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대한민국 국군

색인 대한민국 국군

민국 국군(大韓民國 國軍)은 1948년 8월 15일에 창설된 대한민국의 군대이.

472 처지: CH-47 치누크, CP 탱고, 데프콘 (소설), 더글러스 맥아더, 동락리 전투, 라면, 라이따이한, 룡매도, 류경수, 리영희,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멸공의 횃불, 모병제, 모윤숙, 목적암기, 무수단 미사일, 문재인, 문재인 정부, 미국의 대통령, 미군 위안부, 민간군사기업, 민간인출입통제구역, 민영규, 방위, 방위고등연구계획국, 방위병, 방순희, 방원철, 백마고지 전투, 백낙준, 백선엽, 갑종장교, 간호장교, 박동균 (1919년), 강동근 (1916년), 강문봉, 강건종합군관학교, 박범집, 강기천 (1927년), 박정희, 박석윤, 박원석 (1923년), 강화 양민 학살 사건, 가평 전투, 가톨릭출판사, 거창 전투, 건빵, 베티고지 전투, 보도연맹 학살, 보잉 F-15K 슬램 이글, ..., 공동경비구역, 공동경비구역 JSA, 공안사건, 병과, 병정 통합 주의, 병역면제, 병사, 병사 (군사), 계룡 나들목, 계룡대, 계룡대근무지원단, 계철순, 광주 재진입 작전, 북방한계선,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 부사관, 그라이프 작전, 극동 사령부 (미국), 긴급자동차, 김동현 (1984년), 김민교 (배우), 김백일, 김경환 (1980년), 김구, 김두만 (1927년), 김일성, 김종석 (1918년), 김종필, 김준원 (1888년), 김창룡, 김창규 (1920년), 김영삼, 김영환 (1921년), 김석원, 김성룡 (1926년), 김세진 (1965년), 김원봉, 김완섭, 대대, 대장 (군사), 대체복무제, 대위, 대통령 부대 표창 (대한민국), 대한민국, 대한민국 민방위대, 대한민국 방위사업청, 대한민국 공군, 대한민국 공군 방공포병학교, 대한민국 공군사관학교, 대한민국 병무청,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 대한민국 국군 포로, 대한민국 국군간호사관학교,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대한민국 육군, 대한민국 육군 보병학교, 대한민국 육군 기계화학교, 대한민국 육군교육사령부, 대한민국 육군의 출신별 4성 장군 목록,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대한민국 예비군, 대한민국 헌법 제5조, 대한민국 소방방재청, 대한민국 소방공무원의 계급 목록, 대한민국 해병대,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해군사관학교,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대한민국-베트남 관계, 대한민국군 베트남전 참전, 대한민국의 공군참모총장,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에 대한 비판, 대한민국의 기념일, 대한민국의 국제 순위, 대한민국의 군용기 목록, 대한민국의 전시작전권 전환, 대한민국의 육군참모총장, 대한민국의 합동참모의장, 대한민국의 합동참모차장, 대한민국의 해군참모총장, 대한민국에 관한 문서, 대한제국군, 교정시설경비교도대, 국립서울현충원, 국민보도연맹, 국방과학연구소,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국방부검찰단, 국방기술품질원, 국방대학교, 국방일보, 국방연구개발기구, 국군, 국군 도수체조, 국군강릉병원, 국군교도소, 국군일동병원, 국군의 날, 국군의무사령부, 국군지휘통신사령부, 국군체육부대, 국군수도병원,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국제평화지원단, 국제협력봉사요원, 군매점, 군가, 군대가 없는 나라 목록, 군종장교, 군사 계급, 군사비 지출에 따른 나라 목록, 남북 관계, 남조선로동당, 남조선국방경비대, 내촌-태릉 전투, 낙동강 전선, 낙산사, 노무현 정부, 노천명, 다부동 전투, 다대포 무장간첩 침투 사건, 단기간부사관, FN 미니미, 용문산 전투, 특공무술, 승선근무예비역, 자운대, 자위대, 장도영, 장교, 장택상, 장세동,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작전계획 5015, 작전계획 5027, 작전계획 5029, 임동춘, 임관, 임부택, 임태훈 (인권활동가), 임시수도, 폭풍 작전, 폰초, 평양 방어 사령부, 평양 전투 (1950년), 평양 철수, 평양직할시, 흥남 철수 작전, 이명박, 이문열, 이병주 (군인), 이광재 (정치인), 이기건, 이용문 (군인), 이승만, 이회영, 이희성 (1924년), 이인권 (1919년), 이응준 (군인), 이종찬 (1916년), 이주일 (군인), 이쾌대, 이상진 (1919년), 이탈리아군, 이예다, 이현상, 이형근, 이양호 (1937년), 이성가, 이학봉, 이시영 (1868년), 이후락, 인천 상륙 작전, 의무소방대, 의사, 을종하사관, 제15보병사단 (대한민국), 제1군단 (미국), 제20CBRNE사령부, 제20기계화보병사단 (대한민국), 제21보병사단 (대한민국), 제25보병사단 (대한민국), 제27보병사단 (대한민국), 제2보병사단 (미국), 제2보병사단 (대한민국), 제2차 동두천 전투, 제2차 서울 전투, 제2사관학교, 제58군 (일본군), 제6보병사단 (대한민국), 제마 부대, 제복, 전문연구요원, 전두환, 전인범, 전투경찰순경, 전시 작전통제권, 정령, 정승화, 정인숙 (1945년), 정인숙 피살사건, 정일권, 정위, 정순덕 (1933년), 정호용, 저격능선 전투, 조창호 (군인), 조영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 관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역사, 조선인민군, 조선인민유격대, 조선총독부 청사와 관사, 주특기번호, 주한 미군, 주한 미군 군사 고문단, 주한 미군 사령관, 주월한국군사령부, 중공군 춘계공세, 중국 인민해방군, 중국인민지원군, 중위, 중화민국 국군, 준 부사관, 준사관, 진돗개 경보, 진짜 사나이 (노래), 진짜 사나이 (텔레비전 프로그램), 진선미, 징병검사, 징병제, 지만원, 지청천, 참모총장, 참수리급 고속정, 채명신, 철원 승일교, 철원군 (남), 초산군, 추적 60분의 에피소드 목록, 카투사, 캠프 헨리, 판문점, 판문점 도끼 살인 사건, 유동열, 유머 일번지, 유관희 (1891년), 유길준, 유승렬 (1893년), 유재흥, 유엔기념공원, 유원식 (군인), 육군훈련소, 윤보선, 윤병현, 윤승선, 윤흥정, 윤치왕, 윤태일 (1918년), 팀 스피리트, 상근예비역, 상주 전투 (1950년), 태백산맥 (소설), 태풍전망대, 탈레반 한국인 납치 사건, 탈나치화, 탄피받이, 수도방위사령부, 영국 국방과학기술연구소, 영창 (징계), 영원사 (함양군), 오디 머피, 오종혁, 호국훈련, 호커 800, 옹진반도 전투, 예술체육요원, 예성강철교, 현리 전투, 현무-1, 현무-3, 현빈, 현역, 형제의 상, 형산강 방어 전투, 최주종, 최영희 (1921년), 양국진 (1916년), 행정관서요원, 행주 도하 작전, 헨드릭 하멜, 여수 반잠수정 침투 사건, 여수·순천 사건, 연평도, 연평도 포격, 연천 530GP 사건,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건, 푸른거탑, 푸른거탑 리턴즈, 푸른거탑 제로, 키 리졸브, 사회복무제도, 산청·함양 양민 학살 사건, 산업기능요원, 삼청교육대,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피우진, 석주암, 성우회, 서북청년회, 서울대학교 부속병원 학살 사건, 서울특별시의 역사, 서희 (동음이의), 서희 부대, 속초시, 속초시의 행정 구역, 손응성, 송민도, 송석하 (1915년), 소련군, 소령, 소년병, 소위, 통역장교, 합동군사대학교, 합동참모대학, 한미 관계, 한미 연합전시증원연습, 한미연합군사령부, 한반도 분단, 한반도 군사 분계선, 알바트로스 (영화), 한강 인도교 폭파, 한베평화재단, 한국 광복군, 한국 전쟁, 한국 전쟁의 임시 수도, 한국기독교군선교연합회, 한국군,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한국의 수도, 알포인트, 한의사, 안병범 (1890년), 안광수 (1925년), 안익조, 안중근, 안춘생, 하사, 아랍의 봄이 미친 영향, 학사사관, 신라대학교, 신병교육대, 신응균, 신천군 사건, 신상철 (1924년), 신해혁명, 신학진, 심일, 십자성마을, 원용덕, 원산 상륙 작전, 원산시, 홍길동 작전, 홍성학, 화살머리고지 전투, 화살머리고지 전투 (1953년), K-131, K-311, K-511, K-55, K-55A1 자주포, K-711, K1A 기관단총, K2 소총, K201 유탄발사기, K4 고속유탄기관총, K5 권총, KAI 수리온, KCOMZ, M-1고지 전투, M1 개런드, M16 소총, ZPU-4, 10·27 법난, 10월 20일, 11월 25일, 12월 26일, 12월 6일, 1950년, 1950년 대한민국, 1952년, 1952년 대한민국, 1980년, 1·21 사태, 2001년, 2007년, 2007년 2월, 2007년 8월, 2008년 10월, 2010년 6월, 2010년 8월, 2011년 9월, 2016년 1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 2017년 판문점 조선인민군 병사 귀순 총격 사건, 2018년 1차 남북정상회담, 29초영화제, 2·26 사건, 3, 303고지 학살, 4성 장군, 60, 7월 4일, 8월 21일, 9월 16일, 9월 19일, 9월 1일, 9월 28일, 9월 6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422 더) »

CH-47 치누크

CH-47 치누크는 미국 보잉 사가 제작한 헬기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CH-47 치누크 · 더보기 »

CP 탱고

CP 탱고(Command Post TANGO), 탱고 지휘소는 1970년대에 건설된 경기도 성남시의 캠프 탱고에 있는 주한 미군과 대한민국 국군의 육해공 전구 작전() 지휘통제소이자 폴아웃 쉘터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CP 탱고 · 더보기 »

데프콘 (소설)

《데프콘》은 광고기획자 출신의 소설가 김경진씨가 쓴 밀리터리 소설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데프콘 (소설) · 더보기 »

더글러스 맥아더

한국 전쟁 중 인천 상륙 작전을 지휘하는 더글러스 맥아더 더글러스 맥아더(1880년 1월 26일 ~ 1964년 4월 5일)는 미국의 군인이자 정치가이며 사회운동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더글러스 맥아더 · 더보기 »

동락리 전투

무극리 전투 또는 동락리 전투는 한국 전쟁 중기 북한군이 수도 서울의 함락에 만족치 않고 계속 남침해오자 육군본부는 그들을 차령산맥을 연한 선에서 저지하고자 한 전투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동락리 전투 · 더보기 »

라면

면 라면은 기름에 미리 튀긴 국수를 스프와 함께 끓는 물에 넣어서 요리하는 국수 식품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라면 · 더보기 »

라이따이한

이따이한() 혹은 한국계 베트남인/한국계 월남인()은 대한민국이 1964년부터 참전한 베트남 전쟁에서 대한민국 국군 병사와 현지 베트남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2세를 뜻. 파리 협정에 따른, 한국군의 철수와 그 후의 남베트남 정부의 붕괴로 이어지는 순간 속에서 ‘적군의 아이’로 차별받았.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라이따이한 · 더보기 »

룡매도

룡매도(龍媒島)는 황해남도 청단군의 섬으로, 면적은 2.203 km², 동서 길이 3.5 km, 남북 길이 0.8 km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룡매도 · 더보기 »

류경수

경수(柳京洙, 1915년 9월 9일 ~ 1958년 11월 19일)는 일제 강점기 공산주의 항일운동가이며 소비에트 연방,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류경수 · 더보기 »

리영희

리영희(李泳禧, Rhee Young-hee, 1929년 12월 2일 ~ 2010년 12월 5일)은 대한민국의 언론인·교수·사회운동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리영희 · 더보기 »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만주국 육군군관학교(滿洲國 陸軍軍官學校)는 만주국 육군이 육군 장교를 양성하기 위해 설치한 교육 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 더보기 »

멸공의 횃불

멸공의 횃불은 1972년 서정모가 작사하고 라화랑이 작곡한 대한민국 국군의 군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멸공의 횃불 · 더보기 »

모병제

없음 국가별 상비군 병력 군대가 없는 나라, 보라색 표시 모병제(募兵制)는 강제 징병하지 않고, 본인의 지원에 의한 직업군인들을 모병하여 군대를 유지하는 병역 제도를 말. 이와 반대되는 제도는 징병제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모병제 · 더보기 »

모윤숙

모윤숙(毛允淑, 1910년 3월 5일 ~ 1990년 6월 7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시인이며 수필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모윤숙 · 더보기 »

목적암기

목적암기는 대한민국 국군 신병 및 부사관, 장교의 기본군사 훈련시 교육하는 내용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목적암기 · 더보기 »

무수단 미사일

동B 또는 무수단 미사일은 소련의 R-27을 개량한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탄도 미사일(IRBM)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무수단 미사일 · 더보기 »

문재인

문재인(文在寅, 1953년 1월 24일 ~)은 대한민국의 제19대 대통령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문재인 · 더보기 »

문재인 정부

문재인 정부(文在寅政府, 2017년 ~)는 대한민국 제6공화국의 일곱 번째 대한민국 정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문재인 정부 · 더보기 »

미국의 대통령

미국 대통령(약칭: POTUS)은 미국의 국가원수이자 정부수반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미국의 대통령 · 더보기 »

미군 위안부

1961년 9월 13일부터 서울지방경찰청은 "유엔군에 대한 위안부 관리 사업"에 대해서 유엔군 위안부는 반드시 등록 과정을 거쳐야 했다. 이러한 등록과정은 법적으로 인정된 결혼 없이도 외국인과 위안부 간 동거관계를 허락한다는 절차였다. 이를 알린 1961년 9월 14일의 동아일보 기사. 미군에게 생포된 인민군 간호원. 체포된 북한 인민군 여성의 일부는 강간당하거나 강제로 위안부가 되었다.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미군 위안부 · 더보기 »

민간군사기업

민간군사기업(民間軍事企業, Private Military Company; PMC)은 전투활동이나 전략 입안, 첩보 활동, 병참지원, 군사 훈련 및 기술 지원 등 전쟁과 관련된 일을 대행하는 회사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민간군사기업 · 더보기 »

민간인출입통제구역

번째 철책 너머가 민통선이다. 민간인출입통제구역(民間人出入統制區域)은 군사분계선 인근의 군사 작전 및 군사시설 보호와 보안유지 등의 목적으로 민간인의 출입을 제한하는 구역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민간인출입통제구역 · 더보기 »

