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국방개혁 2020

색인 국방개혁 2020

국방개혁 2020(國防改革 2020)은 대한민국 국방부가 2005년 9월 13일 공식 발표한 미래 선진정예 국방을 위한 장기적 국방 개혁안이.

62 처지: 동원전력사령부, 모병제, 미군 장갑차에 의한 중학생 압사 사건, 미사일사령부, 부사관, 대한민국 공군, 대한민국 공군작전사령부, 대한민국 병무청,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육군, 대한민국 예비군, 대한민국 해병대,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해군군수사령부, 대한민국 해군작전사령부,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 대한민국의 전시작전권 전환, 국방개혁 307계획, 국가비전 2030, 국군사이버사령부, 국제협력봉사요원, 노무현 정부, 승선근무예비역, 제102기갑여단 (대한민국), 제11군단 (대한민국), 제1함대 (대한민국), 제1야전군 (대한민국), 제2작전사령부, 제2함대 (대한민국), 제3야전군 (대한민국), 제50향토보병사단 (대한민국), 제56향토보병사단 (대한민국), 제57향토보병사단 (대한민국), 제62동원보병사단 (대한민국), 제67동원보병사단, 제7기동전단, 제9군단 (대한민국), 제9해병여단, 전문연구요원, 주특기번호, 준 부사관, 징병검사, 징병제, 지상작전사령부, 카투사, 육군, 육군훈련소, 수도방위사령부, 수도군단, ..., 예술체육요원, 현무-3, 어청수, 행정관서요원, 사단 (군사), 사회복무제도, 산업기능요원, 서북도서방위사령부, 한미연합군사령부, 신병교육대, KSS-III, 2011년 9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2 더) »

동원전력사령부

동원전력사령부(動員戰力司令部)는 대한민국 육군의 예비군사령부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동원전력사령부 · 더보기 »

모병제

없음 국가별 상비군 병력 군대가 없는 나라, 보라색 표시 모병제(募兵制)는 강제 징병하지 않고, 본인의 지원에 의한 직업군인들을 모병하여 군대를 유지하는 병역 제도를 말. 이와 반대되는 제도는 징병제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모병제 · 더보기 »

미군 장갑차에 의한 중학생 압사 사건

미군 장갑차에 의한 중학생 압사 사건은 2002년 6월 13일 당시 조양중학교 2학년이던 신효순, 심미선이 경기도 양주군 광적면 효촌리 소재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에서 갓길을 걷다 주한 미군 미 보병 2사단 대대 전투력 훈련을 위해 이동 중이던 부교 운반용 장갑차에 깔려 현장에서 숨진 사건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미군 장갑차에 의한 중학생 압사 사건 · 더보기 »

미사일사령부

미사일사령부 "무극"()은 대한민국 육군 직할의 사령부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미사일사령부 · 더보기 »

부사관

부사관(副士官)은 군대내 장교와 병 중간의 신분으로 병을 통솔, 전문적인 기술 및 지식을 견비한 간부, 즉 직업 군인이다.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부사관 · 더보기 »

대한민국 공군

민국 공군(大韓民國 空軍)은 대한민국의 영공 방위를 책임지는 국군의 일부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대한민국 공군 · 더보기 »

대한민국 공군작전사령부

공군작전사령부(空軍作戰司令部, ROKAF Operational Command)는 대한민국 공군의 최상위 사령부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대한민국 공군작전사령부 · 더보기 »

대한민국 병무청

병무청(兵務廳, Military Manpower Administration, 약칭: MMA)은 징집·소집 그 밖에 병무행정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대한민국 병무청 · 더보기 »

대한민국 국방부

국방부(國防部,, 약칭: MND)는 국방에 관련된 군정 및 군령과 그 밖에 군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대한민국 국방부 · 더보기 »

대한민국 국군

민국 국군(大韓民國 國軍)은 1948년 8월 15일에 창설된 대한민국의 군대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대한민국 국군 · 더보기 »

대한민국 육군

3사단 수색부대 대한민국 육군(大韓民國 陸軍)은 대한민국의 지상군 전력으로서 대한민국 국군(國軍)의 3군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예산도 가장 많. 2017년 12월 기준으로 대한민국 육군에는 39개 사단(기계화 보병 사단 6개수도, 8, 11, 20, 26, 30, 보병 사단 16개, 향토 방위 사단 12개, 동원 보병 사단 5개)으로 이루어져 있.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대한민국 육군 · 더보기 »

