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남조선로동당

색인 남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南朝鮮勞動黨), 줄여서 남로당은 1946년 11월 23일 서울에서 조선공산당, 남조선신민당, 조선인민당의 합당으로 결성된 공산주의 정당이.

207 처지: 동북항일연군, 로드 넘버원, 류락진, 리승엽, 맹종호, 마오쩌둥, 민족자주연맹, 민주주의민족전선, 방준표, 배철, 백남운, 백남의, 백의사, 백선엽, 갑산파, 강동정치학원, 박문규 (1906년), 강문석 (1906년), 박갑동, 박근혜, 박승관 (1912년), 박정희, 박종근 (1920년), 강중인, 강진 (사람), 박진목, 박영발, 박헌영, 박헌영 리승엽 간첩 사건, 박원석 (1923년), 경성콤그룹, 보도연맹 학살, 공산당, 관덕정, 북조선로동당, 북조선인민위원회, 권태양, 권오석, 극좌, 근로인민당, 기관지, 빨치산파, 김규식, 김대중, 김구, 김두한, 김남천, 김남식 (1925년), 김달삼, 김일 (1910년), ..., 김일성, 김일성 가짜설, 김익렬, 김응빈, 김종석 (1918년), 김중종, 김준연, 김지회, 김창룡, 김태준 (1905년), 김순남 (작곡가), 김수임, 김영만 (1924년), 김오성, 김형선 (1904년), 김삼룡 (1908년), 김성수 (1891년), 대구 10·1 사건,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대한민국, 대한민국 제1공화국,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의 노동운동,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대한민국의 진보주의, 대한민주청년동맹, 국가보안법 사건 목록, 국가재건최고회의, 국내파 (공산주의운동), 국회 프락치 사건, 남민전 사건, 남북협상, 남조선로동당, 남조선민족해방전선준비위원회, 노동자당, 노력인민, 스탈린의 편지, 슈프레히콜, 장면, 장택상, 장호 (1920년), 임선규, 임화, 이동규, 이면상, 이병주 (군인), 이관술, 이기건, 이승만, 이회창, 이종 (1911년), 이종환 (1922년), 이주일 (군인), 이주하, 이철승, 이상진 (1919년), 이영근 (1919년), 이호제, 이현상, 이원조 (문학 평론가), 이후락, 이홍규, 제18사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제1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 제3공화국 (드라마), 제주 3·1절 발포사건, 제주 4·3 사건, 전석담, 정백, 정국은, 정노식, 정일권, 정칠성, 조봉암,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조일명,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 제3차 대회, 조선로동당 위원장, 조선문학가동맹, 조선문학예술총동맹,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학, 조선공산당, 조선공산주의 운동, 조선국군준비대,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 조선인민군의 서울 점령, 조선인민당, 조선인민유격대, 조선신민당, 조소앙, 좌우합작운동, 좌익, 주체사상파, 중부지역당 사건, 진보당 (대한민국), 지창수 (군인), 지하련, 유영준 (1892년), 육군사관학교 (일본), 윤보선, 생디칼리슴, 태백산맥 (영화), 태백산맥 (소설), 오제도, 오성덕, 옛 정당 목록, 최용건, 최용달, 최운혁, 최창익, 여운형, 여수·순천 사건, 연안파, 허가이, 허근욱, 허정숙, 허영철 (1920년), 허헌, 프락치, 석용화, 설정식, 서동만, 서광제, 서북청년회, 서울 1945, 서중석 (독립운동가), 손호균, 소련파, 함화진, 한국 전쟁, 한국민주당, 한국의 군정기, 한국의 노동운동, 한용운, 한지근, 한설야, 안공근, 신고송, 신인영, 신탁 통치 반대 운동, 신상철 (1924년), 후크발라합, 홍경선 (1925년), 홍순석 (군인), 황용갑 (1924년), 황철, 10월 10일, 11월 23일, 1945년, 1953년, 2·7 사건, 4월 3일, 8월 7일, 8월 종파 사건.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57 더) »

동북항일연군

동북항일연군(東北抗日聯軍)은 1936년 중국공산당 지도 아래 만주에서 만들어진 항일투쟁을 주도한 군사조직으로, 중국인과 조선인 등의 민족통일전선 성격을 띠었.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동북항일연군 · 더보기 »

로드 넘버원

《로드 넘버원》(Road No. 1) 은 MBC에서 2010년 6월 23일부터 2010년 8월 26일까지 방영된 특별기획 드라마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로드 넘버원 · 더보기 »

류락진

락진(1928년 8월 26일 ~ 2005년 4월 1일).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류락진 · 더보기 »

리승엽

리승엽(李承燁, 1905년 2월 8일 ~ 1954년 7월 30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리승엽 · 더보기 »

맹종호

맹종호(孟鍾鎬, 1911년 8월 10일 ~ ?)는 일제 강점기의 사회주의 계열 운동가로, 남로당의 간부였.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맹종호 · 더보기 »

마오쩌둥

천안문에 있는 유화 마오쩌둥(1893년 12월 26일 ~ 1976년 9월 9일)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마오쩌둥 · 더보기 »

민족자주연맹

민국의 시계열적 정당 지도 민족자주연맹(民族自主聯盟, Federation Korean National Independence, KNI)은 1947년 12월 20일 김규식 등에 의해서 창당, 발족된 대한민국의 정당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민족자주연맹 · 더보기 »

민주주의민족전선

민주주의민족전선(民主主義民族戰線)은 미군정 시기에 서울에서 결성된 좌파 계열의 연합 단체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민주주의민족전선 · 더보기 »

방준표

방준표(方俊杓, 1906년 ~ 1954년 1월 31일)는 일제 강점기와 미군정 시기의 사회주의 운동가이며 한국 전쟁 중에는 유격전을 지휘.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방준표 · 더보기 »

