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국민협회

색인 국민협회

국민협회(國民協會)는 1920년 1월에 설립된 일제 강점기의 시민 사회운동 단체로 신일본주의를 표방하였으며, 조선인 참정권, 자치권 운동을 추진하던 단체이.

48 처지: 동민회, 민원식, 배영춘, 강병옥, 박봉주 (1868년), 강이황 (1897년), 강인우, 고희준, 귀족원 (일본), 김명준 (1870년), 김갑순, 김상회, 김형옥, 김석태, 김환 (언론인), 국민협회 (동음이의), 장상철, 임창수, 이동우 (1897년), 이동혁 (1875년), 이병렬 (1870년), 이병학 (1866년), 이기세 (1888년), 이택규 (1875년), 제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전부일, 전부일 (1899년), 전석영, 전성욱, 정병조, 정관조, 정규환, 조병렬, 차종호 (관료), 윤갑병, 윤필오, 위정학, 상호 (1879년), 최석하, 양근환, 엄준원, 석명선 (1870년), 한준석 (1877년), 한영원, 신석린, 신석우 (1869년), 홍승구, 1940년.

동민회

동민회(同民會)는 일제 강점기에 반일 운동에 대항하기 위해 조직되어 활동했던 단체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동민회 · 더보기 »

민원식

민원식(閔元植, 1886년 7월 12일 ~ 1921년 2월 17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사회 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언론인, 사상가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민원식 · 더보기 »

배영춘

배영춘(裵榮春, 일본식 이름: 武本榮一, 1894년 ~ ?)은 일제 강점기의 기업인 겸 관료이자 충청남도 지역 유지로, 충청남도 논산군 출신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배영춘 · 더보기 »

강병옥

강병옥(康秉鈺, 1880년 1월 19일 ~ 1928년 7월 29일)은 일제 강점기의 의사이자 평안남도 지역의 유지였고,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국민협회와 강병옥 · 더보기 »

박봉주 (1868년)

박봉주(朴鳳柱, 1868년 음력 12월 7일~1936년 양력 9월 29일)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국민협회와 박봉주 (1868년) · 더보기 »

강이황 (1897년)

강이황(姜利璜, 일본식 이름: 岡利晃, 1897년 3월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적은 평안북도 의주군 광성면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강이황 (1897년) · 더보기 »

강인우

강인우(姜麟右)는 일제 강점기의 경찰 출신 관료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강인우 · 더보기 »

고희준

희준(高羲駿, 일본식 이름: 高島基, 1880년 11월 ~ ?)은 일제 강점기에 친일 단체 국민협회 간부를 지냈고, 일제 말기에 태평양 전쟁 지원에 참여한 인물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고희준 · 더보기 »

귀족원 (일본)

족원의 회의 장면을 그린 그림. 귀족원 (House of Peers)은 근대 일본 제국의 의회로, 입법부의 주축의 하나이며 일본 제국 헌법에 따라 세워진 일본 제국의회 중 하나였.

새로운!!: 국민협회와 귀족원 (일본) · 더보기 »

김명준 (1870년)

명준(金明濬, 일본식 이름: 金田明, 1870년 양력 10월 26일 ~ ?)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사회 운동가, 교육자, 언론인, 대한민국의 언론인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김명준 (1870년) · 더보기 »

김갑순

갑순, 1910년 무렵 김갑순(金甲淳, 일본식 이름: 金井甲淳, 1872년 5월 22일 ~ 1961년 6월)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기업인, 자본가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김갑순 · 더보기 »

김상회

상회(金尙會, 일본식 이름: 豊原以尙, 1890년 4월 10일 ~ 1962년 5월 17일)는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 겸 관료로, 본적은 서울특별시 중구 다동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김상회 · 더보기 »

김형옥

형옥(金衡玉, 1868년 4월 2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 겸 기업인으로, 본관은 안의, 본적은 경성부 남부(南部) 죽동(竹洞)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김형옥 · 더보기 »

김석태

석태(金錫泰, 일본식 이름: 神林誠, 1870년 1월 3일 ~ 1945년 4월 11일)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적은 경성부 평동정(平洞町)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김석태 · 더보기 »

김환 (언론인)

환(金丸, ? ~ ?)은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김환 (언론인) · 더보기 »

국민협회 (동음이의)

국민협회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국민협회와 국민협회 (동음이의) · 더보기 »

장상철

장상철(張相轍, 1870년 10월 17일 ~ 1930년 10월 20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적은 경상북도 대구부 덕산정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장상철 · 더보기 »

임창수

임창수(林昌洙, 1892년 10월 19일 ~ 1960년 2월 21일)는 일제 강점기의 법조인 겸 관료로, 본적은 충청남도 연기군 남면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임창수 · 더보기 »

이동우 (1897년)

이동우(李東雨, 1879년 10월 22일 ~ 1934년 9월 21일)는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지냈으며 본관은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면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이동우 (1897년) · 더보기 »

이동혁 (1875년)

이동혁(李東爀, 일본식 이름: 森山肇三, 1875년 5월 24일 ~ 1948년 9월 28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적은 경성부 내자정(內資町)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이동혁 (1875년) · 더보기 »

이병렬 (1870년)

이병렬(李炳烈, 일본식 이름: 淸原炳烈, 1870년 7월 28일 (음력 7월 1일) ~ 1955년 양력 11월 20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새로운!!: 국민협회와 이병렬 (1870년) · 더보기 »

이병학 (1866년)

