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대한민국의 보물

색인 대한민국의 보물

보물 제1호 흥인지문 대한민국의 보물(大韓民國 寶物)은 목조 건축물, 석조 건축물, 전적류, 서적류, 고문서, 회화, 조각류, 공예품, 고고자료, 무구(巫具) 등 대한민국의 유형문화재 가운데 중요한 것을 국가에서 지정한 것이.

1416 처지: 능성 쌍봉사 감역교지, 덕수궁, 덕수궁 함녕전, 돈화문, 도갑사, 도기 바퀴장식 뿔잔, 도기 녹유 탁잔, 도기 서수형 명기, 도은선생집, 도피안사, 독락당, 동관왕묘, 동궐도, 동국대지도, 동인지문사육 권1~3, 4~6, 10~12, 13~15, 동인지문사육-권10~12, 동인지문사육-권13~15, 동인지문사육-권1~6, 동제염거화상탑지, 동해 삼화사 철조노사나불좌상, 동해 삼화사 삼층석탑, 동학사, 동화사, 류운룡, 류성룡 종가 유물, 마곡사, 마천목좌명공신녹권, 목우자수심결 및 사법어(언해), 목우자수심결(언해) (보물 제1848호), 몽산화상육도보설, 명정문 및 행각, 명안공주 관련 유물, 무주 안국사 영산회괘불탱, 문무잡과방목, 문경 도천사지 동·서 삼층석탑, 문경 도천사지 삼층석탑, 문경 봉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문경 봉암사 극락전,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문경 대승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문경 대승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관계문서, 문경 대승사 금동관음보살좌상, 문경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문경 내화리 삼층석탑, 문경 오층석탑, 문수사리보살최상승무생계경, 문양전, ..., 문화재 반환, 문화재 등재 체계 목록, 묘법연화경, 묘법연화경 (보물 제961-2호), 묘법연화경 목판 (보물 제1908호), 묘법연화경(언해) 권1, 4, 묘법연화경찬술 권1~2, 묘법연화경삼매참법 권상, 묘법연화경삼매참법 권하, 미황사, 감은사지 서삼층석탑 사리장엄구,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 권15,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1,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2, 4, 5, 6,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3,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7 (보물 제269-4호),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7 (보물 제352호), 감지은니보살선계경 권8,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13, 배자예부운략 목판, 백범일지, 백자 반합, 백자 병, 백자 달항아리 (보물 제1437호), 백자 달항아리 (보물 제1438호), 백자 달항아리 (보물 제1439호), 백자 달항아리 (보물 제1441호), 백자 청화매월십장생문 팔각접시, 백자 청화보상당초문 항아리, 백자 청화운룡문 병 (보물 제785호), 백자 청화운룡문 병 (보물 제786호), 백자 청화운룡문 항아리, 백자 청화잉어문 항아리,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 백자 청화철화‘시’명나비문 팔각연적, 백자 청화칠보난초문 병, 백자 청화투각모란당초문 항아리, 백자 청화송죽인물문 항아리, 백자 청화소상팔경문 팔각연적, 백자 태항아리 및 태지석 (보물 제1065호), 백자 태항아리 및 태지석 (보물 제1169호), 백자 사각발형 제기, 백지묵서묘법연화경 권1, 3, 백지묵서지장보살본원경, 백지금니금강 및 보문발원, 백지은니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0, 반야심경소현정기, 갑사 (사찰), 간평일구·혼개일구, 박동형 초상 및 함,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강릉 대창리 당간지주, 강릉 굴산사지 당간지주, 강릉 굴산사지 승탑, 강릉 수문리 당간지주,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 (보물), 강릉 신복사지 삼층석탑,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 강릉향교, 강릉향교 대성전, 박문수, 박문수 초상 (보물 제1189-1호), 박문수 초상 (보물 제1189-2호), 강민첨 초상, 강이오 초상, 박중손,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강진 고성사 청동보살좌상, 강진 금곡사 삼층석탑, 강진 정수사 석가여래삼불좌상,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 박유명 초상, 박사익 초상, 강세황필 도산서원도, 강화 백련사 철조아미타여래좌상, 강화 장정리 오층석탑, 강화 장정리 석조여래입상, 강화 전등사 철종, 강화 전등사 약사전, 강화 정수사 법당, 강화 청련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가지산 (경상도), 밀양 만어사 삼층석탑, 밀양 무봉사 석조여래좌상, 밀양 숭진리 삼층석탑,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출토 유물 일괄, 밀양 소태리 오층석탑, 거창 가섭암지 마애여래삼존입상, 거창 고견사 동종, 거창 농산리 석조여래입상, 거창 상림리 석조보살입상, 거창 양평리 석조여래입상, 거창 심우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건봉사, 격몽요결, 결성면, 경복궁 근정문 및 행각, 경복궁 풍기대, 경복궁 아미산 굴뚝, 경북대학교 도서관, 경기감영도, 경국대전, 경국대전 권3, 경주 마동 삼층석탑, 경주 무장사지 삼층석탑, 경주 무장사지 아미타불 조상 사적비, 경주 미탄사지 삼층석탑, 경주 감은사지 동·서 삼층석탑,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 경주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 경주 골굴암 마애여래좌상, 경주 보문사지 당간지주, 경주 보문사지 연화문 당간지주, 경주 계림로 보검, 경주 불국사 가구식 석축, 경주 불국사 영산회상도 및 사천왕 벽화, 경주 불국사 사리탑, 경주 불국사 삼장보살도, 경주 불국사 석조, 경주 기림사 건칠보살반가상, 경주 기림사 비로자나삼불회도, 경주 기림사 대적광전,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경주 남간사지 당간지주, 경주 남산 미륵곡 석조여래좌상, 경주 남산 불곡 마애여래좌상, 경주 남산 용장계 지곡 제3사지 삼층석탑, 경주 남산 용장사곡 삼층석탑, 경주 남산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 경주 남산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 경주 남산 창림사지 삼층석탑, 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 경주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경주 남산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 경주 낭산 마애보살삼존좌상, 경주 이차돈 순교비, 경주 율동 마애여래삼존입상,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경주 양동 무첨당, 경주 양동 관가정, 경주 양동 향단, 경주 양동마을, 경주 삼랑사지 당간지주, 경주 석빙고, 경주 석굴암 삼층석탑, 경주 서악동 마애여래삼존입상, 경주 서악동 귀부, 경주 서악동 삼층석탑, 경주 원성왕릉 석상 및 석주일괄, 경주 원원사지 동·서 삼층석탑, 경주 월지 금동초심지가위,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금동찰주본기, 경주 황남동 금제 드리개, 경주이씨 양월문중 고문서 및 향안, 경주이씨 양월문중 고문서 및 향안 - 이지대 왕지, 경주향교, 경주향교 대성전, 경진년대통력, 경산 경흥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경산 불굴사 삼층석탑, 경산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 경산 환성사 대웅전, 벽송사, 범망경 및 금강반야바라밀경, 범망경보살계본 및 수보살계법, 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 (보물 제1948호), 법주사 괘불탱,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성룡사), 고려 수월관음보살도, 고려 오백나한도, 고려 십육나한도(제15 아벌다존자), 고려 십육나한도(제7 가리가존자), 고령 장기리 암각화, 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 고구려 평양성 석편, 고흥 능가사 동종, 고희 초상 및 문중유물, 고창 문수사 목조지장보살좌상 및 시왕상 일괄, 고창 문수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고창 선운사 도솔암 금동지장보살좌상, 고창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 고창 선운사 금동지장보살좌상, 고창 선운사 참당암 대웅전, 고창 선운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고성 운흥사 관음보살도, 고성 옥천사 지장보살도 및 시왕도, 고성 옥천사 청동북, 곡성 도림사 아미타여래설법도, 곡성 가곡리 오층석탑, 곡성 태안사 동종,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 곡성 태안사 청동 대바라, 곤여만국전도, 곤여전도,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 보물, 보경사, 보경사 원진국사비, 보은 법주사 동종, 보은 법주사 복천암 수암화상탑, 보은 법주사 복천암 학조화상탑, 보은 법주사 대웅보전, 보은 법주사 사천왕 석등, 보은 법주사 석조희견보살입상, 보은 법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보은 법주사 신법 천문도 병풍, 보은 법주사 원통보전, 보성 벌교 홍교, 보성 봉천리 오층석탑, 보성 대원사 극락전 관음보살・달마대사 벽화, 보성 유신리 마애여래좌상, 곽재우, 곽재우 유물 일괄, 복각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 공주 마곡사 영산전,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 공주 마곡사 석가모니불괘불탱, 공주 반죽동 당간지주, 공주 반죽동 석조, 공주 갑사 동종, 공주 갑사 승탑, 공주 갑사 철당간, 공주 갑사 석가여래삼세불도 및 복장유물, 공주 계룡산 중악단, 공주 중동 석조, 공주 서혈사지 석조여래좌상, 계초심학인문(언해) 목판, 괴산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괴산 보안사 삼층석탑,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 괴산 외사리 승탑, 광주 자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광주 증심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광주 지산동 오층석탑, 광주 약사암 석조여래좌상, 광주광역시립민속박물관, 광양 중흥산성 삼층석탑, 광한루, 봉래유묵, 봉정사, 봉수당진찬도, 봉업사명 청동북, 봉화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목조광배,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봉화 서동리 동·서 삼층석탑, 관덕정, 관상감 측우대, 권문해 초간일기, 권벌 종가 고문서, 권벌 종가 전적, 권벌 종가 유묵, 권응수장군유물-권응수초상, 권응수장군유물-장검, 권주 종가 문적, 권주 종가 고문서, 불곡사, 불회사, 불조역대통재, 불조삼경 (보물 제1224-2호), 불조삼경 (보물 제1224호), 불조삼경 (보물 제694-1호), 불조삼경 (보물 제694-2호), 불조삼경 (보물 제695호), 불설대보부모은중경 (보물 제1125호), 불설대보부모은중경 (보물 제705호), 불설대보부모은중경 (보물 제920호),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보물 제1092호),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 분청사기 박지철채화문 병, 분청사기 박지태극문 편병, 분청사기 인화점문 장군, 분청사기 철화모란문 장군, 분청사기 철화당초문 장군, 분청사기 철화어문 항아리, 분청사기 상감 정통4년명 김명리 묘지, 분청사기 상감‘정통 13년’명 묘지 및 분청사기 일괄, 분청사기 상감모란문 매병, 분청사기 상감모란문 반합, 분청사기 상감모란문 항아리, 분청사기 상감모란양류문 병, 분청사기 상감파도어문 병, 분청사기 상감연화문 편병, 분청사기 상감연화당초문 병, 분청사기 상감사각묘지 및 분청사기 인화문 사각편병, 부여 무량사 미륵불괘불탱, 부여 무량사 극락전,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부여 군수리 금동보살입상,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 부여 당 유인원 기공비, 부여 장하리 삼층석탑, 부여 정림사지 석조여래좌상, 부여 사택지적비, 부여 석조, 부여 왕흥사지 사리기 일괄, 부산 범어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부산 범어사 조계문, 부산 복천동 출토 금동관, 부산 국청사 청동북, 부산 운수사 대웅전, 부석사, 부안 개암사 대웅전, 부안 내소사 동종, 부안 내소사 대웅보전, 부안 내소사 영산회괘불탱, 기림사, 기묘제현수필, 기장 장안사 대웅전, 기장 장안사 석조석가여래삼불좌상, 기사계첩 (보물 제638호), 기사계첩 (보물 제639호), 기사계첩 (보물 제929호), 길흉축월횡간 고려목판, 금동 당간 용두, 금동 자물쇠 일괄,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보물 제643호), 금동보살입상 (보물 제780호), 금동관음보살입상 (보물 제927호), 금동용두토수, 금동정지원명석가여래삼존입상, 금동여래입상 (보물 제779호), 금령총 금관, 금강반야바라밀경, 금강반야바라밀경 (보물 제1408호), 금강반야바라밀경 (보물 제696호), 금강반야바라밀경 (보물 제721호), 금강반야바라밀경 (보물 제775호), 금강반야경소개현초 권4~5, 금강산 출토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구 일괄, 금고 (육군박물관 소장), 금보 (악보), 금당사, 금장요집경 권1~2, 급암선생시집, 비로사 (영주시), 비격진천뢰, 김길통 좌리공신교서, 김용 호종일기, 김회련 개국원종공신녹권, 김회련 고신왕지, 김이안 초상, 김제 귀신사 대적광전, 김제 귀신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김제 금산사 금강계단, 김제 금산사 노주, 김제 금산사 육각 다층석탑,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김제 금산사 석련대, 김제 청룡사 목조관음보살좌상, 김정희 종가 유물, 김정희 종가 유물 일괄, 김정희 필 대팽고회, 김정희 필 차호호공, 김정희 필 침계, 김종직 종가 고문서, 김중만 초상, 김천 갈항사지 동·서 삼층석탑출토 사리장엄구, 김천 고방사 아미타여래설법도, 김천 광덕리 석조보살입상, 김천 직지사 묘법연화경, 김천 직지사 대웅전, 김천 직지사 대웅전 수미단, 김천 직지사 대웅전 삼존불탱화, 김천 직지사 석조약사여래좌상, 김천 청암사 수도암 동·서 삼층석탑, 김천 청암사 수도암 석조보살좌상, 김천 청암사 수도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 김천리 개국원종공신녹권, 김유 초상, 김윤겸 필 영남기행화첩, 김성일 종가 고문서, 김성일 종가 전적, 김시민 선무공신 교서, 김시습 초상, 김시필 동자견려도, 김홍도필 병진년 화첩, 김완 초상, 대동여지도, 대명률 (대한민국의 보물), 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8,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4,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72, 대방광불화엄경진본 권53, 대방광불화엄경소, 대방광불화엄경소 목판, 대방광불화엄경소 권48,64,83,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보물 제1518-2호),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1,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1의1,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2의2, 권하3의1~3의2, 대반열반경소,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보물 제1939호),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2, 10, 대구 도학동 승탑, 대구 동화사 마애여래좌상, 대구 동화사 금당암 동·서 삼층석탑,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대구 동화사 당간지주, 대구 동화사 지장시왕도, 대구 동화사 삼장보살도, 대구 무술명 오작비,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복장유물, 대구 북지장사 지장전, 대구 용연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및 복장유물, 대구 운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대구 파계사 건칠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대구 파계사 영산회상도, 대구 파계사 원통전, 대구 산격동 연화 운룡장식 승탑, 대구 산격동 사자 주악장식 승탑, 대구 서봉사 지장시왕도, 대승기신론소 (보물 제1713호), 대승아비달마잡집론소 권13~14, 대흥사, 대전 비래사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대전 회덕 동춘당, 대혜보각선사서 (보물), 대혜원명 동종, 대성지성문선왕전좌도, 대한민국의 명승, 대한민국의 명승 (제101호 ~ 제200호), 대한민국의 명승 (제1호 ~ 제100호), 대한민국의 문화재,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제1호 ~ 제100호),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제201호 ~ 제300호), 대한민국의 국보, 대한민국의 국보 (제101호 ~ 제200호), 대한민국의 국보 (제1호 ~ 제100호), 대한민국의 국보 (제201호 ~ 제300호), 대한민국의 국보 (제301호 ~ 제400호),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101호 ~ 제200호),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1호 ~ 제100호),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201호 ~ 제300호),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301호 ~ 제400호),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401호 ~ 제500호),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501호 ~ 제600호), 대한민국의 사적, 대한민국에 관한 문서, 대악후보, 구례 논곡리 삼층석탑, 구례 천은사 괘불탱, 구례 천은사 관세음·대세지보살좌상, 구례 천은사 극락전 아미타후불탱화, 구례 천은사 삼장보살도,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 구례 화엄사 동 오층석탑,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구례 화엄사 서 오층석탑, 구례 화엄사 화엄석경, 구리 동구릉 건원릉 정자각, 구미 도리사 석탑, 구미 대둔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구미 대둔사 대웅전, 구미 낙산리 삼층석탑, 구미 수다사 영산회상도, 구미 해평리 석조여래좌상, 구미 황상동 마애여래입상, 국립경주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국립중앙도서관, 국가문화유산포털, 국조정토록, 군위 대율리 석조여래입상,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및 비, 군위 지보사 삼층석탑, 군산 발산리 오층석탑, 군산 발산리 석등, 두시언해, 둔촌잡영, 남명천화상송증도가 (보물 제758-1호), 남명천화상송증도가 (보물 제758-2호), 남구만 초상, 남양전씨 종중 문서 일괄, 남양주 봉선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 남양주 흥국사 소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16나한상 일괄, 남양주 수종사 부도 사리장엄구, 남양주 수종사 부도 사리장엄구-금제구층탑, 남양주 수종사 부도 사리장엄구-은제 도금 사리기,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 출토유물 일괄, 남해 용문사 괘불탱, 남해 용문사 대웅전, 남원 만복사지 오층석탑, 남원 만복사지 석조대좌,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 남원 백장암 청동은입사향로, 남원 개령암지 마애불상군, 남원 용담사지 석조여래입상, 남원 선국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남원 선원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소조시왕상 일괄, 남원 선원사 철조여래좌상, 남원 실상사 백장암 석등, 남원 실상사 승탑,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남원 실상사 철조여래좌상, 남원양씨 종중 문서 일괄, 나주 동점문 밖 석당간, 나주 불회사 건칠비로자나불좌상, 나주 다보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소조십육나한좌상, 나주 죽림사 세존괘불탱, 나주 철천리 마애칠불상, 나주 철천리 석조여래입상, 나주 서성문 안 석등, 나주 심향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나주향교 대성전, 낙산사, 낙산사 동종, 낙산사 칠층석탑, 농경문 청동기, 노자권재구의, 노인 금계일기, 노영 필 아미타여래구존도·고려 태조 담무갈보살 예배도, 논산 돈암서원 응도당, 논산 개태사지, 논산 관촉사 석등, 논산 노강서원 강당, 논산 쌍계사 대웅전, 논산 쌍계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 단양 향산리 삼층석탑, 단양읍, 달마대사관심론 목판, 달마대사혈맥론 목판, 달마산 (전라남도), 달성 도동서원 중정당·사당·담장, 달성 용연사 금강계단, 달성 태고정, 달성 현풍 석빙고, 담양 객사리 석당간, 담양 개선사지 석등, 담양 남산리 오층석탑, 담양 용흥사 동종, 당진 영탑사 금동비로자나불삼존좌상,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 당진 안국사지 석탑, 당진 신암사 금동여래좌상, 당진동, 용문사 (예천군), 용문사 (양평군), 용감수경, 용비어천가,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용암동, 우주두율, 울주 망해사지 승탑, 울주 간월사지 석조여래좌상, 울주 청송사지 삼층석탑, 울주 석남사 승탑, 울진 불영사 응진전, 울산 태화사지 십이지상 사리탑, 울산왜성, 요계관방지도, 자경전, 자경전 십장생 굴뚝, 자비도량참법집해, 자치통감 권226~229, 자수 초충도 병풍, 자수가사, 장말손 종가 고문서, 장말손 초상, 장계 홍패 및 장말손 백패·홍패, 장관 개국원종공신녹권, 장승법수 (보물 제703-1호), 장승법수 (보물 제703-2호), 장승법수 (보물 제704호), 장흥 보림사 동 승탑,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장흥 보림사 서 승탑, 장성 백양사 소요대사탑, 장안사 (기장군), 재조본 유가사지론 권20, 재조본 사분율 권47~50, 임신서기석, 임실 진구사지 석등, 포항 보경사 적광전, 포항 중성리 신라비,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복장유물,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복장전적,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평창군, 흥천사명 동종, 희경루방회도, 이덕성 초상 및 관련자료 일괄,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 이광사 초상, 이광악 선무공신교서, 이기룡필 남지기로회도, 이이 남매 화회문기, 이제 개국공신교서, 이종주 고신왕지 및 이임 무과홍패, 이중로 정사공신교서 및 초상 - 이중로 정사공신교서, 이중로 정사공신교서 및 초상 - 이중로 초상, 이천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 이천 영월암 마애여래입상, 이상룡 (1858년), 이상길 초상, 이색 초상, 이색초상-목은영당본, 이색초상-영모영당본, 이순신 유물 일괄, 이순신 