · 더보기 »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또는 한국의 천주교회는 조선 중엽에서 말기 사이에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天主實義)를 통해 ‘서학’(西學)이라는 학문으로서 전래되었으며, 이후 점차 신도가 늘어 외부의 선교 활동 없이 자치 교회를 세우는 데에 이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한재권

재권 또는 한원서(韓--, 1836년 ~ 1866년 12월 1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한재권 · 더보기 »

알폰소 마리아 푸스코

성 알폰소 마리아 푸스코(Alfonso Maria Fusco, 1839년 3월 23일 - 1910년 2월 6일)는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교회의 사제이자 세례자 성 요한 수녀회의 설립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알폰소 마리아 푸스코 · 더보기 »

한이형

이형(韓履亨, 1799년 ~ 1846년 9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한이형 · 더보기 »

한영이

영이(韓榮伊, 1784년 ~ 1839년 12월 2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한영이 · 더보기 »

한아기

아기(韓阿只, 1739년 ~ 1839년 5월 24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한아기 · 더보기 »

안데르스 아르보렐리우스

경 문장 안데르스 아르보렐리우스(1949년 9월 24일 -)는 스웨덴의 맨발의 가르멜회 수사이자 추기경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안데르스 아르보렐리우스 · 더보기 »

안나 가타리나 엠머릭

복녀 안나 가타리나 엠머릭 안나 가타리나 엠머릭(1774년 9월 8일 - 1824년 2월 9일)은 로마 가톨릭교회 소속 아우구스티노회 수녀이자 신비가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안나 가타리나 엠머릭 · 더보기 »

안니발레 부니니

안니발레 부니니 안니발레 부니니(1912년 6월 14일 - 1982년 7월 3일)는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교회 고위 성직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안니발레 부니니 · 더보기 »

안토니오 마리아 로우코 발레라

안토니오 마리아 로우코 발레라(1936년 8월 24일 -)는 스페인 가톨릭교회의 고위 성직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안토니오 마리아 로우코 발레라 · 더보기 »

하마오 후미오

마오 후미오(1930년 3월 9일 ~ 2007년 11월 8일)은 일본의 가톨릭 성직자·추기경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하마오 후미오 · 더보기 »

하나의 중국

의 중국(이거중궈) 원칙은 중국 대륙과 홍콩, 마카오, 타이완은 나뉠 수 없는 하나이고 따라서 합법적인 중국의 정부는 오직 하나라는 원칙 또는 이데올로기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하나의 중국 · 더보기 »

아네슈카 체스카

아네슈카 체스카 또는 보헤미아의 아네슈카(1211년 6월 20일 프라하 ~ 1282년 3월 2일 프라하), 성녀 아네슈카()는 보헤미아의 로마 가톨릭교회 수녀이자 로마 가톨릭교회 성인(聖人)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아네슈카 체스카 · 더보기 »

아우렐리오 사바타니

아우렐리오 사바타니 추기경의 문장 아우렐리오 사바타니(1912년 10월 18일 - 2003년 4월 19일)는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교회 추기경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아우렐리오 사바타니 · 더보기 »

아이슬란드의 로마 가톨릭교회

별 아이슬란의 가톨릭 신자 수 통계표 아이슬란드의 로마 가톨릭교회의 역사는 1855년 12월 8일 아이슬란드 지역을 담당하는 노스폴 지목구(Praefectura Apostolica Poli Arctici) 설립으로 시작되었.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아이슬란드의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아일랜드 단식투쟁

식투쟁 25주년을 기념하는 추모기 아일랜드 단식투쟁()은 북아일랜드 분쟁이 진행 중이던 1981년, 북아일랜드의 감옥에 수감되어 있던 아일랜드 공화주의자들이 자신들을 일반 죄수가 아닌 양심수로서 대우해 달라고 요구하며 벌인 단식투쟁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아일랜드 단식투쟁 · 더보기 »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1181년 또는 1182년 ~ 1226년 10월 3일)는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교회 수사이자 저명한 설교가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 더보기 »

악마

《코덱스 기가스》에 묘사된 악마의 모습. 악마(惡魔) 또는 마귀(魔鬼)(영어: Devil 그리스어: diabolos)는 기독교나 이슬람 또는 불교에서 종교적인 수행을 방해하는 악한 영을 가리키는 명칭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악마 · 더보기 »

앙드레 뱅트루아

앙드레 뱅트루아 thumb 앙드레 아르망 뱅트루아(1942년 11월 7일 -)는 프랑스 가톨릭교회의 추기경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앙드레 뱅트루아 · 더보기 »

