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당 고종

색인 당 고종

당 고종(唐 高宗, 628년 7월 21일 ~ 683년 12월 27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3대 황제이.

179 처지: 도참, 동중서문하평장사, 룽먼 석굴, 무미랑전기, 무사확, 문덕황후 (당나라), 문명 (당), 문무왕, 문관사림, 문선, 문성공주, 미인천하, 방 (성씨), 방효태, 백강 전투, 백제의 멸망, 개요 (당), 발해 고왕, 박준혁 (배우), 가르친링 짼드로, 건릉, 건봉, 걸걸중상, 경주 망덕사지, 경주 사천왕사지, 검모잠, 고간 (당나라), 고구려 부흥운동, 고구려-당 전쟁, 고구려인의 강제 이주, 고구려의 대외 관계, 고종, 보장왕, 봉선, 권선재, 부여 서씨, 부여융, 금군, 글필하력, 김인문, 김인문묘, 김유신, 김양도, 대비천 전투, 대자은사, 대조영 (드라마), 대진사, 대안탑, 대하아복고, 대왕의 꿈, ..., 내항, 나당 전쟁, 낙빈왕, 당 중종, 당 태종, 당 예종, 당률, 당나라, 용삭, 장손무기, 폐후 위씨, 이백약, 이경업, 이승굉, 이충 (당), 이치, 이현, 이현 (당), 이홍, 이홍 (당), 인덕 (당), 일본 천황, 의봉, 의자왕, 의상 (신라), 의양공주, 흑치상지, 제1차 고구려-당 전쟁, 제2차 고구려-당 전쟁, 제3차 고구려-당 전쟁, 정명진, 정관 (당), 정관의 치, 조로 (당), 중국의 연호 목록, 중국의 피라미드, 중국의 황태후 목록, 진 (성씨), 진덕여왕, 찬덕 주씨, 천복사, 천황, 총장 (당), 측천무후, 측천무후 (동음이의), 유백영, 상원 (동음이의), 상원 (당 고종), 태평공주, 태종무열왕, 수서 (역사서), 숙비, 숙비 소씨, 영륭 (당), 영휘, 영순 (당), 오경정의, 현경, 현경 (연호), 에조, 연개소문 (드라마), 연헌성, 염입본, 사수 전투, 사성 (당), 설인귀, 세노라, 서 (성씨), 서돌궐, 서동수 (배우), 서명사, 토번국, 소년신탐적인걸, 소정방, 함형, 한범희, 한국사기, 안남도호부, 안정공주, 안서도호부, 신라의 삼국통일, 신당서, 후궁 (중국), 홍도 (당), 황제, 황산벌 (영화), 황산벌 전투, 황후, 왕문도, 왕발, 왕황후 (당나라), 12월 27일, 628년, 649년, 650년, 651년, 652년, 653년, 654년, 655년, 656년, 657년, 658년, 659년, 660년, 661년, 662년, 663년, 664년, 665년, 666년, 667년, 668년, 669년, 670년, 671년, 672년, 673년, 674년, 675년, 676년, 677년, 678년, 679년, 680년, 681년, 682년, 683년, 7월 21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29 더) »

도참

(圖讖) 또는 참위(讖緯)는 내용형식에 관계 없이 미래에 일어날 일에 대한 예언 혹은 징조를 통칭하는 낱말로, 특히 인간 생활의 길흉화복 또는 성쇠득실(盛衰得失)에 대한 예언 혹은 징조를 가리키는 낱말이.

새로운!!: 당 고종와 도참 · 더보기 »

동중서문하평장사

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는, 중국 당(唐)대부터 원(元)대까지 존재했던 관직이.

새로운!!: 당 고종와 동중서문하평장사 · 더보기 »

룽먼 석굴

룽먼석굴()은 중국 허난 성 뤄양 시의 남쪽 13 km 아래의 양쪽 언덕에 있는 동굴 사원이.

새로운!!: 당 고종와 룽먼 석굴 · 더보기 »

무미랑전기

무미랑전기 (武媚娘傳奇), 영어: The Empress of China). 2014년 12월에 첫방송된 중국의 시대극이다. 원래 회차는 96부작으로 기획되어 있으나, 대한민국의 중화TV에서는 선정성 문제, 스토리 전개 문제 등을 이유로 14편 줄인 82부작으로 편성, 방영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당 고종와 무미랑전기 · 더보기 »

무사확

이주도독 무사확(武士彠, 559년~635년)은 본래 병주(幷州)의 문수(文水)가 고향이.

새로운!!: 당 고종와 무사확 · 더보기 »

문덕황후 (당나라)

문덕순성황후 장손씨(文德順聖皇后 長孫氏, 601년 ~ 636년)는 당 태종의 황후이자 당 고종의 어머니이.

