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군사분계선

색인 군사분계선

사 분계선(軍事分界線)은 휴전(休戰) 중인 양측의 영역을 군사적으로 나누는 경계선을 말.

50 처지: 도라산역, 동해북부선, 동해선, 미쓰야 연구, 개성공업지구, 강원도 (남), 베트남 민주 공화국, 베트남 군사 분계선, 경기만, 경원선, 병역면제, 병역판정검사, 북방한계선, 비무장 지대, 김책,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지방 관청, 대한민국의 철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교동면, 국도 제43호선, 자유의 마을, 자유의 집 (판문점), 장단면, 평강군, 이북5도위원회, 제11군단 (대한민국), 제20기계화보병사단 (대한민국), 제2군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 서해 해상 군사분계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립국 감독위원회, 지뢰, 캠프 보니파스, 판문각,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호커 800, 양안 관계, 연천군, 통일각, 한반도 군사 분계선, 황강댐, 황해도 (대한민국), 왕징면, 2007년 10월, 2007년 남북 열차 시험운행, 2008년 3월, 2009년 8월, 2015년, 2018년.

도라산역

역명판 도라산역(都羅山驛)은 대한민국 경기도 파주시 장단면 노상리에 있는 경의선의 철도역이며, 현재 경의선과 평부선의 종점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도라산역 · 더보기 »

동해북부선

동해북부선(東海北部線)은.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동해북부선 · 더보기 »

동해선

동해선(東海線)은 부산광역시 동구의 부산진역과 경상북도 포항시의 (구)포항역, 경상북도 경주시의 모량신호장과 경상북도 영덕군의 영덕역을 잇는 2개의 본선과, 7개의 지선으로 구성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동해선 · 더보기 »

미쓰야 연구

미쓰야 연구()는 1963년 일본 자위대 통합막료회의에서 행해진 모의 군사 작전 연구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미쓰야 연구 · 더보기 »

개성공업지구

성공업지구(오픈스트리트맵) 개성공업지구(開城工業地區)는 흔히 개성공단(開城工團)으로 불리며,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합작으로 추진하고 있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제특구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개성공업지구 · 더보기 »

강원도 (남)

강원도(江原道, Gangwon Province)는 대한민국의 북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강원도 (남) · 더보기 »

베트남 민주 공화국

북베트남 지도 베트남 민주공화국(越南民主共和國) 1945년 9월 2일 호찌민()을 중심으로 세워진 동남아시아 최초의 공산주의 국가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베트남 민주 공화국 · 더보기 »

베트남 군사 분계선

베트남 비무장지대 지도 베트남 군사 분계선(越南軍事分界線)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의 결과 1954년 체결된 제네바 협정에 의해 확립된 남베트남(월남)과 북베트남(월맹)의 분계선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베트남 군사 분계선 · 더보기 »

경기만

경기만(京畿灣)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황해남도 옹진반도와 대한민국의 충청남도 태안반도와 사이에 있는 반원형의 만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경기만 · 더보기 »

경원선

경원선(京元線)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용산역과 강원도 철원군의 백마고지역을 잇는 철도 노선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경원선 · 더보기 »

병역면제

* 병역면제(兵役免除)는 징병대상자에 대한 병역의 부과를 면제하는 일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병역면제 · 더보기 »

병역판정검사

병역판정검사(兵役判定檢査)는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에 있어 징병검사의 법률상 명칭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병역판정검사 · 더보기 »

북방한계선

북방한계선 북방한계선(北方限界線,, 줄여서 NLL)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 설정된 사실상의 남북 해상 군사 분계선을 말. 이중 서해 북방한계선(西海北方限界線)은 대한민국 서해 5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해안 사이에 설정된 해상 경계선으로, 1999년 제1연평해전 이후 군사적인 분쟁 이슈로 떠오르고 있.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북방한계선 · 더보기 »

비무장 지대

비무장 지대(非武裝地帶, demilitarized zone, DMZ, DZ)는 전쟁, 분쟁 상태 혹은 정전 상태에 있는 둘 이상의 국가(또는 군사 세력, 동맹) 사이에 평화 조약, 휴전 협정 등에 의해서 설치된 군사 활동이 허용되지 않는 지역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비무장 지대 · 더보기 »

김책

책 김책(金策, 1903년 8월 14일 ~ 1951년 1월 31일)은 일제 강점기 조선의 공산주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 소련의 군인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 정치인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초대 내각 산업상 겸 민족보위성 부상, 외무성 부상(1948년 9월 2일-1951년 1월)과 내각 부수상을 겸직.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김책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지방 관청

민국의 지방 관청은 지방의 행정부 등이 자리잡고 있는 지방 정부의 청사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대한민국의 지방 관청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철도

민국의 철도는 대한민국에서 운영하는 철도 노선, 시스템, 차량 등을 의미.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대한민국의 철도 · 더보기 »

대학수학능력시험

thumb thumb thumb 대학수학능력시험(大學修學能力試驗,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은 1994학년도부터 대한민국의 대학 입학 평가에 도입된 시험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대학수학능력시험 · 더보기 »

교동면

동면(喬桐面)은 인천광역시 강화군의 면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교동면 · 더보기 »

국도 제43호선

인근을 지나는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3호선 (세종 ~ 고성선, 國道第四十三號 世宗高城線)은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 모개고가차도에서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을 잇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국도 제43호선 · 더보기 »

