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대한민국 외무부

색인 대한민국 외무부

외무부(外務部, Ministry of Foreign Affairs)는 외교 정책의 수립 및 사항, 외국과의 통상 및 경제 협력, 조약, 기타 국제 협정, 재외 국민의 보호 육성, 해외 이주와 국제 사정 조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었.

81 처지: 배정자, 갈홍기, 박동진 (1922년), 박노영, 박중양, 강영훈 (1922년), 박암 (1905년), 공로명, 변영태, 부산출입국·외국인청, 김동조, 김동휘, 김마리아 (1903년), 김용식 (1913년), 김운용, 김재순 (정치인), 김순애, 김영삼, 김형오, 김홍일 (1898년), 대한민국 외교부, 대한민국 외교통상부, 대한민국-중화민국 관계, 대한민국과 미합중국간의 상호방위조약, 대한민국의 대통령 목록,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 국립외교원, 노재원, 노정기, 노창희, 노신영, 우희창, 장건상, 장택상, 임병직, 이동원 (1926년), 이범준 (1933년), 이범석 (1925년), 이규형 (1951년), 이재항 (1920년), 이철승, 이상열 (1929년), 이현 (1950년), 이원경, 인천출입국·외국인청, 전규홍, 정일권, 정일영 (1926년), 정일형, 조정환 (1892년), ..., 조지 애쉬모어 피치, 조현 (외교관), 주한 미군, 중화민국의 대외 관계, 추성춘, 유엔한국협회, 수지 김 사건, 오재희, 오상식 (외교관), 최덕신, 최문경 (정치인), 최광수 (공무원), 최규하, 최종길, 최호중, 허정, 세종로공원, 서동렬, 서울출입국·외국인청, 서희원 (1924년), 서산 이씨, 송요찬,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 한국외교협회, 한승주, 안광수 (1925년), 아웅 산 묘역 테러 사건, 홍순칠, 홍순영, 홍숙자, 황용식.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1 더) »

배정자

배정자(裵貞子, 일본식 이름: 田山貞子(다야마 사다코), 1870년 2월 23일1870년 2월 27일 설도 있다. ~ 1952년 2월 27일)는 조선의 비구니이자 일본 제국의 조선 정보원, 외교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배정자 · 더보기 »

갈홍기

홍기(葛弘基, 1906년 4월 14일 ~ 1989년 8월 25일)는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의 감리교 목사 겸 정치인, 외교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갈홍기 · 더보기 »

박동진 (1922년)

박동진 (1962년경) 박동진(朴東鎭, 1922년 10월 11일 ~ 2013년 11월 11일)은 대한민국의 외교관, 국회의원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박동진 (1922년) · 더보기 »

박노영

박노영(朴魯榮, 1930년 2월 8일 ~ 2012년 1월 30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외교관 겸 정치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박노영 · 더보기 »

박중양

박중양(朴重陽, 일본식 이름: 朴忠重陽 호추 시게요, 1872년 5월 3일 ~ 1959년 4월 23일)은 일본과 대한제국의 관료, 외교관이며, 일제시대의 관료, 사상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박중양 · 더보기 »

강영훈 (1922년)

강영훈(姜英勳, 192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10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외교관 겸 정치가 및 전직 대학 교수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중장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강영훈 (1922년) · 더보기 »

박암 (1905년)

박암(朴巖, 1905년 10월 10일 ~ ?)은 일제 강점기에 만주국 관리를 지낸 대한민국의 공무원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박암 (1905년) · 더보기 »

공로명

공로명(孔魯明, 1932년 2월 25일 ~)은 대한민국의 군인,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공로명 · 더보기 »

변영태

변영태(卞榮泰, 1892년 12월 15일 ~ 1969년 3월 10일)는 대한민국의 시인, 영문학자, 교육자, 정치가, 외교관이었.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변영태 · 더보기 »

