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김유신

색인 김유신

유신(金庾信, 595년 ~ 673년 8월 18일 (음력 7월 1일))은 신라의 군인 겸 정치가이자, 외척이었.

205 처지: DDH-976 문무대왕, 동대교 (경주시), 동대성, 동성혼, 매소성 전투, 만명부인, 무속신앙, 문명왕후, 문무왕, 문두루법회, 미나모토노 요리이에, 백강 전투, 백제의 멸망, 박산다라, 밀본, 가혜성, 가야, 격구, 견신라사, 경주 명활성, 경주 김유신묘,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 경주 천관사지, 경주 선덕왕릉, 경주 원원사지, 경주시의 문화재, 고구려-당 전쟁, 고순 (신라), 고성동, 보 (재단), 보덕왕, 보광동 (서울), 보종, 계백 (드라마), 계백 장군 유적 전승지, 봉산 지씨, 관창, 관산성 전투, 근친혼, 귀실복신, 금돌성, 금강 (신라), 금관가야, 비담, 비담의 난, 김 (성씨), 김무력, 김문영 (신라), 김고타소, 김대중, ..., 김대중에 대한 비판, 김군관, 김용춘, 김흠돌, 김흠돌의 난, 김흠순, 김유석, 김유신 (동음이의), 김양 (신라), 김양도, 김품일, 김품석, 김삼광, 김서현, 김해 김씨, 김해 김씨 (동음이의), 김암, 김원술, 대막리지, 대각간, 대당고김씨부인묘명,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대왕의 꿈, 구형왕, 국제 태권도 연맹, 군웅 (무속), 두품, 남지훈, 남악서원, 낭성, 난승, 나당 전쟁, 노리부, 노블레스 오블리주, 노영학, 논산 개태사지, 단석산, 당 고종, 우금산성, 잡찬, 장보고, 임자 (백제), 평양성 (영화), 흥덕왕, 흥무로, 이벌찬, 이종수 (배우), 이현우 (배우), 일길찬, 음력 7월 9일, 의직, 흑치상지, 적성군, 제2차 고구려-당 전쟁, 제3차 고구려-당 전쟁, 정진영, 정성모, 조미압, 죽지, 진덕여왕, 진평왕, 진주 김씨, 진천 길상사, 진천 김유신 탄생지와 태실, 진천 용화사 석조여래입상, 진천읍, 지기삼사, 지소부인, 청주 상당산성, 청풍 성열현, 천관녀, 천년의 신화, 충곡서원지, 추남 (고구려), 윤승원, 윤충, 팔공산, 상대등, 상영 (백제), 태대각간, 태종무열왕, 수로왕, 숙흘종, 영류왕, 영모부인, 영창부인, 호림, 호조 마사코, 혼인, 최재성 (배우), 양산 지산리 부부상, 역사스페셜,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연개소문, 연개소문 (드라마), 연날리기, 염장 (586년), 염종, 풍월주, 사도왕후, 사찬 (관직), 삼기팔괴, 삼국 시대 인물 목록, 삼국기, 삼국사기, 석토성, 선덕여왕, 선덕여왕 (드라마), 성덕왕, 성골과 진골, 서경주역 (1985년), 서인석 (배우), 서천교 (경주시), 서악서원, 서원 철폐, 소정방, 소호 (오제), 통일전, 통일신라, 애기씨신, 한국 철학, 한국방송공사 어린이 인형극, 한국의 도교, 한국의 반란 목록, 한국의 선교,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한국사기, 한일 관계, 알천, 안철수, 아스카 시대, 아해, 신라, 신라의 관등, 신라의 대외 관계, 신라의 조각, 신라의 역대 국왕, 신라의 삼국통일, 신무왕, 신문왕, 신계사, 시중 (신라의 관직), 원사 (향가), 후지와라노 가마타리, 황산벌 (영화), 황산벌 전투, 황성공원, 화랑, 578년, 595년, 644년, 645년, 673년, 8월 18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55 더) »

DDH-976 문무대왕

DDH-976 문무대왕함(DDH-976文武大王艦)은 스텔스 기능을 갖춘 대한민국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의 2번함이.

새로운!!: 김유신와 DDH-976 문무대왕 · 더보기 »

동대교 (경주시)

동대교(東大橋)는 대한민국의 경상북도 경주시 석장동과 성건동을 연결하는 총길이 380m, 형산강의 다리이.

새로운!!: 김유신와 동대교 (경주시) · 더보기 »

동대성

동대성(同大城)은 삼국시대 김유신 장군이 백제의 7성을 공취한 성곽의 하나이.

새로운!!: 김유신와 동대성 · 더보기 »

동성혼

동성혼(同姓婚)은 같은 성씨(姓氏)를 가진 사람이 서로 혼인하는 것을 말.

새로운!!: 김유신와 동성혼 · 더보기 »

매소성 전투

매소성 전투는 나당 전쟁 당시 675년 신라와 당나라가 매소성에서 벌인 전투로, 신라는 이 전투에서 당나라 20만 대군을 격파하여 그 간의 패배를 만회하고 나당 전쟁의 전세를 역전시.

새로운!!: 김유신와 매소성 전투 · 더보기 »

만명부인

만명부인(萬明夫人, 574년 ~ ?) 혹은 만명공주(萬明公主)는 신라의 명장 김유신의 어머니이.

새로운!!: 김유신와 만명부인 · 더보기 »

무속신앙

무속신앙(巫俗信仰), 또는 간단히 무속(巫俗), 무(巫)는 한국의 전통적인 샤머니즘(Shamanism) 즉, 무당으로 불리는 중재자가 신령과 인간을 중재하는 종교이.

새로운!!: 김유신와 무속신앙 · 더보기 »

문명왕후

문명왕후(文明王后, ? ~ 681년)는 신라 태종무열왕의 왕후로, 이름은 문희(文姬), 아명은 아지(阿之)이며, 본관은 김해이.

새로운!!: 김유신와 문명왕후 · 더보기 »

문무왕

문무왕(文武王, 626년~681년 7월 21일 (음력 7월 1일))은 신라 제30대 왕(재위: 661년 음력 6월 ~ 681년 음력 7월 1일)이.