앙헬 수키아 고이코에체아

앙헬 수키아 고이코에체아(1916년 10월 2일 - 2006년 7월 13일)는 스페인 가톨릭교회의 추기경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앙헬 수키아 고이코에체아 · 더보기 »

셰이 기븐

셰이 존 제임스 기븐(Shay John James Given, 1976년 4월 20일 리퍼드 ~)은 아일랜드의 전 축구 선수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셰이 기븐 · 더보기 »

테라모

모()는 이탈리아 아브루초 주 테라모 현에 위치하고 테라모 현의 현도인 코무네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테라모 · 더보기 »

테레사 수녀

사 수녀(1910년 8월 26일 ~ 1997년 9월 5일)는 인도의 로마 가톨릭교회 수녀로, 1950년에 인도의 콜카타에서 사랑의 선교회라는 기독교 계통 비정부기구를 설립하였.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테레사 수녀 · 더보기 »

테오도로 오비앙 응게마 음바소고

오도로 오비앙 응게마 음바소고(Teodoro Obiang Nguema Mbasogo,, 1942년 6월 5일 ~)는 적도 기니의 대통령으로 1979년 이후 대통령직을 이어가고 있. 아코아캉(Acoacán)의 에상기 부족(Esangui clan)에서 태어났으며 식민지 시대에 군에 입대해 스페인의 사라고사에 있는 사관학교에.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테오도로 오비앙 응게마 음바소고 · 더보기 »

신앙교리성

신앙교리성 청사 신앙교리성 (信仰敎理省)는 로마 교황청의 아홉 개 심의회 가운데 가장 오래된 기구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신앙교리성 · 더보기 »

심의회 (로마 교황청)

심의회(審議會) 또는 성(省)는 로마 교황청의 행정 조직으로서 가톨릭교회의 중앙 행정기구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심의회 (로마 교황청) · 더보기 »

십자가 언덕

십자가 언덕 십자가 언덕()은 리투아니아 북부 샤울랴이에서 북쪽으로 약 12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로마 가톨릭교회 순례지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십자가 언덕 · 더보기 »

시메옹프랑수아 베르뇌

시메옹프랑수아 베르뇌(Siméon-François Berneux, 1814년 5월 14일 ~ 1866년 3월 7일)는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의 프랑스인 선교사로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시메옹프랑수아 베르뇌 · 더보기 »

시몽 마리 앙투안 쥐스트 랑페르 드 브르트니에르

시몽 마리 앙투안 쥐스트 랑페르 드 브르트니에르(Simon Marie Antoine Just Ranfer de Bretenieres, 1838년 2월 28일 ~ 1866년 3월 7일)는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의 프랑스인 선교사로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시몽 마리 앙투안 쥐스트 랑페르 드 브르트니에르 · 더보기 »

시나이 정교회

성녀 가타리나 수도원 시나이 정교회는 이집트 시나이 산기슭에 있는 성녀 가타리나 수도원과 몇몇 보호령으로 구성된 그리스 정교회 계열의 자치 교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시나이 정교회 · 더보기 »

시에나의 가타리나

시에나의 성녀 가타리나(1347년 3월 25일 - 1380년 4월 29일)는 이탈리아의 도미니코회 제3회 소속 스콜라 철학자이자 기독교 신학자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시에나의 가타리나 · 더보기 »

시성성

시성성(諡聖省)은 기독교의 성인 후보자들에 대한 뛰어난 덕목을 지녔다는 진술들과 시복 단계에서부터 시성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감독하는 로마 교황청의 심의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시성성 · 더보기 »

원귀임

원귀임 마리아(元貴任, 1819년 ~ 1839년 7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원귀임 · 더보기 »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국립 대성당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국립 대성당() 또는 성모 무염시태 국립 대성당(聖母無染始胎國立大聖堂)은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성당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국립 대성당 · 더보기 »

웨일스 공 찰스

웨일스 공 찰스(The Prince Charles, Prince of Wales, 1948년 11월 14일 ~)는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장남이자 제1왕위 계승자에 해당하는 웨일스 공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웨일스 공 찰스 · 더보기 »

후전충

섬네일 후전충(胡振中, 1925년 3월 26일 - 2002년 9월 23일)은 천주교 홍콩교구의 제5대 교구장 주교이자 추기경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후전충 · 더보기 »

홍병주

홍병주(洪秉周, 1798년 ~ 1840년 1월 31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홍병주 · 더보기 »

홍금주

홍금주(洪今珠, 1804년 ~ 1839년 9월 26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홍금주 · 더보기 »

홍영주

홍영주(洪永周, 1801년 ~ 1840년 1월 31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명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홍영주 · 더보기 »

