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궤도 공명

색인 궤도 공명

219px 궤도공명이란 천체역학에서, 공전하는 두 천체가 작은 정수비를 만족하는 공전 주기로 인해 서로에게 주기적으로 일정하게 중력적 영향을 가할 때 발생.

62 처지: 라그랑주 점, 레누 말호트라, 막대나선은하, 목성, 목성의 고리, 목성의 위성, 미란다 (위성), 미마스 (위성), 갈릴레이 위성, 가니메데 (위성), 게자리 55 b, 게자리 55 c, 고전적 카이퍼 대 천체, 공명 해왕성 바깥 천체, 분리천체, 글리제 876, 글리제 876 b, 글리제 876 c, 글리제 876 d, 디오네 (위성), HD 147506, HD 45364 b, HD 45364 c, HD 69830, HD 73526 c, 스틱스 (위성), 우주의 음악, 트로이군, 히페리온 (위성), 큰곰자리 47, 이오 (위성), 제단자리 뮤, 준위성, 지구, 칼리스토 (위성), 커크우드 간극, 케플러-9, 유로파 (위성), 위성 목록, 태양계, 태양계의 형성과 진화, 타이탄 (위성), 수성, 올레 뢰머, 행성계,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c, 허큘리스자리 14, 엔셀라두스, 산란원반, ..., 센타우루스 소행성군, 토성의 고리, 소행성군, 소행성족, 해왕성, 해왕성 안쪽 천체, 테티스 (위성), MMR, 2 팔라스, 2002 AA29, 3753 크뤼트네, 6Q0B44E.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2 더) »

라그랑주 점

랑주 점(-點, Lagrangian point) 또는 칭동점(秤動點)은 우주 공간에서 작은 천체가 두 개의 큰 천체의 중력에 의해 그 위치를 지킬 수 있는 5개의 위치들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라그랑주 점 · 더보기 »

레누 말호트라

말호트라(Renu Malhotra, 1961년 ~)는 인도 출신의 미국 행성천문학자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레누 말호트라 · 더보기 »

막대나선은하

의 정면으로 보이는 막대나선은하 NGC 1300,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하였다. 막대나선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인 화로자리 은하 (2MASS) 막대나선은하()는 중심에 별들로 구성된 막대모양의 구조를 가진 나선은하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막대나선은하 · 더보기 »

목성

목성(木星, 라틴어: Jupiter)은 태양계의 다섯번째 행성이자 가장 큰 행성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목성 · 더보기 »

목성의 고리

의 고리 주요 구성성분을 보여주는 그림. 단순화를 위해, 메티스와 아드라스테아는 같은 궤도를 도는 것으로 나타냈다. 목성의 고리는 목성에 있는 고리를 말하며, 이는 토성과 천왕성에 이어 태양계에서 세 번째로 발견된 고리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목성의 고리 · 더보기 »

목성의 위성

목성과 네 개의 갈릴레이 위성의 모습(축척은 무시되어 있다). 주노 탐사선의 카메라로 촬영한 목성 주위 갈릴레이 위성들의 움직임. 목성의 위성은 현재까지 69개가 발견되었고, 따라서 목성은 태양계 행성 중 위성 수가 가장 많. 이 때문에 목성은 간혹 "작은 태양계"로 불리.

새로운!!: 궤도 공명와 목성의 위성 · 더보기 »

미란다 (위성)

미란다() 또는 천왕성 V()는 천왕성의 둥근 다섯 개의 위성 중 가장 작고 가장 안쪽에 위치한 위성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미란다 (위성) · 더보기 »

미마스 (위성)

미마스(Mimas)는 토성의 위성으로, 이름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가이아의 아들 미마스에서 따왔.

새로운!!: 궤도 공명와 미마스 (위성) · 더보기 »

갈릴레이 위성

리스토이다. 갈릴레이 위성(Galilean moons) 또는 갈릴레오 위성은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목성 주변에서 발견한 4개의 위성을 뜻. 이들은 목성의 위성 중 크기가 큰 천체이며, 이들 위성의 이름은 이오, 에우로페, 가니메데스, 칼리스토 등 제우스(주피터; 즉 목성의 이름)의 연인의 이름을 따서 지었.

새로운!!: 궤도 공명와 갈릴레이 위성 · 더보기 »

가니메데 (위성)

메데(Ganymede, 목성 III)는 목성의 위성으로, 태양계의 위성들 중 가장.

