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단경왕후

색인 단경왕후

경왕후 신씨(端敬王后 愼氏, 1487년 2월 7일 (음력 1월 4일)~1557년 12월 27일(음력 12월 7일)는 조선 중종의 정비(正妃)이다. 시호는 공소순열단경왕후(恭昭順烈端敬王后)이다. 익창부원군 신도공 신수근(愼守勤)과 청원부부인 한씨(淸原府夫人 韓氏)의 딸로, 본관은 거창(居昌)이다. 조선의 역대 왕비 중 제일 짧은 7일의 재위 기간을 보유하고 있으며, 역적의 딸로 연좌되어 폐출된 후 영조 때에 부모와 함께 복위되었다. 능은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에 위치한 온릉이다.

59 처지: 문정왕후 (조선), 박민영 (배우), 박상, 박시은 (2001년), 박원종, 거창 신씨, 거창군, 거창군의 행정 구역, 경복궁, 공릉천, 권람, 부원군, 김희정 (1970년), 김혜리 (배우), 대장금,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구사안, 남곤, 장경왕후 (조선), 장흥면, 임영대군, 폐비 윤씨, 폐비 신씨, 희릉 (조선), 이명현 (조선의 문신), 이건웅, 이황 (1497년), 인수대비 (드라마), 인헌왕후, 음력 12월 7일, 정현왕후, 조광조, 조광조 (드라마), 조선 중종, 조선 성종,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왕릉, 종묘, 중모현주, 창녕대군, 천출명장 발언파문, 충주 박씨, 윤임, 윤석화, 온릉, 양주시, 여인천하 (드라마), 풍란 (드라마), 사임당, 빛의 일기, 소혜왕후, ..., 신 (성씨), 신승선, 신수근, 신사임당, 신후담, 1487년, 1506년, 1557년, 7일의 왕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9 더) »

문정왕후 (조선)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 1501년 12월 2일(음력 10월 22일) ~ 1565년 5월 5일(음력 4월 6일))는 조선 중기의 왕후이자 섭정으로 중종(中宗)의 제2계비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문정왕후 (조선) · 더보기 »

박민영 (배우)

박민영(1986년 3월 4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박민영 (배우) · 더보기 »

박상

박상(朴祥, 1474년 ~ 153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박상 · 더보기 »

박시은 (2001년)

박시은(2001년 8월 1일 ~)은 대한민국의 여자 배우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박시은 (2001년) · 더보기 »

박원종

박원종(朴元宗, 1467년 ~ 1510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武臣) 겸 정치가(政治家)로 자는 백윤, 시호는 무열로 본관은 순천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박원종 · 더보기 »

거창 신씨

창 신씨(居昌 愼氏)는 경상남도 거창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거창 신씨 · 더보기 »

거창군

창군(居昌郡)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서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거창군 · 더보기 »

거창군의 행정 구역

창군의 행정 구역은 군청 소재지인 거창읍과 11개 면으로 이루어져 있. 거창군의 면적은 804.07 km2로 경상남도의 7.65%를 차지하며, 인구는 2012년 8월 1일을 기준으로 27,111 세대, 63,122명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거창군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경복궁

경복궁(景福宮)은 대한민국 서울 세종로에 있는 조선 왕조의 법궁(法宮, 정궁)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경복궁 · 더보기 »

공릉천

공릉천(恭陵川)은 경기도 양주시, 고양시, 그리고 파주시에 걸쳐 한강으로 흘러드는 하천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공릉천 · 더보기 »

권람

(權擥, 1416년 ~ 1465년 2월 6일)은 조선 초의 문신, 역사학자, 작가, 문인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권람 · 더보기 »

부원군

부원군(府院君)은 고려 충렬왕 이후 조선시대까지 사용한 작호(爵號)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부원군 · 더보기 »

김희정 (1970년)

희정(金姬貞, 1970년 12월 4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김희정 (1970년) · 더보기 »

김혜리 (배우)

혜리(1969년 12월 23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김혜리 (배우) · 더보기 »

대장금

《대장금》(大長今)은 장금의 생애를 조명한 2003년 9월 15일 ~ 2004년 3월 23일까지 방송된 문화방송의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대장금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 더보기 »

구사안

사안(具思顔, 1523년 (중종 18) ~ 1562년 4월 22일 (명종 17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중종의 부마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구사안 · 더보기 »

남곤

(南袞, 1471년 ~ 1527년 3월 10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유학자이며 정치인, 교육자, 작가, 시인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남곤 · 더보기 »

