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김동삼

색인 김동삼

동삼(金東三, 1878년 6월 23일 ~ 1937년 4월 13일)은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

54 처지: 박희광, 박찬익 (1884년), 박상진 (1884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목록, 부민단, 김동진 (1891년), 김규식 (서로군정서), 김좌진, 대한독립선언서,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각료, 대한통의부, 국민부, 국민대표회의, 군부 독재, 남자현, 편강렬, 이 달의 독립운동가, 이경희 (1880년), 이광민, 이봉우 (1873년), 이운형, 이장녕, 이인, 이상룡 (1858년), 이세영 (1869년), 이시영 (1868년), 이시영 (1882년), 일송, 의군부, 의성 김씨, 정의부, 정신 (1898년), 조소앙, 오동진 (1889년), 현천묵, 여운형, 허발, 서로군정서, 서상일, 손일민, 통군부, 한용운, 한흥 (독립운동가), 신민부, 신흥무관학교, 신팔균, 황상규, 1878년, 1926년, ..., 1931년, 1937년, 4월 13일, 6월 23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4 더) »

박희광

박희광 (朴喜光, 1901년 2월 15일 ~ 1970년 1월 22일)은 일제 강점기 시절, 만주에서 활동한 대표적인 독립운동가로 예명(혹은 아호)은 상만(相萬)이.

새로운!!: 김동삼와 박희광 · 더보기 »

박찬익 (1884년)

박찬익 박찬익(朴贊翊, 1884년 1월 2일 ~ 1949년 3월 9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교육자이.

새로운!!: 김동삼와 박찬익 (1884년) · 더보기 »

박상진 (1884년)

박상진 박상진(朴尙鎭, 1884년 12월 7일 ~ 1921년 8월 13일)은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

새로운!!: 김동삼와 박상진 (1884년) · 더보기 »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목록

민국의 독립에 끼친 공로를 인정받아 건국훈장 중 대통령장(大統領章)을 받은 독립유공자를 다룬 문서이.

새로운!!: 김동삼와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목록 · 더보기 »

부민단

부민단(扶民團)은 한국의 독립운동단체이.

새로운!!: 김동삼와 부민단 · 더보기 »

김동진 (1891년)

동진(金東鎭, 1891년 11월 29일 ~ 1938년 3월 13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김동삼와 김동진 (1891년) · 더보기 »

김규식 (서로군정서)

식(金圭植, 1880년 8월 27일 ~ 1945년 8월 10일)은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

새로운!!: 김동삼와 김규식 (서로군정서) · 더보기 »

김좌진

좌진(金佐鎭, 1889년 12월 16일 ~ 1930년 1월 24일)은 일제 강점기의 군인이자 독립운동가이었.

새로운!!: 김동삼와 김좌진 · 더보기 »

대한독립선언서

독립선언서(大韓獨立宣言書) 또는 무오독립선언서(戊午獨立宣言書)는 1919년 2월 1일에 발표된 독립선언서이.

새로운!!: 김동삼와 대한독립선언서 · 더보기 »

대한민국 임시 정부

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1919년 ~ 1948년)는 1919년 3월 1일 경성(京城)에서 선포된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 제국의 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1919년 4월 11일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설립된 대한민국의 망명정부이.

새로운!!: 김동삼와 대한민국 임시 정부 · 더보기 »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각료

민국 임시정부의 각료는 1919년 4월부터 1948년 7월 22일까지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복무하였던 각료들의 명단이.

새로운!!: 김동삼와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각료 · 더보기 »

대한통의부

통의부(統義府)는 일제강점기 한국의 무장독립운동단체, 군정부(軍政府)이.

새로운!!: 김동삼와 대한통의부 · 더보기 »

국민부

국민부(國民府)는 일제강점기 한국의 독립운동단체, 군정부(軍政府)이.

새로운!!: 김동삼와 국민부 · 더보기 »

국민대표회의

국민대표회의는 1923년 중국 상하이 인민정부대례당에서 개최된 한국의 독립운동 계파간의 회의를 말. 이 회의에 모인 국내외 단체의 대표들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진로를 비롯한 독립운동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

새로운!!: 김동삼와 국민대표회의 · 더보기 »

군부 독재

부 독재(軍部獨裁)는 한 나라나 지방의 군사력을 통솔하는 군부 출신 지도자 또는 군부 출신 인사가 주도권을 쥐고 있는 독재 정치를 시행하는 형태의 정권이.

새로운!!: 김동삼와 군부 독재 · 더보기 »

남자현

자현(南慈賢, 1872년 12월 7일 ~ 1933년 8월 22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김동삼와 남자현 · 더보기 »

편강렬

의성단원들의 무죄 석방 보도, 구속된 의성단장 형의 강제 퇴거명령에 경찰에 협박장을 보낸 의성단, 독립운동 3단체의 통합 편강렬(片康烈, 1892년 ~ 1928년)은 한국의 항일운동가이.

새로운!!: 김동삼와 편강렬 · 더보기 »

이 달의 독립운동가

이 달의 독립운동가는 대한민국 국가보훈처가 선정하여 발표하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명단이.

새로운!!: 김동삼와 이 달의 독립운동가 · 더보기 »

이경희 (1880년)

이경희(李慶熙, 1880년 6월 11일 ~ 1949년 12월 4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자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구한 말 신민회의 회원이자, 일제 강점기 당시 의열단과 신간회의 주요 멤버의 한 사람이.

