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국립서울현충원

색인 국립서울현충원

국립서울현충원(國立-顯忠院, Seoul National Cemetery)은 대한민국 국방부의 소속기관이.

86 처지: 더불어민주당원 댓글 조작 사건, 동작구, 동작역, 리라초등학교, 마르그레테 2세, 문재인 정부, 백운택, 박범집, 박병선 (역사학자), 박노규, 강재구, 박정희, 박태준 (1927년), 박시창, 권동찬, 부천버스, 부안군 이석수 묘역, 김백일, 김경진 (군인), 김대중, 김정렬 (1917년), 김준 (1926년), 김영삼, 김학철 (군인), 대우 BF,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의 대통령, 국립묘지, 국립대전현충원, 국립임실호국원, 국립이천호국원, 국립호국원, 국립현충원, 국립산청호국원,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국장 (장례), 남성교통, 담철곤, 우덕순의사기념사업회, 이보영 (배우), 이근석, 이승만, 이응준 (군인), 이은찬 (1878년), 이태영, 이원등, 전선애, 정일형, 정선엽, ..., 조만식, 조근해, 조창호 (군인), 중부운수, 지덕칠, 지장사 (서울), 창빈 안씨 묘역, 청계산 수송기 추락 사고, 육영수, 윤병현, 새정치연합, 오규봉, 오산 현충탑 공원, 현충로, 현충일, 현충천, 양세봉, 연천 후임병 폭행사망 사건, 삼선버스, 프랭크 스코필드, 프란체스카 도너, 서울 지장사 철불좌상, 서울 지장사 약사불도, 서울특별시도 제45호선, 서울승합, 서재필, 함준호, 안병범 (1890년), 하일성, 심흥선, 심상우, 1기 지하철, 2009년 8월, 2010년 2월, 5·18 광주 민주화 운동, 7월 15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6 더) »

더불어민주당원 댓글 조작 사건

불어민주당원 댓글 조작 사건은 친노 친문 파워블로거이자 경제적공진화모임(경공모) 대표인 김동원(필명: 드루킹)을 비롯한 경공모 회원이자 더불어민주당 권리당원들이 인터넷에서 각종 여론조작을 하였다는 혐의 및 의혹이 불거진 사건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더불어민주당원 댓글 조작 사건 · 더보기 »

동작구

동작구(銅雀區)는 서울특별시의 남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동작구 · 더보기 »

동작역

동작(현충원)역(銅雀(顯忠院)驛)은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과 서초구 반포본동의 경계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4호선과 서울 지하철 9호선의 환승역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동작역 · 더보기 »

리라초등학교

리라초등학교는 서울특별시 중구에 위치하고 있는 사립 초등학교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리라초등학교 · 더보기 »

마르그레테 2세

마르그레테 2세(1940년 4월 16일~)는 덴마크의 현 여왕으로 본명은 마르그레테 알렉산드리네 토릴두르 잉리드()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마르그레테 2세 · 더보기 »

문재인 정부

문재인 정부(文在寅政府, 2017년 ~)는 대한민국 제6공화국의 일곱 번째 대한민국 정부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문재인 정부 · 더보기 »

백운택

백운택(白雲澤, 1932년 3월 13일 ~ 1982년 11월 3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백운택 · 더보기 »

박범집

박범집(朴範集, 일본식 이름: 東林益範 도하야시 에키모토, 1917년 ~ 1950년 11월 12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박범집 · 더보기 »

박병선 (역사학자)

박병선(朴炳善, 1923년 3월 25일 ~ 2011년 11월 22일)은 대한민국의 역사학자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박병선 (역사학자) · 더보기 »

박노규

박노규(朴魯珪, 1918년 3월 14일 ~ 1951년 3월 3일)는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한국 전쟁 당시 전사.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박노규 · 더보기 »

강재구

강재구(姜在求, 1937년 7월 26일 ~ 1965년 10월 4일)는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강재구 · 더보기 »

박정희

박정희(朴正熙, 1917년 11월 14일 ~ 1979년 10월 26일)는 대한민국의 제5·6·7·8·9대 대통령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박정희 · 더보기 »

박태준 (1927년)

박태준(朴泰俊, 1927년 10월 24일 ~ 2011년 12월 13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기업가, 정치가, 학교법인인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박태준 (1927년) · 더보기 »

