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구당서

색인 구당서

당서(舊唐書)는 당나라(唐)의 정사(正史)로 이십사사(二十四史) 가운데 하나이.

131 처지: 동이, 매사냥, 무궁화, 무왕 (백제), 문선, 묘호, 민욱 (당나라), 방효태, 발해 고왕, 발해고, 가랴쿠, 걸걸중상, 겐오 (연호), 견탐라사, 검모잠, 고랴쿠, 고간 (당나라), 고구려-당 전쟁, 고구려의 역대 국왕, 고전후 시대, 고안 (1361년), 고환권, 곽자의, 분나, 부여경, 부여효, 부여용, 부여융, 부여태, 부여연, 귀실복신, 글필하력, 대당창업기거주, 대하돌라, 대하마회, 대하굴가, 대원의, 구주춘추, 남북국 시대, 내항, 낙랑군, 노언위, 녹안홍, 단언모, 당 소종, 당회요, 우유겸, 회창의 폐불, 요숭, 장간회, ..., 장공소, 장괴, 장직방, 장윤신, 장열, 평로치청절도사, 이무훈 (노룡군 절도사), 이백약, 이밀, 이가거, 이경업, 이전충, 이정 (당 숙종), 이중이, 이창부, 이창언, 이유 (당나라), 이사고 (거란), 이실활, 이십사사, 이원영 (당), 의자왕, 제1차 고구려-당 전쟁, 정명진, 정사 (역사학), 조 (오대 십국), 조황 (당나라), 조확, 주경매, 주근 (당나라), 주침, 주선, 주악, 진평왕, 진언 (당나라), 카를루크, 카간, 카파간 카간, 유백영, 유정회, 유후, 위략, 위현, 태종무열왕, 영웅기, 오초, 호에이, 호토쿠, 예식진, 양양기, 연 (안사), 연개소문, 삼교, 삼국사기, 삼국시대의 교육, 피휘, 설세웅, 서융, 속말말갈, 송짼감뽀, 소정방, 소중화사상, 쇼와 (가마쿠라 시대), 한국의 민속놀이, 한진춘추, 한윤중, 안장왕, 안사고, 필사탁, 악언정, 신당서, 실위, 홍려정비, 왜인, 화백 (신라), 왕문도, 왕건조, 왕고 (당나라), 왕중영 (형), 왕세충, 1책 12법.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81 더) »

동이

사이의 명칭 동이(東夷)는 중국 역사에서 동쪽에 사는 이민족을 일컬어 부르는 말이.

새로운!!: 구당서와 동이 · 더보기 »

매사냥

매사냥으로 가장 널리 쓰인 보라매. 다만 보라매는 매과 매속이 아니고 수리과 새매속의 새이다. 매사냥(falconry)이란 훈련된 맹금류를 부려서 짐승을 잡는 사냥법이.

새로운!!: 구당서와 매사냥 · 더보기 »

무궁화

무궁화(無窮花, Hibiscus syriacus)는 아욱과의 낙엽관목으로, 대한민국 법령으로 제정되지 않은 통념의 국화이.

새로운!!: 구당서와 무궁화 · 더보기 »

무왕 (백제)

무왕(武王, ? ~ 641년, 재위: 600년 ~ 641년 음력 3월) 은 백제의 제30대 국왕이.

새로운!!: 구당서와 무왕 (백제) · 더보기 »

문선

민국소협산방(民国扫叶山房) 인쇄 《평주 소명문선(評注昭明文選)》 복제품. 마안산 시 박물관(马鞍山市博物馆) 소장. 《문선》(文選)은 중국 남북조 시대에 남조(南朝) 양(梁)의 소명태자(昭明太子)가 편찬한 시문선집(詩文選集)이.

새로운!!: 구당서와 문선 · 더보기 »

묘호

묘호(廟號)는 중국, 한국, 베트남 등 동양의 봉건 왕조 국가에서 황제 또는 국왕과 같은 군주에게만 붙인 칭호로 군주가 승하한 뒤 태묘(太廟, 또는 종묘)에서 군주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되었.

새로운!!: 구당서와 묘호 · 더보기 »

민욱 (당나라)

민욱(閔勗, Min Xu, ? ~ 886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82년부터 886년까지 호남관찰사(湖南觀察使. 재위 882년 ~ 883년)・흠화군 절도사(재위 883년 ~ 886년)로서 그 본거지였던 담주(潭州. 현 후난 성 창사 시)를 비롯한 지금의 후난 성 일대의 대부분 지역을 지배하였으나, 886년에 암살당하였.