배철

배철(裵哲, 1912년 ~ 1953년?)는 한국의 사회주의 계열 독립 운동가로, 남로당의 간부였.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배철 · 더보기 »

백남운

백남운(白南雲, 1894년 2월 11일 ~ 1979년 6월 12일)은 일제 강점기의 경제학자, 교육자이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제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백남운 · 더보기 »

백남의

백남의(白南儀, 1872년 ~ 1949년 8월 12일)는 조선 말기의 효력부위를 지낸 박성빈의 아내이며 박상희, 대한민국의 대통령 박정희 형제의 어머니이며 김종필의 처조모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백남의 · 더보기 »

백의사

백의사(白衣社)는 일제 강점기와 해방정국의 우익 테러단체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백의사 · 더보기 »

백선엽

thumb 백선엽(白善燁, 일본식 창씨명: 시라카와 요시노리(白川義則), 1920년 11월 23일 ~)은 일제강점기 만주국의 간도특설대 군인 장교이자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외교관, 기업인, 교육인이며 사회운동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백선엽 · 더보기 »

갑산파

갑산파(甲山派)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있던 정치 파벌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갑산파 · 더보기 »

강동정치학원

강동정치학원(江東政治學院)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있던 공작원 양성 기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강동정치학원 · 더보기 »

박문규 (1906년)

박문규(朴文奎 1906년 ~ ?)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농업경제학자, 사회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박문규 (1906년) · 더보기 »

강문석 (1906년)

강문석(姜文錫, 1906년~1955년)은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한국의 사회주의 운동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강문석 (1906년) · 더보기 »

박갑동

박갑동(朴甲東, 1919년 3월 ~)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언론인, 정치인이었.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박갑동 · 더보기 »

박근혜

박근혜(朴槿惠, 1952년 2월 2일 ~)는 대한민국의 제18대 대통령이자 대한민국 역사상 최초로 민주적인 절차를 통하여 탄핵당한 대통령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박근혜 · 더보기 »

박승관 (1912년)

박승관(朴承琯, 1912년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경찰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박승관 (1912년) · 더보기 »

박정희

박정희(朴正熙, 1917년 11월 14일 ~ 1979년 10월 26일)는 대한민국의 제5·6·7·8·9대 대통령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박정희 · 더보기 »

박종근 (1920년)

박종근(1920년 ~ 1952년 2월 17일)은 일제 강점기와 미군정 시기의 사회주의 운동가이며 한국 전쟁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군인으로 참전.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박종근 (1920년) · 더보기 »

강중인

강중인(姜仲仁, 일본식 이름: 德田仲仁, 1908년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법조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강중인 · 더보기 »

강진 (사람)

강진(姜進, 1905년 ~ ?)은 일제강점기 활동한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가, 정치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강진 (사람) · 더보기 »

박진목

박진목(朴進穆, 1918년 8월 ~ 2010년 7월 13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언론인, 통일운동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박진목 · 더보기 »

박영발

박영발(朴榮發, 1913년 ~ 1954년)은 일제 강점기와 미군정 시기의 사회주의 운동가이며 한국 전쟁 중에는 유격전을 지휘.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박영발 · 더보기 »

박헌영

박헌영(朴憲永, 1900년 5월 28일? 충청남도 예산 ~ 1956년 12월 5일?)은 조선의 공산주의 독립운동가, 언론인, 노동운동.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박헌영 · 더보기 »

박헌영 리승엽 간첩 사건

박헌영 리승엽 간첩 사건은 1953년 박헌영과 리승엽을 비롯한 남로당 계열의 거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치인들이 미국의 간첩으로서 정부 전복을 음모했다는 혐의로 체포되어 최고재판소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사건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박헌영 리승엽 간첩 사건 · 더보기 »

박원석 (1923년)

박원석(朴元錫, 일본식 이름: 德田元敎 도쿠타 모토쿄, 1923년 3월 27일 ~ 2015년 11월 30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 기업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박원석 (1923년) · 더보기 »

경성콤그룹

경성콤그룹(京城-)은 일제 강점기 말기에 조직된 독립운동단체이자 비밀결사 조직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경성콤그룹 · 더보기 »

보도연맹 학살

보도연맹 학살사건(保導聯盟虐殺事件)은, 1950년 한국전쟁 중에 대한민국 국군·헌병·반공 극우단체 등이 국민보도연맹원이나 양심수 등을 포함해 공식적으로 확인된 4934명과, 10만 명에서 최대 120만 명으로 추산되는 민간인을 살해했다고 추정되는 대학살 사건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보도연맹 학살 · 더보기 »

공산당

공산당()은 공산주의를 목표로 하며, 마르크스-레닌주의 또는 유럽공산주의를 이념으로 하는 정당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공산당 · 더보기 »

관덕정

제주 관덕정(濟州 觀德亭)은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도2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누정으로, 대한민국의 보물 제322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관덕정 · 더보기 »

북조선로동당

1946년 8월 28일, 조선신민당과 조선공산당 북조선 분국. 이날 합당되어 북조선로동당이 창당되었다. 북조선로동당의 당원증 북조선로동당(北朝鮮勞動黨), 줄여서 북로당은 1946년부터 1949년까지 평양에 존재했던 극좌정당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북조선로동당 · 더보기 »

북조선인민위원회

북조선인민위원회(北朝鮮人民委員會)는 소비에트 연방의 6개월 간의 군정이 끝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모태가 된 기관으로, 사실상의 정부로서 운영되었.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북조선인민위원회 · 더보기 »

권태양

양(權泰陽, ? - 1966년)은 해방 직후 한국의 정치인이자 김규식의 비서였.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권태양 · 더보기 »

권오석

오석(權五石, 1918년 12월 22일 ~ 1971년 8월 30일)은 남로당 당원이자 비전향 장기수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권오석 · 더보기 »

극좌

시위하는 생디칼리스트들 극좌() (極左), 급진좌파(急進左派) 또는 혁명적 좌파는 극단적으로 좌파적인 생각, 사람, 당파 세력을 가리.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극좌 · 더보기 »