박시창

박시창(朴始昌, 1903년 11월 5일 ~ 1986년 6월 7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군인이자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소장이며 사회운동가 겸 사회기관단체장이었.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박시창 · 더보기 »

권동찬

동찬(權東贊, 1919년 2월 15일 ~ 1951년 1월 1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한국 전쟁 당시 자. 강원도 철원의 동송 출생으로 1934년 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철원공립보통학교 고등과에 입학하여 1936년 3월에 졸업하고 경성지구법원 철원지청에 취직하였.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권동찬 · 더보기 »

부천버스

부천버스 (富川―, Bucheon Bus)는 경기도 부천시 소재의 시내버스 운수 업체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부천버스 · 더보기 »

부안군 이석수 묘역

부안군 이석수 묘역(扶安君 李碩壽 墓域)은 서울특별시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 있는 무덤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부안군 이석수 묘역 · 더보기 »

김백일

경상남도 거제도 포로수용소의 김백일 동상 경상남도 거제도 포로수용소의 김백일 동상 김백일(金白一, 1917년 1월 30일 ~ 1951년 3월 28일)은 만주국과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김백일 · 더보기 »

김경진 (군인)

경진(金慶珍, 1920년 9월 8일 ~ 1952년 10월 11일)은 대한민국의 육군 장교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김경진 (군인) · 더보기 »

김대중

중(金大中, 1924년 1월 6일 ~ 2009년 8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제15대 대통령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김대중 · 더보기 »

김정렬 (1917년)

정렬(金貞烈, 일본식 이름: 香川貞雄 카가와 사다오, 1917년 9월 29일 ~ 1992년 9월 7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 외교관, 기업가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김정렬 (1917년) · 더보기 »

김준 (1926년)

준 사진 김준(金準, 1926년 4월 26일 ~2012년 2월 13일)은 대한민국 새마을운동의 선구자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김준 (1926년) · 더보기 »

김영삼

영삼(金泳三, 1927년 12월 20일 ~ 2015년 11월 22일)은 대한민국의 제14대 대통령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김영삼 · 더보기 »

김학철 (군인)

학철(金學喆, 1941년 ~ 1974년 11월 20일)은 제1땅굴 조사 중 부비트랩 폭발로 전사한 대한민국 해병대의 군인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김학철 (군인) · 더보기 »

대우 BF

자일대우 BF는 자일대우버스의 대형 전방엔진 상용 버스 차종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대우 BF · 더보기 »

대한민국 국방부

국방부(國防部,, 약칭: MND)는 국방에 관련된 군정 및 군령과 그 밖에 군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대한민국 국방부 · 더보기 »

대한민국 국군

민국 국군(大韓民國 國軍)은 1948년 8월 15일에 창설된 대한민국의 군대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대한민국 국군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대통령

민국 대통령(大韓民國 大統領)은 대한민국의 국가원수이자 정부수반으로서 임기는 5년이며 연임과 중임이 불가능.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대한민국의 대통령 · 더보기 »

국립묘지

국립묘지(國立墓地)는 국가나 사회를 위하여 희생, 공헌한 사람이 사망한 후 그를 안장하고 충의와 위훈의 정신을 기리며 선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국가가 설립하여 관리하는 묘지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국립묘지 · 더보기 »

국립대전현충원

현충문 홍살문 국립대전현충원(國立大田顯忠院, Daejeon National Cemetery)은 대한민국 국가보훈처의 소속기관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국립대전현충원 · 더보기 »

국립임실호국원

국립임실호국원(國立任實護國園, Imsil National Cemetery)은 국민들의 애국정신 함양을 위한 호국의 성지로 활용하기 위하여 설립된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소속의 국립묘지로 국립임실호국원장(4급)은 서기관 또는 기술서기관으로 보. 전라북도 임실군 강진면 호국로 420에 위치하고 있.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국립임실호국원 · 더보기 »

국립이천호국원

국립이천호국원(國立利川護國園, Icheon National Cemetery)은 국가와 민족을 위해 희생과 공훈을 한 국가유공자, 참전유공자가 작고한 후 그 분들을 안장하고 명예를 선양하는 호국의 성지인 동시에 나라사랑 교육장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설립된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소속의 국립묘지로 국립이천호국원장(4급)은 서기관 또는 기술서기관으로 보. 경기도 이천시 설성면 노성로 260(대죽리 1085)에 위치하고 있.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국립이천호국원 · 더보기 »