부산출입국·외국인청

부산출입국·외국인청(釜山出入國·外國人廳)은 대한민국 법무부의 소속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부산출입국·외국인청 · 더보기 »

김동조

동조(金東祚, 1918년 8월 14일 ~ 2004년 12월 9일, 부산)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외교관, 공무원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김동조 · 더보기 »

김동휘

동휘(金東輝, 1932년 ~ 1983년 10월 9일)는 대한민국의 제30대 상공부 장관을 역임한 공무원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김동휘 · 더보기 »

김마리아 (1903년)

마리아(金瑪利亞, 러시아 이름: 마리야 옐레노브나 킴(Mariya Elenovna Kim), 1903년 9월 5일 ~ 1970년 2월 10일)는 일제 강점기 시대 여성 독립운동가이고 대한민국의 정치가이며 독립운동가 겸 정치가 및 예비역 대한독립군 중장 이범석의 2번째 부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김마리아 (1903년) · 더보기 »

김용식 (1913년)

용식(金溶植, 일본식 이름: 金本溶植 가네모토 요키, 1913년 11월 11일(음력 10월 14일) ~ 1995년 3월 31일)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외교관, 행정관료, 정치가, 사회기관단체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김용식 (1913년) · 더보기 »

김운용

운용(金雲龍, 1931년 3월 19일 ~ 2017년 10월 3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스포츠 행정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김운용 · 더보기 »

김재순 (정치인)

재순(金在淳, 1923년 11월 30일 ~ 2016년 5월 17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김재순 (정치인) · 더보기 »

김순애

순애(金淳愛, 1889년 6월 10일(음력 5월 12일) ~ 1976년 5월 17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사회운동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김순애 · 더보기 »

김영삼

영삼(金泳三, 1927년 12월 20일 ~ 2015년 11월 22일)은 대한민국의 제14대 대통령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김영삼 · 더보기 »

김형오

형오(金炯旿, 1947년 11월 30일 ~)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김형오 · 더보기 »

김홍일 (1898년)

홍일(金弘壹, 1898년 9월 23일 ~ 1980년 8월 8일)은 중화민국 육군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 한국 독립운동가 출신 대한민국의 군인 겸 정치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김홍일 (1898년) · 더보기 »

대한민국 외교부

외교부(外交部, Ministry of Foreign Affairs, 약칭: MOFA)는 외교, 경제외교 및 국제경제협력외교, 국제관계 업무에 관한 조정, 조약 기타 국제협정, 재외국민의 보호·지원, 재외동포정책의 수립, 국제정세의 조사·분석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대한민국 외교부 · 더보기 »

대한민국 외교통상부

외교통상부(外交通商部,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약칭: 외통부, MOFAT)는 외교 정책의 수립 및 시행, 외국과의 통상 및 통상 교섭, 대외 경제 관련 외교 정책의 수립 시행 및 종합 조정, 조약 기타 국제 협정에 관한 사무 관장, 재외국민의 보호 지원, 문화 협력 및 대외공보 사무 관장, 국제사정 조사 및 이민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었.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대한민국 외교통상부 · 더보기 »

대한민국-중화민국 관계

민국과 중화민국 간의 관계는 1948년 8월에 대한민국 정부 수립 초기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나, 1992년 8월 대한민국이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여 외교관계가 단절되었.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대한민국-중화민국 관계 · 더보기 »

대한민국과 미합중국간의 상호방위조약

민국과 미합중국간의 상호방위조약(大韓民國-美合衆國間-相互防衛條約, Mutual Defense Treaty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약칭: 한미상호방위조약)은 1953년 10월 1일 체결되고 1954년 11월 18일 조약 제34호로 발효된 대한민국과 미국간의 상호방위조약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대한민국과 미합중국간의 상호방위조약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대통령 목록

민국의 대통령 목록(大韓民國大統領目錄)은 대한민국의 대통령의 명단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대한민국의 대통령 목록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