근로인민당

인민당(勤勞人民黨)은 1947년 5월 24일 창당된 대한민국의 중도좌파, 현대적 해석으로 사회민주주의 정당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근로인민당 · 더보기 »

기관지

(機關誌 또는 機關紙)는 정당, 노동조합, 각종 단체 등의 조직체가 그 구성원으로 외부에 대하여 그 목적·주의·방침 등을 주장하고 통보하며 또는 선전하기 위해 발행하는 신문을 말.기관지, 《글로벌 세계 대백과》 기관지는 발행 단체의 이념, 발행 단체를 공격하는 내용에 대한 반박, 유리함에 대한 내용을.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기관지 · 더보기 »

빨치산파

빨치산파 또는 항일유격대파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건국과 이후 권력투쟁 과정에서 성립된 정치 파벌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빨치산파 · 더보기 »

김규식

식(金奎植, 1881년 2월 28일 ~ 1950년 12월 10일)은 대한제국의 종교가,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 학자, 시인, 사회운동가, 교육자였다 언더우드 선교사의 비서, 경신학교의 교수와 학감 등을 지내고 미국에 유학하였.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김규식 · 더보기 »

김대중

중(金大中, 1924년 1월 6일 ~ 2009년 8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제15대 대통령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김대중 · 더보기 »

김구

(金九, 1876년 8월 29일 ~ 1949년 6월 26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인, 교육자, 통일운동가, 정치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김구 · 더보기 »

김두한

(金斗漢, 1918년 5월 15일 ~ 1972년 11월 21일)은 일제강점기 조선의 건달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상사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김두한 · 더보기 »

김남천

(金南天, 1911년 3월 16일 ~ 1953년 8월?)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소설가 겸 문학평론가이며 아명(兒名)은 김효식(金孝植)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김남천 · 더보기 »

김남식 (1925년)

식(金南植, 1925년 ~ 2005년 1월 7일)은 대한민국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전문가이며 통일 운동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김남식 (1925년) · 더보기 »

김달삼

삼 초상김달삼(金達三, 1923년 8월 4일 ~ 1950년 3월 20일)은 제주 4·3 사건을 주도한 남조선로동당원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김달삼 · 더보기 »

김일 (1910년)

일(金一, 1910년 3월 20일 ~ 1984년 3월 9일)은 일제 강점기의 항일 독립운동가이자 소비에트 연방의 군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 정치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김일 (1910년) · 더보기 »

김일성

일성(金日成, 1912년 4월 15일 ~ 1994년 7월 8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독재자.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김일성 · 더보기 »

김일성 가짜설

일성 가짜설은 해방 후 소련군과 함께 평양에 온 북한 김일성이 1945년 10월 14일 평양시 민중대회에서 김일성 장군을 자칭하며 처음 대중앞에 나선 당시 나이가 33세로 너무 젊어서 1920년 무렵부터 유명했던 김일성 장군으로 볼 수 없었기 때문에 군중들 사이에 가짜라는 소동이 벌어지면서 처음 대두되었.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김일성 가짜설 · 더보기 »

김익렬

익렬(金益烈, 1921년 ~ 1988년)은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김익렬 · 더보기 »

김응빈

응빈(金應彬, 1914년 ~ ?)은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한국의 사회주의 운동가로 남조선로동당의 간부였.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김응빈 · 더보기 »

김종석 (1918년)

종석(金鍾碩, 일본식 이름: 日原正人 니치하라 마사히토, 1918년 ~ 1949년?)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군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김종석 (1918년) · 더보기 »

김중종

중종(金中鐘, 1926년 음력 4월 2일(5월 3일) ~ 2009년 10월 20일)은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김중종 · 더보기 »

김준연

준연(金俊淵, 1895년 3월 14일 ∼ 1971년 12월 31일)은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이자 독립운동가였고, 대한민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김준연 · 더보기 »

김지회

회(金智會, ? ~ 1949년 4월 9일)는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육군 장교로 여순 14연대 반란사건의 주동자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김지회 · 더보기 »

김창룡

창룡(金昌龍, 1920년 7월 18일 ~ 1956년 1월 30일)은 일본군과 대한민국 국군에서 복무를 한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김창룡 · 더보기 »

김태준 (1905년)

준(金台俊, 1905년 ~ 1949년)은 일제강점기때 활동한 공산주의계열 독립운동가이자 국문학자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김태준 (1905년) · 더보기 »

김순남 (작곡가)

순남(金順男, 1917년 5월 28일 ~ 1983년?)은 작곡가이며 피아니스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김순남 (작곡가) · 더보기 »

김수임

수임(金壽任, 1911년 ~ 1950년 6월 15일?)은 일제 강점기와 군정시대의 공산주의자이며 대한민국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간첩 혐의로 사형당한 여성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김수임 · 더보기 »

김영만 (1924년)

영만(1924년 11월 15일 ~ 2013년 11월 23일)은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김영만 (1924년) · 더보기 »

김오성

오성(金午星,1908년 ~ 1953년?)은 일제강점기 한국의 공산주의 이론가, 문학평론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김오성 · 더보기 »

김형선 (1904년)

형선(金炯善, 1904년 ~ 1950년)은 일제강점기 한국의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김형선 (1904년) · 더보기 »

김삼룡 (1908년)

1950년 4월 1일자 동아일보. 남로당 핵심간부인 김삼룡과 이주하가 검거되었다고 보도된 기사. 김삼룡(1908년 ~ 1950년)은 일제강점기에 활약했던 공산주의계열 독립운동가이자 미군정기 남로당 주요 간부로 활약한 공산주의자,노동운동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김삼룡 (1908년) · 더보기 »

김성수 (1891년)