선무공신교서, 이순신처 방씨 고신교지, 이현보 종가 문적, 이현보 초상, 이형 좌명원종공신녹권 및 함, 이성윤 초상, 이성윤 위성공신교서 및 관련유물, 이하응 초상 일괄, 이십공신회맹축 - 보사공신녹훈후, 이십공신회맹축 - 영국공신녹훈후, 이원익 초상, 이황필적 - 퇴도선생필법 및 퇴도선생유첩,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인목왕후 어필 칠언시, 인제 봉정암 오층석탑, 인제 한계사지 북 삼층석탑, 인정문, 인조 별서 유기비, 인천안목, 인천안목 목판, 일월반도도 병풍, 의령 보리사지 금동여래입상, 의령 보천사지 승탑, 의령 보천사지 삼층석탑, 의겸등필 수월관음도, 의성 만취당, 의성 고운사 석조여래좌상, 의성 관덕동 석사자, 의성 관덕리 삼층석탑,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 의성 대곡사 대웅전, 의왕 청계사 동종, 익재난고 권6~7, 익산 미륵사지 당간지주, 익산 관음사 목조보살입상, 익산 숭림사 보광전, 익산 연동리 석조여래좌상, 익산 심곡사 칠층석탑 출토 금동불감 및 금동아미타여래칠존좌상, 응제시주, 은렬사, 은입사귀면문철퇴, 은제도금화형탁잔, 은해사, 제주 불탑사 오층석탑, 제주향교, 제주향교 대성전, 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 제천 장락동 칠층모전석탑, 제천 청풍 한벽루, 제천 사자빈신사지 사사자 구층석탑, 제왕운기, 전 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 전 구미 강락사지 삼층석탑, 전 낙수정 동종, 전 회양 장연리 금동관음보살좌상, 전 윤효전 초상,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전등사, 전주 경기전 정전, 전주 풍패지관, 전주이씨 고림군파 종중 문서 일괄, 전주시, 정명경집해관중소 권3~4, 정읍 보화리 석조이불입상, 정읍 은선리 삼층석탑, 정읍 천곡사지 칠층석탑, 정읍 피향정, 정조 어찰첩, 정조필 국화도, 정조필 파초도, 정종 적개공신 교서 및 관련 고문서, 정탁 문적 - 약포유고 및 고문서, 정탁 초상,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 정선 필 육상묘도, 정선 필 해악전신첩, 정선군, 정선필 풍악도첩, 정선필 해악팔경 및 송유팔현도 화첩, 조흡 고신왕지 (육군사관학교), 조흡 사패왕지, 조정 임진란기록 일괄, 조정 종가 문적 (보물 1004-1호), 조정 종가 문적 (보물 1004-2호), 조영복 초상, 조헌 관련 유품, 조선 태조 어진, 조선경국전 (보물 제1924호), 조선본 천하여지도, 조선팔도고금총람도, 조선후기 문인 초상, 조선왕릉, 조선왕조의궤,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4호), 종묘, 종경촬요 목판, 주범망경, 주역참동계 (보물 제1900호), 주역천견록, 주세붕 초상, 중수정화경사증류비용본초 권17, 중화전 및 중화문, 중완구, 직지사, 직지심체요절, 진도 금골산 오층석탑, 진일유고, 진주 묘엄사지 삼층석탑, 진주 용암사지 승탑, 진주 응석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진주 청곡사 목조제석천·대범천의상, 진주 청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진주 청곡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진주 월명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진천 영수사 영산회괘불탱, 진천 연곡리 석비, 진충귀, 진충귀 개국원종공신녹권, 진충귀 고신왕지, 진산세고, 진안 금당사 괘불탱, 진실주집 (보물 제1014호), 진실주집 (보물 제1775호), 진실주집 (보물 제921-3호), 진실주집 (보물 제921호), 지자총통, 지장도, 지장보살본원경 (보물 제1011호), 지장보살본원경 (보물 제1104호), 지장보살본원경 (보물 제1567호), 지장보살본원경 (보물 제933호), 지장보살본원경 (보물 제966호), 창덕궁, 창덕궁 금천교, 창덕궁 측우대, 창덕궁 선원전, 창경궁, 창경궁 관천대, 창경궁 옥천교, 창녕 관룡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대좌, 창녕 관룡사 대웅전, 창녕 관룡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 창녕 관룡사 용선대 석조여래좌상, 창녕 관룡사 석조여래좌상, 창녕 인양사 조성비, 창녕 술정리 서 삼층석탑, 창녕 영산 만년교, 창녕 영산 석빙고, 창녕 석빙고, 창녕 송현동 마애여래좌상, 창의문, 창원 성주사 감로왕도, 채제공 초상 일괄-시복본, 철종어진, 철원 도피안사 삼층석탑, 청량답순종심요법문 목판, 청량산 괘불탱, 청도 박곡리 석조여래좌상, 청도 대비사 대웅전, 청도 대비사 영산회상도, 청도 대적사 극락전, 청도 용천사 영산회상도, 청도 운문사 동호,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관음보살 달마대사 벽화,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청도 장연사지 동·서 삼층석탑, 청도 석빙고, 청동은입사포류수금문향완, 청룡사 (안성시), 청구도, 청자 구룡형 주전자 (보물), 청자 음각모란 상감보자기문 유개매병, 청자 음각국화당초문 완, 청자 음각용문 주전자, 청자 음각운문 병, 청자 음각연화문 팔각장경병, 청자 음각연화당초 상감국화문 완,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항아리, 청자 죽순모양 주전자, 청자 철채양각연판문 병, 청자 철화초충조문 매병, 청자 유개항아리, 청자 상감‘덕천’명 연화양류문 매병, 청자 상감‘상약국’명 음각운룡문 합, 청자 상감‘신축’명 국화모란문 벼루,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 (보물 제1168호),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 (보물 제903호), 청자 상감모란문 발우 및 접시, 청자 상감모란문 주전자, 청자 상감모란양류문 주전자 및 승반, 청자 상감국화모란당초문 모자합, 청자 상감국화모란유로죽문 매병 및 죽찰, 청자 상감운학모란국화문 매병,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보물), 청자 상감운학국화문 병형 주전자, 청자 상감오리모양 주전자, 청자 상감어룡문 매병, 청자 상감연판문 매병, 청자 상감앵무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청자 투각고리문 의자, 청자 투각연당초문 붓꽂이,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 청자 양각갈대기러기문 정병, 청자 양각운룡문 매병, 청자 양각연판문 접시, 청자 양각연화당초 상감운학문 완, 청자 표주박모양 주전자, 청자 퇴화문 두꺼비모양 벼루, 청자 퇴화초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및 승반, 청자 퇴화화문 주전자 및 승반, 청주 명암동 출토 ‘단산오옥’명 고려 먹, 청주 계산리 오층석탑, 청주 비중리 석조여래삼존상 및 석조여래입상, 청주 용화사 석조불상군, 청주 영조 태실, 청주 안심사 대웅전, 청양 운장암 금동보살좌상,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청양 장곡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및 석조대좌, 청양 장곡사 상 대웅전, 청양 장곡사 하 대웅전, 청양 읍내리 석조여래삼존입상, 청양 서정리 구층석탑, 청양읍, 청풍 문화재 단지, 청송 보광사 극락전, 청송 대전사 보광전, 청암사, 체징, 천마총 금제 관식 (보물 제617호), 천마총 금제 관식 (보물 제618호), 천자총통, 천은사 (구례군), 천지명양수륙잡문 목판, 천안 광덕사 감역교지, 천안 광덕사 고려사경, 천안 광덕사 조선사경, 천안 삼태리 마애여래입상, 초조본 법원주림 권82, 초조본 불정최승다라니경, 초조본 불설문수사리일백팔명범찬, 초조본 불설가섭부불반열반경, 초조본 불설우바새오계상경, 초조본 불설일체여래금강삼업최상비밀대교왕경 권4,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0,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41,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7, 77, 초조본 잡아비담심론 권9, 초조본 집대승상론 권하, 초조본 수용삼수요행법, 초조본 사두간진일태자이십팔수경, 초조본 성지세다라니경, 초조본 아비달마대비바사론 권38, 초조본 아비달마식신족론 권13, 초조본 아비담비파사론 권16, 초조본 아비담팔건도론 권24, 초조본 십주비바사론 권17, 충명국사, 충담, 충주 미륵리 오층석탑, 충주 미륵리 석조여래입상, 충주 백운암 철조여래좌상, 충주 봉황리 마애불상군, 충주 대원사 철조여래좌상, 충주 단호사 철조여래좌상,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앞 사자 석등,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춘천 근화동 당간지주, 춘천 청평사 회전문, 춘천 칠층석탑, 춘추경좌씨전구해 권60~70 (보물 제1208-1호), 춘추경좌씨전구해 권60~70 (보물 제1208-2호), 칠곡 기성리 삼층석탑, 칠곡 노석리 마애불상군,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칠곡 송림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 칠곡 송림사 석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칠태부인 경수연도, 유몽인 위성공신 교서, 유근 초상, 유형문화재, 유한지 예서 기원첩, 윤봉길 의사 유품, 윤단학 노비허여문기 및 입안, 윤증 초상 일괄, 윤선도 종가 문적, 휴대용 앙부일구, 파계사, 팔공산, 팔달문,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9~10 (보물 제1543호), 상주 북장사 영산회괘불탱, 상주 남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상주 남장사 감로왕도, 상주 남장사 보광전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상주 남장사 관음선원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상주 남장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입상,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좌상, 상주 양진당, 상주 화달리 삼층석탑, 상지은니대반야바라밀다경 권305, 상지은니대지도론 권28, 상설고문진보대전전집 권7~8, 탐라순력도, 태인 고현동 향약,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 태안읍, 태환이식, 탑골공원, 탑산사명 동종, 투각, 순천 동화사 삼층석탑, 순천 매곡동 석탑 청동불감 및 금동아미타여래삼존좌상, 순천 금둔사지 삼층석탑, 순천 정혜사 대웅전, 순천 선암사 33조사도, 순천 선암사 동 승탑, 순천 선암사 동종, 순천 선암사 북 승탑,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순천 선암사 대각암 승탑, 순천 선암사 승선교, 순천 선암사 석가모니불괘불탱 및 부속유물일괄, 순천 선암사 선각국사 도선 진영, 순천 선암사 서부도암 감로왕도, 순천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소조16나한상 일괄, 순천 송광사 경질, 순천 송광사 경패, 순천 송광사 금동 요령, 순천 송광사 영산전,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 복장유물, 순천 송광사 하사당, 순천 송광사 십육조사진영,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 수종사,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수원 화성, 수월관음도 (보물 제1426호), 숙명신한첩, 숙신옹주 가옥허여문기, 영덕 장육사 건칠관음보살좌상, 영덕 유금사 삼층석탑, 영동 영국사 승탑,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비, 영동 신항리 석조여래삼존입상, 영광 불갑사 불복장 전적, 영광 신천리 삼층석탑, 영남루, 영조 기로연·수작연도 병풍, 영조대왕태실석난간조배의궤, 영조어진, 영주 북지리 석조여래좌상, 영주 부석사 고려목판, 영주 부석사 당간지주, 영주 부석사 오불회 괘불탱, 영주 부석사 삼층석탑 (보물), 영주 부석사 석조석가여래좌상, 영주 숙수사지 당간지주, 영주 영주동 석조여래입상, 영주 석교리 석조여래입상, 영주 성혈사 나한전,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 영천 봉림사 영산회상도 및 복장유물, 영천 은해사 백흥암 극락전, 영천 은해사 백흥암 수미단, 영천 은해사 괘불탱, 영천 은해사 운부암 금동보살좌상, 영천 은해사 청동북 및 북걸이, 영천 은해사 염불왕생첩경도, 영천 청제비, 영천 숭렬당, 영천 선원동 철조여래좌상, 영천 신월리 삼층석탑, 영천향교 대성전, 영양 현리 삼층석탑, 영양 화천리 삼층석탑,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수미선사비, 영암 도갑사 오층석탑, 영암 성풍사지 오층석탑, 영암 월출산 용암사지 삼층석탑,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오운 종가 문적, 오자치 초상, 오재순 초상, 오죽헌, 옥천사, 호법론, 호조랑관계회도, 예천 동본리 삼층석탑, 예천 동본리 석조여래입상,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예천 개심사지 오층석탑, 예천 용문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예천 용문사 대장전, 예천 용문사 천불도, 예천 용문사 영산회괘불탱, 예천 야옹정, 예천 한천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예천권씨 초간종택 별당, 예산 삽교읍 석조보살입상,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예안 김씨 가전계회도 일괄, 협주명현십초시, 옛 보신각 동종, 최문병 의병장 안장, 최익현 초상, 최유련 개국원종공신녹권, 최석정 초상 및 함, 향약제생집성방,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탑 및 비,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양천구, 양양 낙산사 해수관음공중사리탑·비 및 사리장엄구 일괄, 양양 진전사지 도의선사탑, 양양 오색리 삼층석탑, 양양 선림원지 승탑, 양양 선림원지 삼층석탑, 양양 선림원지 석등,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양사언 초서, 양산 미타암 석조아미타여래입상, 양산 금조총 출토 유물 일괄, 양산 내원사 청동북, 양산 통도사 동종, 양산 통도사 봉발탑,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 삼신불도, 양산 통도사 청동은입사향완 (보물 제1354호), 양산 통도사 청동은입사향완 (보물 제1735호), 양산 통도사 영산전, 양산 통도사 영산전 벽화, 양산 통도사 영산전 팔상도, 양산 통도사 아미타여래설법도, 양산 신흥사 대광전, 양산 신흥사 대광전 벽화, 양산이씨 종가 고문서, 여주 고달사지 쌍사자 석등,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 여주 효종 영릉재실, 여주 출토 동종,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여주 신륵사 대장각기비, 여주 신륵사 조사당, 여주이씨 옥산문중 고문서, 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 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해동명적,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원조오잠, 사산오대, 여수 흥국사 동종, 여수 흥국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시왕상 일괄 및 복장유물, 여수 흥국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여수 흥국사 대웅전, 여수 흥국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 여수 흥국사 대웅전 후불탱, 여수 흥국사 홍교, 여수 진남관, 여수 타루비, 역옹패설, 연잉군 초상, 연정계회도, 염제신 초상, 허목 초상, 풍남문, 풍아익, 사마방목 (보물 제1464호), 사마방목 (보물 제524-1호), 사직공원, 사직단 대문, 사천 흥사리 매향비, 산청 법계사 삼층석탑, 산청 대포리 삼층석탑, 산청 대원사 다층석탑, 산청 내원사 삼층석탑, 산청 단속사지 서 삼층석탑, 산청 율곡사 대웅전, 산청 사월리 석조여래좌상, 살곶이다리, 삼강행실도, 삼국유사, 삼국유사 권1~2, 삼국사기, 삼존불비상, 삼척시, 삼현수간, 석조지장보살좌상, 선본사, 선정전, 선조국문유서, 선조어서사 송언신 밀찰첩, 선조어서사 송언신 밀찰첩 및 송언신 초상, 선종영가집, 선암사, 설곡시고, 설씨부인 권선문, 성리대전서절요, 성균관, 성주 법수사지 삼층석탑, 성주 금봉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성주 선석사 영산회 괘불탱, 성주도씨 종중 문서 일괄, 성주향교 대성전 및 명륜당, 성수침, 성수침 필적, 성석린 고신왕지, 성세창 제시 미원계회도, 성세창 제시 하관계회도, 세종 연화사 칠존불비상, 세종대학교, 세종특별자치시, 세총통, 서문중 초상 및 함, 서거정 필적, 서경우 초상 및 함, 서봉총 금관, 서북피아양계만리일람지도,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 전적, 서울 경국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서울 보타사 마애보살좌상, 서울 보타사 금동보살좌상, 서울 봉은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서울 승가사 석조승가대사좌상, 서울 흥천사 금동천수관음보살좌상, 서울 이윤탁 한글영비, 서울 청룡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서울 청진동 출토 백자항아리, 서울 수국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 서울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 서울 원각사지 대원각사비, 서울 화계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서울특별시, 서직수 초상, 서천 봉서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서천 성북리 오층석탑,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 서산 문수사 금동여래좌상 복장유물, 서산 개심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서산 개심사 제석·범천도 및 팔금강·사위보살도, 서산 개심사 영산회괘불탱, 서산 개심사 오방오제위도 및 사직사자도, 서산 보원사지,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서산 보원사지 석조, 속초 향성사지 삼층석탑, 속초 신흥사 극락보전, 손기정, 토기 융기문 발, 송악면, 소총통, 소상팔경도, 통명전, 통영 충렬사 팔사품 일괄, 통영 측우대, 퇴계선생문집, 퇴계선생문집 목판, 함양 덕전리 마애여래입상, 함양 법인사 감로왕도, 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 함양 승안사지 삼층석탑, 함양박씨 정랑공파 문중 전적, 함양읍, 함통6년명 청동북, 함안 대산리 석조삼존상, 합천 백암리 석등, 합천 청량사 석등, 합천 청량사 석조여래좌상, 합천 치인리 마애여래입상, 합천 영암사지 귀부, 합천 영암사지 쌍사자 석등, 합천 영암사지 삼층석탑, 합천 해인사 동종, 합천 해인사 감로왕도,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전적, 합천 해인사 길상탑,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전적, 합천 해인사 지장시왕도,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 합천 해인사 석조여래입상, 합천 해인사 원당암 다층석탑 및 석등, 합천 해인사 홍제암,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및 석장비, 해동조계복암화상잡저, 해동여지도, 해남 미황사 괘불탱,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삼층석탑, 해남 대흥사 금동관음보살좌상, 해남 대흥사 삼층석탑, 해남 대흥사 석가여래삼불좌상,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탑, 해남 윤씨 가전 고화첩 일괄, 해운정, 해서암행일기, 한글비석로, 한국미술박물관, 한국의 문화, 한호 필적-석봉진적첩, 한산후, 한석봉증유여장서첩, 안동 도산서원 전교당, 안동 도산서원 상덕사 및 삼문, 안동 개목사 원통전, 안동 광흥사 동종, 안동 봉정사 고금당, 안동 봉정사 영산회괘불도, 안동 봉정사 영산회상벽화, 안동 봉정사 아미타설법도, 안동 봉정사 화엄강당, 안동 운흥동 오층전탑, 안동 평화동 삼층석탑,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 안동 의성김씨 종택, 안동 조탑리 오층전탑,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 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 안동 하회 충효당, 안중근, 안중근 의사 유묵,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안양 중초사지 삼층석탑, 안성 봉업사지 오층석탑, 안성 봉업사지 석조여래입상, 안성 청룡사 감로탱, 안성 청룡사 대웅전, 안성 청룡사 영산회괘불탱, 안성 청원사 건칠아미타여래불좌상 복장전적,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안성 칠장사 삼불회괘불탱, 안성 석남사 영산전, 안압지 출토 금동판 불상 일괄, 안심사 (청주시), 하동 쌍계사 감로왕도, 하동 쌍계사 괘불도, 하동 쌍계사 승탑, 하동 쌍계사 적묵당, 하동 쌍계사 팔상전 영산회상도, 하남 동사지 오층석탑, 하남 동사지 삼층석탑, 하남 교산동 마애약사여래좌상,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 아미타여래도, 아산 평촌리 석조약사여래입상, 아산 읍내동 당간지주, 필암서원 문적 일괄, 앙부일구, 식물본초, 신륵사, 신묘삼월 문무과전시방목, 신경행 청난공신교서 및 관련문적, 신법 지평일구 (보물 제840호), 신편산학계몽, 신응경, 신찬벽온방, 신숙주 초상, 신여량 밀부유서, 신여량 상가교서, 신한첩 곤, 심복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심득경 초상, 시용향악보, 시천견록 및 서천견록, 원각류해 권3, 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원주 구룡사 삼장보살도,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원주 흥법사지 삼층석탑,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원주 학성동 철조약사여래좌상, 월인천강지곡, 월인석보 권11, 12, 월인석보 권17~18, 월인석보 권21, 월인석보목판, 월중도, 홍가신 청난공신 교서 및 관련 고문서, 홍천 물걸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홍천 물걸리 석조대좌, 홍천 물걸리 석조대좌 및 광배, 홍천 물걸리 석조여래좌상, 홍천 희망리 당간지주, 홍성 고산사 대웅전, 홍성 오관리 당간지주, 홍성 신경리 마애여래입상, 홍화문, 황리현명 청동북, 황기로 초서-이군옥시, 황기로 초서-차운시,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환두대도, 화천 계성리 석등, 화순 운주사 구층석탑,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 화순 운주사 원형 다층석탑, 화순 쌍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화순 쌍봉사 대웅전,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화순 유마사 해련탑,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불좌상복장전적일괄,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화성 용주사 대웅보전, 화성행행도 병풍, 화성성역의궤, 화서문, 화원 우배선 의병진 관련자료-교지(교첩), 완주 정수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완주 위봉사 보광명전, 완주 송광사 대웅전, 완주 송광사 종루, 완주 송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 완주 안심사 금강계단, 완주 화암사 우화루, 완산부지도, 완산구,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 (전)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1001, 1200, 1337, 1344, 1500, 1944, 911, 918.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366 더) »