민영규

민영규(閔泳奎, 1846년 양력 12월 12일~1922년 양력 11월 18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며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민영규 · 더보기 »

방위

방위(方位)는 방향을 임의의 기준으로 나누는 방법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방위 · 더보기 »

방위고등연구계획국

방위 고등 연구 계획국(DARPA, 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은 미국 국방성의 연구, 개발 부문을 담당하고 있으며 인터넷의 원형인 ARPANET을 개발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 최초의 이름은 고등 연구 계획국 (ARPA 또는 ARP,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에서 개칭되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방위고등연구계획국 · 더보기 »

방위병

방위병(防衛兵)은 1969년부터 1994년까지 존재하던 대한민국의 전환, 대체복무제도로 보충역으로 입영하여 기초군사교육을 마친 후 향토방위 업무를 수행하는 군부대(향토사단), 예비군 중대, 경찰관서, 파출소, 시, 군, 구청, 읍, 면, 동사무소를 집에서 출·퇴근하면서 복무하도록 한 제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방위병 · 더보기 »

방순희

방순희(方順熙, 1904년 1월 30일 ~ 1979년 5월 4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교육자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방순희 · 더보기 »

방원철

방원철(方圓哲, 1920년 ~ 1999년)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에서 군 활동을 한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방원철 · 더보기 »

백마고지 전투

백마고지 전투(白馬高地戰鬪)는 한국 전쟁 당시인 1952년 10월 6일 ~ 10월 15일까지 한국군과 미군이 중공군과 싸워 승리한 전투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백마고지 전투 · 더보기 »

백낙준

백낙준(白樂濬, 1895년 3월 9일 ~ 1985년 1월 13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교육자, 국문학자이자 한글학자, 기독교사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백낙준 · 더보기 »

백선엽

thumb 백선엽(白善燁, 일본식 창씨명: 시라카와 요시노리(白川義則), 1920년 11월 23일 ~)은 일제강점기 만주국의 간도특설대 군인 장교이자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외교관, 기업인, 교육인이며 사회운동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백선엽 · 더보기 »

갑종장교

갑종장교(甲種將校)는 과거에 존재했던 대한민국 국군의 중요 장교 양성과정 중의 하나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갑종장교 · 더보기 »

간호장교

호장교(看護將校)는 군대에 소속되어 군병원 및 군 내 다양한 의무관련 기관에서 간호 및 의무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장교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간호장교 · 더보기 »

박동균 (1919년)

박동균(朴東均, 1919년 1월 29일 ~)은 만주국과 대한민국의 군인이며, 예편 후에는 기업인으로도 활동.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박동균 (1919년) · 더보기 »

강동근 (1916년)

강동근(1916년 11월 19일 ~ 2004년 2월 12일)은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강동근 (1916년) · 더보기 »

강문봉

강문봉(姜文奉, 1923년 10월 26일 ~ 1988년 2월 26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외교관, 정치가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중장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강문봉 · 더보기 »

강건종합군관학교

강건종합군관학교(姜健綜合軍官學校)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에 있는 군사교육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강건종합군관학교 · 더보기 »

박범집

박범집(朴範集, 일본식 이름: 東林益範 도하야시 에키모토, 1917년 ~ 1950년 11월 12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박범집 · 더보기 »

강기천 (1927년)

강기천(姜起千, 1927년 11월 11일 ~)은 대한민국의 군인 겸 정치가이며 기업가 겸 사회운동가이자 저술가 겸 대학 교수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해병대 대장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강기천 (1927년) · 더보기 »

박정희

박정희(朴正熙, 1917년 11월 14일 ~ 1979년 10월 26일)는 대한민국의 제5·6·7·8·9대 대통령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박정희 · 더보기 »

박석윤

박석윤(朴錫胤, 1898년 10월 26일 ~ 1950년 10월 20일)은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 겸 공작원이자 만주국 관료로, 만주에서 활동했던 일본 제국의 정보, 첩보공작 조직인 민생단을 조직한 것으로 유명.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박석윤 · 더보기 »

박원석 (1923년)

박원석(朴元錫, 일본식 이름: 德田元敎 도쿠타 모토쿄, 1923년 3월 27일 ~ 2015년 11월 30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 기업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박원석 (1923년) · 더보기 »

강화 양민 학살 사건

강화 양민학살 사건(江華良民虐殺事件)은 1951년 1월에 강화도 주민들이 조선인민군에 협력했다는 이유로 대한민국 국군에게 학살당한 사건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강화 양민 학살 사건 · 더보기 »

가평 전투

평 전투 (Battle of Kapyong)는 1951년 4월 23일부터 25일까지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뉴질랜드로 구성된 영국 연방군이 중화인민공화국의 중국인민지원군과 가평에서 맞붙은 전투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가평 전투 · 더보기 »

가톨릭출판사

릭출판사는 로마 가톨릭교회 단행본과 인문학 서적을 출판하는 기독교 출판사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가톨릭출판사 · 더보기 »

거창 전투

창 전투는 한국 전쟁 당시 1950년 7월 24일 남원 방어에 실패한 민부대 지휘하의 김병화 부대와 오덕준 부대, 그리고 해병대 김성은 부대가 7월 22일 서전사작전명 제1호에 따라 운봉으로 이동하여 지연전을 계속 수행하며 치른 전투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거창 전투 · 더보기 »

건빵

덴마크 크론보르에 있는 보존된 건빵 19세기 중반, 2가지 스타일로 다시 만든 건빵 일본식 건빵 일본 해상자위대의 건빵 건빵(Hardtack)은 과자의 한 종류인 비스킷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건빵 · 더보기 »

베티고지 전투

중공군은 휴전 성립을 목전에 두고 주요지형을 확보하기 위하여 결사적인 국지공격을 감행해 오고 있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베티고지 전투 · 더보기 »

보도연맹 학살

보도연맹 학살사건(保導聯盟虐殺事件)은, 1950년 한국전쟁 중에 대한민국 국군·헌병·반공 극우단체 등이 국민보도연맹원이나 양심수 등을 포함해 공식적으로 확인된 4934명과, 10만 명에서 최대 120만 명으로 추산되는 민간인을 살해했다고 추정되는 대학살 사건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보도연맹 학살 · 더보기 »

보잉 F-15K 슬램 이글

F-15K의 토대가 된 F-15E의 조종석 알래스카에서 훈련중인 F-15K 공중급유중인 F-15K F-15K 슬램 이글(F-15K Slam Eagle)은 F-15E 스트라이크 이글(F-15E Strike Eagle)의 최신 파생형 모델이자 최신 4세대 전투기로 미국 보잉사가 제작하고, 대한민국 공군이 운용하는 전폭기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보잉 F-15K 슬램 이글 · 더보기 »

공동경비구역

공동경비구역(共同警備區域)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비무장지대에서 서로 대면하고 있는 지역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공동경비구역 · 더보기 »

공동경비구역 JSA

《공동경비구역 JSA》(共同警備區域 JSA)는 박상연의 소설 《DMZ》을 각색하여 2000년에 만들어진 대한민국 영화로, 박찬욱이 감독을 맡았.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공동경비구역 JSA · 더보기 »

공안사건

공안사건이란 국가보안법, 군형법 중 반란 이적의 죄, 군사기밀누설죄, 암호부정사용죄, 형법 중 내란, 외환의 죄, 군사기밀보호법 위반의 죄를 위반한 사건임을 말하며, 경우에 따라서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계엄법, 노동관계법률위반사건 중에 노동정책에 영향을 미칠 중요한 사건, 수산업법위반 중에 군사분계선 또는 어로한계선 월선조업사건, 기타 정부시책의 수행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정부시책에 현저히 위배되는 사건도 공안사건에.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공안사건 · 더보기 »

병과

병과(兵科)또는 군사 특기()는 군사 조직에서 군인이 능력에 따라 수행하는 주요 임무를 분류한 것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병과 · 더보기 »

병정 통합 주의

병정 통합 주의(兵政統合主義)는 군정과 군령을 일정 행정 기관이 관장하여 정부의 책임과 의회의 통제 하에 임무를 수행하는 일종의 제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병정 통합 주의 · 더보기 »

병역면제

* 병역면제(兵役免除)는 징병대상자에 대한 병역의 부과를 면제하는 일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병역면제 · 더보기 »

병사

병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병사 · 더보기 »

병사 (군사)

민국 육군 제1군단 소속 상등병으로 구성된 병사의 단체사진 병사(兵士)는 국가의 군대에 정식으로 복무하면서 전쟁 또는 유사시에 전투 임무에 나서는 직업 종사자인 군인 중 부사관 미만의 계급.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병사 (군사) · 더보기 »

계룡 나들목

룡 나들목(Gyeryong IC)은 대전광역시 서구 우명동과 충청남도 계룡시 두마면 왕대리의 경계에 걸쳐 있는 호남고속도로지선의 3번 교차로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계룡 나들목 · 더보기 »

계룡대

룡대(鷄龍臺)는 충청남도 계룡시 신도안면 부남리에 있는 대한민국 국군의 3군 통합 군사 기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계룡대 · 더보기 »

계룡대근무지원단

룡대근무지원단(鷄龍臺 勤務支援團, Gyeryongdae Service Support Corps)은 계룡대에 있는 대한민국 국군 소속 3군 본부에 대한 근무 지원, 시설, 운송 지원 등을 위해 창설된 특수목적부대이며, 계룡대근무지원단령 에 의거하여 설립된 대한민국 국방부 소속기관으로 계룡대근무지원단장은 준장(2급 상당)으로 보. 충청남도 계룡시 신도안면 부남리에 위치하고 있. 본부 내에는 행정 병력으로 구성된 지원대대가 있고, 그밖에 경비전담인 경비중대, 여군대대 등의 특수직능부대도 있으며, 각 군 본부에 시설, 수송, 의무 등의 병과는 근무지원단 소속 해당 군 출신 병을 파견 형식으로 배.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계룡대근무지원단 · 더보기 »

계철순

순(桂哲淳, 일본식 이름: 桂哲雄, 1912년 12월 20일 ~ 2003년 6월 11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계철순 · 더보기 »

광주 재진입 작전

광주 재진입 작전(光州再進入作戰)은 1980년 5월 27일 5.18 민주화운동 당시 신군부 수뇌부가 계엄군을 투입해 전남도청에서 항전하는 광주 시민들을 진압하기 위해 펼친 작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광주 재진입 작전 · 더보기 »

북방한계선

북방한계선 북방한계선(北方限界線,, 줄여서 NLL)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 설정된 사실상의 남북 해상 군사 분계선을 말. 이중 서해 북방한계선(西海北方限界線)은 대한민국 서해 5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해안 사이에 설정된 해상 경계선으로, 1999년 제1연평해전 이후 군사적인 분쟁 이슈로 떠오르고 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북방한계선 · 더보기 »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北韓離脫主民保護)는 국가정보원 소속의 북한이탈주민 수용시설 및 수사기관으로 대한민국에 망명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조사를 하는 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 · 더보기 »

부사관

부사관(副士官)은 군대내 장교와 병 중간의 신분으로 병을 통솔, 전문적인 기술 및 지식을 견비한 간부, 즉 직업 군인이다.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부사관 · 더보기 »

그라이프 작전

이프 작전()은 무장친위대 코만도 지휘관 오토 스코르체니 중령이 1944년 말, 벌지 전투 당시 휘하 부대인 제150기갑여단을 지휘해 연합군을 혼란에 빠트리려던 작전이었으나, 의도했던 작전은 해보지도 못하고 평범한 기갑부대로 소모되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그라이프 작전 · 더보기 »

극동 사령부 (미국)

극동 사령부()는 남서 태평양 지역 사령부(SWPA)의 후신 조직으로서 극동군 사령부로도 잘알려진 미국의 전구 사령부였.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극동 사령부 (미국) · 더보기 »

긴급자동차

급자동차(緊急自動車)는 인명 구조나 화재진화 등과 같이 긴급한 이유로 시급을 요하는 업무에 이용하는 자동차를 말하며, 사이렌 및 경광등을 장착하고 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긴급자동차 · 더보기 »

김동현 (1984년)

동현 (金東炫, 1984년 5월 20일 -)은 대한민국의 전직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스트라이커였.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김동현 (1984년) · 더보기 »

김민교 (배우)

민교(1974년 4월 15일 ~)는 대한민국의 연출가, 배우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김민교 (배우) · 더보기 »

김백일

경상남도 거제도 포로수용소의 김백일 동상 경상남도 거제도 포로수용소의 김백일 동상 김백일(金白一, 1917년 1월 30일 ~ 1951년 3월 28일)은 만주국과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김백일 · 더보기 »

김경환 (1980년)

경환(1980년 ~)은 한국의 양심적 병역 거부를 이유로 최초로 국외 난민 신청을 하여 받아들여진 인물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김경환 (1980년) · 더보기 »

김구

(金九, 1876년 8월 29일 ~ 1949년 6월 26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인, 교육자, 통일운동가,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김구 · 더보기 »

김두만 (1927년)

만(金斗萬, 1927년 2월 16일 ~)은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외교관이며 정치가 겸 기업가이며 교육행정가 및 사회기관단체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김두만 (1927년) · 더보기 »

김일성

일성(金日成, 1912년 4월 15일 ~ 1994년 7월 8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독재자.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김일성 · 더보기 »

김종석 (1918년)

종석(金鍾碩, 일본식 이름: 日原正人 니치하라 마사히토, 1918년 ~ 1949년?)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군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김종석 (1918년) · 더보기 »

김종필

종필(金鍾泌, 1926년 1월 7일 ~ 2018년 6월 23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김종필 · 더보기 »

김준원 (1888년)

준원(金埈元, 1888년 9월 18일 ~ 1969년 1월 1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김준원 (1888년) · 더보기 »

김창룡

창룡(金昌龍, 1920년 7월 18일 ~ 1956년 1월 30일)은 일본군과 대한민국 국군에서 복무를 한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김창룡 · 더보기 »

김창규 (1920년)

창규(金昌圭, 1920년 3월 7일 ~)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기업인으로 활동하며 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김창규 (1920년) · 더보기 »

김영삼

영삼(金泳三, 1927년 12월 20일 ~ 2015년 11월 22일)은 대한민국의 제14대 대통령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김영삼 · 더보기 »

김영환 (1921년)

영환(金英煥, 1921년 1월 8일 ~ 1954년 3월 4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대한민국 국군과 대한민국 공군의 창설자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김영환 (1921년) · 더보기 »

김석원

석원(金錫源, 일본식 이름: 金山錫源(가네야마 샤쿠겐), 1893년 9월 29일 ~ 1978년 8월 6일)은 일본군 장교를 지낸 대한민국 국군의 육군 군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김석원 · 더보기 »

김성룡 (1926년)

성룡(金成龍, 1926년 6월 5일 ~ 2002년 11월 9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외교관 및 기업가 겸 정치가이며 사회기관단체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김성룡 (1926년) · 더보기 »