새로운!!: 김유신와 문무왕 · 더보기 »

문두루법회

신라의 문두루법회(文豆婁法會: 만트라 법회)는 명랑(明朗)법사에 의해서 비롯되었.

새로운!!: 김유신와 문두루법회 · 더보기 »

미나모토노 요리이에

미나모토노 요리이에(1182년 9월 11일 ~ 1204년 8월 14일)은 가마쿠라 막부의 제2대 쇼군(將軍)으로 초대 쇼군 미나모토노 요리토모(源賴朝)의 적장자(嫡長子).

새로운!!: 김유신와 미나모토노 요리이에 · 더보기 »

백강 전투

백강 전투(白江戰鬪)는 663년 8월에 한반도의 백강(현재의 금강 하구 및 그 부근)에서 벌어진 백제·왜의 연합군과 당·신라의 연합군 사이의 전투이.

새로운!!: 김유신와 백강 전투 · 더보기 »

백제의 멸망

백제의 멸망(百濟 ― 滅亡)은 660년에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이 백제를 정벌한 전쟁을 가리.

새로운!!: 김유신와 백제의 멸망 · 더보기 »

박산다라

박산다라(Sandara Park, 1984년 11월 12일 ~)는 대한민국의 전 가수, 배우이.

새로운!!: 김유신와 박산다라 · 더보기 »

밀본

밀본(密本)은 7세기 경 신라의 명승이.

새로운!!: 김유신와 밀본 · 더보기 »

가혜성

혜성(加兮城)은 삼국항쟁시대 백제의 성곽으로, 김유신 장군이 백제의 7성을 공취한 성곽의 하나이.

새로운!!: 김유신와 가혜성 · 더보기 »

가야

야(伽倻, 加耶, 伽耶)는 낙동강 하류 지역에 존재했던 한국의 고대 국가이.

새로운!!: 김유신와 가야 · 더보기 »

격구

격구(擊毬)는 전통 공놀이로서 통상적으로 편을 갈라 나무 채나 막대기 등을 이용해 달걀 크기 정도의 공을 쳐서 일정한 거리에 있는 구문(毬門)에 공을 넣어 경기장 밖으로 나가게 하거나, 구멍에 넣는 공놀이들을 가리.

새로운!!: 김유신와 격구 · 더보기 »

견신라사

신라사()는, 고대 일본에서 신라로 파견했던 사절이.

새로운!!: 김유신와 견신라사 · 더보기 »

경주 명활성

경주 명활성(慶州明活城)은 경상북도 경주시 보문관광단지 남쪽에 있는 신라의 성곽이.

새로운!!: 김유신와 경주 명활성 · 더보기 »

경주 김유신묘

유신묘(金庾信墓)는 현재 경상북도 경주시 충효동에 있는 옥녀봉 동쪽 능선 한가운데에 위치한 통일신라 시대의 고분으로, 신라의 장군이자 재상이었던 김유신의 무덤으로 전하고 있. 1963년 사적 제21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김유신와 경주 김유신묘 · 더보기 »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慶州 斷石山 神仙寺 磨崖佛像群)은 경상북도 경주시 단석산에 있는 신라시대의 마애불상군이.

새로운!!: 김유신와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 · 더보기 »

경주 천관사지

경주 천관사지(慶州 天官寺址)는 신라의 수도였던 서라벌(徐羅伐)에 세워져 고려 시대까지 존속했으나 후에 폐사된 사찰인 천관사의 옛 터이.

새로운!!: 김유신와 경주 천관사지 · 더보기 »

경주 선덕왕릉

경주 선덕여왕릉(慶州 善德女王陵)은 경상북도 경주시 보문동에 있는 신라 27대 왕인 선덕여왕(재위 632∼647)의 무덤이.

새로운!!: 김유신와 경주 선덕왕릉 · 더보기 »

경주 원원사지

경주 원원사지(慶州 遠願寺址)는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봉서산 기슭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절터이.

새로운!!: 김유신와 경주 원원사지 · 더보기 »

경주시의 문화재

음은 대한민국 경주시의 지정 문화재 목록이.

새로운!!: 김유신와 경주시의 문화재 · 더보기 »

고구려-당 전쟁

-당 전쟁은 645년에서 668년까지 고구려와 당나라 사이에서 벌어졌던 전쟁이.

새로운!!: 김유신와 고구려-당 전쟁 · 더보기 »

고순 (신라)

순(高純, ? ~ ?)은 신라 문무왕 때의 장군이.

새로운!!: 김유신와 고순 (신라) · 더보기 »

고성동

성동(古城洞)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북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김유신와 고성동 · 더보기 »

보 (재단)

보(寶)는 공공사업을 운영하기 위해 재단을 설정하고 그 이익으로 경비를 지출하던 공적(公的)인 이식기관(利息機關: 이자를 받는 금융기관)이.

새로운!!: 김유신와 보 (재단) · 더보기 »

보덕왕

보덕왕(報德王) 또는 보덕국왕(報德國王) 고안승(高安勝, ? ~ 683년 이후, 재위: 670년 ~ 683년) 또는 고안순(高安舜)은 고구려의 유민으로 고구려 부흥운동 지도자이.

새로운!!: 김유신와 보덕왕 · 더보기 »

보광동 (서울)

보광동(普光洞)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는 동이.

새로운!!: 김유신와 보광동 (서울) · 더보기 »

보종

보종(寶宗, 생몰년 미상)은 《화랑세기》에만 등장하는 신라의 화랑으로 제16대 풍월주를 역임하였.

새로운!!: 김유신와 보종 · 더보기 »

계백 (드라마)

《계백》은 2011년 7월 25일부터 2011년 11월 22일까지 방송한 백제의 장군 계백을 조명한 문화방송 월화 드라마이.

새로운!!: 김유신와 계백 (드라마) · 더보기 »

계백 장군 유적 전승지

백 장군 유적 전승지(階伯將軍遺蹟傳承地)는 백제의 장군 계백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곳이.