새로운!!: 궤도 공명와 가니메데 (위성) · 더보기 »

게자리 55 b

자리 55 b는 태양과 비슷한 항성 게자리 55 A를 14.65일에 한 바퀴 도는 외계 행성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게자리 55 b · 더보기 »

게자리 55 c

자리 55 c는 44.34일 주기로 태양과 비슷한 항성 게자리 55 주위를 도는 외계 행성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게자리 55 c · 더보기 »

고전적 카이퍼 대 천체

전적 카이퍼 대 천체(Classical Kuiper belt object)는 큐비원족(QB1族, Cubewano)라고도 불리며 해왕성 바깥 궤도를 도는 카이퍼 대 천체로, 해왕성의 궤도공명 효과를 받지 않는 천체를 말. 긴 반지름이 40~50AU로, 명왕성과 달리 해왕성의 궤도를 가로지르지 않. 큐비원족이라는 이름은 명왕성과 카론을 제외하고는 처음 발견된 해왕성 바깥 천체인 의 이름에서 왔.

새로운!!: 궤도 공명와 고전적 카이퍼 대 천체 · 더보기 »

공명 해왕성 바깥 천체

공명 해왕성 바깥 천체(Resonant trans-Neptunian object)는 해왕성 바깥 천체이면서 공전주기가 해왕성의 공전주기와 정수비관계인 궤도 공명을 이루는 천체를 가리.

새로운!!: 궤도 공명와 공명 해왕성 바깥 천체 · 더보기 »

분리천체

분리천체()란 소행성체의 궤도역학적 분류 중 하나로서 해왕성 바깥 천체의 일종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분리천체 · 더보기 »

글리제 876

리제 876은 물병자리에 있는 별로 지구에서 15광년 정도 떨어져 있는 적색 왜성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글리제 876 · 더보기 »

글리제 876 b

리제 876 b는 적색 왜성 글리제 876을 60.940일 주기로 1회 공전하는 외계 행성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글리제 876 b · 더보기 »

글리제 876 c

리제 876 c는 적색 왜성 글리제 876을 30.340일 주기로 1회 공전하는 외계 행성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글리제 876 c · 더보기 »

글리제 876 d

리제 876 d또는 물병자리 IL d는 지구에서 물병자리 방향으로 15광년 떨어져 있는 글리제 876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글리제 876 d · 더보기 »

디오네 (위성)

오네(Dione)는 토성의 위성으로 이탈리아의 천문학자인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가 1684년에 발견했으며 그리스 신화의 거신족 디오네의 이름을 붙였.

새로운!!: 궤도 공명와 디오네 (위성) · 더보기 »

HD 147506

HD 147506은 허큘리스자리에 있는, 지구에서 약 440광년 떨어진 거리에 있는 황백색 왜성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HD 147506 · 더보기 »

HD 45364 b

HD 45364 b는 큰개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106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항성 HD 45364 주위를 도는, 외계 행성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HD 45364 b · 더보기 »

HD 45364 c

HD 45364 c는 큰개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106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항성 HD 45364 주위를 도는, 외계 행성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HD 45364 c · 더보기 »

HD 69830

HD 69830은 고물자리에 위치한 K V형 항성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HD 69830 · 더보기 »

HD 73526 c

HD 73526 c는 돛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322.9광년 떨어져 있는 항성 HD73526을 돌고 있는 외계 행성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HD 73526 c · 더보기 »

스틱스 (위성)

스틱스()는 명왕성의 위성 중 하나로, 마크 R. 쇼월터와 그의 연구팀이 2012년 6월 26일에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명왕성계의 이미지에서 발견하여 같은 해 7월 11일에 발견 사실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였.

새로운!!: 궤도 공명와 스틱스 (위성) · 더보기 »

우주의 음악

우주의 음악(宇宙之 音樂, musica universalis, 또는 music of the spheres)는 태양과 달 그리고 행성들과 같은 천체의 이동에 있어서의 조화를 음악의 한 형태로 여기는 고대의 철학적 개념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우주의 음악 · 더보기 »

트로이군

천문학에서 트로이군()은 행성이나 위성 등 어떠한 큰 천체에 대해 항상 상대적인 위치가 같은 소행성체나 위성을 말하며, 트로이군 천체들은 큰 천체의 궤도 앞뒤 60° 지점, 즉 L4와 L5 라그랑주 점에 존재.

새로운!!: 궤도 공명와 트로이군 · 더보기 »

히페리온 (위성)

히페리온(Hyperion)은 윌리엄 크랜치 본드, 조지 필립스 본드, 윌리엄 라셀 3인이 1848년에 발. 히페리온의 모양은 구형이 아닌 불규칙한 모양으로 멀리서 봤을 때 마치 감자나 고구마를 연상시키는 모양이며 자전 주기는 일정치 않고, 표면은 스펀지와 흡사한 모양을 보이고 있.