김세진 (1965년)

세진(金世鎭, 1965년 2월 20일 ~ 1986년 5월 3일)은 분신 자살한 대한민국의 학생운동가, 반전평화운동가이며 서울대학교에서 학생회 간부로 활동하였.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김세진 (1965년) · 더보기 »

김원봉

원봉(金元鳳, 1898년 9월 28일 (음력 8월 13일) ~ 1958년)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김원봉 · 더보기 »

김완섭

완섭(金完燮, 1963년 ~)은 대한민국의 인터넷 논객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김완섭 · 더보기 »

대대

NATO 기호 표준에 따른 보병 대대 표시 대대(大隊)는 중대보다 크고 연대 또는 전대보다 작은 편제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대 · 더보기 »

대장 (군사)

장(大將)는 군대 계급 중 하나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장 (군사) · 더보기 »

대체복무제

없음 국가별 상비군 병력 군대가 없는 나라, 보라색 표시 대체복무제(代替服務制)는 종교적 혹은 개인적 이유의 비폭력주의 신념에 따라 신념에 따른 병역 거부를 하는 사람들을 위해 국방의 의무를 직접 군대나 관련 기관에서 복무하는 대신에 그에 준하는 어려움을 가진 사회적 활동에 참가함으로써 대체하는 제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체복무제 · 더보기 »

대위

위(大尉)는 군대 계급 중 하나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위 · 더보기 »

대통령 부대 표창 (대한민국)

민국 대통령 부대표창 (大韓民國 大統領 部隊表彰) 은 대한민국 정부의 대통령이 수여하는 표창이며 그 대상은 대한민국 국군 및 해외부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통령 부대 표창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민방위대

민국 민방위대(大韓民國 民防衛隊)는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의 한 종류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 민방위대 · 더보기 »

대한민국 방위사업청

방위사업청(防衛事業廳,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약칭: 방사청, DAPA)은 방위력 개선사업, 군수물자 조달 및 방위산업 육성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 방위사업청 · 더보기 »

대한민국 공군

민국 공군(大韓民國 空軍)은 대한민국의 영공 방위를 책임지는 국군의 일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 공군 · 더보기 »

대한민국 공군 방공포병학교

방공포병학교(Air Defense Artillery School)는 대한민국 공군의 군사 학교로서, 대구광역시 수성구 고산동에 있는 방공 포병을 교육시키는 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 공군 방공포병학교 · 더보기 »

대한민국 공군사관학교

공군사관학교(空軍士官學校, Korea Air Force Academy)는 대한민국 공군의 장교를 배출하기 위해 설립된 사관학교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 공군사관학교 · 더보기 »

대한민국 병무청

병무청(兵務廳, Military Manpower Administration, 약칭: MMA)은 징집·소집 그 밖에 병무행정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 병무청 · 더보기 »

대한민국 국방부

국방부(國防部,, 약칭: MND)는 국방에 관련된 군정 및 군령과 그 밖에 군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 국방부 · 더보기 »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

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 또는 국방부 79호실은 1958년 창설된 대한민국 국방부의 예하 정보기관이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 · 더보기 »

대한민국 국군 포로

국군 포로(國軍捕虜)는 한국 전쟁의 기간 동안 전투 중 조선인민군과 중국인민지원군에 항복하거나 포획된 한국군 포로를 말. 1953년 정전협정 체결시 국제 연합군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쟁 중 포로로 붙집히거나 실종된 한국군을 8만2,000여명으로 추산.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 국군 포로 · 더보기 »

대한민국 국군간호사관학교

국군간호사관학교(國軍看護士官學校, Korea Armed Forces Nursing Academy, KAFNA)는 대한민국 육·해·공군 간호 장교 양성을 위해 설립된 대학교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 국군간호사관학교 · 더보기 »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민국재향군인회(大韓民國在鄕軍人會, Korean Veterans Association) 또는 재향군인회는 1952년에 대한민국 국군 제대 장병 3만여 명을 회원으로 하여 창설된 전역 군인들의 친목단체로 1992년 12월 2일 주무부처가 국방부에서 국가보훈처로 변경되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 더보기 »

대한민국 육군

3사단 수색부대 대한민국 육군(大韓民國 陸軍)은 대한민국의 지상군 전력으로서 대한민국 국군(國軍)의 3군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예산도 가장 많. 2017년 12월 기준으로 대한민국 육군에는 39개 사단(기계화 보병 사단 6개수도, 8, 11, 20, 26, 30, 보병 사단 16개, 향토 방위 사단 12개, 동원 보병 사단 5개)으로 이루어져 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 육군 · 더보기 »

대한민국 육군 보병학교

육군보병학교(陸軍步兵學校)는 대한민국의 군사교육기관으로, 전라남도 장성군에 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 육군 보병학교 · 더보기 »

대한민국 육군 기계화학교

육군기계화학교(陸軍機械化學校)는 대한민국의 군사교육기관으로, 전라남도 장성군에 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 육군 기계화학교 · 더보기 »

대한민국 육군교육사령부

육군교육사령부(陸軍敎育司令部)는 대한민국 육군의 교육을 담당하는 각급학교를 대표하며 미래전력을 창출하며 대전광역시에 있. 창조대(創造臺)라고도 불린.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 육군교육사령부 · 더보기 »

대한민국 육군의 출신별 4성 장군 목록

음은 대한민국 육군의 출신별 4성 장군(四星將軍) 목록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 육군의 출신별 4성 장군 목록 · 더보기 »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육군사관학교(陸軍士官學校)는 대한민국 육군 장교 양성 기관이며,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있. 화랑대(花郞臺)라는 별칭으로도 불린.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 더보기 »

대한민국 예비군

예비군 훈련장의 사격장 제66동원보병사단 소속) 대한민국 예비군(大韓民國 豫備軍, Republic of Korea Reserve Forces, ROK Reserve Forces, ROKRF)은 평상시에는 사회 생활을 하다가 유사시(有事時)에 소집되는 대한민국 국군의 예비 전력으로, 향토예비군(鄕土豫備軍)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 예비군 · 더보기 »

대한민국 헌법 제5조

민국 헌법 제5조는 대한민국 헌법의 조항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 헌법 제5조 · 더보기 »

대한민국 소방방재청

소방방재청(消防防災廳,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약칭: 방재청, NEMA)은 소방·방재·민방위운영 및 안전관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 소방방재청 · 더보기 »

대한민국 소방공무원의 계급 목록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소방공무원 계급에 관한 목록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 소방공무원의 계급 목록 · 더보기 »

대한민국 해병대

민국 해병대(大韓民國 海兵隊)는 대한민국 해군 예하에 편성되어 있는 해병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 해병대 · 더보기 »

대한민국 해군

민국 해군(大韓民國 海軍)은 해상작전 및 상륙작전을 수행하고, 대한민국 국군(國軍)의 주요 조직으로 상륙작전을 주임무로 수행하는 해병대를 예하에 두고 있. 평시에는 전쟁 억제와 해양주권 및 권익을 보호하고 국가 대외 정책을 지원하며, 전시에는 해양 통제와 군사력 투사, 해상교통로 보호를 주 역할로 하고 있. 2014년 병력은 해병대 28,000명을 포함 총 69,000여 명이며, 전력은 수상함 163척(고속정 80여 척 포함), 잠수함 10여 척, 항공기 60여 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차기 군함들을 비롯해 모든 군함들은 선체 전체에 광범위하게 스텔스 설계를 적용하고 레이더 반사율을 줄이기 위해 경사설계를 적용하고 상륙전력으로 상륙돌격장갑차와 전차 등 4종 400여 대를 보유하고 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 해군 · 더보기 »

대한민국 해군사관학교

사관학교(海軍士官學校)는 대한민국 해군 및 해병대 장교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 해군사관학교 · 더보기 »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2007년 8월의 태평양 6호 해양경찰청(海洋警察廳, Korea Coast Guard, 약칭: 해경청, KCG)는 해양에서의 경찰 및 오염방제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 더보기 »

대한민국-베트남 관계

대한민국의 국기 베트남의 국기 대한민국과 베트남의 관계는 1956년 대한민국과 베트남 공화국의 수교로 시작되었으며,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단교하였으나, 1992년 대한민국과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은 재수교하였.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베트남 관계 · 더보기 »

대한민국군 베트남전 참전

민국 국군의 베트남전 참전(大韓民國軍 베트남戰 參戰) 또는 월남전 참전(越南戰 參戰), 월남 참전은 1964년 9월 11일 1차 파병을 시작으로, 1966년 4월까지 4차에 걸친 박정희 정부 하에서 베트남 전쟁에 대한민국 전투부대를 파병한 일을 말. 한국의 파병 제안과 월남정부 및 미국의 요청에 따라 행해진 대한민국 최초의 국군 해외 파병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군 베트남전 참전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공군참모총장

공군참모총장(空軍參謀總長)은 대한민국 공군본부를 대표하는 직위로, 대한민국 공군의 4성 장군으로 보. 대한민국 국군 중에서 합동참모의장, 육군참모총장과 해군참모총장에 이어 의전 서열 4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의 공군참모총장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

민국의 병역 제도는 '국민개병제'를 원칙으로 한 징병제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에 대한 비판

이 문서에서는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에 대한 비판을 서술.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에 대한 비판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기념일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기념일(大韓民國-紀念日)에.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의 기념일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제 순위

음은 의 각 분야별 국제 순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의 국제 순위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군용기 목록

민국 군용기 목록은 대한민국 국군에서 광복 이래 운용한 군용기 목록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의 군용기 목록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전시작전권 전환

민국의 전시작전권 전환은 한미연합사령부가 행사하도록 되어 있는 전시작전권을 대한민국 국군으로 전환하는 것을 말. 2006년 8월, 노무현 대통령이 전시작전권을 전환하기로 방침을 정하자 당시 야당인 한나라당과 군 원로 등 보수진영의 반대로 논쟁이 있었으나, 2009년 10월 22일 한미안보협의회(SCM)에서 대한민국과 미국 정부는 2012년 4월 17일에 전환을 재확인하였.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의 전시작전권 전환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육군참모총장

육군참모총장(陸軍參謀總長)은 대한민국 육군본부를 대표하는 직위로, 대한민국 육군의 4성 장군으로 보. 대한민국 국군 중에서 합동참모본부 의장에 이어 의전 서열 2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의 육군참모총장 · 더보기 »

대한민국의 합동참모의장

합동참모의장(合同參謀議長)은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를 대표하는 직위로, 대장으로 보. 대한민국 국군 현역 군인 중 의전 서열 1위 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의 합동참모의장 · 더보기 »

대한민국의 합동참모차장

합동참모차장(合同參謀次長)은 의장을 보조하고 의장이 부득이한 사유로 그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때에는 그 직무를 대행.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의 합동참모차장 · 더보기 »

대한민국의 해군참모총장

모총장(海軍參謀總長)은 대한민국 해군본부를 대표하는 직위로, 대한민국 해군의 4성 장군으로 보. 대한민국 국군 중에서 합동참모의장과 육군참모총장에 이어 의전 서열 3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의 해군참모총장 · 더보기 »

대한민국에 관한 문서

right 대한민국은 동아시아 한반도의 남쪽에 위치한 민주 공화국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민국에 관한 문서 · 더보기 »

대한제국군

제국의 군인 대한제국 국군(大韓帝國國軍)은 대한제국의 국군이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대한제국군 · 더보기 »

교정시설경비교도대

정시설경비교도대 또는 법무부 교정시설 경비교도대는 국가 주요 보안시설인 전국 교도소, 구치소등의 법무부 교정시설에서 경비임무 및 무장공비로부터 시설 방호의 임무를 수행함을 목적으로 군복무를 하는 법무부 소속의 부대와 그에 속한 대원을 말. 2011년 3월 28일 입대한 329기를 끝으로 신규 차출을 중단하여 2012년 12월 27일 폐지되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교정시설경비교도대 · 더보기 »

국립서울현충원

국립서울현충원(國立-顯忠院, Seoul National Cemetery)은 대한민국 국방부의 소속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국립서울현충원 · 더보기 »

국민보도연맹

국민보도연맹(國民保導聯盟)은 1948년 12월 시행된 국가보안법에 따라 ‘좌익사상에 물든 사람들을 사상전향시켜 이들을 보호하고 인도한다’는 취지와 국민의 사상을 국가가 나서서 통제하려는 이승만 정권이 대국민 사상통제를 목적으로 1949년 6월 5일에 조직했던 대한민국 반공 단체로, 흔히 보도연맹이라고 부른.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국민보도연맹 · 더보기 »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과학연구소(國防科學硏究所,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ADD)는 국방력 강화와 자주국방의 실현에 기여토록 국방과학연구소법에 의하여 설립된 특별법인으로 대한민국 국방부 산하의 기타공공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국방과학연구소 · 더보기 »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國防部 遺骸發掘鑑識團, MND Agency for KIA Recovery & Identification)은 전사자의 유해를 발굴하여 가족의 품으로 보내는 보훈 사업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국방부의 직속부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 더보기 »

국방부검찰단

국방부검찰단(國防部檢察團, Prosecutors Offic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은 군사법원법 및 군검찰부의조직에관한규정(대통령령)을 근거로 2000년 7월 1일 창설된 국방부장관 직속 군내최고검찰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국방부검찰단 · 더보기 »

국방기술품질원

국방기술품질원(國防技術品質院,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 DTaQ)은 대한민국의 국가기관으로 대한민국 국군과 방위산업체에 공급되는 군수품의 품질을 보증하고, 국방분야에서 얻어진 개발정보, 운용정보 등 과학과 기술정보를 수집하고 관리 제공하는 것을 주요업무로 하는 방위사업청 산하 기타공공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국방기술품질원 · 더보기 »

국방대학교

국방대학교(國防大學校, Korea National Defense University 약칭: KNDU)는 1955년에 설립된 국방부 산하의 국립대학교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국방대학교 · 더보기 »

국방일보

국방일보는 국방부 산하 국방홍보원에서 발행하는 대한민국 국군 일간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국방일보 · 더보기 »

국방연구개발기구

국방연구개발기구(Defence Research and Development Organisation, DRDO)는 인도의 국방과학연구소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국방연구개발기구 · 더보기 »

국군

국군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국군 · 더보기 »

국군 도수체조

국군 도수체조(國軍徒手體操)는 맨손으로 하는 체조라는 뜻으로 대한민국 국군에서 실시하는 기본적인 체력단련 체조를 말. 간단히 도수체조라고 부른.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국군 도수체조 · 더보기 »

국군강릉병원

국군강릉병원(國軍江陵病院)은 대한민국 국군에 대한 체계적인 의료지원을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 국방부 국군의무사령부 소속의 국군병원으로 국군강릉병원장은 중령으로 보.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 동해대로 4371-34에 위치하고 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국군강릉병원 · 더보기 »