성수(金性洙, 1891년 10월 11일 ~ 1955년 2월 18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인 겸 언론인·기업인·근대주의 운동가였으며, 일제 강점기 말기에 친일 행적 논란이 있. 대한민국 초기 정치인, 언론인, 교육인, 서예가였.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김성수 (1891년) · 더보기 »

대구 10·1 사건

10·1 사건은 1946년 10월 1일에 미군정하의 대구에서 발발, 이후 남한 전역으로 확산된 일련의 운동을 지칭.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대구 10·1 사건 · 더보기 »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독립촉성전국노동총동맹(大韓獨立促成全國勞動總同盟), 줄여 대한노총(大韓勞總)은 좌파 노동조합인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전평)에 대항하여 등장한 대한민국 초기의 우파의 어용 노동조합으로,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의 전신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제1공화국

민국 제1공화국(第一共和國)은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 의해 1948년 8월 15일 이승만 정부가 수립되어 1960년 4·19 혁명으로 대한민국 제2공화국이 탄생하기 전까지 지속된 첫 번째 공화 헌정 체제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대한민국 제1공화국 · 더보기 »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 선거

1963년 10월 15일 국민의 직접 선거에 의한 제5대 대통령 선거로 박정희 후보가 당선되었.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 선거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노동운동

민국의 노동운동(大韓民國-勞動運動)은 정부의 출범과 더불어 시작되었.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대한민국의 노동운동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민국 진보세력의 흐름 대한민국의 시계열적 정당 지도 대한민국의 진보정당은 대한민국의 진보주의, 사회주의 혹은 사회민주주의 정당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진보주의

민국의 진보주의(대한민국의 進步主義)는 대한민국의 진보주의적, 사회주의적 이데올로기를 말. 현재 대한민국의 진보주의자들은 주로 PD(민중민주)와 NL(민족해방).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대한민국의 진보주의 · 더보기 »

대한민주청년동맹

민주청년동맹(大韓民主靑年同盟)은 1945년 12월 창립된 청년단체였.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대한민주청년동맹 · 더보기 »

국가보안법 사건 목록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국가보안법 사건 목록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국가보안법 사건 목록 · 더보기 »

국가재건최고회의

5월 20일, 중앙청 광장에서 포고하는 장도영과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國家再建最高會議)는 대한민국에서 5·16 군사 정변 이후 정변 주도세력이 5월 18일에 '군사혁명위원회'에서 이름을 바꾸어 발족시킨 입법·행정·사법의 3권을 행사했던 통치기구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국가재건최고회의 · 더보기 »

국내파 (공산주의운동)

국내파는 조선공산주의운동의 역사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사에 등장하는 정치 파벌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국내파 (공산주의운동) · 더보기 »

국회 프락치 사건

국회 프락치 사건은 1949년 6월, 이른바 '남로당 프락치(공작원)'로 제헌국회에 침투, 첩보공작을 한 혐의로 김약수 등 13명의 의원이 체포된 사건을 말. 당시 국회 부의장이던 김약수를 비롯하여 노일환, 이문원 등 진보적 소장파 의원들이 외국군(미국, 소련)의 완전철수, 남북정당, 사회단체 대표로 구성된 남북정치회의 개최를 주요내용으로 하는 '평화통일방안 7원칙'을 제시하자, 평화통일, 자주통일을 불온시하고 북진통일만을 주장했던 제1공화국 정부는 이들이 남로당 공작원과 접촉, 정국을 혼란시키려 했다는 혐의로 김약수 등 13명을.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국회 프락치 사건 · 더보기 »

남민전 사건

조선민족해방전선의 국기 남민전 사건(南民戰事件)은 1979년 대한민국 유신말기 최대의 공안사건이자 논란은 있지만 민주화운동으로 기록된 일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남민전 사건 · 더보기 »

남북협상

북협상(南北協商) 또는 전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 (全朝鮮諸政黨社會團體代表者連席會議), 또는 남북 연석회의(南北連席會議) 는 남한만의 단독정부(현 대한민국) 수립을 반대하는 남북의 정당·사회단체 대표들이 5·10 단독선거를 저지하고 통일민주국가 수립을 위해 대책을 논의한 회담을 말. 1948년 4월 19일부터 시작된 이 회의는, 김구, 김규식 등 남한 단독 총선에 반대하는 남한 일부 정파 대표들과, 소련의 대리인으로 북한의 실질 권력을 장악해 가던 김일성 및 김두봉과 같은 남북의 인사들이 다수 참석하였으며, 실현 가능성도 없는 합의문을 채택하고 아무런 성과도 없이 끝나고 말았.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남북협상 · 더보기 »

남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南朝鮮勞動黨), 줄여서 남로당은 1946년 11월 23일 서울에서 조선공산당, 남조선신민당, 조선인민당의 합당으로 결성된 공산주의 정당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남조선로동당 · 더보기 »

남조선민족해방전선준비위원회

조선민족해방전선준비위원회 (南朝鮮民族解放戰線準備委員會)는 1976년 10월 결성된 대한민국의 지하 조직 성격의 예비 테러 단체로 무장혁명을 목. 대한민국 제4공화국 당시 국가보안법에 따른 반국가단체로 분류되었.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남조선민족해방전선준비위원회 · 더보기 »

노동자당

동자당(勞動者黨)은 노동당과 비슷하게 많이 쓰이는 정당 명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노동자당 · 더보기 »

노력인민

력인민(勞力人民)은 1947년 한국의 군정기 시기 발간된 남조선로동당의 기관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노력인민 · 더보기 »

스탈린의 편지

민국의 소설가인 노재성이 2010년에 발표한 "만약 한국 전쟁 발발 직후에 열린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에 소련 대표가 참석해 북한의 침공을 받은 남한에 유엔군을 파병한다는 결의안에 거부권을 행사했다면?" 이라는 첫 번째 대체역사적 가정(假定)과, "만약 미국의 해리 트루먼 대통령이 유엔군 총사령관이었던 더글라스 맥아더 장군을 해임하지 않았다면?" 이라는 두 번째 대체역사적 가정(假定)을 토대로 쓰여진 대체 역사 소설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스탈린의 편지 · 더보기 »