새로운!!: 김유신와 계백 장군 유적 전승지 · 더보기 »

봉산 지씨

봉산 지씨(鳳山 智氏)는 황해도 봉산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김유신와 봉산 지씨 · 더보기 »

관창

창(金官昌, 645년~660년)은 신라 중기의 화랑이.

새로운!!: 김유신와 관창 · 더보기 »

관산성 전투

 관산성 전투는 554년 백제와 신라가 관산성(管山城,지금의 충북 옥천)에서 싸워 신라군이 백제군을 무찌르고 백제 성왕을 죽인 전투이.

새로운!!: 김유신와 관산성 전투 · 더보기 »

근친혼

혼(近親婚)은 혼인의 상대가 친가, 외가 모두 가까운 친척으로 근친(近親) 혈족이거나, 재혼의 상대가 전(前) 배우자의 근친인 혼인을 말. 한국에서는 삼국 시대에 신라의 왕실이나 귀족층에서 골품제도의 유지와 왕권 강화를 위한 근친혼이 성행하였.

새로운!!: 김유신와 근친혼 · 더보기 »

귀실복신

실복신(鬼室福信, 원래 이름은 부여복신(扶餘福信), ? ~ 663년)은 백제의 왕족·무장·관리이.

새로운!!: 김유신와 귀실복신 · 더보기 »

금돌성

성(今突城)은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있는 성이.

새로운!!: 김유신와 금돌성 · 더보기 »

금강 (신라)

강(金金剛, 생년미상 ~ 660년) 혹은 김강은 신라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김유신와 금강 (신라) · 더보기 »

금관가야

야(金官伽倻), 본가야(本伽倻)는 42년부터 532년까지 존재했던 나라로, 신라에게 멸망하기 전 국명은 가락국(駕洛國)이었.

새로운!!: 김유신와 금관가야 · 더보기 »

비담

비담(毗曇, 미상 ~ 647년 2월 26일(음력 1월 17일)) 은 신라 제 27대 선덕여왕 말기의 진골로 추정되는 귀족이며 성은 김(金)이.

새로운!!: 김유신와 비담 · 더보기 »

비담의 난

비담의 난(毗曇-亂)은, 645년 상대등에 오른 비담이 권력을 장악하여 647년 1월, "(여자 임금은 나라를 잘 다스릴 수 없다.)"라는 명분을 내걸고 염종의 군사와 함께 출정하여 일으킨 선덕여왕 대의 반란이.

새로운!!: 김유신와 비담의 난 · 더보기 »

김 (성씨)

외 김(金)씨는 성씨의 하나이.

새로운!!: 김유신와 김 (성씨) · 더보기 »

김무력

무력(金武力, 518년 ~ 579년 10월 16일)은 가락국의 왕족이자 금관가야의 왕자였.

새로운!!: 김유신와 김무력 · 더보기 »

김문영 (신라)

문영(金文穎, 생몰년 미상)은 7세기 신라의 장군이자 관인이었.

새로운!!: 김유신와 김문영 (신라) · 더보기 »

김고타소

소랑(古陀炤娘, 627년 이후 ~ 642년)은 대야성주 김품석의 부인으로, 김춘추(태종 무열왕)의 딸이며 김법민(문무왕)의 여동생이.

새로운!!: 김유신와 김고타소 · 더보기 »

김대중

중(金大中, 1924년 1월 6일 ~ 2009년 8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제15대 대통령이.

새로운!!: 김유신와 김대중 · 더보기 »

김대중에 대한 비판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제15대 대통령 김대중에 대한 비판과 논란을 서술한 문서이.

새로운!!: 김유신와 김대중에 대한 비판 · 더보기 »

김군관

공(軍官公, 612년 ~ 681년)은 동란공(冬蘭公)의 아들이.

새로운!!: 김유신와 김군관 · 더보기 »

김용춘

용춘(金龍春, 578년 ~ 647년) 또는 김용수(金龍樹, 575년 ~ 632년)는 신라의 추촌왕으로, 진지왕의 아들이자, 태종무열왕 김춘추의 아버지이.

새로운!!: 김유신와 김용춘 · 더보기 »

김흠돌

흠돌(金欽突, ? ~ 681년 9월 25일(음력 8월 8일))은 신라 중대와 통일신라의 군인이자 왕족, 무신, 외척이며 반란자이.

새로운!!: 김유신와 김흠돌 · 더보기 »

김흠돌의 난

흠돌의 난(金欽突의 亂)은 신라에서 681년 소판(蘇判) 김흠돌(金欽突: 미상~681년 9월 25일(음력 8월 8일))이 파진찬(波珍湌) 흥원(興員: 미상~681년 9월 25일(음력 8월 8일)), 대아찬(大阿飡) 진공(眞功: 미상~681년 9월 25일(음력 8월 8일)) 등과 함께 모반을 꾀하다 발각되어 처형된 사건으로 신라(新羅)의 왕권이 전제화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중요한 사건이.

새로운!!: 김유신와 김흠돌의 난 · 더보기 »

김흠순

흠순(金欽殉, 598년 ~ 680년)은 가야의 왕족 출신으로 신라의 군인 겸 정치가이자 외척이었.

새로운!!: 김유신와 김흠순 · 더보기 »

김유석

유석(金庾石, 1966년 9월 22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김유신와 김유석 · 더보기 »

김유신 (동음이의)

유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김유신와 김유신 (동음이의) · 더보기 »

김양 (신라)

양(金陽, 808년~857년)은 신라의 왕족·공신으로, 자는 위흔(魏昕)이.

새로운!!: 김유신와 김양 (신라) · 더보기 »

김양도

양도(金良圖, ? ~ 670년)는 신라 중기의 귀족ㆍ장군ㆍ관인이.

새로운!!: 김유신와 김양도 · 더보기 »

김품일

일(金品日)은 신라 태종 무열왕 때의 장군이.

새로운!!: 김유신와 김품일 · 더보기 »

김품석

석(金品釋, ? ~642년)은 고타소공주의 부군으로, 신라장군 김품일의 형으로 김춘추(훗날 태종 무열왕)의 사위이.