국군교도소

국군교도소(國軍矯導所, Military Correctional Institution)는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에 있는 대한민국 국군의 군사 교도소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국군교도소 · 더보기 »

국군일동병원

국군일동병원(國軍一東病院)은 대한민국 국군에 대한 체계적인 의료지원을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 국방부 국군의무사령부 소속의 국군병원으로 국군일동병원장은 대령으로 보.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화현리 14‎에 위치하고 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국군일동병원 · 더보기 »

국군의 날

2017년의 국군의 날 행사 1973년의 국군의 날 행사 2013년 국군의 날 행사에서 행진하는 장병. 국군의 날(國軍의 日)는 대한민국의 기념일 중 하나로, 매년 10월 1일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국군의 날 · 더보기 »

국군의무사령부

국군의무사령부(國軍醫務司令部, The Armed Force Medical Command, AFMC)는 군진의학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대한민국 국방부의 기능 사령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국군의무사령부 · 더보기 »

국군지휘통신사령부

국군 지휘통신사령부(國軍指揮通信司令部, Republic of Korea Defense Communication Command 약칭: ROKDCC) 또는 "빛가온부대"는 경기도 과천시에 본부를 두고 있는 대한민국 국방부의 군사 통신 기능 사령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국군지휘통신사령부 · 더보기 »

국군체육부대

국군체육부대(國軍體育部隊, Korea Armed Forces Athletic Corps 약칭: KAFAC)는 대한민국 국군의 체육 부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국군체육부대 · 더보기 »

국군수도병원

국군수도병원(國軍首都病院)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대한민국 국군의무사령부 산하에 있는 대한민국 국군을 치료하기 위한 병원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국군수도병원 · 더보기 »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국군 화생방방호사령부(國軍化生放防護司令部, The Armed Force CBR Defense Command)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에 본부를 두고 있는 대한민국 국방부 직속의 사령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 더보기 »

국제평화지원단

국제 평화 지원단 또는 온누리 부대는 대한민국의 국제평화유지 활동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 기존의 대한민국 육군 특전사 제5공수특전여단(흑룡부대)을 개편한 대한민국 국군 부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국제평화지원단 · 더보기 »

국제협력봉사요원

* 현재 신규 선발이 중단되어 폐지되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국제협력봉사요원 · 더보기 »

군매점

매점(軍賣店)은 군인이나 그 가족을 위한 매점을 가리.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군매점 · 더보기 »

군가

(軍歌)는 전쟁이나 그에 대한 사회적 태도와 관련된 작곡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군가 · 더보기 »

군대가 없는 나라 목록

* 다음의 국가들은 군대를 보유하고 있지 않. 여기서 나라는 독립국 외 다른 나라가 방위를 책임지는 보호국(신탁통치.괌 등)이나 속령(collectivity).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군대가 없는 나라 목록 · 더보기 »

군종장교

종장교는 군대에서 성직자의 임무를 담당하고 수행하는 특수직 장교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군종장교 · 더보기 »

군사 계급

사 계급(軍事階級)은 군 조직의 상하 관계와 지휘 계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만든 제도이다 계급이 모병제를 시행하는 국가의 계급보다 실질적으로 2계급이 낮은 것으로 간주.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군사 계급 · 더보기 »

군사비 지출에 따른 나라 목록

미 중앙정보국 자료에 따른 군비지출 도표 미 중앙정보국 자료에 따른 GDP 대비 군비지출 비율 이 자료는 미 중앙정보국에서 발간하는 월드 팩트 북에 기초하여 2004년을 기준으로 작성되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군사비 지출에 따른 나라 목록 · 더보기 »

남북 관계

민국의 국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기 남북 관계(南北關係)는 현재 분단국가인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의 관계를 말.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남북 관계 · 더보기 »

남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南朝鮮勞動黨), 줄여서 남로당은 1946년 11월 23일 서울에서 조선공산당, 남조선신민당, 조선인민당의 합당으로 결성된 공산주의 정당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남조선로동당 · 더보기 »

남조선국방경비대

조선국방경비대(南朝鮮國防警備隊)는 대한민국 국군의 전신으로서 1946년 1월 15일에 미군정이 1개 연대 병력으로 창설하였.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남조선국방경비대 · 더보기 »

내촌-태릉 전투

-태릉 전투는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초기 육군사관학교장 이준식 준장이 이끄는 육군사관학교 및 생도대대와 배속된 전투경찰대대 등을 이끌고 6월 25일 13:00, 육군본부 명령에 따라 391번 도로를 통제할 수 있는 내촌면 부근의 감제고지에 배치하고 전투를 치러 제9연대와 더불어 불암산~태릉 일대에 방어진지를 편성하고 미아리~태릉 방어선의 우측 일각을 담당하며 치른 전.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내촌-태릉 전투 · 더보기 »

낙동강 전선

낙동강 방어선은 한국 전쟁 초기 대한민국의 최남측 방어선이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낙동강 전선 · 더보기 »

낙산사

낙산사 (洛山寺)는 대한민국 강원도 양양군 오봉산에 있는 사찰로 조계종 제3교구 신흥사의 말사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낙산사 · 더보기 »

노무현 정부

무현 정부(盧武鉉 政府, 2003년~2008년)는 대한민국의 제6공화국의 네 번째 정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노무현 정부 · 더보기 »

노천명

명(盧天命, 1911년 9월 1일 ~ 1957년 6월 16일)은 일제 강점기와 한국의 시인, 작가, 언론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노천명 · 더보기 »

다부동 전투

부동 전투(多富洞戰鬪)는 1950년 한국 전쟁 당시 가장 치열했던 전투로 꼽히는 전투로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에서 전투를 벌인 끝에 대한민국 국군이 조선인민군의 대공세를 저지시키고 대구로 진출하려던 세를 꺾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다부동 전투 · 더보기 »

다대포 무장간첩 침투 사건

무장간첩 침투 사건(多大浦武裝間諜浸透事件)은 1983년 12월 4일 간첩선을 타고 부산 다대포로 침투하던 북한의 무장간첩이 대한민국 국군에 발각되어 간첩선은 격침되고 2명의 간첩이 생포된 사건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다대포 무장간첩 침투 사건 · 더보기 »

단기간부사관

부사관(短期幹部士官)은 대한민국 국군 장교 양성 제도 중 하나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단기간부사관 · 더보기 »

FN 미니미

FN 미니미(소형 기관총)는 파브리크 나시오날 드 에르스탈(Fabrique Nationale de Herstal)사가 생산하는 5.56 × 45 mm NATO 탄 사용 경기관총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FN 미니미 · 더보기 »

용문산 전투

용문산 전투(龍門山 戰鬪)는 한국전쟁 중 1951년 5월 17일 ~ 5월 21일까지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용문산 및 가평군 설악면 일대에서 중공군과 대한민국 국군 사이에 벌어진 전투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용문산 전투 · 더보기 »

특공무술

특공무술 시범 모습 특공무술(特攻武術)은 대한민국군에서 특공 능력, 특전사 수행 능력, 신체 단련 등을 목적으로 개발한 창시무예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특공무술 · 더보기 »

승선근무예비역

승선근무예비역은 병역자원 일부를 평시에는 국민경제에 긴요한 물자, 전시·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비상시에는 병참을 위한 군수물자의 수송을 위한 업무 등의 지원을 위하여 소집되어 승선근무토록 하는 병역제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승선근무예비역 · 더보기 »

자운대

자운대(自雲臺)는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있는 대한민국 국군의 3군 통합 군사 교육 및 훈련 시설이며, 이름과는 달리 자운동에 위치하지 않. 1992년 7월 대전직할시 서구 둔산동에 있던 육군통신학교(현 육군 정보통신학교)가 이곳으로 이전하면서 군사교육기지 조성이 시작되었으며, 이후 육군·해군·공군대학(현재는 합동군사대학교로 통합), 국군간호사관학교, 군의학교, 육군교육사령부 등이 차례로 이전하면서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자운대 · 더보기 »

자위대

자위대()는 자위 조직으로서 육·해·공 3개 자위대로 이루어진 군사 조직이다. 일본 방위성에 소속되어 있다. 최고 지휘·감독권은 내각에 있으며, 내각총리대신이 최고지휘관이다. 방위대신은 내각총리대신의 지휘·감독을 받아 자위대를 지휘한다. 방위성은 자위대의 관리·운영을 목적으로 설치되었는데, 내국(內局)과 육·해·공 자위대의 막료감부(幕僚監部), 통합막료감부, 방위시설청(外局) 및 부속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자위대는 각각 막료감부와 막료장의 감독을 받는다. 총병력은 229,000여 명, 이지스함 6척, 잠수함 16척, 헬기탑재호위함 4척, 전투기는 359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국방비는 510억 달러(GDP의 0.9%)를 지출하고 있다. 18세에서 27세 사이의 남녀가 지원하여 복무하는 모병제로, 최대 49세까지 복무가 가능하다. 일본국 헌법 9조에 의해 현재까지 자위대는 전쟁 행위가 금지되어 있으나 최근에는 국제적 평화유지 임무를 수행한다는 명분으로, 각국의 전쟁에 파견되기 시작했다. 일본에서는 새로운 헌법 개정으로 자위대의 지위와 임무를 정식 군대로 만들자 이에 대해 주변국들간에 군사력 증강이 치열해지고 있다.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자위대 · 더보기 »

장도영

장도영(張都暎, 1923년 1월 23일 ~ 2012년 8월 3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장도영 · 더보기 »

장교

2005년, 미국 해군 사관학교 졸업생들이 모자를 집어던지며 기뻐하고 있다. 장교(將校, commissioned officers)는 한국군에서 위관급 이상의 계급의 간부를 말. 부사관과 병을 지휘하는 계급으로 사관학교나 일반대학교 재학자 또는 졸업자들 가운데 선발.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장교 · 더보기 »

장택상

장택상(張澤相, 1893년 10월 22일 ~ 1969년 8월 1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작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장택상 · 더보기 »

장세동

장세동(張世東, 1936년 9월 27일 ~)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장세동 · 더보기 »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在日本朝鮮人總聯合會)는 일본에 있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강한 소속감을 갖는 재일 조선인의 단체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 더보기 »

작전계획 5015

작전계획 5015(Operational Plan 5015; OPLAN 5015), 간단하게 "작계 5015"로 부르는 이 군사 작전 계획은 북한과의 전면전에만 초점을 두고 있던 작전계획 5027를 개선한 후속 계획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작전계획 5015 · 더보기 »

작전계획 5027

작전계획 5027()은 1974년 처음 만들어진 대한민국 국군의 단계별 작전 계획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작전계획 5027 · 더보기 »

작전계획 5029

작전계획 5029()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작전계획 5029 · 더보기 »

임동춘

임동춘(1949년 7월 19일 ~ 1972년 4월 22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베트남 전쟁에 참전해 안케페스 전투에서 활약하다 전사.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임동춘 · 더보기 »

임관

임관(任官)이란 국가 공무원, 즉 관리로 채용되는 것을 의미.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임관 · 더보기 »

임부택

임부택(林富澤, 1919년 9월 24일 ~ 2001년 11월 13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임부택 · 더보기 »

임태훈 (인권활동가)

임태훈(林泰勳, 1975년 10월 9일~)은 대한민국의 인권 운동가이자 강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강사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임태훈 (인권활동가) · 더보기 »

임시수도

임시수도(臨時首都)는 내전이나 외국의 침략 등으로 본래의 수도가 점령되거나 함락 위험에 처하게 되었을 경우, 정부에 의해 일시적으로 수도(首都)의 기능을 하도록 선택된 도시를 말.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임시수도 · 더보기 »

폭풍 작전

폭풍 작전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에 대항하기 위해 짠 작전으로, 한국 전쟁이 이 작전으로 인해 시작되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폭풍 작전 · 더보기 »

폰초

전형적인 폰초 폰초(poncho)는 남미 안데스 지방의 전통 의상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폰초 · 더보기 »

평양 방어 사령부

평양 방어 사령부, 위장대호 제966대연합부대혹은, 위장명 제91훈련소는 조선인민군의 전투 사령부로서 호위 사령부 에 배속하고 총참모부의 지휘를 받. 남한 육군의 수도방위사령부가 평양방어사령부에 대응되며, 양쪽다 군단 규모의 부대로서 분.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평양 방어 사령부 · 더보기 »

평양 전투 (1950년)

평양 전투는 한국 전쟁 당시 1950년 10월 17일 ~ 10월 19일 국군과 미군이 북한군을 물리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 평양을 탈환한 전투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평양 전투 (1950년) · 더보기 »

평양 철수

평양 철수는 한국 전쟁 당시 1950년 10월 19일에 평양을 점령했던 대한민국 국군과 국제연합군이 중공군에 밀려 1950년 12월 4일에 평양을 철수한 사건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평양 철수 · 더보기 »

평양직할시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평양직할시 · 더보기 »

흥남 철수 작전

제도 포로수용소에 있는 흥남 철수 작전 기념비 흥남 철수 작전(興南撤收作戰)은 중공군이 한국 전쟁에 개입하여 전세가 불리해지자, 1950년 12월 15일에서 12월 24일까지 열흘간 동부전선의 미국 10(X) 군단과 대한민국 1군단을 흥남항에서 피난민과 함께 선박편으로 안전하게 철수시킨 작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흥남 철수 작전 · 더보기 »

이명박

이명박(李明博, 1941년 12월 19일 ~)은 대한민국의 제17대 대통령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이명박 · 더보기 »

이문열

이문열(李文烈, 1948년 6월 24일(음력 5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며,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좌교수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이문열 · 더보기 »

이병주 (군인)

이병주(李丙冑, 1921년 ~ ?)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군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이병주 (군인) · 더보기 »

이광재 (정치인)

이광재(李光宰, 1965년 2월 28일 ~)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이광재 (정치인) · 더보기 »

이기건

이기건(李奇建, 1919년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이기건 · 더보기 »

이용문 (군인)

이용문(李龍文, 1916년 1월 22일 ~ 1953년 6월 24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이용문 (군인) · 더보기 »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이승만 · 더보기 »

이회영

이회영(李會榮, 1867년 4월 21일 (음력 3월 17일) ~ 1932년 11월 17일)은 대한제국의 교육인, 사상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한국의 아나키스트 계열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이회영 · 더보기 »

이희성 (1924년)

이희성(李熺性, 1924년 12월 29일 경남 고성 ~)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 국영기업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이희성 (1924년) · 더보기 »

이인권 (1919년)

이인권(李寅權, 1919년 ~ 1973년)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가수 겸 작곡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이인권 (1919년) · 더보기 »

이응준 (군인)

이응준(李應俊, 1890년 8월 12일 ∼ 1985년 7월 8일)는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이다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중장.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이응준 (군인) · 더보기 »

이종찬 (1916년)