새로운!!: 궤도 공명와 히페리온 (위성) · 더보기 »

큰곰자리 47

자리 47(47 UMa)은 큰곰자리 방향으로 지구에서 약 46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항성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큰곰자리 47 · 더보기 »

이오 (위성)

이오(Io)는 목성의 위성 중 하나로 갈릴레이 위성에 속하는 위성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이오 (위성) · 더보기 »

제단자리 뮤

제단자리 뮤. 제단자리 뮤(Mu Arae)는 제단자리에 있는 별로, 지구에서 약 50광년 떨어져 있. 뮤는 태양과 비슷한 G형 항성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제단자리 뮤 · 더보기 »

준위성

준위성의 개념도. 준위성(準衛星) 또는 유사 위성(類似衛星)은 행성과 1:1로 궤도 공명하며 여러 주기 동안 그 행성에 근접해 있는 천체를 말. 행성과 일치하는 주기로 유사한 궤도를 돌지만 보통 궤도 이심률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준위성 · 더보기 »

지구

(地球, Earth)는 태양으로 부터 세번째 행성이며, 엷은 대기층으로 둘러싸여 있고, 지구형 행성 중에서 가장.

새로운!!: 궤도 공명와 지구 · 더보기 »

칼리스토 (위성)

리스토() 또는 목성 IV는 목성의 위성으로,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발. 칼리스토는 태양계에서 세 번째로 큰 위성이고, 목성의 위성 중에서는 가니메데 다음으로 크며, 행성 분화율은 태양계에서 제일 낮. 칼리스토의 지름은 4,821 km이며 수성의 99%에 달하는 크기를 가졌지만 질량은 3분의 1밖에 되지 않. 궤도 반경은 1,880,000 km이고 갈릴레이 위성 중에서는 목성으로부터 제일 멀리 있. 칼리스토는 내부 갈릴레이 위성들(이오, 유로파, 가니메데)과 궤도 공명을 일으키지 않고, 따라서 조석 가열의 정도가 약. 칼리스토는 목성에 조석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같은 면만 목성을 바라보.

새로운!!: 궤도 공명와 칼리스토 (위성) · 더보기 »

커크우드 간극

4개의 주요한 커크우드 간극을 나타낸 히스토그램 커크우드 간극(Kirkwood gap)은 소행성대에서 궤도장반경이나 공전주기를 기준으로 나타내볼때 그 분포가 매우 줄어드는 지점을 가리.

새로운!!: 궤도 공명와 커크우드 간극 · 더보기 »

케플러-9

-9는 거문고자리 방향에 있는태양 비슷한 항성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케플러-9 · 더보기 »

유로파 (위성)

유로파()는 목성의 위성 중 하나로, 갈릴레이 위성에 속하는 위성이며, 에우로파() 또는 목성 II()라고도 불린.

새로운!!: 궤도 공명와 유로파 (위성) · 더보기 »

위성 목록

양계의 행성과 왜행성들을 도는, 공식적으로 인정된 위성들은 181개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위성 목록 · 더보기 »

태양계

양계의 행성과 왜행성. 크기 비교는 정확한 편이지만, 거리는 상당히 왜곡되었다. 태양계(太陽系)는 대략 46억 년 전 분자운의 중력붕괴로 형성된 태양과, 항성인 태양의 중력에 이끌려 있는 주변 천체가 이루는 체계를 말.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행성은 소행성대를 기준으로 안쪽에 있는 네 개의 고체 행성인 수성, 금성, 지구, 화성, 즉 지구형 행성과, 바깥쪽에 있는 네 개의 유체 행성인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즉 목성형 행성으로 알려져 있. 행성 외에도 태양계의 구성 천체로는 소천체로 이루어진 띠도 있.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소행성대의 천체 무리는 대부분 지구형 행성과 비슷한 성분을 지니고 있. 카이퍼 대와 그 소집단 산란 분포대는 해왕성 궤도 너머에 있으며, 이곳의 천체는 대부분 물, 암모니아, 메탄 등이 얼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 소행성대와 카이퍼 대, 산란분포대 천체 세레스, 명왕성, 하우메아, 마케마케, 에리스는 행성만한 힘은 없지만 자체 중력으로 구형을 유지할 만큼 크다고 인정되어 왜행성이라고 불린.