이병학(李柄學, 초명은 李炳學(1915년 6월 6일 李柄學으로 개명하기 이전까지 사용함), 일본식 이름: 靑木柄學 아오키 헤이가쿠, 1866년 10월 17일 ~ 1942년 11월 9일)은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겸 기업가이자 금융인으로, 본관은 인천(仁川)이고 호(號)는 청관(淸館)이며 원적지는 경상북도 대구부 횡정(橫町)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이병학 (1866년) · 더보기 »

이기세 (1888년)

이기세 이기세(李基世, 일본식 이름: 高山基世, 1888년 10월 11일 ~ 1945년)는 일제 강점기에 문예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한 인물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이기세 (1888년) · 더보기 »

이택규 (1875년)

이택규(李宅珪, 일본식 이름: 牧山宅珪, 1875년 7월 20일 ~ 1951년 5월 4일)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적은 강원도 원주군 판부면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이택규 (1875년) · 더보기 »

제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제5회 일본 중의원 선거는 1898년 3월 15일 일본에서 치러진 중의원 선.

새로운!!: 국민협회와 제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더보기 »

전부일

전부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국민협회와 전부일 · 더보기 »

전부일 (1899년)

전부일(全富一, 1899년 7월 29일 ~ 1964년 11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의 실업가로, 본명은 전송수(全松修)이며 본적은 경성부 다옥정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전부일 (1899년) · 더보기 »

전석영

전석영(全錫泳,, 1893년 10월 29일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국민협회와 전석영 · 더보기 »

전성욱

전성욱(全聖旭, 일본식 이름: 江原聖旭, 1877년 5월 20일 ~ 1945년 12월 8일)은 대한제국의 교육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금융인 겸 관료로, 본적은 경성부 소격정(昭格町)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전성욱 · 더보기 »

정병조

정병조(鄭丙朝, 1863년 양력 11월 2일 ~ 1945년 양력 6월 10일)는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지낸 학자로, 자는 관경(寬卿), 호는 규원(葵園)이며 본관은 동래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정병조 · 더보기 »

정관조

정관조(鄭觀朝, 1860년 1월 ~ ?)는 대한제국의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적은 평안남도 평양부 전구리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정관조 · 더보기 »

정규환

정규환(鄭圭煥, 일본식 이름: 萊山圭煥, 1875년 8월 7일 ~ 1946년 4월 26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적은 경성부 사직정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정규환 · 더보기 »

조병렬

조병렬(趙炳烈, 일본식 이름: 嘉川久士, 1872년 1월 5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적은 경성부 돈의정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조병렬 · 더보기 »

차종호 (관료)

종호(車宗鎬, ? ~ ?)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적은 경성부 어성정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차종호 (관료) · 더보기 »

윤갑병

윤갑병(尹甲炳, 일본식 이름: 平沼秀雄, 1863년 8월 28일 ~ 1943년 1월 5일)은 일제 강점기에 여러 친일단체에서 활동했던 인물로, 본적은 경성부 명륜정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윤갑병 · 더보기 »

윤필오

윤필오(尹弼五, 1860년 음력 9월 10일 ~ 1924년 양력 3월 30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인,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 초기의 관료, 시민운동가였.

새로운!!: 국민협회와 윤필오 · 더보기 »

위정학

위정학(魏楨鶴, 일본식 이름: 三山鶴市, 1890년 9월 4일 ~ ?)은 일제 강점기의 기업인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새로운!!: 국민협회와 위정학 · 더보기 »

상호 (1879년)

상호(尙灝, 일본식 이름: 尙川灝吉, 1879년 1월 22일 ~ 1948년 2월 4일)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호는 삼범재(三凡齋), 본관은 목천이며 본적은 경성부 계동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상호 (1879년) · 더보기 »

최석하

석하(崔錫夏, 1866년 11월 20일 ~ 1929년 8월 27일)는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지낸 관료로 본적은 평안북도 의주군 의주면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최석하 · 더보기 »

양근환

양근환(梁槿煥, 1894년 5월 9일 ~ 1950년 9월)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양근환 · 더보기 »

엄준원

엄준원(嚴俊源, 1855년 음력 3월 26일 ~ 1938년 양력 2월 13일)은 대한제국의 군인, 무신이자 일제 강점기의 교육인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새로운!!: 국민협회와 엄준원 · 더보기 »

석명선 (1870년)

석명선(石明瑄, 일본식 이름: 石川明瑄, 1870년 음력 3월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새로운!!: 국민협회와 석명선 (1870년) · 더보기 »

한준석 (1877년)

준석(韓準錫, 1877년 6월 11일 ~ 1940년 3월 5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호는 소파(小坡)이며 본적은 함경남도 홍원군 주익면(州翼面)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한준석 (1877년) · 더보기 »

한영원

영원(韓永源, 1871년 8월 11일 ~ 1934년 2월 13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호는 성석(惺石), 본관은 청주이며 본적은 경성부 권농정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한영원 · 더보기 »

신석린

신석린(申錫麟, 일본식 이름: 平林麟四朗, 1865년 1월 9일 ~ 1948년 2월 14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새로운!!: 국민협회와 신석린 · 더보기 »

신석우 (1869년)

신석우(申錫雨, 일본식 이름: 石川錫雨, 1869년 6월 30일~1942년 1월 19일)는 일제 강점기의 전라북도 지역 유지이며 자본가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신석우 (1869년) · 더보기 »

홍승구

홍승구(洪承耉, 1889년 음력 8월 25일 ~ 1961년 양력 11월 12일)는 대한제국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언론인으로 활동.

새로운!!: 국민협회와 홍승구 · 더보기 »

1940년

194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국민협회와 1940년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