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Play 스토어에서 Unionpedia 앱을 복원하기 위해 작업 중입니다
나가는들어오는
🌟더 나은 탐색을 위해 디자인을 단순화했습니다!
Instagram Facebook X LinkedIn

김수온

색인 김수온

수온(金守溫, 1410년 ∼ 1481년)은 조선 초기의 문신·학자이.

목차

  1. 17 처지: 동인시화, 간경도감, 보은 김수온 부조묘, 부원군, 김일손, 김종직, 김질 (1422년), 담양군, 인왕산 백운동 계곡, 의방유취, 정효항, 허자, 서울 원각사지 대원각사비, 한국의 불교, 안평대군, 홍윤성, 왕과 비.

동인시화

동인시화(東人詩話)는 서거정(徐居正)이 편찬하여 간행한 조선시대의 목판본 책이.

보다 김수온와 동인시화

간경도감

경도감(刊經都監)은 조선 시대 초기에 불경을 한글로 번역출간하기 위해 세워진 국립 기관이.

보다 김수온와 간경도감

보은 김수온 부조묘

보은 김수온 부조묘(報恩 金守溫 不祧廟)는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지산리에 있는, 조선 초기의 문신 식우(拭우) 김수온(1410∼1481) 선생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

보다 김수온와 보은 김수온 부조묘

부원군

부원군(府院君)은 고려 충렬왕 이후 조선시대까지 사용한 작호(爵號)이.

보다 김수온와 부원군

김일손

일손(金馹孫, 1464년 ~ 1498년 7월)은 조선 성종·연산군 때의 문신이며 학자, 사관, 시인이.

보다 김수온와 김일손

김종직

종직(金宗直, 1431년 6월 ~ 1492년 8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이며, 성리학자, 정치가, 교육자, 시인이.

보다 김수온와 김종직

김질 (1422년)

(金礩, 1422년 ~ 1478년 2월 24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무신, 문신, 정치인이.

보다 김수온와 김질 (1422년)

담양군

양군(潭陽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의 중북부에 있는 군이.

보다 김수온와 담양군

인왕산 백운동 계곡

인왕산 백운동 계곡(仁王山 白雲洞 溪谷)은 서울특별시 인왕산 자락 자하문터널 상부 일대의 계곡으로, 백운동천의 서북쪽 일대의 상류부를 일컫.

보다 김수온와 인왕산 백운동 계곡

의방유취

《의방유취》(醫方類聚)는 1445년(조선 세종 27년)에 완성된 의학서이.

보다 김수온와 의방유취

정효항

정효항(鄭孝恒,?~?).

보다 김수온와 정효항

허자

자의 글씨 허자(許磁, 1496년 음력 윤 3월 13일 ~ 1551년 3월 14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작가, 정치인이.

보다 김수온와 허자

서울 원각사지 대원각사비

서울 원각사지 대원각사비(서울 圓覺寺址 大圓覺寺碑)는 원각사의 창건 내력을 기록한 석비로 조선 성종 2년인 1471년에 세워졌.

보다 김수온와 서울 원각사지 대원각사비

한국의 불교

국의 불교는 기원후 4세기와 5세기경 삼국 시대(三國時代)에 동진 시대(317-420)와 남북조 시대(439-589)의 중국을 거쳐 들어온 종교로서 한국 민족과 더불어 자라온 중요한 종교 사상의 하나이.

보다 김수온와 한국의 불교

안평대군

안평대군 이용(安平大君 李瑢, 1418년 10월 18일(음력 9월 19일) ~ 1453년 11월 18일(음력 10월 18일))은 조선 전기의 왕족이자 서예가, 서화가, 시인, 작가이.

보다 김수온와 안평대군

홍윤성

홍윤성(洪允成, 1425년 ~ 1475년 음력 9월 8일)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김수온와 홍윤성

왕과 비

《왕과 비(王과 妃)》는 한국방송공사에서 방영한 드라마이.

보다 김수온와 왕과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