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기전체

색인 기전체

전체(紀傳體)는 한자 문화권에서 역사책을 쓸 때 사용되는 체제이.

41 처지: 동관한기, 동사 (이종휘), 명종실록, 명사 (역사서), 백련사 고려사, 발해, 발해고, 강목체, 경성왕후, 고려사, 고려사절요, 북제서, 기사본말체, 금사, 대남실록, 대일본사, 용신왕후, 요사, 편년체, 이종휘, 인평왕후, 일지매 (만화), 정사 (역사학), 정화택주, 주서, 청사고, 육국사, 순안왕대비, 사마천, 사기 (역사서), 삼국사기, 통지 (책), 해동 (별칭), 해동역사, 한서, 신원사 (역사서), 실록, 십국춘추, 원사 (역사서), 원성왕후, 왕충 (고려 현종).

동관한기

동관한기(東觀漢記)는 후한(25년 ~ 220년)의 역사를 기록한 역사서이.

새로운!!: 기전체와 동관한기 · 더보기 »

동사 (이종휘)

《동사》(東史)는 조선 후기 이종휘(1731년 ~ 1797년)가 지은 역사 책이.

새로운!!: 기전체와 동사 (이종휘) · 더보기 »

명종실록

《명종대왕실록》(明宗大王實錄) 또는 《명종실록》(明宗實錄)은 1545년 음력 7월부터 1567년 음력 6월까지 조선 명종 시대의 사실을 기록한 실록이.

새로운!!: 기전체와 명종실록 · 더보기 »

명사 (역사서)

《명사》()은 중국 청나라 때 편찬된 기전체 역사서로 이십사사 중의 하나이.

새로운!!: 기전체와 명사 (역사서) · 더보기 »

백련사 고려사

《백련사 고려사》(白蓮寺 高麗史)는 부산광역시 남구, 백련사에 있는 《고려사》이.

새로운!!: 기전체와 백련사 고려사 · 더보기 »

발해

발해(渤海, 698년 ~ 926년)는 고구려 멸망 이후 고구려를 계승하여 대조영이 건국한 국가이.

새로운!!: 기전체와 발해 · 더보기 »

발해고

《발해고》(渤海考)는 조선 정조 8년(1784년)에 규장각검서로 일하던 실학자 류득공유득공(柳得恭)은 '유득공'이.

새로운!!: 기전체와 발해고 · 더보기 »

강목체

강목체(綱目體)는 한자 문화권에서 역사책을 쓸 때 사용되는 체제이.

새로운!!: 기전체와 강목체 · 더보기 »

경성왕후

경성왕후 김씨(敬成王后 金氏, ? ~ 1086년 음력 7월 23일)는 고려의 제9대 왕 덕종의 제1비이.

새로운!!: 기전체와 경성왕후 · 더보기 »

고려사

《고려사》(高麗史)는 조선 초기 1392년부터 1451년까지 59년 동안 조선 태조, 태종, 세종, 문종에 이르기까지 만들고 수정한 고려 시대에 대한 역사서로서, 기전체(紀傳體)로 된 고려 왕조의 정사이.

새로운!!: 기전체와 고려사 · 더보기 »

고려사절요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는 조선 문종(文宗) 때 완성한 고려의 편년사(編年史)이.

새로운!!: 기전체와 고려사절요 · 더보기 »

북제서

《북제서》(北齊書)는 당나라 이백약이 쓴 기전체 역사서로 이십사사 중의 하나이.

새로운!!: 기전체와 북제서 · 더보기 »

기사본말체

사본말체(紀事本末體)는 역사를 사건별로 나누어 관련 내용을 모아 서술하는 한자 문화권의 역사 서술법이.

새로운!!: 기전체와 기사본말체 · 더보기 »

금사

《금사》(金史)는 중국의 이십사사 중 하나로서, 금나라에 대한 역사책이.

새로운!!: 기전체와 금사 · 더보기 »

대남실록

실록(大南實錄)은 베트남 응우옌 왕조가 편찬한 실록으로, 베트남 역사의 중요 사료이.

새로운!!: 기전체와 대남실록 · 더보기 »

대일본사

일본사()는 일본의 역사서 중 하나이.

새로운!!: 기전체와 대일본사 · 더보기 »

용신왕후

용신왕후 한씨(容信王后 韓氏, ? ~ 1036년 음력 7월 24일)는 고려 제10대 왕인 정종(靖宗)의 제1비이.

새로운!!: 기전체와 용신왕후 · 더보기 »

요사

요사(遼史)는 중국의 정사인 이십사사(청나라 건륭제가 정한 24종의 기전체 역사서) 중의 하나로 거란족이 세운 요나라의 역사를 다룬 116권의 사서이.

새로운!!: 기전체와 요사 · 더보기 »

편년체

(編年體)는 한자 문화권에서 역사책을 쓸 때 사용되는 체제이.

새로운!!: 기전체와 편년체 · 더보기 »

이종휘

이종휘(李鍾徽, 1731년 ~ 1797년)는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덕숙(德叔), 호는 수산(修山), 아버지는 병조참판을 지낸 이정철(李廷喆)이.

새로운!!: 기전체와 이종휘 · 더보기 »

인평왕후

인평왕후 김씨(仁平王后 金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 제11대 왕 문종의 제1비이.

새로운!!: 기전체와 인평왕후 · 더보기 »

일지매 (만화)

《일지매》는 만화가 고우영이 스포츠신문 일간스포츠에서 1975년부터 1977년까지 연재했고, 이후 단행본으로 출간된 창작 사극 만화이.