새로운!!: 당 고종와 문덕황후 (당나라) · 더보기 »

문명 (당)

문명(文明)은 중국 당(唐) 예종(睿宗)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 고종와 문명 (당) · 더보기 »

문무왕

문무왕(文武王, 626년~681년 7월 21일 (음력 7월 1일))은 신라 제30대 왕(재위: 661년 음력 6월 ~ 681년 음력 7월 1일)이.

새로운!!: 당 고종와 문무왕 · 더보기 »

문관사림

《문관사림》(文館詞林)은, 중국 당(唐) 초기에 허경종(許敬宗), 유백장(劉伯莊) 등이 황명을 받들어 편찬한 칙찬(勅撰) 한시문집으로, 고종(高宗) 현경(顯慶) 3년(658년)에 편찬되었.

새로운!!: 당 고종와 문관사림 · 더보기 »

문선

민국소협산방(民国扫叶山房) 인쇄 《평주 소명문선(評注昭明文選)》 복제품. 마안산 시 박물관(马鞍山市博物馆) 소장. 《문선》(文選)은 중국 남북조 시대에 남조(南朝) 양(梁)의 소명태자(昭明太子)가 편찬한 시문선집(詩文選集)이.

새로운!!: 당 고종와 문선 · 더보기 »

문성공주

브리쿠티(좌)-송첸캄포(中)-문성공주(우) 문성공주(623년경 ~ 680년)는 당나라의 공주로 토번이라 일컫는 티베트 손챈감포 왕의 제2왕비이.

새로운!!: 당 고종와 문성공주 · 더보기 »

미인천하

《당궁미인천하》()은 중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새로운!!: 당 고종와 미인천하 · 더보기 »

방 (성씨)

방(方, 房, 龐, 邦)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 고종와 방 (성씨) · 더보기 »

방효태

방효태(龐孝泰) 혹은 방효공(龐孝恭, ? ~ 662년)은 중국 당나라 초의 무장으로 백주(白州) 사람이.

새로운!!: 당 고종와 방효태 · 더보기 »

백강 전투

백강 전투(白江戰鬪)는 663년 8월에 한반도의 백강(현재의 금강 하구 및 그 부근)에서 벌어진 백제·왜의 연합군과 당·신라의 연합군 사이의 전투이.

새로운!!: 당 고종와 백강 전투 · 더보기 »

백제의 멸망

백제의 멸망(百濟 ― 滅亡)은 660년에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이 백제를 정벌한 전쟁을 가리.

새로운!!: 당 고종와 백제의 멸망 · 더보기 »

개요 (당)

요(開耀)은 중국 당(唐) 고종(高宗)의 12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 고종와 개요 (당) · 더보기 »

발해 고왕

발해 고왕 대조영(渤海 高王 大祚榮, ? ~719년 6월 재위: 698년~719년 6월)은 남북국 시대(南北國時代)는 발해(渤海)의 초대 왕으로, 걸걸중상(乞乞仲象)의 아들이.

새로운!!: 당 고종와 발해 고왕 · 더보기 »

박준혁 (배우)

박준혁(1975년 11월 9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당 고종와 박준혁 (배우) · 더보기 »

가르친링 짼드로

르친링 첸드로(མགར་ཁྲིང་འབྲིང་བཙན་བྲོད་, 생년 미상 ~ 699년)는 티베트의 옛 왕조인 토번(吐蕃)의 명장이며 가르(論, 喝爾) 가문 일족이.

새로운!!: 당 고종와 가르친링 짼드로 · 더보기 »

건릉

릉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당 고종와 건릉 · 더보기 »

건봉

봉(乾封)은 중국 당(唐) 고종(高宗)의 6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 고종와 건봉 · 더보기 »

걸걸중상

중상(乞乞仲象)은 고구려의 장수이자 고구려의 부흥을 이끈 지도자이.

새로운!!: 당 고종와 걸걸중상 · 더보기 »

경주 망덕사지

경주 망덕사지(慶州 望德寺址)는, 경상북도 경주시 낭산의 기슭에 있는 절터이.

새로운!!: 당 고종와 경주 망덕사지 · 더보기 »

경주 사천왕사지

경주 사천왕사지(慶州 四天王寺址)는 경상북도 경주시 배반동에 있는 신라 시대 사천왕사의 터이.

새로운!!: 당 고종와 경주 사천왕사지 · 더보기 »

검모잠

모잠(劍牟岑, ? ~ 670년)은 고구려의 부흥운동 지도자로 벼슬은 대형(大兄)이었.