새로운!!: 김유신와 김품석 · 더보기 »

김삼광

삼광(金三光, 655년~ ?)은 통일 신라(統一新羅)의 귀족이며, 가야(伽倻)의 왕족이었.

새로운!!: 김유신와 김삼광 · 더보기 »

김서현

서현(金舒玄, 564년 ~ ?)은 가야의 왕족이자, 신라의 군인이.

새로운!!: 김유신와 김서현 · 더보기 »

김해 김씨

씨(金海 金氏)는 경상남도 김해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김유신와 김해 김씨 · 더보기 »

김해 김씨 (동음이의)

씨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김유신와 김해 김씨 (동음이의) · 더보기 »

김암

암(金巖, 생몰년 미상)은 8세기 신라의 점복가·병술가(兵術家)이.

새로운!!: 김유신와 김암 · 더보기 »

김원술

원술(金元述, ? ~ ?)은 신라의 화랑이.

새로운!!: 김유신와 김원술 · 더보기 »

대막리지

막리지(大莫離支)는 고구려의 관직 중 하나이.

새로운!!: 김유신와 대막리지 · 더보기 »

대각간

각간(大角干) 혹은 대서발한(大舒發翰)은 신라의 17관등 중 제1등인 각간에다가 대 자까지 붙여서 만든 임시직이.

새로운!!: 김유신와 대각간 · 더보기 »

대당고김씨부인묘명

당고김씨부인묘명(大唐故金氏夫人墓銘)은 중국 당나라에 살았던 신라인 김씨 부인의 묘지명이.

새로운!!: 김유신와 대당고김씨부인묘명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정부표준영정(政府標準影幀)은 한국의 역사에 등장하는 인물 중에서 민족적으로 추앙받고 있는 선현들의 영정 난립을 방지하기 위해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지정한 영정을 말. 모든 정부표준영정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훈령으로 지정된 《영정·동상 심의 규정》에 따른 심의 절차에 따라 지정되거나 해제.

새로운!!: 김유신와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이.

새로운!!: 김유신와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 더보기 »

대왕의 꿈

《대왕의 꿈》 은 KBS 1TV에서 기획한 삼국시대 영웅전의 세 번째 작품으로, 신라 제26대 진평왕, 제27대 선덕여왕, 제28대 진덕여왕, 제29대 태종무열왕, 제30대 문무왕까지의 치세와 흥무대왕 김유신, 그리고 삼국 말기의 고구려, 백제의 영웅들의 일대기를 재조명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김유신와 대왕의 꿈 · 더보기 »

구형왕

형왕(仇衡王, 생몰년 미상, 재위: 521년 ~ 532년? 562년?) 혹은 구해왕(仇亥王)은 가락국의 마지막 왕이.

새로운!!: 김유신와 구형왕 · 더보기 »

국제 태권도 연맹

국제 태권도 연맹(國際跆拳道聯盟, International Taekwondo Federation, ITF)은 1966년 3월에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인 최홍희가 주축이 되어 설립한 국제 태권도 단체이.

새로운!!: 김유신와 국제 태권도 연맹 · 더보기 »

군웅 (무속)

웅(群雄, 軍雄) 또는 군웅신은 한국의 무속의 신의 하나로, 장군신의 일종이.

새로운!!: 김유신와 군웅 (무속) · 더보기 »

두품

(頭品)은 신라의 골품제의 하나로, 일종의 신분제도이.

새로운!!: 김유신와 두품 · 더보기 »

남지훈

훈(南至薰)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김유신와 남지훈 · 더보기 »

남악서원

악서원(南岳書院)은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서원이.

새로운!!: 김유신와 남악서원 · 더보기 »

낭성

낭성(娘城)은 신라의 진흥왕(眞興王)이 남한강 상류 청풍강 유역을 점령하고 순수한 옛 국원에 읍성으로 소재지는 미상이.

새로운!!: 김유신와 낭성 · 더보기 »

난승

승(難勝, ?~?)은 신라의 선인(仙人)이.

새로운!!: 김유신와 난승 · 더보기 »

나당 전쟁

당 전쟁(羅唐戰爭)은 670년부터 676년까지 신라와 당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김유신와 나당 전쟁 · 더보기 »

노리부

세종(世宗 ? ~ 588년)은 신라의 귀족으로 신라 진흥왕 및 진평왕 때의 장군·재상및 정치가이.

새로운!!: 김유신와 노리부 · 더보기 »

노블레스 오블리주

블레스 오블리주(IPA)란 프랑스어로 "귀족성은 의무를 갖는다"를 의미.

새로운!!: 김유신와 노블레스 오블리주 · 더보기 »

노영학

영학(~)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김유신와 노영학 · 더보기 »

논산 개태사지

산 개태사지(論山 開泰寺址)는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천호리에 있는 사철 터이.

새로운!!: 김유신와 논산 개태사지 · 더보기 »

단석산

석산 내부 단석산 내부에 위치한 사찰 신선사 단석산(斷石山)은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산이.

새로운!!: 김유신와 단석산 · 더보기 »

당 고종

당 고종(唐 高宗, 628년 7월 21일 ~ 683년 12월 27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3대 황제이.

새로운!!: 김유신와 당 고종 · 더보기 »

우금산성

우금산성(禹金山城)은 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 감교리 개암사의 뒷산에 있는 돌로 쌓은 산성이.

새로운!!: 김유신와 우금산성 · 더보기 »

잡찬

잡찬(迊湌)은 신라 시대 17관등에서 3등으로 파진찬의 위이며 소판(蘇判),잡판(迊判),잡간(迊干)이.

새로운!!: 김유신와 잡찬 · 더보기 »

장보고

완도군 완도읍 장보고기념관 장보고(張保皐, 787년~846년)는 한국 남북국 시대 신라의 무장이자 해상 호족이.

새로운!!: 김유신와 장보고 · 더보기 »

임자 (백제)

임자(壬子)는 백제 의자왕 때 재상이.