중앙행정기관(中央行政機關)은 국가의 행정사무를 담당하기 위하여 설치된 행정기관으로서 그 관할권의 범위가 전국에 미치는 행정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 · 더보기 »

국립외교원

국립외교원(國立外交院, Korea National Diplomatic Academy, 약칭: KNDA)은 급변하는 국제정세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과 전문성을 겸비한 외교 인재의 교육·양성 및 국가 중장기 외교정책의 연구·개발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 외교부의 소속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국립외교원 · 더보기 »

노재원

재원(盧載源, 1932년 6월 27일 ~ 2006년 11월 29일)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노재원 · 더보기 »

노정기

정기(盧正基, 1934년 10월 8일 ~)는 대한민국의 군인이며 외교관 겸 정치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노정기 · 더보기 »

노창희

창희(盧昌熹, 1938년 2월 25일 ~, 경남 합천)는 주 UN 대사와 외무부 차관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전직 외무공직자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노창희 · 더보기 »

노신영

신영(盧信永, 1930년 2월 28일 ~)은 대한민국의 제18대 국무총리를 지낸 공무원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노신영 · 더보기 »

우희창

우희창(禹熙昌, 1926년 5월 18일 서천 ~ 1997년 5월 31일)은 대한민국의 제4,5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우희창 · 더보기 »

장건상

장건상(張建相, 1882년 12월 19일 ~ 1974년 5월 14일)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자 독립운동가, 통일운동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장건상 · 더보기 »

장택상

장택상(張澤相, 1893년 10월 22일 ~ 1969년 8월 1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작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장택상 · 더보기 »

임병직

임병직(林炳稷, 1893년 10월 26일 ~ 1976년 9월 21일)은 한때 미국 영구거주권을 취득한 전력이 있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군인이며 정치가 겸 외교관이었.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임병직 · 더보기 »

이동원 (1926년)

1965년 미국 방문중인 이동원 이동원(李東元, 1926년 9월 8일 ~ 2006년 11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외무공무원, 정치가, 대학 교수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이동원 (1926년) · 더보기 »

이범준 (1933년)

이범준(李範俊, 1933년 6월 29일 ~ 2011년 7월 14일)은 정치학자 출신으로 제9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이범준 (1933년) · 더보기 »

이범석 (1925년)

이범석(李範錫, 1925년 9월 14일 - 1983년 10월 9일)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이범석 (1925년) · 더보기 »

이규형 (1951년)

이규형(李揆亨, 1951년 10월 24일 ~, 부산)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이규형 (1951년) · 더보기 »

이재항 (1920년)

이재항(李載沆, 1920년 5월 4일 ~ 1985년 7월 15일)은 대한민국의 경제 관료, 외교관, 정치가, 언론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이재항 (1920년) · 더보기 »

이철승

이철승(李哲承, 1922년 5월 15일 ~ 2016년 2월 27일)은 대한민국의 학생운동가, 정치인, 시민사회기관단체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이철승 · 더보기 »

이상열 (1929년)

이상열(李相悅, 1929년 11월 13일 ~ 2006년 4월 3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외교관이며 정치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이상열 (1929년) · 더보기 »

이현 (1950년)

이현(李玄, 본명: 이헌,, 미국 거주 시절 영어 이름은 빈스 리(Vince Lee), 1950년 9월 7일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기업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이현 (1950년) · 더보기 »

이원경

이원경(李源京, 1922년 1월 15일 ~ 2007년 8월 3일)은 대한민국의 정치가, 외교관, 공무원이었.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이원경 · 더보기 »

인천출입국·외국인청

인천출입국·외국인청(仁川出入國·外國人廳)는 대한민국 법무부의 소속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인천출입국·외국인청 · 더보기 »

전규홍

전규홍(全奎弘, 1906년 ~ 2001년 5월 29일)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전규홍 · 더보기 »