새로운!!: 궤도 공명와 태양계 · 더보기 »

태양계의 형성과 진화

원시 행성계 원반의 상상도 태양계의 형성과 진화 이론(太陽系- 形成- 進化理論)은 태양계의 탄생에서 죽음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연구해 그 과정을 이론으로 정립한 것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태양계의 형성과 진화 · 더보기 »

타이탄 (위성)

이탄 타이탄을 발견한 사람인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타이탄 또는 티탄(Titan)은 토성의 위성이다. 토성의 위성 중에서 가장 큰 천체로, 태양계 내에서는 목성의 가니메데에 이어 두 번째로 크다. 토성 VI라고 부르기도 한다. 짙은 대기를 가진 유일한 위성이며, 지구처럼 표면에 안정된 상태로 존재하는 액체가 확인된 최초의 천체이다. 대기 구성이 원시지구와 유사하여 다양한 관심을 받고 있다. 타이탄은 토성에서 20번째로 먼 위성이자 구형 외관을 지니는 일정 질량 이상 되는 위성들 중에서는 여섯 번째로 떨어져 있기도 하다. 행성과 비슷한 특징을 지닌 위성으로 자주 기술되는 것처럼 타이탄은 반지름이 달의 약 1.5배이고 질량은 1.8배나 된다. 목성의 가니메데에 이어 태양계에서 두 번째로 큰 위성이며, 크기만으로 따진다면 수성보다 더 크다. (그러나 질량은 수성의 반 정도이.) 천문학자 크리스티안 하위헌스가 1655년 3월 25일 최초로 발견했다. 당시 타이탄은 토성의 위성들 중 첫 번째로 존재가 증명된 존재였다. 태양계의 위성 중 갈릴레이 위성 다음으로 발견된 첫 천체다. 명칭은 그리스 신화의 타이탄 신족에서 이름을 따왔다. 타이탄 신족은 가이아와 우라노스 사이의 12남매를 지칭한다. 타이탄의 표면은 주로 얼음과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타이탄은 짙은 대기로 둘려싸여 있기 때문에, 2004년, 카시니-하위헌스 호가 도착하기 전까지 인류는 타이탄의 표면에 대하여 거의 알지 못했다. 카시니-하위헌스 호의 탐사로부터 탄화 수소로 채워진 호수들이 타이탄의 극지에 존재함을 확인하게 되었다. 표면은 지질학적으로 젊었으며, 산과 얼음 화산으로 보여지는 지형들이 몇몇 관찰되었다. 타이탄의 표면은 전체적으로 평평했으며, 충돌구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타이탄의 대기는 대부분 질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량의 메테인과 에테인이 섞여 있다. 타이탄 표면에는 바람과 비 등의 기상 현상이 발생하며, 지구 해변과 비슷한 물결 모양의 지형도 형성되어 있다. 표면 및 지하에 있는 액체 물질 및 질소로 충만한 대기 때문에 타이탄은 온도가 훨씬 더 낮다는 점만 제외하면 마치 원시 지구의 모습과 유사해 보였다. 이 때문에 타이탄은 예전부터 미생물 혹은 적어도 복잡한 유기 화합물 형태의 생명체가 태동할 환경이 형성되어 있을 것으로 믿어져 왔다. 과학자들은 타이탄의 지하에 있는 액체 바다가 생명체가 생겨날 환경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해 왔다.

새로운!!: 궤도 공명와 타이탄 (위성) · 더보기 »

수성

수성(水星, 라틴어: Mercurius)은 태양계에서 태양과 가장 가까운 궤도를 도는 행성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수성 · 더보기 »

올레 뢰머

올레 크리스텐센 뢰머(1644년 9월 25일 ~ 1710년 9월 23일)는 덴마크의 천문학자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올레 뢰머 · 더보기 »

행성계

어떤 행성계를 천체 예술가가 상상하여 만든 작품. 행성계(行星系, Planetary system)는 행성, 자연 위성, 소행성, 유성체, 혜성, 우주 먼지 등 항성이 아닌 천체들이 항성 주위를 공전하는 체계를 말. 태양 및 태양의 중력에 속박되어 있는 행성계(지구 포함)를 태양계라고 부른.

새로운!!: 궤도 공명와 행성계 · 더보기 »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ε Eri) 또는 란(Ran)은 남반구 하늘 에리다누스자리 방향에 있는 항성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 더보기 »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c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c는 지구에서 에리다누스자리 방향으로 약 10 광년 떨어진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을 도는 것으로 추측되는, 그 존재가 아직 검증되지 않은 외계 행성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c · 더보기 »

허큘리스자리 14

리스자리 14는 허큘리스자리에 있는, 지구에서 약 59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오렌지색 왜성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허큘리스자리 14 · 더보기 »

엔셀라두스

엔셀라두스() 혹은 토성 II는 토성의 위성 중 6번째 로 큰 위성으로 1789년 윌리엄 허셜이 발견하였.