새로운!!: 구당서와 민욱 (당나라) · 더보기 »

방효태

방효태(龐孝泰) 혹은 방효공(龐孝恭, ? ~ 662년)은 중국 당나라 초의 무장으로 백주(白州) 사람이.

새로운!!: 구당서와 방효태 · 더보기 »

발해 고왕

발해 고왕 대조영(渤海 高王 大祚榮, ? ~719년 6월 재위: 698년~719년 6월)은 남북국 시대(南北國時代)는 발해(渤海)의 초대 왕으로, 걸걸중상(乞乞仲象)의 아들이.

새로운!!: 구당서와 발해 고왕 · 더보기 »

발해고

《발해고》(渤海考)는 조선 정조 8년(1784년)에 규장각검서로 일하던 실학자 류득공유득공(柳得恭)은 '유득공'이.

새로운!!: 구당서와 발해고 · 더보기 »

가랴쿠

(嘉暦, かりゃく)는, 일본의 연호(元号) 중 하나이.

새로운!!: 구당서와 가랴쿠 · 더보기 »

걸걸중상

중상(乞乞仲象)은 고구려의 장수이자 고구려의 부흥을 이끈 지도자이.

새로운!!: 구당서와 걸걸중상 · 더보기 »

겐오 (연호)

오(元応, げんおう)는, 일본의 연호(元号) 중 하나이.

새로운!!: 구당서와 겐오 (연호) · 더보기 »

견탐라사

사()는, 일본(왜국)에서 탐라(耽羅)에 파견한 사절이.

새로운!!: 구당서와 견탐라사 · 더보기 »

검모잠

모잠(劍牟岑, ? ~ 670년)은 고구려의 부흥운동 지도자로 벼슬은 대형(大兄)이었.

새로운!!: 구당서와 검모잠 · 더보기 »

고랴쿠

(康暦, こうりゃく)는, 일본 남북조 시대의 연호(元号) 중 하나이.

새로운!!: 구당서와 고랴쿠 · 더보기 »

고간 (당나라)

(高侃, 高偘, ? ~ ?)은 당나라의 장군이.

새로운!!: 구당서와 고간 (당나라) · 더보기 »

고구려-당 전쟁

-당 전쟁은 645년에서 668년까지 고구려와 당나라 사이에서 벌어졌던 전쟁이.

새로운!!: 구당서와 고구려-당 전쟁 · 더보기 »

고구려의 역대 국왕

아래는 고구려를 다스린 역대 국왕과 재위 년도이.

새로운!!: 구당서와 고구려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고전후 시대

전근대(Pre-Modern Era) 또는 고전후 시대(post-classical era), 고대후 시대(Post-Ancient Era)는 고대와 근세 사이의 시대를 일컫는 말이.

새로운!!: 구당서와 고전후 시대 · 더보기 »

고안 (1361년)

안(康安, こうあん)는, 일본 남북조 시대의 연호(元号) 중 하나이.

새로운!!: 구당서와 고안 (1361년) · 더보기 »

고환권

환권(高桓權, ? ~ ?)은 고구려 영류왕(榮留王)의 아들이자, 고구려의 태자이.

새로운!!: 구당서와 고환권 · 더보기 »

곽자의

분양왕 곽자의 곽자의(郭子儀, 697년~781년)는, 중국 당(唐) 왕조를 섬긴 군인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구당서와 곽자의 · 더보기 »

분나

분나(文和, ぶんな/ぶんわ)는, 일본 남북조 시대의 연호(元号) 중 하나이.

새로운!!: 구당서와 분나 · 더보기 »

부여경

부여경(扶餘敬, ? ~ ?)은 당나라로 간 백제 유민 부여융의 손자이.

새로운!!: 구당서와 부여경 · 더보기 »

부여효

부여효(扶餘孝, ? ~ ?)는 의자왕의 아들이.

새로운!!: 구당서와 부여효 · 더보기 »

부여용

부여용 (扶餘勇)은 백제의 왕자이며, 마지막 왕인 의자왕의 아들이.

새로운!!: 구당서와 부여용 · 더보기 »

부여융

부여융(扶餘隆, 615년 ~ 682년)은 백제 의자왕의 아들로 삼국 말기의 대표적인 경계인이.

새로운!!: 구당서와 부여융 · 더보기 »

부여태

부여태(扶餘泰, 생몰년 미상)는 백제 의자왕의 차남이.

새로운!!: 구당서와 부여태 · 더보기 »

부여연

부여연 (扶餘演) 백제의 왕족이며, 백제 마지막 왕인 의자왕(義慈王)의 아들이.

