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궤도 이심률

색인 궤도 이심률

쌍곡선 궤도 (이심률 = 1.3) 궤도 이심률(軌道 離心率)은 물체의 궤도가 완벽한 원에서 벗어나 있는 정도를 수치화한 정도이.

52 처지: 라플라스 극한, 메티스 (위성), 목성, 목성의 고리, 목성의 위성, 미란다 (위성), 갈릴레이 위성, 가니메데 (위성), 고래자리 타우, 공기펌프자리 세타, 공전 속도, 궤도 요소, 궤도면, 까마귀자리 에타, 구상성단, 다프니스 (위성), HD 12039, HD 141569, 슈메이커-레비 제9혜성, 편심 이각, 페가수스자리 IK, 평균 근점 이각, 이오 (위성), 이심률, 조석 가열, 카르포 (위성), 커크우드 간극, 케플러-10, 케플러-62, 코로니스족, 쌍곡선 궤도, 유로파 (위성), 행성 거주가능성,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에우리도메 (위성), 에우포리에 (위성), 헤제, 엔셀라두스, 사달타게르, 성운설, 센타우루스 소행성군, 소행성군, 소행성족, 안드로메다 은하, 아난케 군, 아드라스테아 (위성), 외계 행성, 화성, S/2003 J 12, WASP-6, ..., WASP-7, 90377 세드나.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 더) »

라플라스 극한

수학에서 라플라스 극한(Laplace limit) 은 케플러 방정식(Kepler's equation)의 직렬 해 \varepsilon^n 가 수렴하는 이심률의 최대 값 L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라플라스 극한 · 더보기 »

메티스 (위성)

릴레오 탐사선이 촬영한 메티스. 메티스()는 목성의 위성으로, 목성의 위성 중 목성과 가장 가깝.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메티스 (위성) · 더보기 »

목성

목성(木星, 라틴어: Jupiter)은 태양계의 다섯번째 행성이자 가장 큰 행성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목성 · 더보기 »

목성의 고리

의 고리 주요 구성성분을 보여주는 그림. 단순화를 위해, 메티스와 아드라스테아는 같은 궤도를 도는 것으로 나타냈다. 목성의 고리는 목성에 있는 고리를 말하며, 이는 토성과 천왕성에 이어 태양계에서 세 번째로 발견된 고리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목성의 고리 · 더보기 »

목성의 위성

목성과 네 개의 갈릴레이 위성의 모습(축척은 무시되어 있다). 주노 탐사선의 카메라로 촬영한 목성 주위 갈릴레이 위성들의 움직임. 목성의 위성은 현재까지 69개가 발견되었고, 따라서 목성은 태양계 행성 중 위성 수가 가장 많. 이 때문에 목성은 간혹 "작은 태양계"로 불리.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목성의 위성 · 더보기 »

미란다 (위성)

미란다() 또는 천왕성 V()는 천왕성의 둥근 다섯 개의 위성 중 가장 작고 가장 안쪽에 위치한 위성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미란다 (위성) · 더보기 »

갈릴레이 위성

리스토이다. 갈릴레이 위성(Galilean moons) 또는 갈릴레오 위성은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목성 주변에서 발견한 4개의 위성을 뜻. 이들은 목성의 위성 중 크기가 큰 천체이며, 이들 위성의 이름은 이오, 에우로페, 가니메데스, 칼리스토 등 제우스(주피터; 즉 목성의 이름)의 연인의 이름을 따서 지었.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갈릴레이 위성 · 더보기 »

가니메데 (위성)

메데(Ganymede, 목성 III)는 목성의 위성으로, 태양계의 위성들 중 가장.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가니메데 (위성) · 더보기 »

고래자리 타우

자리 타우(타우 케티)는 지구로부터 12광년 떨어져 있는 고래자리의 항성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고래자리 타우 · 더보기 »

공기펌프자리 세타

공기펌프자리 세타(θ Ant, θ Antliae)는 남반구 하늘 공기펌프자리 방향에 있는 항성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공기펌프자리 세타 · 더보기 »

공전 속도

공전 속도(公轉速度)는 행성, 위성과 같은 어떤 물체가 계의 무게 중심을 기준으로 도는 속도를 말. 행성의 경우, 원일점에서는 최소, 근일점에서는 최대가 되며, 위성의 경우엔 원지점이 최소, 근지점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공전 속도 · 더보기 »

