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김자점

색인 김자점

자점(金自點, 1588년 ~ 1651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정치가, 군인, 성리학자이며 인조의 서녀 효명옹주의 시조부로 왕실의 인척이었.

89 처지: 돌아온 일지매, 동선령 전투, 매국노, 마의 (드라마), 민회빈 강씨, 박근형, 강희맹, 박종관, 박영규 (배우), 경창군, 병자호란, 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 권태원, 부원군, 귀인 조씨 (인조), 김 (성씨), 김류 (1571년), 김구, 김자점, 김질 (1422년), 김질 (1496년), 김집 (1574년), 김성동 (1452년), 김원량, 김홍욱, 대명 (드라마),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구 안동 김씨, 남한산성 (드라마), 효명옹주, 우의정, 임경업, 임경업전, 이괄, 이귀, 이이첨, 이완 (1602년), 인조반정, 일지매 (만화), 정축하성, 정치화, 정엽 (1563년), 정성모, 정홍명, 조민기, 조헌, 조선 광해군, 조선 효종, 조선 인조, 조선의 공신, ..., 조선의 북진정책, 좌의정, 친청파, 유길준, 윤계 (1583년), 윤흔, 윤증, 윤선도, 윤선거, 상궁 김씨, 숭선군, 영의정, 예송, 최명길 (1586년), 양산숙, 허목, 허적, 사미인곡 (드라마), 삼정승, 삼총사 (2014년 대한민국 드라마), 성이성, 성혼, 서인, 토산 전투, 송익필, 송준길, 송시열, 소용 임씨, 소현세자, 한명련, 한성부판윤, 안방준 (1573년), 심기원, 원두표, 웅도 (서산시), 홍처량, 화정 (드라마), 1588년, 1651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9 더) »

돌아온 일지매

《돌아온 일지매》는 MBC에서 2009년 1월 21일부터 2009년 4월 9일까지 방영된 수목 미니시리즈이.

새로운!!: 김자점와 돌아온 일지매 · 더보기 »

동선령 전투

동선령 전투는 1637년 병자호란 당시 정방산성에 주둔한 도원수 김자점과 이완이 동선령으로 조선군을 추격해온 청군과 싸워 승리한 전투이.

새로운!!: 김자점와 동선령 전투 · 더보기 »

매국노

매국노(賣國奴)는 승식 행위를 한 자를 비하하기 위해 쓰이는 용어이.

새로운!!: 김자점와 매국노 · 더보기 »

마의 (드라마)

《마의》(馬醫)는 2012년 10월 1일부터 2013년 3월 25일까지 MBC에서 방송된 50부작 창사 51주년 특별기획 드라마이.

새로운!!: 김자점와 마의 (드라마) · 더보기 »

민회빈 강씨

민회빈 강씨(愍懷嬪 姜氏, 1611년 ~ 1646년 4월 30일/음력 3월 15일)는 조선 소현세자의 부인이.

새로운!!: 김자점와 민회빈 강씨 · 더보기 »

박근형

박근형(1940년 6월 7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김자점와 박근형 · 더보기 »

강희맹

강희맹(姜希孟, 1424년 ~ 1483년)은 조선 초기 문신이.

새로운!!: 김자점와 강희맹 · 더보기 »

박종관

박종관(朴鍾官, 1946년 2월 15일 ~)은 대한민국의 연기자이.

새로운!!: 김자점와 박종관 · 더보기 »

박영규 (배우)

박영규(1953년 10월 28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김자점와 박영규 (배우) · 더보기 »

경창군

경창군(慶昌君, 1596년 음력 9월 23일 ~ 1644년 음력 1월 16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이.

새로운!!: 김자점와 경창군 · 더보기 »

병자호란

병자호란(丙子胡亂)은 1636년 12월 28일(음력 12월 2일)부터 1637년 2월 24일(음력 1월 30일)까지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김자점와 병자호란 · 더보기 »

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

《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은 2013년 3월 23일부터 2013년 9월 8일까지 JTBC에서 방송된 주말연속극이.

새로운!!: 김자점와 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 · 더보기 »

권태원

원(權泰元, 1961년 3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김자점와 권태원 · 더보기 »

부원군

부원군(府院君)은 고려 충렬왕 이후 조선시대까지 사용한 작호(爵號)이.

새로운!!: 김자점와 부원군 · 더보기 »

귀인 조씨 (인조)

인 조씨(貴人 趙氏, ? ~ 1651년 음력 12월 14일(1652년 1월 24일))는 조선의 제16대 왕 조선 인조의 총관후궁이.