장경왕후 (조선)

장경왕후 윤씨(章敬王后 尹氏, 1491년 8월 10일(음력 7월 6일) ~ 1515년 3월 16일(음력 3월 2일))는 조선 중종의 계비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장경왕후 (조선) · 더보기 »

장흥면

장흥면(長興面)은 대한민국 경기도 양주시의 최남단에 있는 면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장흥면 · 더보기 »

임영대군

임영대군 이구(臨瀛大君 李璆, 1420년 1월 6일 ~ 1469년 1월 21일)은 조선시대 초기의 왕족, 정치인으로, 조선의 제4대 왕 세종대왕과 소헌왕후의 넷째 아들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임영대군 · 더보기 »

폐비 윤씨

비 윤씨(廢妃 尹氏, 1455년 7월 15일 (음력 윤 6월 1일)폐비 윤씨 태실의 태지에 기록된 내용이다. 현재 폐비 윤씨 태실 등은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 중이며, 관련 내용을 국립중앙박물관의 전시 자료 에서 일부 확인 가능하다. ~ 1482년 8월 29일 (음력 8월 16일))는 봉상시 판사(奉常寺 判事) 윤기견(尹起畎, 또는 윤기무, 尹起畝) 와 고령 신씨(申氏)의 딸로 조선의 제9대 임금 성종의 계비이자 둘째부인으로 투기와 남편인 성종의 용안에 상처를 내어 폐위되었.

새로운!!: 단경왕후와 폐비 윤씨 · 더보기 »

폐비 신씨

비 신씨(廢妃 愼氏, 1476년 12월 15일(음력 11월 29일)~1537년 5월 16일(음력 4월 8일)) 는 조선 연산군(燕山君)의 왕비(王妃)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폐비 신씨 · 더보기 »

희릉 (조선)

희릉(禧陵)은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조선 제11대 왕인 중종의 계비 장경왕후의 능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희릉 (조선) · 더보기 »

이명현 (조선의 문신)

 이명현(李命賢, 1706년 - 177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영조 때 송인명(宋寅明) 등과 같이 신비(愼妃, 중종의 정비 단경왕후 신씨)를 복위 할 것을 주장하였.

새로운!!: 단경왕후와 이명현 (조선의 문신) · 더보기 »

이건웅

이건웅(李建雄, 1941년 11월 11일 ~)은 대한민국 중요무형문화재 제111호 사직대제(社稷大祭) 제의집전 기능보유자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이건웅 · 더보기 »

이황 (1497년)

이황(李𩔇, 1498년 1월 10일/1497년 음력 12월 18일 ~ 1506년 10월 10일/음력 9월 24일)은 조선 제10대 왕인 연산군의 적장자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이황 (1497년) · 더보기 »

인수대비 (드라마)

《인수대비》는 JTBC의 텔레비전 드라마로, 조선 문종 시대부터 연산군 시대까지의 인물인 소혜왕후의 삶을 다루었.

새로운!!: 단경왕후와 인수대비 (드라마) · 더보기 »

인헌왕후

인헌왕후 구씨(仁獻王后, 1578년 4월 17일 ~ 1626년 1월 14일)는 조선의 추존왕인 원종의 정비(正妃)이자 조선의 16대 왕 인조의 어머니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인헌왕후 · 더보기 »

음력 12월 7일

음력 12월 7일은 음력 12월의 7번째 날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음력 12월 7일 · 더보기 »

정현왕후

정현왕후 윤씨(貞顯王后 尹氏, 1462년 7월 21일 (음력 6월 25일)~1530년 9월 13일 (음력 8월 22일)는 조선 성종(成宗)의 둘째계비이다. 시호는 자순화혜소의흠숙정현왕후(慈順和惠昭懿欽淑貞顯王后)이다. 자순대비(慈順大妃)로도 잘 알려져 있다. 영원부원군 평정공 윤호(鈴原府院君 平靖公 尹壕)와 연안부부인 전씨(延安府夫人 田氏)의 딸로,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중종반정 시 중종을 왕으로 세우는 것을 승낙한 인물로 유명하다. 능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선정릉 내에 위치한 선릉(宣陵)으로, 남편 성종과 동원이강의 형태로 같이 묻혀 있다.