능성 쌍봉사 감역교지

능성 쌍봉사 감역교지(綾城雙峰寺減役敎旨)는 조선 세조 3년 8월 10일에 국왕이 전라도 능성(현 화순)의 쌍봉사에 내린 사패교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능성 쌍봉사 감역교지 · 더보기 »

덕수궁

덕수궁(德壽宮)은 서울 중구 정동(貞洞)에 있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궁궐로서, 대한민국의 사적 제124호이며 면적은 63,069m2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덕수궁 · 더보기 »

덕수궁 함녕전

덕수궁 함녕전(德壽宮 咸寧殿)은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덕수궁에 있는 고종황제가 거처하던 황제의 생활공간(침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덕수궁 함녕전 · 더보기 »

돈화문

창덕궁 돈화문(昌德宮 敦化門)은 창덕궁의 정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돈화문 · 더보기 »

도갑사

갑사(道岬寺)는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에 있는 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도갑사 · 더보기 »

도기 바퀴장식 뿔잔

바퀴장식 뿔잔(陶器 車輪飾 角杯)는 대한민국의 보물 제637호로, 높이는 22.5cm, 길이 24cm, 바퀴지름은 10.2cm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도기 바퀴장식 뿔잔 · 더보기 »

도기 녹유 탁잔

녹유 탁잔 (陶器 綠釉 托盞)은 황녹색 유약을 발라 만든, 도기 잔과 그 받침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도기 녹유 탁잔 · 더보기 »

도기 서수형 명기

서수형 명기(陶器瑞獸形明器)는 경상북도 경주시 미추왕릉 앞에 있는 무덤들 중 C지구 제3호 무덤에서 출토된, 거북이 모양의 몸을 하고 있는 토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도기 서수형 명기 · 더보기 »

도은선생집

은선생집(陶隱先生集)은 여말(麗末) 삼은(三隱)의 한 사람인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의 시문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도은선생집 · 더보기 »

도피안사

안사(倒彼岸寺)는 대한민국 철원군 동송읍 관우리에 있는 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도피안사 · 더보기 »

독락당

독락당(獨樂堂)은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옥산서원 뒤에 있는 사랑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독락당 · 더보기 »

동관왕묘

서울 동관왕묘(서울 東關王廟)는 중국 촉나라의 장수 관우를 모신 사당으로,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 1963년 1월 21일에 보물 제142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동관왕묘 · 더보기 »

동궐도

〈동궐도〉(東闕圖)는 조선후기 순조 연간에 도화서 화원들이 동궐인 창덕궁과 창경궁의 전각과 궁궐 전경을 조감도식으로 그린 궁궐 그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동궐도 · 더보기 »

동국대지도

동국대지도(東國大地圖)는 조선 영조 때 정상기가 제작한 한국의 옛 지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동국대지도 · 더보기 »

동인지문사육 권1~3, 4~6, 10~12, 13~15

동인지문사육 권1~3, 4~6, 10~12, 13~15(東人之文四六 卷一∼三, 四~六, 十~十二, 十三~十五)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동인지문사육 권1~3, 4~6, 10~12, 13~15 · 더보기 »

동인지문사육-권10~12

동인지문사육 권10∼12(東人之文四六 卷十~十二)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동인지문사육-권10~12 · 더보기 »

동인지문사육-권13~15

동인지문사육 권13∼15(東人之文四六 卷十三~十五)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아단문고에 있는 고려시대 목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동인지문사육-권13~15 · 더보기 »

동인지문사육-권1~6

동인지문사육 권1∼6(東人之文四六 卷一~六)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동인지문사육-권1~6 · 더보기 »

동제염거화상탑지

동제염거화상탑지(銅製廉巨和尙塔誌)는 강원도 춘천시 국립춘천박물관에 있는, 얇은 동판에 통일신라 선종승인 염거화상이 844년에 전화한 내용을 해서체를 쌍구체기법으로 전각한 것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동제염거화상탑지 · 더보기 »

동해 삼화사 철조노사나불좌상

동해 삼화사 철조노사나불좌상(東海 三和寺 鐵造盧舍那佛坐像)는 강원도 동해시 삼화사 대웅전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의 철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동해 삼화사 철조노사나불좌상 · 더보기 »

동해 삼화사 삼층석탑

동해 삼화사 삼층석탑(東海 三和寺 三層石塔)은 강원도 동해시 삼화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동해 삼화사 삼층석탑 · 더보기 »

동학사

동학사동학사(東鶴寺)는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동학사 · 더보기 »

동화사

동화사(桐華寺)는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에 있는 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동화사 · 더보기 »

류운룡

운룡(柳雲龍, 1539년 ~ 1601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류운룡 · 더보기 »

류성룡 종가 유물

성룡 종가 유물(柳成龍 宗家 遺物)은 조선 중기의 문신인 서애 류성룡 (1542∼1607) 선생의 종손가에 전해오는 유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류성룡 종가 유물 · 더보기 »

마곡사

마곡사(麻谷寺)는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태화산 동쪽 산허리에 있는 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마곡사 · 더보기 »

마천목좌명공신녹권

마천목좌명공신녹권(馬天牧佐命功臣錄券)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교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마천목좌명공신녹권 · 더보기 »

목우자수심결 및 사법어(언해)

목우자수심결 및 사법어(언해)(牧牛子修心訣 및 四法語(諺解))는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목우자수심결 및 사법어(언해) · 더보기 »

목우자수심결(언해) (보물 제1848호)

목우자수심결(언해)(牧牛子修心訣(諺解))은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목우자수심결(언해) (보물 제1848호) · 더보기 »

몽산화상육도보설

몽산화상육도보설(蒙山和尙六道普說)은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찰문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몽산화상육도보설 · 더보기 »

명정문 및 행각

창경궁 명정문 및 행각(昌慶宮 明政門 및 行閣)은 창경궁 외전 일곽을 형성하는 회랑과 정전인 명정전으로 출입하는 정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명정문 및 행각 · 더보기 »

명안공주 관련 유물

명안공주 관련 유물(明安公主 關聯 遺物)은 강원도 강릉시 오죽헌시립박물관에 있는, 조선 현종의 셋째 딸인 명안공주(1664∼1687)와 그가 거처하던 명안궁과 관련된 전적류, 고문서류, 유물 등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명안공주 관련 유물 · 더보기 »

무주 안국사 영산회괘불탱

무주 안국사 영산회괘불탱(茂朱 安國寺 靈山會掛佛幀)은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안국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무주 안국사 영산회괘불탱 · 더보기 »

문무잡과방목

문무잡과방목(文武雜科榜目)은 중종 8년(1513)에 실시한 문무잡과 시험에 합격한 합격자의 명단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문무잡과방목 · 더보기 »

문경 도천사지 동·서 삼층석탑

문경 도천사지 동서삼층석탑(聞慶 道川寺址 東西三層石塔)은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 대웅전 앞에 동·서로 서 있는 2기의 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문경 도천사지 동·서 삼층석탑 · 더보기 »