이종찬(李鐘贊, 1916년 3월 10일 ~ 1983년 2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일본군 장교 출신의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이종찬 (1916년) · 더보기 »

이주일 (군인)

이주일(李周一, 1918년 11월 14일 ~ 2002년 1월 28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이주일 (군인) · 더보기 »

이쾌대

이쾌대(李快大, 1913년 1월 15일 ~ 1965년)는 한국의 화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이쾌대 · 더보기 »

이상진 (1919년)

이상진(李尙振, 1919년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군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이상진 (1919년) · 더보기 »

이탈리아군

이탈리아군()은 이탈리아의 군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이탈리아군 · 더보기 »

이예다

이예다(1991년 ~).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이예다 · 더보기 »

이현상

이현상(李鉉相, 1905년 9월 27일 ~ 1953년 9월 17일)은 한국의 공산주의계열 독립운동가, 사회주의자, 노동운동가이며, 해방 후에는 남조선로동당의 간부로 지리산 일대를 중심으로 파르티잔 활동을 주. 일제 강점기 당시 독립운동과 노동운동에 참여하였고, 해방 이후에는 박헌영 등과 함께 조선공산당 재건 운동과 남조선로동당 활동을 하였.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이현상 · 더보기 »

이형근

이형근(李亨根, 1920년 11월 2일 ~ 2002년 1월 13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외교관 겸 정치가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대장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이형근 · 더보기 »

이양호 (1937년)

이양호(李養鎬, 1937년 6월 16일 ~)는 대한민국의 군인 겸 정치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이양호 (1937년) · 더보기 »

이성가

이성가(李成佳, 1922년 ~ 1975년 12월 1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군인 겸 정치가 및 외교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이성가 · 더보기 »

이학봉

이학봉(李鶴捧, 1938년 5월 15일 ~ 2014년 5월 24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을 지낸 정치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이학봉 · 더보기 »

이시영 (1868년)

이시영(李始榮, 문화어: 리시영, 1868년 12월 3일 한성부 ~ 1953년 4월 17일)은 조선,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이시영 (1868년) · 더보기 »

이후락

이후락(李厚洛, 1924년 2월 23일 ~ 2009년 10월 31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을 지낸 외교관 겸 정치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이후락 · 더보기 »

인천 상륙 작전

인천 상륙 작전(仁川上陸作戰, Battle of Incheon)은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0년 9월 15일 UN군 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의 주도로 시작된 상륙작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인천 상륙 작전 · 더보기 »

의무소방대

의무소방원 기능구분표지장 의무소방대(義務消防隊)는 대한민국의 전환, 대체복무제도의 하나로, 그동안 제기되어 왔던 소방행정 수요에 비해 절대 부족한 현장활동인력을 확충하여 소방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도입된 제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의무소방대 · 더보기 »

의사

의사(醫師, medical doctor, physician, surgeon)는 의학의 전문가로서 인체와 질병, 손상, 각종 신체 혹은 정신의 이상을 연구하고 진단, 치료함으로써 인간의 건강을 증진하고 유지하며 회복시키는 일을 수행하는 사람을 말. 의료법에 의하면 의료진은 의사·치과의사·한의사·조산사(助産師)·간호사(看護師)로 나누고 있으며, 이 중 의사는 의료와 보건지도에 종사함을 임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의사 · 더보기 »

을종하사관

을종하사관(乙種下士官)은, 과거에 존재했던 대한민국 국군의 중요 간부과정 중의 하나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을종하사관 · 더보기 »

제15보병사단 (대한민국)

제15보병사단(第十五步兵師團, The 15th Infantry Division, 별명: 승리부대)은 휴전선 중동부 전선을 맡고 있는 사단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제15보병사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제1군단 (미국)

제1(I)군단(I Corps)는 미국 육군의 첫 번째 군단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제1군단 (미국) · 더보기 »

제20CBRNE사령부

제20CBRNE사령부(20th CBRNE Command), 제20지원사령부로도 알려져 있는 메릴랜드 주, 애버딘의 애버딘 실험장에 본부를 두고있는 미국 육군의 화학, 생물학, 방사능, 핵 및 고성능 폭발물() 대응 사령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제20CBRNE사령부 · 더보기 »

제20기계화보병사단 (대한민국)

제20기계화보병사단(第二十機械化步兵師團, The 20th Mechanized Infantry Division) "결전"은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 보병 사단으로, 제7기동군단의 예하 부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제20기계화보병사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제21보병사단 (대한민국)

제21보병사단(第二十一步兵師團,, 별명: 백두산부대)은 대한민국 3군단 예하의 보병 사단으로, 강원도 양구군에 본부를 두고 있. 한국 전쟁 말기인 1953년 1월 15일에 20사단과 함께 창설되었으며, 백두산까지 진격하여 태극기를 꽂으라는 이승만 대통령의 명령에 따라 백두산 부대로 이름 붙여졌.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제21보병사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제25보병사단 (대한민국)

제25보병사단(第二十五步兵師團, The 25th Infantry Division, 별명: 비룡부대)은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사단으로서 제1땅굴(경기도 연천군 백학면 포춘리 소재)을 발견하였.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제25보병사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제27보병사단 (대한민국)

제27보병사단(第二十七步兵師團, The 27th Infantry Division, 별명: 이기자부대)은 휴전선 동부 전선을 맡고 있는 사단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제27보병사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제2보병사단 (미국)

제2보병사단(2nd Infantry Divison, 2ID또는 2nd ID)은 미국 육군의 사단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제2보병사단 (미국) · 더보기 »

제2보병사단 (대한민국)

제2보병사단 "노도"(第二步兵師團, The 2nd Infantry Division)은 휴전선 중동부 전선을 맡고 있는 사단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제2보병사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제2차 동두천 전투

제2차 동두천 전투는 한국 전쟁에서 중공군에 의해 패배한 대한민국 국군이 동두천에서 벌인 전투였.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제2차 동두천 전투 · 더보기 »

제2차 서울 전투

제2차 서울 전투(Second Battle of Seoul) 또는 9·28 서울 수복(九二八 ── 收復)은 한국전쟁의 전투 중 일부로, 1950년 9월 15일 실시된 인천 상륙 작전의 성공 이후 9월 28일까지 서울 수복을 위해 치러진 전투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제2차 서울 전투 · 더보기 »

제2사관학교

제2사관학교는 경상남도 창원에 있었던 대한민국 국군 장교 양성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제2사관학교 · 더보기 »

제58군 (일본군)

제58군(다이 고쥬하치군)은 결호 작전에 따라 긴급히 창설되어 조선의 제주도에 주둔했었던 일본 제국의 군단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제58군 (일본군) · 더보기 »

제6보병사단 (대한민국)

제6보병사단(第六步兵師團, The 6th Infantry Division, 별명: 청성부대)는 1948년 11월 20일에 창설된 대한민국 육군 보병 사단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제6보병사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제마 부대

제마 부대 또는 이라크 의료지원단은 2001년 이라크 전쟁으로 상처받은 이라크 국민에게 의료지원 위해 파병된 대한민국 국군 부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제마 부대 · 더보기 »

제복

제복(制服), 또는 유니폼(uniform)은 일정한 기준에 의해 정해진 동일한 양식의 복장으로, 집단이나 조직에 소속된 인원이 조직 활동에 참여할 때 입는 의복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제복 · 더보기 »

전문연구요원

전문연구요원은 대한민국의 전환, 대체복무제도 중 하나로,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병역의무가 있는 사람 가운데 일부를 선발하여 현역으로 복무하는 대신에, 연구기관에 대체 복무하도록 하는 제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전문연구요원 · 더보기 »

전두환

전두환 (全斗煥, 1931년 1월 18일 ~)은 대한민국 제11•12대 대통령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전두환 · 더보기 »

전인범

전인범(全仁釩, 1958년 9월 6일 ~)은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전인범 · 더보기 »

전투경찰순경

2007년 3월 한미합동군사훈련 항의 시위를 대비하여 작전중인 전투경찰순경 전투경찰순경(戰鬪警察巡警)은 작전전투경찰순경(작전전경. 약칭 전경)과 의무전투경찰순경(의무경찰. 약칭 의경)으로 구분.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전투경찰순경 · 더보기 »

전시 작전통제권

전시 작전통제권(戰時作戰統制權)은 전시에 군대를 총괄적으로 지휘하고 통제할 수 있는 권한을 말. 일반적으로 각 나라는 평시 때 군대를 총괄적으로 지휘, 통제하는 권한인 평시 작전권(平時作戰統制權)과 전시 작전권을 갖는데, 예외로 현재 대한민국만은 전시 작전권을 한미연합사령부(ROK-US CFC)에 이양하고 있. 연합군에서 작전통제권을 어느 쪽이 갖느냐는 문제는 매우 민감한 사안인데, 전문가들은 NATO형과 일본형으로 구분하고 있. 한겨레 2004-05-23.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전시 작전통제권 · 더보기 »

정령

정령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정령 · 더보기 »

정승화

정승화(鄭昇和, 1929년 2월 27일 ~ 2002년 6월 12일)는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정승화 · 더보기 »

정인숙 (1945년)

정인숙 정인숙(鄭仁淑, 1945년 2월 13일 ~ 1970년 3월 17일)은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정인숙 (1945년) · 더보기 »

정인숙 피살사건

정인숙 피살사건(鄭仁淑 被殺事件)은 제3공화국 당시의 의문사로 고급 요정 종업원인 정인숙이 교통사고를 가장한 사고에 의해 암살된 사건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정인숙 피살사건 · 더보기 »

정일권

정일권(丁一權, 1917년 11월 21일 ~ 1994년 1월 17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이며, 외교관과 정치가이다 러시아 연해주 니콜리스크(現 우수리스크)에서 태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정일권 · 더보기 »

정위

정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정위 · 더보기 »

정순덕 (1933년)

정순덕(鄭順德, 1933년 6월 ~ 2004년 4월 1일)은 한국 전쟁 중 지리산에서 조선인민유격대 여성대원으로 활동한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정순덕 (1933년) · 더보기 »

정호용

정호용(鄭鎬溶, 1932년 9월 10일 ~)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정호용 · 더보기 »

저격능선 전투

저격능선 전투(狙擊稜綫戰鬪)는 1952년에 중부전선의 김화(현재의 철원군 김화읍 주변)지역에 배치되어 있던 국군 제2사단이 중공군 제15군에 맞서, 6주간에 주저항선 전방의 전초진지를 빼앗기 위한 공방전을 벌인 지역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저격능선 전투 · 더보기 »

조창호 (군인)

조창호(趙昌浩, 1932년 ~ 2006년 11월 19일)는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한국 전쟁 당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포로로 납북되어 전사자로 처리되었다가 43년 여만에 대한민국에 귀환한 인물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조창호 (군인) · 더보기 »

조영남

조영남(趙英男, 1945년 4월 2일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조영남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 관계

조선과 중국과의 관계는 선사 시대 이후부터 시작된 오래된 관계이.(→ 한중 관계).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 관계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역사

반도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의 군정기를 거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대한민국(남한)으로 나뉘게 되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역사 · 더보기 »

조선인민군

조선인민군(朝鮮人民軍)은 조선로동당의 군대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조선인민군 · 더보기 »

조선인민유격대

조선인민유격대(朝鮮人民遊擊隊)는 한국 전쟁을 전후하여 대한민국 영역에서 유격전을 수행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파르티잔 부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조선인민유격대 · 더보기 »

조선총독부 청사와 관사

조선총독부 청사(朝鮮總督府廳舍)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일제 강점기 조선에서 일본 제국의 식민 통치를 시행한 최고 행정 관청인 조선총독부가 사용한 건물이며, 조선총독부 관사(朝鮮總督府官舍)는 조선총독부와 유관 기관의 관리들을 위해 지어진 주택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조선총독부 청사와 관사 · 더보기 »

주특기번호

주특기번호는 군사특기에 따라 대한민국 국군에서 장교, 준사관(준위), 부사관, 병 모두에게 부여하는 번호를 말. 4가지 신분에 따라 해당되는 번호와 특기가 각기 다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주특기번호 · 더보기 »

주한 미군

주한 미군(駐韓美軍)은 대한민국에 주둔하는 미국의 군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주한 미군 · 더보기 »

주한 미군 군사 고문단

주한 미군 군사고문단(공식적으로는)은 대한민국 국군에 대해 군사적으로 조언 및 고문을 하는 주한 미군의 군사 부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주한 미군 군사 고문단 · 더보기 »

주한 미군 사령관

주한 미군의 사령관()은 한반도에 주둔하고 있는 통합 전투 사령부인 주한 미군을 총괄적으로 지휘하는 사령관의 직책을 가리.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주한 미군 사령관 · 더보기 »

주월한국군사령부

주월한국군사령부(駐越韓國軍司令部)은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베트남 공화국에 주둔하고 있던 모든 한국군을 통솔했었던 합동 사령부였.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주월한국군사령부 · 더보기 »

중공군 춘계공세

중공군 춘계공세 또는 중공군 제5차 공세는 한국 전쟁 당시 중국인민지원군에 의해 수행된 군사 작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중공군 춘계공세 · 더보기 »

중국 인민해방군

중국 인민해방군()은 중국 공산당 중앙 군사 위원회의 지휘하에 있는 당의 군대이며 통합군체제로 중앙군사위에 인민해방군 4총부장(총참모장, 총정치부장, 총장비부장, 총후근부장)과 육군사령관, 해군사령관 및 공군사령관과 로켓군사령관이 참여.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중국 인민해방군 · 더보기 »

중국인민지원군

전쟁기념관에 전시된 중국인민지원군의 무기들 중국인민지원군(中國人民志願軍)는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지원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중국인민지원군 · 더보기 »

중위

중위(中尉)는 군대 계급 중 하나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중위 · 더보기 »

중화민국 국군

중화민국 국군(中華民國 國軍)은 중화민국의 정규군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중화민국 국군 · 더보기 »

준 부사관

에 있었던 '일반하사'와 그의 현재 행정 상으로만 존재하는 '본인의 지원에 의하지 않고 임용된 하사', 그리고 현행 새롭게 만든 '전문하사' 등을 통칭하여 '준 부사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준 부사관 · 더보기 »

준사관

준사관(准士官)은 군대 계급 중 하나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준사관 · 더보기 »

진돗개 경보

돗개 경보는 진돗개의 이름을 따서 만든 대한민국의 경보로, 북한의 무장공비나 특수부대원 등이 대한민국에 침투했을 때, 부대에서 탈영병이 발생했을 때 등 국지적 위협 상황이 일어났을 때 발령되는 단계별 경보 조치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진돗개 경보 · 더보기 »

진짜 사나이 (노래)

〈진짜 사나이〉는 유호가 작사하고 이흥렬이 작곡한 노래로, 1962년 발표되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진짜 사나이 (노래) · 더보기 »

진짜 사나이 (텔레비전 프로그램)