국립호국원

국립호국원(國立護國園, National Cemetery)은 만장되어가는 국립현충원을 대체하고 더 많은 대한민국의 국가유공자를 안장하려는 취지에서 재향군인회가 국가보훈처로부터 위임을 받아 운영을 하다가 국가가 국가를 위해 희생한 사람들의 마지막 공간을 국가가 직접 관리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면서 2006년 1월 30일에 국립묘지로 승격되었고 2007년 1월 1일부터 국가보훈처가 직접 관리하고 있.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국립호국원 · 더보기 »

국립현충원

국립현충원(National Cemetery, National Memorial Board, 國立顯忠院)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국립현충원 · 더보기 »

국립산청호국원

국립산청호국원(國立山淸護國園, Sancheong National Cemetery)은 참전용사와 장기복무 제대군인 등 국가에 헌신한 유공자의 유해를 안장하기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소속의 국립묘지로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목화로170번길 57에 위치하고 있. 2006년 3월 「향군 참전군인묘지 조성사업계획」을 수립 및 부지매입, 기본설계를 실시하여 2015년 4월 2일에 개원 하였으며, 영천호국원(2001년 4월 27일 준공), 임실호국원(2002년 4월 30일 준공), 이천호국원(2008년 4월 30일 준공)에 이어 네 번째이며, 국립산청호국원장은 서기관이나 기술서기관으로 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국립산청호국원 · 더보기 »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國防部 遺骸發掘鑑識團, MND Agency for KIA Recovery & Identification)은 전사자의 유해를 발굴하여 가족의 품으로 보내는 보훈 사업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국방부의 직속부대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 더보기 »

국장 (장례)

제럴드 포드 전 미국 대통령의 국장 국장(國葬)은 장례의 형식으로, 국가나 사회에 현저한 공적을 남긴 사람의 장례를 국비로 치르는 것을 말. 미국, 영국, 대한민국과 그밖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등 많은 국가에서 이와 같은 장례 형식을 가지고 있.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국장 (장례) · 더보기 »

남성교통

성교통 (南城交通)은 서울특별시 송파구, 경기도 성남시 등에 연고를 둔 시내버스 업체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남성교통 · 더보기 »

담철곤

(譚哲坤, 1955년 ~)은 오리온그룹 회장을 맡고 있는 대한민국의 기업인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담철곤 · 더보기 »

우덕순의사기념사업회

우덕순의사기념사업회는 1909년 10월 중국 하얼빈에서 안중근(安重根)과 함께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처단을 계획했던 애국지사 우덕순(禹德淳)을 기념하기 위해 우덕순 순국 61주년이 되는 2011년 9월 26일 출범한 비정부 민간단체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우덕순의사기념사업회 · 더보기 »

이보영 (배우)

이보영(李寶英, 1979년 1월 12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이보영 (배우) · 더보기 »

이근석

이근석(李根晳, 1917년 1월 17일 ~ 1950년 7월 4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이근석 · 더보기 »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이승만 · 더보기 »

이응준 (군인)

이응준(李應俊, 1890년 8월 12일 ∼ 1985년 7월 8일)는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이다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중장.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이응준 (군인) · 더보기 »

이은찬 (1878년)

이은찬(문숙공, 李殷瓚, 1878년 ~ 1909년)은 13도 창의군을 조직하고 한성진공작전을 기획한 대한제국의 의병장이며 독립유공자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이은찬 (1878년) · 더보기 »

이태영

이태영(李兌榮, 1914년 8월 10일 ~ 1998년 12월 17일)은 대한민국의 변호사이자 사회운동가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이태영 · 더보기 »

이원등

이원등(李源登, 1935년 6월 25일 ~ 1966년 2월 4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육군 스카이다이버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이원등 · 더보기 »

전선애

전선애(田善愛, 1904년~2000년 3월 29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겸 교육자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전선애 · 더보기 »