문경 도천사지 삼층석탑

문경 도천사지 삼층석탑(聞慶 道川寺址 三層石塔)은 현재 직지사 비로전 앞에 서 있는 3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문경 도천사지 삼층석탑 · 더보기 »

문경 봉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문경 봉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聞慶 鳳巖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및 腹藏遺物)은 경상북도 문경시 봉암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문경 봉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 더보기 »

문경 봉암사 극락전

문경 봉암사 극락전(聞慶 鳳巖寺 極樂殿)은 경상북도 문경시, 봉암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문경 봉암사 극락전 · 더보기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聞慶 鳳巖寺 靜眞大師塔)은 경상북도 문경시, 봉암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 · 더보기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聞慶 鳳巖寺 靜眞大師塔碑)는 경상북도 문경시, 봉암사 사찰에 있는 고려시대의 비석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 더보기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聞慶 鳳巖寺 智證大師塔)은 신라 후기의 고승 지증대사의 사리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 · 더보기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聞慶 鳳巖寺 智證大師塔碑)은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원북길 313, 봉암사 절에 있는 통일신라의 석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 더보기 »

문경 대승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문경 대승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聞慶 大乘寺 木刻阿彌陀如來說法像)은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대승사에 있는 목각탱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문경 대승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 더보기 »

문경 대승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관계문서

문경 대승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관계문서(聞慶 大乘寺 木刻阿彌陀如來說法像 關係文書)는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대승사에 있는 목각탱화 관계문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문경 대승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관계문서 · 더보기 »

문경 대승사 금동관음보살좌상

문경 대승사 금동관음보살좌상(聞慶 大乘寺 金銅觀音菩薩坐像)은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대승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보살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문경 대승사 금동관음보살좌상 · 더보기 »

문경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문경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聞慶 大乘寺 金銅阿彌陀如來坐像 及 腹藏遺物)은 경상북도 문경시 대승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문경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 더보기 »

문경 내화리 삼층석탑

문경 내화리 삼층석탑(聞慶 內化里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내화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문경 내화리 삼층석탑 · 더보기 »

문경 오층석탑

문경 오층석탑(聞慶 五層石塔)은 고려시대의 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문경 오층석탑 · 더보기 »

문수사리보살최상승무생계경

문수사리보살최상승무생계경(文殊師利菩薩最上乘無生戒經)은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문수사리보살최상승무생계경 · 더보기 »

문양전

문양전(文樣塼)은 1937년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외리에 있는 한 절터에서 출토된, 무늬가 새겨진 벽돌(전) 8매를 말. 대한민국의 보물 제343호로 지정되어 있. 백제 사비시대 미술을 대표하는 이들 문양전은 산수문전과 산수봉황문전, 산수귀문전, 연대귀문전, 연화문전, 와운문전, 봉황문전, 반룡문전 등 8매로 경질의 점토를 틀에서 찍은 것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문양전 · 더보기 »

문화재 반환

일본 (2005년 반환) 문화재 반환(文化財返還)은 문화재가 제작된 원소유국을 떠나 불법적인 과정을 거쳐서 타 국가의 공공 기관 및 개인이 소장하게 된 문화재에 대하여 원소유국이 반환을 주장하는 문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문화재 반환 · 더보기 »

문화재 등재 체계 목록

음은 문화재 등재 체계의 목록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문화재 등재 체계 목록 · 더보기 »

묘법연화경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 《묘법연화경》 2권 변상도(1340년 고려(高麗)에서 간행)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또는 《법화경》(法華經)은 대승경전의 하나로, 예로부터 모든 경전의 왕으로 생각되었으며, 초기 대승경전(大乘經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경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묘법연화경 · 더보기 »

묘법연화경 (보물 제961-2호)

묘법연화경 권4~7(妙法蓮華經 卷四~七)은 불교의 대표적인 대승경전으로 조선 태종 5년(1405)에 전라도 도솔산 안심사(安心社)에서 성달생(成達生, 1376~1444년)과 성개(成槪, ?~1440) 형제가 필사한 것을 새긴 목판본 전 7권 가운데 권4~7의 1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묘법연화경 (보물 제961-2호) · 더보기 »

묘법연화경 목판 (보물 제1908호)

묘법연화경 목판(妙法蓮華經 木板)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전등사에 소장된 목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묘법연화경 목판 (보물 제1908호) · 더보기 »

묘법연화경(언해) 권1, 4

묘법연화경(언해) 권1, 4(妙法蓮華經(諺解) 卷一, 四)은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묘법연화경(언해) 권1, 4 · 더보기 »

묘법연화경찬술 권1~2

묘법연화경찬술 권1~2(妙法蓮華經纘述 卷一~二)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묘법연화경찬술 권1~2 · 더보기 »

묘법연화경삼매참법 권상

묘법연화경삼매참법 권상(妙法蓮華經三昧懺法 卷上)은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묘법연화경삼매참법 권상 · 더보기 »

묘법연화경삼매참법 권하

묘법연화경삼매참법 권하(妙法蓮華經三昧懺法 卷下)는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구인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묘법연화경삼매참법 권하 · 더보기 »

미황사

미황사(美黃寺)는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의 사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미황사 · 더보기 »

감은사지 서삼층석탑 사리장엄구

은사지 서삼층석탑 사리장엄구(感恩寺址 西三層石塔 舍利莊嚴具)는 감은사지의 서삼층석탑(西 三層石塔)을 보수할 때 발견한 장치함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감은사지 서삼층석탑 사리장엄구 · 더보기 »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 권15

방광불화엄경 권15(紺紙金泥大方廣佛華嚴經 卷十五)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코리아나화장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필사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 권15 · 더보기 »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

방광불화엄경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정원본(紺紙金泥大方廣佛華嚴經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貞元本)은 감지에 금가루로 화엄경 34권을 쓴 것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 · 더보기 »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1

은니묘법연화경 권1(紺紙銀泥妙法蓮華經 卷一)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1 · 더보기 »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2, 4, 5, 6

은니묘법연화경 권2, 4, 5, 6(紺紙銀泥妙法蓮華經 卷二, 四, 五, 六)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불교중앙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2, 4, 5, 6 · 더보기 »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3

은니묘법연화경 권3(紺紙銀泥妙法蓮華經 卷三)은 부산광역시 서구, 동아대학교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3 · 더보기 »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7 (보물 제269-4호)

은니묘법연화경 권7(紺紙銀泥妙法蓮華經 卷七)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7 (보물 제269-4호) · 더보기 »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7 (보물 제352호)

은니묘법연화경 권7(紺紙銀泥妙法蓮華經 卷七)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7 (보물 제352호) · 더보기 »

감지은니보살선계경 권8

은니보살선계경 권8(紺紙銀泥菩薩善戒經 卷八)은 서울특별시 중구, 동국대학교도서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사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감지은니보살선계경 권8 · 더보기 »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13

은니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13(紺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 晋本 卷十三)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호림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필사본 사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13 · 더보기 »

배자예부운략 목판

배자예부운략 목판(排字禮部韻略 木板)은 경상북도 안동시, 한국국학진흥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책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배자예부운략 목판 · 더보기 »

백범일지

《백범일지》(白凡逸志 - 백범의 뛰어난 의지) 는 春園 이광수가 쓴것 이. 1997년 6월 1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245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백범일지 · 더보기 »

백자 반합

백자 반합(白磁 飯盒)은 조선시대 16세기 전반에 만들어진 백자 반합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백자 반합 · 더보기 »

백자 병

백자 병(白磁 甁)은 15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조선 백자 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백자 병 · 더보기 »

백자 달항아리 (보물 제1437호)

백자 달항아리(白磁 壺)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백자 달 모양 항아리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백자 달항아리 (보물 제1437호) · 더보기 »

백자 달항아리 (보물 제1438호)

백자 달항아리(白磁 壺)는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백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백자 달항아리 (보물 제1438호) · 더보기 »

백자 달항아리 (보물 제1439호)

백자 달항아리(白磁 壺)는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백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백자 달항아리 (보물 제1439호) · 더보기 »

백자 달항아리 (보물 제1441호)

백자 달항아리(白磁 壺)는 경기도 용인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백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백자 달항아리 (보물 제1441호) · 더보기 »

백자 청화매월십장생문 팔각접시

백자 청화매월십장생문 팔각접시(白磁 靑畵梅月十長生文 八角-)는 청화로 매월십장생문(梅月十長生文)을 그려넣은, 조선 전기의 백자 접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백자 청화매월십장생문 팔각접시 · 더보기 »

백자 청화보상당초문 항아리

백자 청화보상당초문 항아리(白磁 靑畵寶相唐草文 壺)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조선시대의 백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백자 청화보상당초문 항아리 · 더보기 »

백자 청화운룡문 병 (보물 제785호)

백자 청화운룡문 병(白磁 靑畵雲龍文 甁)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조선시대의 백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백자 청화운룡문 병 (보물 제785호) · 더보기 »

백자 청화운룡문 병 (보물 제786호)

백자 청화운룡문 병(白磁 靑畵雲龍文 甁)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조선시대의 백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백자 청화운룡문 병 (보물 제786호) · 더보기 »

백자 청화운룡문 항아리

백자 청화운룡문 항아리(白磁 靑畵雲龍文 立壺)는 청화로 운룡문을 그려넣은, 조선 후기의 백자 항아리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백자 청화운룡문 항아리 · 더보기 »

백자 청화잉어문 항아리

백자 청화잉어문 항아리(白磁 靑畵鯉魚文 立壺)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조선시대의 백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백자 청화잉어문 항아리 · 더보기 »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白磁 靑畵鐵彩銅彩草蟲文 甁)은 청화, 철채(鐵彩), 동채(銅彩)로 초충문초충문(草蟲文)이란 풀과 벌레 무늬를 가리.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 · 더보기 »

백자 청화철화‘시’명나비문 팔각연적

백자 청화철화‘시’명나비문 팔각연적(白磁 靑畵鐵畵‘詩’銘蝶文 八角硯滴)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호림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백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백자 청화철화‘시’명나비문 팔각연적 · 더보기 »

백자 청화칠보난초문 병

백자 청화칠보난초문 병(白磁 靑畵七寶蘭草文 甁)은 청화로 칠보난초문을 그려넣은, 조선 후기의 백자 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백자 청화칠보난초문 병 · 더보기 »

백자 청화투각모란당초문 항아리

백자 청화투각모란당초문 항아리(白磁 靑畵透刻牡丹唐草文 立壺)는 18세기 후반 조선에서 청화로 덩굴무늬를 그리고 모란 꽃을 투각(뚫을새김) 기법으로 새긴 백자 항아리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백자 청화투각모란당초문 항아리 · 더보기 »

백자 청화송죽인물문 항아리

백자 청화송죽인물문 항아리(白磁 靑畵松竹人物文 壺) 또는 백자 청화 소나무·대나무·인물무늬 항아리는 조선 16세기에 만들어진 청화 백자 항아리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백자 청화송죽인물문 항아리 · 더보기 »

백자 청화소상팔경문 팔각연적

백자 청화소상팔경문 팔각연적(白磁 靑畵瀟湘八景文 八角硯適)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백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백자 청화소상팔경문 팔각연적 · 더보기 »

백자 태항아리 및 태지석 (보물 제1065호)

백자 태항아리 및 태지석(白磁 胎缸 - 胎誌石)은 16세기 초 조선의 백자 태항아리 및 태지석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백자 태항아리 및 태지석 (보물 제1065호) · 더보기 »

백자 태항아리 및 태지석 (보물 제1169호)

백자 태항아리 및 태지석(白磁 胎缸 - 胎誌石)은 조선의 백자 태항아리 및 태지석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백자 태항아리 및 태지석 (보물 제1169호) · 더보기 »

백자 사각발형 제기

백자 사각발형 제기(白磁 四角鉢形 祭器)은 서울특별시 관악구호림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백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백자 사각발형 제기 · 더보기 »

백지묵서묘법연화경 권1, 3

백지묵서묘법연화경 권1, 3(白紙墨書妙法蓮華經 卷一, 三)은 경상북도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에 있는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백지묵서묘법연화경 권1, 3 · 더보기 »

백지묵서지장보살본원경

백지묵서지장보살본원경(白紙墨書地藏菩薩本願經)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백지묵서지장보살본원경 · 더보기 »

백지금니금강 및 보문발원

백지금니금강 및 보문발원(白紙金泥金剛 및 普門發願)은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 성보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필사본 사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백지금니금강 및 보문발원 · 더보기 »

백지은니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0

백지은니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0(白紙銀泥大佛頂如來密因脩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卷十)은 대구광역시 북구, 경북대학교 도서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필사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백지은니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0 · 더보기 »

반야심경소현정기

반야심경소현정기(언해)(般若心經소顯正記(諺解))는 1464년에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판각한 목판에서 1495년에 후인(後印)한 국역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반야심경소현정기 · 더보기 »

갑사 (사찰)

갑사(甲寺)는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계룡산 서쪽 기슭에 있는 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갑사 (사찰) · 더보기 »

간평일구·혼개일구

평일구혼개일구(簡平日晷渾蓋日晷)는 간평일구와 혼개일구를 한 개의 돌에 새긴 특이한 해시계로, 간평일구가 위에 새겨져 있고 그 아래에 혼개일구를 약간 크게 새. 1985년 8월 9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841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간평일구·혼개일구 · 더보기 »

박동형 초상 및 함

박동형 초상 및 함(朴東亨 肖像 및 函)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박동형 초상 및 함 · 더보기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江陵 普賢寺 朗圓大師塔)은 강원도 강릉시, 보현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 더보기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江陵 普賢寺 朗圓大師塔碑)는 강원도 강릉시, 보현사 사찰에 있는 고려시대의 비석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 더보기 »

강릉 대창리 당간지주

강릉 대창리 당간지주(江陵 大昌里 幢竿支柱)는 강원도 강릉시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당간지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강릉 대창리 당간지주 · 더보기 »

강릉 굴산사지 당간지주

강릉 굴산사지 당간지주(江陵 崛山寺址 幢竿支柱)는 강원도 강릉시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당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강릉 굴산사지 당간지주 · 더보기 »

강릉 굴산사지 승탑

강릉 굴산사지 승탑(江陵 崛山寺址 僧塔)은 고려시대에 굴산사를 세운 범일국사(梵日國師)의 사리를 모신 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강릉 굴산사지 승탑 · 더보기 »

강릉 수문리 당간지주

강릉 수문리 당간지주(江陵 水門里 幢竿支柱)는 강원도 강릉시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당간지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강릉 수문리 당간지주 · 더보기 »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 (보물)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江陵 寒松寺址 石造菩薩坐像)은 강원도 강릉시, 강릉시립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 (보물) · 더보기 »

강릉 신복사지 삼층석탑

강릉 신복사지 삼층석탑(江陵 神福寺址 三層石塔)은 강원도 강릉시 내곡동 신복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강릉 신복사지 삼층석탑 · 더보기 »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江陵 神福寺址 石造菩薩坐像)은 강원도 강릉시 신복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조 보살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 · 더보기 »

강릉향교

강릉향교(江陵鄕校)는 강원도 강릉시에 있는 향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강릉향교 · 더보기 »

강릉향교 대성전

강릉향교 대성전(江陵鄕校 大成殿)은 강원도 강릉시 강릉향교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강릉향교 대성전 · 더보기 »

박문수

박문수(朴文秀, 1691년 10월 28일(음력 9월 8일) ~ 1756년 5월 22일(음력 4월 24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박문수 · 더보기 »

박문수 초상 (보물 제1189-1호)

박문수초상(朴文秀 肖像)은 충청남도 천안시, 천안박물관에 있는 조선 영조 때 문신인 박문수를 그린 초상화 2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박문수 초상 (보물 제1189-1호) · 더보기 »

박문수 초상 (보물 제1189-2호)

박문수 초상(朴文秀 肖像)은 부산광역시 동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박문수 초상 (보물 제1189-2호) · 더보기 »

강민첨 초상

강민첨 초상(姜民瞻 肖像)은 보물 제588호로 고려의 명장이었던 강민첨(姜民瞻)을 그린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강민첨 초상 · 더보기 »

강이오 초상

강이오 초상(姜彛五 肖像)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강이오 초상 · 더보기 »