새로운!!: 구당서와 부여연 · 더보기 »

귀실복신

실복신(鬼室福信, 원래 이름은 부여복신(扶餘福信), ? ~ 663년)은 백제의 왕족·무장·관리이.

새로운!!: 구당서와 귀실복신 · 더보기 »

글필하력

력(契苾何力, ? ~ 677년)은 중국 당나라의 무장으로, 고구려와의 전쟁에서 활약하였.

새로운!!: 구당서와 글필하력 · 더보기 »

대당창업기거주

《대당창업기거주》(大唐創業起居注)는, 중국 당대(唐代)의 온대아(温大雅)가 찬한 편년체 역사서이.

새로운!!: 구당서와 대당창업기거주 · 더보기 »

대하돌라

(大賀咄羅, ? ~ ?)는 거란(契丹)의 추장이.

새로운!!: 구당서와 대하돌라 · 더보기 »

대하마회

마회(大賀摩會, ? ~ ?)는 거란(契丹)의 추장이.

새로운!!: 구당서와 대하마회 · 더보기 »

대하굴가

(大賀窟哥, 590년 ~ 669년, 재위 649년 ~ 669년) 또는 이굴가(李窟哥)는 거란(契丹)의 추장이.

새로운!!: 구당서와 대하굴가 · 더보기 »

대원의

원의(大元義, ? ~793년, 재위: 793년)는 발해 제4대 왕이.

새로운!!: 구당서와 대원의 · 더보기 »

구주춘추

《구주춘추》(九州春秋)는 서진(西晉)의 사마표(司馬彪)가 저술한 사서이.

새로운!!: 구당서와 구주춘추 · 더보기 »

남북국 시대

북국 시대(南北國時代)는 698년는 1784년에 유득공에 의해 창조된 북부의 만주와 연해주를 중심으로 한 발해의 건국 이후 남부의 한반도에 있는 신라와 공존하던 시대를 일컫는 역사 용어이.

새로운!!: 구당서와 남북국 시대 · 더보기 »

내항

항(來恒, Lai Heng, ? ~ 678년 11월 18일《자치통감》 제202권)은 중국 당나라 전기에 활동했던 관료로, 당 고종 연간에 재상을 지냈던 인물이.

새로운!!: 구당서와 내항 · 더보기 »

낙랑군

낙랑군을 분할하여 대방군을 설치(204년) 낙랑군(樂浪郡,, 기원전 108년~기원후 313년)은 전한 무제가 위만조선을 점령하고 세운 한사군 중 하나로, 현도군과 함께 최후까지 남은 변군(邊郡)이.

새로운!!: 구당서와 낙랑군 · 더보기 »

노언위

언위(盧彦威, Lu Yanwei, 생몰년 미상)는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의창군 절도사(義昌軍節度使. 본거지는 현 허베이 성 창저우 시)로서, 885년부터 898년까지 그 대부분의 재임 기간 동안 의창군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구당서와 노언위 · 더보기 »

녹안홍

녹안홍(鹿晏弘, Lu Yanhong, ? ~ 886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83년부터 884년까지 산남서도(山南西道, 본거지는 현 산시 성 한중 시) 번진(藩鎭)을, 884년부터 886년까지 절도사(節度使)의 신분으로서 충무군(忠武軍, 본거지는 현 허난 성 쉬창 시) 번진을 각각 지배하였.

새로운!!: 구당서와 녹안홍 · 더보기 »

단언모

언모(段彦謨, Duan Yanmo, 882년 7월 17일《자치통감》제255권)는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80년부터 882년까지 환관 주경매와 연합하여 형남(荊南, 본거지는 현 후베이 성 징저우 시) 번진(藩鎭)을 지배하였으나, 후에 주경매와 사이가 틀어져 최후에는 주경매에게 살해되었.

새로운!!: 구당서와 단언모 · 더보기 »

당 소종

당 소종 이엽(昭宗 李曄, 867년-904년)은 중국 당나라의 제19대 황제(재위 888년-900년, 901년 ~ 904년)이.

새로운!!: 구당서와 당 소종 · 더보기 »

당회요

당회요(唐會要)는, 중국의 북송(北宋)대에 성립된, 오대(五代)의 왕부(王溥, 922년 - 982년)가 저술하여 태조(太祖) 건륭(建隆) 2년(961년)에 완성한 책이.

새로운!!: 구당서와 당회요 · 더보기 »

우유겸

우유겸(于惟謙, Yu Weiqian, 생몰년 미상)은 중국 당나라 중기에 활동했던 관료로, 당 중종 연간(두 번째 치세)에 짧은 기간 동안 재상을 지냈던 인물이.

