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남북 관계

색인 남북 관계

민국의 국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기 남북 관계(南北關係)는 현재 분단국가인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의 관계를 말.

46 처지: 도라산역, 로드 넘버원, 백남순 (1929년), 박봉식, 북방 정책, 북한 리포트, 기독교 우파, 금강산, 김진복 (1924년), 김영주 (1920년), 대한민국, 대한민국 제3공화국, 대한민국 제6공화국, 대한민국 예비군, 대한민국에 관한 문서, 냉면, 구범모, 국방백서, 국제관계연구, 남북 관계, 남북 기본합의서, 남북 이산가족 상봉, 남북국 시대, 남북의 창, 남북조 시대 (동음이의), 남북철도 연결사업, 남북통일, 요정 (음식점), 이범석 (1925년), 정희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702호, 최필립 (공무원), 향린교회, 양안 관계, 연평도 포격, 허정숙, 삼청각, 한반도기, 안창호 (1957년), 10월 유신, 1985년, 2016년 1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 6·23 평화통일 외교정책 선언, 7·4 남북 공동 성명, 8월 26일.

도라산역

역명판 도라산역(都羅山驛)은 대한민국 경기도 파주시 장단면 노상리에 있는 경의선의 철도역이며, 현재 경의선과 평부선의 종점이.

새로운!!: 남북 관계와 도라산역 · 더보기 »

로드 넘버원

《로드 넘버원》(Road No. 1) 은 MBC에서 2010년 6월 23일부터 2010년 8월 26일까지 방영된 특별기획 드라마이.

새로운!!: 남북 관계와 로드 넘버원 · 더보기 »

백남순 (1929년)

백남순(白南淳, 1929년 3월 13일 ~ 2007년 1월 3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외교관·정치가로 조선로동당원이.

새로운!!: 남북 관계와 백남순 (1929년) · 더보기 »

박봉식

박봉식(朴奉植, 1932년 1월 26일 ~,경상남도 양산)은 국제정치학을 전공한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제 17대 서울대학교 총장을.

새로운!!: 남북 관계와 박봉식 · 더보기 »

북방 정책

북방 정책(北方政策)은 1988년 노태우 정부가 집권을 하면서 수립한 대한민국의 대공산권 정책이.

새로운!!: 남북 관계와 북방 정책 · 더보기 »

북한 리포트

《북한 리포트》는 KBS 1TV로 방송된 한국방송공사의 북한 전문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새로운!!: 남북 관계와 북한 리포트 · 더보기 »

기독교 우파

독교 우파(Christian Right) 또는 기독교 보수주의는 미국에서는 복음주의 기독교인들을 정치에 끌어들이기 위한 초교파적 사회운동을 뜻하며, 한국에서도 반공주의와 친미주의, 창조론 찬양 등의 보수적인 정치이념을 갖고 있고, 초교파적인 기독교 정치, 사회운동을 뜻.

새로운!!: 남북 관계와 기독교 우파 · 더보기 »

금강산

강산(金剛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금강군 · 고성군 · 통천군에 걸쳐있는 산이.

새로운!!: 남북 관계와 금강산 · 더보기 »

김진복 (1924년)

복(金鎭福, 1924년 ~ 2001년 8월 10일)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겸 언론인이.

새로운!!: 남북 관계와 김진복 (1924년) · 더보기 »

김영주 (1920년)

영주(金英柱, 1920년 9월 21일 ~)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 공무원이.

새로운!!: 남북 관계와 김영주 (1920년)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남북 관계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제3공화국

제3공화국(第三共和國)은 1961년 5·16 군사정변에 의한 군정 아래에서 1962년 12월 17일에 실시된 국민 투표로 공포, 시행된 헌법에 따라 설립한 대한민국의 세 번째 공화 헌정 체제이.

새로운!!: 남북 관계와 대한민국 제3공화국 · 더보기 »

대한민국 제6공화국

제6공화국(第六共和國)은 대한민국에서 1987년의 6월 항쟁의 결과로 1987년 10월 29일 5년 단임의 대통령 직선제로 하여 민주적으로 개정된 헌법 제10호에 의해 성립되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헌정체제이.

새로운!!: 남북 관계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대한민국 예비군

예비군 훈련장의 사격장 제66동원보병사단 소속) 대한민국 예비군(大韓民國 豫備軍, Republic of Korea Reserve Forces, ROK Reserve Forces, ROKRF)은 평상시에는 사회 생활을 하다가 유사시(有事時)에 소집되는 대한민국 국군의 예비 전력으로, 향토예비군(鄕土豫備軍)이.

