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나당 전쟁

색인 나당 전쟁

당 전쟁(羅唐戰爭)은 670년부터 676년까지 신라와 당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53 처지: 덕무왕, 동아시아의 역사, 매소성, 매소성 전투, 마로현, 문무왕, 백빙산 전투, 발해-당 전쟁, 박도유, 거사물현, 견당사, 견신라사, 고간 (당나라), 고연무, 보덕왕, 관서 지방, 부여융, 기벌포, 기벌포 해전, 김양도, 대왕의 꿈, 두품, 당 고종, 장항읍, 전라도, 전쟁 목록, 죽지, 유성현, 패강진, 파주 칠중성, 호로하 전투,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소나 (신라), 소정방, 소중화사상, 통일, 통일신라, 한국의 역사, 한일 관계, 한산주, 한성 (고구려), 하서주, 아스카 시대, 신라, 신라의 대외 관계, 신라의 삼국통일, 신라정토계획, 웅진도독부, 웅천주, 완산주, ..., 670년, 676년, 7세기.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 더) »

덕무왕

덕무왕(德武王), 고덕무(高德武, ? - ?)는 고구려의 마지막 국왕인 보장왕의 후손으로, 당나라에 끌려간 뒤 안동도독부도독에 임명.

새로운!!: 나당 전쟁와 덕무왕 · 더보기 »

동아시아의 역사

동아시아 지역 동아시아의 역사는 한국과 일본, 중국 등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의 역사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동아시아의 역사 · 더보기 »

매소성

매소성(買肖城) 또는 매초성은 675년(문무왕 15년) 신라와 당나라 사이에 격전이 벌어진 성으로, 경기도 연천군 청산면 대전리에 있. 대전리산성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나당 전쟁와 매소성 · 더보기 »

매소성 전투

매소성 전투는 나당 전쟁 당시 675년 신라와 당나라가 매소성에서 벌인 전투로, 신라는 이 전투에서 당나라 20만 대군을 격파하여 그 간의 패배를 만회하고 나당 전쟁의 전세를 역전시.

새로운!!: 나당 전쟁와 매소성 전투 · 더보기 »

마로현

마로현(馬老縣)은 전라남도 광양시 일대의 백제시대 지명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마로현 · 더보기 »

문무왕

문무왕(文武王, 626년~681년 7월 21일 (음력 7월 1일))은 신라 제30대 왕(재위: 661년 음력 6월 ~ 681년 음력 7월 1일)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문무왕 · 더보기 »

백빙산 전투

백빙산 전투는 672년 신라와 고구려 부흥군이 백빙산에서 당나라군과 벌인 전투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백빙산 전투 · 더보기 »

발해-당 전쟁

발해-당 전쟁은 732년 발해가 당나라의 등주를 선제 공격하면서 시작되었.

새로운!!: 나당 전쟁와 발해-당 전쟁 · 더보기 »

박도유

박도유(朴都儒, ?~670년)는 신라 문무왕 때의 장군, 귀족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박도유 · 더보기 »

거사물현

사물현(居斯勿縣)은 삼국시대에 남원근방에 있던 지역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거사물현 · 더보기 »

견당사

당사()는, 일본 야마토 정권과 나라 시대(710년~794년)와 헤이안 시대(794년~1185년)에 일본 조정에서 당(唐, 618년~907년)《당서》에는 왜국이 당에 파견한 조공 사절로 되어 있. 일본에서 견당사를 파견하기 이전에도 쇼토쿠 태자는 수(隋)에 견수사()와 유학승(留學僧)을 보. 619년 중국에서는 수가 멸망하고 새로 당이 개창하였는데, 그때까지는 왜에서 중국으로 파견되던 사신을 견수사라 불렀었.