대한민국 예비군

예비군 훈련장의 사격장 제66동원보병사단 소속) 대한민국 예비군(大韓民國 豫備軍, Republic of Korea Reserve Forces, ROK Reserve Forces, ROKRF)은 평상시에는 사회 생활을 하다가 유사시(有事時)에 소집되는 대한민국 국군의 예비 전력으로, 향토예비군(鄕土豫備軍)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대한민국 예비군 · 더보기 »

대한민국 해병대

민국 해병대(大韓民國 海兵隊)는 대한민국 해군 예하에 편성되어 있는 해병대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대한민국 해병대 · 더보기 »

대한민국 해군

민국 해군(大韓民國 海軍)은 해상작전 및 상륙작전을 수행하고, 대한민국 국군(國軍)의 주요 조직으로 상륙작전을 주임무로 수행하는 해병대를 예하에 두고 있. 평시에는 전쟁 억제와 해양주권 및 권익을 보호하고 국가 대외 정책을 지원하며, 전시에는 해양 통제와 군사력 투사, 해상교통로 보호를 주 역할로 하고 있. 2014년 병력은 해병대 28,000명을 포함 총 69,000여 명이며, 전력은 수상함 163척(고속정 80여 척 포함), 잠수함 10여 척, 항공기 60여 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차기 군함들을 비롯해 모든 군함들은 선체 전체에 광범위하게 스텔스 설계를 적용하고 레이더 반사율을 줄이기 위해 경사설계를 적용하고 상륙전력으로 상륙돌격장갑차와 전차 등 4종 400여 대를 보유하고 있.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대한민국 해군 · 더보기 »

대한민국 해군군수사령부

수사령부(Naval Logistics Command)는 대한민국 해군의 군수를 담당하는 기능 사령부로서 1986년 2월 1일 창설되었으며,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현동에 자리하고 있. 국방개혁 2020 계획에 따라 2007년 12월 1일 진해 지역 안의 모든 해군 정보통신 부대를 모아 군수사령부 예하 "정보통신전대"로 통합하였.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대한민국 해군군수사령부 · 더보기 »

대한민국 해군작전사령부

작전사령부(海軍作戰司令部, Republic of Korea Fleet Command(대한민국 측) Commander-in-Chief Republic of Korea Fleet; CINCROKFLT(미국 측))는 대한민국 해군의 작전 부대를 총괄 지휘통제하는 전투 사령부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대한민국 해군작전사령부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

민국의 병역 제도는 '국민개병제'를 원칙으로 한 징병제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전시작전권 전환

민국의 전시작전권 전환은 한미연합사령부가 행사하도록 되어 있는 전시작전권을 대한민국 국군으로 전환하는 것을 말. 2006년 8월, 노무현 대통령이 전시작전권을 전환하기로 방침을 정하자 당시 야당인 한나라당과 군 원로 등 보수진영의 반대로 논쟁이 있었으나, 2009년 10월 22일 한미안보협의회(SCM)에서 대한민국과 미국 정부는 2012년 4월 17일에 전환을 재확인하였.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대한민국의 전시작전권 전환 · 더보기 »

국방개혁 307계획

국방개혁 307계혁(國防改革 307計畫)은 이명박 정부가 참여정부 시절부터 추진해오던 국방개혁 2020에 대한 수정을 거듭해오다가 천안함 피격 사건을 계기로 전면적 보완작업을 거쳐 2011년 3월 8일 발표한 국방개혁안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국방개혁 307계획 · 더보기 »

국가비전 2030

국가비전 2030은 참여정부 시절 성장과 복지의 동반성장을 위해 제시된 비전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국가비전 2030 · 더보기 »

국군사이버사령부

국군사이버사령부(國軍-司令部, R.O.K. Cyber Command)는 사이버 전쟁을 전담하는 대한민국 국방부 직할의 사령부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국군사이버사령부 · 더보기 »

국제협력봉사요원

* 현재 신규 선발이 중단되어 폐지되었.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국제협력봉사요원 · 더보기 »

노무현 정부

무현 정부(盧武鉉 政府, 2003년~2008년)는 대한민국의 제6공화국의 네 번째 정부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노무현 정부 · 더보기 »

승선근무예비역

승선근무예비역은 병역자원 일부를 평시에는 국민경제에 긴요한 물자, 전시·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비상시에는 병참을 위한 군수물자의 수송을 위한 업무 등의 지원을 위하여 소집되어 승선근무토록 하는 병역제도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승선근무예비역 · 더보기 »

제102기갑여단 (대한민국)

제102기갑여단 "일출"(102nd Armored Brigade "Sunrise") 은 강원도 양양군에 있는 제8군단의 기갑여단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제102기갑여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제11군단 (대한민국)