슈프레히콜

슈프레히콜()은 연극의 한 양식을 가리키는 용어로, 독일어의 '말하다()'와 '합창()'에 해당하는 단어를 합성해 만들어진 단어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슈프레히콜 · 더보기 »

장면

장면(張勉 1899년 8월 28일 ~ 1966년 6월 4일)은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종교가·번역가·출판인·문인·저술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가·외교관·교육자·정치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장면 · 더보기 »

장택상

장택상(張澤相, 1893년 10월 22일 ~ 1969년 8월 1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작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장택상 · 더보기 »

장호 (1920년)

장호(1920년 11월 29일 ~)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언론인이며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장호 (1920년) · 더보기 »

임선규

임선규(林仙圭, 1912년 2월 5일 ~ 1970년?)는 일제강점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연극인, 극작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임선규 · 더보기 »

임화

임화(林和, 문화어: 림화, 1908년 10월 13일 ~ 1953년 8월 6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시인이며 문학평론가, 정치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임화 · 더보기 »

이동규

이동규(李東珪, 1911년 9월 8일 ~ 1952년)는 일제 강점기 및 해방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활동한 소설가, 극작가, 아동문학가, 평론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이동규 · 더보기 »

이면상

이면상(李冕相,, 일본식 이름: 街村冕相, 1908년 4월 8일 ~ 1989년 6월 25일)은 일제 강점기부터 대중음악 작곡가로 활동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음악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이면상 · 더보기 »

이병주 (군인)

이병주(李丙冑, 1921년 ~ ?)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군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이병주 (군인) · 더보기 »

이관술

이관술(李觀述, 1902년 ~ 1950년)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사상가, 노동운동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이관술 · 더보기 »

이기건

이기건(李奇建, 1919년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이기건 · 더보기 »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이승만 · 더보기 »

이회창

이회창(李會昌, 1935년 6월 2일 ~)은 대한민국의 대법관 출신 정치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이회창 · 더보기 »

이종 (1911년)

이종(1911년 ~ 2011년 7월 19일)은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이종 (1911년) · 더보기 »

이종환 (1922년)

이종환(李鐘煥, 1922년 음력 10월 7일 ~ 2001년 4월 30일)은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이종환 (1922년) · 더보기 »

이주일 (군인)

이주일(李周一, 1918년 11월 14일 ~ 2002년 1월 28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이주일 (군인) · 더보기 »

이주하

250px 이주하(李舟河, 1905년 ~ 1950년 6월 28일)는 일제 강점기에 사회주의 계열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며, 남조선로동당의 간부였.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이주하 · 더보기 »

이철승

이철승(李哲承, 1922년 5월 15일 ~ 2016년 2월 27일)은 대한민국의 학생운동가, 정치인, 시민사회기관단체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이철승 · 더보기 »

이상진 (1919년)

이상진(李尙振, 1919년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군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이상진 (1919년) · 더보기 »

이영근 (1919년)

이영근(李榮根, 1919년 ~ 1990년 5월 14일)은 건국준비위원회와 진보당에서 활동했던 재일교포 언론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이영근 (1919년) · 더보기 »

이호제

이호제(李昊濟, ? ~ 1950년 4월)는 일제 강점기와 미군정 시기의 사회주의 운동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이호제 · 더보기 »

이현상

이현상(李鉉相, 1905년 9월 27일 ~ 1953년 9월 17일)은 한국의 공산주의계열 독립운동가, 사회주의자, 노동운동가이며, 해방 후에는 남조선로동당의 간부로 지리산 일대를 중심으로 파르티잔 활동을 주. 일제 강점기 당시 독립운동과 노동운동에 참여하였고, 해방 이후에는 박헌영 등과 함께 조선공산당 재건 운동과 남조선로동당 활동을 하였.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이현상 · 더보기 »

이원조 (문학 평론가)

이원조(李源朝, 1909년 6월 2일 ~ 1955년?)는 한국의 문학평론가이며 언론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이원조 (문학 평론가) · 더보기 »

이후락

이후락(李厚洛, 1924년 2월 23일 ~ 2009년 10월 31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을 지낸 외교관 겸 정치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이후락 · 더보기 »

이홍규

이홍규(李弘圭, 1905년 5월 10일 ~ 2002년 10월 31일, 일본식 이름: 마루야마 아키오, 丸山晃生)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이홍규 · 더보기 »

제18사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제18사단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사단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제18사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제1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제1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는 1948년 8월 25일에 열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초대 최고인민회의 선. 대의원 572명을 선출하였.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제1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 더보기 »

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

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에는 종종 새로운 시기로 분. 이 기간 동안 유럽과 일본을 재건하기 위한 유럽 부흥 계획, 트루먼 독트린의 시작, UN의 건설이 있.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미국이 이끄는 서양 민주주의 국가와 소련이 이끄는 공산주의 국가가 대립하며 냉전이 시작.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 · 더보기 »

제3공화국 (드라마)

《제3공화국》(第三共和國)은 문화방송이 제3공화국을 배경으로 다룬 정치드라마로서 박정희의 출생과 성장 과정, 그리고 1961년 5·16 군사정변과 군정, 그리고 1972년 10월 17일 10월 유신이 선포되는 것까지 다룬 드라마로 매주 일요일에 방영되었으며, 1993년 2월에서부터 8월까지 방영된 총 26부작 드라마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제3공화국 (드라마) · 더보기 »

제주 3·1절 발포사건

제주 3·1절 발포사건은 1947년 3·1절에 제주에서 일어난 경찰의 발포사건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제주 3·1절 발포사건 · 더보기 »