새로운!!: 김동삼와 이경희 (1880년) · 더보기 »

이광민

이광민(李光民 1895년 ~ 1945년 10월 18일)은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김동삼와 이광민 · 더보기 »

이봉우 (1873년)

이봉우(李鳳雨, 1873.7.15 ~ 1921. 9.23)는 대한민국의 항일독립운동가이.

새로운!!: 김동삼와 이봉우 (1873년) · 더보기 »

이운형

이운형(李運衡 1891년 3월 24일 ~ 1972년 3월6일)은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개신교 목사이.

새로운!!: 김동삼와 이운형 · 더보기 »

이장녕

이장녕(李章寧, 1881년 음력 5월 20일 ~ 1932년 양력 1월 24일)은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

새로운!!: 김동삼와 이장녕 · 더보기 »

이인

이인(李仁, 1896년 10월 26일 ~ 1979년 4월 5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법률가, 정치인이.

새로운!!: 김동삼와 이인 · 더보기 »

이상룡 (1858년)

이상룡(李相龍, 1858년 12월 28일 ~ 1932년 6월 15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며 본관은 고성(固城)이고 1925년 9월 24일부터 1926년 1월까지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역임하였.

새로운!!: 김동삼와 이상룡 (1858년) · 더보기 »

이세영 (1869년)

이세영(李世永, 1870년 ~ 1941년)은 대한민국의 항일독립운동가이.

새로운!!: 김동삼와 이세영 (1869년) · 더보기 »

이시영 (1868년)

이시영(李始榮, 문화어: 리시영, 1868년 12월 3일 한성부 ~ 1953년 4월 17일)은 조선,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 정치인이.

새로운!!: 김동삼와 이시영 (1868년) · 더보기 »

이시영 (1882년)

이시영(李始榮, 1882년 1월 10일 ~ 1919년 7월 9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김동삼와 이시영 (1882년) · 더보기 »

일송

일송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김동삼와 일송 · 더보기 »

의군부

의군부(義軍府)는 일제강점기 한국의 무장독립운동단체, 군정부(軍政府)이.

새로운!!: 김동삼와 의군부 · 더보기 »

의성 김씨

의성 김씨(義城 金氏)는 경상북도 의성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김동삼와 의성 김씨 · 더보기 »

정의부

정의부(正義府)는 1924년 만주에서 조직되었던 항일 무장독립운동 단체, 군정부(軍政府)이.

새로운!!: 김동삼와 정의부 · 더보기 »

정신 (1898년)

정신(鄭信, 1898년 ~ 1931년)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김동삼와 정신 (1898년) · 더보기 »

조소앙

조소앙(趙素昻, 1887년 4월 30일 ~ 1958년 9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 교육자이.

새로운!!: 김동삼와 조소앙 · 더보기 »

오동진 (1889년)

오동진(吳東振, 1889년 ~ 1944년신재홍(申載洪),, 국사편찬위원회, 1989년, 219~233쪽.)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김동삼와 오동진 (1889년) · 더보기 »

현천묵

현천묵(玄天默, ? ~ 1928년)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김동삼와 현천묵 · 더보기 »

여운형

여운형(呂運亨, 1886년 5월 25일 ~ 1947년 7월 19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겸 저술가이.

새로운!!: 김동삼와 여운형 · 더보기 »

허발

발(許潑, 1872 ~ 1955)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김동삼와 허발 · 더보기 »

서로군정서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는 서간도 혹은 남만주에 있던 한국의 독립혁명단체이.

새로운!!: 김동삼와 서로군정서 · 더보기 »

서상일

서상일(徐相日, 1886년 7월 9일 - 1962년 4월 18일, 대구 출생)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정치가이.

새로운!!: 김동삼와 서상일 · 더보기 »

손일민

손일민(孫逸民, 1884년 ~ 1939년)은 대한민국의 항일독립운동가이.

새로운!!: 김동삼와 손일민 · 더보기 »

통군부

통군부(統軍府)는 1922년 2월 만주에서 조직된 일제강점기 무장독립운동단체, 군정부(軍政府)이.

새로운!!: 김동삼와 통군부 · 더보기 »

한용운

용운(韓龍雲, 1879년 8월 29일 ~ 1944년 6월 29일)은 일제 강점기의 시인, 승려,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김동삼와 한용운 · 더보기 »

한흥 (독립운동가)

흥(韓興, 1888년 ~ 1959년) 함남 신흥 출생이.

새로운!!: 김동삼와 한흥 (독립운동가) · 더보기 »

신민부

신민부(新民府)는 한국의 항일 독립운동단체, 군정부(軍政府)이.

새로운!!: 김동삼와 신민부 · 더보기 »

신흥무관학교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는 1911년 서간도(길림성 류하현)에서 개교한 독립군 양성 기관으로, 현 경희대학교(慶熙大學校)의 전신이.

새로운!!: 김동삼와 신흥무관학교 · 더보기 »

신팔균

신팔균(申八均, 1882년 음력 5월 19일 ~ 1924년 양력 7월 2일)은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

새로운!!: 김동삼와 신팔균 · 더보기 »

황상규

황상규(黃尙奎, 1890년 ~ 1941년)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김동삼와 황상규 · 더보기 »

1878년

187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동삼와 1878년 · 더보기 »

1926년

192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동삼와 1926년 · 더보기 »

1931년

193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동삼와 1931년 · 더보기 »

1937년

193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동삼와 1937년 · 더보기 »

4월 13일

4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3번째(윤년일 경우 10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김동삼와 4월 13일 · 더보기 »

6월 23일

6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4번째(윤년일 경우 17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김동삼와 6월 23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김긍식, 일송 김동삼.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