정일권

정일권(丁一權, 1917년 11월 21일 ~ 1994년 1월 17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이며, 외교관과 정치가이다 러시아 연해주 니콜리스크(現 우수리스크)에서 태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정일권 · 더보기 »

정일영 (1926년)

정일영(鄭一永, 1926년 9월 4일 ~ 2015년 1월 19일)은 정치학자 출신의 대한민국 외교관 겸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정일영 (1926년) · 더보기 »

정일형

정일형(鄭一亨, 1904년 2월 23일 ~ 1982년 4월 25일)은 대한민국의 관료이며 정치인이다. 미군정기 때 미군정청 인사행정처장과 물자행정처장을 지냈으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야당에서 활약하였다. 제2공화국의 두 번째 외무부 장관이었으며, 5·16 군사 정변 이후 실각하였다. 한민당의 창당 멤버이자 민주당의 당원이었으나, 민주당 신파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신파의 영수였던 국무총리 장면과의 사이는 원만하지 못했다. 한국 초기 여성 변호사인 이태영의 남편이자, 정치인 정대철의 아버지이자 정치인 정호준의 할아버지이며, 이윤영의 처조카였다. 호(號)는 금연(錦淵)이다.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정일형 · 더보기 »

조정환 (1892년)

조정환(오른쪽) 조정환(曺正煥, 1892년 12월 10일 ~ 1967년 11월 25일, 전남 여수)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조정환 (1892년) · 더보기 »

조지 애쉬모어 피치

조지 애쉬모어 피치(1883년 1월 23일 ~ 1979년 6월 3일)는 미국의 선교사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조지 애쉬모어 피치 · 더보기 »

조현 (외교관)

조현(趙顯, 1957년 ~)은 대한민국의 외무공무원이자 제3대 외교부 제2차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조현 (외교관) · 더보기 »

주한 미군

주한 미군(駐韓美軍)은 대한민국에 주둔하는 미국의 군대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주한 미군 · 더보기 »

중화민국의 대외 관계

이 문서에서는 중화민국의 대외 관계(中華民國의 對外 關係)에 대해서.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중화민국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추성춘

성춘(秋成春 - 경향신문, 1987년 2월 20일, 1946년 10월 7일 ~)은 대한민국의 방송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추성춘 · 더보기 »

유엔한국협회

유엔한국협회(유엔韓國協會, United Nations Associ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는 유엔과 대한민국을 잇는 가교가 되어 유엔의 이념을 확산·고취시키고 국제평화의 유지와 세계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된 사단법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유엔한국협회 · 더보기 »

수지 김 사건

수지 김 사건은 대한민국 기업체의 홍콩 주재원이었던 윤태식(尹泰植)이 1987년 1월 부인 김옥분(金玉分, 일명 수지 김)을 홍콩에서 살해한 사건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수지 김 사건 · 더보기 »

오재희

오재희(吳在熙, 1932년 ~)는 대한민국의 제25대 외무부 차관을 역임한 외교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오재희 · 더보기 »

오상식 (외교관)

오상식(吳相式, 1951년 10월 9일 ~)은 대한민국의 외무공무원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오상식 (외교관) · 더보기 »

최덕신

덕신(崔德新, 1914년 9월 17일 ~ 1989년 11월 16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군인, 정치가이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최덕신 · 더보기 »

최문경 (정치인)

문경(崔文卿, 1909년 ~ ?, 경남 사천군)은 대한민국의 관료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최문경 (정치인) · 더보기 »

최광수 (공무원)

광수(崔侊洙, 1935년 2월 24일 ~)는 대한민국 제21대 외무부 장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최광수 (공무원) · 더보기 »

최규하

(崔圭夏, 1919년 7월 16일 ~ 2006년 10월 22일)는 대한민국의 제10대 대통령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최규하 · 더보기 »

최종길

종길(崔鐘吉, 1931년 4월 28일 ~ 1973년 10월 19일)은 대한민국의 법학자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최종길 · 더보기 »