새로운!!: 김유신와 임자 (백제) · 더보기 »

평양성 (영화)

《평양성》은 2011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김유신와 평양성 (영화) · 더보기 »

흥덕왕

흥덕왕(興德王, 777년~836년, 재위: 826년~836년)은 신라의 제42대 왕이.

새로운!!: 김유신와 흥덕왕 · 더보기 »

흥무로

흥무로(Heungmu-ro)는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에서 시작하여, 석장동을 거쳐 연결하는 도로이.

새로운!!: 김유신와 흥무로 · 더보기 »

이벌찬

이벌찬(伊伐湌)은 신라의 17관등(官等)의 제1등으로 이찬의 위이.

새로운!!: 김유신와 이벌찬 · 더보기 »

이종수 (배우)

이종수(李宗秀, 1976년 10월 21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김유신와 이종수 (배우) · 더보기 »

이현우 (배우)

이현우(李玹雨, 1993년 3월 23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김유신와 이현우 (배우) · 더보기 »

일길찬

일길찬(一吉飡)은 520년(법흥왕 7년)에 시행한 신라의 관등이.

새로운!!: 김유신와 일길찬 · 더보기 »

음력 7월 9일

음력 7월 9일은 음력 7월의 9번째 날이.

새로운!!: 김유신와 음력 7월 9일 · 더보기 »

의직

의직(義直, 590년에서 600년 사이~660년)은 백제 의자왕 때의 장군이.

새로운!!: 김유신와 의직 · 더보기 »

흑치상지

흑치상지(黑齒常之, 630년 ~ 689년)는 백제의 의자왕 때 달솔을 지낸 백제 · 당나라의 무장이.

새로운!!: 김유신와 흑치상지 · 더보기 »

적성군

적성군(積城郡)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지금의 파주시 적성면과 양주시 남면, 연천군 백학면, 연천군 전곡읍의 간파리, 늘목리 일대에 있던 경기도 서북부의 옛 행정구역의 명칭이.

새로운!!: 김유신와 적성군 · 더보기 »

제2차 고구려-당 전쟁

제2차 고구려-당 전쟁(第二次高句麗-唐戰爭)은 서기 660년 당 고종이 고구려를 침공하여 662년까지 지속된 전쟁이.

새로운!!: 김유신와 제2차 고구려-당 전쟁 · 더보기 »

제3차 고구려-당 전쟁

665년 연개소문이 죽고 그의 맏아들 연남생이 부친을 대신하여 막리지가 되었.

새로운!!: 김유신와 제3차 고구려-당 전쟁 · 더보기 »

정진영

정진영(1964년 11월 19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김유신와 정진영 · 더보기 »

정성모

정성모(鄭性模, 1956년 10월 20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김유신와 정성모 · 더보기 »

조미압

조미압(租未押)은 신라-가야계 백제 관료이.

새로운!!: 김유신와 조미압 · 더보기 »

죽지

죽지(竹旨, ?–?)는 신라시대의 대신, 화랑 출신 장군으로 다른 이름은 죽만(竹曼), 지관(智官), 죽만랑(竹曼郞), 죽지랑(竹旨郞)이.

새로운!!: 김유신와 죽지 · 더보기 »

진덕여왕

경주 진덕여왕릉 (사적 24호)진덕여왕(眞德女王, ? ~ 654년, 재위: 647년 ~ 654년) 또는 진덕왕(眞德王) 은 신라 제28대 왕이며 두번째 여왕이.

새로운!!: 김유신와 진덕여왕 · 더보기 »

진평왕

평왕(眞平王, ? ~ 632년, 재위 579년 ~ 632년)은 신라의 제26대 왕이.

새로운!!: 김유신와 진평왕 · 더보기 »

진주 김씨

주 김씨(晉州 金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김유신와 진주 김씨 · 더보기 »

진천 길상사

상사(鎭川 吉祥祠)는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에 있는, 김유신(595∼673) 장군의 영정을 모시고 있는 사당이.

새로운!!: 김유신와 진천 길상사 · 더보기 »

진천 김유신 탄생지와 태실

유신 탄생지와 태실(鎭川 金庾信 誕生址와 胎室)은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상계리에 있는, 신라 김유신 장군이 태어난 곳과 그의 태실이.

새로운!!: 김유신와 진천 김유신 탄생지와 태실 · 더보기 »

진천 용화사 석조여래입상

용화사 석조여래입상(鎭川 龍華寺 石造如來立像)은 충청북도 진천군 용화사에 있는, 화강암으로 된 불상 입상이.

새로운!!: 김유신와 진천 용화사 석조여래입상 · 더보기 »

진천읍

읍(鎭川邑)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진천군의 군청 소재지로 진천군 교통의 중심지이.

새로운!!: 김유신와 진천읍 · 더보기 »

지기삼사

삼사(知幾三事)란 선덕여왕이 즉위 당시 세 가지 신비로운 일을 예측한 것을 의미.

새로운!!: 김유신와 지기삼사 · 더보기 »

지소부인

소부인(智炤夫人)은 태종무열왕과 문명왕후의 딸로 김유신의 두 번째 정실 부인이.

새로운!!: 김유신와 지소부인 · 더보기 »

청주 상당산성

청주 상당산성(淸州 上黨山城)은 삼국시대 백제가 쌓은 산성이.

새로운!!: 김유신와 청주 상당산성 · 더보기 »

청풍 성열현

청풍(淸風) 성열현(省熱縣)은 고구려 사열이현(沙熱伊縣)의 전조에 백제의 고읍(古邑)이.

새로운!!: 김유신와 청풍 성열현 · 더보기 »

천관녀

(天官女, ? ~ ?)는 신라 진평왕 시대의 김유신(金庾信)이 화랑 시절에 정을 두고 있던 기생이.

새로운!!: 김유신와 천관녀 · 더보기 »

천년의 신화

의 신화는 대한민국의 게임 회사 HQ팀이 제작한 RTS게임이.

새로운!!: 김유신와 천년의 신화 · 더보기 »

충곡서원지

충곡서원지(忠谷書院址)는 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 충곡리에 있는 충곡서원의 터이.