새로운!!: 궤도 공명와 엔셀라두스 · 더보기 »

산란원반

산란원반(散亂圓盤, scattered disc)은 태양계에서 해왕성 바깥 천체가 분포하는 영역 중의 하나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산란원반 · 더보기 »

센타우루스 소행성군

AU이며, 개수는 2015년 1월 기준이다.)'' 센타우루스 소행성군()은 궤도 긴반지름이 목성형 행성들 사이에 있는 태양계 소천체를 말하며, 궤도가 목성형 행성의 궤도와 한 번 이상 교차하기 때문에 궤도가 수백만 년 정도밖에 유지되지 않을 만큼 불안정.

새로운!!: 궤도 공명와 센타우루스 소행성군 · 더보기 »

토성의 고리

시니 탐사선''의 위치에서 토성이 태양을 가릴 때 촬영된 토성의 고리의 총집합(밝기가 과장되었다)이다. G 고리와 E 고리 외곽 사이에서 약 4시 방향 위치에서 지구가 창백한 푸른 점의 형태로 보인다. 라디오파 엄폐를 통해 색을 입혀 만들어진 사진이다. 0.94, 3.6, 13 cm 파장의 라디오 신호가 카시니로부터 고리를 통해 지구로 전송되었다. 신호의 파장과 비슷하거나 큰 크기의 수많은 입자들이 반사하여 각 신호의 감쇠가 일어난다. 보라색(B 고리와 A 고리 내부)은 5 cm 보다 작은 입자가 얼마 존재하지 않는 것을 보여준다. 다시 말하면 모든 신호의 감쇠와 비슷하다. 초록색과 파란색(C 고리와 A 고리 외곽)은 5 cm에서 1 cm보다 작은 입자가 각각 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B 고리의 하얀 영역은 가장 밀도가 높고 크기 추정 용도의 작은 신호를 매우 잘 반사한다. 또다른 증거는 세 고리 모두 미터 단위를 넘나드는 넓은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보이저 2호''가 본 고리에 드리운 토성의 그림자. 네 개의 위성과 고리의 테가 보인다. 토성의 고리()는 태양계에서 어떤 행성의 고리보다도 가장 큰 행성 고리계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토성의 고리 · 더보기 »

소행성군

thumb 소행성군(小行星群), 또는 소행성체군()은 서로 비슷한 궤도를 도는 소행성체들의 모임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소행성군 · 더보기 »

소행성족

궤도 경사 및 장반경에 따라 표시한 소행성들의 그래프로, 소행성족은 뭉친 구름의 형태로 나타난다. 커크우드 간극을 통해 소행성들이 나뉨(A, B+C, D, E+F+G) 또한 볼 수 있다. 소행성족(小行星族)은 궤도 요소, 즉 장반경, 이심률, 경사각 등이 서로 비슷한 소행성들의 모임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소행성족 · 더보기 »

해왕성

왕성(海王星, 라틴어: Neptunus)은 태양계의 8개 행성 중 8번째 행성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해왕성 · 더보기 »

해왕성 안쪽 천체

왕성 안쪽 천체(cis-Neptunian object)는 해왕성 궤도 안쪽을 도는 천체로 해석되지만, 일반적으로는 행성이나 목성 궤도 안쪽의 소행성은 제외하여 보통 센타우루스 천체나 해왕성과 1:1 궤도 공명하는 원거리 소행성체를 가리키는데 많이 사용.

새로운!!: 궤도 공명와 해왕성 안쪽 천체 · 더보기 »

테티스 (위성)

스(Tethys)는 토성의 위성으로, 1684년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가 발. 테티스의 지름은 약 1066km이며, 테티스는 태양계에서 16번째로 큰 위성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테티스 (위성) · 더보기 »

MMR

MMR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궤도 공명와 MMR · 더보기 »

2 팔라스

2 팔라스(Pallas)는 세레스에 이어 두 번째로 발견된 소행성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2 팔라스 · 더보기 »

2002 AA29

와 1:1로 궤도 공명을 하는 아텐 소행성군의 소행성이며 지구 접근 천체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2002 AA29 · 더보기 »

3753 크뤼트네

(크루이냐)(3753 Cruithne)는 지구와 1:1로 궤도 공명을 하는 아텐 소행성군의 소행성이며 지구 접근 천체이.

새로운!!: 궤도 공명와 3753 크뤼트네 · 더보기 »

6Q0B44E

6Q0B44E 또는 B44E는 2016년 10월 기준 달 밖의 지구 궤도를 돌고 있는 물체로, 우주 쓰레기 중 하나로 추정.

새로운!!: 궤도 공명와 6Q0B44E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궤도공명, 라플라스 공명.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