새로운!!: 단경왕후와 정현왕후 · 더보기 »

조광조

조광조(趙光祖, 1482년 8월 23일/음력 8월 10일 ~ 1520년 1월 10일/1519년 음력 12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조광조 · 더보기 »

조광조 (드라마)

《조광조》는 KBS2TV에서 1996년 1월 1일부터 1996년 6월 25일까지 방영되었던 드라마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조광조 (드라마) · 더보기 »

조선 중종

중종(中宗, 1488년 4월 16일 (음력 3월 5일) ~ 1544년 11월 29일 (음력 11월 15일), 재위: 1506년~1544년)은 조선의 제11대 왕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조선 중종 · 더보기 »

조선 성종

조선 성종(成宗, 1457년 8월 19일 (음력 7월 30일) ~ 1495년 1월 19일 (음력 1494년 12월 24일), 재위 1469년 ~ 1494년)은 조선의 제9대 왕이며 시인, 유학자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조선 성종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의 왕비와 대한제국의 황후(朝鮮의 王妃와 大韓帝國의 皇后)는 조선 시대 국왕이나 대한제국 황제의 정실 부인(正宮)으로서 중궁(中宮)의 자리에 있던 사람을 말. 흔히 중전(中殿, 중궁전의 준말)이라고 하며 이외에도 국모(國母), 내전(內殿), 곤전(坤殿), 곤위(壼位), 곤극(壼極), 성녀(聖女) 등의 여러 이칭이 있. 왕비의 자리에 오르는 것에는 여러가지 경우가 있었는데, 일반적으로는 국가에서 금혼령(禁婚令)을 내리고 간택 절차를 거쳐 세자빈에 책봉되면 훗날 세자인 남편이 왕위에 올라 자신도 왕비가 되는 것이었.

새로운!!: 단경왕후와 조선의 역대 왕비 · 더보기 »

조선왕릉

조선왕릉(朝鮮王陵)은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 추존왕들의 무덤을 총칭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1897년에 수립된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와 황후의 무. 조선왕릉은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의 왕릉 제도의 영향을 받았는데, 고구려의 호석(護石)제도는 신라와 고려를 거쳐 조선왕릉에 그대로 전해졌고, 조선왕릉의 전체적인 형태는 공민왕의 무덤인 현정릉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

새로운!!: 단경왕후와 조선왕릉 · 더보기 »

종묘

종묘(宗廟)는 조선 왕조의 역대 국왕들과 왕후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례를 봉행하는 유교 사당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종묘 · 더보기 »

중모현주

중모현주(中牟縣主, ? - ?)는 조선 전기의 왕족으로 세종대왕의 아들 임영대군 이구의 딸이며, 귀성군 준의 여동생이며 청하현주(淸河縣主)의 언. 연산군의 왕비 거창군부인 신씨는 그녀의 맏딸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중모현주 · 더보기 »

창녕대군

창녕대군 이성(昌寧大君 李誠, 1501년 ~ 1506년 9월 24일)은 조선의 제10대 왕 연산군의 차남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창녕대군 · 더보기 »

천출명장 발언파문

명장 발언파문(賤出名將 發言波紋)이란 2004년 4월 2일 금강산에서 개최된 남북이산가족 상봉사업에서 대한민국 통일부 직원이 던진 농담성 발언으로 인해 남북간에 벌어진 해프닝을 말. 단경왕후가 중종을 사모하면서 바위에 치마를 씌웠다는 전설이 있는 치마바위에 한글로 새겨진 천출명장 김정일장군(天出名將 金正日將軍)이라는 문구에 대해 북한측 직원과 함께 점심을 먹던 통일부 사무관이 천출에는 "하늘이 내린"이라는 의미 외에 "천한 출신"이라는 뜻도 있다고 농담성 발언을 하였.

새로운!!: 단경왕후와 천출명장 발언파문 · 더보기 »

충주 박씨

충주 박씨(忠州 朴氏)는 충청북도 충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충주 박씨 · 더보기 »

윤임

윤임(尹任, 1487년 ~ 1545년 8월 30일)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이자 인척.

새로운!!: 단경왕후와 윤임 · 더보기 »

윤석화

윤석화(尹石花, 1956년 1월 16일 ~)는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겸 뮤지컬 배우이며 영화배우이자, 공연제작자 및 연극연출가이고 뮤지컬 연출가 겸 뮤지컬 제작자이며 뮤지컬 감독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윤석화 · 더보기 »

온릉

온릉(溫陵)은 조선시대 중종의 원비인 단경왕후 신씨의 능으로,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 산 19번지에 위치하고 있. 1970년 5월 26일 사적 제210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단경왕후와 온릉 · 더보기 »

양주시

양주시(楊州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양주시 · 더보기 »

여인천하 (드라마)