새로운!!: 구당서와 우유겸 · 더보기 »

회창의 폐불

회창의 폐불(會昌-廢佛)이란 중국 당조의 무종 때 이루어진 폐불 사건을 말. 또 불교와 함께, 장안을 중심으로 번성했던 삼이교(마니교·조로아스터교·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도 배척당.

새로운!!: 구당서와 회창의 폐불 · 더보기 »

요숭

요숭(姚崇, 650년 ~ 721년)은, 중국 당 왕조의 정치가이.

새로운!!: 구당서와 요숭 · 더보기 »

장간회

장간회(張簡會, Zhang Jianhui, 생몰년 미상)는 중국 당나라 후기 의종 때의 무장이.

새로운!!: 구당서와 장간회 · 더보기 »

장공소

장공소(張公素, Zhang Gongsu, 생몰년 미상)는 중국 당나라 후기의 무장으로, 노룡군 절도사(盧龍軍節度使, 본거지는 현 허베이 성 베이징 시)로서 당시 사실상 독립 상태나 다름없었던 노룡군 번진(藩鎭)을 872년부터 875년까지 지배하였.

새로운!!: 구당서와 장공소 · 더보기 »

장괴

장괴(張瓌, Zhang Gui, ? ~ 888년 2월 10일《자치통감》제257권)는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85년부터 888년까지 형남(荊南, 본거지는 현 후베이 성 징저우 시)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구당서와 장괴 · 더보기 »

장직방

장직방(張直方, Zhang Zhifang, ? ~ 881년 1월 23일?타이완 중앙연구원 《자치통감》, 권 254)은 중국 당나라 후기의 무장이.

새로운!!: 구당서와 장직방 · 더보기 »

장윤신

장윤신(張允伸, Zhang Yunshen, 785년《구당서》, 권 180 - 열전(列傳) 제130 ~ 872년 3월 8일타이완 중앙연구원 《자치통감》, 권 252)은 중국 당나라 후기에 활약했던 무장으로, 노룡군 절도사(盧龍軍節度使. 본거지는 현 허베이 성 베이징 시)로서 당시 조정으로부터 사실상 독립 상태나 다름없었던 노룡군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구당서와 장윤신 · 더보기 »

장열

장열(張說, 667년 ~ 730년)는, 중국 당 왕조의 재상이.

새로운!!: 구당서와 장열 · 더보기 »

평로치청절도사

청평로절도사(淄靑平盧節度使)는 당나라의 절도사 직위 중 하나로 산둥 반도 일대를 거점으로 하였.

새로운!!: 구당서와 평로치청절도사 · 더보기 »

이무훈 (노룡군 절도사)

이무훈(李茂勳/李茂勛, Li Maoxun, 생몰년 미상)은 중국 당나라 말기의 군벌로, 875년부터 876년까지의 짧은 기간 동안 노룡군 절도사(盧龍軍節度使. 본거지는 현 허베이 성 베이징 시)로서 노룡군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구당서와 이무훈 (노룡군 절도사) · 더보기 »

이백약

이백약(李百藥, Li Baiyao, 564년 ~ 647년)은 중국 수나라 때부터 당나라 때에 걸쳐 활약했던 관료이자 역사가로, 그의 뛰어난 문학적 재능으로 많은 사람들에게서 존경받았으며, 아버지 이덕림이 편찬을 시작했던 남북조시대 북제의 공식 역사서 중의 하나인 북제서를 완성한 것으로 유명.

새로운!!: 구당서와 이백약 · 더보기 »

이밀

이밀(582년 ~ 619년)은 수나라 말기에서 당나라 초기에 걸쳐 활약했던 정치가이자 유력 군웅의 한 사람으로, 수 양제의 지배에 반기를 들고 일어난 반란군의 수령이었.

새로운!!: 구당서와 이밀 · 더보기 »

이가거

이가거(李可擧, ? ~ 885년)는 중국 당나라의 군벌이.

새로운!!: 구당서와 이가거 · 더보기 »

이경업

이경업(李敬業, 636년-684년) 또는 서경업(徐敬業)은, 중국 당(唐) 왕조 초기의 무장 이적(李勣)의 손자이.

새로운!!: 구당서와 이경업 · 더보기 »

이전충

이전충(李全忠, Li Quanzhong, ? ~ 886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전임 노룡군 절도사(盧龍軍節度使, 본거지는 지금의 베이징) 이가거를 멸망시킨 885년부터 886년 사망할 때까지 노룡군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구당서와 이전충 · 더보기 »

이정 (당 숙종)

이정(李侹, ? ~ 784년)은 중국 당나라의 황족으로, 당 숙종의 7번째 아들이.