《리얼입대 프로젝트 - 진짜 사나이》는 일밤의 2부 코너로 2013년 4월 14일부터 2016년 11월 27일까지 방영하고 출연자들이 대한민국 국군 예하의 부대를 5박 6일 간 머물며 병영 훈련을 체험하는 프로그램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진짜 사나이 (텔레비전 프로그램) · 더보기 »

진선미

선미(陳善美, 1967년 5월 14일 ~)는 대한민국의 변호사이자 제19·20대 국회의원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진선미 · 더보기 »

징병검사

징병검사(徵兵檢査)는 징병제를 실시하고 있는 나라에 살고 있는 모든 국민(주로 성인 남성)들이 군대에 복무하기 전에 군 복무에 적합인지 부적합인지를 선별받는 절차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징병검사 · 더보기 »

징병제

없음 국가별 상비군 병력 군대가 없는 나라, 보라색 표시 징병제(徵兵制)는, 국가가 국민을 대상으로, 해당 국가를 방위할 병역 의무를 강제로 부여하는 제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징병제 · 더보기 »

지만원

만원(池萬元, 1942년 12월 27일 ~)은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군사평론가, 사회기관단체 대표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지만원 · 더보기 »

지청천

청천(池靑天, 1888년 2월 15일 ~ 1957년 1월 15일)은 일제 강점기 조선의 항일 독립운동가 겸 군인이었으며, 만주에서 독립군 활동을 지휘하다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광복군 창설에 참여하여 광복군사령관·광복군 총사령관 등을 역임하였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는 정치가 겸 정당인으로 활동하였.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지청천 · 더보기 »

참모총장

모총장(參謀總長)은 육해공의 선임 장교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참모총장 · 더보기 »

참수리급 고속정

수리급 고속정(大鷲型哨戒艇)은 백구급 미사일 고속정의 제조 단가가 비싸 Low급 전력으로 개발된 대한민국 해군의 주력 고속정으로, 소령이 편대장으로 지휘하며 대위가 정장으로 지휘.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참수리급 고속정 · 더보기 »

채명신

명신(蔡命新, 1926년 11월 27일 ~ 2013년 11월 25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외교관·공무원·정치가·체육인·사회기관단체인으로 6·25 전쟁과 월남전쟁의 지휘관으로 참전하였.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채명신 · 더보기 »

철원 승일교

원 승일교(鐵原 昇日橋)는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東松邑) 장흥리(長興里)와 갈말읍(葛末邑) 내대리(內垈里)를 잇는 한탄강의 다리로 지방도 제463호선에 속해 있. 고석정인근에 있으며,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26호로 지정되어 있. 교량의 노후화로 현재 차량은 1999년 개통된 한탄대교를 이용해야.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철원 승일교 · 더보기 »

철원군 (남)

원군(鐵原郡)은 대한민국 강원도 북서부에 위치한 군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철원군 (남) · 더보기 »

초산군

산군(楚山郡)은 자강도에 위치한 군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초산군 · 더보기 »

추적 60분의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KBS 2TV의 시사고발 프로그램 《추적 60분》의 방영 목록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추적 60분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카투사

사() 는 대한민국 육군인사사령부 예하 주한 미8군 한국군지원단(駐韓美8軍 韓國軍支援團) 소속으로서 주한 미국 육군에 파견되어 근무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군인을 말.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카투사 · 더보기 »

캠프 헨리

헨리(Camp Henry)는 대구광역시 남구 이천동에 위치한 주한 미군 육군의 기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캠프 헨리 · 더보기 »

판문점

문점(板門店)은 한국 전쟁의 정전 협상이 진행된 곳으로, 대한민국의 행정구역상으로는 경기도 파주시 진서면 어룡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구역상 황해북도 개성특급시 판문점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원래의 행정구역은 경기도 장단군 진서면 어룡리였.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판문점 · 더보기 »

판문점 도끼 살인 사건

문점 도끼 살인 사건(板門店 도끼 殺人事件) 은 1976년 8월 18일 판문점 인근 공동경비구역 내에서 조선인민군 군인 30여명이 도끼를 휘둘러 미루나무 가지치기 작업을 감독하던 주한 미군 장교 2명을 살해하고 주한 미군 및 대한민국 국군 병력 다수에게 피해를 입힌 사건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판문점 도끼 살인 사건 · 더보기 »

유동열

유동열 (柳東說, 1879년 3월 26일 ~ 1950년 10월 18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유동열 · 더보기 »

유머 일번지

《유머 일번지》는 한국방송공사 KBS2 채널에서 1983년 4월 2일부터 1992년 10월 4일까지 주말 저녁에 방송되었던 인기 코미디 프로그램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유머 일번지 · 더보기 »

유관희 (1891년)

유관희(柳寬熙, 1891년 6월 11일 ~ 1963년 1월 22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며 교육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유관희 (1891년) · 더보기 »

유길준

유길준(兪吉濬, 1856년 양력 11월 21일(음력 10월 24일) ~ 1914년 양력 9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교관, 작가이며 대한제국의 정치가·개화 사상가·계몽운동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유길준 · 더보기 »

유승렬 (1893년)

유승렬(劉升烈, 1893년 3월 9일 ~ 1968년 5월 18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유승렬 (1893년) · 더보기 »

유재흥

유재흥(劉載興, 1921년 8월 3일 ~ 2011년 11월 26일)은 일제 강점기의 일본군 장교이자 대한민국의 친일파 군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유재흥 · 더보기 »

유엔기념공원

유엔 기념 공원(UNMCK, 한자: 유엔記念公園)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남구에 있는 유엔군 묘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유엔기념공원 · 더보기 »

유원식 (군인)

유원식(柳原植, 1914년? ~ 1987년 1월 31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유원식 (군인) · 더보기 »

육군훈련소

호국연무사 연무대성당(김대건성당) 육군훈련소(陸軍訓練所)는 대한민국 국군의 가장 큰 교육 부대 이.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에 있는 이 부대는 대한민국 육군의 기초군사교육을 실시하는 교육 부대로서 1951년 11월 '육군 제2훈련소'라는 이름으로 창설되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육군훈련소 · 더보기 »

윤보선

윤보선(尹潽善, 1897년 8월 26일 ~ 1990년 7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제4대 대통령을 역임한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윤보선 · 더보기 »

윤병현

윤병현(尹昞賢, 1920년 10월 5일 ∼ 2006년 12월 7일)은 대한민국의 육군참모차장과 육군 제2군사령관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윤병현 · 더보기 »

윤승선

윤승선(尹昇善, 1904년 8월 7일 - 1966년 7월 20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며, 대한민국의 해군, 해병대 창설에 참여하였.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윤승선 · 더보기 »

윤흥정

윤흥정(尹興禎, 1926년 10월 26일 ~ 2002년 9월 15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겸 정치가이며 국영기업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윤흥정 · 더보기 »

윤치왕

윤치왕(尹致旺, 일본식 이름: 이토 지오(伊東致旺), 1895년 2월 17일 ~ 1982년 12월 21일)은 일제 강점기의 산부인과, 외과 의사이자 의학자, 의학 교육자이며 대한민국의 산부인과 의사, 군의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윤치왕 · 더보기 »

윤태일 (1918년)

윤태일(尹泰日, 1918년 6월 18일 ~ 1982년 12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의 군인이며,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윤태일 (1918년) · 더보기 »

팀 스피리트

스피리트(Team Spirit)는 1976년부터 1992년을 제외한 1993년까지 이뤄진 주한 미군과 대한민국 국군의 합동 군사훈련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팀 스피리트 · 더보기 »

상근예비역

상근예비역(常勤豫備役)은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로, 현역병과 같이 기초군사교육(육군은 5주, 해군은 6주, 해병대는 7주)을 마친 후, 집에서 출·퇴근하며 근무하도록 하는 제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상근예비역 · 더보기 »

상주 전투 (1950년)

상주 전투는 한국 전쟁 초중기 미 제25사단이 상주를 중심으로 중부지역의 국군을 지원하고, 미 제1기갑사단은 경부국도상의 미 제24사단을 지원키로 결정됨에 따라, 이들 양 사단이 낙동강선을 기저로 한 상주와 영동-김천의 축선에서 제8군의 계획에 따라 지연전을 함께 벌인 전투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상주 전투 (1950년) · 더보기 »

태백산맥 (소설)

벌교읍 태백산맥 문학관, 2015년 《태백산맥》은 소설가이자 동국대학교 연구교수인 조정래가 쓴 대하소설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태백산맥 (소설) · 더보기 »

태풍전망대

풍전망대 비석 태풍전망대는 경기도 연천군 중면 횡산리에 있는 대한민국 국군 관할의 전망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태풍전망대 · 더보기 »

탈레반 한국인 납치 사건

반 한국인 납치 사건은 2007년 7월 19일(현지 시각) 아프가니스탄 카불에서 칸다하르로 향하던 23명(남자 7명, 여자 16명)의 대한민국 국민이 탈레반 무장 세력에 납치되었던 사건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탈레반 한국인 납치 사건 · 더보기 »

탈나치화

화()는 분단 시대의 독일 (1945년 ~ 1990년)에서 나치 시대의 잔재를 일소한 작업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탈나치화 · 더보기 »

탄피받이

받이(彈皮-)는 대한민국 국군에서 사격을 하거나 훈련시 사용하는 군용장비로 망사로 만든 주먹만한 크기의 주머니로서, 격발 후에 약실에서 빠져나간 탄피를 회수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 M16A1, M4A1, K1, K2, K3에 맞게 나뉘어 있. 미군을 비롯한 거의 모든 국가의 군대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있. 탄피받이는 탄피를 수거하기 위해 총에 장착하는 장비로서 격발불량의 원인이 되는 등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 그러나 탄피를 회수하는 한국군의 방침상 어쩔 수 없이 탄피받이를 달고 다녀야.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탄피받이 · 더보기 »

수도방위사령부

수도방위사령부의 헌병 수도방위사령부 "방패"(首都防衛司令部, Capital Defense Command)는 서울특별시를 방위하는 임무를 가진 대한민국 육군본부 직할의 사령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수도방위사령부 · 더보기 »

영국 국방과학기술연구소

영국 국방과학기술연구소(Defence Science and Technology Laboratory, DSTL)은 영국 국방부 국방과학기술연구하는 산하 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영국 국방과학기술연구소 · 더보기 »

영창 (징계)

영창(營倉)은 군대에서 군인을 특정한 장소에 단기간(15일 이내) 동안 구금하는 형을 의미.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영창 (징계) · 더보기 »

영원사 (함양군)

영원사(靈源寺)는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사찰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영원사 (함양군) · 더보기 »

오디 머피

오디 리언 머피(1926년 6월 20일 ~ 1971년 5월 28일)"Biography for Audie Murphy" (bio), IMDb, webpage:.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오디 머피 · 더보기 »

오종혁

오종혁(吳鐘赫,1983년 2월 16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 가수이자 클릭비의 멤버 이. 1999년 데뷔했으며 솔로로는 OJ라는 예명으로 활동한다 2008년《온에어》로 뮤지컬에 데뷔한 그는 연기자로서 새로운 변신을 시. 이후《쓰릴 미》,《오디션》으로 차근차근 무대 경험을 쌓았.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오종혁 · 더보기 »

호국훈련

호국훈련은 합동참모본부가 주관하고 육군/해군/공군이 같이 실시하는 대한민국 국군의 합동 야전 훈련 연습(FTX)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호국훈련 · 더보기 »

호커 800

이시온 호커 800 호커 800(Hawker 800)은 중형 2발 엔진을 탑재한 상업용 항공.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호커 800 · 더보기 »

옹진반도 전투

옹진반도 전투(甕津半島戰鬪)는 1950년 한국 전쟁 당시 독립 제 17연대(연대장 대령 백인엽)가 전차 1개 중대로 증강된 조선인민군 제 6사단 14연대와 38경비 제 3여단과 맞서 치른 방어전투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옹진반도 전투 · 더보기 »

예술체육요원

예술체육요원은 사회복무제도의 하나로 대한민국의 대체복무제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예술체육요원 · 더보기 »

예성강철교

예성강철교는 연백군(현 배천군)의 성호역과 개풍군의 예성강역사이에 있던 예성강의 철교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예성강철교 · 더보기 »

현리 전투

현리 전투(縣里戰鬪)는 한국전쟁 중 1951년 5월 16일 ~ 5월 22일 동안 강원도 인제군 기린면 현리에서 중공군과 조선인민군, 한국군 사이에서 벌어진 전투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현리 전투 · 더보기 »

현무-1

현무-1(玄武-1)은 대한민국이 개발한 단거리 지대지 미사일(SSM)로, 사정거리는 180km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현무-1 · 더보기 »

현무-3

세계 국가별 순항미사일 전력 비교현무-3(玄武-3)은 대한민국이 개발한 토마호크형 순항 미사일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현무-3 · 더보기 »

현빈

현빈(炫彬, (金泰坪) 1982년 9월 25일 ~)은 대한민국의 남자 배우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현빈 · 더보기 »

현역

현역(現役)은 입대 직후부터 상시 근무하는 군인을 가리.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현역 · 더보기 »

형제의 상

형제의 상 형제의 상 확대 사진 형제의 상(兄弟의 像)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전쟁기념관에 설치된 기념조형물로 지름은 18m, 높이는 11m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형제의 상 · 더보기 »

형산강 방어 전투

형산강 방어 전투는 한국전쟁 기간 중 9월 5일 부터 9월 13일 까지 형산강을 도하하여 포항으로 진출하려는 조선인민군 제5사단을 대한민국 제3사단이 저지한 전투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형산강 방어 전투 · 더보기 »

최주종

주종(崔周鍾, 1922년 ~ 1998년 3월 3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최주종 · 더보기 »

최영희 (1921년)

영희(崔榮喜, 1921년 3월 1일 ~ 2006년 1월 11일)는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 외교관으로 한국 전쟁의 지휘관이었으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중장 전역 이후, 대한민국에서 국방부 장관과 국회의원을 지낸 인물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최영희 (1921년) · 더보기 »

양국진 (1916년)

양국진(楊國鎭, 1916년 ~ 1981년)는 만주국과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예편 후에는 기업인으로 활동.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양국진 (1916년) · 더보기 »

행정관서요원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행정관서요원 · 더보기 »

행주 도하 작전

행주도하 작전은 한국 전쟁 초기 퇴로가 막힌 국군 제1사단이 김포 반도와 행주 지역에서 한강 이남으로 감행한 남진 도하 작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행주 도하 작전 · 더보기 »

헨드릭 하멜

Hendrik Hamelhuis, 호린험 헨드릭 하멜(1630년 8월 20일 ~ 1692년 2월 12일)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 소속 선원이자 서기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헨드릭 하멜 · 더보기 »