새로운!!: 김자점와 귀인 조씨 (인조) · 더보기 »

김 (성씨)

외 김(金)씨는 성씨의 하나이.

새로운!!: 김자점와 김 (성씨) · 더보기 »

김류 (1571년)

(金瑬, 1571년 ~ 1648년 3월 5일)는 조선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김자점와 김류 (1571년) · 더보기 »

김구

(金九, 1876년 8월 29일 ~ 1949년 6월 26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인, 교육자, 통일운동가, 정치인이.

새로운!!: 김자점와 김구 · 더보기 »

김자점

자점(金自點, 1588년 ~ 1651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정치가, 군인, 성리학자이며 인조의 서녀 효명옹주의 시조부로 왕실의 인척이었.

새로운!!: 김자점와 김자점 · 더보기 »

김질 (1422년)

(金礩, 1422년 ~ 1478년 2월 24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무신,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김자점와 김질 (1422년) · 더보기 »

김질 (1496년)

(金質, 1496년 ~ 1555년)은 조선 중기의 학자이.

새로운!!: 김자점와 김질 (1496년) · 더보기 »

김집 (1574년)

집(金集, 1574년 음력 6월 6일 ~ 1656년 음력 윤 5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작가이.

새로운!!: 김자점와 김집 (1574년) · 더보기 »

김성동 (1452년)

성동(金誠童, 1452년 ~ 1495년)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본관은 (구)안동.

새로운!!: 김자점와 김성동 (1452년) · 더보기 »

김원량

원량(金元亮, 1589년 ~ 162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김자점와 김원량 · 더보기 »

김홍욱

홍욱(金弘郁, 1602년 ~ 1654년)은 조선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김자점와 김홍욱 · 더보기 »

대명 (드라마)

명은 KBS1TV에서 1981년 1월 5일부터 1981년 12월 28일까지 매주 월요일에 방영되었던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김자점와 대명 (드라마)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이.

새로운!!: 김자점와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 더보기 »

구 안동 김씨

안동 김씨(舊 安東 金氏)는 신라 대보공(大輔公) 김알지(金閼智)의 후손으로 경순왕 김부(金傅)의 손자인 평장사(平章事) 김숙승(金叔承)을 시조.

새로운!!: 김자점와 구 안동 김씨 · 더보기 »

남한산성 (드라마)

《남한산성》은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일곱 번째 작품으로, 1986년 11월 3일부터 1987년 1월 27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김자점와 남한산성 (드라마) · 더보기 »

효명옹주

효명옹주(孝明翁主, 1637년 ~ 1700년)는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김자점와 효명옹주 · 더보기 »

우의정

우의정(右議政)은 의정부 3의정 가운데 하나로 조선시대 정1품 관직이.

새로운!!: 김자점와 우의정 · 더보기 »

임경업

임경업(林慶業, 1594년 ~ 1646년 8월 1일(음력 6월 20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친명배청파(親明排淸派) 무장이었.

새로운!!: 김자점와 임경업 · 더보기 »

임경업전

《임경업전》(林慶業傳)은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한 조선 시대 소설이.

새로운!!: 김자점와 임경업전 · 더보기 »

이괄

이괄(李适, 1587년 ~ 1624년 2월 14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 군인, 정치인, 반란자이.

새로운!!: 김자점와 이괄 · 더보기 »

이귀

이귀(李貴, 1557년 ∼ 1633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김자점와 이귀 · 더보기 »

이이첨

이이첨(李爾瞻, 1560년 ~ 1623년 3월 14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김자점와 이이첨 · 더보기 »

이완 (1602년)

이완(李浣, 1602년 ~ 1674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경주이.

새로운!!: 김자점와 이완 (1602년) · 더보기 »

인조반정

인조반정(仁祖反正)은 1623년 4월 11일(음력 3월 12일) 서인 일파가 광해군 및 대북을 몰아내고 능양군 이종을 옹립한 사건을 말.

새로운!!: 김자점와 인조반정 · 더보기 »

일지매 (만화)

《일지매》는 만화가 고우영이 스포츠신문 일간스포츠에서 1975년부터 1977년까지 연재했고, 이후 단행본으로 출간된 창작 사극 만화이.

새로운!!: 김자점와 일지매 (만화) · 더보기 »

정축하성

정축하성(丁丑下城)은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 피신한 인조가 농성 59일만에 청나라 황제 홍타이지에게 항복, 1637년(정축년) 2월 24일 남한산성을 나와 삼전도에서 항복의 예를 행한 것을 말. 흔히, 삼전도의 굴욕(三田渡의 屈辱)이라고 표현.