새로운!!: 구당서와 이정 (당 숙종) · 더보기 »

이중이

이중이(李重耳)는 서량의 황족으로 서량의 후주 이흠의 아들이었.

새로운!!: 구당서와 이중이 · 더보기 »

이창부

이창부(李昌符, Li Changfu, ? ~ 887년 8월 23일?《자치통감》제257권)는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84년부터 887년까지 절도사(節度使)로서 봉상(鳳翔, 본거지는 현 산시 성 바오지 시)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구당서와 이창부 · 더보기 »

이창언

이창언(李昌言, Li Changyan, ? ~ 884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전임 봉상절도사(鳳翔節度使, 본거지는 현 산시 성 바오지 시)였던 전직 재상 정전을 전복시킨 이후, 881년부터 884년까지 절도사로서 봉상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구당서와 이창언 · 더보기 »

이유 (당나라)

이유(李𥙿, ? - 905년 2월)는 당 소종의 장남이자 당나라의 비정통 황제(재위 900년 ~ 901년)이.

새로운!!: 구당서와 이유 (당나라) · 더보기 »

이사고 (거란)

이사고(李娑固, ? ~ 720년)는 거란의 왕이.

새로운!!: 구당서와 이사고 (거란) · 더보기 »

이실활

이실활(李失活, 640년경 ~ 718년)은 거란의 수령으로 대하굴가의 손자이며 이진충의 사촌 동생이.

새로운!!: 구당서와 이실활 · 더보기 »

이십사사

이십사사(二十四史)는 중국에서 정사(正史)로 인정받는 역사서 24종의 통칭이.

새로운!!: 구당서와 이십사사 · 더보기 »

이원영 (당)

이원영(李元嬰, ? ~ 684년)은 중국 당나라의 황족으로, 등왕(滕王)에 봉해졌.

새로운!!: 구당서와 이원영 (당) · 더보기 »

의자왕

의자왕(義慈王, ?자식 중 하나인 부여융은 615년생이다. 이것으로 보아 595년경에 태어났을 것이다. ~ 660년, 재위: 641년 ~ 660년)은 백제의 마지막 국왕(혹은 31대 국왕)이.

새로운!!: 구당서와 의자왕 · 더보기 »

제1차 고구려-당 전쟁

제1차 고구려-당전쟁(第一次高句麗-唐戰爭)은 서기 645년 당 태종이 고구려를 침공하여 일어난 전쟁이.

새로운!!: 구당서와 제1차 고구려-당 전쟁 · 더보기 »

정명진

정명진(程名振, ? ~ 662년)은 당나라의 장군으로 명주(洺州) 평은현(平恩縣) 사람이.

새로운!!: 구당서와 정명진 · 더보기 »

정사 (역사학)

정사(正史)는 동아시아의 국가들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편찬한 역사서 또는 역사적 사실을 말. 중국·한국·일본 등에서 주로 등장한 개념으로 특정한 왕조 또는 시대의 역사를 주로 기전체(紀傳體) 형식으로 편찬한 국가 공인 역사서이.

새로운!!: 구당서와 정사 (역사학) · 더보기 »

조 (오대 십국)

조(趙)는 중국 오대 십국 시대 초기 지금의 하북성 중부에 있었던 나라였.

새로운!!: 구당서와 조 (오대 십국) · 더보기 »

조황 (당나라)

조황(趙鍠, ? ~ 889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87년부터 889년 그가 라이벌 양행밀의 손에 죽을 때까지 관찰사로서 선흡(宣歙, 본부는 지금의 안후이 성 쉬안청 시에 있었다)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구당서와 조황 (당나라) · 더보기 »

조확

조확(曹確, Cao Que, 생몰년 미상)은 중국 당나라 후기에 활동했던 관료로, 당 의종 연간에 재상을 지냈던 인물이.

새로운!!: 구당서와 조확 · 더보기 »

주경매

주경매(朱敬玫, Zhu Jingmei, ? ~ 885년)는 중국 당나라 말기의 환관으로, 형남절도사(荊南節度使, 본거지는 현 후베이 성 징저우 시) 단언모를 살해한 후, 수하의 정예 친위부대인 충용군(忠勇軍)을 기반으로 삼아 사실상 형남 번진(藩鎭)의 지배자가 되었.

새로운!!: 구당서와 주경매 · 더보기 »

주근 (당나라)

주근(朱瑾, 867년 ~ 918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후에 오대십국 시대 동안 오나라(또한 홍농국으로도 알려져 있다)의 대장으로 활약했던 군인이었.