자유의 마을

자유의 마을에 게양된 태극기 자유의 마을(自由-)은 한반도의 군사분계선 남쪽 비무장 지대에 위치한 민간인 거주 지역으로, 대성동 마을(臺城洞-)로도 알려져 있.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비무장지대에 위치한 마을로, 정전 협정에 따라서 1953년 8월 3일 군사정전위원회가 평화의 마을과 함께 조성하였.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자유의 마을 · 더보기 »

자유의 집 (판문점)

자유의 집(自由--)은 판문점의 남한 지역에 위치한 4층 건물로, 북한의 판문각에 대응되는 건물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자유의 집 (판문점) · 더보기 »

장단면

장단면(長湍面)은 경기도 파주시의 면으로, 면적은 33.96 km²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장단면 · 더보기 »

평강군

평강군(平康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에 있는 군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평강군 · 더보기 »

이북5도위원회

이북5도위원회(以北五道委員會)는 이북5도 사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동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한 행정기구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이북5도위원회 · 더보기 »

제11군단 (대한민국)

제11군단 "충렬"은 제2군 예하 구성군으로서 경상남도 창녕군에 있던 대한민국 육군의 군단이었.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제11군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제20기계화보병사단 (대한민국)

제20기계화보병사단(第二十機械化步兵師團, The 20th Mechanized Infantry Division) "결전"은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 보병 사단으로, 제7기동군단의 예하 부대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제20기계화보병사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제2군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제2군단은 조선인민군 육군의 군단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제2군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조선 서해 해상 군사분계선

red: 조선 서해 해상 군사분계선 (1999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선포) 조선 서해 해상 군사분계선(朝鮮西海海上軍事分界線, Korea West Sea Maritime Military Demarcation line, KWSMMD) 1999년 9월부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일방적으로 주장하는 황해상의 군사분계선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조선 서해 해상 군사분계선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중립국 감독위원회

| 이름.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중립국 감독위원회 · 더보기 »

지뢰

제2차 세계 대전에 쓰인 지뢰 지뢰(地雷)는 땅에 파묻은 후에 외부의 압력을 받으면 뇌관을 작동하여 폭발시키는 무. 화약 발명에 이어 화약을 무기로 만든것인데 중국 15세기때 명나라가 썼. 유럽에서는 지금 방어무기로 활용하고 있. 제1차 세계 대전에 보편화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에 대전차무기로 활용도가 높아졌.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지뢰 · 더보기 »

캠프 보니파스

보니파스(Camp Bonifas)는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비무장 지대 남쪽 400 m, 군사분계선 2,400 m 남쪽에 있는 대한민국 육군과 주한 미군의 합동 군영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캠프 보니파스 · 더보기 »

판문각

2009년 촬영한 판문각 사진 판문각(板門閣)은 판문점 군사분계선이 관통하는 중립국감독위원회를 사이에 두고 남측 자유의 집과 마주보고 있는 건물로, 남북연락사무소가 위치하고 있.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판문각 · 더보기 »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收復地區臨時行政措置法)은 1954년 11월 17일에 공포된 한국 전쟁이 끝난 후 정전 협정에 따라 군사 분계선이 설정되면서 수복지구에 대한 행정구획을 설정하고 행정권에 대한 특별조치를 취하는 대한민국의 법률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 더보기 »

호커 800

이시온 호커 800 호커 800(Hawker 800)은 중형 2발 엔진을 탑재한 상업용 항공.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호커 800 · 더보기 »

양안 관계

양안 관계(兩岸 關係)는 현재 국공 내전을 통해 통일한 중화인민공화국과 망명된 중화민국 사이의 관계를 말. 양안(兩岸)이란 자연적인 군사분계선의 역할을 하게 된 타이완 해협을 두고 서안(대륙)과 동안(타이완)으로 마주보는 관계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두 국가가 된 양자의 관계는 '두 국가의 외교'가 아닌 '특수한 상태의 관계'이므로, 남북 관계와 유사한 개념으로 양안 관계라는 표현을 흔히 사용하고 있. 중화민국은 공식적으로 중국 대륙을 미수복된 본토(반란에 의한 실지)로 간주.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양안 관계 · 더보기 »

연천군

연천군(漣川郡)은 대한민국 경기도의 북부에 위치하고 있는 군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연천군 · 더보기 »

통일각

통일각(統一閣)은 남북회담 시설용으로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북측에 세워진 건물로, 남측의 평화의 집에 대응하는 건물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통일각 · 더보기 »

한반도 군사 분계선

비무장지대 북쪽의 철조망 한반도의 군사 분계선(韓半島軍事分界線)은 한반도의 남북을 분단하여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계를 이루는 지도상의 선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한반도 군사 분계선 · 더보기 »

황강댐

황강댐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임진강 상류에 위치한 다목적 댐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황강댐 · 더보기 »

황해도 (대한민국)

황해도(黃海道)는 한반도의 중서부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도(道)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황해도 (대한민국) · 더보기 »

왕징면

왕징면(旺澄面)은 경기도 연천군의 면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왕징면 · 더보기 »

2007년 10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2007년 10월 · 더보기 »

2007년 남북 열차 시험운행

통일전망대에서 바라본 연결된 동해북부선. 북측의 열차는 제진역으로 남하하여 행사일정후 북쪽으로 돌아갔다. 2007년 남북 열차 시험운행은 2007년 5월 17일에 대한민국 정부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가 합의하에 각각 두 구간에 휴전선을 넘어 열차를 직결 운행한 사건을 일컫.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2007년 남북 열차 시험운행 · 더보기 »

2008년 3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2008년 3월 · 더보기 »

2009년 8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2009년 8월 · 더보기 »

2015년

201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2015년 · 더보기 »

2018년

2018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군사분계선와 2018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군사 분계선, 한국의 군사 분계선.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