새로운!!: 김자점와 정축하성 · 더보기 »

정치화

정치화(鄭致和, 1609년 ~ 1677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김자점와 정치화 · 더보기 »

정엽 (1563년)

정엽(鄭曄, 1563년 ~ 1625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김자점와 정엽 (1563년) · 더보기 »

정성모

정성모(鄭性模, 1956년 10월 20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김자점와 정성모 · 더보기 »

정홍명

정홍명(鄭弘溟, 1582년 3월 7일 - 1650년 10월 2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정치인, 작가이.

새로운!!: 김자점와 정홍명 · 더보기 »

조민기

조민기(趙珉基, 1965년 11월 5일 ~ 2018년 3월 9일)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김자점와 조민기 · 더보기 »

조헌

조헌(趙憲, 1544년 ~ 159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유학자이자 경세사상가, 의병장이.

새로운!!: 김자점와 조헌 · 더보기 »

조선 광해군

광해군(光海君, 1575년 6월 4일 (음력 4월 26일) ~ 1641년 8월 7일 (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5대 임금이.

새로운!!: 김자점와 조선 광해군 · 더보기 »

조선 효종

효종의 한글편지 효종(孝宗, 1619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 1659년 6월 23일 (음력 5월 4일), 재위: 1649년 ~ 1659년)은 조선의 제17대 임금이.

새로운!!: 김자점와 조선 효종 · 더보기 »

조선 인조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 (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재위 기간: 1623년 ~ 1649년)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이.

새로운!!: 김자점와 조선 인조 · 더보기 »

조선의 공신

조선의 공신(朝鮮—功臣)은 조선시대 개국이나 반정, 반란 진압 등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려주는 칭호와 관직이.

새로운!!: 김자점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조선의 북진정책

조선의 영토 확장 북진정책(北進定策)은 1392년에 고려의 뒤를 이어 건국된 조선에서도 중시된 대(對)북방정책이.

새로운!!: 김자점와 조선의 북진정책 · 더보기 »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새로운!!: 김자점와 좌의정 · 더보기 »

친청파

청파(親淸派)는 청나라에 협조하거나 병자호란 때 청나라에 귀순한 사람이.

새로운!!: 김자점와 친청파 · 더보기 »

유길준

유길준(兪吉濬, 1856년 양력 11월 21일(음력 10월 24일) ~ 1914년 양력 9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교관, 작가이며 대한제국의 정치가·개화 사상가·계몽운동가이.

새로운!!: 김자점와 유길준 · 더보기 »

윤계 (1583년)

윤계(尹棨, 1583년 ~ 1636년)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의병장이.

새로운!!: 김자점와 윤계 (1583년) · 더보기 »

윤흔

윤흔(尹昕, 1564년 - 1638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무신, 정치인이.

새로운!!: 김자점와 윤흔 · 더보기 »

윤증

윤증 초상 윤증 윤증(尹拯, 1629년 ~ 1714년 1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학자, 정치인, 사상가이.

새로운!!: 김자점와 윤증 · 더보기 »

윤선도

윤선도(尹善道, 1587년 7월 27일(음력 6월 22일) ~ 1671년 7월 16일(음력 6월 11일))는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시인·문신·작가·정치인이자 음악가이.

새로운!!: 김자점와 윤선도 · 더보기 »

윤선거

윤선거(尹宣擧, 1610년 ∼ 1669년 4월 21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유학자, 시인, 정치인이.

새로운!!: 김자점와 윤선거 · 더보기 »

상궁 김씨

상궁 김씨(생년 미상 ~ 1623년)는 선조, 광해군 때의 상궁으로, 본명은 김개시(金介屎)이.

새로운!!: 김자점와 상궁 김씨 · 더보기 »

숭선군

숭선군 이징(崇善君 李澂, 1639년 음력 10월 17일 ~ 1690년 음력 1월 6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김자점와 숭선군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김자점와 영의정 · 더보기 »

예송

예송(禮訟) 또는 예송논쟁(禮訟論爭)은 예절에 관한 논란으로, 효종과 효종비 인선왕후에 대한 계모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기간을 둘러싸고 현종, 숙종대에 발생한 서인과 남인간의 논쟁이.

새로운!!: 김자점와 예송 · 더보기 »

최명길 (1586년)

명길(崔鳴吉, 1586년 10월 7일(음력 8월 25일)~ 1647년 6월 19일(음력 5월 17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양명학자,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김자점와 최명길 (1586년) · 더보기 »

양산숙

양산숙(梁山璹, 1561년 ~ 1593년)은 조선 중기의 의병장으로 공로 좌랑을 지내기도 했으나 대부분의 일생을 벼슬하지 않. 본관은 제주, 자는 회원, 시호는 충민으로 기묘명현 양팽손의 후손이며 대사성 양응정의 아들이었.