정일형

정일형(鄭一亨, 1904년 2월 23일 ~ 1982년 4월 25일)은 대한민국의 관료이며 정치인이다. 미군정기 때 미군정청 인사행정처장과 물자행정처장을 지냈으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야당에서 활약하였다. 제2공화국의 두 번째 외무부 장관이었으며, 5·16 군사 정변 이후 실각하였다. 한민당의 창당 멤버이자 민주당의 당원이었으나, 민주당 신파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신파의 영수였던 국무총리 장면과의 사이는 원만하지 못했다. 한국 초기 여성 변호사인 이태영의 남편이자, 정치인 정대철의 아버지이자 정치인 정호준의 할아버지이며, 이윤영의 처조카였다. 호(號)는 금연(錦淵)이다.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정일형 · 더보기 »

정선엽

정선엽(鄭善燁, ? ~ 1979년 12월 13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12.12 군사 반란 중에 반란군에 저항하다가 총격을 받고 순국하였.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정선엽 · 더보기 »

조만식

조만식(曺晩植, 1883년 2월 1일(1882년 음력 12월 24일) ~ 1950년 10월 18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종교인·언론인·시민사회단체인·정치인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조만식 · 더보기 »

조근해

조근해(趙根海, 1938년 11월 29일 ~ 1994년 3월 2일)는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조근해 · 더보기 »

조창호 (군인)

조창호(趙昌浩, 1932년 ~ 2006년 11월 19일)는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한국 전쟁 당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포로로 납북되어 전사자로 처리되었다가 43년 여만에 대한민국에 귀환한 인물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조창호 (군인) · 더보기 »

중부운수

중부운수(中部運輸)는 서울특별시 양천구 지양로 106에 있는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업체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중부운수 · 더보기 »

지덕칠

덕칠(池德七, 1940년 11월 3일 ~ 1967년 2월 1일)은 베트남 전쟁에서 활약하다가 전사한 대한민국 해군의 군인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지덕칠 · 더보기 »

지장사 (서울)

장사(地藏寺)는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 내에 있는 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지장사 (서울) · 더보기 »

창빈 안씨 묘역

창빈 안씨 묘역(昌嬪 安氏 墓域)은 조선 제11대 임금 중종(1488∼1544)의 후궁으로 선조(1552∼1608)의 할머니가 되는 창빈 안씨(昌嬪安氏, 1499∼1549)의 신도비와 묘소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창빈 안씨 묘역 · 더보기 »

청계산 수송기 추락 사고

청계산 수송기 추락 사고(淸溪山輸送機墜落事故)는 1982년 6월 1일에 경기도 과천시 중앙동 청계산 중턱(성남시 서북방 7km) 지점에 대한민국 공군 C-123 수송기가 추락한 사고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청계산 수송기 추락 사고 · 더보기 »

육영수

육영수(陸英修, 1925년 11월 29일 ~ 1974년 8월 15일)는 대한민국의 제5·6·7·8·9대 대통령을 지낸 박정희의 부인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육영수 · 더보기 »

윤병현

윤병현(尹昞賢, 1920년 10월 5일 ∼ 2006년 12월 7일)은 대한민국의 육군참모차장과 육군 제2군사령관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윤병현 · 더보기 »

새정치연합

새정치연합(新政治聯合)은 국회의원 안철수가 중심이 돼서 창당을 준비하던 정당이었.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새정치연합 · 더보기 »

오규봉

오규봉(吳奎鳳, 1928년 10월 4일 ~ 1952년 10월 12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백마 고지 전투에서 싸우다 전사.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오규봉 · 더보기 »

오산 현충탑 공원

오산 현충탑 공원은 경기도 오산시에 시립 공원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오산 현충탑 공원 · 더보기 »

현충로

현충로(顯忠路)는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1동 한강대교 남단사거리에서 동작동 이수교차로를 잇는 왕복 8차선 도로로, 길이는 3.1km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현충로 · 더보기 »

현충일

현충일(顯忠日)은 나라를 위해 희생한 순국선열(殉國先烈)과 전몰(戰歿)한 장병들의 충렬을 기리고 얼을 위로하기 위하여 지정된 대한민국의 기념일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현충일 · 더보기 »

현충천

현충천(顯忠川)은 서울특별시 동작구 공작봉(孔雀峰)에서 발원하여 박정희 대통령 묘역 아래쪽의 공작지(孔雀池)로 유입되었다가, 국립현충원 가운데를 관통하며 한강으로 흘러드는 하천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현충천 · 더보기 »