궤도 요소

요소()는 특정한 궤도를 식별하기 위해 필요한 변수들을 말. 천체물리학에서는 이 요소들을 일반적으로 케플러 궤도가 쓰이는 고전역학 이체계에서.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궤도 요소 · 더보기 »

궤도면

각종 궤도 요소들을 나타낸 그림으로, 궤도면과 기준면(Plane of reference, 회색)이 표시되어 있다. 탈출하는 궤도이며, 원과 타원궤도(2)는 포획된 상태이다. 궤도면()은 어떠한 물체를 공전하는 물체의 공전 궤도가 포함되는 기하학적 평면으로, 천체물리학에서 주로 사용.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궤도면 · 더보기 »

까마귀자리 에타

마귀자리 에타(η Corvi, η Crv)는 까마귀자리에서 여섯 번째로 밝은 F형 주계열성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까마귀자리 에타 · 더보기 »

구상성단

메시에 80. 구상성단(球狀星團, globular cluster) 은 구형의 항성의 모임(성단)으로, 은하중심의 주위를 마치 위성.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구상성단 · 더보기 »

다프니스 (위성)

스(임시 명칭 S/2005 S 1)는 토성의 위성으로, A 고리의 킬러 간극에 위치하는 양치기 위성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다프니스 (위성) · 더보기 »

HD 12039

HD 12039는 고래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133 광년 떨어져 있는 변광성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HD 12039 · 더보기 »

HD 141569

HD 141569는 천칭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320 광년 떨어져 있는 B형 주계열성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HD 141569 · 더보기 »

슈메이커-레비 제9혜성

슈메이커-레비 제9혜성(공식 명칭 D/1993 F2)은 1992년 7월에 여러 조각으로 분해되어 2년 후에 목성과 충돌한 혜성으로, 두 천체의 충돌은 처음으로 인류가 태양계 천체끼리 충돌하는 모습을 관찰한 사건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슈메이커-레비 제9혜성 · 더보기 »

편심 이각

역학에서, 편심 이각()은 타원 케플러 궤도를 따라 움직이는 물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궤도 요소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편심 이각 · 더보기 »

페가수스자리 IK

수스자리 IK(바이어 명명법: IK Pegasi) 또는 HR 8210은 페가수스자리에 있는 쌍성계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페가수스자리 IK · 더보기 »

평균 근점 이각

원 궤도에서 단위시간당 지나간 면적(회색)과 가상의 원 궤도를 돌고 있는 천체(적색)의 공전 주기는 서로 같고, 따라서 같은 지역을 같은 시간 동안 지나간다. 하지만 쓸고 지나가는 것의 각속도는 타원 궤도에서는 변화하지만 원 궤도에서는 변하지 않는다. 이 그림에서는 평균 근점 이각과 진근점 이각 둘 모두를 표시하고 있다. 천체물리학에서, 평균 근점 이각()은 고전 이체 문제에서 타원 궤도상의 물체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각도로, 해당 물체가 공전 속도와 공전 주기를 유지한 채 원 궤도로 옮겨간다고 가정하였을 때, 물체와 궤도 근점 간의 각거리를 말.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평균 근점 이각 · 더보기 »

이오 (위성)

이오(Io)는 목성의 위성 중 하나로 갈릴레이 위성에 속하는 위성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이오 (위성) · 더보기 »

이심률

이심률이 증가하는 순서대로 늘어놓은 원뿔 곡선. 이심률이 늘어나면 곡률은 줄어든다는 점과 겹치는 곡선이 없다는 점을 주목하라. 기하학에서 이심률(離心率)은 원뿔 곡선의 특성을 나타내는 값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이심률 · 더보기 »

조석 가열

조석 가열()은 조석 굴곡 과정에 의해 생겨나며, 자전/공전 에너지가 행성이나 위성에 열로서 방출되는 현상을 예. 목성의 위성인 이오는 태양계에서 가장 화산 활동이 활발하고, 표면에는 충돌구가 없. 이는 목성의 기조력이 이오를 짓눌르기 때문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조석 가열 · 더보기 »

카르포 (위성)

르포(Carpo) 또는 목성 XLVI는 목성의 자연 위성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카르포 (위성) · 더보기 »

