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대방군

색인 대방군

방군(帶方郡)은 중국의 삼국시대의 군벌 공손강(公孫康)이 3세기 초에 설치한 행정구역이.

34 처지: 도미 부부 설화, 미천왕, 고이왕, 공손강, 공손연, 광개토왕릉비, 근초고왕, 기리영 전투, 금관가야, 낙랑군, 낙랑군의 문화, 담로, 장통, 임진강, 평양 전투 (371년), 일본-중국 관계, 중국 삼국 시대의 행정 구역, 진번군, 유주 (중국), 예식진, 역사 연표, 삼국 시대, 삼한, 해주시, 한국의 역사, 한사군, 한산주, 안악군, 시조 구태설, 황해도, 왕준 (낙랑), 204년, 314년, 3세기.

도미 부부 설화

미 부부 설화(都彌夫婦說話)는 한국의 설화이.

새로운!!: 대방군와 도미 부부 설화 · 더보기 »

미천왕

미천왕(美川王, 281년 ~ 331년, 재위: 300년 ~ 331년)은 고구려의 제15대 태왕이.

새로운!!: 대방군와 미천왕 · 더보기 »

고이왕

이왕(古尒王, ? ~ 286년, 재위: 234년 ~ 286년)은 백제의 제8대 국왕이.

새로운!!: 대방군와 고이왕 · 더보기 »

공손강

공손강(公孫康, ? ~ ?)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이.

새로운!!: 대방군와 공손강 · 더보기 »

공손연

공손연(公孫淵, ? ~ 238년)은 중국 삼국 시대 요동의 세력가로 자는 문의(文懿)이며 유주 요동군 양평현(襄平縣) 사람이.

새로운!!: 대방군와 공손연 · 더보기 »

광개토왕릉비

광개토왕릉비 광개토왕릉비 광개토왕릉비의 탁본 광개토왕릉비 복제품 광개토왕릉비(廣開土王陵碑)는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지안 시(集安市) 태왕진(太王鎭)에 있는 고구려 제19대 광개토왕의 능비이.

새로운!!: 대방군와 광개토왕릉비 · 더보기 »

근초고왕

왕(近肖古王, ? ~375년, 11월 재위: 346년 9월~375년 11월)은 백제의 제13대 국왕이.

새로운!!: 대방군와 근초고왕 · 더보기 »

기리영 전투

리영 전투(崎離營 戰鬪)는 경초 연간에 명제가 몰래 대방태수(帶方太守) 유흔(劉昕)과 낙랑태수(樂浪太守) 선우사(鮮于嗣)를 파견하여 바다를 건너 두 군을 평정하였.

새로운!!: 대방군와 기리영 전투 · 더보기 »

금관가야

야(金官伽倻), 본가야(本伽倻)는 42년부터 532년까지 존재했던 나라로, 신라에게 멸망하기 전 국명은 가락국(駕洛國)이었.

새로운!!: 대방군와 금관가야 · 더보기 »

낙랑군

낙랑군을 분할하여 대방군을 설치(204년) 낙랑군(樂浪郡,, 기원전 108년~기원후 313년)은 전한 무제가 위만조선을 점령하고 세운 한사군 중 하나로, 현도군과 함께 최후까지 남은 변군(邊郡)이.

새로운!!: 대방군와 낙랑군 · 더보기 »

낙랑군의 문화

낙랑군의 문화는 한나라의 무제가 세운 한사군중 하나인 낙랑군(樂浪郡)의 문화이.

새로운!!: 대방군와 낙랑군의 문화 · 더보기 »

담로

(擔魯)는 백제의 지방 행정 조직이.

새로운!!: 대방군와 담로 · 더보기 »

장통

장통(張統, ? ~ ?)은 중국 서진 ~ 전연 시대의 인물로, 요동군(遼東郡) 사람이.

새로운!!: 대방군와 장통 · 더보기 »

임진강

임진강(臨津江)은 한반도 중부를 서쪽으로 흘러가서 황해로 흘러가는 강이.

새로운!!: 대방군와 임진강 · 더보기 »

평양 전투 (371년)

평양성 전쟁은 371년에 백제가 고구려의 평양성을 공격하고 고국원왕을 전사시킨 전쟁이.

