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구개음화

색인 구개음화

음화(口蓋音化)는 경구개음이 아닌 자음이 경구개음으로 변하는 현상이.

65 처지: た행, な행, , さ행, か행, Ñ, , , , , , , , , , , , , , , , , , , , , , , , , , 러시아어 음운론, 동남 방언, 동화 (언어학), 라트비아어 문자, 무성 경구개 마찰음, 문화어, 버마 문자, 권설 접근음, 근대 한국어, 비공식 IPA 기호, 김치, 스페인어, 우비흐어 음운론, 포르투갈어, 폴란드어, 일본어, 음운의 변동, 지렁이, 차 (음료), ..., 충청 방언, 치음 (음운학), 콥트어, 육진 방언, 터키어 로마자, 센치, 서북 방언, 한글 맞춤법 통일안, 한국 한자음, 아일랜드어 음운론, X-SAMPA, И, Е, ج, 21세기 로마자 표기법.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5 더) »

た행

た행이란, 오십음도의 4번째 행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た행 · 더보기 »

な행

な행은 오십음도에 있어 제5번째의 행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な행 · 더보기 »

い와 イ는 일본어 음절의 하나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い · 더보기 »

さ행

さ행이란, 오십음도에서 3번째행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さ행 · 더보기 »

か행

か행이란, 오십음의 2번째 행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か행 · 더보기 »

Ñ

thumb 자판에는 L 오른쪽에 Ñ이 있다. Ñ, ñ()는 N 위에 발음 구별 기호로 틸드가 들어간 글자로, 주로 에스파냐어의 경구개 비음()을.

새로운!!: 구개음화와 Ñ · 더보기 »

ㄲ()은 한글 낱자의 ㄱ을 어울러 쓴 것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ㄲ · 더보기 »

ㄳ(기역시옷)은 한글 낱자의 ㄱ과 ㅅ을 겹쳐 놓은 것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ㄳ · 더보기 »

ㄴ(니은)은 한글의 닿소리 중 둘째 글자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ㄴ · 더보기 »

ㄶ(니은히읗)은 한글 낱자의 ㄴ과 ㅎ을 겹쳐 놓은 것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ㄶ · 더보기 »

ㄷ()은 한글의 닿소리 중 셋째 글자.

새로운!!: 구개음화와 ㄷ · 더보기 »

ㄸ()은 한글 낱자의 ㄷ을 어울러 쓴 것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ㄸ · 더보기 »

ㄹ(리을)은 한글의 닿소리 중 넷째 글자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ㄹ · 더보기 »

ㄺ(리을기역)은 한글 낱자의 ㄹ과 ㄱ을 겹쳐 놓은 것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ㄺ · 더보기 »

ㄻ(리을미음)은 한글 낱자의 ㄹ과 ㅁ을 겹쳐 놓은 것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ㄻ · 더보기 »

ㄼ(리을비읍)은 한글 자모의 ㄹ과 ㅂ을 겹쳐 놓은 것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ㄼ · 더보기 »

ㄽ(리을시옷)은 한글 낱자의 ㄹ과 ㅅ을 합쳐 놓은 것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ㄽ · 더보기 »

ㄾ(리을티읕)은 한글 자모의 ㄹ과 ㅌ을 겹쳐 놓은 것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ㄾ · 더보기 »

ㄿ(리을피읖)은 한글 자모의 ㄹ과 ㅍ을 겹쳐 놓은 것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ㄿ · 더보기 »

ㄵ(니은지읒)은 한글 낱자의 ㄴ과 ㅈ을 겹쳐 놓은 것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ㄵ · 더보기 »

(치읓)은 한글 닿소리 중 열째 글자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ㅊ · 더보기 »

ㅁ(미음)은 한글 닿소리 중 다섯째 글자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ㅁ · 더보기 »

(이)는 한글 낱자의 스물넷째 글자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ㅣ · 더보기 »

ㅃ()은 한글 낱자의 ㅂ을 어울러 쓴 것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ㅃ · 더보기 »

(지읒)은 한글 닿소리 중 아홉째 글자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ㅈ · 더보기 »