새로운!!: 남북 관계와 대한민국 예비군 · 더보기 »

대한민국에 관한 문서

right 대한민국은 동아시아 한반도의 남쪽에 위치한 민주 공화국이.

새로운!!: 남북 관계와 대한민국에 관한 문서 · 더보기 »

냉면

냉면(冷麵,, Naengmyeon 또는 raengmyŏn)은 한반도 고유의 찬국수 요리 중 하나로 삶은 국수를 찬 육수에 넣고 양념과 고명을 얹은 요리이.

새로운!!: 남북 관계와 냉면 · 더보기 »

구범모

범모(具範謨, 1934년 1월 7일 경북 예천 ~)는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

새로운!!: 남북 관계와 구범모 · 더보기 »

국방백서

국방백서(國防白書)는 국방부에서 발행하는 보고서 형태의 책자로, 국민들에게 국방정책을 알리기 위해서 2년에 한 번씩 발행하고 있.

새로운!!: 남북 관계와 국방백서 · 더보기 »

국제관계연구

국제관계연구는 고려대학교 부설 일민국제관계연구원에서 발행하는 학술저널이.

새로운!!: 남북 관계와 국제관계연구 · 더보기 »

남북 관계

민국의 국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기 남북 관계(南北關係)는 현재 분단국가인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의 관계를 말.

새로운!!: 남북 관계와 남북 관계 · 더보기 »

남북 기본합의서

북 기본합의서(南北基本合意書)는 1991년 12월 13일에 분단국가인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한국의 재통일과 관련하여 합의한 뒤 이듬해 1992년 2월 18일 정식으로 효력을 발생시킨 문건이.

새로운!!: 남북 관계와 남북 기본합의서 · 더보기 »

남북 이산가족 상봉

북 이산가족 상봉(南北離散家族相逢)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나뉘어 흩어져 살고 있는 가족들이 서로 만나거나 소식을 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책 또는 그 행사를 말. 때로는 같은 국가에 살면서도 서로 행방을 알 수 없는 경우도 있.

새로운!!: 남북 관계와 남북 이산가족 상봉 · 더보기 »

남북국 시대

북국 시대(南北國時代)는 698년는 1784년에 유득공에 의해 창조된 북부의 만주와 연해주를 중심으로 한 발해의 건국 이후 남부의 한반도에 있는 신라와 공존하던 시대를 일컫는 역사 용어이.

새로운!!: 남북 관계와 남북국 시대 · 더보기 »

남북의 창

《남북의 창》(南北의 窓)은 매주 토요일 오전 7시 50분부터 8시 30분까지 KBS 1TV로 방송되는 KBS의 북한 전문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새로운!!: 남북 관계와 남북의 창 · 더보기 »

남북조 시대 (동음이의)

북조 시대는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남북 관계와 남북조 시대 (동음이의) · 더보기 »

남북철도 연결사업

북철도 연결사업이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가 단절되어 있는 철도를 연결하는 사업을 말.

새로운!!: 남북 관계와 남북철도 연결사업 · 더보기 »

남북통일

통일된 한반도의 상징인 한반도기 2018년 3월 대북특사로 임명된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이 김정은에게 문재인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하고 있다. 6·15 남북 공동선언을 기념하는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 남북통일(南北統一) 또는 한국의 재통일()은 한반도에 존재하는 두 국가인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하나의 국가로 통일하는 것을 의미.

새로운!!: 남북 관계와 남북통일 · 더보기 »

요정 (음식점)

요정(料亭)은 고급 식당을 의미.

새로운!!: 남북 관계와 요정 (음식점) · 더보기 »

이범석 (1925년)

이범석(李範錫, 1925년 9월 14일 - 1983년 10월 9일)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

새로운!!: 남북 관계와 이범석 (1925년) · 더보기 »

정희경

정희경(鄭喜卿, 1932년 5월 24일)은 현대고등학교 교장과 청강문화산업대학 이사장을 지낸 한국의 교육인이.

새로운!!: 남북 관계와 정희경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남북 관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702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702호는 1991년 8월 8일에 분단국가인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별도의 국가 자격으로 유엔 가입 신청을 유엔 총회에 투표 없이 만장일치로 유엔 총회에 권고한 결의이.