황석두

황석두(黃錫斗, 1813년 ~ 1866년 3월 30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황석두 · 더보기 »

JP2

JP2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JP2 · 더보기 »

1 유로 주화

1 유로 주화는 유로 주화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1 유로 주화 · 더보기 »

1 유로센트 주화

1 유로센트 주화는 유로 주화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1 유로센트 주화 · 더보기 »

10 유로센트 주화

10 유로센트 주화는 유로 주화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10 유로센트 주화 · 더보기 »

10월 16일

10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9번째(윤년일 경우 29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10월 16일 · 더보기 »

10월 22일

10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5번째(윤년일 경우 29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10월 22일 · 더보기 »

10월 7일

10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0번째(윤년일 경우 28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10월 7일 · 더보기 »

1920년

192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1920년 · 더보기 »

1978년

1978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1978년 · 더보기 »

1978년 10월 콘클라베

성좌의 문장 1978년 10월 콘클라베는 제264대 교황을 선출하기 위해 진행된 콘클라베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1978년 10월 콘클라베 · 더보기 »

1984년

1984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1984년 · 더보기 »

1989년

198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1989년 · 더보기 »

1989년 10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1989년 10월 · 더보기 »

1998년

199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1998년 · 더보기 »

2 유로 주화

2 유로 주화는 유로 주화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2 유로 주화 · 더보기 »

2 유로센트 주화

2 유로센트 주화는 유로 주화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2 유로센트 주화 · 더보기 »

20 유로센트 주화

20 유로센트 주화는 유로 주화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20 유로센트 주화 · 더보기 »

2000 투데이

《2000 투데이》(2000 Today)는 2000년의 시작을 기렸던 국제 텔레비전 스페셜 프로그램 방송으로, 1999년 12월 31일부터 2000년 1월 1일까지 각 국가의 시간대에 맞추어 여유를 두고 방송되었.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2000 투데이 · 더보기 »

2000년대

2000년대는 2000년부터 2009년을 가리.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2000년대 · 더보기 »

2005년

200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2005년 · 더보기 »

2005년 4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2005년 4월 · 더보기 »

2005년 콘클라베

성좌의 문장 베네딕토 16세 (요제프 라칭거) 2005년 콘클라베는 제265대 교황을 선출하기 위해 진행된 콘클라베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2005년 콘클라베 · 더보기 »

2011년

201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2011년 · 더보기 »

2011년 5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2011년 5월 · 더보기 »

2014년

201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2014년 · 더보기 »

20세기

200px 200px 200px 200px 200px 200px 200px 20세기는 1901년 1월 1일부터 2000년 12월 31일까지의 기간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20세기 · 더보기 »

20세기 연표

20세기의 연표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20세기 연표 · 더보기 »

3월 20일

3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79번째(윤년일 경우 8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3월 20일 · 더보기 »

4월 27일

4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7번째(윤년일 경우 11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4월 27일 · 더보기 »

4월 2일

4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2번째(윤년일 경우 9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4월 2일 · 더보기 »

5 유로센트 주화

5 유로센트 주화는 유로 주화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5 유로센트 주화 · 더보기 »

50 유로센트 주화

50 유로센트 주화는 유로 주화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50 유로센트 주화 · 더보기 »

5·18 광주 민주화 운동

5·18 광주 민주화 운동(五一八光州民主化運動) 혹은 광주민중항쟁(光州民衆抗爭)은 1980년 5월 18일부터 5월 27일까지 광주시민과 전라남도민이 중심이 되어, 조속한 민주 정부 수립, 전두환 보안사령관을 비롯한 신군부 세력의 퇴진 및 계엄령 철폐 등을 요구하며 전개한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이.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5·18 광주 민주화 운동 · 더보기 »

5월 13일

5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3번째(윤년일 경우 13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5월 13일 · 더보기 »

5월 18일

5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8번째(윤년일 경우 13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5월 18일 · 더보기 »

5월 1일

5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1번째(윤년일 경우 122번째), 뒤에서부터는 24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5월 1일 · 더보기 »

5월 3일

5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3번째(윤년일 경우 124번째), 뒤에서부터는 24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5월 3일 · 더보기 »

5월 6일

5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6번째(윤년일 경우 127번째), 뒤에서부터는 24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5월 6일 · 더보기 »

6월 26일

6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7번째(윤년일 경우 17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6월 26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가경자 요한 바오로 2세, 교황 복자 요한 바오로 2세, 교황 요한바오로2세, 복자 요한 바오로 2세, 카롤 보이티와, 카롤 유제프 보이티와, 요한 바오로 2세, 요한 바오로 2세 교황, 요한 바오로2세, 요한바오로 2세.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