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김집 (1574년)

색인 김집 (1574년)

집(金集, 1574년 음력 6월 6일 ~ 1656년 음력 윤 5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작가이.

77 처지: 동방 18현, 문묘, 민광훈, 민회빈 강씨, 밤과 음악 사이, 박지계, 박세채, 박필균, 과천향교, 광산 김씨, 권상하, 김 (성씨), 김만기 (1633년), 김만중, 김반 (1580년), 김계휘, 김우명, 김자점, 김장생, 김일경 (1662년), 김익경, 김익훈, 김집, 김육, 김상헌, 김수항, 김석주, 김홍욱, 대동법, 대동법 시행 기념비, 대한가수협회, 자운서원, 이경석 (1595년), 이이, 이이명, 이생규장전, 이여봉, 이완 (1602년), 이완용, 정구 (1543년), 정엽 (1563년), 정홍명, 조선 효종, 조선 인조, 종묘, 유교, 윤계 (1583년), 윤효전, 윤증, 윤추, ..., 윤선도, 윤선거, 윤훤, 윤황, 율곡사상연구원, 예송, 최명길 (1586년), 양산숙, 허목, 허적, 허후 (1588년), 사계신독재양선생기념사업회, 산림 (정치), 성혼, 성삼문, 서울 문묘, 서재필, 서인, 송갑조, 송이창, 송익필, 송준길, 송시열, 안방준 (1573년), 신사임당, 원두표, 월봉서원.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7 더) »

동방 18현

동방 18현(東方 十八賢) 또는 동국 18현(東國 十八賢)은 문묘에 종사된 한국의 유학자들을 말.

새로운!!: 김집 (1574년)와 동방 18현 · 더보기 »

문묘

문묘(文廟)는 문선왕묘(文宣王廟)의 약자로 공자묘(孔子廟)라고도 부른.

새로운!!: 김집 (1574년)와 문묘 · 더보기 »

민광훈

민광훈(閔光勳, 1595년 ~ 1659년)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민광훈 · 더보기 »

민회빈 강씨

민회빈 강씨(愍懷嬪 姜氏, 1611년 ~ 1646년 4월 30일/음력 3월 15일)는 조선 소현세자의 부인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민회빈 강씨 · 더보기 »

밤과 음악 사이

《밤과 음악 사이》는 1993년 10월 20일부터 1997년 2월 27일까지 KBS 2TV에서 방송된 대한민국의 심야 토크쇼 프로그램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밤과 음악 사이 · 더보기 »

박지계

박지계(朴知誡, 1573년(선조 6) ∼ 1635년(인조 13))는 조선 중기, 후기의 유학자, 교육자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박지계 · 더보기 »

박세채

박세채(朴世采, 1631년 ~ 1695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박세채 · 더보기 »

박필균

박필균(朴弼均, 1685년 1월 1일 ∼ 1760년 8월 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영조의 탕평책에 반대하여 노론의 맹작으로 활동하였.

새로운!!: 김집 (1574년)와 박필균 · 더보기 »

과천향교

향교(果川鄕校)는 경기도 과천시 관악산 등산로 입구에 위치한, 조선 시대의 향교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과천향교 · 더보기 »

광산 김씨

광산 김씨(光山 金氏)는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광산 김씨 · 더보기 »

권상하

수암 권상하 권상하(權尙夏, 1641년 - 1721년 9월 2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학자, 교육자로 효종, 현종, 숙종 때의 성리학자였.

새로운!!: 김집 (1574년)와 권상하 · 더보기 »

김 (성씨)

외 김(金)씨는 성씨의 하나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김 (성씨) · 더보기 »

김만기 (1633년)

만기(金萬基, 1633년 ~ 1687년 3월 15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인·문신이자 척신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김만기 (1633년) · 더보기 »

김만중

만중(金萬重, 1637년 ~ 1692년)은 조선 문신이자, 소설가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김만중 · 더보기 »

김반 (1580년)

반(金槃, 1580년 ~ 1640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김반 (1580년) · 더보기 »

김계휘

휘(金繼輝, 1526년 ~ 1582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김계휘 · 더보기 »

김우명

우명 김우명(金佑明, 1619년 ~ 167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김우명 · 더보기 »

김자점

자점(金自點, 1588년 ~ 1651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정치가, 군인, 성리학자이며 인조의 서녀 효명옹주의 시조부로 왕실의 인척이었.