제주 4·3 사건

제주 4·3 사건(濟州四三事件)은 1947년 3월 1일 경찰의 발포사건을 기점으로 하여 1948년 4월 3일 발생한 봉기로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 충돌과 진압 과정에서 민간인들이 희생당한 사건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제주 4·3 사건 · 더보기 »

전석담

전석담(全錫淡, 1916 황해 은율 ~ ?)은 일제강점기 당시 조선의 경제학자, 사학자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전석담 · 더보기 »

정백

정백(鄭栢, 1899년 ~ 1950년 7월 3일)은 일제 강점기의 친일 사회주의 운동가로, 광복후 서울특별자유시에서 결성된 장안파 조선공산당의 지도자였.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정백 · 더보기 »

정국은

정국은(鄭國殷, 1919년 1월 31일 ~ 1954년 2월 19일)은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이며 친일 공산주의 행적자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정국은 · 더보기 »

정노식

정노식(鄭魯湜, 1891년 ~ 1965년)은 한국의 독립운동가, 사회주의운동가, 판소리 연구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정노식 · 더보기 »

정일권

정일권(丁一權, 1917년 11월 21일 ~ 1994년 1월 17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이며, 외교관과 정치가이다 러시아 연해주 니콜리스크(現 우수리스크)에서 태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정일권 · 더보기 »

정칠성

죽 정칠성 정칠성(丁七星, 1897년 ~ 1958년?)은 대한제국의 기녀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사회주의 계열에서 활동한 항일 독립 운동가, 페미니스트, 언론인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 페미니스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정칠성 · 더보기 »

조봉암

조봉암(曺奉岩, 1898년 9월 25일 ~ 1959년 7월 31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조봉암 · 더보기 »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祖國統一民主主義戰線)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 단체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 더보기 »

조일명

조일명(趙一明, 1903년 12월 1일 ~ 1953년?)은 일제 강점기의 친일 공산주의 운동가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조일명 · 더보기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의 구조 평양 당창건기념탑 조선로동당 창건 70주년 기념 포스터 1945년 평양으로 귀환한 김일성이 연설하는 모습을 주제로 한 평양의 모자이크 벽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에 위치한 조선로동당의 중앙 당사 배지 1948년 평양에서 찍은 김일성 (왼쪽)과 박헌영 조선로동당(朝鮮勞動黨)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유일 집권정당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조선로동당 · 더보기 »

조선로동당 제3차 대회

조선로동당 제3차 대회는 1956년 4월 28일부터 4월 29일까지 평양직할시에서 진행된 조선로동당의 당대회.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조선로동당 제3차 대회 · 더보기 »

조선로동당 위원장

조선로동당 위원장(朝鮮勞動黨 委員長)은 조선로동당의 최고책임자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조선로동당 위원장 · 더보기 »

조선문학가동맹

조선문학가동맹(朝鮮文學家同盟)은 한국 군정기에 서울에서 결성되었던 좌익 계열의 문학 단체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조선문학가동맹 · 더보기 »

조선문학예술총동맹

조선문학예술총동맹(朝鮮文學藝術總同盟)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예술인 조직체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조선문학예술총동맹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학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학(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_文學)은 8.15 광복 이후의 월북작가들에 의하여 형성되었.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학 · 더보기 »

조선공산당

조선공산당(朝鮮共産黨)은 1925년 4월 17일 창건된 공산주의 정당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조선공산당 · 더보기 »

조선공산주의 운동

조선공산주의운동은 20세기 초부터 광복 이후까지 조선인 공산주의자들이 국권회복과 민족국가 건설을 위해 벌인 사회주의계 독립운동의 통칭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조선공산주의 운동 · 더보기 »

조선국군준비대

조선국군준비대(朝鮮國軍準備隊)는 한국의 군정기 1945년 12월 16일 조선공산당의 광범위한 조직 계획에 의거하여 장차 편성될 군의 모체가 될 의도에서 결성된 좌익 계열 군사 단체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조선국군준비대 · 더보기 »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朝鮮勞動組合全國評議會), 줄여서 전평(全評)은 한국의 초기 노동조합이자 광복 직후인 1945년 11월 5일 허성택에 의해 세워진 남로당, 좌파 계열의 노동조합이었.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 · 더보기 »

조선인민군의 서울 점령

조선인민군의 서울 점령 이후 3일간의 행적에 대한 논란은 1950년 6월 28일 새벽 조선인민군의 탱크가 서울 중심부에서 목격되었으나, 전세가 유리함에도 불구하고 조선인민군은 6월 30일이 될 때까지 한강을 건너지 않았다는 점에서 비롯되었.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조선인민군의 서울 점령 · 더보기 »

조선인민당

조선인민당(朝鮮人民黨)은 1945년 11월 12일 몽양 여운형이 조선건국준비위원회 조직을 모체로 해 결성한 정당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조선인민당 · 더보기 »

조선인민유격대

조선인민유격대(朝鮮人民遊擊隊)는 한국 전쟁을 전후하여 대한민국 영역에서 유격전을 수행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파르티잔 부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조선인민유격대 · 더보기 »

조선신민당

조선신민당(朝鮮新民黨)은 조선독립동맹(朝鮮獨立同盟)의 위원장 김두봉이 1946년 2월 연안파 공산주의자들과 함께 창당한 공산주의 정당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조선신민당 · 더보기 »

조소앙

조소앙(趙素昻, 1887년 4월 30일 ~ 1958년 9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 교육자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조소앙 · 더보기 »

좌우합작운동

좌우합작운동(左右合作運動) 혹은 좌우합작위원회(左右合作委員會)는 1946년에 일제 강점기 이후의 정부를 수립하기 위한, 조선의 좌우 세력이 합작하여 연대를 추진하였던 운동을 말. 이 운동에는 중도파 세력 인사들이 주축으로 구성되어 전개되었.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좌우합작운동 · 더보기 »

