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기정진

색인 기정진

정진(奇正鎭, 1798년~1879년)은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이.

20 처지: 광제정, 기 (성씨), 기삼연, 울산 김씨, 장성군, 이기대 (1792년), 이교문, 이승학 (1857년), 이최선, 이한기, 조선의 유학자, 존화양이, 주리파, 유교, 위정척사, 행주 기씨, 산림 (정치), 성리학, 한제국 건국사, 1798년.

광제정

광제정(光霽亭)은 전라북도 임실군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기정진와 광제정 · 더보기 »

기 (성씨)

(奇, 箕)씨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기정진와 기 (성씨) · 더보기 »

기삼연

삼연(奇參衍, 1851년 1월 18일 ~ 1908년 2월 3일(음력 1월 2일))은 자는 경로(景魯), 호는 성재(省齋)이.

새로운!!: 기정진와 기삼연 · 더보기 »

울산 김씨

울산 김씨(蔚山 金氏)는 울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기정진와 울산 김씨 · 더보기 »

장성군

장성군(長城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서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기정진와 장성군 · 더보기 »

이기대 (1792년)

이기대(李箕大, 1792년 10월 4일 ~ 1858년 3월 18일)는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이.

새로운!!: 기정진와 이기대 (1792년) · 더보기 »

이교문

이교문 (李敎文, 1846년 4월 21일 ~ 1914년 2월 12일)은 조선시대 말기의 성리학자이자 대한제국기의 항일 의병장이.

새로운!!: 기정진와 이교문 · 더보기 »

이승학 (1857년)

이승학(李承鶴, 1857년 ~ 1928년)은 조선 말기의 유학자, 을미사변 때의 의병장이.

새로운!!: 기정진와 이승학 (1857년) · 더보기 »

이최선

이최선(李最善, 1825년 - 1883년)은 조선 후기의 사상가, 성리학자, 교육자였.

새로운!!: 기정진와 이최선 · 더보기 »

이한기

이한기(李漢基,1917년 9월 5일 ~ 1995년 2월 2일, 전남 담양)는 대한민국의 법조인, 관료, 법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기정진와 이한기 · 더보기 »

조선의 유학자

조선의 정치 이념은 성리학이었.

새로운!!: 기정진와 조선의 유학자 · 더보기 »

존화양이

존화양이(尊華攘夷)는 중국을 존중하고 오랑캐를 물리친다는 뜻으로, 중화사상의 일부 관념이.

새로운!!: 기정진와 존화양이 · 더보기 »

주리파

주리파(主理派)는 이황의 이기호발설을 옹호하여 이(理) 일변도의 ‘심즉리(心卽理)’를 주장한 조선 성리학의 양대 산맥 중의 하나이.

새로운!!: 기정진와 주리파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기정진와 유교 · 더보기 »

위정척사

위정척사(衛正斥邪)는 조선 후기에 일어난 사회운동으로, 정학(正學)인 성리학과 정도(正道)인 성리학적 질서를 수호하고(위정), 성리학 이외의 모든 종교와 사상을 사학(邪學)으로 보아서 배격하는(척사) 운동이.

새로운!!: 기정진와 위정척사 · 더보기 »

행주 기씨

행주 기씨(幸州 奇氏)는 경기도 고양시 행주동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기정진와 행주 기씨 · 더보기 »

산림 (정치)

산림(山林)은 학식과 덕이 높으나 벼슬을 하지 아니하고 숨어 지내는 선비로서 산림숙덕지사, 산림독서지인의 준말이.

새로운!!: 기정진와 산림 (정치)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기정진와 성리학 · 더보기 »

한제국 건국사

《한제국 건국사》(韓帝國建國史)는 군사소설가 윤민혁이 쓴 작품이.

새로운!!: 기정진와 한제국 건국사 · 더보기 »

1798년

1798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기정진와 1798년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