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다이호 율령

색인 다이호 율령

이호 율령()은 701년 반포된 일본의 율령.

43 처지: 덴무 천황, 도첩제, 미시마 군, 백강 전투, 겐메이 천황, 견당사, 대납언, 교육, 나라 시대, 다자이후, 다이카 개신, 다이호, 당명, 우대신, 요로 율령, 일본 천황, 일본-중국 관계, 일본의 법, 일본의 관제, 일본의 군사사, 일본의 율령제, 일본의 역사, 정7위, 좌대신, 종6위, 중납언, 율집해, 태정관, 태정대신, 태상천황, 영의해, 오미령, 쓰시마 국, 씨성제도, 소납언, 쇼토쿠 태자, 한일 관계, 아스카 시대, 신라의 대외 관계, 신라정토계획, 후지와라씨, 황태후, 홀 (물건).

덴무 천황

무 천황()은, 7세기 후반의 일본의 천황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덴무 천황 · 더보기 »

도첩제

첩제(度牒制) 또는 도승제(度僧制)는 승려에게 의무적으로 승려들만의 신분증명서인 도첩(도패(度牌)라고도 불린다)을 지니도록 한 신분 증명 제도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도첩제 · 더보기 »

미시마 군

미시마 군의 지도, 노란색은 메이지 시대의 영역, 초록색은 현재 영역 미시마 군()은 일본 오사카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미시마 군 · 더보기 »

백강 전투

백강 전투(白江戰鬪)는 663년 8월에 한반도의 백강(현재의 금강 하구 및 그 부근)에서 벌어진 백제·왜의 연합군과 당·신라의 연합군 사이의 전투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백강 전투 · 더보기 »

겐메이 천황

메이 천황(元明天皇, 661년 ~ 721년 12월 29일)는 제43대 일본 천황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겐메이 천황 · 더보기 »

견당사

당사()는, 일본 야마토 정권과 나라 시대(710년~794년)와 헤이안 시대(794년~1185년)에 일본 조정에서 당(唐, 618년~907년)《당서》에는 왜국이 당에 파견한 조공 사절로 되어 있. 일본에서 견당사를 파견하기 이전에도 쇼토쿠 태자는 수(隋)에 견수사()와 유학승(留學僧)을 보. 619년 중국에서는 수가 멸망하고 새로 당이 개창하였는데, 그때까지는 왜에서 중국으로 파견되던 사신을 견수사라 불렀었.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견당사 · 더보기 »

대납언

납언()은 일본 고대 조정에서 태정관(太政官)에 속했던 관직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대납언 · 더보기 »

교육

뉴욕 시의 대학 강의실 교육(敎育) 또는 가르침은 사람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 등을 가르치고 배우는 활동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교육 · 더보기 »

나라 시대

시대(710년 ~ 794년)는 넓은 의미로는 710년 겐메이 천황이 헤이조쿄(平城京)로 천도한 때부터 794년 간무 천황이 헤이안쿄(平安京)로 천도할 때까지의 84년의 기간을 말하고, 좁은 의미로는 710년에서 784년에 간무 천황이 나가오카쿄(長岡京)로 천도할 때 까지이 74년의 기간을 가리키는 일본역사의 시대구분의 하나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나라 시대 · 더보기 »

다자이후

특별사적, 다자이후 정청 유적 다자이후()는 7세기 후반, 규슈 지방의 지쿠젠 국(筑前国)에 설치되었던 지방 행정 기관의 이름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다자이후 · 더보기 »

다이카 개신

이카 개신(たいかのかいしん, 大化改新)은, 일본 아스카 시대의 고토쿠 오키미 2년, 일본 연호로 다이카(大化) 2년(646년) 봄 정월 갑자 초하루(1일)에 발호된 「개신(改新)의 조(詔)」를 토대로 한 정치개혁 운동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다이카 개신 · 더보기 »

다이호

이호()는 일본의 연호 중 하나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다이호 · 더보기 »

당명

당명()이란 일본의 율령제에서 관직명 및 부처명을 그와 대응하는 동시대 중국의 명칭으로 일컬은 별명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당명 · 더보기 »

우대신

우대신()은 일본 태정관의 관직의 하나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우대신 · 더보기 »

요로 율령

요로 율령(養老律令)은 고대 일본에서 덴표호지(天平寶字) 원년(757년)에 시행되었던 기본 법령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요로 율령 · 더보기 »

일본 천황

국화문장은 공식 국장은 아니지만 일본 천황의 상징이며, 국장처럼 쓰이기도 한다 일본 천황() 또는 일왕(日王)은 일본의 군주로 일본 황실의 대표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일본 천황 · 더보기 »

일본-중국 관계

일본과 중화인민공화국은 동아시아에 자리잡은 국가이며 역사적으로 중국은 일본과 문화 교류를 해 왔.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명나라를 침략할 계획으로 조선을 침략.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일본-중국 관계 · 더보기 »

일본의 법

일본의 법(日本-法)은 일본의 법체(法體)를 말.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일본의 법 · 더보기 »

일본의 관제

일본의 관제(日本の官制)에서는 일본 전근대, 특히 율령제 시기에 존속했던 통치기구에 대해 설명.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일본의 관제 · 더보기 »

일본의 군사사

일본의 군사사(日本の軍事史)는 고대 율령제 조정의 징병제가 붕괴한 뒤 무가와 막부가 탄생한 순간, 그리고 이후 무로마치 막부가 붕괴하면서 센고쿠 시대를 거친 변화, 에도 막부의 문치 정치를 거쳐 메이지 유신 이후 현대 징병제에 근거한 국민군의 성립과 제국주의에 의한 대외 전쟁을 특징으.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일본의 군사사 · 더보기 »