새로운!!: 당 고종와 검모잠 · 더보기 »

고간 (당나라)

(高侃, 高偘, ? ~ ?)은 당나라의 장군이.

새로운!!: 당 고종와 고간 (당나라) · 더보기 »

고구려 부흥운동

부흥운동(高句麗復興運動)은 일반적으로 고구려의 후예인 안승 등이 668년 나당연합군에 의해 고구려가 멸망된 뒤 고구려의 유민을 모아 부흥운동을 일으킨 것을 말. 또한 고구려의 왕이었던 보장왕도 부흥운동을 일으킨 바 있.

새로운!!: 당 고종와 고구려 부흥운동 · 더보기 »

고구려-당 전쟁

-당 전쟁은 645년에서 668년까지 고구려와 당나라 사이에서 벌어졌던 전쟁이.

새로운!!: 당 고종와 고구려-당 전쟁 · 더보기 »

고구려인의 강제 이주

인의 강제 이주는 고구려 부흥 운동을 막기 위한 당나라 내의 고구려인 이주로, 669년부터 당 고종에 의해 시행되어 많은 고구려인이 양쯔 강 이남으로 쫓. 669년 4월에 2만8천3백 호가 강제 이주당.

새로운!!: 당 고종와 고구려인의 강제 이주 · 더보기 »

고구려의 대외 관계

이글은 고구려의 대외 관계를 나라별로 서술한 글이.

새로운!!: 당 고종와 고구려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고종

종(高宗)은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로, 오랫동안 재위하며 나라를 수성한 제왕에게 올려지는 묘호이.

새로운!!: 당 고종와 고종 · 더보기 »

보장왕

보장왕(寶臧王, ? ~ 682년)은 고구려의 제28대 국왕(재위: 642년 11월 ~ 668년 9월)이.

새로운!!: 당 고종와 보장왕 · 더보기 »

봉선

봉선(封禪)은, 제왕이 하늘과 땅에 왕의 즉위를 고하고, 천하의 태평함에 감사하는 의식이.

새로운!!: 당 고종와 봉선 · 더보기 »

권선재

선재(權善才, 676년 - ?)는 당나라 고종 때 좌위위대장군(左威衛大將軍)이.

새로운!!: 당 고종와 권선재 · 더보기 »

부여 서씨

부여 서씨(扶餘 徐氏)는 충청남도 부여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 고종와 부여 서씨 · 더보기 »

부여융

부여융(扶餘隆, 615년 ~ 682년)은 백제 의자왕의 아들로 삼국 말기의 대표적인 경계인이.

새로운!!: 당 고종와 부여융 · 더보기 »

금군

(禁軍)은 7세기 당나라의 황제 친위군이.

새로운!!: 당 고종와 금군 · 더보기 »

글필하력

력(契苾何力, ? ~ 677년)은 중국 당나라의 무장으로, 고구려와의 전쟁에서 활약하였.

새로운!!: 당 고종와 글필하력 · 더보기 »

김인문

인문(金仁問, 629년~694년)은 신라의 왕족이자 문무왕 때의 장군 겸 정치가이고, 태종무열왕의 둘째 아들이며 문무왕의 친동생이.

새로운!!: 당 고종와 김인문 · 더보기 »

김인문묘

인문묘(金仁問墓)는 신라 문무대왕의 친동생 김인문의 묘로,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에 있. 1982년 8월 4일 경상북도의 기념물 제32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당 고종와 김인문묘 · 더보기 »

김유신

유신(金庾信, 595년 ~ 673년 8월 18일 (음력 7월 1일))은 신라의 군인 겸 정치가이자, 외척이었.

새로운!!: 당 고종와 김유신 · 더보기 »

김양도

양도(金良圖, ? ~ 670년)는 신라 중기의 귀족ㆍ장군ㆍ관인이.

새로운!!: 당 고종와 김양도 · 더보기 »

대비천 전투

비천 전투(大非川戰鬪)는 670년 7월 대비천에서 일어난 토번과 당나라 사이에 일어난 전투이.

새로운!!: 당 고종와 대비천 전투 · 더보기 »

대자은사

자은사의 대안탑 대자은사(大慈恩寺)는 중국 산시성의 고도, 시안 시 남동쪽 교외에 있는 불교사원이며, 삼장법사 현장, 신라의 승려 원측과의 연고가 있는 사찰로 알려져 있. 그 옛 땅은 당나라의 수도 장안성 왼쪽 거리의 진창방에 해당되는 장소이.

새로운!!: 당 고종와 대자은사 · 더보기 »

대조영 (드라마)

《대조영》(大祚榮)은 KBS가 2006년 9월 16일부터 2007년 12월 23일까지 방영한 고구려·발해사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당 고종와 대조영 (드라마) · 더보기 »

대진사

탑(大秦塔) 대진사(大秦寺)는, 중국에 전래된 경교(중국에 전해진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의 사원(교회)의 일반적 명칭이.