새로운!!: 김집 (1574년)와 김자점 · 더보기 »

김장생

장생(金長生, 1548년 7월 8일 ~ 1631년 8월 3일)은 조선의 유학자, 정치인, 문신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김장생 · 더보기 »

김일경 (1662년)

일경(金一鏡, 1662년 ~ 1724년 12월 8일)은 조선후기의 문신, 성리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김일경 (1662년) · 더보기 »

김익경

익경(金益炅, 1629년 ~ 167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김익경 · 더보기 »

김익훈

익훈(金益勳, 1619년 ~ 1689년 3월 11일)은 조선의 외척이며 문신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김익훈 · 더보기 »

김집

집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김집 (1574년)와 김집 · 더보기 »

김육

육(金堉, 1580년 8월 23일(음력 7월 14일)~1658년 10월 1일(음력 9월 5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실학자, 사상가, 작가, 정치가, 철학자이며, 효종·현종 연간에 대동법의 시행을 주장, 추진하였으며 화폐의 보급에 힘썼.

새로운!!: 김집 (1574년)와 김육 · 더보기 »

김상헌

상헌(金尙憲, 1570년 ~ 1652년)은 조선 중·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김상헌 · 더보기 »

김수항

수항(金壽恒, 1629년(인조 7년) ∼ 1689년(숙종 15년) 4월 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본관은 (신)안동(安東)으로 좌의정 청음 김상헌(金尙憲)의 손자이며 인목대비는 그의 이모할머니였고 영창대군과 정명공주는 이종숙과 외종이모였.

새로운!!: 김집 (1574년)와 김수항 · 더보기 »

김석주

석주(金錫冑, 1634년 ~ 1684년 9월 20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외척, 권신, 작가이자 비상한 머리와 수완을 지닌 책사로서, 당시 명성왕후 김씨를 도와 정국을 주. 경신대출척이 그의 작품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김석주 · 더보기 »

김홍욱

홍욱(金弘郁, 1602년 ~ 1654년)은 조선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김홍욱 · 더보기 »

대동법

동법(大同法)은 조선 중기인 광해군-숙종 시기에 지방의 특산물로 바치던 공물을 쌀로 통일하여 바치게 한 세금 제도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대동법 · 더보기 »

대동법 시행 기념비

동법시행기념비(大同法施行記念碑)는 조선 후기에 대동법의 시행을 알리기 위해 세운 석비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대동법 시행 기념비 · 더보기 »

대한가수협회

사단법인 대한가수협회(社團法人大韓歌手協會)는 가수들의 친목 도모 및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창립한 단체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대한가수협회 · 더보기 »

자운서원

자운서원(紫雲書院)은 이이의 위패와 영정이 봉안돼 있는 서원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자운서원 · 더보기 »

이경석 (1595년)

이경석(李景奭, 1595년 12월 18일(음력 11월 18일) ~ 1671년 10월 26일(음력 9월 24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작가, 성리학자이자 서예가로, 자는 상보(尙輔), 호는 백헌(白軒)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이경석 (1595년) · 더보기 »

이이

이이(李珥, 1537년 1월 7일(1536년 음력 12월 26일) ~ 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이이 · 더보기 »

이이명

이이명(李頤命, 1658년 ~ 1722년 4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문신·정치인·학자로 노론 4대신의 한사람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이이명 · 더보기 »

이생규장전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은 조선시대의 생육신인 김시습(金時習, 1435∼1493)이 쓴 한문 소설로 고려 공민왕 때 개성에 살던 이생(李生)이 주인공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이생규장전 · 더보기 »

이여봉

이여봉은 조선 후기의 예학자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이여봉 · 더보기 »

이완 (1602년)

이완(李浣, 1602년 ~ 1674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경주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이완 (1602년) · 더보기 »

이완용

이완용(李完用, 1858년 7월 17일(음력 6월 7일) ~ 1926년 양력 2월 12일)은 대한제국의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이완용 · 더보기 »

정구 (1543년)

정구(鄭逑, 1543년 7월 9일 ~ 1620년 1월 5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철학자, 역사학자, 작가, 서예가, 의학자이자 임진왜란기의 의병장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정구 (1543년) · 더보기 »

정엽 (1563년)

정엽(鄭曄, 1563년 ~ 1625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정엽 (1563년) · 더보기 »

정홍명

정홍명(鄭弘溟, 1582년 3월 7일 - 1650년 10월 2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정치인, 작가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정홍명 · 더보기 »

조선 효종

효종의 한글편지 효종(孝宗, 1619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 1659년 6월 23일 (음력 5월 4일), 재위: 1649년 ~ 1659년)은 조선의 제17대 임금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조선 효종 · 더보기 »