ㅂ(비읍)은 한글 닿소리 중 여섯째 글자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ㅂ · 더보기 »

ㅄ(비읍시옷)은 한글 낱자의 ㅂ과 ㅅ을 합쳐 놓은 것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ㅄ · 더보기 »

()은 한글 낱자의 ㅅ을 어울러 쓴 것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ㅆ · 더보기 »

(이응)은 한글 닿소리 중 여덟 번째 글자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ㅇ · 더보기 »

()은 한글 낱자의 ㅈ을 어울러 쓴 것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ㅉ · 더보기 »

ㅀ(리을히읗)은 한글 낱자의 ㄹ과 ㅎ을 겹쳐 놓은 것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ㅀ · 더보기 »

러시아어 음운론

이 문서는 모스크바 방언에 기초한 표준 러시아어의 음운 체계를.

새로운!!: 구개음화와 러시아어 음운론 · 더보기 »

동남 방언

동남 방언(東南方言)은 영남 지방에서 사용되는 한국어의 방언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동남 방언 · 더보기 »

동화 (언어학)

동화(同化)는 음운 과정(phonological process)의 가장 보편적인 유형들 가운데 하나로, 음운이 다른 음운의 영향을 받아 비슷한 방향으로 바뀌는 작용을 말. 반대말은 이화(異化)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동화 (언어학) · 더보기 »

라트비아어 문자

비아어 문자는 라트비아어에서 사용되는 문자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라트비아어 문자 · 더보기 »

무성 경구개 마찰음

무성 경구개 마찰음(無聲硬口蓋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경구개에서 조음되는 무성 마찰음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무성 경구개 마찰음 · 더보기 »

문화어

문화어(文化語)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표준어를 말. 《조선말대사전》(1992년)에 의하면 “주권을 잡은 로동계급의 당의 령도밑에 혁명의 수도를 중심지로 하고 수도의 말을 기본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로동계급의 지향과 생활감정에 맞게 혁명적으로 세련되고 아름답게 가꾸어진 언어”라고 되어있.

새로운!!: 구개음화와 문화어 · 더보기 »

버마 문자

버마 문자()는 아부기다로, 브라흐미계 문자에 속하며, 버마족들이 사용.

새로운!!: 구개음화와 버마 문자 · 더보기 »

권설 접근음

설 접근음(卷舌接近音)은 닿소리의 하나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권설 접근음 · 더보기 »

근대 한국어

국어(近代韓國語)는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의 한국어를 이르며 구체적으로는 임진왜란(1592년)부터 개화기(19세기 말)까지의 한국어를 가리.

새로운!!: 구개음화와 근대 한국어 · 더보기 »

비공식 IPA 기호

비공식 IPA 기호는 비공식적인 음성 기록.

새로운!!: 구개음화와 비공식 IPA 기호 · 더보기 »

김치

배추, 무 등을 굵은 소금에 절여 씻은 다음 고춧가루, 파, 마늘, 생강 등의 양념과 젓갈을 넣어 버무려 만드는 한국의 저장 발효식품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김치 · 더보기 »

스페인어

스페인어(이디오마 에스파뇰) 또는 카스티야어(이디오마 카스테야노)는 이베리아로망스어군에 속하는 로망스어의 하나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스페인어 · 더보기 »

우비흐어 음운론

우비흐어는 북서캅카스어족의 언어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우비흐어 음운론 · 더보기 »

포르투갈어

르투갈어(português, língua portuguesa) 간칭 포어(葡語)는 현재 북부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갈리시아와 아스투리아스에 있던 중세 갈리시아 왕국의 갈리시아 포트투갈어에서 내려온 라틴어 기반 로망스어의 한 종류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포르투갈어 · 더보기 »

폴란드어

어()는 폴란드를 중심으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서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언어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폴란드어 · 더보기 »

일본어

일본어(「にっぽんご」를 표제어로 세우고 있는 국어사전은 일본국어대사전 등 소수에 그친다.)는 주로 일본에서 사용되는 언어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일본어 · 더보기 »

음운의 변동

음운 변동이란 두 음운이 만나서 형태가 바뀌는 현상을 말. 음운 변동이 일어나는 이유는 발음을 쉽게 하기 위해서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음운의 변동 · 더보기 »