새로운!!: 당 고종와 대진사 · 더보기 »

대안탑

자은사 대안탑 대안탑(大雁塔)이란 652년에 당나라의 고승 삼장법사 현장이 인도에서 귀국할 때 가지고 온 경전이나 불상 등을 보존하기 위해서 고종에게 요청하여 건립한 탑이.

새로운!!: 당 고종와 대안탑 · 더보기 »

대하아복고

아복고(大賀阿卜固, ? ~ ?)는 거란(契丹)의 추장이며, 송막도독부(松漠都督府)의 도독이.

새로운!!: 당 고종와 대하아복고 · 더보기 »

대왕의 꿈

《대왕의 꿈》 은 KBS 1TV에서 기획한 삼국시대 영웅전의 세 번째 작품으로, 신라 제26대 진평왕, 제27대 선덕여왕, 제28대 진덕여왕, 제29대 태종무열왕, 제30대 문무왕까지의 치세와 흥무대왕 김유신, 그리고 삼국 말기의 고구려, 백제의 영웅들의 일대기를 재조명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당 고종와 대왕의 꿈 · 더보기 »

내항

항(來恒, Lai Heng, ? ~ 678년 11월 18일《자치통감》 제202권)은 중국 당나라 전기에 활동했던 관료로, 당 고종 연간에 재상을 지냈던 인물이.

새로운!!: 당 고종와 내항 · 더보기 »

나당 전쟁

당 전쟁(羅唐戰爭)은 670년부터 676년까지 신라와 당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당 고종와 나당 전쟁 · 더보기 »

낙빈왕

낙빈왕(駱賓王, 640년? ~ 684년?)은, 중국 당(唐) 초기의 시인(詩人)으로 '초당사걸(初唐四傑)'의 한 사람으로 꼽힌.

새로운!!: 당 고종와 낙빈왕 · 더보기 »

당 중종

당 중종 이현(唐中宗 李顯, 656년: 현경(顯慶) 원년 11월 26일 ~ 710년: 경룡(景龍) 4년 7월 3일)은 당의 제4대 황제이.

새로운!!: 당 고종와 당 중종 · 더보기 »

당 태종

당 태종 이세민(唐 太宗 李世民, 598년: 개황(開皇) 19년 1월 23일 ~ 649년: 정관(貞觀) 23년 7월 10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2대 황제이며 당 고조 이연의 두 번째 아들이.

새로운!!: 당 고종와 당 태종 · 더보기 »

당 예종

당 예종 이단(唐睿宗 李旦, 662년: 용삭(龍朔) 2년 6월 22일 ~ 716년:개원(開元) 4년 7월 13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5대 황제이며, 아버지는 당 고종 이치, 어머니는 측천무후이.

새로운!!: 당 고종와 당 예종 · 더보기 »

당률

당률(唐律)은 형법으로 중국 당나라 시대에 세워졌.

새로운!!: 당 고종와 당률 · 더보기 »

당나라

당(唐, 618년 ~ 907년)은 수나라 멸망 뒤 건국된 중국의 정통왕조이.

새로운!!: 당 고종와 당나라 · 더보기 »

용삭

용삭(龍朔)은 중국 당(唐) 고종(高宗)의 3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 고종와 용삭 · 더보기 »

장손무기

장손무기 장손무기(長孫無忌, 594년 ~ 659년)는 중국 당나라의 명재상이며 자는 기보(機輔)이.

새로운!!: 당 고종와 장손무기 · 더보기 »

폐후 위씨

후 위씨(皇后 韋氏, 660년경 ~ 710년)는 당나라 제4대 황제 당 중종 이현의 계비이.

새로운!!: 당 고종와 폐후 위씨 · 더보기 »

이백약

이백약(李百藥, Li Baiyao, 564년 ~ 647년)은 중국 수나라 때부터 당나라 때에 걸쳐 활약했던 관료이자 역사가로, 그의 뛰어난 문학적 재능으로 많은 사람들에게서 존경받았으며, 아버지 이덕림이 편찬을 시작했던 남북조시대 북제의 공식 역사서 중의 하나인 북제서를 완성한 것으로 유명.

새로운!!: 당 고종와 이백약 · 더보기 »

이경업

이경업(李敬業, 636년-684년) 또는 서경업(徐敬業)은, 중국 당(唐) 왕조 초기의 무장 이적(李勣)의 손자이.

새로운!!: 당 고종와 이경업 · 더보기 »

이승굉

이승굉(李承宏, ?~?)은 당나라의 황족이자 당 고종의 6남인 장회태자 이현의 손자이.