일본의 율령제

율령제()는 율령을 기초로 하는 제도를 말. 주로 고대 동아시아에서 보이는 중앙집권적인 통치 체제를 일컫기도 하지만, 실질적으로 당나라의 제도를 모방해 체계적인 법전을 편찬하고 시행한 국가는 일본뿐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일본의 율령제 · 더보기 »

일본의 역사

일본의 역사(日本-歷史)는 일본과 일본인이 현재까지 걸어온 모든 역사적 과정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일본의 역사 · 더보기 »

정7위

정7위(正七位)는 일본의 위계 중 하나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정7위 · 더보기 »

좌대신

좌대신()은 일본 태정관의 관직의 하나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좌대신 · 더보기 »

종6위

종6위(従六位)는 일본의 위계와 신계의 지위 중 하나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종6위 · 더보기 »

중납언

중납언()은 일본 고대 조정의 최고 기관인 태정관에 속했던 영외관(令外官)의 관직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중납언 · 더보기 »

율집해

《율집해》()는 일본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전기에 성립된 율(律)의 주석서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율집해 · 더보기 »

태정관

정관()은 일본 율령제에서 사법·행정·입법을 관장하는 최고국가기관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태정관 · 더보기 »

태정대신

정대신()은 일본의 태정관의 수장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태정대신 · 더보기 »

태상천황

상천황()은 황위를 후계자에게 물려준 천황에게 붙여진 존호 또는, 그 존호를 받은 사람을 말. 상황()이라 약칭하는 경우가 많. 이 칭호는 중국의 황제가 자리에서 물러나면 태상황(太上皇)이라는 존칭으로 부른 데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태상천황 · 더보기 »

영의해

영의해()는 일본 헤이안 시대(平安時代)인 덴초(天長) 10년(833년)에 준나 천황(淳和天皇)의 칙으로 우대신(右大臣) 기요하라노 나쓰노(清原夏野)를 필두로 문장박사(文章博士) 스가와라노 기요기미(菅原清公) 등 12인의 관인에 의해 찬집된 율령 해설서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영의해 · 더보기 »

오미령

오미령()은 일본의 아스카 시대에 제정되었다고 여겨지는 법령 체계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오미령 · 더보기 »

쓰시마 국

쓰시마 국 쓰시마 국()은 일찍이 일본의 지방 행정 구분이었던 구니의 하나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쓰시마 국 · 더보기 »

씨성제도

씨성제도() 또는 씨성제()는, 고대 일본 야마토 왕권이 중앙 귀족, 나아가 지방 호족의 정치상 기여도 및 지위에 따라 씨()와 성()을 부여한 것을 이른.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씨성제도 · 더보기 »

소납언

소납언()은 일본 조정의 최고기관인 태정관의 관직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소납언 · 더보기 »

쇼토쿠 태자

쇼토쿠 태자와 동생(왼쪽: 에구리 황자)과 장남(오른쪽: 야마시로 황손),8세기 목판 복제 쇼토쿠 태자 (574년 2월 7일 ~ 622년 4월 8일(일본서기 - 621년 2월 5일설 있음))는, 일본 아스카 시대의 황족이자 정치가였던 우마야도 황자(厩戸皇子) 또는 우마야도 왕(厩戸王)에 대한 후세의 호칭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쇼토쿠 태자 · 더보기 »

한일 관계

일 관계(韓日關係)는 현재의 대한민국을 포함하여, 고대부터 있었던 한국과 일본 사이의 외교, 문화, 경제 등의 교류와 접촉을 말. 양쪽 지역에 중앙집권적인 정치체제가 생긴 삼국 시대(일본의 경우 아스카 시대) 이래로 한국과 일본은 정치적·군사적·사회적·문화적·경제적 교류를 주고받았고 모든 분야에 있어 상호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한일 관계 · 더보기 »

아스카 시대

아스카 시대()는 고훈 시대의 종말기와 겹치기도 하지만, 6세기 후반부터 8세기 초반에 걸쳐 아스카에 궁전, 도시가 세워진 시대를 가리키는 일본 역사의 시대 구분의 하나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아스카 시대 · 더보기 »

신라의 대외 관계

아래는 신라의 대외 관계에 대한 설명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신라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신라정토계획

신라정토계획(新羅征討計劃)은 753년 경덕왕 12년에 일본에서 사신이 파견되었다가 무례함을 이유로 추방당하자 일본의 권력자 후지와라노 나카마로가 이를 기화로 신라를 대대적으로 침공하기 위해 계획한 계획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신라정토계획 · 더보기 »

후지와라씨

후지와라 씨()는, 일본의 역사에서 「후지와라(藤原)」를 우지(氏), 혼세(本姓)로 삼았던 신별 씨족(神別氏族)으로 약칭은 도 씨()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후지와라씨 · 더보기 »

황태후

황태후(皇太后)는 전 황제의 정실 배우자이며, 현 황제의 어머니뻘 되는 황실 여성에게 붙이는 칭호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황태후 · 더보기 »

홀 (물건)

송(宋) 왕조의 재상 범중엄(范仲淹)의 초상화. 홀을 들고 있다. 홀(笏)은, 고대 중국에서 대신이 입조할 때 조복에 갖추어 손에 하나씩 갖추어 들었던 조금 휘어진 형태의 판자이.

새로운!!: 다이호 율령와 홀 (물건)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대보 율령, 대보율령, 다이호율령.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