지렁이

렁이는 지렁이아강에 딸린 환형동물의 총칭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지렁이 · 더보기 »

차 (음료)

(茶)는 차나무잎을 우려낸 음료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차 (음료) · 더보기 »

충청 방언

충청도 사투리 또는 호서 사투리 호서 방언또는 충청 방언(忠淸方言)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충청북도, 평택시 등 호서 지방(湖西地方)에서 주로 사용하는 사투리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충청 방언 · 더보기 »

치음 (음운학)

음(齒音), 잇소리는 이에서 나는 소리라는 뜻으로, 조선 시대 훈민정음과 중국의 전통적인 음성학인 음운학에서 쓰였.

새로운!!: 구개음화와 치음 (음운학) · 더보기 »

콥트어

콥트어와 이집트 아랍어로 쓰인 옛 카이로교회의 문구 콥트어(Met.Remenkīmi)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고대 이집트어의 직계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콥트어 · 더보기 »

육진 방언

육진 방언(六鎭方言)은 함경북도 경원진,회령진,종성진,온성진,경흥진,부령진등 조선초기에 개척된 육진이 있던 지역(현재 행정구역상 함경북도 새별군,회령군,온성군,은덕군,부령군에 속함)에서 쓰이는 한국어의 방언 이.함경도 지역 안에 있지만, 다른 방언은 물론 속해 있는 함경도 방언과도 다른 특질을 보이기 때문에 별도로 육진 방언으로 분.

새로운!!: 구개음화와 육진 방언 · 더보기 »

터키어 로마자

현대 터키어는 로마자.

새로운!!: 구개음화와 터키어 로마자 · 더보기 »

센치

센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구개음화와 센치 · 더보기 »

서북 방언

서북 방언(西北方言) 또는 평안도 사투리는 평양직할시, 평안남도, 평안북도 및 자강도에서 쓰는 방언으로, 관서 지방에서 쓰인다고 하여 관서 방언(關西方言)이라고도 불린.

새로운!!: 구개음화와 서북 방언 · 더보기 »

한글 맞춤법 통일안

맞춤법 통일안(- 法統一案, 발표 당시에는 ‘한글 마춤법 통일안’)은 1933년에 조선어 학회(지금의 한글 학회)가 정한 한글 맞춤법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한글 맞춤법 통일안 · 더보기 »

한국 한자음

국 한자음(韓國漢字音)은 한국어에서의 한자 소리를 이른.

새로운!!: 구개음화와 한국 한자음 · 더보기 »

아일랜드어 음운론

아일랜드어가 사용되는 지역을 표시한 지도. 아일랜드어 음운론()은 아일랜드 각지 방언마다 제각각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아일랜드어 음운론 · 더보기 »

X-SAMPA

확장된 SAM 음성 기호(X-SAMPA: eXtended Speech Assessment Methods Phonetic Alphabet)는 런던 대학교의 음성학 교수인 존 C. 웰스가 1995년에 고안한 SAMPA의 변형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X-SAMPA · 더보기 »

И

이(И, и)는 키릴 문자의 11번째 글자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И · 더보기 »

Е

Е, е는 키릴 문자의 하나로, 로마 문자 E와 비슷한 모양을 가지고 있.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세르비아어, 우크라이나어에서는 ‘에’로 부르며, 와 발음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Е · 더보기 »

ج

()은 아랍 문자의 다섯번째 글자로, 음가는 유성 후치경 파찰음 이. 페니키아 문자 gimel에서 이어진 문자 중 하나로, 히브리 문자, 아람 문자 Gāmal 12 px, 시리아 문자 Gāmal ܓ, 그리스 문자 Γ, 로마자 G, 키릴 문자 Г에 대응하는 문자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ج · 더보기 »

21세기 로마자 표기법

21세기 로마자 표기법(21世紀로마字表記法)은 유네스코 사무국의 직원이었던 홍승목이 제안한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이.

새로운!!: 구개음화와 21세기 로마자 표기법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경구개음화, 경구개화, 구개화.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