새로운!!: 나당 전쟁와 견당사 · 더보기 »

견신라사

신라사()는, 고대 일본에서 신라로 파견했던 사절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견신라사 · 더보기 »

고간 (당나라)

(高侃, 高偘, ? ~ ?)은 당나라의 장군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고간 (당나라) · 더보기 »

고연무

연무(高延武, ? ~ ?)는 고구려의 부흥운동 지도자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고연무 · 더보기 »

보덕왕

보덕왕(報德王) 또는 보덕국왕(報德國王) 고안승(高安勝, ? ~ 683년 이후, 재위: 670년 ~ 683년) 또는 고안순(高安舜)은 고구려의 유민으로 고구려 부흥운동 지도자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보덕왕 · 더보기 »

관서 지방

서 지방(關西地方)은 현재의 평양직할시, 평안남도, 평안북도, 자강도 일대를 가리키는 조선의 지역 구분 용어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관서 지방 · 더보기 »

부여융

부여융(扶餘隆, 615년 ~ 682년)은 백제 의자왕의 아들로 삼국 말기의 대표적인 경계인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부여융 · 더보기 »

기벌포

벌포(伎伐浦)는 백제 시대에 현재의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長項邑) 일대를 일컫던 명칭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기벌포 · 더보기 »

기벌포 해전

벌포 해전(伎伐浦海戰)은 나당 전쟁 중인 676년 신라와 당나라가 금강 하구인 기벌포(현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앞바다에서 벌인 전투로, 신라는 이 전투에서 당나라 20만 대군을 격파하여 나당 전쟁에서 최종 승리하였.

새로운!!: 나당 전쟁와 기벌포 해전 · 더보기 »

김양도

양도(金良圖, ? ~ 670년)는 신라 중기의 귀족ㆍ장군ㆍ관인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김양도 · 더보기 »

대왕의 꿈

《대왕의 꿈》 은 KBS 1TV에서 기획한 삼국시대 영웅전의 세 번째 작품으로, 신라 제26대 진평왕, 제27대 선덕여왕, 제28대 진덕여왕, 제29대 태종무열왕, 제30대 문무왕까지의 치세와 흥무대왕 김유신, 그리고 삼국 말기의 고구려, 백제의 영웅들의 일대기를 재조명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대왕의 꿈 · 더보기 »

두품

(頭品)은 신라의 골품제의 하나로, 일종의 신분제도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두품 · 더보기 »

당 고종

당 고종(唐 高宗, 628년 7월 21일 ~ 683년 12월 27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3대 황제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당 고종 · 더보기 »

장항읍

장항읍(長項邑)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서천군의 읍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장항읍 · 더보기 »

전라도

전라도(全羅道)는 전라북도와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남 지방(湖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나당 전쟁와 전라도 · 더보기 »

전쟁 목록

역사에 걸쳐 일어난 전쟁들의 목록에 대해 서술.

새로운!!: 나당 전쟁와 전쟁 목록 · 더보기 »

죽지

죽지(竹旨, ?–?)는 신라시대의 대신, 화랑 출신 장군으로 다른 이름은 죽만(竹曼), 지관(智官), 죽만랑(竹曼郞), 죽지랑(竹旨郞)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죽지 · 더보기 »

유성현

전 대략도 유성현(儒城縣)은 신라시대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있던 지역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유성현 · 더보기 »

패강진

강진(浿江鎭)은 선덕왕대에 신라가 서북면에 설치한 군진(軍鎭) 또는 특수행정구역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패강진 · 더보기 »

파주 칠중성

중성(七重城)은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구읍리에 위치한 산성(山城)으로, 2002년 1월 29일에 사적 제437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나당 전쟁와 파주 칠중성 · 더보기 »

호로하 전투

호로하 전투는 673년 5월 고구려 부흥군이 신라 호로하(칠중성)에서 당나라와 벌인 전투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호로하 전투 · 더보기 »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KBS 1TV 《역사저널 그날》의 방영 목록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소나 (신라)

소나(素那,?~675년)는, 7세기 신라의 무장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소나 (신라) · 더보기 »

소정방

소정방(蘇定方, 592년 ~ 667년)은 당나라의 장군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소정방 · 더보기 »