여수 반잠수정 침투 사건

여수 반잠수정 침투 사건(麗水半潛水艇浸透事件)는 대한민국 국군이 1998년 12월 17일 여수 인근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반잠수정을 발견하고 18일 새벽 남해 일대에서 추격과 교전을 벌여 침몰시킨 사건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여수 반잠수정 침투 사건 · 더보기 »

여수·순천 사건

여수·순천 사건(麗水順天事件) 또는 여순 사건(麗順事件)은 1948년 10월 19일부터 10월 27일까지 당시 전라남도 여수시에 주둔하고 있던 14연대의 군인 2,000여 명이 중위 김지회, 상사 지창수 등 남로당 계열 군인을 중심으로 제주 4·3 사건 진압 명령을 거부하고 무장 반란을 일으켜 이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전라남도 동부 지역의 많은 민간인이 희생된 사건을 말. 이 사건으로 반란군에 의해 경찰 74명을 포함해 약 150 명의 민간인이 살해당했고, 정부측 진압 군경에 의해 2,500여 명의 민간인이 살해당.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여수·순천 사건 · 더보기 »

연평도

연평도(延坪島)는 경기만 북서쪽에 있는 대한민국 관할의 섬으로, 소연평도 등 주변의 부속 섬과 함께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에 속. 2016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연평면의 인구는 2천209 명, 1천372 가구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연평도 · 더보기 »

연평도 포격

K-9 자주포 연평도 포격(延坪島 砲擊)은 2010년 11월 23일 오후 2시 30분 경, 북한이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의 대연평도를 향해 포격을 가한 사건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연평도 포격 · 더보기 »

연천 530GP 사건

연천 530GP 사건은 2005년 6월 19일 새벽 대한민국 경기도 연천군 중면 삼곶리 중부전선 비무장 지대(DMZ) 내 국군 28사단 소속 GP에서 일어난 피격 사건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연천 530GP 사건 · 더보기 »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건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고(漣川豫備軍訓鍊場爆發事故)는 1993년 6월 10일 대한민국 육군 155mm 포 사격장(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소재)에서 수도군단 제967포병대대가 당월 동원예비군 포사격 훈련을 하던 중 폭발사고가 일어나 현역 장병, 예비군 피훈련자 등 20명이 사망한 사고를 말. 이 사고로 6월 15일 권영해 국방부장관은 해당 여단장 김정웅 준장을 보직해임하고, 967대대장 배두용 중령, 통제단장 윤점복 중령, 당시 훈련장 통제관인 김인남 대위 등을 구속하였.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건 · 더보기 »

푸른거탑

《푸른거탑》은 2012년 tvN에서 방영되었던 롤러코스터의 코너로 방영되었고, 2013년 1월 23일부터는 독립 편성되어 방영되고 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푸른거탑 · 더보기 »

푸른거탑 리턴즈

《푸른거탑 리턴즈》는 2013년부터 tvN에서 종영 방송된 《푸른거탑》 시리즈의 마지막 작품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푸른거탑 리턴즈 · 더보기 »

푸른거탑 제로

《푸른거탑 제로》은 2013년 9월 11일부터 2013년 11월 20일까지 대한민국의 tvN에서 방영된 군디컬 드라마로 푸른거탑의 말년병장의 훈련병 시절을 그린 프리퀄이자 시즌 2에 해당하는 작품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푸른거탑 제로 · 더보기 »

키 리졸브

리졸브(Key Resolve)는 한반도 유사시 미국 증원 전력을 전개하는 한ㆍ미 간 연례 군사 연습을 지칭하며, '키 리졸브'는 '중요한 결의'라는 뜻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키 리졸브 · 더보기 »

사회복무제도

사회복무제도는 대한민국에서 2007년 국군 병력 규모 및 병역 복무기간 감축과 함께 공평한 병역 부과를 목적으로, 2008년부터 시행된 대체복무제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사회복무제도 · 더보기 »

산청·함양 양민 학살 사건

산청・함양 양민학살 사건 (山清・咸陽良民虐殺事件)은 1951년 2월 7일 경상남도 산청군・함양군 주민에게 공비에 협력했다는 이유로 대한민국 국군에 의해 일어난 민간인 대량학살 사건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산청·함양 양민 학살 사건 · 더보기 »

산업기능요원

산업기능요원은 대한민국의 전환, 대체복무제도 중 하나로,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병역의무가 있는 사람 가운데 일부를 선발하여 현역으로 복무하는 대신에, 연구기관이나 산업체에 대체 복무하도록 하는 제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산업기능요원 · 더보기 »

삼청교육대

삼청교육대(三淸敎育隊)는 전두환 보안사령관이 내각을 조종·통제하기 위해 설치한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에서 1980년 8월 4일 사회악일소특별조치 및 계엄포고령 제19호에 의한 삼청5호계획에 따라 설치된 군대식 기관을 뜻. 대상자에는 학생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전체 피검자의 3분의 1 이상이 무고한 일반인이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삼청교육대 · 더보기 »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삼풍백화점 붕괴사고(三豊百貨店 崩壞 事故)는 1995년 6월 29일 오후 5시 57분경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에 있던 삼풍백화점이 붕괴한 사건으로, 건물이 무너지면서 1,445명의 종업원과 고객들이 다치거나 죽었으며, 인근 삼풍아파트, 서울고등법원, 우면로 등으로 파편이 튀어 주변을 지나던 행인 중에 부상자가 속출해 수많은 재산상, 인명상 손해를.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 더보기 »

피우진

우진(皮宇鎭, 1956년 8월 20일 ~)은 대한민국 육군 예비역 중령이자 제29대 국가보훈처장이다.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피우진 · 더보기 »

석주암

석주암(石主岩,1916년 6월 9일 ~ 1999년 7월 19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석주암 · 더보기 »

성우회

성우회(星友會)는 대한민국 국군의 예비역 장성들이 조직한 단체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성우회 · 더보기 »

서북청년회

1948년 5월 31일 대한민국 국회 개원식 날 국회 의사당 앞에서 소련군 철수 집회를 벌이는 서북청년회원들‎ 서북청년회(西北靑年會) 또는 서북청년단(西北靑年團, 약칭: 서청)는 미군정 당시 조직된 대한민국의 극우 반공주의 청년 단체로 반공주의 청년단체였.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서북청년회 · 더보기 »

서울대학교 부속병원 학살 사건

이름 모를 자유전사비: '현충탑' 글자는 2000년대 이후에 새겨진 것이다. 서울대병원 부속병원 학살사건(-大學校附屬病院虐殺事件)이란, 1950년 한국전쟁 발발 당시 조선인민군이 남침 초기 서울을 점령한 시점에서 서울대학교 부속 병원으로 난입하여 벌인 학살극을 말.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서울대학교 부속병원 학살 사건 · 더보기 »

서울특별시의 역사

서울특별시는 대한민국의 수도이며, 과거 백제, 조선의 수도였.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서울특별시의 역사 · 더보기 »

서희 (동음이의)

서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서희 (동음이의) · 더보기 »

서희 부대

서희 부대 또는 이라크 건설공병지원단은 2001년 이라크 전쟁으로 국토가 훼손된 이라크의 재건과 복구작업 지원 위해 파병된 대한민국 국군 부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서희 부대 · 더보기 »

속초시

속초시(束草市)는 대한민국 강원도 동해안 북부에 위치한 시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속초시 · 더보기 »

속초시의 행정 구역

속초시의 행정 구역은 8개의 행정동과 13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 속초시의 면적은 105.30km2이며, 인구는 2012년 3월 31일을 기준으로 83,642 명, 36,637 세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속초시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손응성

손응성(孫應星, 1916년 ~ 1979년)은 한국의 서양화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손응성 · 더보기 »

송민도

송민도(宋旻道, 1925년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송민도 · 더보기 »

송석하 (1915년)

송석하(宋錫夏, 1915년 4월 6일 ~ 1999년 1월 14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대한민국의 행정 관료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송석하 (1915년) · 더보기 »

소련군

1983년 혁명 축하 군사 퍼레이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군() 또는 소련군(蘇聯軍)은 소련의 군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소련군 · 더보기 »

소령

소령(少領) 또는 소좌(少佐)는 군대 계급 중 하나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소령 · 더보기 »

소년병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의 소년병. 소년병(少年兵)은 만 18세 미만인 미성년의 군인 또는 그들로 이루어진 군대를 뜻.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소년병 · 더보기 »

소위

소위(少尉, Second Lieutenant)는 군대 계급 중 하나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소위 · 더보기 »

통역장교

통역장교(通譯將校)는 국군내에서 통역 및 번역의 일을 하는 위관급 이상의 장교를 말. 외국군과 의사소통, 정보교류 및 협조에 기여.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통역장교 · 더보기 »

합동군사대학교

합동군사대학교(合同軍事大學校, Joint Forces Military University, 약칭: JFMU)는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있는 대한민국 국군의 각 군별 나뉘어 있던 각 군 대학을 통합한 교육 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합동군사대학교 · 더보기 »

합동참모대학

합동참모대학(合同參謀大學, JFSC, Joint Forces Staff College)는 1963년에 국방부 일반명령 제17호로 설립된 국방대학교 산하의 대학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합동참모대학 · 더보기 »

한미 관계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2017년 11월. 한국과 미국의 관계는 19세기 중반 조선의 통상을 요구하던 제너럴 셔먼호 사건으로 거슬러 올. 그 후 1882년(고종 19년) 청나라의 중재로 양국 간의 조미 수호 통상 조약이 체결되면서 공식적으로 외교 관계가 수립되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한미 관계 · 더보기 »

한미 연합전시증원연습

미 연합전시증원연습(RSOI, Reception, Staging, Onward Movement, Integration)은 1994년부터 2007년까지 진행되었던 대한민국 국군과 주한 미군의 합동 군사훈련으로 팀 스피리트(Team Spirit)를 대체하여 실시되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한미 연합전시증원연습 · 더보기 »

한미연합군사령부

미연합군사령부(韓美聯合軍司令部, ROK/US Combined Forces Command, ROK-US CFC)는 1978년 11월, 대한민국과 미국 정부의 합의에 의해 대한민국 국군과 주한 미군(USFK)을 통합 지휘하는 군사 지휘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한미연합군사령부 · 더보기 »

한반도 분단

반도 분단 한반도 분단(韓半島 分斷)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군정기를 거쳐 한반도에 복수의 통치 기구가 수립되면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분단된 사건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한반도 분단 · 더보기 »

한반도 군사 분계선

비무장지대 북쪽의 철조망 한반도의 군사 분계선(韓半島軍事分界線)은 한반도의 남북을 분단하여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계를 이루는 지도상의 선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한반도 군사 분계선 · 더보기 »

알바트로스 (영화)

《알바트로스》는 1996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알바트로스 (영화) · 더보기 »

한강 인도교 폭파

강대교. 한강 인도교 폭파 사건(漢江人道橋爆破事件)은 한국전쟁 당시인 1950년 6월 28일 2시 30분 대한민국 국군이 한강인도교를 폭파하여 민간인 800여 명이 사망한 사건을 말.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한강 인도교 폭파 · 더보기 »

한베평화재단

베평화재단은 베트남 전쟁 당시 있었던 한국군의 민간인 학살에 대한 반성과 진상 규명, 사죄를 통해 대한민국과 베트남 사이의 평화를 이루고자 하는 민간 단체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한베평화재단 · 더보기 »

한국 광복군

광복군 성립 전례식에서의 김구(통수권자)와 지청천(총사령관) 해방 후 어느 광복군(1946년) 한국 광복군(韓國 光復軍)은 1940년 9월 17일 중화민국 충칭에서 조직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규군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한국 광복군 · 더보기 »

한국 전쟁

국 전쟁(韓國戰爭)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한국 전쟁 · 더보기 »

한국 전쟁의 임시 수도

국 전쟁에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수도가 점령당함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는 부산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는 강계를 임시수도로 삼아 수도를 잠시 이전하였.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한국 전쟁의 임시 수도 · 더보기 »

한국기독교군선교연합회

국기독교군선교연합회(Military Evangelical Association of Korea, 약칭: MEAK)는 대한민국 군대 내에서의 개신교 선교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 국군의 중앙선교행정기관으로, 1972년 5월 29일 발족.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한국기독교군선교연합회 · 더보기 »

한국군

현재 한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분단되어 있. 한국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한국군 · 더보기 »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또는 한국의 천주교회는 조선 중엽에서 말기 사이에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天主實義)를 통해 ‘서학’(西學)이라는 학문으로서 전래되었으며, 이후 점차 신도가 늘어 외부의 선교 활동 없이 자치 교회를 세우는 데에 이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한국의 수도

음은 한국사에 존재했던 여러 나라들의 수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한국의 수도 · 더보기 »

알포인트

《알포인트》(R-Point)는 2004년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 작품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알포인트 · 더보기 »

한의사

의사(韓醫師, Doctor, Korean Medicine Doctor, Doctor of Korean Medicine)는 한방 의료와 한방 보건지도를 임무로 하는 의료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한의사 · 더보기 »

안병범 (1890년)

안병범(安秉範, 일본식 이름: 亀村貞信, 1890년 ~ 1950년 7월 29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안병범 (1890년) · 더보기 »

안광수 (1925년)

안광수(安光銖, 일본식 이름: 龜村正經, 1925년 ~ 1975년 1월 29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예편 후에는 외교관으로도 활동.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안광수 (1925년) · 더보기 »

안익조

안익조(安益祚, 1903년 ~ 1950년 11월 7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음악인, 의사 겸 군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안익조 · 더보기 »

안중근

안중근(安重根, 1879년 9월 2일 ~ 1910년 3월 26일) 의사는 대한제국의 항일 의병장 겸 정치 사상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안중근 · 더보기 »

안춘생

안춘생(安椿生, 1912년 8월 12일 ~ 2011년 1월 26일)은 중국의 군인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군인, 정치가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중장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안춘생 · 더보기 »

하사

사(下士)는 군인 계급의 하나로서 부사관(副士官, Non-Comissioned Officer)의 최하위 계급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하사 · 더보기 »

아랍의 봄이 미친 영향

아랍의 봄이 미친 영향은 중동 지역과 북아프리카 국가에서 열린 일련의 시위와 혁명 상황에 영향을 받아 생겨난 일련의 사회적 움직임을 말. 여러 시위와 관련된 노력은 해당 국가를 넘어서 많은 나라에서 시위 혹은 사회적 반향을 일으켰으며 아랍의 봄과 마찬가지로 그 영향을 받아 시위를 연 사람들 또한 자국 정부의 비판적인 태도에 대항.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아랍의 봄이 미친 영향 · 더보기 »

학사사관

학사사관(學士士官)또는 학사장교(學士將校)는 대한민국 국군의 중요 장교과정 중의 하나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학사사관 · 더보기 »

신라대학교

신라대학교(新羅大學校)는 부산광역시 사상구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 대학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신라대학교 · 더보기 »