《여인천하》(女人天下)는 월탄 박종화의 역사소설 《여인천하》를 원작으로 삼아 SBS에서 방영한 대하사극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여인천하 (드라마) · 더보기 »

풍란 (드라마)

《풍란》은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네 번째 작품으로, 1985년 3월 11일부터 10월 8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단경왕후와 풍란 (드라마) · 더보기 »

사임당, 빛의 일기

《사임당, 빛의 일기》는 2017년 1월 26일부터 2017년 5월 4일까지 방송된 SBS 드라마 스페셜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사임당, 빛의 일기 · 더보기 »

소혜왕후

소혜왕후 한씨(昭惠王后 韓氏, 1437년 10월 7일(음력 9월 8일) ~ 1504년 5월 11일(음력 4월 27일)는 조선 초기의 세자빈이자 덕종(德宗, 추존왕)의 왕비이며 시호는 인수자숙휘숙명의소혜왕후(仁粹慈淑徽肅明懿昭惠王后)이다. 1450년(문종 즉위년)에 수양대군의 큰아들인 도원군(의경세자, 덕종)과 혼인하여 군부인에 봉작되었으며, 1455년(세조 즉위년)에 시아버지 수양대군이 왕위로 즉위하여 자신은 맏며느리로서 세자빈이 되어 궁궐에 들어갔으나, 1457년(세조 3년)에 남편 의경세자가 20세의 나이로 갑자기 죽어 사가로 물러났다. 그러나 1469년에 자신의 둘째 아들인 자을산군(성종)이 왕위에 등극하고, 자신도 궁궐에 다시 들어가 곧 왕비로 진봉되었다가 1475년(성종 6년) 왕대비에 올라 인수대비(仁粹大妃)가 되었다. 의정부좌의정을 지낸 서원부원군 양절공 한확(西城府院君 襄節公 韓確)과 남양부부인 홍씨(南陽府夫人 洪氏) 여섯째 딸로,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당시 여성으로서는 드물게 한문과 유교 경전에 능통하여 《열녀》,《여교》,《명감》,《소학》등에서 발췌하여 엮어 《내훈》(內訓)을 편찬하였다. 내훈은 조선시대 사대부 여인들의 수신서이자 당시 여성교육의 기본서가 되었다. 또한 그녀는 불교 옹호론자로 불교 억압 정책에 강력히 반발하였으며, 이 때문에 당시 조정의 신하들과 4차례의 격한 논쟁을 벌였는데 대표적인 것이 금승법(禁僧法) 과 그녀가 추진한 봉선사 금자경 간행 작업이다. 그녀는 연산군의 할머니로도 유명한데, 며느리이자 연산군의 생모가 되는 윤씨가 왕비 시절 성종의 얼굴을 할퀴는 사건으로 내쫓기고 사사되는 데에는 거의 전적으로 그녀의 의지로 단행되었기 때문이다. 1504년(연산군 10년) 봄에 연산군은 생모인 폐비 윤씨를 제헌왕후(齊獻王后)로 추숭했다. 이 과정에서 윤씨를 폐비하고 사사하는 데 개입한 수많은 사람들을 죽이고 추방했는데, 인수대비는 당사자가 되므로 손자인 연산군과 갈등을 빚었다. 능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에 위치한 경릉(敬陵)이다.

새로운!!: 단경왕후와 소혜왕후 · 더보기 »

신 (성씨)

신(申, 辛, 愼)씨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신 (성씨) · 더보기 »

신승선

신승선(愼承善, 1436년 ~ 150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연산군의 장인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신승선 · 더보기 »

신수근

신수근(愼守勤, 1450년 ~ 1506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신수근 · 더보기 »

신사임당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년 12월 5일(음력 10월 29일) ~ 1551년 6월 20일(음력 5월 17일)) 또는 신사임(申師任), 사임당 신씨(師任堂申氏)는 조선 시대 중기의 문인이자 유학자, 화가, 작가, 시인이었.

새로운!!: 단경왕후와 신사임당 · 더보기 »

신후담

신후담(愼後聃, 1702년 ~ 1761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실학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신후담 · 더보기 »

148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단경왕후와 1487년 · 더보기 »

150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단경왕후와 1506년 · 더보기 »

155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단경왕후와 1557년 · 더보기 »

7일의 왕비

《7일의 왕비》는 2017년 5월 31일부터 2017년 8월 3일까지 KBS 2TV에서 방영된 KBS 수목드라마이.

새로운!!: 단경왕후와 7일의 왕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단경왕후 신씨.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