제11군단 "충렬"은 제2군 예하 구성군으로서 경상남도 창녕군에 있던 대한민국 육군의 군단이었.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제11군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제1함대 (대한민국)

제1함대(第一艦隊, Republic of Korea Navy 1st Fleet)는 울릉도와 독도를 포함한 동해 해역을 방위하기 위해 강원도 동해시 동해 해군기지에 사령부를 두고 있는 대한민국 해군의 함대 중 하나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제1함대 (대한민국) · 더보기 »

제1야전군 (대한민국)

제1야전군사령부(第一野戰軍司令部), 별명 "통일대"(統一臺)는 한반도 군사 분계선을 기준으로 남한의 동부 전선을 책임지고 있는 대한민국 육군의 첫 번째 야전군으로, 강원도 원주시에 사령부를 두고 있. (강원 원주 지역 방송에서 야전군사령부를 이전 한다고 한다).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제1야전군 (대한민국) · 더보기 »

제2작전사령부

제2작전사령부 "무열대"(第二作戰司令部 "武烈臺", Second Operational Command)는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본부를 두고 있는 대한민국 육군의 두 번째 야전군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제2작전사령부 · 더보기 »

제2함대 (대한민국)

제2함대(第二艦隊)는 서해 해역을 경비 및 방위하는 대한민국 해군의 함대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제2함대 (대한민국) · 더보기 »

제3야전군 (대한민국)

제3야전군 "선봉대"(第三野戰軍 "先鋒臺")는 경기도 용인시에 본부를 두고 있는 대한민국 육군의 세 번째 야전군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제3야전군 (대한민국) · 더보기 »

제50향토보병사단 (대한민국)

제50향토보병사단 "강철"(第五十步兵師團, ROK Army 50th Infantry Division)은 대구광역시 북구에 본부를 두고 있는 제2작전사령부 예하 향토 방위 사단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제50향토보병사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제56향토보병사단 (대한민국)

제56향토보병사단 "북한산"(第五十六步兵師團, The 56th Homeland Infantry Division)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 본부를 두고 있는 대한민국 육군의 향토방위 보병사단으로 수도방위사령부의 예하 부대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제56향토보병사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제57향토보병사단 (대한민국)

제57향토보병사단 "용마"(the 57 Infantry Division)는 1984년 1월 7일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존재하였던 대한민국 육군의 향토방위 보병사단으로, 수도방위사령부의 예하 사단으로서 한강위수구역 서울특별시 동북부 지역을 방위하였.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제57향토보병사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제62동원보병사단 (대한민국)

제62동원보병사단은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에 있었던 대한민국 육군의 동원 예비 보병 사단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제62동원보병사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제67동원보병사단

제67동원보병사단 "용진"은 대한민국 육군 제9군단 소속 동원예비군사단이었.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제67동원보병사단 · 더보기 »

제7기동전단

제7기동전단(第七機動戰團, ROKN 7th Task Flotilla)은 국방개혁 2020 계획에 의거하여 2010년 2월 1일에 창설된 대한민국 해군의 기동 전단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제7기동전단 · 더보기 »

제9군단 (대한민국)

제9군단 "충무"는 제2군 예하 구성군으로서 1987년 4월 1일부터 2007년 10월 31일까지 전라북도 완주군에 있던 대한민국 육군의 군단이었.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제9군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제9해병여단

제9해병여단 "백룡" (第九海兵旅團, Republic of Korea 9th Marine Brigade), 정식 명칭 해병대 제9여단은 2015년 12월 1일에 창설된 대한민국 해병대의 독립 여단으로, 제주특별자치도에 주둔하고 있.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제9해병여단 · 더보기 »

전문연구요원

전문연구요원은 대한민국의 전환, 대체복무제도 중 하나로,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병역의무가 있는 사람 가운데 일부를 선발하여 현역으로 복무하는 대신에, 연구기관에 대체 복무하도록 하는 제도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전문연구요원 · 더보기 »

주특기번호

주특기번호는 군사특기에 따라 대한민국 국군에서 장교, 준사관(준위), 부사관, 병 모두에게 부여하는 번호를 말. 4가지 신분에 따라 해당되는 번호와 특기가 각기 다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주특기번호 · 더보기 »

준 부사관

에 있었던 '일반하사'와 그의 현재 행정 상으로만 존재하는 '본인의 지원에 의하지 않고 임용된 하사', 그리고 현행 새롭게 만든 '전문하사' 등을 통칭하여 '준 부사관'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준 부사관 · 더보기 »