새로운!!: 김유신와 충곡서원지 · 더보기 »

추남 (고구려)

(楸南, ? ~ ?)는 고구려의 역술인이.

새로운!!: 김유신와 추남 (고구려) · 더보기 »

윤승원

윤승원(1958년 5월 29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며 광고 모델로도 활동하였.

새로운!!: 김유신와 윤승원 · 더보기 »

윤충

윤충(允忠)은 백제 의자왕 때 대야성 전투에서 신라에 대승한 왕족 종실, 장군, 정치가이.

새로운!!: 김유신와 윤충 · 더보기 »

팔공산

공산(八公山)은 대구광역시 동구와 경상북도 영천시, 군위군, 칠곡군, 경산시에 걸쳐 있는 산이.

새로운!!: 김유신와 팔공산 · 더보기 »

상대등

상대등(上大等)은 신라의 중앙 관제에서 최고위 관직이.

새로운!!: 김유신와 상대등 · 더보기 »

상영 (백제)

상영(常永, ? ~660년)은 백제(百濟)말기의 대신이.

새로운!!: 김유신와 상영 (백제) · 더보기 »

태대각간

각간(太大角干) 혹은 태대서발한(太大舒發翰)은 문무왕 8년인 668년 고구려를 멸망시킨 뒤 김유신에게 종전 17관등과 대각간에 한 단계 더 얹어 표창한 관직 이름으로, 상설이 아니라 임시직이.

새로운!!: 김유신와 태대각간 · 더보기 »

태종무열왕

종무열왕(太宗武烈王, 603년~661년 음력 6월)은 신라(新羅)의 제29대 임금(재위: 654년~661년)이.

새로운!!: 김유신와 태종무열왕 · 더보기 »

수로왕

수로왕릉(首露王陵).

새로운!!: 김유신와 수로왕 · 더보기 »

숙흘종

숙흘종(金肅訖宗, 생년 미상)은 신라의 왕자이.

새로운!!: 김유신와 숙흘종 · 더보기 »

영류왕

영류왕(榮留王, ? ~ 642년)은 고구려의 제27대 국왕(재위: 618년 ~ 642년)이.

새로운!!: 김유신와 영류왕 · 더보기 »

영모부인

영모부인((英毛夫人) 화랑세기(花郞世記) 위서에 따르면 미실(美室)의 손녀이자 신라 11대 풍월주(風月主) 하종(夏宗)의 딸로 어머니는 설원(薛原)의 딸 미모낭주 설씨(美毛娘主 薛氏)이다. 김유신(金庾信)의 정실부인으로 김유신(金庾信) 사이에서 맏아들 삼광(三光) 외 네명의 딸들을 낳았다고 한다.제매부인(濟梅夫人)으로도 알려져있다.

새로운!!: 김유신와 영모부인 · 더보기 »

영창부인

보희(金寶姬)는 김유신의 누이이자, 아명은 아해(阿海), 본관은 김해이.

새로운!!: 김유신와 영창부인 · 더보기 »

호림

호림(金虎林) (579년 ~ ?, 풍월주 603년 ~ 609년)는 신라의 14대 풍월주였.

새로운!!: 김유신와 호림 · 더보기 »

호조 마사코

호조 마사코 호조 마사코(호엔(保元) 2년(1157년) - 가오(嘉應) 원년 음력 7월 11일(1225년 8월 16일))는, 일본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말기에서 가마쿠라 시대(鎌倉時代) 초기의 여성이.

새로운!!: 김유신와 호조 마사코 · 더보기 »

혼인

서양의 결혼식 혼인(婚姻)은 가족을 만드는 하나의 방법으로, 쌍방간의 합의에 의해 이루어지는 법률행위이.

새로운!!: 김유신와 혼인 · 더보기 »

최재성 (배우)

재성(崔宰誠, 1964년 11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김유신와 최재성 (배우) · 더보기 »

양산 지산리 부부상

양산 지산리 부부상(梁山 芝山里 夫婦像)은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에 있는 종이에 채색하여 그린 민화풍의 무인부부(武人夫婦) 그림이.

새로운!!: 김유신와 양산 지산리 부부상 · 더보기 »

역사스페셜

《역사스페셜》은 한국 역사에 관한 KBS의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

새로운!!: 김유신와 역사스페셜 · 더보기 »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KBS 1TV 《역사저널 그날》의 방영 목록이.

새로운!!: 김유신와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연개소문

연개소문(淵蓋蘇文, 617년 ~ 666년 5월)은 고구려 말기의 장군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김유신와 연개소문 · 더보기 »

연개소문 (드라마)

《연개소문》(淵蓋蘇文)은 2006년 7월 8일 ~ 2007년 6월 17일까지 SBS에서 방영된 대하사극이.

새로운!!: 김유신와 연개소문 (드라마) · 더보기 »

연날리기

연날리기(鳶-)는 한국의 민속 놀이로, 연을 날리는 것이.

새로운!!: 김유신와 연날리기 · 더보기 »

염장 (586년)

염장(廉長, 586년 ~ 648년)은 신라 진덕여왕 재위 시절의 진골 귀족, 무관, 정치가이.

새로운!!: 김유신와 염장 (586년) · 더보기 »

염종

염종(廉宗, ? ~ 647년 음력 1월 17일)은 신라 상대의 진골 귀족이고, 반란을 일으킨 역신(逆臣)이.

새로운!!: 김유신와 염종 · 더보기 »

풍월주

풍월주(風月主)는 필사본 《화랑세기》에 기록된 화랑도의 수장이.

새로운!!: 김유신와 풍월주 · 더보기 »

사도왕후

사도왕후 박씨(思道王后 朴氏, ? ~ 614년 2월)는 신라 진흥왕의 왕후로, 동륜태자와 진지왕의 어머니이.

새로운!!: 김유신와 사도왕후 · 더보기 »

사찬 (관직)

사찬(沙飡)은 520년(법흥왕 7년)에 시행한 신라의 관등이.