새로운!!: 당 고종와 이승굉 · 더보기 »

이충 (당)

이충(李沖, ? ~ 688년)은 당 고종과 궁인 유씨 사이에서 태어난 당나라의 황자이.

새로운!!: 당 고종와 이충 (당) · 더보기 »

이치

이치는 다음을 뜻.

새로운!!: 당 고종와 이치 · 더보기 »

이현

이현은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당 고종와 이현 · 더보기 »

이현 (당)

이현의 무덤 벽화 이현(李賢, 654년 - 684년 3월)은 당 고종의 여섯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측천무후이.

새로운!!: 당 고종와 이현 (당) · 더보기 »

이홍

이홍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 고종와 이홍 · 더보기 »

이홍 (당)

이홍(李弘, 652년 ~ 675년)은 당나라의 황태자로 당 고종과 측천무후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며 당 중종, 당 예종의 친형이.

새로운!!: 당 고종와 이홍 (당) · 더보기 »

인덕 (당)

인덕(麟德)은 중국 당(唐) 고종(高宗)의 4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 고종와 인덕 (당) · 더보기 »

일본 천황

국화문장은 공식 국장은 아니지만 일본 천황의 상징이며, 국장처럼 쓰이기도 한다 일본 천황() 또는 일왕(日王)은 일본의 군주로 일본 황실의 대표이.

새로운!!: 당 고종와 일본 천황 · 더보기 »

의봉

의봉(儀鳳)은 중국 당(唐) 고종(高宗)의 9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 고종와 의봉 · 더보기 »

의자왕

의자왕(義慈王, ?자식 중 하나인 부여융은 615년생이다. 이것으로 보아 595년경에 태어났을 것이다. ~ 660년, 재위: 641년 ~ 660년)은 백제의 마지막 국왕(혹은 31대 국왕)이.

새로운!!: 당 고종와 의자왕 · 더보기 »

의상 (신라)

의상(義湘, 625년 ~ 702년)은 고대 통일신라시대 중기의 왕족 출신, 고승이.

새로운!!: 당 고종와 의상 (신라) · 더보기 »

의양공주

의양공주(義陽公主, ?~691년)는 당나라의 황녀이며, 당 고종과 숙비 소씨의 첫째 딸이.

새로운!!: 당 고종와 의양공주 · 더보기 »

흑치상지

흑치상지(黑齒常之, 630년 ~ 689년)는 백제의 의자왕 때 달솔을 지낸 백제 · 당나라의 무장이.

새로운!!: 당 고종와 흑치상지 · 더보기 »

제1차 고구려-당 전쟁

제1차 고구려-당전쟁(第一次高句麗-唐戰爭)은 서기 645년 당 태종이 고구려를 침공하여 일어난 전쟁이.

새로운!!: 당 고종와 제1차 고구려-당 전쟁 · 더보기 »

제2차 고구려-당 전쟁

제2차 고구려-당 전쟁(第二次高句麗-唐戰爭)은 서기 660년 당 고종이 고구려를 침공하여 662년까지 지속된 전쟁이.

새로운!!: 당 고종와 제2차 고구려-당 전쟁 · 더보기 »

제3차 고구려-당 전쟁

665년 연개소문이 죽고 그의 맏아들 연남생이 부친을 대신하여 막리지가 되었.

새로운!!: 당 고종와 제3차 고구려-당 전쟁 · 더보기 »

정명진

정명진(程名振, ? ~ 662년)은 당나라의 장군으로 명주(洺州) 평은현(平恩縣) 사람이.

새로운!!: 당 고종와 정명진 · 더보기 »

정관 (당)

정관(貞觀)은 중국 당(唐) 태종(太宗)의 연호이.

새로운!!: 당 고종와 정관 (당) · 더보기 »

정관의 치

정관의 치(貞觀之治, 627년~649년) 중국 당나라의 2대 황제 태종 이세민의 치세를 일컫는 말. 중국 역사상 가장 번영했던 시대 가운데 하나로써, 이때 태종을 보좌했던 재상으로는 위징, 방현령, 장손무기 등이 있. 태종은 이들의 보좌를 받으며 밖으로는 돌궐을 제압하는 한편 토번을 회유했으며, 안으로는 조용조 제도와 부병제, 균전제 등의 제도를 마련하고 과거제를 정비.

새로운!!: 당 고종와 정관의 치 · 더보기 »

조로 (당)

조로(調露)은 중국 당(唐) 고종(高宗)의 10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 고종와 조로 (당) · 더보기 »

중국의 연호 목록

중국의 연호는 전한(前漢) 무제(武帝)가 최초로 사용한 이래, 중국 대륙에서는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되기 전까지 계속 사용되었.