커크우드 간극

4개의 주요한 커크우드 간극을 나타낸 히스토그램 커크우드 간극(Kirkwood gap)은 소행성대에서 궤도장반경이나 공전주기를 기준으로 나타내볼때 그 분포가 매우 줄어드는 지점을 가리.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커크우드 간극 · 더보기 »

케플러-10

-10은 용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564 광년 떨어져 있는 유사 태양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케플러-10 · 더보기 »

케플러-62

-62(Kepler-62)는 거문고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1200 광년 떨어져 있는 항성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케플러-62 · 더보기 »

코로니스족

웹사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코로니스족 · 더보기 »

쌍곡선 궤도

선이 쌍곡선 궤도를 나타낸다. 그림에서 "우물"의 깊이는 위치 에너지를 나타내고, 궤도의 운동 에너지는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쌍곡선 궤도는 그림의 오른쪽 아래에 표시되어 있다. 천체물리학 및 궤도역학에서, 쌍곡선 궤도() 또는 쌍곡선 궤적()궤도의 정의(다른 물체 주위를 도는 현상)에 따라, 엄밀히는 쌍곡선 궤적이 올바른 표현이나, 이 문서에서는 통용되는 표기를.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쌍곡선 궤도 · 더보기 »

유로파 (위성)

유로파()는 목성의 위성 중 하나로, 갈릴레이 위성에 속하는 위성이며, 에우로파() 또는 목성 II()라고도 불린.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유로파 (위성) · 더보기 »

행성 거주가능성

지구는 인간이 밝혀 낸 지금까지의 지식에 따르면 유일하게 생명체를 품고 있는 천체이기 때문에 생명체 거주가능성은 지구의 조건들을 연구하여 추론한다. 행성 거주가능성은 행성 또는 자연 위성에 생명체가 자라나고 유지될 수 있는 가능성을 측정하는 것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행성 거주가능성 · 더보기 »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ε Eri) 또는 란(Ran)은 남반구 하늘 에리다누스자리 방향에 있는 항성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 더보기 »

에우리도메 (위성)

에우리도메(Eurydome) 또는 목성 XXXII는 목성의 자연 위성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에우리도메 (위성) · 더보기 »

에우포리에 (위성)

에우포리에(Euporie, 또는), 또는 목성 XXXIV는 목성의 위성 중 하나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에우포리에 (위성) · 더보기 »

헤제

헤제(Heze)는 처녀자리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항성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헤제 · 더보기 »

엔셀라두스

엔셀라두스() 혹은 토성 II는 토성의 위성 중 6번째 로 큰 위성으로 1789년 윌리엄 허셜이 발견하였.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엔셀라두스 · 더보기 »

사달타게르

사달타게르는 물병자리 방향에 있는 항성계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사달타게르 · 더보기 »

성운설

성운설 또는 성운 가설(星雲說, 星雲假說, Nebula hypothesis)은 우주기원론 분야에서 태양계의 형성과 진화를 설명하는 데 있어 가장 널리 인정받는 가설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성운설 · 더보기 »

센타우루스 소행성군

AU이며, 개수는 2015년 1월 기준이다.)'' 센타우루스 소행성군()은 궤도 긴반지름이 목성형 행성들 사이에 있는 태양계 소천체를 말하며, 궤도가 목성형 행성의 궤도와 한 번 이상 교차하기 때문에 궤도가 수백만 년 정도밖에 유지되지 않을 만큼 불안정.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센타우루스 소행성군 · 더보기 »

소행성군

thumb 소행성군(小行星群), 또는 소행성체군()은 서로 비슷한 궤도를 도는 소행성체들의 모임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소행성군 · 더보기 »

소행성족

궤도 경사 및 장반경에 따라 표시한 소행성들의 그래프로, 소행성족은 뭉친 구름의 형태로 나타난다. 커크우드 간극을 통해 소행성들이 나뉨(A, B+C, D, E+F+G) 또한 볼 수 있다. 소행성족(小行星族)은 궤도 요소, 즉 장반경, 이심률, 경사각 등이 서로 비슷한 소행성들의 모임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소행성족 · 더보기 »