박중손

박중손(朴仲孫, 1412년 ~ 1466년 5월 26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박중손 · 더보기 »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康津 無爲寺 極樂殿 阿彌陀如來三尊壁畵)는 전라남도 강진군 무위사에 있는 불교 벽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 더보기 »

강진 고성사 청동보살좌상

강진 고성사 청동보살좌상(康津 高聲寺 靑銅菩薩坐像)은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고성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강진 고성사 청동보살좌상 · 더보기 »

강진 금곡사 삼층석탑

강진 금곡사 삼층석탑(康津 金谷寺 三層石塔)은 전라남도 강진군 금곡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강진 금곡사 삼층석탑 · 더보기 »

강진 정수사 석가여래삼불좌상

강진 정수사 석가여래삼불좌상(康津 淨水寺 釋迦如來三佛坐像)은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정수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강진 정수사 석가여래삼불좌상 · 더보기 »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康津 月南寺址 三層石塔)은 전라남도 강진군 월남사지에 있는, 고려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 · 더보기 »

박유명 초상

박유명초상(朴惟明 肖像)은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수원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박유명 초상 · 더보기 »

박사익 초상

박사익 초상(朴師益 肖像)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있는 조선조 후기 경종,영조 때의 문신인 박사익(1675~1736)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박사익 초상 · 더보기 »

강세황필 도산서원도

강세황필 도산서원도(姜世晃筆 陶山書院圖)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산수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강세황필 도산서원도 · 더보기 »

강화 백련사 철조아미타여래좌상

강화 백련사 철조아미타여래좌상(江華 白蓮寺 鐵造阿彌陀如來坐像)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백련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강화 백련사 철조아미타여래좌상 · 더보기 »

강화 장정리 오층석탑

강화 장정리 오층석탑(江華 長井里 五層石塔)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장정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오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강화 장정리 오층석탑 · 더보기 »

강화 장정리 석조여래입상

강화 장정리 석조여래입상(江華 長井里 石造如來立像)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장정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조 여래 입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강화 장정리 석조여래입상 · 더보기 »

강화 전등사 철종

강화 전등사 철종(江華 傳燈寺 鐵鍾)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전등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철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강화 전등사 철종 · 더보기 »

강화 전등사 약사전

강화 전등사 약사전(江華 傳燈寺 藥師殿)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전등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강화 전등사 약사전 · 더보기 »

강화 정수사 법당

강화 정수사 법당(江華 淨水寺 法堂)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정수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강화 정수사 법당 · 더보기 »

강화 청련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강화 청련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江華 靑蓮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청련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강화 청련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 더보기 »

가지산 (경상도)

산(迦智山)은 울산광역시 울주군과 경상남도 밀양시, 경상북도 청도군의 경계에 있는 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가지산 (경상도) · 더보기 »

밀양 만어사 삼층석탑

밀양 만어사 삼층석탑(密陽 萬魚寺 三層石塔)은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만어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밀양 만어사 삼층석탑 · 더보기 »

밀양 무봉사 석조여래좌상

밀양 무봉사 석조여래좌상(密陽 舞鳳寺 石造如來坐像)은 경상남도 밀양시 무봉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밀양 무봉사 석조여래좌상 · 더보기 »

밀양 숭진리 삼층석탑

밀양 숭진리 삼층석탑(密陽 崇眞里 三層石塔)은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숭진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밀양 숭진리 삼층석탑 · 더보기 »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密陽 表忠寺 三層石塔)은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표충사 절에 있는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 더보기 »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출토 유물 일괄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출토 유물 일괄(密陽 表忠寺 三層石塔 出土 遺物 一括)은 경상남도 밀양시 표충사에 있는, 1995년 실시된 삼층석탑의 해체보수 과정에서 기단 적심부에서 발견된 것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출토 유물 일괄 · 더보기 »

밀양 소태리 오층석탑

밀양 소태리 오층석탑(密陽 小台里 五層石塔)은 경상남도 밀양시에 있는 고려시대의 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밀양 소태리 오층석탑 · 더보기 »

거창 가섭암지 마애여래삼존입상

창 가섭암지 마애여래삼존입상(居昌 迦葉庵址 磨崖如來三尊立像)은 경상남도 거창군 가섭암지에 있는, 고려 시대의 마애 여래 삼존불 입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거창 가섭암지 마애여래삼존입상 · 더보기 »

거창 고견사 동종

창 고견사 동종(居昌 古見寺 銅鍾)은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수월리, 고견사에 있는 동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거창 고견사 동종 · 더보기 »

거창 농산리 석조여래입상

창 농산리 석조여래입상(居昌 農山里 石造如來立像)은 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에 있는 통일신라의 석조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거창 농산리 석조여래입상 · 더보기 »

거창 상림리 석조보살입상

창 상림리 석조보살입상(居昌 上林里 石造菩薩立像)은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상림리에 있는 고려 초기의 석조 보살 입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거창 상림리 석조보살입상 · 더보기 »

거창 양평리 석조여래입상

창 양평리 석조여래입상(居昌 陽平里 石造如來立像)은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양평리에 있는 남북국 시대의 석조 여래 입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거창 양평리 석조여래입상 · 더보기 »

거창 심우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창 심우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居昌 尋牛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은 경상남도 거창군, 심우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거창 심우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 더보기 »

건봉사

봉사(乾鳳寺)는 강원도 고성군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건봉사 · 더보기 »

격몽요결

이이 수고본 격몽요결(李珥 手稿本 擊蒙要訣)은 율곡 이이(1536∼1584)선생이 42세 때인 선조 10년(1577) 관직을 떠나 해주에 있을 때 처음 글을 배우는 아동의 입문교재로 쓰기 위해 저술한 것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격몽요결 · 더보기 »

결성면

성면(結城面)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홍성군에 딸린 면 행정구역 중의 하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결성면 · 더보기 »

경복궁 근정문 및 행각

경복궁 근정문 및 행각(景福宮 勤政門 및 行閣)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복궁 내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복궁 근정문 및 행각 · 더보기 »

경복궁 풍기대

경복궁 풍기대(景福宮風旗臺)는 풍향과 풍속을 관측하기 위해 깃발을 설치하였던 석대(石臺)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복궁 풍기대 · 더보기 »

경복궁 아미산 굴뚝

경복궁 아미산의 굴뚝(景福宮峨嵋山-)은 경복궁 교태전(交泰殿)의 구들과 연결된 굴뚝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복궁 아미산 굴뚝 · 더보기 »

경북대학교 도서관

경북대학교 도서관은 1953년 5월 농과대학, 사범대학, 의과대학에서 보유하고 있던 자료 8,895권을 인수하여 현재 출판부자리의 목조 가건물에서 개관하였.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북대학교 도서관 · 더보기 »

경기감영도

〈경기감영도〉(京畿監營圖)는 조선의 지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기감영도 · 더보기 »

경국대전

경국대전(經國大典)은 조선시대의 최고의 법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국대전 · 더보기 »

경국대전 권3

경국대전 권3(經國大典 卷三)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국대전 권3 · 더보기 »

경주 마동 삼층석탑

경주 마동 삼층석탑(慶州 馬洞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경주시 마동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중기의 3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마동 삼층석탑 · 더보기 »

경주 무장사지 삼층석탑

경주 무장사지 삼층석탑(慶州 鍪藏寺址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경주시 암곡동에 있는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무장사지 삼층석탑 · 더보기 »

경주 무장사지 아미타불 조상 사적비

경주 무장사지 아미타불 조상 사적비(慶州 鍪藏寺址 阿彌陀佛 造像 事蹟碑)는 경상북도 경주시 무장사지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사적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무장사지 아미타불 조상 사적비 · 더보기 »

경주 미탄사지 삼층석탑

경주 미탄사지 삼층석탑(慶州 味呑寺地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에 있는 신라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미탄사지 삼층석탑 · 더보기 »

경주 감은사지 동·서 삼층석탑

은사지 동·서 삼층석탑(感恩寺址 東·西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감은사지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감은사지 동·서 삼층석탑 · 더보기 »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慶州 方形臺座 石造如來坐像)은 경주 남산의 옛 절터에서 발견된 것으로 1927년 총독부관저가 신축되면서 이곳으로 옮겨온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 · 더보기 »

경주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

경주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慶州 拜洞 石造如來三尊立像)은 경주시 남산 기슭 내남면 용장리에 있는 삼국 시대 신라의 석조 여래 삼존 입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 · 더보기 »

경주 골굴암 마애여래좌상

경주 골굴암 마애여래좌상(慶州骨窟庵磨涯如來坐像)은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골굴암에 있는 신라 시대의 마애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골굴암 마애여래좌상 · 더보기 »

경주 보문사지 당간지주

경주 보문사지 당간지주(慶州 普門寺址 幢竿支柱)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당간지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보문사지 당간지주 · 더보기 »

경주 보문사지 연화문 당간지주

경주 보문사지 연화문 당간지주(慶州 普門寺址 蓮華文 幢竿支柱)는 경상북도 경주시 보문동, 보문사지에 있는 통일신라의 당간지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보문사지 연화문 당간지주 · 더보기 »

경주 계림로 보검

경주 계림로 보검(慶州 鷄林路 寶劍)은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에 있는 미추왕릉 지구에서 발견된 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계림로 보검 · 더보기 »

경주 불국사 가구식 석축

경주 불국사 가구식 석축(慶州 佛國寺 架構式 石築)은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사에 있는 통일신라의 석축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불국사 가구식 석축 · 더보기 »

경주 불국사 영산회상도 및 사천왕 벽화

경주 불국사 영산회상도 및 사천왕 벽화(慶州 佛國寺 靈山會上圖 및 四天王 壁畵)는 1769년에 영조의 딸인 화완옹주와 상궁 김씨 등이 시주하여 제작한 불화로, 영산회상도와 2점의 사천왕 벽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불국사 영산회상도 및 사천왕 벽화 · 더보기 »

경주 불국사 사리탑

경주 불국사 사리탑(慶州 佛國寺 舍利塔)은 불국사에 있는 석등형의 사리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불국사 사리탑 · 더보기 »

경주 불국사 삼장보살도

경주 불국사 삼장보살도(慶州 佛國寺 三藏菩薩圖)는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보살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불국사 삼장보살도 · 더보기 »

경주 불국사 석조

경주 불국사 석조(慶州 佛國寺 石槽)는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사에 있는 통일신라의 석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불국사 석조 · 더보기 »

경주 기림사 건칠보살반가상

경주 기림사 건칠보살반가상(慶州 祇林寺 乾漆菩薩半跏像)은 경상북도 경주시 기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보살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기림사 건칠보살반가상 · 더보기 »

경주 기림사 비로자나삼불회도

경주 기림사 비로자나삼불회도(慶州 祇林寺 毘盧遮那三佛會圖)는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기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기림사 비로자나삼불회도 · 더보기 »

경주 기림사 대적광전

경주 기림사 대적광전(慶州 祇林寺 大寂光殿)은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기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기림사 대적광전 · 더보기 »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慶州 祇林寺 塑造毘盧舍那佛 腹藏典籍)은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호암리에 있는 사경(寫經)과 목판본(木版本)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 · 더보기 »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慶州 祇林寺 塑造毘盧遮那三佛坐像)은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호암리, 기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 더보기 »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慶州 掘佛寺址 石造四面佛像)은 경주 동천동 굴불사지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조 사면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 더보기 »

경주 남간사지 당간지주

경주 남간사지 당간지주(慶州 南澗寺址 幢竿支柱)는 경상북도 경주시 탑동 남간사지에 있는 당간지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남간사지 당간지주 · 더보기 »

경주 남산 미륵곡 석조여래좌상

경주 남산 미륵곡 석조여래좌상(慶州 南山 彌勒谷 石造如來坐像)은 경주시 배반동(보리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석조여래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남산 미륵곡 석조여래좌상 · 더보기 »

경주 남산 불곡 마애여래좌상

경주 남산 불곡 마애여래좌상(慶州 南山 佛谷 磨崖如來坐像)은 경주시 남산 불곡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마애불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남산 불곡 마애여래좌상 · 더보기 »

경주 남산 용장계 지곡 제3사지 삼층석탑

경주 남산 용장계 지곡 제3사지 삼층석탑(慶州 南山 茸長溪 池谷 第3寺地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경주시 남산동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남산 용장계 지곡 제3사지 삼층석탑 · 더보기 »

경주 남산 용장사곡 삼층석탑

경주 남산 용장사곡 삼층석탑(慶州 南山 茸長寺谷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경주시 남산 용장사곡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남산 용장사곡 삼층석탑 · 더보기 »

경주 남산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

경주 남산 용장사곡 석조여래상(慶州 南山 茸長寺谷 石造如來坐像)은 경주시 남산 용장사곡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석조 여래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남산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 · 더보기 »

경주 남산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

경주 남산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慶州 南山 茸長寺址 磨崖如來坐像)은 경주시 남산 용장사지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마애불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남산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 · 더보기 »

경주 남산 창림사지 삼층석탑

경주 남산 창림사지 삼층석탑(慶州 南山 昌林寺址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남산에 있는 신라의 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남산 창림사지 삼층석탑 · 더보기 »

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

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慶州 南山 七佛庵 磨崖佛像群)은 경상북도 경주시 남산 칠불암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마애불상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 · 더보기 »

경주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

경주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 (慶州 南山 塔谷 磨崖佛像群)은 경주시 남산 탑곡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마애불 여럿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 · 더보기 »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慶州 南山 三陵溪 石造如來坐像)은 경주시 남산 삼릉계곡의 왼쪽 능선 위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석조 여래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 더보기 »

경주 남산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

경주 남산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慶州南山神仙庵磨崖菩薩半跏像)은 경주시 남산 중턱에 있는 마애불 반가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남산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 · 더보기 »

경주 낭산 마애보살삼존좌상

경주 낭산 마애보살삼존좌상(慶州 狼山 磨崖菩薩三尊坐像)은 경상북도 경주시 배반동에 있는 통일신라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낭산 마애보살삼존좌상 · 더보기 »

경주 이차돈 순교비

경주 이차돈 순교비(慶州 異次頓 殉敎碑)는 신라 법흥왕 14년(527년) 불교 공인을 위해 순교한 이차돈을 추모하고자 건립한 석비(石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이차돈 순교비 · 더보기 »

경주 율동 마애여래삼존입상

경주 율동 마애여래삼존입상(慶州 栗洞 磨崖如來三尊立像)은 경상북도 경주시 벽도산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마애 삼존불 입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율동 마애여래삼존입상 · 더보기 »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慶州 壺杅塚 出土 靑銅 ‘廣開土大王’銘 壺杅)은 1946년에 은령총과 함께 발굴한 호우총(140호 고분, 노서동 213번지)에서 출토된 유물로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 2015년 9월 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878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 더보기 »

경주 양동 무첨당

경주 양동 무첨당(慶州 良洞 無忝堂)은 경상북도 경주시 양동마을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양동 무첨당 · 더보기 »

경주 양동 관가정

경주 양동 관가정(慶州 良洞 觀稼亭)은 경상북도 경주시 양동마을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양동 관가정 · 더보기 »

경주 양동 향단

경주 양동 향단(慶州 良洞 香壇)은 경상북도 경주시, 양동마을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양동 향단 · 더보기 »

경주 양동마을

경주 양동마을(慶州 良洞마을)은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북쪽 설창산에 둘러싸여 있는 유서 깊은 양반마을로 1984년 12월 20일 대한민국의 중요민속자료 제189호로 지정되었고, 2010년 7월 31일 브라질 브라질리아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 제34차 회의에서 안동 하회마을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양동마을 · 더보기 »

경주 삼랑사지 당간지주

경주 삼랑사지 당간지주(慶州 三郞寺址 幢竿支柱)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의 당간지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삼랑사지 당간지주 · 더보기 »

경주 석빙고

경주 석빙고(慶州石氷庫)는 얼음을 저장하기 위하여 만든 석조 창고로서 겨울에 얼음을 채취하여 저장하였다가 여름에 사용하였.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석빙고 · 더보기 »

경주 석굴암 삼층석탑

경주 석굴암 삼층석탑(慶州 石窟庵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경주시 석굴암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석굴암 삼층석탑 · 더보기 »