새로운!!: 대방군와 평양 전투 (371년) · 더보기 »

일본-중국 관계

일본과 중화인민공화국은 동아시아에 자리잡은 국가이며 역사적으로 중국은 일본과 문화 교류를 해 왔.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명나라를 침략할 계획으로 조선을 침략.

새로운!!: 대방군와 일본-중국 관계 · 더보기 »

중국 삼국 시대의 행정 구역

삼국 시대의 세력도 삼국 시대의 행정 구역은 중국 후한 말기의 주군현(州郡縣) 체제를 기반으로 이를 계속 사용하였.

새로운!!: 대방군와 중국 삼국 시대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진번군

기원전 106년 진번군의 위치(황해도) 진번군(眞番郡)은 전한(前漢)의 무제(武帝)가 기원전 108년에 세운 한사군(漢四郡)중 하나이.

새로운!!: 대방군와 진번군 · 더보기 »

유주 (중국)

유주(幽州)는 현재의 베이징 시와 톈진 시 일대, 허베이 성의 일부 북부 지역, 랴오닝 성, 지린 성 서남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부에 존재한 중국 역사상의 옛 행정 구역이며, 구주(九州) 중 한 곳으로 전해 내려오는 지역이.

새로운!!: 대방군와 유주 (중국) · 더보기 »

예식진

예식진(禰寔進, 615년 ~ 672년)은 백제 웅진唐)의 군인이며 백제 의자왕 때의 역신이.

새로운!!: 대방군와 예식진 · 더보기 »

역사 연표

역사 연표는 세계사를 적은 연표로 한국사도 포함되어 있.

새로운!!: 대방군와 역사 연표 · 더보기 »

삼국 시대

삼국 시대(三國時代)는 기원전 1세기부터 중앙집권적 국가로 발전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과 그 판도에 영향을 끼친 가야 연맹을 포함한 4개 국가가 한반도와 만주 일대에 세워지면서부터 7세기에 신라에 의해 통일되기까지의 시대를 가리.

새로운!!: 대방군와 삼국 시대 · 더보기 »

삼한

3세기 초 삼한의 형세 삼한(三韓)은 삼국 시대 이전 한반도 중남부에 자리 잡고 있던 연맹왕국인 마한(馬韓), 변한(弁韓), 진한(辰韓)을 통칭하는 말로, 청동기 시대에 한반도 중남부 지역에 성립하였던 진국에 기원을 둔 것이.

새로운!!: 대방군와 삼한 · 더보기 »

해주시

주시(海州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자 황해남도청 소재지 그리고 황해남도의 유일한 시이.

새로운!!: 대방군와 해주시 · 더보기 »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새로운!!: 대방군와 한국의 역사 · 더보기 »

한사군

사군(漢四郡, 기원전 108년 ~ 314년) 또는 한군현(漢郡縣)은 기원전 108년 전한 무제가 위만조선을 멸망시킨 뒤 그 영토를 통치하기 위해 설치한 낙랑군·진번군·임둔군·현도군의 4군과 그 속현을 말. 근대 이전에는 전통적으로 사군(四郡)이라 불렀고, 현대 한국사학계에서는 한군현, 동방변군 등으로 지칭.

새로운!!: 대방군와 한사군 · 더보기 »

한산주

남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한산주(漢山州) 또는 한주(漢州)는 신라의 광역 행정구역인 9주 5소경의 한 주(州)이.

새로운!!: 대방군와 한산주 · 더보기 »

안악군

안악군(安岳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서쪽에 있는 군이.

새로운!!: 대방군와 안악군 · 더보기 »

시조 구태설

시조 구태설은 백제의 시조에 대한 설이.

새로운!!: 대방군와 시조 구태설 · 더보기 »

황해도

조선후기 황해도 황해도(黃海道)는 1417년부터 1954년까지 존속한 한반도의 중서부에 있는 도(道)로, 1954년 이후로는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리되었.

새로운!!: 대방군와 황해도 · 더보기 »

왕준 (낙랑)

왕준(王遵, ? ~ ?)은 중국 서진, 전연의 인물로, 낙랑군(樂浪郡) 사람이.

새로운!!: 대방군와 왕준 (낙랑) · 더보기 »

20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대방군와 204년 · 더보기 »

31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대방군와 314년 · 더보기 »

3세기

3세기는 201년부터 300년까지이.

새로운!!: 대방군와 3세기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