새로운!!: 김유신와 사찬 (관직) · 더보기 »

삼기팔괴

삼기팔괴(三奇八怪)는 경주의 예로부터 세 가지 진기한 보물과 여덟 가지 괴상한 풍경이 있는 것이.

새로운!!: 김유신와 삼기팔괴 · 더보기 »

삼국 시대 인물 목록

음은 삼국시대 주요 인물들의 목록이.

새로운!!: 김유신와 삼국 시대 인물 목록 · 더보기 »

삼국기

《삼국기》(三國記)는 대하드라마로 1992년 4월 12일부터 1993년 4월 17일까지 KBS 1TV에서 방영된 50부작 사극이.

새로운!!: 김유신와 삼국기 · 더보기 »

삼국사기

《삼국사기》(三國史記)는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김부식(金富軾)이 1145년(인종 23)에 완성한 삼국시대사이.

새로운!!: 김유신와 삼국사기 · 더보기 »

석토성

석토성(石吐城)은 남한강 상류지역 단양군 가은암산' 암릉에 석축한 산성으로 백제와 신라의 결사항전에서 신라가 대승한 난공불락의 성곽이.

새로운!!: 김유신와 석토성 · 더보기 »

선덕여왕

선덕여왕(善德女王, ? ~ 647년 2월 17일(음력 1월 8일), 재위: 632년 ~ 647년) 또는 선덕왕(善德王) 은 신라의 제27대 왕이며 한국사 최초의 여왕이.

새로운!!: 김유신와 선덕여왕 · 더보기 »

선덕여왕 (드라마)

《선덕여왕(善德女王)》은 2009년 5월 25일부터 2009년 12월 22일까지 방영된, 한민족 최초의 여왕인 신라 선덕여왕의 일대기를 소재로 한 문화방송의 월화드라마이.

새로운!!: 김유신와 선덕여왕 (드라마) · 더보기 »

성덕왕

성덕왕(聖德王, ? ~ 737년)은 신라의 제33대 왕(재위: 702년 ~ 737년)이.

새로운!!: 김유신와 성덕왕 · 더보기 »

성골과 진골

성골과 진골(聖骨—眞骨)은 신라시대의 신분제인 골품 제도(骨品制度)의 등급으로, 신라 사회의 최고 신분층이.

새로운!!: 김유신와 성골과 진골 · 더보기 »

서경주역 (1985년)

장군교 서경주역(西慶州驛)은 경주시 석장동에 있었던 이설 전 중앙선과 현 중앙선이 분기되었던 철도역(신호소)으로, 현재는 폐지되었.

새로운!!: 김유신와 서경주역 (1985년) · 더보기 »

서인석 (배우)

서인석(徐仁錫, 1949년 2월 22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김유신와 서인석 (배우) · 더보기 »

서천교 (경주시)

서천교 주변 도로 서천교(西川橋)는 대한민국의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과 노서동을 연결하는 총연장 283.8m, 너비 25m, 주경간 25.8m, 길이 6.4m, 형산강의 다리이.

새로운!!: 김유신와 서천교 (경주시) · 더보기 »

서악서원

서악서원(西嶽書院)은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에 있는 서원이.

새로운!!: 김유신와 서악서원 · 더보기 »

서원 철폐

서원철폐(書院撤廢)는 조선 말기 서원의 오랜 적폐(積弊)를 제거하기 위해 흥선대원군이 대대적으로 서원을 정리한 사건이.

새로운!!: 김유신와 서원 철폐 · 더보기 »

소정방

소정방(蘇定方, 592년 ~ 667년)은 당나라의 장군이.

새로운!!: 김유신와 소정방 · 더보기 »

소호 (오제)

소호 금천씨(少昊金天氏)는 중국 고대의 신화상에 등장하는 전설적 군주인 삼황오제 중 오제(五帝)의 한 명이.

새로운!!: 김유신와 소호 (오제) · 더보기 »

통일전

통일전(統一殿)은 경상북도 경주시 칠불암길 6에 있. 신라가 이룩한 삼국 통일의 위엄을 기리고, 한국의 통일에 의지와 염원을 밝히기 위한 것이며, 역사적 의의와 통일전을 세운 깊은 뜻을 밝힌 기념비가 있. 1977년에 박정희의 지시로 건립되었.

새로운!!: 김유신와 통일전 · 더보기 »

통일신라

통일신라(統一新羅)란 백제와 고구려가 멸망한 이후인 668년부터 후삼국 시대 직전의 신라이.

새로운!!: 김유신와 통일신라 · 더보기 »

애기씨신

애기씨신 또는 아기씨신은 한국의 무속의 신의 한사람이.

새로운!!: 김유신와 애기씨신 · 더보기 »

한국 철학

국 철학은 신라와 고려의 불교 사상, 조선의 성리학, 실학 등 유교 사상을.

새로운!!: 김유신와 한국 철학 · 더보기 »

한국방송공사 어린이 인형극

국방송공사는 어린이를 위한 인형극을 제작, 저녁 시간에 방송.

새로운!!: 김유신와 한국방송공사 어린이 인형극 · 더보기 »

한국의 도교

국의 도교는 한국에서 전개된 도교이.

새로운!!: 김유신와 한국의 도교 · 더보기 »

한국의 반란 목록

국사 반란 목록은 한국사에서 있었던 반란을 모아 편집한 것이.

새로운!!: 김유신와 한국의 반란 목록 · 더보기 »

한국의 선교

국의 선교(仙敎)는 한반도의 고유 종교이.

새로운!!: 김유신와 한국의 선교 · 더보기 »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韓國을 빛낸 百名의 偉人들)은 박인호(박문영)가 작사, 작곡하여 1991년에 최영준, 노사사(노래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노래로 발표한 노래이.

새로운!!: 김유신와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 더보기 »

한국사기

국사기(韓國史記)는 2017년 1월 1일부터 2017년 3월 19일까지 매주 일요일 밤 9시 40분에 KBS 1TV에서 방송되는 10부작 팩추얼 다큐드라마이.