새로운!!: 당 고종와 중국의 연호 목록 · 더보기 »

중국의 피라미드

중국의 피라미드 중 가장 많은 피라미드가 있는 시안 시 중국의 피라미드라 불리는 것은 사실 고대의 토루로 대부분이 묘지로 쓰인 것이 아. 이 피라미드의 대다수가 중국 중부 산시 성의 시안 시의 반경 100킬로미터 이내의 진천 평원에 있. 서양에는 최소 한 세기전부터 알려져 있었지만, 그 존재는 인기몰이 위주의 선전과 몇몇 정치제도 때문에 발생한 중국 고고학의 문제점들로 인해 논쟁거리가 되고 있.

새로운!!: 당 고종와 중국의 피라미드 · 더보기 »

중국의 황태후 목록

중국의 황태후는 기록상의 중국 최초의 태후가 진(秦)나라의 진 혜문왕(惠文王)의 서후인 선태후(宣太后) 미팔자(芈八子)이나, 진 시황이 황제를 칭제하고나서 후에 최초로 황태후라고 칭한 태후는 한나라의 초대황제 유방(劉邦)의 황후인 고황후(高皇后) 여치(呂雉)이.

새로운!!: 당 고종와 중국의 황태후 목록 · 더보기 »

진 (성씨)

(陳. 晉, 眞, 秦)씨는 한국의 성씨 및 중국의 성씨.

새로운!!: 당 고종와 진 (성씨) · 더보기 »

진덕여왕

경주 진덕여왕릉 (사적 24호)진덕여왕(眞德女王, ? ~ 654년, 재위: 647년 ~ 654년) 또는 진덕왕(眞德王) 은 신라 제28대 왕이며 두번째 여왕이.

새로운!!: 당 고종와 진덕여왕 · 더보기 »

찬덕 주씨

덕 주씨(贊德 周氏, 생몰년 미상)는 조선 태조의 후궁이.

새로운!!: 당 고종와 찬덕 주씨 · 더보기 »

천복사

젠푸사(천복사, 荐福寺)는 중국 섬서성의 고도, 서안 시 남쪽 교외에 있는 불교사원이.

새로운!!: 당 고종와 천복사 · 더보기 »

천황

황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당 고종와 천황 · 더보기 »

총장 (당)

총장(總章)은 중국 당(唐) 고종(高宗)의 6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 고종와 총장 (당) · 더보기 »

측천무후

측천무후(則天武后, 624년 2월 17일 ~ 705년 12월 16일)는 당나라 고종 이치의 황후이자 무주(武周)의 황제(당나라 제 6대 황제)로, 중국의 여자 황제이.

새로운!!: 당 고종와 측천무후 · 더보기 »

측천무후 (동음이의)

측천무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 고종와 측천무후 (동음이의) · 더보기 »

유백영

유백영(劉伯英, ? ~ ?)은 중국 당나라 초의 무장이.

새로운!!: 당 고종와 유백영 · 더보기 »

상원 (동음이의)

상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당 고종와 상원 (동음이의) · 더보기 »

상원 (당 고종)

상원(上元)은 중국 당(唐) 고종(高宗)의 8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 고종와 상원 (당 고종) · 더보기 »

태평공주

평공주(太平公主, 665년 ~ 713년)는 당나라의 황족으로, 고종과 측천무후의 딸이.

새로운!!: 당 고종와 태평공주 · 더보기 »

태종무열왕

종무열왕(太宗武烈王, 603년~661년 음력 6월)은 신라(新羅)의 제29대 임금(재위: 654년~661년)이.

새로운!!: 당 고종와 태종무열왕 · 더보기 »

수서 (역사서)

《수서》(隋書)는 수나라의 역사서로, 당 고조 이연 때부터 시작하여, 당 태종, 당 고종에 이르기까지 3대에 걸쳐 완성된 총 85권의 수나라 역사 통사이.

새로운!!: 당 고종와 수서 (역사서) · 더보기 »

숙비

숙비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당 고종와 숙비 · 더보기 »

숙비 소씨

숙비 소씨(淑妃 蕭氏, ?~655년)는 당나라 고종의 후궁이.

새로운!!: 당 고종와 숙비 소씨 · 더보기 »

영륭 (당)

영륭(永隆)은 중국 당(唐) 고종(高宗)의 11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 고종와 영륭 (당) · 더보기 »

영휘

영휘(永徽)는 중국 당(唐) 고종(高宗)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 고종와 영휘 · 더보기 »

영순 (당)

영순(永淳)은 중국 당(唐) 고종(高宗)의 13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 고종와 영순 (당) · 더보기 »

오경정의

오경정의(五經正義)는, 중국 당(唐) 태종(太宗)의 칙으로 공영달(孔潁達) 등이 편찬한 5경의 소(疏)이.