경주 서악동 마애여래삼존입상

경주 서악동 마애여래삼존입상(慶州 西岳洞 磨崖如來三尊立像)은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에 있는 마애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서악동 마애여래삼존입상 · 더보기 »

경주 서악동 귀부

경주 서악동 귀부(慶州 西岳洞 龜趺)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통일신라의 귀부(비석의 받침돌)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서악동 귀부 · 더보기 »

경주 서악동 삼층석탑

경주 서악동 삼층석탑(慶州 西岳洞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서악동 삼층석탑 · 더보기 »

경주 원성왕릉 석상 및 석주일괄

경주 원성왕릉 석상 및 석주일괄(慶州 元聖王陵 石像 및 石柱一括)은 경상북도 경주시, 원성왕릉을 중심으로 좌·우 입구에 한 쌍씩 석조상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수량은 문·무인 4점, 사자상 4점, 석주 2점으로 총 10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원성왕릉 석상 및 석주일괄 · 더보기 »

경주 원원사지 동·서 삼층석탑

경주 원원사지 동·서 삼층석탑(慶州 遠願寺址 東·西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경주시 원원사지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 두 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원원사지 동·서 삼층석탑 · 더보기 »

경주 월지 금동초심지가위

경주 월지 금동초심지가위(慶州 月池 金銅燭鋏)은 경상북도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하고 있는, 경주 궁성 인접한 月池에서 출토된 생활 금속공예품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월지 금동초심지가위 · 더보기 »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금동찰주본기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금동찰주본기(慶州 皇龍寺 九層木塔 金銅刹柱本記)는.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금동찰주본기 · 더보기 »

경주 황남동 금제 드리개

경주 황남동 금제 드리개(慶州 皇南洞 金製垂飾)는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에 있는 신라 미추왕릉에서 발견된, 금으로 만든 드리개(수식)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 황남동 금제 드리개 · 더보기 »

경주이씨 양월문중 고문서 및 향안

경주이씨 양월문중 고문서 및 향안(慶州李氏 楊月門中 古文書 및 鄕案)은 경상북도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문서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이씨 양월문중 고문서 및 향안 · 더보기 »

경주이씨 양월문중 고문서 및 향안 - 이지대 왕지

경주이씨 양월문중 고문서 및 향안 - 이지대 왕지(慶州李氏 楊月門中 古文書 및 鄕案 - 李之帶 王旨)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국왕문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이씨 양월문중 고문서 및 향안 - 이지대 왕지 · 더보기 »

경주향교

경주향교(慶州鄕校)은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향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향교 · 더보기 »

경주향교 대성전

경주향교 대성전(慶州鄕校 大成殿)은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주향교 대성전 · 더보기 »

경진년대통력

경진년대통력(庚辰年大統曆)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민속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활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진년대통력 · 더보기 »

경산 경흥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경산 경흥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慶山 慶興寺 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은 경상북도 경산시 경흥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산 경흥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 더보기 »

경산 불굴사 삼층석탑

경산 불굴사 삼층석탑(慶山 佛窟寺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경산시, 불굴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산 불굴사 삼층석탑 · 더보기 »

경산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

경산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慶山 八公山 冠峰 石造如來坐像)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대한리 산44번지에 위치한 불교 석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산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 · 더보기 »

경산 환성사 대웅전

경산 환성사 대웅전(慶山 環城寺 大雄殿)은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환성사의 대웅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경산 환성사 대웅전 · 더보기 »

벽송사

벽송사(碧松寺)는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사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벽송사 · 더보기 »

범망경 및 금강반야바라밀경

범망경 및 금강반야바라밀경(梵網經 및 金剛般若波羅蜜經)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있는 고려시대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사찰본이다. 1987년 7월 16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919호로 지정되었다.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범망경 및 금강반야바라밀경 · 더보기 »

범망경보살계본 및 수보살계법

범망경보살계본 및 수보살계법(梵網經菩薩戒本 및 受菩薩戒法)은 충청북도 청주시, 청주고인쇄박물관가 소장한 고려시대의 목판본 경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범망경보살계본 및 수보살계법 · 더보기 »

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 (보물 제1948호)

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는 강원도 동해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 (보물 제1948호) · 더보기 »

법주사 괘불탱

법주사 괘불탱(法住寺 掛佛幀)은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법주사 괘불탱 · 더보기 »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성룡사)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창천동 성룡사에 있는 12,12220200,11 분류:서울특별시의 보물 분류:불경 분류:목판본 분류:1486년 책.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성룡사) · 더보기 »

고려 수월관음보살도

수월관음보살도(高麗 水月觀音菩薩圖)는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호림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고려 수월관음보살도 · 더보기 »

고려 오백나한도

오백나한도(高麗 五百羅漢圖)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나한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고려 오백나한도 · 더보기 »

고려 십육나한도(제15 아벌다존자)

십육나한도(제15 아벌다존자)(高麗 十六羅漢圖(第十五 阿伐多尊者))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나한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고려 십육나한도(제15 아벌다존자) · 더보기 »

고려 십육나한도(제7 가리가존자)

십육나한도(제7 가리가존자)(高麗 十六羅漢圖(第七 迦理迦尊者))는 부산광역시 수영구에 있는 고려시대의 나한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고려 십육나한도(제7 가리가존자) · 더보기 »

고령 장기리 암각화

령 장기리 암각화(高靈 場基里 岩刻畫)는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알터 마을 입구에 있는 높이 3m, 너비 6m의 암벽에 새겨진 바위그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고령 장기리 암각화 · 더보기 »

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

리스 청동 투구(古代 그리스 靑銅冑)는 손기정이 1936년 베를린 올림픽 경기대회 마라톤 경주에서 우승한 기념으로 받은 것으로, 청동으로 만든 높이 21.5cm의 투구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 · 더보기 »

고구려 평양성 석편

평양성 석편(高句麗 平壤城 石片) 또는 고구려 평양성 축성 기록 글자는 고구려의 평양성을 쌓을 당시 도성의 축조를 맡은 공사책임자가 평평한 자연석 위에 글자를 새긴 것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고구려 평양성 석편 · 더보기 »

고흥 능가사 동종

흥 능가사 동종(高興 楞伽寺 銅鍾)은 전라남도 고흥군 능가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동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고흥 능가사 동종 · 더보기 »

고희 초상 및 문중유물

희 초상 및 문중유물(高曦 肖像 및 門中遺物)은 전라북도 부안군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무신인 고희(1560∼1615)의 영정과 유품을 비롯하여 제주 고씨 부안 문중에서 12대손까지 13대 372년 동안(1522∼1894) 작성된 각종 고문서와 일괄 유물들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고희 초상 및 문중유물 · 더보기 »

고창 문수사 목조지장보살좌상 및 시왕상 일괄

창 문수사 목조지장보살좌상 및 시왕상 일괄(高敞 文殊寺 木造地藏菩薩坐像 및 十王像 一括)은 전라북도 고창군 문수사에 있는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고창 문수사 목조지장보살좌상 및 시왕상 일괄 · 더보기 »

고창 문수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창 문수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高敞 文殊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은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문수사에 있는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고창 문수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 더보기 »

고창 선운사 도솔암 금동지장보살좌상

창 선운사 도솔암 금동지장보살좌상(高敞 禪雲寺 兜率庵 金銅地藏菩薩坐像)은 전라북도 고창군 선운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고창 선운사 도솔암 금동지장보살좌상 · 더보기 »

고창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

창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高敞 禪雲寺 東佛庵址 磨崖如來坐像)은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마애 여래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고창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 · 더보기 »

고창 선운사 금동지장보살좌상

창 선운사 금동지장보살좌상(高敞 禪雲寺 金銅地藏菩薩坐像)은 전라북도 고창군 선운사에 있는 1476년(성종 7년)에 만들어진 금동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고창 선운사 금동지장보살좌상 · 더보기 »

고창 선운사 참당암 대웅전

창 선운사 참당암 대웅전(高敞 禪雲寺 懺堂庵 大雄殿)은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대웅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고창 선운사 참당암 대웅전 · 더보기 »

고창 선운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창 선운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高敞 禪雲寺 塑造毘盧遮那三佛坐像)은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고창 선운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 더보기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양 태고사 원증국사탑(高陽 太古寺 圓證國師塔)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태고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려인 원증국사 보우의 사리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 더보기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高陽 太古寺 圓證國師塔碑)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태고사 법당 바로 옆에 위치한 원증국사의 탑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더보기 »

고성 운흥사 관음보살도

성 운흥사 관음보살도(固城 雲興寺 觀音菩薩圖)은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운흥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고성 운흥사 관음보살도 · 더보기 »

고성 옥천사 지장보살도 및 시왕도

성 옥천사 지장보살도 및 시왕도(固城 玉泉寺 地藏菩薩圖 및 十王圖)는 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 옥천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고성 옥천사 지장보살도 및 시왕도 · 더보기 »

고성 옥천사 청동북

성 옥천사 청동북(固城 玉泉寺 靑銅金鼓)는 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 북평리, 옥천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의식법구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고성 옥천사 청동북 · 더보기 »

곡성 도림사 아미타여래설법도

곡성 도림사 아미타여래설법도(谷城 道林寺 阿彌陀如來說法圖)는 전라남도 곡성군, 도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곡성 도림사 아미타여래설법도 · 더보기 »

곡성 가곡리 오층석탑

곡성 가곡리 오층석탑(谷城 柯谷里 五層石塔)은 전라남도 곡성군에 있는 고려시대의 오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곡성 가곡리 오층석탑 · 더보기 »

곡성 태안사 동종

곡성 태안사 동종(谷城 泰安寺 銅鐘)은 전라남도 곡성군 태안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동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곡성 태안사 동종 · 더보기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谷城 泰安寺 廣慈大師塔)은 전라남도 곡성군 태안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 · 더보기 »

곡성 태안사 청동 대바라

곡성 태안사 청동 대바라(谷城 泰安寺 靑銅 大鈸鑼)는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태안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교 공예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곡성 태안사 청동 대바라 · 더보기 »

곤여만국전도

500px 〈곤여만국전도〉(坤輿萬國全圖)는 1602년에 예수회 이탈리아인 신부 마테오 리치와 명나라 학자 이지조(李之澡)가 함께 만들어 목판으로 찍어 펴낸 지도로서, 가로 533센티미터, 세로 170센티미터이며, 〈리치 지도〉 라는 이름으로도 불린.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곤여만국전도 · 더보기 »

곤여전도

여전도 〈곤여 전도〉(坤輿全圖)는 벨기에 출신 예수회 선교사 페르디난트 페르비스트가 평사도법(平射圖法)으로 동반구와 서반구를 나누어 그린 최초의 양반구형 세계지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곤여전도 · 더보기 »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保寧 聖住寺址 中央 三層石塔)은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사지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 더보기 »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保寧 聖住寺址 五層石塔)은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성주사지에 있는 남북국 시대의 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 · 더보기 »

보령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保寧 聖住寺址 西 三層石塔)는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3에 있는 통일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보령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 · 더보기 »

보물

보물(寶物)은 단순히 의미로는 귀중한 물건을 뜻하며, 국가적 의미로는 국보 다음으로 귀중 가치가 높은 문화재를 뜻.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보물 · 더보기 »

보경사

보경사(寶鏡寺)는 경상북도 포항시의 내연산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보경사 · 더보기 »

보경사 원진국사비

항 보경사 원진국사비(浦項 寶鏡寺 圓眞國師碑)는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보경사에 있는 원진국사의 탑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보경사 원진국사비 · 더보기 »

보은 법주사 동종

보은 법주사 동종(報恩 法住寺 銅鍾)은 1636년(인조 13)에 조성된 범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보은 법주사 동종 · 더보기 »

보은 법주사 복천암 수암화상탑

보은 법주사 복천암 수암화상탑(報恩 法住寺 福泉庵 秀庵和尙塔)은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법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승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보은 법주사 복천암 수암화상탑 · 더보기 »

보은 법주사 복천암 학조화상탑

보은 법주사 복천암 학조화상탑(報恩 法住寺 福泉庵 學祖和尙塔)은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승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보은 법주사 복천암 학조화상탑 · 더보기 »

보은 법주사 대웅보전

보은 법주사 대웅보전(報恩 法住寺 大雄寶殿)은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보은 법주사 대웅보전 · 더보기 »

보은 법주사 사천왕 석등

보은 법주사 사천왕 석등(報恩 法住寺 四天王 石燈)은 충청북도 보은군 법주사 팔상전의 서쪽에 자리잡고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석등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보은 법주사 사천왕 석등 · 더보기 »

보은 법주사 석조희견보살입상

보은 법주사 석조희견보살입상(報恩 法住寺 石造喜見菩薩立像)은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에 있는 통일신라의 보살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보은 법주사 석조희견보살입상 · 더보기 »

보은 법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보은 법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報恩 法住寺 塑造毘盧遮那三佛坐像)은 충청북도 보은군 법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보은 법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 더보기 »

보은 법주사 신법 천문도 병풍

보은 법주사 신법 천문도 병풍(報恩 法住寺 新法 天文圖 屛風)은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에 있는 조선 영조 18년(1742)에 관상감에서 황도 남북의 별자리를 그린 병풍 그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보은 법주사 신법 천문도 병풍 · 더보기 »

보은 법주사 원통보전

보은 법주사 원통보전(報恩 法住寺 圓通寶殿)은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보은 법주사 원통보전 · 더보기 »

보성 벌교 홍교

보성 벌교 홍교(寶城 筏橋 虹橋)는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에 있는 조선 시대의 아치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보성 벌교 홍교 · 더보기 »

보성 봉천리 오층석탑

보성 봉천리 오층석탑(寶城 鳳川里 五層石塔)는 전라남도 보성군 복내면에 있는 고려시대의 오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보성 봉천리 오층석탑 · 더보기 »

보성 대원사 극락전 관음보살・달마대사 벽화

보성 대원사 극락전 관음보살・달마대사 벽화(寶城 大原寺 極樂殿 觀音菩薩・達摩大師 壁畵)는 전라남도 보성군 문덕면 대원사 극락전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보성 대원사 극락전 관음보살・달마대사 벽화 · 더보기 »

보성 유신리 마애여래좌상

보성 유신리 마애여래좌상(寶城 柳新里 磨崖如來坐像)은 전라남도 보성군 율어면 유신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마애불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보성 유신리 마애여래좌상 · 더보기 »

곽재우

곽재우(郭再祐, 1552년 9월 16일(음력 8월 28일) ~ 1617년 5월 14일(음력 4월 10일))는 조선 중기의 무신, 정치인, 군인으로 임진왜란에서 크게 활약한 의병장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곽재우 · 더보기 »

곽재우 유물 일괄

곽재우 유물 일괄(郭再祐 遺物 一括)은 조선 후기의 의병장 곽재우의 유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곽재우 유물 일괄 · 더보기 »

복각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

복각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複刻 天象列次分野之圖 刻石)은 조선 태조 4년(1395년)에 만들어진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를 숙종 때에 다시 새긴 석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복각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 · 더보기 »

공주 마곡사 영산전

공주 마곡사 영산전(公州 麻谷寺 靈山殿)은 충청남도 공주시 마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공주 마곡사 영산전 · 더보기 »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公州 麻谷寺 五層石塔)은 충청남도 공주시 마곡사 대웅보전 앞에 있는, 고려 후기의 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 · 더보기 »

공주 마곡사 석가모니불괘불탱

공주 마곡사 석가모니불괘불탱(公州 麻谷寺 釋迦牟尼佛掛佛幀)은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공주 마곡사 석가모니불괘불탱 · 더보기 »

공주 반죽동 당간지주

공주 반죽동 당간지주(公州 班竹洞 幢竿支柱)는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의 당간지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공주 반죽동 당간지주 · 더보기 »

공주 반죽동 석조

공주 반죽동 석조(公州 班竹洞 石槽)는 충청남도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에 있는 백제의 석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공주 반죽동 석조 · 더보기 »

공주 갑사 동종

갑사 동종(甲寺 銅鐘)은 충청남도 공주시 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동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공주 갑사 동종 · 더보기 »

공주 갑사 승탑

공주 갑사 승탑(公州 甲寺 僧塔)은 충청남도 공주시 갑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공주 갑사 승탑 · 더보기 »