소중화사상

소중화사상의 화이질서 소중화사상(小中華思想)은 중국 이외의 나라에서 중화사상의 영향을 받아 발달한 자민족 중심주의 사상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소중화사상 · 더보기 »

통일

통일(統一) 또는 일통(一統)이란 사전적인 의미로 분할되어 있던 것들을 합쳐서 하나의 조직 또는 체제나 체계 아래로 결집하게 하는 것을 말. 이 문서에서는 세계 각국의 통일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

새로운!!: 나당 전쟁와 통일 · 더보기 »

통일신라

통일신라(統一新羅)란 백제와 고구려가 멸망한 이후인 668년부터 후삼국 시대 직전의 신라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통일신라 · 더보기 »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한국의 역사 · 더보기 »

한일 관계

일 관계(韓日關係)는 현재의 대한민국을 포함하여, 고대부터 있었던 한국과 일본 사이의 외교, 문화, 경제 등의 교류와 접촉을 말. 양쪽 지역에 중앙집권적인 정치체제가 생긴 삼국 시대(일본의 경우 아스카 시대) 이래로 한국과 일본은 정치적·군사적·사회적·문화적·경제적 교류를 주고받았고 모든 분야에 있어 상호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

새로운!!: 나당 전쟁와 한일 관계 · 더보기 »

한산주

남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한산주(漢山州) 또는 한주(漢州)는 신라의 광역 행정구역인 9주 5소경의 한 주(州)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한산주 · 더보기 »

한성 (고구려)

성은 고구려의 부도 (혹은 별도(別都))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한성 (고구려) · 더보기 »

하서주

남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하서주(河西州) 또는 명주(溟州)는 신라의 광역 행정구역인 9주 5소경의 한 주(州)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하서주 · 더보기 »

아스카 시대

아스카 시대()는 고훈 시대의 종말기와 겹치기도 하지만, 6세기 후반부터 8세기 초반에 걸쳐 아스카에 궁전, 도시가 세워진 시대를 가리키는 일본 역사의 시대 구분의 하나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아스카 시대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나당 전쟁와 신라 · 더보기 »

신라의 대외 관계

아래는 신라의 대외 관계에 대한 설명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신라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신라의 삼국통일

신라의 삼국통일(新羅-三國統一)은 한민족의 역사에서 최초의 민족 통일로 간주되는 사건으로, 676년 신라가 한반도의 제국가(諸國家)를 통일한 것을 말. 신라는 가야, 백제, 고구려 등 한반도에 있던 나라들을 차례로 멸망시켜 병합하였고, 676년에 당나라 군대를 대동강 북쪽으로 축출하여 통일을 달성하였.

새로운!!: 나당 전쟁와 신라의 삼국통일 · 더보기 »

신라정토계획

신라정토계획(新羅征討計劃)은 753년 경덕왕 12년에 일본에서 사신이 파견되었다가 무례함을 이유로 추방당하자 일본의 권력자 후지와라노 나카마로가 이를 기화로 신라를 대대적으로 침공하기 위해 계획한 계획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신라정토계획 · 더보기 »

웅진도독부

웅진도독부(熊津都督府)는 660년(의자왕 20년) 백제가 멸망한 뒤 당나라가 그 고지(故地)에 설치한 행정 관청으로, 5도독부의 하나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웅진도독부 · 더보기 »

웅천주

남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웅천주(熊川州),또는 웅주(熊州)는 신라의 광역 행정구역인 9주 5소경의 한 주(州)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웅천주 · 더보기 »

완산주

남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완산주(完山州) 또는 전주(全州)는 신라의 광역 행정구역인 9주 5소경의 한 주(州)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완산주 · 더보기 »

67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나당 전쟁와 670년 · 더보기 »

67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나당 전쟁와 676년 · 더보기 »

7세기

7세기는 601년부터 700년까지이.

새로운!!: 나당 전쟁와 7세기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나당전쟁.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