새로운!!: 당 고종와 오경정의 · 더보기 »

현경

현경은 다음을 일컫.

새로운!!: 당 고종와 현경 · 더보기 »

현경 (연호)

현경(顯慶)은 중국 당(唐) 고종(高宗)의 두 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 고종와 현경 (연호) · 더보기 »

에조

일본의 도호쿠 지방 및 홋카이도 지역에 있는 에조(Emishi)지역 에조인들의 생활상을 나타낸 풍속도. 브루클린 박물관 소장. 에미시() 또는 에비스(えびす) 또는 에조(えぞ)는 일본 혼슈의 간토 지방, 도호쿠 지방과 홋카이도 지역에 살면서 일본인(야마토 민족)에 의해 이민족시 되었던 민족집단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당 고종와 에조 · 더보기 »

연개소문 (드라마)

《연개소문》(淵蓋蘇文)은 2006년 7월 8일 ~ 2007년 6월 17일까지 SBS에서 방영된 대하사극이.

새로운!!: 당 고종와 연개소문 (드라마) · 더보기 »

연헌성

연헌성(淵獻誠, 651년 ~ 692년)은 연남생의 아들이자 연개소문의 손자이.

새로운!!: 당 고종와 연헌성 · 더보기 »

염입본

염입본(閻立本, ? ~ 673년)은 당나라 초기의 화가이.

새로운!!: 당 고종와 염입본 · 더보기 »

사수 전투

사수 전투(蛇水戰鬪)는, 제2차 고당전쟁 중이던 고구려 보장왕 21년(662년) 고구려의 대막리지 연개소문이 이끄는 고구려군이 당의 임아상, 방효태가 지휘하는 패강도행군, 옥저도행군을 몰살시킨 싸움이.

새로운!!: 당 고종와 사수 전투 · 더보기 »

사성 (당)

사성(嗣聖)은 중국 당(唐) 중종(中宗)의 연호이.

새로운!!: 당 고종와 사성 (당) · 더보기 »

설인귀

설인귀(薛仁貴, 613년 ~ 683년)은 당나라 초기의 명장 중의 하나이.

새로운!!: 당 고종와 설인귀 · 더보기 »

세노라

세노라(細奴羅, ? ~ 674년)는 대몽국(대몽국이라는 국명은 제4대 왕 귀의왕 피라각이 육조를 통일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의 제 1대 국왕이.

새로운!!: 당 고종와 세노라 · 더보기 »

서 (성씨)

서(徐)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당 고종와 서 (성씨) · 더보기 »

서돌궐

서돌궐(西突厥)은 583년에 수나라의 이간책으로 독립한 돌궐의 한 세력이.

새로운!!: 당 고종와 서돌궐 · 더보기 »

서동수 (배우)

서동수(1968년 8월 29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당 고종와 서동수 (배우) · 더보기 »

서명사

서명사(西明寺)는, 중국 당대(唐代)에 수도 장안(長安)에 세워진 사찰이.

새로운!!: 당 고종와 서명사 · 더보기 »

토번국

번(吐蕃)은 티베트고원의 중앙에 성립된 고대왕국으로, 7세기 송첸캄포에서 9세기 중순 랑다르마에 이르기까지 2백여년간 지속된 티베트 지역 역사상 국력이 가장 강했던 왕조였.

새로운!!: 당 고종와 토번국 · 더보기 »

소년신탐적인걸

소년신탐적인걸()은 황종택, 척미, 마천우 주연의 TV 드라마이.

새로운!!: 당 고종와 소년신탐적인걸 · 더보기 »

소정방

소정방(蘇定方, 592년 ~ 667년)은 당나라의 장군이.

새로운!!: 당 고종와 소정방 · 더보기 »

함형

형(咸亨)은 중국 당(唐) 고종(高宗)의 7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 고종와 함형 · 더보기 »

한범희

범희(1965년 1월 25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당 고종와 한범희 · 더보기 »

한국사기

국사기(韓國史記)는 2017년 1월 1일부터 2017년 3월 19일까지 매주 일요일 밤 9시 40분에 KBS 1TV에서 방송되는 10부작 팩추얼 다큐드라마이.

새로운!!: 당 고종와 한국사기 · 더보기 »

안남도호부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는 당나라 때 설치되었던 6도호부의 하나로 인도차이나 반도에 있는 중국의 남쪽 변방을 안정시키기 위해 당 고종 679년에 설치되었.