징병검사

징병검사(徵兵檢査)는 징병제를 실시하고 있는 나라에 살고 있는 모든 국민(주로 성인 남성)들이 군대에 복무하기 전에 군 복무에 적합인지 부적합인지를 선별받는 절차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징병검사 · 더보기 »

징병제

없음 국가별 상비군 병력 군대가 없는 나라, 보라색 표시 징병제(徵兵制)는, 국가가 국민을 대상으로, 해당 국가를 방위할 병역 의무를 강제로 부여하는 제도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징병제 · 더보기 »

지상작전사령부

상작전사령부는 제1야전군과 제3야전군을 병합하여 설립할 예정인 전투 사령부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지상작전사령부 · 더보기 »

카투사

사() 는 대한민국 육군인사사령부 예하 주한 미8군 한국군지원단(駐韓美8軍 韓國軍支援團) 소속으로서 주한 미국 육군에 파견되어 근무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군인을 말.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카투사 · 더보기 »

육군

육군(陸軍)은 지상 전투를 주임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육군 · 더보기 »

육군훈련소

호국연무사 연무대성당(김대건성당) 육군훈련소(陸軍訓練所)는 대한민국 국군의 가장 큰 교육 부대 이.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에 있는 이 부대는 대한민국 육군의 기초군사교육을 실시하는 교육 부대로서 1951년 11월 '육군 제2훈련소'라는 이름으로 창설되었.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육군훈련소 · 더보기 »

수도방위사령부

수도방위사령부의 헌병 수도방위사령부 "방패"(首都防衛司令部, Capital Defense Command)는 서울특별시를 방위하는 임무를 가진 대한민국 육군본부 직할의 사령부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수도방위사령부 · 더보기 »

수도군단

수도군단 "충의"(首都軍團)은 대한민국 육군의 군단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수도군단 · 더보기 »

예술체육요원

예술체육요원은 사회복무제도의 하나로 대한민국의 대체복무제도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예술체육요원 · 더보기 »

현무-3

세계 국가별 순항미사일 전력 비교현무-3(玄武-3)은 대한민국이 개발한 토마호크형 순항 미사일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현무-3 · 더보기 »

어청수

어청수(魚淸秀, 양력 1956년 1월 7일 / 1955년 음력 11월 25일 ~, 경상남도 진주)는 대한민국의 경찰대학장, 서울지방경찰청장, 제14대 경찰청장 등을 역임한 경찰공무원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어청수 · 더보기 »

행정관서요원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행정관서요원 · 더보기 »

사단 (군사)

NATO 군사 기호 표준에 따른 보병 사단 기호 사단(師團)은 군대에서 부대 편성 단위의 하나로, 연대나 여단보다 크고 군단보다 작은 규모의 군사 조직이며 제식편성(규정편성)부대의 최상급부대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사단 (군사) · 더보기 »

사회복무제도

사회복무제도는 대한민국에서 2007년 국군 병력 규모 및 병역 복무기간 감축과 함께 공평한 병역 부과를 목적으로, 2008년부터 시행된 대체복무제도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사회복무제도 · 더보기 »

산업기능요원

산업기능요원은 대한민국의 전환, 대체복무제도 중 하나로,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병역의무가 있는 사람 가운데 일부를 선발하여 현역으로 복무하는 대신에, 연구기관이나 산업체에 대체 복무하도록 하는 제도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산업기능요원 · 더보기 »

서북도서방위사령부

서북도서방위사령부(西北島嶼防衛司令部, Northwest Islands Defense Command)는 대한민국의 서해 5도 지역을 방위하기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 국방부의 합동 지역 사령부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서북도서방위사령부 · 더보기 »

한미연합군사령부

미연합군사령부(韓美聯合軍司令部, ROK/US Combined Forces Command, ROK-US CFC)는 1978년 11월, 대한민국과 미국 정부의 합의에 의해 대한민국 국군과 주한 미군(USFK)을 통합 지휘하는 군사 지휘기관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한미연합군사령부 · 더보기 »

신병교육대

신병교육대(新兵敎育隊)는 갓 입대한 훈련병들을 교육하는 부대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신병교육대 · 더보기 »

KSS-III

KSS-III는 장보고 III 사업으로, 대한민국 해군이 2020년에 실전배치할 3,000 ~ 3,500톤급 잠수함 개발사업이.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KSS-III · 더보기 »

2011년 9월

;군사/.

새로운!!: 국방개혁 2020와 2011년 9월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국방개혁2020.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