양세봉

양세봉(梁世奉, 1896년 7월 15일 (음력 6월 5일) ~ 1934년 9월 20일 (음력 8월 12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양세봉 · 더보기 »

연천 후임병 폭행사망 사건

연천 후임병 폭행사망 사건(漣川後任兵暴行死亡事件)은 2014년 4월 7일 경기도 연천군에 있는 대한민국 육군 6군단 예하 28사단 977포병대대 의무대 내무반에서 후임인 윤 일병이 이찬희 병장 등 선임병 4명과 유경수 하사 등 초급 간부에게 지속적으로 폭행당해 사망한 사건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연천 후임병 폭행사망 사건 · 더보기 »

삼선버스

삼선버스(三仙―)는 서울특별시 강동구의 옛 시내버스 회사였고, 본사는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 210-1번지에 위치해 있었.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삼선버스 · 더보기 »

프랭크 스코필드

랭크 윌리엄 스코필드(Frank William Schofield, 1889년 3월 15일 ~ 1970년 4월 12일)는 캐나다의 감리교 선교사이자, 수의학자이며 세균학자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프랭크 스코필드 · 더보기 »

프란체스카 도너

스카 도너(1900년 6월 15일 ~ 1992년 3월 19일)는 대한민국의 제1, 2, 3대 대통령 이승만의 두 번째 아내로, 한번 결혼했으나 이혼했고, 1931년 빈 회의에 참석차 오스트리아를 방문한 이승만과 만났다가 그와 재혼하였.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프란체스카 도너 · 더보기 »

서울 지장사 철불좌상

서울 지장사 철불좌상(서울 地藏寺 鐵佛坐像)은 서울특별시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내 호국지장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서울 지장사 철불좌상 · 더보기 »

서울 지장사 약사불도

장사 약사불도(地藏寺 藥師佛圖)는 서울특별시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호국지장사에 있는, 여래좌상을 중심으로 협시보살과 청중들이 군도 형식으로 그려진 설법도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서울 지장사 약사불도 · 더보기 »

서울특별시도 제45호선

서울특별시도 제45호선 (과해 ~ 삼성선)은 서울특별시 강서구 과해동 김포공항입구 교차로에서 강남구 삼성동 봉은교를 잇는 특별시도 노선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서울특별시도 제45호선 · 더보기 »

서울승합

주식회사 서울승합(株式會社 ―乘合)은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운수 업체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서울승합 · 더보기 »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서재필 · 더보기 »

함준호

준호(咸俊鎬, 1921년 11월 17일 ~ 1950년 6월 27일)는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한국 전쟁 당시 창동 전투에서 전사.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함준호 · 더보기 »

안병범 (1890년)

안병범(安秉範, 일본식 이름: 亀村貞信, 1890년 ~ 1950년 7월 29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안병범 (1890년) · 더보기 »

하일성

일성(河日成, 1949년 2월 18일 ~ 2016년 9월 8일)은 야구해설위원과 KBO 사무총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체육인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하일성 · 더보기 »

심흥선

심흥선(沈興善, 1925년 1월 18일 ~ 1978년 9월 19일, 경기 개성)은 대한민국의 육군 대장, 합참의장, 총무처 장관이었.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심흥선 · 더보기 »

심상우

심상우(沈相宇, 1938년 5월 7일 ~ 1983년 10월 9일)는 대한민국 기업가 겸 언론인 출신의 국회의원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심상우 · 더보기 »

1기 지하철

1기 지하철은 서울 지하철의 상반기에 해당되는 때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1기 지하철 · 더보기 »

2009년 8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2009년 8월 · 더보기 »

2010년 2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2010년 2월 · 더보기 »

5·18 광주 민주화 운동

5·18 광주 민주화 운동(五一八光州民主化運動) 혹은 광주민중항쟁(光州民衆抗爭)은 1980년 5월 18일부터 5월 27일까지 광주시민과 전라남도민이 중심이 되어, 조속한 민주 정부 수립, 전두환 보안사령관을 비롯한 신군부 세력의 퇴진 및 계엄령 철폐 등을 요구하며 전개한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이.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5·18 광주 민주화 운동 · 더보기 »

7월 15일

7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6번째(윤년일 경우 19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국립서울현충원와 7월 15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국립 서울 현충원, 서울국립현충원, 서울현충원.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