새로운!!: 당 고종와 안남도호부 · 더보기 »

안정공주

안정공주(安定公主)는 당나라 황제 고종과 측천무후의 4남 2녀 중 장녀로 태어난 인물이.

새로운!!: 당 고종와 안정공주 · 더보기 »

안서도호부

안서도호부(安西都護府) 또는 안서대도호부(安西大都護府)는 당나라 때 타림 분지를 장악하기 위해 설치된 군정 기구였다(640–790).

새로운!!: 당 고종와 안서도호부 · 더보기 »

신라의 삼국통일

신라의 삼국통일(新羅-三國統一)은 한민족의 역사에서 최초의 민족 통일로 간주되는 사건으로, 676년 신라가 한반도의 제국가(諸國家)를 통일한 것을 말. 신라는 가야, 백제, 고구려 등 한반도에 있던 나라들을 차례로 멸망시켜 병합하였고, 676년에 당나라 군대를 대동강 북쪽으로 축출하여 통일을 달성하였.

새로운!!: 당 고종와 신라의 삼국통일 · 더보기 »

신당서

《신당서》(新唐書)는 북송 인종이 《구당서》(舊唐書)의 내용이 왜곡된 것이 많고 너무 부실하다고 하여 구양수 등에 명하여 1044년 ~ 1060년에 걸쳐 완성한 당나라의 역사를 서술한 책이.

새로운!!: 당 고종와 신당서 · 더보기 »

후궁 (중국)

중국의 후궁은 중화민국 이전 중국 대륙에 존재했던 옛 국가의 역대 중국 제왕(帝王)의 측실(側室·妾室)을 가리.

새로운!!: 당 고종와 후궁 (중국) · 더보기 »

홍도 (당)

홍도(弘道)은 중국 당(唐) 고종(高宗)의 14번째 연호이.

새로운!!: 당 고종와 홍도 (당) · 더보기 »

황제

황제(皇帝)는 제국(帝國)의 세습 군주의 존호이.

새로운!!: 당 고종와 황제 · 더보기 »

황산벌 (영화)

《황산벌》은 2003년 개봉된, 황산벌 전투를 다룬 대한민국의 역사 코미디 영화이.

새로운!!: 당 고종와 황산벌 (영화) · 더보기 »

황산벌 전투

황산벌 전투(黃山벌 戰鬪)는 660년 8월 20일 (음력 7월 9일) 황산벌(오늘날의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신양리 및 신암리 일대)에서 백제군과 신라군 사이에 일어났던 전투이.

새로운!!: 당 고종와 황산벌 전투 · 더보기 »

황후

황후(皇后)는 황제의 정실 부인으로, 궁정에서 태상황태후와 태황태후와 황태후 다음으로 높은 자리를.

새로운!!: 당 고종와 황후 · 더보기 »

왕문도

왕문도(王文度, ? ~ 660년)는 당나라의 무장이.

새로운!!: 당 고종와 왕문도 · 더보기 »

왕발

왕발(王勃, 647년 ~ 674년)은 당나라의 시인으로, 자는 자안(字安)이.

새로운!!: 당 고종와 왕발 · 더보기 »

왕황후 (당나라)

황후 왕씨(皇后 王氏, ? ~ 655년)는 당 고종의 황후이.

새로운!!: 당 고종와 왕황후 (당나라) · 더보기 »

12월 27일

12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1번째(윤년일 경우 36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당 고종와 12월 27일 · 더보기 »

62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28년 · 더보기 »

64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49년 · 더보기 »

65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50년 · 더보기 »

65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51년 · 더보기 »

65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52년 · 더보기 »

65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53년 · 더보기 »

65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54년 · 더보기 »

65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55년 · 더보기 »

65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56년 · 더보기 »

65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57년 · 더보기 »

65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58년 · 더보기 »

65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59년 · 더보기 »

66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60년 · 더보기 »

66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61년 · 더보기 »

66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62년 · 더보기 »

66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63년 · 더보기 »

66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64년 · 더보기 »

66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65년 · 더보기 »

66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66년 · 더보기 »

66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67년 · 더보기 »

66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68년 · 더보기 »

66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69년 · 더보기 »

67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70년 · 더보기 »

67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71년 · 더보기 »

67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72년 · 더보기 »

67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73년 · 더보기 »

67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74년 · 더보기 »

67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75년 · 더보기 »

67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76년 · 더보기 »

67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77년 · 더보기 »

67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78년 · 더보기 »

67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79년 · 더보기 »

68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80년 · 더보기 »

68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81년 · 더보기 »

68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82년 · 더보기 »

68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당 고종와 683년 · 더보기 »

7월 21일

7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2번째(윤년일 경우 20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당 고종와 7월 21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당고종, 당나라 고종.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