조선 인조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 (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재위 기간: 1623년 ~ 1649년)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조선 인조 · 더보기 »

종묘

종묘(宗廟)는 조선 왕조의 역대 국왕들과 왕후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례를 봉행하는 유교 사당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종묘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유교 · 더보기 »

윤계 (1583년)

윤계(尹棨, 1583년 ~ 1636년)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의병장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윤계 (1583년) · 더보기 »

윤효전

윤효전 영정 윤효전(尹孝全, 1563년 - 1619년)은 조선중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윤효전 · 더보기 »

윤증

윤증 초상 윤증 윤증(尹拯, 1629년 ~ 1714년 1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학자, 정치인, 사상가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윤증 · 더보기 »

윤추

윤추(尹推, 1632년 - 1707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파평(坡平)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윤추 · 더보기 »

윤선도

윤선도(尹善道, 1587년 7월 27일(음력 6월 22일) ~ 1671년 7월 16일(음력 6월 11일))는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시인·문신·작가·정치인이자 음악가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윤선도 · 더보기 »

윤선거

윤선거(尹宣擧, 1610년 ∼ 1669년 4월 21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유학자, 시인, 정치인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윤선거 · 더보기 »

윤훤

윤훤(尹暄, 1573년 ~ 1627년 2월 15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군인, 작가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윤훤 · 더보기 »

윤황

윤황(尹煌, 1572년 ~ 1639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윤황 · 더보기 »

율곡사상연구원

율곡사상연구원은 율곡 이이와 율곡 및 율곡학파 사상의 연구, 선양과 실천을 목적으로 1977년 7월 21일 설립된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사단법인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율곡사상연구원 · 더보기 »

예송

예송(禮訟) 또는 예송논쟁(禮訟論爭)은 예절에 관한 논란으로, 효종과 효종비 인선왕후에 대한 계모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기간을 둘러싸고 현종, 숙종대에 발생한 서인과 남인간의 논쟁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예송 · 더보기 »

최명길 (1586년)

명길(崔鳴吉, 1586년 10월 7일(음력 8월 25일)~ 1647년 6월 19일(음력 5월 17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양명학자,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최명길 (1586년) · 더보기 »

양산숙

양산숙(梁山璹, 1561년 ~ 1593년)은 조선 중기의 의병장으로 공로 좌랑을 지내기도 했으나 대부분의 일생을 벼슬하지 않. 본관은 제주, 자는 회원, 시호는 충민으로 기묘명현 양팽손의 후손이며 대사성 양응정의 아들이었.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양산숙 · 더보기 »

허목

목(許穆, 1595년 12월 11일 ~ 1682년 4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역사가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며,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허목 · 더보기 »

허적

적(許積, 1610년 ~ 1680년 5월 1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허적 · 더보기 »

허후 (1588년)

후(許厚, 1588년 ~ 1661년)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작가, 시인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허후 (1588년) · 더보기 »

사계신독재양선생기념사업회

사계신독재양선생기념사업회는 사계 김장생선생과 신독재 김집선생의 사상을 체계적으로 연구․정리하여 내일의 한국문화 창조에 기여하기 위하여 1991년 1월 21일 설립된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사단법인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사계신독재양선생기념사업회 · 더보기 »

산림 (정치)

산림(山林)은 학식과 덕이 높으나 벼슬을 하지 아니하고 숨어 지내는 선비로서 산림숙덕지사, 산림독서지인의 준말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산림 (정치) · 더보기 »

성혼

성혼(成渾, 1535년 6월 25일 ~ 1598년 6월 6일)은 조선중기의 문신, 작가, 시인이며 성리학자, 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성혼 · 더보기 »

성삼문

성삼문(成三問, 1418년 ~ 1456년 6월 8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로서,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성삼문 · 더보기 »