좌익

좌익(左翼) 또는 좌파(左派)는 정치적 성향 분포에서 우익 또는 우파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회적 평등 또는 평등주의를 지지하거나 수용하고 사회적 계급과 사회적 불평등에 반대하는 활동 또는 정치적 입장을 말.Lukes, Steven.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좌익 · 더보기 »

주체사상파

주체사상파(主體思想派, 주사파)는 대한민국의 민족 해방 계열의 하나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도이념인 주체사상을 지지하고 그에 따른 정치 운동을 하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주체사상파 · 더보기 »

중부지역당 사건

중부지역당 사건은 1992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10월 6일 국가안전기획부가 "남로당 이후 최대 간첩단 사건"이라고 주장하며, 95여명을 간첩 혐의로 적발한 사건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중부지역당 사건 · 더보기 »

진보당 (대한민국)

민국의 시계열적 정당 지도 진보당(進步黨)은 1956년에 죽산 조봉암을 중심으로 창당된 민주사회주의·사회민주주의 계열의 정당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진보당 (대한민국) · 더보기 »

지창수 (군인)

창수(池昌洙, 1906년 ~ 1950년)는 여순 14연대 반란사건의 주동자로 당시 14연대의 인사계 상사로 있었.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지창수 (군인) · 더보기 »

지하련

(池河蓮, 1912년 7월 11일 ~ 1960년?)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여성 소설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지하련 · 더보기 »

유영준 (1892년)

유영준(劉英俊, 1890년 ~ ?)은 일제강점기 한국의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가, 여성운동가, 의사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유영준 (1892년) · 더보기 »

육군사관학교 (일본)

육군사관학교()는 일본 제국 육군의 병과 장교를 양성하는 교육 기관이었.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육군사관학교 (일본) · 더보기 »

윤보선

윤보선(尹潽善, 1897년 8월 26일 ~ 1990년 7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제4대 대통령을 역임한 정치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윤보선 · 더보기 »

생디칼리슴

생디칼리슴() 또는 노동공산주의(勞動共産主義)는 자본주의의 대안으로서 제시된 경제 체제 중. 생디칼리슴에서는 노동자, 산업, 조직들이 신디케이트의 형태로 뭉쳐야.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생디칼리슴 · 더보기 »

태백산맥 (영화)

《태백산맥》은 1994년 9월에 개봉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태백산맥 (영화) · 더보기 »

태백산맥 (소설)

벌교읍 태백산맥 문학관, 2015년 《태백산맥》은 소설가이자 동국대학교 연구교수인 조정래가 쓴 대하소설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태백산맥 (소설) · 더보기 »

오제도

오제도(吳制道, 1917년 11월 15일 ~ 2001년 7월 1일)는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오제도 · 더보기 »

오성덕

오성덕(吳聖德, 일본식 이름: 平賀右作, 1911년 1월 15일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오성덕 · 더보기 »

옛 정당 목록

옛 정당 목록에서는 인류 역사상 과거에 존재했던 정당을 기술하였습.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옛 정당 목록 · 더보기 »

최용건

용건(崔庸健, 1900년 6월 21일 ~ 1976년 9월 19일)은 조선의 공산주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 중국, 소련의 군인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 정치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최용건 · 더보기 »

최용달

용달(崔容達, 1902년 ~ ?)은 일제강점기 한국의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가, 노동운동가, 교육인, 공산주의 이론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최용달 · 더보기 »

최운혁

운혁은 KBS 드라마 서울 1945에 등장하는 좌익 지식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최운혁 · 더보기 »

최창익

창익(崔昌益, 1896년 ~ 1957년 10월)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며 공산주의자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최창익 · 더보기 »

여운형

여운형(呂運亨, 1886년 5월 25일 ~ 1947년 7월 19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겸 저술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여운형 · 더보기 »

여수·순천 사건

여수·순천 사건(麗水順天事件) 또는 여순 사건(麗順事件)은 1948년 10월 19일부터 10월 27일까지 당시 전라남도 여수시에 주둔하고 있던 14연대의 군인 2,000여 명이 중위 김지회, 상사 지창수 등 남로당 계열 군인을 중심으로 제주 4·3 사건 진압 명령을 거부하고 무장 반란을 일으켜 이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전라남도 동부 지역의 많은 민간인이 희생된 사건을 말. 이 사건으로 반란군에 의해 경찰 74명을 포함해 약 150 명의 민간인이 살해당했고, 정부측 진압 군경에 의해 2,500여 명의 민간인이 살해당.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여수·순천 사건 · 더보기 »

연안파

연안파(延安派)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있던 공산단체였.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연안파 · 더보기 »

허가이

이(許哥而(또는 許哥誼(허가의)),, 1908년 3월 18일 ~ 1953년 7월 2일)는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노동운동가, 공산주의자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소련파 위원으로, 함경북도에서 태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허가이 · 더보기 »

허근욱

욱 작가, 1959년 허근욱(許槿旭, 1930년 3월 28일 ~ 2017년 3월 25일)은 대한민국의 작가, 소설가, 문인, 방송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허근욱 · 더보기 »

허정숙

정숙(許貞淑, 1902년 7월 16일 ~ 1991년 6월 5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며 여성운동가, 사회주의자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허정숙 · 더보기 »

허영철 (1920년)

영철(許英喆, 1920년 11월 5일 ~ 2010년 6월 16일)은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허영철 (1920년) · 더보기 »

허헌

(許憲, 1885년 7월 22일 함경북도 명천군 ~ 1951년 8월)은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법조인 출신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치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허헌 · 더보기 »

프락치

락치()는 러시아어로 원래는 도당, 당파, 당(黨)중의 당, 파벌, 파벌 싸움, 당쟁, 내분, 한 정당 내의 파벌, 분파, 그룹, 집단, 단체 등을 뜻하는 단어이나 대한민국에서는 어떤 목적을 위해 신분을 숨기고 다른 단체에 들어가 활동하는 사람을 뜻.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프락치 · 더보기 »

