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

색인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

정무위원회(政務委員會)는 정무에 관한 국회의 의사결정기능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국회 상임위원회이.

40 처지: 민병두, 박용진 (1971년), 박종희, 박찬대, 박선숙, 부정청탁 및 금품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김관영, 김기식, 김용태 (1968년), 김종석 (1955년), 김영주 (1955년), 김선동 (1963년), 김성원 (정치인), 김해영, 김한표, 대한민국 미디어 관련법 개정 논란, 대한민국 국회, 대한민국 국회 상임위원회, 대한민국 제279회 국회, 노건평, 이진복 (1957년), 이학영, 이훈평, 제윤경, 전해철, 정우택 (1953년), 정재호 (1964년), 정태옥, 조원진, 지상욱, 채이배, 유의동, 유원일, 예금보험공사, 최운열, 양형일, 한국은행 전북본부, 심상정, 홍재형, 홍일표.

민병두

민병두(閔丙梪, 1958년 6월 10일 횡성 ~)는 대한민국 정치가이며 현재 3선(제17대 ~ 제20대) 국회의원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민병두 · 더보기 »

박용진 (1971년)

박용진(朴用鎭, 1971년 4월 17일 ~)은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박용진 (1971년) · 더보기 »

박종희

박종희(朴鍾熙, 1960년 5월 6일 ~)는 언론인 출신의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제16·18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새누리당 제2사무부총장, 수원시갑(장안) 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 새누리당 공천특별기구 위원을.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박종희 · 더보기 »

박찬대

박찬대(朴贊大, 1967년 5월 10일 ~)는 대한민국의 공인회계사이자 제20대 국회의원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박찬대 · 더보기 »

박선숙

박선숙(朴仙淑, 1960년 12월 1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박선숙 · 더보기 »

부정청탁 및 금품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약칭 청탁금지법)은 대한민국에서 부정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국민권익위원장이던 김영란의 제안으로 만들어진 법률로, 제안자의 이름을 따서 흔히 '김영란법'이라는 별칭으로 불린.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부정청탁 및 금품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 더보기 »

김관영

영(金寬永, 1969년 11월 15일 ~, 군산)은 대한민국의 공인회계사, 변호사이자 제19·20대 국회의원(바른미래당)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김관영 · 더보기 »

김기식

식(金起式, 1966년 3월 6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참여연대 사무처장으로 활동하다가 민주통합당 비례대표로 제19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더불어민주당 싱크탱크 더미래연구소 소장 재직 중 2018년 4월 문재인 정부에서 금융감독원장에 임명되었지만,김경락.. 한겨레. 2018년 3월 30일. 정치자금 수수 등이 위법하다는 결론이 나오자 취임한지 15일 만에 퇴진하였다.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김기식 · 더보기 »

김용태 (1968년)

용태(金容兌, 1968년 3월 26일 ~)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김용태 (1968년) · 더보기 »

김종석 (1955년)

종석(金鍾奭, 1955년 8월 1일 ~)은 대한민국의 제20대 국회의원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김종석 (1955년) · 더보기 »

김영주 (1955년)

영주(金榮珠, 1955년 음력 7월 27일 ~)는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출신 정치인으로 제17대 ~ 제20대 국회의원이자 제6대 고용노동부 장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김영주 (1955년) · 더보기 »

김선동 (1963년)

선동(金善東, 1963년 10월 9일 ~)은 대한민국의 제18대·20대 국회의원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김선동 (1963년) · 더보기 »

김성원 (정치인)

성원(金成願, 1973년 10월 15일 ~)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김성원 (정치인) · 더보기 »

김해영

영(金海永,1977년 2월 6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김해영 · 더보기 »

김한표

(金漢杓, 1954년 8월 8일 ~)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김한표 · 더보기 »

대한민국 미디어 관련법 개정 논란

민국의 제279회 국회에서, 여당인 한나라당이 제안한 미디어 관련법을 통과시켰으며, 이에 관해 일부 논란이 있었으나 헌재는 야당의 2차에 걸친 권한쟁의 심판 청구 사건에 대해 '기각' 결정함으로써 미디어법의 법적 효력을 인정하였.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대한민국 미디어 관련법 개정 논란 · 더보기 »

대한민국 국회

민국 국회(大韓民國 國會)는 대한민국의 의회이며 대한민국 입법부의 주축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대한민국 국회 · 더보기 »

대한민국 국회 상임위원회

상임위원회(常任委員會)는 국회에서 국회의원을 구성원으로 하여 각 전문 분야 별로 만든 위원회 조직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대한민국 국회 상임위원회 · 더보기 »

대한민국 제279회 국회

민국 제279회 국회(임시회)는 2008년 12월 10일부터 2009년 1월 8일까지 열., 연합뉴스, 2009.1.6.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대한민국 제279회 국회 · 더보기 »

노건평

평(盧建平, 1942년 1월 30일 ~)은 대한민국의 기업인으로, 세무 공무원으로 근무했고, 사업가로도 활동하였.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노건평 · 더보기 »