서울 문묘

서울 문묘(文廟)는 유교를 집대성한 문성왕(文聖王)인 공자와 그의 제자 및 한국와 중국의 대유(大儒)의 위패를 모시고 봉향하는 사당 건물이다. 문묘(文廟)는 정전인 대성전(大成殿)과 그 앞 마당 좌·우의 동무(東廡)와 서무(西廡), 그리고 삼문(三門, 神門)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문묘 대성전에는 공자(公子)를 정위(正位)로 하여 대 성인(四大 聖人)인 안자·증자·자사·맹자를 배향하고, 공문 10철(孔門 十哲) 및 송조 6현(宋朝 六賢)과 우리나라 18현인(東方 十八賢)의 위패를 종사하고 있다. 문묘와 함께 있는 성균관(成均館)은 조선시대에 인재 양성을 위해 현 위치에 설치된 국가 최고 교육기관으로 국자감(國子監)·국학(國學)·태학(太學)·반궁(泮宮) 등으로도 불렸다. 성균관은 명륜당(明倫堂)과 동재(東齋)·서재(西齋)로 구성되었다. 성균관·문묘는 태조 7년(1398)에 창건되었으나 정종 2년(1400)에 화재로 소실되었다. 그 후 태종(1407)에 다시 지은 것이 임진왜란의 병화로 거의 대부분 소실되고 말았다. 전쟁이 끝난 후 성균관의 유생들이 전국적으로 자금을 모아 선조 34∼35년(1601∼1602)에 대성전을 중건하고, 36∼37년(1603∼1604)에 동무·서무·신문·중문을, 39년(1606)에는 명륜당과 동재·서재를 중건 확충하였다. 인조 4년(1626)에는 정록청(正錄廳)·존경각(尊經閣)·양현고(養賢庫) 등을 재건하였으며, 고종6년(1869)의 한 차례 보수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성균관·문묘를 구성하는 건물 중에서 보물로 지정된 건물은 대성전·명륜당·동무·서무·삼문 등 모두 5동이다. 서울 문묘 일원은 성균관대학교 교문을 들어서면 오른쪽에 일곽을 이루며 위치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숭교방(崇敎坊)이었던 곳이다. 원래 입구에 반교(伴橋)가 있었으나 현존하지 않는다. 문묘 일원은 크게 남쪽의 대성전 일곽과 그 후편의 명륜당 일곽으로 나뉘었다. 대성전 일곽에는 공간제향(祭享)을 이루는 문묘시설의 건물군이 있고, 명륜당 일곽에는 시설교학(敎學)의 건물군들이 배치되어 있다. 문묘 일원에는 보물로 지정된 대성전(大成殿)·명륜당(明倫堂)·동무(東廡)·서무(西廡)·삼문(三門) 등 5동 건물을 제외하고, 서무 서북쪽으로 제기고와 제학당, 전사청과 숙수청이 각각 일곽을 형성하고 있고, 명륜당 남쪽 앞 마당 좌·우로 남북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는 동재(東齋)·서재(西齋), 동재 동편에 있는 진사식당, 그 북쪽의 창고, 명륜당 북동쪽으로 존경각(尊經閣)·육일각(六一閣)·정록청·서리청·향관청(享官廳) 등의 건물들이 있다. 명륜당의 서북쪽 담 밖으로는 비천당(丕闡堂)이 있으며, 그 뒤쪽에 계성사(啓聖祠)가 별도로 있었으나 지금은 없다.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서울 문묘 · 더보기 »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서재필 · 더보기 »

서인

서인(西人)은 조선 시대 붕당정치 초기의 당파로, 1575년(선조 8)의 동서분당(東西分黨)으로 생긴 당파의 하나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서인 · 더보기 »

송갑조

송갑조 영정 송갑조(宋甲祚, 1574년 ∼ 1628년)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송갑조 · 더보기 »

송이창

송이창(宋爾昌, 1561년 ~ 1627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송이창 · 더보기 »

송익필

송익필(宋翼弼, 1534년 2월 10일 ∼ 1599년 8월 8일)은 조선 중기의 서얼 출신 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송익필 · 더보기 »

송준길

송준길(宋浚吉, 1606년 12월 28일 ~ 1672년 12월 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성리학자·정치가로서 유교 주자학의 대가였.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송준길 · 더보기 »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송시열 · 더보기 »

안방준 (1573년)

안방준(安邦俊, 1573년 11월 20일 ~ 1654년 11월 13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의병장,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안방준 (1573년) · 더보기 »

신사임당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년 12월 5일(음력 10월 29일) ~ 1551년 6월 20일(음력 5월 17일)) 또는 신사임(申師任), 사임당 신씨(師任堂申氏)는 조선 시대 중기의 문인이자 유학자, 화가, 작가, 시인이었.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신사임당 · 더보기 »

원두표

원두표(元斗杓, 1593년 ~ 1664년)는 조선후기의 문신, 공신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원두표 · 더보기 »

월봉서원

월봉서원은 조선시대 성리학자인 고봉 기대승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호남 유생들이 1578년(선조 11)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세운 서원이.

새로운!!: 김집 (1574년)와 월봉서원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김 집, 김부자, 신독 김집, 신독재, 신독재 김집.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