석용화

석용화(1925년 4월 ~)는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석용화 · 더보기 »

설정식

설정식(薛貞植, 1912년 9월 18일 ~ 1953년 8월 30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시인, 번역문학가, 영문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설정식 · 더보기 »

서동만

서동만(徐東晩, 본관은 이천 1956년 5월 31일 ~ 2009년 6월 4일)는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외교학자, 대학 교수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서동만 · 더보기 »

서광제

서광제(徐光霽, 1901년 ~ ?)는 일제 강점기에 주로 활동한 한국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 평론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서광제 · 더보기 »

서북청년회

1948년 5월 31일 대한민국 국회 개원식 날 국회 의사당 앞에서 소련군 철수 집회를 벌이는 서북청년회원들‎ 서북청년회(西北靑年會) 또는 서북청년단(西北靑年團, 약칭: 서청)는 미군정 당시 조직된 대한민국의 극우 반공주의 청년 단체로 반공주의 청년단체였.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서북청년회 · 더보기 »

서울 1945

《서울 1945》는 2006년 1월 7일부터 2006년 9월 10일까지 방영된 한국방송공사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서울 1945 · 더보기 »

서중석 (독립운동가)

서중석(徐重錫, 1904년 ~ ?)은 한국의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서중석 (독립운동가) · 더보기 »

손호균

손호균(孫鎬鈞, 1963년 7월 5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손호균 · 더보기 »

소련파

소련파(蘇聯派)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있었던 정치단체였.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소련파 · 더보기 »

함화진

화진(咸和鎭, 1884년 ~ 1948년)은 일제 강점기에 주로 활동한 국악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함화진 · 더보기 »

한국 전쟁

국 전쟁(韓國戰爭)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한국 전쟁 · 더보기 »

한국민주당

국민주당(韓國民主黨, Korea Democratic Party, 영문약칭 KDP)은 미군정기와 대한민국의 보수주의적, 부르주아적 자유주의 정치 정당의 하나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한국민주당 · 더보기 »

한국의 군정기

반도 분단의 원인이 된 미국과 소련의 점령 한국의 군정기(韓國의 軍政期)는 1945년 8월 15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 제국이 연합국에 항복하면서 독립이 확정된 한반도를 북위 38도선 이북에서 소련군이 1948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 수립 전까지 38도선 이남에서는 미군이 1945년 9월 9일부터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전까지 다스린 기간을 총칭.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한국의 군정기 · 더보기 »

한국의 노동운동

국의 노동운동(韓國-勞動運動)은 일제강점기인 1920년대 이후로 활동이 시작되었.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한국의 노동운동 · 더보기 »

한용운

용운(韓龍雲, 1879년 8월 29일 ~ 1944년 6월 29일)은 일제 강점기의 시인, 승려,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한용운 · 더보기 »

한지근

(韓智根, 본명: 이필형(李弼炯), 1927년 ~ ?)은 몽양 여운형을 저격한 암살범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한지근 · 더보기 »

한설야

설야(韓雪野, 1900년 8월 3일 ~ 1976년)는 한국의 소설가 겸 문학평론가이며 월북 이후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활동.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한설야 · 더보기 »

안공근

안공근(安恭根, 1889년 7월 11일 ~ 1939년 5월 30일)은 일제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교육자이며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외교관이자 한인애국단의 조직에 참여하였.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안공근 · 더보기 »

신고송

신고송(申鼓頌 또는 申孤頌, 1907년 ~ ?)은 한국의 연극인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신고송 · 더보기 »

신인영

신인영(辛仁永, 1929년 12월 6일 ~ 2002년 1월 7일)은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신인영 · 더보기 »

신탁 통치 반대 운동

신탁 통치 반대 운동(信託統治反對運動)은 1945년 12월 모스크바 3상회의의 결과가 알려지자 신탁 통치에 반대하여 일어난 국민운동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신탁 통치 반대 운동 · 더보기 »

신상철 (1924년)

신상철(申尙澈, 충남 공주)은 일제시대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신상철 (1924년) · 더보기 »

후크발라합

후크발라합(Hukbalahap, 필리핀어: Hukbong Bayan Laban sa mga Hapon)은 필리핀 공산당의 지도하에 제2차 세계대전 중 필리핀에서 결성된 항일 조직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후크발라합 · 더보기 »

홍경선 (1925년)

홍경선(洪慶善, 1925년 5월 21일 ~)은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홍경선 (1925년) · 더보기 »

홍순석 (군인)

홍순석(洪淳錫, ? ~ 1949년 4월 9일)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육군 장교로 여순 14연대 반란사건의 주동자 중 한 명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홍순석 (군인) · 더보기 »

황용갑 (1924년)

황용갑(1924년 5월 28일 ~ 2010년 9월 25일)은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황용갑 (1924년) · 더보기 »

황철

황철(黃徹, 1912년 1월 11일 ~ 1961년 6월 9일)은 일제 강점기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연극 배우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황철 · 더보기 »

10월 10일

10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3번째(윤년일 경우 28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10월 10일 · 더보기 »

11월 23일

11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7번째(윤년일 경우 32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11월 23일 · 더보기 »

1945년

194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1945년 · 더보기 »

1953년

1953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1953년 · 더보기 »

2·7 사건

2·7 사건은 1948년 2월 7일에 훗날의 대한민국 영역에서 일어난 파업 및 봉기 사건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2·7 사건 · 더보기 »

4월 3일

4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3번째(윤년일 경우 9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4월 3일 · 더보기 »

8월 7일

8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9번째(윤년일 경우 22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8월 7일 · 더보기 »

8월 종파 사건

8월 종파 사건(八月宗派事件) 또는 8월 숙청 사건이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1956년 6월부터 8월에 걸쳐서 일어난 사건이.

새로운!!: 남조선로동당와 8월 종파 사건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남로당, 남조선 로동당, 남조선 노동당, 남조선노동당, 남한노동당.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