안드로메다 은하

안드로메다 은하(_는 지구로부터 약 780 킬로파섹(250만 광년) 떨어져 있는 나선은하이다. 이는 우리은하로부터 가장 가까운 큰 은하(major galaxy)이며, 메시에 31(M31) 또는 NGC 224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옛 문헌에서는 종종 안드로메다자리 대성운(Andromeda大星雲)으로 표현되었다. 은하의 명칭은 은하가 보이는 별자리, 즉 안드로메다자리의 명칭을 따서 붙여졌다. 여기서 안드로메다자리는 그리스 신화의 안드로메다 공주의 이름을 따 붙여진 별자리이다. 폭이 대략 22만 광년인 안드로메다 은하는 우리 은하 및 삼각형자리 은하와 대략 44개의 작은 은하들을 포함하는 국부은하군에서 가장 큰 은하이다. 초기의 탐사들은 우리은하가 더 많은 암흑물질을 포함하며 국부은하군에서 가장 클 것이라고 시사하였지만, 2006년 스피처 우주 망원경을 통한 관측들은 안드로메다 은하가 2,000~4,000억 개의 별들을 포함할 것으로 추정되는 우리은하의 적어도 두 배에 해당하는, 1조 개의 별들을 포함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우리은하의 질량이 8.5 × 1011 태양질량으로 추정되는 데 비해, 안드로메다 은하의 질량은 1.5 × 1012 태양질량으로 추정된다. 2006년의 연구가 우리은하의 질량이 안드로메다 은하의 질량의 ~80%임을 제시하였지만, 2009년의 연구에서는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의 질량이 거의 같음을 보여주었다.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는 37억 5천만 년 후에 충돌할 것으로 예측되는데, 그 결과 서로 병합하여 거대타원은하 또는 거대 원반은하를 형성할 것이다. 안드로메다 은하의 겉보기 등급은 3.4등급으로 메시에 천체 중에서 가장 밝다. 때문에 광공해가 적은 지역에서 달이 없는 밤에 맨눈으로 보일 정도이다. 그러나 큰 망원경을 통해 촬영되는 안드로메다 은하의 모습(시직경)이 보름달보다 여섯배나 크기 때문에 표면밝기 문제로 인해 오로지 밝은 중심 영역만이 맨눈이나 쌍안경, 작은 천체망원경을 통해 보인다. 그래서 은하는 실제로 별과 유사한 모습으로 보인다.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안드로메다 은하 · 더보기 »

아난케 군

아난케 군(Ananke group)은 목성의 역행 위성임과 동시에 불규칙 위성들 중, 아난케의 궤도를 따라가는 위성들을 말. 아난케의 궤도를 쫓아가는 것으로 보아 공통의 기원을 가졌을 것이라 생각.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아난케 군 · 더보기 »

아드라스테아 (위성)

아드라스테아()는 목성의 위성으로, 목성과 두 번째로 가까운 위성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아드라스테아 (위성) · 더보기 »

외계 행성

HR 8799을 도는 행성 셋을 헤일 망원경이 찍은 사진. 별에서 나오는 빛은 벡터 소용돌이 코로나그래프를 사용해서 가렸다. 2MASS J044144은 갈색 왜성으로 목성 질량 5~10배의 동반 천체를 거느리고 있다. 동반 천체가 준갈색왜성인지 행성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화가자리 AB와 동반천체(좌하단). 동반천체는 갈색 왜성이거나 무거운 행성일 것이다. 2003년 3월 16일 VLT로 촬영. 항성 위에 1.4초각 크기의 오컬팅 마스크를 위치시켰다. 외계 행성(外界行星) 또는 계외 행성(系外行星)은 태양계 밖의 행성으로, 태양이 아닌 다른 항성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행성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외계 행성 · 더보기 »

화성

화성(火星)은 태양계의 네 번째 행성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화성 · 더보기 »

S/2003 J 12

목성의 자연위성으로, 태양계의 자연위성 중 가장 작. 는 2003년 하와이 대학교의 스콧 S. 셰파드가 주도한 연구팀이 발견하였.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S/2003 J 12 · 더보기 »

WASP-6

WASP-6은 물병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1000 광년 떨어져 있는 황색 왜성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WASP-6 · 더보기 »

WASP-7

WASP-7 또는 HD 197286은 지구로부터 현미경자리 방향으로 약 456 광년 떨어져 있는 F형 항성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WASP-7 · 더보기 »

90377 세드나

90377 세드나(90377 Sedna)는 그 궤도가 태양계 외곽에 미치는 커다란 소행성체이.

새로운!!: 궤도 이심률와 90377 세드나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궤도이심률.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