신병교육대

신병교육대(新兵敎育隊)는 갓 입대한 훈련병들을 교육하는 부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신병교육대 · 더보기 »

신응균

신응균(申應均, 일본식 이름: 平山勝敏 히라야마 쇼빈, 1921년 1월 22일 경성부 ~ 1996년 3월 25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본관은 평산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신응균 · 더보기 »

신천군 사건

북한의 신천박물관 안에 세워진 사백어머니묘와 백둘어린이묘. 신천군 사건 당시 희생된 자들의 무덤으로 소개된다. 신천군 사건(信川郡 事件)은, 한국 전쟁이 벌어진 1950년 10월, 황해도 신천군에서 3만 5천여 명의 민간인들이 학살되었던 사건을 말. 신천 학살 혹은 신천 학살 사건이라고도 불리며, 북한에서는 신천대학살이라고 부른.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신천군 사건 · 더보기 »

신상철 (1924년)

신상철(申尙澈, 충남 공주)은 일제시대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신상철 (1924년) · 더보기 »

신해혁명

신해혁명(辛亥革命)은 1911년 청나라를 무너뜨리고 중화민국을 성립시킨 중국의 혁명이다. 이 혁명은 중국사에서 처음으로 공화국을 수립한 혁명이라서 공화혁명이라고도 불린다. 1900년의 의화단운동 이후 열강들의 침략이 한층 강화하는 가운데 청 조정은 정치개혁을 꾀하는 소위 '신정' 운동을 일으켰으나 납세 거부와 기독교 배척을 위시한 대중운동이 전국으로 번져 입헌군주제를 향한 운동으로 발전하였다.《한국근대사사전》, 가람기획, 2005년, p142 이런 정세하에서 쑨원은 1905년 중국혁명동맹회(중국동맹회)를 결성하고 삼민주의를 제창하는 일변 혁명파를 지휘, 반청(反淸) 무장투쟁을 전개했다. 1911년 청나라는 철도 국유령을 내려 민영이었던 철도를 담보로 열강에 차관을 얻어 재정난을 타개하려고 하자 반대하는 운동이 광범하게 일어나 대규모 무장투쟁인 쓰촨봉기로 결국 발전했다. 이를 계기로 10월 10일 혁명파가 한 공작으로 우창에서 신군이 봉기하여 신해혁명의 불길이 당겨져 약 한 달 만에 14 성(省)이 이에 호응하여 궐기했고 12월 말에는 17개 성으로 확대되어 청조에 독립을 선포하였다. 1912년 1월 난징에서 쑨원을 임시 대총통으로 하는 중화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으나 혁명 주체의 단결력과 세력이 굳건하지 못한 탓에 청조에게 대권을 부여받은 위안스카이와 타협, 선통제의 퇴위로 청을 멸망시키는 데는 성공한 대신 쑨원이 사임하고 위안스카이가 대총통이 되었다. 1911년이 신해년(辛亥年)이라서 신해혁명이라고 명명하였다. 이 혁명(제1차 혁명)으로 공화정이 수립됐지만, 곧 위안스카이가 대총통이 되면서 이후 제제(帝制)의 야심을 품고 혁명파를 탄압하는 일편 위안스카이의 독재정치가 시작되었는데 1913년 7월 국민당에서 '위안스카이를 타도'하려는 운동하면서 혁명을 호소하여 봉기했다. 이를 제2차 혁명이라고 하나 위안스카이는 군대를 동원해 이를 진압했다. 이후 위안스카이는 1915년 일본의 '21개 조 요구' 수락을 위시해 매판성을 드러내어 이런 위안스카이의 독재정치에 민중은 극심하게 반발했는데 이를 ‘제3차 혁명’(호국전쟁)이라고 부르고 1916년 위안스카이 사후 내전과 군벌의 할거로 혼란이 계속되었다. 우창에서 최초로 봉기한 10월 10일을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신해혁명 기념일’로, 중화민국에서는 중요 국경일인 “쌍십절”로 기념한다. 신해혁명은 20세기 아시아에서 일어난 정치사에 관계된 중요한 사건으로 간주된다.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신해혁명 · 더보기 »

신학진

신학진(申鶴鎭, 1911년 11월 6일 ~ 1995년 1월 27일)은 만주국과 대한민국의 군인이며, 예편 후에는 기업인으로서 사회 단체에서도 활동.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신학진 · 더보기 »

심일

심일(沈鎰, ~)은 대한민국의 육군 장교로 한국 전쟁 초기 대전차포 소대를 이끌고 적 자주포를 격파하여 조선인민군의 남진을 지연시.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심일 · 더보기 »

십자성마을

십자성마을 전경 (2008년 9월, 양재대로125길) 십자성마을(十字星마을)은 대한민국 국군 상이 군인의 수용을 위해 서울특별시 강동구에 조성된 단독주택 밀집 구역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십자성마을 · 더보기 »

원용덕

원용덕(元容德, 1908년 ~ 1968년 2월 4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 겸 내과 의사 및 정치가로 제1공화국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원용덕 · 더보기 »

원산 상륙 작전

한국 전쟁 당시 카데나 공군기지를 이륙해 작전중인 B-29 폭격기. 원산 공습에도 참여했다. 한국 전쟁 당시 발포 중인 위스콘신함의 16인치 함포. 원산 공격에도 참여했다. 원산 상륙 작전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영토인 함경남도 원산시를 목표로 한 상륙작전이였.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원산 상륙 작전 · 더보기 »

원산시

원산시(元山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동해안 영흥만에 있는 시이자 강원도 인민위원회의 소재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원산시 · 더보기 »

홍길동 작전

홍길동 작전은 베트남 전쟁 중 대한민국 국군의 대규모 작전이었.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홍길동 작전 · 더보기 »

홍성학

홍성학 아우구스티노는 한국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의 사제이며, 가톨릭출판사 사장으로 임명된 성직자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홍성학 · 더보기 »

화살머리고지 전투

화살머리고지 전투는 프랑스 대대가 철원 서북방 281고지를 방어 중 중공군과 치른 전투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화살머리고지 전투 · 더보기 »

화살머리고지 전투 (1953년)

화살머리고지 전투는 휴전 직전인 1953년 여름, 철원의 백마고지와 화살머리고지(281고지)를 확보하고 있던 국군 제2사단이 중공군 제73사단의 화살머리고지를 탈취하기 위한 대대적인 공격을 받고도 방어하기 위한 두 차례의 방어전투를 치르면서 고지를 성공적으로 사수한 전투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화살머리고지 전투 (1953년) · 더보기 »

K-131

2008년도 독수리 연습에 참가 중인 K-131 K-131 1/4톤 트럭(KM420)은 대한민국 국군이 운용하는 6인승 전술차량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K-131 · 더보기 »

K-311

K-311 5/4톤 트럭은 대한민국 국군의 차량 장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K-311 · 더보기 »

K-511

K-511은 대한민국 국군의 군용 차량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K-511 · 더보기 »

K-55

K-55 자주포는 대한민국에서 생산된 자주포의 일종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K-55 · 더보기 »

K-55A1 자주포

K-55A1 자주포는 대한민국에서 생산된 자주포의 일종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K-55A1 자주포 · 더보기 »

K-711

M114 곡사포를 견인 중인 K-711 K-711은 대한민국 국군의 군용 차량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K-711 · 더보기 »

K1A 기관단총

K1A 기관단총은 대한민국 최초의 독자 개발 소화기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K1A 기관단총 · 더보기 »

K2 소총

K2 소총은 대한민국 국군의 주력 제식소총으로, 5.56 × 45 mm NATO 탄을 사용하는 돌격소총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K2 소총 · 더보기 »

K201 유탄발사기

K201 유탄발사기는 대한민국군이 채택한 K2 소총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유탄발사기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K201 유탄발사기 · 더보기 »

K4 고속유탄기관총

K4 유탄발사기는 대한민국 국군이 채택한 유탄발사.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K4 고속유탄기관총 · 더보기 »

K5 권총

K5 권총은 대한민국의 대우정밀공업(지금의 S&T모티브)에서 1984년부터 1988년 5월까지 개발한 후 1989년부터 보급한 권총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K5 권총 · 더보기 »

KAI 수리온

수리온은 노후한 소형 공격 헬리콥터 500MD와 소형 기동 헬리콥터 UH-1H를 대체하기 위하여 유로콥터의 기술협력으로 대한민국이 한국형 헬리콥터 사업에 의해 개발된 첫 한국형 중형 기동헬리콥터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KAI 수리온 · 더보기 »

KCOMZ

KCOMZ(), 제8006부대는 대한민국에서 후방기지사령부, 후방관구사령부, 한국병참지대사령부, 한국병참관구 등으로 다양하게 부르던 한국 전쟁 중에 설립된 미국 육군의 한반도 지역 전투근무지원 사령부였.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KCOMZ · 더보기 »

M-1고지 전투

M-1고지 전투는 휴전 1개월 앞두고, 중동부전선의 선우고지(938고지)와 크리스마스고지를 방어하고 있던 국군 제20사단이 크리스마스고지 우측의 전초진지(M-1고지)로 공격을 해온 중공군 제33사단의 22번 공격으로 16번 이 고지를 빼앗기고 국군 제20사단의 18번의 공격으로 고지를 점령한 전투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M-1고지 전투 · 더보기 »

M1 개런드

M1 개런드(M1 Garand.)는 존 개런드가 발명했으며 세계 최초로 보병 부대에 널리 보급된 반자동 소총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M1 개런드 · 더보기 »

M16 소총

M40 마스크와 M16A1 소총을 가지고 훈련 중인 미군 병사 M203 유탄발사기 장착 M16A1소총으로 무장한 대한민국 병사 미 육군 병사가 M16A2로 사격하고 있다. 5.56 mm 구경 M16 소총(Rifle, Caliber 5.56 mm, M16)은 아말라이트 AR-15 소총의 군용 개량형으로, 미군의 주력 제식소총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M16 소총 · 더보기 »

ZPU-4

이스라엘 하-오세프 박물관에 전시 중인 ZPU-4 ZPU-4는 구 소련에서 1949년에 14.5mm KPV 중기관총 4정을 묶어 만든 대공.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ZPU-4 · 더보기 »

10·27 법난

10·27 법난(十二七法難)은 1980년 대한민국에서 일어난 독재정권의 대규모 불교 탄압 사건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10·27 법난 · 더보기 »

10월 20일

10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3번째(윤년일 경우 29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10월 20일 · 더보기 »

11월 25일

11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9번째(윤년일 경우 33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11월 25일 · 더보기 »

12월 26일

12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0번째(윤년일 경우 36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12월 26일 · 더보기 »

12월 6일

12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0번째(윤년일 경우 34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12월 6일 · 더보기 »

1950년

한국 전쟁 중 아주머니와 아이가 땔깜용 파편을 구하는 모습. 195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1950년 · 더보기 »

1950년 대한민국

이 문서는 1950년 대한민국에서 일어난 사건을.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1950년 대한민국 · 더보기 »

1952년

195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1952년 · 더보기 »

1952년 대한민국

이 문서는 1952년 대한민국에서 일어난 사건을.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1952년 대한민국 · 더보기 »

1980년

1980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1980년 · 더보기 »

1·21 사태

1·21 사태(-事態)는 김일성의 명령으로 1968년 1월 21일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소속의 군인 31명이 대한민국의 청와대를 기습하여 대한민국의 대통령 박정희를 제거하려다 미수에 그친 사건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1·21 사태 · 더보기 »

2001년

9·11 테러로 세계무역센터가 불타는 장면 200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와 제3천년기의 첫 번째 해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2001년 · 더보기 »

2007년

200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2007년 · 더보기 »

2007년 2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2007년 2월 · 더보기 »

2007년 8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2007년 8월 · 더보기 »

2008년 10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2008년 10월 · 더보기 »

2010년 6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2010년 6월 · 더보기 »

2010년 8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2010년 8월 · 더보기 »

2011년 9월

;군사/.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2011년 9월 · 더보기 »

2016년 1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

2016년 1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2016年1月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核實驗)은 2016년 1월 6일, 한국 표준시로 오전 10시 30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시간으로 오전 10시, 협정 세계시로 오전 1시 30분에 이루어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4번째 핵 실험을 말.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2016년 1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 · 더보기 »

2017년 판문점 조선인민군 병사 귀순 총격 사건

2017년 11월 13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북측 초소에서 조선인민군 육군 하전사 오청성이 군사분계선을 넘어 남측으로 귀순을 시도하다가, 뒤따라오던 다른 조선인민군 병력의 총격을 받는 사건이 발생하였.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2017년 판문점 조선인민군 병사 귀순 총격 사건 · 더보기 »

2018년 1차 남북정상회담

2018년 남북정상회담(2018年 南北頂上會談)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의 세 번째 정상회담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2018년 1차 남북정상회담 · 더보기 »

29초영화제

29초영화제(二十九秒影畵際)는 2011년부터 시작된 대한민국의 영화제로, 29초 분량으로 제작한 단편 영화만이 상영.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29초영화제 · 더보기 »

2·26 사건

정 일대를 점령한 장교들 2·26 사건(二・二六事件)은 1936년 2월 26일 일본 육군의 황도파 청년장교들이 1483명의 병력을 이끌고 일으킨 반란사건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2·26 사건 · 더보기 »

3

3(삼, three)은 2보다 크고 4보다 작은 자연수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3 · 더보기 »

303고지 학살

303고지 학살(三百三高地虐殺)은 한국 전쟁 초기인 1950년 8월 17일에 대한민국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근교의 자고산에서 조선인민군이 미군 전쟁 포로 41명을 총살한 전쟁 범죄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303고지 학살 · 더보기 »

4성 장군

NATO 대장 계급의 휘장Note: This rank insignia is not worn by all NATO officers. 4성 장군(4 star general) 또는 4성 제독(4 star admiral)은 나토 계급 부호 OF-9로 대부분의 군대에서 최고위 지휘관을 가리키는데 사용하는 용어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4성 장군 · 더보기 »

60

60(육십)은 59보다 크고 61보다 작은 자연수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60 · 더보기 »

7월 4일

7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5번째(윤년일 경우 18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7월 4일 · 더보기 »

8월 21일

8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3번째(윤년일 경우 23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8월 21일 · 더보기 »

9월 16일

9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9번째(윤년일 경우 26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9월 16일 · 더보기 »

9월 19일

9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2번째(윤년일 경우 26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9월 19일 · 더보기 »

9월 1일

9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4번째(윤년일 경우 24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9월 1일 · 더보기 »

9월 28일

9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1번째(윤년일 경우 27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9월 28일 · 더보기 »

9월 6일

9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9번째(윤년일 경우 25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 국군와 9월 6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대한민국 군, 대한민국 군대, 대한민국 군사력, 대한민국국군, 대한민국군, 대한민국의 군대, 대한민국의 군사, 남조선 국방군, 남한 국방군.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