공주 갑사 철당간

공주 갑사 철당간(公州 甲寺 鐵幢竿)은 충청남도 공주시 갑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당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공주 갑사 철당간 · 더보기 »

공주 갑사 석가여래삼세불도 및 복장유물

공주 갑사 석가여래삼세불도 및 복장유물(公州 甲寺 釋迦如來三世佛圖 및 腹藏遺物)은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회화작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공주 갑사 석가여래삼세불도 및 복장유물 · 더보기 »

공주 계룡산 중악단

공주 계룡산 중악단(公州 鷄龍山 中嶽壇)은 국가에서 계룡산신에게 제사 지내기 위해 마련한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공주 계룡산 중악단 · 더보기 »

공주 중동 석조

공주 중동 석조(公州 中洞 石槽)는 충청남도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에 있는 백제 시대의 석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공주 중동 석조 · 더보기 »

공주 서혈사지 석조여래좌상

공주 서혈사지 석조여래좌상(公州 西穴寺址 石造如來坐像)은 충청남도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공주 서혈사지 석조여래좌상 · 더보기 »

계초심학인문(언해) 목판

심학인문(언해) 목판(誡初心學人文(諺解) 木板)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계초심학인문(언해) 목판 · 더보기 »

괴산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산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槐山 覺淵寺 石造毘盧遮那佛坐像)은 충청북도 괴산군 각연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괴산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 더보기 »

괴산 보안사 삼층석탑

산 보안사 삼층석탑(槐山 寶安寺 三層石塔)은 충청북도 괴산군 청안면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괴산 보안사 삼층석탑 · 더보기 »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

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槐山 院豊里 磨崖二佛並坐像)은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원풍리에 있는, 고려 시대의 마애불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 · 더보기 »

괴산 외사리 승탑

산 외사리 승탑(槐山 外沙里 僧塔)은 고려시대의 승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괴산 외사리 승탑 · 더보기 »

광주 자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광주 자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光州 紫雲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및 腹藏遺物)은 광주광역시 동구, 자운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광주 자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 더보기 »

광주 증심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광주 증심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光州 證心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은 광주광역시 증심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광주 증심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 더보기 »

광주 지산동 오층석탑

광주 지산동 오층석탑(光州 芝山洞 五層石塔)은 광주광역시 동구 지산동에 있는 통일신라의 오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광주 지산동 오층석탑 · 더보기 »

광주 약사암 석조여래좌상

광주 약사암 석조여래좌상(光州 藥師庵 石造如來坐像)은 광주광역시 동구 운림동 약사암에 있는 통일신라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광주 약사암 석조여래좌상 · 더보기 »

광주광역시립민속박물관

광주광역시립민속박물관은 생활문화의 변화로 사라져가는 민속자료의 수집, 민속문화 원형의 발굴과 보존, 민속문화의 전승을 위한 전시장의 필요성 등이 증대됨에 따라 광주광역시가 설립한 공립박물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광주광역시립민속박물관 · 더보기 »

광양 중흥산성 삼층석탑

광양 중흥산성 삼층석탑(光陽 中興山城 三層石塔)은 전라남도 광양시 옥룡면 중흥산성에 있는, 신라 말기에 건립된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광양 중흥산성 삼층석탑 · 더보기 »

광한루

광한루(廣寒樓)는 전라북도 남원시에 있는 누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광한루 · 더보기 »

봉래유묵

봉래유묵(蓬萊遺墨)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대학교중앙도서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서첩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봉래유묵 · 더보기 »

봉정사

봉정사(鳳停寺)는 신라 시대인 672년 신라 문무왕 12년 의상대사의 제자인 능인 스님이 천등산에 창건한 사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봉정사 · 더보기 »

봉수당진찬도

봉수당진찬도(奉壽堂進饌圖)는 서울특별시 중구 동국대학교박물관에 있는, 8폭으로 구성된 ≪화성행행도병≫ 중 한 폭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봉수당진찬도 · 더보기 »

봉업사명 청동북

봉업사명 청동북(奉業寺銘 靑銅金鼓)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교공예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봉업사명 청동북 · 더보기 »

봉화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봉화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奉化淸凉寺乾漆藥師如來坐像및 腹藏遺物)은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봉화 청량사에 있는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봉화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 더보기 »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목조광배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목조광배(奉化 鷲棲寺 石造毘盧遮那佛坐像 및 木造光背)는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축서사에 있는 통일신라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목조광배 · 더보기 »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奉化 太子寺 朗空大師塔碑)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 더보기 »

봉화 서동리 동·서 삼층석탑

봉화 서동리 동·서 삼층석탑(奉化 西洞里 東·西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봉화군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 2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봉화 서동리 동·서 삼층석탑 · 더보기 »

관덕정

제주 관덕정(濟州 觀德亭)은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도2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누정으로, 대한민국의 보물 제322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관덕정 · 더보기 »

관상감 측우대

상감 측우대(觀象監 測雨臺)는 조선시대의 관청인 관상감(觀象監)에 있던 측우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관상감 측우대 · 더보기 »

권문해 초간일기

문해 초간일기(權文海 草澗日記)는 조선 명종∼선조대의 학자이며, 관료인 권문해(1534∼1591)가 쓴 자필일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권문해 초간일기 · 더보기 »

권벌 종가 고문서

벌 종가 고문서(權橃 宗家 古文書)은 경상북도 봉화군에 있는, 조선 중종 때 명신이며, 학자인 권벌(1478∼1548)의 종손가에 소장 되어온 고문서와 일괄 유물들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권벌 종가 고문서 · 더보기 »

권벌 종가 전적

벌 종가 전적(權橃 宗家 典籍)은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유곡리, 충재박물관에 있는, 조선 중종 때의 명신이며 학자였던 충재 권벌(1478∼1548) 선생의 종가에 소장되어 있는 것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권벌 종가 전적 · 더보기 »

권벌 종가 유묵

벌 종가 유묵(權橃 宗家 遺墨)은 경상북도 봉화군 충재박물관에 있는, 조선 중종때의 명신이며 학자였던 권벌 선생이 살았을 적에 써 둔 필적들을 모아놓은 것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권벌 종가 유묵 · 더보기 »

권응수장군유물-권응수초상

응수장군유물-권응수초상(權應銖將軍遺物-權應銖肖像)은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626-35, 국립진주박물관 (남성동,진주성)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권응수장군유물-권응수초상 · 더보기 »

권응수장군유물-장검

응수장군유물-장검(權應銖將軍遺物-長劍)은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626-35, 국립진주박물관에 있는 16세기 장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권응수장군유물-장검 · 더보기 »

권주 종가 문적

주 종가 문적(權柱 宗家 文籍)은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한국국학진흥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기록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권주 종가 문적 · 더보기 »

권주 종가 고문서

주 종가 고문서(權柱 宗家 古文書)은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연산군 때의 학자인 화산 권주(1457∼1505)선생의 종손가에 대대로 전해오는 문서들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권주 종가 고문서 · 더보기 »

불곡사

불곡사(佛谷寺)는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대방동에 위치한 사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불곡사 · 더보기 »

불회사

불회사는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 마산리, 덕룡산 남쪽에 있는 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불회사 · 더보기 »

불조역대통재

불조역대통재(佛祖歷代通載)는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남산리, 용화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불조역대통재 · 더보기 »

불조삼경 (보물 제1224-2호)

불조삼경(佛祖三經)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불조삼경 (보물 제1224-2호) · 더보기 »

불조삼경 (보물 제1224호)

불조삼경(佛祖三經)은 강원도 원주시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불조삼경 (보물 제1224호) · 더보기 »

불조삼경 (보물 제694-1호)

불조삼경(佛祖三經)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불조삼경 (보물 제694-1호) · 더보기 »

불조삼경 (보물 제694-2호)

불조삼경(佛祖三經)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불조삼경 (보물 제694-2호) · 더보기 »

불조삼경 (보물 제695호)

불조삼경(佛祖三經)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불조삼경 (보물 제695호) · 더보기 »

불설대보부모은중경 (보물 제1125호)

불설대보부모은중경(佛說大報父母恩重經)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불설대보부모은중경 (보물 제1125호) · 더보기 »

불설대보부모은중경 (보물 제705호)

불설대보부모은중경(佛說大報父母恩重經)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불설대보부모은중경 (보물 제705호) · 더보기 »

불설대보부모은중경 (보물 제920호)

불설대보부모은중경(佛說大報父母恩重經)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경이다. 1987년 7월 16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920호로 지정되었다.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불설대보부모은중경 (보물 제920호) · 더보기 »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佛說大報父母恩重經版)은 경기도 화성시 용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책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 · 더보기 »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보물 제1092호)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佛說長壽滅罪護諸童子陀羅尼經)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보물 제1092호) · 더보기 »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分類杜工部詩(諺解) 卷二十一)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 청주고인쇄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금속활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 · 더보기 »

분청사기 박지철채화문 병

분청사기 박지철채화문 병(粉靑沙器 剝地鐵彩花文 甁)은 조선 초기의 분청사기 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분청사기 박지철채화문 병 · 더보기 »

분청사기 박지태극문 편병

분청사기 박지태극문 편병(粉靑沙器 剝地太極文 扁甁)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호림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분청사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분청사기 박지태극문 편병 · 더보기 »

분청사기 인화점문 장군

분청사기 인화점문 장군(粉靑沙器 印花點文 獐本)은 양식적으로 세련되었으면서도 동시에 투박한 멋을 겸비한 매우 독특한 인화분청으로 15세기의 절정기 작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분청사기 인화점문 장군 · 더보기 »

분청사기 철화모란문 장군

분청사기 철화모란문 장군(粉靑沙器 鐵畵牡丹文 獐本)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Leeum에 있는 조선시대의 분청사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분청사기 철화모란문 장군 · 더보기 »

분청사기 철화당초문 장군

분청사기 철화당초문 장군(粉靑沙器 鐵畵唐草紋 장군)은 산화철로 덩굴무늬를 그려 넣은 조선시대의 분청사기 장군물같이 흐르는 물질을 담아 옮기는 그릇을 장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분청사기 철화당초문 장군 · 더보기 »

분청사기 철화어문 항아리

분청사기 철화어문 항아리(粉靑沙器 鐵畵魚文 立壺)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조선시대의 분청사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분청사기 철화어문 항아리 · 더보기 »

분청사기 상감 정통4년명 김명리 묘지

분청사기 상감‘정통4년명’ 김명리 묘지(粉靑沙器 象嵌‘正統4年銘’ 金明理墓誌)는 경기도 용인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묘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분청사기 상감 정통4년명 김명리 묘지 · 더보기 »

분청사기 상감‘정통 13년’명 묘지 및 분청사기 일괄

분청사기 상감‘정통 13년’명 묘지 및 분청사기 일괄(粉靑沙器 象嵌‘正統十三年’銘 墓誌 및 粉靑沙器一括)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조선시대의 분청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분청사기 상감‘정통 13년’명 묘지 및 분청사기 일괄 · 더보기 »

분청사기 상감모란문 매병

분청사기 상감모란문 매병(粉靑沙器 象嵌牡丹文 梅甁)은 상감기법을 써서 모란 무늬를 새긴 분청사기 매병매병(梅甁)은 아가리가 좁고 어깨가 넓으며 밑은 홀쭉하게 빠진 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분청사기 상감모란문 매병 · 더보기 »

분청사기 상감모란문 반합

분청사기 상감모란문 반합(粉靑沙器 象嵌牡丹文 飯盒) 은 상감기법으로 모란 무늬를 새긴 분청사기 반합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분청사기 상감모란문 반합 · 더보기 »

분청사기 상감모란문 항아리

분청사기 상감모란문 항아리(粉靑沙器 象嵌牡丹文 立壺)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활달한 모란꽃과 잎, 연꽃과 당초문대의 문양과 장신의 호가 잘 어울리는 고려청자 전성기의 작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분청사기 상감모란문 항아리 · 더보기 »

분청사기 상감모란양류문 병

분청사기 상감모란양류문 병(粉靑沙器 象嵌牡丹楊柳文 甁)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호림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분청사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분청사기 상감모란양류문 병 · 더보기 »

분청사기 상감파도어문 병

분청사기 상감파도어문 병(粉靑沙器 象嵌波濤魚文 甁)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호림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분청사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분청사기 상감파도어문 병 · 더보기 »

분청사기 상감연화문 편병

분청사기 상감연화문 편병(粉靑沙器 象嵌蓮花文 扁甁)은 상감기법을 써서 연꽃 무늬를 새긴, 분청사기 편병병의 앞뒤가 둥글납작하고 목이 짧은 병을 편병(扁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분청사기 상감연화문 편병 · 더보기 »

분청사기 상감연화당초문 병

분청사기 상감연화당초문 병(粉靑沙器象嵌蓮唐草紋甁)은 상감기법을 써서 연꽃 덩굴무늬를 새긴 조선시대 분청사기 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분청사기 상감연화당초문 병 · 더보기 »

분청사기 상감사각묘지 및 분청사기 인화문 사각편병

분청사기 상감사각묘지 및 분청사기 인화문 사각편병(粉靑沙器 象嵌四角墓誌 및 粉靑沙器 印花文 四角扁甁)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분청사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분청사기 상감사각묘지 및 분청사기 인화문 사각편병 · 더보기 »

부여 무량사 미륵불괘불탱

부여 무량사 미륵불괘불탱(扶餘 無量寺 彌勒佛掛佛幀)은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무량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부여 무량사 미륵불괘불탱 · 더보기 »

부여 무량사 극락전

부여 무량사 극락전(扶餘 無量寺 極樂殿)은 충청남도 부여군 무량사에 있는 조선 중기의 중층(重層) 불전(佛殿)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부여 무량사 극락전 · 더보기 »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扶餘 無量寺 五層石塔)은 충청남도 부여군 무량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오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 더보기 »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扶餘 無量寺 塑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은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무량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 더보기 »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扶餘 普光寺址 大普光禪師碑)는 충청남도 부여군 성주산의 보광사터에 있던, 고려시대의 비석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 · 더보기 »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扶餘 窺岩里 金銅觀音菩薩立像)은 1970년에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신리에서 발견된, 백제의 금동 관음보살 입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 · 더보기 »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扶餘 大鳥寺 石造彌勒菩薩立像)은 충청남도 부여군 대조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조 미륵보살 입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 더보기 »

부여 군수리 금동보살입상

부여 군수리 금동보살입상(扶餘 軍守里 金銅菩薩立像)은 충청남도 부여군 군수리의 폐사지에 있는 목탑지 중심 초석 밑에서 발견된 높이 11.5센티미터의 금동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부여 군수리 금동보살입상 · 더보기 »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扶餘 軍守里 石造如來坐像)은 충청남도 부여군 군수리의 폐사지에서 발견된, 백제의 석조 여래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 · 더보기 »

부여 당 유인원 기공비

부여 당 유인원 기공비(扶餘 唐 劉仁願 紀功碑)는 충청남도 부여군 국립부여박물관에 있는 신라시대의 비석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부여 당 유인원 기공비 · 더보기 »

부여 장하리 삼층석탑

부여 장하리 삼층석탑(扶餘 長蝦里 三層石塔)은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장하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부여 장하리 삼층석탑 · 더보기 »

부여 정림사지 석조여래좌상

부여 정림사지 석조여래좌상(扶餘 定林寺址 石造如來坐像)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군 정림사지에 있는, 고려 시대에 제작된 석조 여래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부여 정림사지 석조여래좌상 · 더보기 »

부여 사택지적비

사택지적비(砂宅智積碑)는 백제 의자왕 때 사택지적(砂宅智積)이 세운 비석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부여 사택지적비 · 더보기 »

부여 석조

부여 석조(扶餘 石槽)는 충청남도 부여군, 국립부여박물관에 있는 백제시대의 유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부여 석조 · 더보기 »

부여 왕흥사지 사리기 일괄

부여 왕흥사지 사리기 일괄(扶餘 王興寺址 舍利器 一括)은 충청남도 부여군,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에 있는 백제의 사리장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부여 왕흥사지 사리기 일괄 · 더보기 »

부산 범어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부산 범어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釜山 梵魚寺 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부산 범어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 더보기 »

부산 범어사 조계문

부산 범어사 조계문(釜山 梵魚寺 曹溪門)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부산 범어사 조계문 · 더보기 »