최호중

호중(崔浩中, 1930년 9월 22일 ~ 2015년 2월 19일)은 대한민국의 전 외무공무원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최호중 · 더보기 »

허정

정(許政, 1896년 4월 8일 ~ 1988년 9월 18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허정 · 더보기 »

세종로공원

세종로공원(世宗路公園)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에 위치한 공원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세종로공원 · 더보기 »

서동렬

서동렬(徐東烈, 1934년 1월 31일 ~)은 대한민국의 군인, 외교관, 정치가, 국영기업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서동렬 · 더보기 »

서울출입국·외국인청

서울출입국·외국인청(-出入國·外國人廳)은 대한민국 법무부의 소속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서울출입국·외국인청 · 더보기 »

서희원 (1924년)

서희원(徐希源, 1924년 2월 21일 ~ 2004년 4월 7일)은 대한민국의 법학자, 교육자, 대학 교수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서희원 (1924년) · 더보기 »

서산 이씨

서산 이씨(瑞山 李氏)는 충청남도 서산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서산 이씨 · 더보기 »

송요찬

송요찬(宋堯讚, 1918년 2월 13일 ~ 1980년 10월 18일 오후 9시 (미국 시카고 현지 시간))은 일제 강점기의 군인이며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송요찬 · 더보기 »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

반도에너지개발기구(Korean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on, KEDO)는 1995년 3월 9일, 대한민국-미합중국-일본 삼국이 창립한 단체로, 1994년 영변 원자력 연구소에서 원자력발전소와 관련된 개발, 연구를 하는 것으로 알려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북미간 제네바 합의로 원자력 발전소 개발연구의 봉인을 유도한 이후, 그에 따른 보상을 하기 위해 설립되었.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 · 더보기 »

한국외교협회

국외교협회(韓國外交協會, Korea Council on Foreign Relations)는 회원간의 친목 도모 증진과 아울러 전직 외교관들의 경험과 지식을 활용하여 공공외교활동을 수행함으로써 국가 외교정책에 대한 국민 인식을 제고하고, 대한민국의 국제적 지위 향상을 비롯한 우호관계 증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된 사단법인으로 대한민국 외교부(외무부 및 외교통상부 포함) 전현직 공무원에게만 정회원 자격을 부여.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한국외교협회 · 더보기 »

한승주

승주(韓昇洲, 1940년 9월 13일 경기 경성 -)는 대한민국의 교육인, 외교학자, 외교관,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한승주 · 더보기 »

안광수 (1925년)

안광수(安光銖, 일본식 이름: 龜村正經, 1925년 ~ 1975년 1월 29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예편 후에는 외교관으로도 활동.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안광수 (1925년) · 더보기 »

아웅 산 묘역 테러 사건

아웅 산 묘역 테러 사건은 1983년 10월 9일에 미얀마의 수도 양곤에 위치한 아웅 산 묘역에서 미리 설치된 폭탄이 터져 한국인 17명과 미얀마인 4명 등 21명이 사망하고 수십 명이 부상당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민무력부 정찰국의 폭탄 테러 사건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아웅 산 묘역 테러 사건 · 더보기 »

홍순칠

홍순칠(洪淳七, 1929년 1월 23일 ~ 1986년 2월 7일)은 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경력이 있는 군인 출신으로 1954년 독도의용수비대를 조직하여 독도를 지키는 활약을 하였.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홍순칠 · 더보기 »

홍순영

홍순영(洪淳瑛, 1937년 1월 30일 ~ 2014년 4월 30일, 충북 제천)은 대한민국의 외교관, 교육자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홍순영 · 더보기 »

홍숙자

홍숙자(洪淑子, 1933년 7월 15일 ~)는 대한민국의 외교관, 교수, 여성운동가,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홍숙자 · 더보기 »

황용식

황용식(黃龍植, 1944년 5월 28일 ~)은 대한민국의 외무공무원이.

새로운!!: 대한민국 외무부와 황용식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