새로운!!: 김자점와 양산숙 · 더보기 »

허목

목(許穆, 1595년 12월 11일 ~ 1682년 4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역사가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며,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이.

새로운!!: 김자점와 허목 · 더보기 »

허적

적(許積, 1610년 ~ 1680년 5월 1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김자점와 허적 · 더보기 »

사미인곡 (드라마)

《사미인곡》은 1976년 6월 14일부터 10월 16일까지 방송 된 MBC의 일일연속사극이.

새로운!!: 김자점와 사미인곡 (드라마) · 더보기 »

삼정승

삼정승(三政丞)은 의정부의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을 지칭하는 말로 조선시대에 쓰였으며, 의정부의 정승들을 지칭하는 말이.

새로운!!: 김자점와 삼정승 · 더보기 »

삼총사 (2014년 대한민국 드라마)

《삼총사》는 2014년 8월 17일부터 2014년 11월 2일까지 tvN에서 방영된 드라마이.

새로운!!: 김자점와 삼총사 (2014년 대한민국 드라마) · 더보기 »

성이성

성이성(成以性, 1595년(선조 28년) ∼ 1664년(현종 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청백리이.

새로운!!: 김자점와 성이성 · 더보기 »

성혼

성혼(成渾, 1535년 6월 25일 ~ 1598년 6월 6일)은 조선중기의 문신, 작가, 시인이며 성리학자, 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김자점와 성혼 · 더보기 »

서인

서인(西人)은 조선 시대 붕당정치 초기의 당파로, 1575년(선조 8)의 동서분당(東西分黨)으로 생긴 당파의 하나이.

새로운!!: 김자점와 서인 · 더보기 »

토산 전투

산 전투는 1637년 1월 19일 청군이 황해도 감사 이배원과 황해도 병사 이석달이 이끄는 조선군을 기습하여 일어난 전투이.

새로운!!: 김자점와 토산 전투 · 더보기 »

송익필

송익필(宋翼弼, 1534년 2월 10일 ∼ 1599년 8월 8일)은 조선 중기의 서얼 출신 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김자점와 송익필 · 더보기 »

송준길

송준길(宋浚吉, 1606년 12월 28일 ~ 1672년 12월 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성리학자·정치가로서 유교 주자학의 대가였.

새로운!!: 김자점와 송준길 · 더보기 »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새로운!!: 김자점와 송시열 · 더보기 »

소용 임씨

소용 임씨(昭容 任氏, 1598년 ~ 1628년)는 조선의 제15대 왕 광해군의 후궁이.

새로운!!: 김자점와 소용 임씨 · 더보기 »

소현세자

소현세자(昭顯世子, 1612년 2월 5일(음력 1월 4일) ~ 1645년 5월 21일(음력 4월 26일))는 인조와 인렬왕후 한씨의 적장자이.

새로운!!: 김자점와 소현세자 · 더보기 »

한명련

명련(韓明璉, ? ~ 1624년 2월 14일)은 조선 중기, 후기의 문신이자 임진왜란 때의 장군이.

새로운!!: 김자점와 한명련 · 더보기 »

한성부판윤

성부판윤(漢城府判尹)은 조선 시대 한성부를 다스리던 정2품의 관직으로서, 품계는 자헌대부 이상의 품계에 해당되었.

새로운!!: 김자점와 한성부판윤 · 더보기 »

안방준 (1573년)

안방준(安邦俊, 1573년 11월 20일 ~ 1654년 11월 13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의병장,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김자점와 안방준 (1573년) · 더보기 »

심기원

심기원(沈器遠, 1587년 ~ 164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김자점와 심기원 · 더보기 »

원두표

원두표(元斗杓, 1593년 ~ 1664년)는 조선후기의 문신, 공신이.

새로운!!: 김자점와 원두표 · 더보기 »

웅도 (서산시)

웅도 (熊島)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서산시의 가로림만에 위치한 섬이.

새로운!!: 김자점와 웅도 (서산시) · 더보기 »

홍처량

홍처량(1607년 ~ 1683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숙종 때 서인의 거두이자 중진이었.

새로운!!: 김자점와 홍처량 · 더보기 »

화정 (드라마)

《화정》(華政)은 2015년 4월 13일부터 2015년 9월 29일까지 MBC에서 방영된 월화드라마이.

새로운!!: 김자점와 화정 (드라마) · 더보기 »

1588년

1588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588년 · 더보기 »

1651년

165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651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낙서 김자점, 낙흥군, 낙흥군 김자점, 낙흥부원군, 성지 김자점.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