새로운!!: 구당서와 주근 (당나라) · 더보기 »

주침

주침(周綝, ? ~ 850년)은 중국 당나라 후기 선종 때의 무장으로, 노룡군 절도사(盧龍軍節度使, 재위 849년 ~ 850년)로서 당시 사실상 독립 상태나 다름없었던 노룡군(본거지는 현 허베이 성 베이징 시) 번진(藩鎭)을 짧은 기간 동안 지배하였.

새로운!!: 구당서와 주침 · 더보기 »

주선

주선(朱瑄《구당서》권182.《구오대사》권13.《자치통감》권255./朱宣《신당서》권188.《신오대사》권42., Zhu Xuan, ? ~ 897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82년부터 897년까지 절도사(節度使)로서 천평군(天平軍, 본거지는 지금의 산둥 성 타이안 시)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구당서와 주선 · 더보기 »

주악

주악(周岳, ? ~ 893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무안군 절도사(武安軍節度使. 본거지는 현 후난 성 창사 시)로서 886년부터 893년까지 무안군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구당서와 주악 · 더보기 »

진평왕

평왕(眞平王, ? ~ 632년, 재위 579년 ~ 632년)은 신라의 제26대 왕이.

새로운!!: 구당서와 진평왕 · 더보기 »

진언 (당나라)

언(秦彦, ? ~ 888년 3월 2일《자치통감》, 권257)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82년부터 관찰사로서 선흡(宣歙, 본부는 지금의 안후이 성 쉬안청 시) 번진(藩鎭)을 지배하였으며, 이후 양행밀에게 패하기 전까지 잠시나마 회남(淮南) 번진의 본부인 양주(揚州, 지금의 장쑤 성 양저우 시)의 지배권을 장악하였.

새로운!!: 구당서와 진언 (당나라) · 더보기 »

카를루크

를루크(고대튀르크어:12px12px12px12px)는 7세기부터 12세기에 걸쳐 준가얼 분지나 중앙 아시아 지방에 존재한 튀르크계 유목민이.

새로운!!: 구당서와 카를루크 · 더보기 »

카간

몽골 제국의 카간들. 카간() 또는 대칸(大汗)이란 몽골이나 투르크 계통 국가의 황제이.

새로운!!: 구당서와 카간 · 더보기 »

카파간 카간

(? ~ 716년)은 돌궐 제2제국 제2대 카간으로, 휘는 아쉬나 쿠이(阿史那 懷)이.

새로운!!: 구당서와 카파간 카간 · 더보기 »

유백영

유백영(劉伯英, ? ~ ?)은 중국 당나라 초의 무장이.

새로운!!: 구당서와 유백영 · 더보기 »

유정회

유정회(569년 ~ 635년)는 중국 당나라 때 군인이.

새로운!!: 구당서와 유정회 · 더보기 »

유후

유후(劉昫, 887년 ~ 946년)는 중국 오대 십국 시대 후진의 역사가이.

새로운!!: 구당서와 유후 · 더보기 »

위략

위략(魏略)은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를 중심으로 쓰여진 역사서이.

새로운!!: 구당서와 위략 · 더보기 »

위현

위현(衛玄, 541년 ~ 617년) 혹은 위문승(衛文昇)은 북주, 수나라의 정치가 겸 장군이.

새로운!!: 구당서와 위현 · 더보기 »

태종무열왕

종무열왕(太宗武烈王, 603년~661년 음력 6월)은 신라(新羅)의 제29대 임금(재위: 654년~661년)이.

새로운!!: 구당서와 태종무열왕 · 더보기 »

영웅기

《영웅기(英雄記)》 또는 《한말영웅기(漢末英雄記)》는 후한 말 군벌들의 사적을 기록한 책으로, 저자는 왕찬(王粲)이.

새로운!!: 구당서와 영웅기 · 더보기 »

오초

오초(応長, おうちょう)는, 일본의 연호(元号) 중 하나이.

새로운!!: 구당서와 오초 · 더보기 »

호에이

호에이(宝永, ほうえい)는, 일본의 연호(元号) 중 하나이.

새로운!!: 구당서와 호에이 · 더보기 »

호토쿠

호토쿠(宝徳, ほうとく)는, 일본의 연호(元号) 중 하나이.

새로운!!: 구당서와 호토쿠 · 더보기 »

예식진

예식진(禰寔進, 615년 ~ 672년)은 백제 웅진唐)의 군인이며 백제 의자왕 때의 역신이.