이진복 (1957년)

이진복(李珍福, 1957년 10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이진복 (1957년) · 더보기 »

이학영

이학영(李學永, 1952년 4월 16일 ~)은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이학영 · 더보기 »

이훈평

이훈평(李訓平, 1943년 4월 26일 ~)은 대한민국 前 정치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이훈평 · 더보기 »

제윤경

제윤경(諸閏景, 1971년 7월 25일 ~)은 대한민국의 기업인 출신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제윤경 · 더보기 »

전해철

전해철(全海澈, 1962년 5월 18일 ~, 목포)은 대한민국의 변호사,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전해철 · 더보기 »

정우택 (1953년)

정우택(鄭宇澤, 1953년 2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정우택 (1953년) · 더보기 »

정재호 (1964년)

정재호(鄭在浩, 1965년 10월 22일 ~)대한민국의 전 정무직 공무원이며 대한민국 20대 국회의원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정재호 (1964년) · 더보기 »

정태옥

정태옥(鄭泰沃, 1961년 11월 27일 ~)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이었고, 제20대 국회의원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정태옥 · 더보기 »

조원진

조원진(趙源震, 1959년 1월 7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조원진 · 더보기 »

지상욱

상욱(池尙昱, 1965년 5월 16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지상욱 · 더보기 »

채이배

이배(蔡利培, 1975년 1월 2일 ~)는 대한민국의 공인회계사이자 제20대 국회의원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채이배 · 더보기 »

유의동

유의동(兪義東, 1971년 6월 23일 ~)은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유의동 · 더보기 »

유원일

유원일(柳元一), 1957년 6월 17일 ~)은 18대 창조한국당 국회의원으로, 진보 정치인이자, 시민사회운동가, 환경운동가이다. 의정활동 기간 내내 4대강 공사와 원자력 발전소 문제 등에 대해 강한 반대와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또한 론스타 등의 먹튀자본의 행태를 비판하고, 친노동 정책을 펼 것을 주장했다. 한미FTA 반대에도 앞장 섰으며, 한미FTA 저지를 위한 국회의원 모임의 간사직을 역임했다. 제18대 국회의원 총선거 에서 창조한국당 비례대표 3번으로 공천받았다. 창조한국당은 비례대표에서 2명을 당선시켜 당초에는 낙선했다. 이후 이한정이 비례대표 공천 과정에 허위 이력을 기재한 것이 드러나 의원직을 상실할 위기에 놓이자, 창조한국당과 각각 비례대표 3,4번인 유원일, 선경식 당선 무효 소송을 제기하여 2008년 12월 11일 승소 하여 15일 당선자로 결정 되었다. 이후 2010년 12월 9일 한나라당의 예산안 강행 처리에 반발해 당시 한나라당 (현 새누리당) 당 대표였던 안상수에게 "4대강사업의 찬반을 국민에게 묻자"며 양자 모두 의원직을 사퇴하고 의왕과천 지역구에서 보궐선거를 치룰 것을 공식적으로 제안했으나 안상수 의원은 어떠한 대응도 하지 않았다 이에 유원일 의원은 "국회의원직을 사퇴한 이유는 야당이 야당 구실을 할 수 없기 때문"이며, "국회의장에게 사퇴서 수리를 계속 요구 하였으나 의원직 사퇴서 제출 후 1년 이상 수리하지 않았다. 2012년 1월 25일 성명서를 발표하며 비례대표 국회의원직을 그만두기 위해 창조한국당을 탈당했다. 2010년 12월 제출한 사퇴서가 처리 되지 않아 탈당으로 인한 의원직 퇴직이 이루어졌다. 2017년에 문재인 후보를 지지하며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하였다.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유원일 · 더보기 »

예금보험공사

예금보험공사(預金保險公社, Korea Deposit Insurance Corporation, 약칭:예보)는 금융기관이 파산등으로 예금을 지급할 수 없는 경우 예금의 지급을 보장함으로써 예금자를 보호하고 금융제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이바지 하고자 예금자보호법에 의거하여 설립되었.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예금보험공사 · 더보기 »

최운열

운열(崔運烈, 1950년 4월 2일 ~)은 서강대학교 석좌교수를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최운열 · 더보기 »

양형일

양형일(梁亨一, 1951년 3월 2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교육자.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양형일 · 더보기 »

한국은행 전북본부

국은행 전북본부는 화폐의 발행·환수, 금융기관 예금·대출, 중소기업 자금지원, 지역경제 조사·연구, 지역통계 작성, 경제교육 등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된 한국은행의 지역본부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한국은행 전북본부 · 더보기 »

심상정

심상정(沈相奵, 1959년 2월 20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심상정 · 더보기 »

홍재형

홍재형(洪在馨, 1938년 3월 27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홍재형 · 더보기 »

홍일표

홍일표(洪日杓, 1956년 2월 11일 ~, 홍성)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판사·변호사 출신의 제18,19,20대 국회의원이.

새로운!!: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와 홍일표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국회 정무위원회, 정무위원회.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