새로운!!: 기전체와 일지매 (만화) · 더보기 »

정사 (역사학)

정사(正史)는 동아시아의 국가들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편찬한 역사서 또는 역사적 사실을 말. 중국·한국·일본 등에서 주로 등장한 개념으로 특정한 왕조 또는 시대의 역사를 주로 기전체(紀傳體) 형식으로 편찬한 국가 공인 역사서이.

새로운!!: 기전체와 정사 (역사학) · 더보기 »

정화택주

정화택주(靜和宅主,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기전체와 정화택주 · 더보기 »

주서

주서(周書)는 당나라의 영호덕분 등이 당나라 당 태종의 칙명에 의해서 저술한 기전체의 단대사로, 이십사사 중 하나이.

새로운!!: 기전체와 주서 · 더보기 »

청사고

청사고(淸史稿)는 중국의 신해혁명에 의한 중화민국 성립 후 조이손(趙爾巽)이 중심이 되어 약 100여명의 학자들과 함께 편찬한 이십사사를 잇는 청나라 1대를 다룬 기전체 역사서이.

새로운!!: 기전체와 청사고 · 더보기 »

육국사

육국사(六國史) 고대 일본(日本)의 율령국가가 편찬한 6종의 일련의 정사(正史)를 가리키는 말이.(일본서기,속일본기,일본후기,속일본후기,일본 몬토쿠 천황 실록,일본 3대 실록) 일부에 기전체(紀傳體)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면서도 대체로는 편년체(編年體)로 쓰여져 있. 국가 사업으로서 행해진, 일본의 사서의 편찬은 아스카 시대(飛鳥時代)부터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전기에 걸쳐 행해졌고, 6종의 사서가 남았기 때문에, 이것을 육국사라고 부르고 있. 그 때문에 일본에서 간단히 '국사'라고 하면, 육국사를 뜻하게 되는 경우가 있. 일본서기 이전에도 『천황기(天皇記)』, 『국기(国記)』등의 편찬이 행해진 기록이 있으나, 이들은 현존하지 않. 또, 육국사를 편찬한 이후에 「신국사(新国史)」라 칭해지는 일본사 편찬에 관련된 계획이 있었지만, 완성에는 이르지 못했다고 전. 또 메이지 유신(明治維新) 후에도 육국사 이후의 시대를 대상으로 한 사서 편찬이 계획되었지만 실현되지 못했고, 대신에 대일본사료(大日本史料)가 편찬되게 되었.

새로운!!: 기전체와 육국사 · 더보기 »

순안왕대비

순안왕대비(順安王大妃, 생몰년 미상)는 고려(高麗)의 공주(公主)이.

새로운!!: 기전체와 순안왕대비 · 더보기 »

사마천

사마천 사마 천(기원전 145년? - 기원전 86년?)은 중국 전한(前漢)시대의 역사가이.

새로운!!: 기전체와 사마천 · 더보기 »

사기 (역사서)

《사기》(史記)는, 중국 전한 왕조 무제 시대에 사마천이 저술한 중국의 역사서이며, 중국 이십사사의 하나이자 정사의 으뜸으로 꼽힌.

새로운!!: 기전체와 사기 (역사서) · 더보기 »

삼국사기

《삼국사기》(三國史記)는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김부식(金富軾)이 1145년(인종 23)에 완성한 삼국시대사이.

새로운!!: 기전체와 삼국사기 · 더보기 »

통지 (책)

통지(通志)는 중국 남송의 정초가 소흥 31년(1161년)에 편찬한 책이.

새로운!!: 기전체와 통지 (책) · 더보기 »

해동 (별칭)

동(海東)은 한국에 대한 별칭이.

새로운!!: 기전체와 해동 (별칭) · 더보기 »

해동역사

《해동역사》(海東繹史)는 조선 말기에 실학자 한치윤과 조카 한진서(韓鎭書)가 기전체로 서술한 사서이.

새로운!!: 기전체와 해동역사 · 더보기 »

한서

《한서》(漢書)는 반고가 편찬한 전한의 역사를 서술한 역사서로, 중국 이십사사에.

새로운!!: 기전체와 한서 · 더보기 »

신원사 (역사서)

신원사(新元史)는 중화민국 성립 후 크샤오민(柯劭忞)(1850-1933, 청사초 임시 편찬 위원이기도 했다)이 편찬하고 1919년 완성된 원나라 1대 기전체 역사서이.

새로운!!: 기전체와 신원사 (역사서) · 더보기 »

실록

실록(實錄)은 주로 동아시아의 왕조 국가에서 편찬한 역사서이.

새로운!!: 기전체와 실록 · 더보기 »

십국춘추

《십국춘추(十國春秋)》는 중국 오대 십국 시대(五代十國時代)의 역사를 기록한 기전체(紀傳體) 역사서이.

새로운!!: 기전체와 십국춘추 · 더보기 »

원사 (역사서)

《원사》(元史)는 중국 원나라 왕조의 역사를 기록한 정사로 이십사사 중의 하나이.

새로운!!: 기전체와 원사 (역사서) · 더보기 »

원성왕후

원성왕태후 김씨(元成王太后 金氏, ? ~ 1028년 8월 15일(음력 7월 22일))는 고려의 제8대 왕 현종의 제3비이.

새로운!!: 기전체와 원성왕후 · 더보기 »

왕충 (고려 현종)

왕충(王忠, 생몰년 미상)은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기전체와 왕충 (고려 현종)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