새로운!!: 구당서와 예식진 · 더보기 »

양양기

《양양기(襄陽記)》는 중국 동진의 저술가 습착치가 지은 양양군(襄陽郡, 지금의 샹양 시)의 지방지이.

새로운!!: 구당서와 양양기 · 더보기 »

연 (안사)

연(燕)은 중국 당나라의 장군 안녹산이 755년에 당 현종의 치세에 반발하여 반란을 일으킨 이후, 그 이듬해인 756년에 세운 나라였.

새로운!!: 구당서와 연 (안사) · 더보기 »

연개소문

연개소문(淵蓋蘇文, 617년 ~ 666년 5월)은 고구려 말기의 장군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구당서와 연개소문 · 더보기 »

삼교

어린 석가모니를 노자에게 건네는 공자 그림 삼교(三敎)는, 고대 중국에서 유교, 불교, 도교의 세 종교를 아울러 가리키던 용어로, 유불도(儒佛道) 또는 유불선(儒佛仙)이.

새로운!!: 구당서와 삼교 · 더보기 »

삼국사기

《삼국사기》(三國史記)는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김부식(金富軾)이 1145년(인종 23)에 완성한 삼국시대사이.

새로운!!: 구당서와 삼국사기 · 더보기 »

삼국시대의 교육

삼국 시대의 교육은 고구려, 백제, 신라의 교육을 다루며,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기 이전까지의 교육활동을 의미.

새로운!!: 구당서와 삼국시대의 교육 · 더보기 »

피휘

청나라 강희제의 피휘. 강희제의 이름 현엽(玄燁)에서 마지막 획을 긋지 않았다. 이런 피휘법을 결획(缺劃)이라 한다. 피휘(避諱)는 군주나 자신의 조상의 이름에 쓰인 글자를 사용하지 않는 관습이.

새로운!!: 구당서와 피휘 · 더보기 »

설세웅

설세웅(薛世雄, 555년 ~ 617년)은 수나라의 장군이.

새로운!!: 구당서와 설세웅 · 더보기 »

서융

사이의 명칭 서융(西戎)은 중국 역사에서 서쪽에 사는 이민족(한족 이외의 민족)을 일컬어 부르는 말이.

새로운!!: 구당서와 서융 · 더보기 »

속말말갈

속말말갈(粟末靺鞨)은 말갈의 한 부족이.

새로운!!: 구당서와 속말말갈 · 더보기 »

송짼감뽀

송짼감뽀(생년 미상 ~ 650년)는 토번의 제33대 짼뽀이.

새로운!!: 구당서와 송짼감뽀 · 더보기 »

소정방

소정방(蘇定方, 592년 ~ 667년)은 당나라의 장군이.

새로운!!: 구당서와 소정방 · 더보기 »

소중화사상

소중화사상의 화이질서 소중화사상(小中華思想)은 중국 이외의 나라에서 중화사상의 영향을 받아 발달한 자민족 중심주의 사상이.

새로운!!: 구당서와 소중화사상 · 더보기 »

쇼와 (가마쿠라 시대)

쇼와(正和, しょうわ)는, 일본의 연호(元号) 중 하나이.

새로운!!: 구당서와 쇼와 (가마쿠라 시대) · 더보기 »

한국의 민속놀이

국의 민속놀이(韓國-民俗-)는 한국의 전통적인 놀이를 말. 예로부터 주로 서민층에서 명절이나 혹은 특별한 일이 있을 경우에 예식의 하나로서 여흥을 돋구고자, 또는 어린이들 사이에서 교육과 유희를 위해 행하여졌.

새로운!!: 구당서와 한국의 민속놀이 · 더보기 »

한진춘추

《한진춘추(漢晉春秋)》는 중국 동진의 습착치가 지은 역사서이.

새로운!!: 구당서와 한진춘추 · 더보기 »

한윤중

윤중(韓允中, Han Yunzhong, 814년 ~ 874년)은 중국 당나라 후기에 활약했던 무장으로, 한 차례 있었던 반란을 통해 당시 사실상 조정으로부터 독립 상태였던 위박(魏博. 본거지는 현 허베이 성 한단 시) 번진(藩鎭)의 지배권을 탈취하였고, 이후 절도사(節度使)로서 870년부터 874년 사망할 때까지 위박 번진을 지배하였.

새로운!!: 구당서와 한윤중 · 더보기 »

안장왕

안장왕(安臧王, ? ~ 531년, 재위: 519년 ~ 531년)은 고구려의 제22대 군주이.