새로운!!: 김유신와 한국사기 · 더보기 »

한일 관계

일 관계(韓日關係)는 현재의 대한민국을 포함하여, 고대부터 있었던 한국과 일본 사이의 외교, 문화, 경제 등의 교류와 접촉을 말. 양쪽 지역에 중앙집권적인 정치체제가 생긴 삼국 시대(일본의 경우 아스카 시대) 이래로 한국과 일본은 정치적·군사적·사회적·문화적·경제적 교류를 주고받았고 모든 분야에 있어 상호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

새로운!!: 김유신와 한일 관계 · 더보기 »

알천

알천(閼川) 활동연대: 636년~654년)은 신라 중기의 문신, 군인, 화랑이다. 신라 선덕여왕·진덕여왕, 태종무열왕 때의 진골 귀족으로 화백회의 의장인 상대등(上大等)을 역임하였다. 진덕여왕 사후에는 대리청정(섭정)으로 추대되었으나 태종 무열왕 김춘추(金春秋)에게 양보하였다. 진주 소씨는 알천을 자신들의 조상으로 보고 있다.

새로운!!: 김유신와 알천 · 더보기 »

안철수

안철수(安哲秀, 1962년 2월 26일 ~)는 대한민국의 의사, 프로그래머, 벤처기업인, 대학 교수 출신 정치인이.

새로운!!: 김유신와 안철수 · 더보기 »

아스카 시대

아스카 시대()는 고훈 시대의 종말기와 겹치기도 하지만, 6세기 후반부터 8세기 초반에 걸쳐 아스카에 궁전, 도시가 세워진 시대를 가리키는 일본 역사의 시대 구분의 하나이.

새로운!!: 김유신와 아스카 시대 · 더보기 »

아해

아해는 한국어에서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김유신와 아해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김유신와 신라 · 더보기 »

신라의 관등

신라의 관직 제도는 법흥왕 때 완성된 경위(京位) 17 관등과 외위(外位) 11관등으로 구성되었는데, 지방인에게 주는 11위는 통일신라 이후인 674년(문무왕 14년)에 지방세력가들을 지배체제 속에 포섭하기 위해서 지방 출신에게도 일률적으로 경위를 주게 됨에 따라 자연히 폐지되었.

새로운!!: 김유신와 신라의 관등 · 더보기 »

신라의 대외 관계

아래는 신라의 대외 관계에 대한 설명이.

새로운!!: 김유신와 신라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신라의 조각

신라의 조각은 크게 삼국 시대의 조각과 남북국 시대의 조각으로 나눌 수 있.

새로운!!: 김유신와 신라의 조각 · 더보기 »

신라의 역대 국왕

아래는 신라를 다스린 역대 군주의 목록이.

새로운!!: 김유신와 신라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신라의 삼국통일

신라의 삼국통일(新羅-三國統一)은 한민족의 역사에서 최초의 민족 통일로 간주되는 사건으로, 676년 신라가 한반도의 제국가(諸國家)를 통일한 것을 말. 신라는 가야, 백제, 고구려 등 한반도에 있던 나라들을 차례로 멸망시켜 병합하였고, 676년에 당나라 군대를 대동강 북쪽으로 축출하여 통일을 달성하였.

새로운!!: 김유신와 신라의 삼국통일 · 더보기 »

신무왕

신무왕(神武王, ? ~ 839년, 재위: 839년)은 신라 제45대 왕이.

새로운!!: 김유신와 신무왕 · 더보기 »

신문왕

신문왕(神文王, ? ~ 692년, 재위: 681년 ~ 692년)은 신라의 제31대 왕이.

새로운!!: 김유신와 신문왕 · 더보기 »

신계사

신계사(神溪寺)는 강원도 고성군에 있는 절이.

새로운!!: 김유신와 신계사 · 더보기 »

시중 (신라의 관직)

시중은 신라의 관직으로, 당나라의 문하시중을 본따 만든 직책이며 원래 651년 진덕여왕 시절에 처음 시행된 관직이.

새로운!!: 김유신와 시중 (신라의 관직) · 더보기 »

원사 (향가)

원사(怨詞)는 신라 진평왕(新羅 眞平王) 치세 시기에 천관녀(天官女)라는 기녀가 지은 향가이.

새로운!!: 김유신와 원사 (향가) · 더보기 »

후지와라노 가마타리

후지와라노 가마타리(藤原鎌足, 614년 – 669년)는 아스카 시대(飛鳥時代)의 중신이자 후지와라 씨(藤原氏)의 선조이.

새로운!!: 김유신와 후지와라노 가마타리 · 더보기 »

황산벌 (영화)

《황산벌》은 2003년 개봉된, 황산벌 전투를 다룬 대한민국의 역사 코미디 영화이.

새로운!!: 김유신와 황산벌 (영화) · 더보기 »

황산벌 전투

황산벌 전투(黃山벌 戰鬪)는 660년 8월 20일 (음력 7월 9일) 황산벌(오늘날의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신양리 및 신암리 일대)에서 백제군과 신라군 사이에 일어났던 전투이.

새로운!!: 김유신와 황산벌 전투 · 더보기 »

황성공원

황성 공원(皇城公園)은 경상북도 경주시 용담로 79-41(황성동)에 위치한 숲으로 조성된 공원이.

새로운!!: 김유신와 황성공원 · 더보기 »

화랑

화랑의 상 (함양중학교 소재) 당염립본왕회도(唐閻立本王會圖) 중국의 6세기 각국의 사신도 - 왼쪽부터 왜, 신라, 백제 화랑도(花郞徒) 또는 낭가(郎家), 풍류도(風流徒), 국선도(國仙徒), 풍월도(風月徒)는 신라의 청소년 심신 수련 조직이.

새로운!!: 김유신와 화랑 · 더보기 »

57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유신와 578년 · 더보기 »

59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유신와 595년 · 더보기 »

64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유신와 644년 · 더보기 »

64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유신와 645년 · 더보기 »

67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유신와 673년 · 더보기 »

8월 18일

8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0번째(윤년일 경우 23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김유신와 8월 18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유신공, 신라 장군 김유신, 신라 흥무왕, 흥무대왕, 흥무왕.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