새로운!!: 남북 관계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702호 · 더보기 »

최필립 (공무원)

립(崔弼立, 1928년 8월 6일 ~ 2013년 9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전 공무원이.

새로운!!: 남북 관계와 최필립 (공무원) · 더보기 »

향린교회

향린교회 향린교회(香隣敎會)는 대한민국의 교회이.

새로운!!: 남북 관계와 향린교회 · 더보기 »

양안 관계

양안 관계(兩岸 關係)는 현재 국공 내전을 통해 통일한 중화인민공화국과 망명된 중화민국 사이의 관계를 말. 양안(兩岸)이란 자연적인 군사분계선의 역할을 하게 된 타이완 해협을 두고 서안(대륙)과 동안(타이완)으로 마주보는 관계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두 국가가 된 양자의 관계는 '두 국가의 외교'가 아닌 '특수한 상태의 관계'이므로, 남북 관계와 유사한 개념으로 양안 관계라는 표현을 흔히 사용하고 있. 중화민국은 공식적으로 중국 대륙을 미수복된 본토(반란에 의한 실지)로 간주.

새로운!!: 남북 관계와 양안 관계 · 더보기 »

연평도 포격

K-9 자주포 연평도 포격(延坪島 砲擊)은 2010년 11월 23일 오후 2시 30분 경, 북한이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의 대연평도를 향해 포격을 가한 사건이.

새로운!!: 남북 관계와 연평도 포격 · 더보기 »

허정숙

정숙(許貞淑, 1902년 7월 16일 ~ 1991년 6월 5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며 여성운동가, 사회주의자이.

새로운!!: 남북 관계와 허정숙 · 더보기 »

삼청각

삼청각(三淸閣)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에 있는 전통 문화공연장으로, 1972년 건립되어 1970년~1980년 요정정치의 산실로 대표되었.

새로운!!: 남북 관계와 삼청각 · 더보기 »

한반도기

반도기 한반도기(韓半島旗)는 흰색 바탕에 하늘색 한반도 지도가 그려진 기로, 국제 스포츠 대회에서 남북 단일팀의 단기(團旗)로 쓰기 위하여 1989년 남북체육회담에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합의해 제정하였.

새로운!!: 남북 관계와 한반도기 · 더보기 »

안창호 (1957년)

안창호(安昌浩, 1957년 8월 5일 ~)는 대한민국의 헌법재판소 재판관을 맡고 있는 법관이.

새로운!!: 남북 관계와 안창호 (1957년) · 더보기 »

10월 유신

10월 유신(十月維新)은 1972년 10월 17일에 대통령 박정희가 위헌적 계엄과 국회해산 및 헌법정지 등을 골자로 하는 대통령 특별선언(大統領特別宣言)을 발표한 것을 말. 박정희는 이 선언에서 4가지 비상조치를 발표하고 이러한 비상조치 아래 위헌적 절차에 의한 국민투표로 1972년 12월 27일에 제3공화국 헌법을 파괴했는데, 이때의 헌법을 유신 헌법(維新憲法)이라 하며, 유신 헌법이 발효된 기간을 유신 체제(維新體制), 유신 독재(維新獨裁)라고 부른.

새로운!!: 남북 관계와 10월 유신 · 더보기 »

1985년

198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북 관계와 1985년 · 더보기 »

2016년 1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

2016년 1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2016年1月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核實驗)은 2016년 1월 6일, 한국 표준시로 오전 10시 30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시간으로 오전 10시, 협정 세계시로 오전 1시 30분에 이루어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4번째 핵 실험을 말.

새로운!!: 남북 관계와 2016년 1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 · 더보기 »

6·23 평화통일 외교정책 선언

6·23 평화통일 외교정책 선언(약칭 6·23 선언)은 1973년 6월 23일 박정희 대통령이 발표한 선언으로서,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공산주의 국가에의 문호 개방 등이 담겨 있.

새로운!!: 남북 관계와 6·23 평화통일 외교정책 선언 · 더보기 »

7·4 남북 공동 성명

7·4 남북 공동 성명(7·4 南北 共同 聲明)은 1972년 7월 4일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이 국토 분단 이후 최초로 통일과 관련하여 합의, 발표한 공동성명이.

새로운!!: 남북 관계와 7·4 남북 공동 성명 · 더보기 »

8월 26일

8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8번째(윤년일 경우 23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북 관계와 8월 26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남북관계, 남북적십자회담, 남북한 관계, 남북한관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대한민국 관계, 조한관계, 한조관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