새로운!!: 구당서와 안장왕 · 더보기 »

안사고

안사고(顔師古, 581년 ~ 645년)는 중국 당나라 초기의 학자이.

새로운!!: 구당서와 안사고 · 더보기 »

필사탁

사탁(畢師鐸, ? ~ 888년 3월 2일《자치통감》, 권257.)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장령(將領)이었.

새로운!!: 구당서와 필사탁 · 더보기 »

악언정

악언정(樂彦禎, ? ~ 888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위박(魏博, 본부는 지금의 허베이 성 한단 시) 번진(藩鎭)을 그곳의 절도사(節度使)로서 883년부터 888년까지 지배하였.

새로운!!: 구당서와 악언정 · 더보기 »

신당서

《신당서》(新唐書)는 북송 인종이 《구당서》(舊唐書)의 내용이 왜곡된 것이 많고 너무 부실하다고 하여 구양수 등에 명하여 1044년 ~ 1060년에 걸쳐 완성한 당나라의 역사를 서술한 책이.

새로운!!: 구당서와 신당서 · 더보기 »

실위

실위(室韋, 병음:Shìwéi)는 6세기에서 10세기까지 중국 동북부의 넌장 강, 아르군 강, 흑룡강 유역에 존재했던 민족이.

새로운!!: 구당서와 실위 · 더보기 »

홍려정비

홍려정비 홍려정비(鴻臚井碑)는, 선천(先天) 2년/개원(開元) 원년(713년) 진국왕 대조영을 발해군왕(渤海郡王)으로 책봉하기 위해 당에서 파견되었던 대홍려(大鴻臚) 최흔(崔忻)이 지금의 중국 랴오닝 성 뤼순에 우물을 파면서 그 우물 옆에 세웠던 기념비이.

새로운!!: 구당서와 홍려정비 · 더보기 »

왜인

왜인(倭人) 혹은 왜족(倭族)은 일본인을 달리 이르는 말로써, 고대부터 한국과 중국에서는 일본 열도(日本列島)을 왜라 불렀고, 그 곳에 거주하는 주민을 왜인이라 하였.

새로운!!: 구당서와 왜인 · 더보기 »

화백 (신라)

화백(和白)은 신라 때에 나라의 중대사를 의논하던 귀족 회의 제도이며, 의결 방법은 만장일치제였.

새로운!!: 구당서와 화백 (신라) · 더보기 »

왕문도

왕문도(王文度, ? ~ 660년)는 당나라의 무장이.

새로운!!: 구당서와 왕문도 · 더보기 »

왕건조

왕건조(王建肇, Wang Jianzhao, 생몰년 미상)는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87년부터 888년까지 형남 번진(荊南藩鎭, 본거지는 현 후베이 성 징저우 시)을 지배하였고, 이후 무태군 절도사(武泰軍節度使, 본거지는 지금의 충칭)로서 888년부터 896년 왕건에게로 투항할 때까지 무태군 번진을 지배하였.

새로운!!: 구당서와 왕건조 · 더보기 »

왕고 (당나라)

왕고(王郜, Wang Gao, 생몰년 미상)는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95년 아버지 왕처존의 지위를 상속한 이후 900년 패망할 때까지 의무군(義武軍, 본거지는 현 허베이 성 바오딩 시)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구당서와 왕고 (당나라) · 더보기 »

왕중영 (형)

왕중영(王重盈, Wang Chongying, ? ~ 895년 2월 12일타이완 중앙연구원 《자치통감》, 권 260)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섬괵절도사(陝虢節度使. 본거지는 현 허난 성 싼먼샤 시, 재위 883년 ~ 887년)・호국군 절도사(護國軍節度使. 본거지는 현 산시 성 윈청 시, 재위 887년 ~ 895년) 등을 역임하였으며, 절도사로서 이들 해당 번진(藩鎭)을 세습 지배했던 것으로 유명.

새로운!!: 구당서와 왕중영 (형) · 더보기 »

왕세충

왕세충(王世充, Wang Shichong, ? ~ 621년)은 수나라 말기부터 당나라 초기에 걸쳐 활약했던 군웅이자 수나라 최후의 황제인 양동(楊侗. 수 애제)을 섬겼던 수나라의 장수 중 한 사람으로, 후에 정나라의 황제를 자칭하여 짧은 기간 동안 하남 일대를 지배하였.

새로운!!: 구당서와 왕세충 · 더보기 »

1책 12법

1책 12법(一責十二法)은 부여의 법률로 남의 물건을 훔쳤을 때는 물건 값의 12배를 배상하도록 한 것이.

새로운!!: 구당서와 1책 12법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당서.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