부산 복천동 출토 금동관

부산 복천동 출토 금동관(釜山福泉洞出土金銅冠)은 부산 복천동 고분군 11호분의 피장자 우측에서 출토된 금동관으로, 5~6세기 신라의 출자형 금관과는 달리 대륜에 나뭇가지 모양의 수목형 입식이 연결된 古拙한 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부산 복천동 출토 금동관 · 더보기 »

부산 국청사 청동북

부산 국청사 청동북(釜山 國淸寺 靑銅金鼓)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국청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교 의식법구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부산 국청사 청동북 · 더보기 »

부산 운수사 대웅전

부산 운수사 대웅전(釜山 雲水寺 大雄殿)은 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동, 운수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대웅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부산 운수사 대웅전 · 더보기 »

부석사

부석사(浮石寺)는 신라 문무왕 16년(676년)에 의상이 왕명을 받아 세운 화엄종 사찰로서,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봉황산 중턱에 있.사회 I·문화재 > 문 화 재 > 중요 문화재 > 경상북도 > 부석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부석사는 특히 의상이 화엄의 큰 가르침을 베풀던 곳으로, 의상을 하고, 그가 창시한 화엄종을 "부석종"이라 하는 것도 여기에서 유. 1372년(공민왕 21)에 주지가 된 원응국사(圓應國師)에 의해 많은 건물들이 다시 세워졌.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부석사 · 더보기 »

부안 개암사 대웅전

부안 개암사 대웅전(扶安 開岩寺 大雄殿)은 전라북도 부안군 개암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대웅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부안 개암사 대웅전 · 더보기 »

부안 내소사 동종

부안 내소사 동종(扶安 來蘇寺 銅鍾)은 전라북도 부안군 내소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구리 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부안 내소사 동종 · 더보기 »

부안 내소사 대웅보전

부안 내소사 대웅보전(扶安 來蘇寺 大雄寶殿)은 전라북도 부안군 내소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부안 내소사 대웅보전 · 더보기 »

부안 내소사 영산회괘불탱

소사영산회괘불탱(來蘇寺靈山會掛佛幀)은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내소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부안 내소사 영산회괘불탱 · 더보기 »

기림사

림사(祗林寺)는 경상북도 경주시의 함월산 자락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기림사 · 더보기 »

기묘제현수필

묘제현수필(己卯諸賢隨筆)은 조선 중종 13년(1518년)에 안처순(1492∼1534)이 구례현감에 제수되어 떠날 때, 지인들이 이별을 아쉬워하며 써준 송별 시문을 모아 엮은 첩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기묘제현수필 · 더보기 »

기장 장안사 대웅전

장 장안사 대웅전(機張 長安寺 大雄殿)은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사에 있는 대웅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기장 장안사 대웅전 · 더보기 »

기장 장안사 석조석가여래삼불좌상

장 장안사 석조석가여래삼불좌상(機張 長安寺 石造釋迦如來三佛坐像)은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사에 있는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기장 장안사 석조석가여래삼불좌상 · 더보기 »

기사계첩 (보물 제638호)

사계첩(耆社契帖)은 70세 이상의 노신들을 우대하는 뜻에서 만들어진 기사의 모임 장면과, 그들의 초상 등으로 꾸민 화첩으로 비단 바탕에 채색되어 있는 기록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기사계첩 (보물 제638호) · 더보기 »

기사계첩 (보물 제639호)

사계첩(耆社契帖)은 숙종 45년(1719)에 있었던 소속이 같은 문인들이 서로 친목을 도모하고 풍류를 즐겼던 모임인 계회 행사를 기념하기 위해 글과 그림으로 만든 조선시대의 화첩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기사계첩 (보물 제639호) · 더보기 »

기사계첩 (보물 제929호)

사계첩(耆社契帖)은 숙종 45년(1719) 4월 17일과 18일에 열린 70세 이상의 퇴직관리들의 모임장면을 그린 그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기사계첩 (보물 제929호) · 더보기 »

길흉축월횡간 고려목판

흉축월횡간 고려목판(吉凶逐月橫看 高麗木板)은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심원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길흉축월횡간 고려목판 · 더보기 »

금동 당간 용두

동 당간 용두(金銅幢竿龍頭)는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국립대구박물관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에 만들어진 당간 용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금동 당간 용두 · 더보기 »

금동 자물쇠 일괄

동 자물쇠 일괄(金銅鎖金一括)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금동제 빗장 유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금동 자물쇠 일괄 · 더보기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보물 제643호)

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호암미술관에 있는 보살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보물 제643호) · 더보기 »

금동보살입상 (보물 제780호)

동보살입상(金銅菩薩立像)은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보살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금동보살입상 (보물 제780호) · 더보기 »

금동관음보살입상 (보물 제927호)

동관음보살입상(金銅觀音菩薩立像)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통일신라의 보살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금동관음보살입상 (보물 제927호) · 더보기 »

금동용두토수

동용두토수(金銅龍頭吐首)는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용머리형의 기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금동용두토수 · 더보기 »

금동정지원명석가여래삼존입상

동정지원명석가여래삼존입상(金銅鄭智遠銘釋迦如來三尊立像)은 1919년에 부여의 부소산성에 있는 송월대에서 발견되어 현재 국립부여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삼국시대의 금동제 삼존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금동정지원명석가여래삼존입상 · 더보기 »

금동여래입상 (보물 제779호)

동여래입상(金銅如來立像)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금동 여래 입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금동여래입상 (보물 제779호) · 더보기 »

금령총 금관

령총 금관(金鈴塚 金冠)은 1924년 경상북도 경주시 노서동 금령총에서 발굴된 신라의 금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금령총 금관 · 더보기 »

금강반야바라밀경

강반야바라밀경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은 한국의 대표 불교 종단인 조계종의 소의 경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금강반야바라밀경 · 더보기 »

금강반야바라밀경 (보물 제1408호)

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 청주고인쇄박물관에 있는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금강반야바라밀경 (보물 제1408호) · 더보기 »

금강반야바라밀경 (보물 제696호)

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은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금강반야바라밀경 (보물 제696호) · 더보기 »

금강반야바라밀경 (보물 제721호)

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密經)은 서울특별시 중구 동국대학교 도서관에 있는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금강반야바라밀경 (보물 제721호) · 더보기 »

금강반야바라밀경 (보물 제775호)

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은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금강반야바라밀경 (보물 제775호) · 더보기 »

금강반야경소개현초 권4~5

강반야경소개현초 권4~5(金剛般若經疏開玄抄 卷四~五)는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금강반야경소개현초 권4~5 · 더보기 »

금강산 출토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구 일괄

강산 출토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구 일괄(金剛山 出土 李成桂 發願 舍利莊嚴具 一括)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유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금강산 출토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구 일괄 · 더보기 »

금고 (육군박물관 소장)

(金鼓)는 보물 제864호로 지정되었던 타악기의 일종으로 반자(飯子) 또는 금구(金口)로도 부른.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금고 (육군박물관 소장) · 더보기 »

금보 (악보)

보를 편찬하고 선조 5년에 책을 낸 것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금보 (악보) · 더보기 »

금당사

당사(金塘寺)는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동촌리에 있는 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금당사 · 더보기 »

금장요집경 권1~2

장요집경 권1~2(金藏要集經 卷一~二)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금장요집경 권1~2 · 더보기 »

급암선생시집

급암선생시집(及菴先生詩集)은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급암선생시집 · 더보기 »

비로사 (영주시)

비로사(毘盧寺)는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비로사 (영주시) · 더보기 »

비격진천뢰

비격진천뢰를 날리는 대완구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는 조선 중기에 군사목적으로 사용된 폭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비격진천뢰 · 더보기 »

김길통 좌리공신교서

통 좌리공신교서(金吉通 佐理功臣敎書)은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충북대학교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문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길통 좌리공신교서 · 더보기 »

김용 호종일기

용 호종일기(金涌 扈從日記)는 조선조 관료인 김용(1557∼1620)이 임진왜란 때에 선조가 의주로 피난 중 임금을 호종하였을때 직접 쓴 일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용 호종일기 · 더보기 »

김회련 개국원종공신녹권

회련 개국원종공신녹권(金懷鍊 開國原從功臣錄券)은 전라북도 정읍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문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회련 개국원종공신녹권 · 더보기 »

김회련 고신왕지

회련 고신왕지(金懷鍊告身王旨)는 전라북도 정읍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문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회련 고신왕지 · 더보기 »

김이안 초상

이안 초상(金履安 肖像)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대학교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이안 초상 · 더보기 »

김제 귀신사 대적광전

제 귀신사 대적광전(金堤 歸信寺 大寂光殿)은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귀신사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제 귀신사 대적광전 · 더보기 »

김제 귀신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제 귀신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金堤 歸信寺 塑造毘盧遮那三佛坐像)은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귀신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제 귀신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 더보기 »

김제 금산사 금강계단

제 금산사 금강계단(金堤 金山寺 金剛戒壇)은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사리탑을 봉안한 사리계단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제 금산사 금강계단 · 더보기 »

김제 금산사 노주

제 금산사 노주(金堤 金山寺 露柱)는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사에 있는, 용도를 알 수 없는 돌 조각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제 금산사 노주 · 더보기 »

김제 금산사 육각 다층석탑

제 금산사 육각 다층석탑(金堤 金山寺 六角 多層石塔)은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제 금산사 육각 다층석탑 · 더보기 »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

제 금산사 오층석탑(金堤 金山寺 五層石塔)은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오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 · 더보기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金堤 金山寺 慧德王師塔碑)는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사에 있는, 고려 중기의 고승 혜덕왕사 소현의 탑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더보기 »

김제 금산사 석련대

제 금산사 석련대(金堤 金山寺 石蓮臺)는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사에 있는 석조 연화 대좌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제 금산사 석련대 · 더보기 »

김제 청룡사 목조관음보살좌상

제 청룡사 목조관음보살좌상(金堤 靑龍寺 木造觀音普薩坐像)은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청룡사에 있는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제 청룡사 목조관음보살좌상 · 더보기 »

김정희 종가 유물

정희 종가 유물(金正喜 宗家 遺物)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등에 있는 조선시대의 유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정희 종가 유물 · 더보기 »

김정희 종가 유물 일괄

정희 종가 유물 일괄(金正喜 宗家 遺物 一括)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추사유물전시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문서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정희 종가 유물 일괄 · 더보기 »

김정희 필 대팽고회

정희 필 대팽고회(金正喜 筆 大烹高會)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간송미술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서예 작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정희 필 대팽고회 · 더보기 »

김정희 필 차호호공

정희 필 차호호공(金正喜 筆 且呼好共)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간송미술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서예 작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정희 필 차호호공 · 더보기 »

김정희 필 침계

정희 필 침계(金正喜 筆 梣溪)는 서울특별시 성북구 간송미술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서예 작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정희 필 침계 · 더보기 »

김종직 종가 고문서

종직 종가 고문서(金宗直 宗家 古文書)는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시대의 영남사림파의 종장인 김종직이나 그의 후손들과 관련된 것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종직 종가 고문서 · 더보기 »

김중만 초상

중만 초상(金重萬 肖像)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중만 초상 · 더보기 »

김천 갈항사지 동·서 삼층석탑출토 사리장엄구

항사지 동․서 삼층석탑 출토 사리장엄구(金泉 葛項寺址 東·西 三層石塔 出土 舍利莊嚴具)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국립대구박물관에 있는 통일신라의 불교공예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천 갈항사지 동·서 삼층석탑출토 사리장엄구 · 더보기 »

김천 고방사 아미타여래설법도

방사 아미타여래설법도(金泉 古方寺 阿彌陀如來說法圖)는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천 고방사 아미타여래설법도 · 더보기 »

김천 광덕리 석조보살입상

광덕리 석조보살입상(金泉 廣德里 石造菩薩立像)은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에 있는 고려시대의 보살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천 광덕리 석조보살입상 · 더보기 »

김천 직지사 묘법연화경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은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직지사 성보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천 직지사 묘법연화경 · 더보기 »

김천 직지사 대웅전

직지사 대웅전(金泉 直指寺 大雄殿)은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천 직지사 대웅전 · 더보기 »

김천 직지사 대웅전 수미단

직지사 대웅전 수미단(金泉 直指寺 大雄殿 須彌壇)은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단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천 직지사 대웅전 수미단 · 더보기 »

김천 직지사 대웅전 삼존불탱화

직지사 대웅전 삼존불탱화(直指寺大雄殿-三尊佛幀畵)는 경상북도 김천시 직지사 대웅전에 그려진 후불 탱화 3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천 직지사 대웅전 삼존불탱화 · 더보기 »

김천 직지사 석조약사여래좌상

직지사 석조약사여래좌상(金泉 直指寺 石造藥師如來坐像)은 경상북도 김천시 직지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조 약사여래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천 직지사 석조약사여래좌상 · 더보기 »

김천 청암사 수도암 동·서 삼층석탑

청암사 수도암 동·서 삼층석탑(金泉 靑巖寺 修道庵 東·西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김천시 청암사 수도암에 있는, 남북국 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천 청암사 수도암 동·서 삼층석탑 · 더보기 »

김천 청암사 수도암 석조보살좌상

청암사 수도암 석조보살좌상(金泉 靑巖寺 修道庵 石造菩薩坐像)은 경상북도 김천시 청암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천 청암사 수도암 석조보살좌상 · 더보기 »

김천 청암사 수도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청암사 수도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金泉 靑巖寺 修道庵 石造毘盧遮那佛坐像)은 경상북도 김천시 청암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천 청암사 수도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 · 더보기 »

김천리 개국원종공신녹권

리 개국원종공신녹권(金天理 開國原從功臣錄券)은 조선 태조 때 김천리에게 내린 공신녹권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천리 개국원종공신녹권 · 더보기 »

김유 초상

유 초상(金楺 肖像)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경기도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유 초상 · 더보기 »

김윤겸 필 영남기행화첩

윤겸 필 영남기행화첩(金允謙 筆 嶺南紀行畵帖)은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 동아대학교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김윤겸이 그린 화첩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윤겸 필 영남기행화첩 · 더보기 »

김성일 종가 고문서

성일 종가 고문서(金誠一 宗家 古文書)은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고려시대의 문서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성일 종가 고문서 · 더보기 »

김성일 종가 전적

성일 종가 전적(金誠一 宗家 典籍)은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전적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성일 종가 전적 · 더보기 »

김시민 선무공신 교서

시민 선무공신 교서(金時敏 宣武功臣 敎書)은 경상남도 진주시, 국립진주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교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시민 선무공신 교서 · 더보기 »

김시습 초상

시습 초상(金時習 肖像)은 조선 전기의 문인 김시습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시습 초상 · 더보기 »

김시필 동자견려도

시필 동자견려도(金禔筆 童子牽驢圖)는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조선시대의 풍속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시필 동자견려도 · 더보기 »

김홍도필 병진년 화첩

홍도필 병진년 화첩(金弘道筆 丙辰年 畵帖)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조선 후기의 화가 단원 김홍도(1745∼?)가 그린 산수화와 풍속화 등을 모은 화첩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홍도필 병진년 화첩 · 더보기 »

김완 초상

완 초상 (金完 肖像)은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화송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김완 초상 · 더보기 »

대동여지도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는 고산자(古山子) 김정호가 1861년 제작한 한반도의 지도이며, 지도첩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동여지도 · 더보기 »

대명률 (대한민국의 보물)

명률(大明律)은 조선 초기에 간행된 조선 왕조의 법률을 담은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명률 (대한민국의 보물) · 더보기 »

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8

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8(大方廣佛華嚴經 貞元本 卷八)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호림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8 · 더보기 »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4

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4(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三十四)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호림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4 · 더보기 »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72

방광불화엄경 주본 권72(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七十二)는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 용탑선원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72 · 더보기 »

대방광불화엄경진본 권53

방광불화엄경진본 권53(大方廣佛華嚴經晋本 卷五十三)은 경상남도 남해군 부소암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방광불화엄경진본 권53 · 더보기 »

대방광불화엄경소

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는 저자인 정원(淨源)이 의천(義天)에게 상인 서전(徐戩)을 통해 보낸 목판으로 주본(周本) 화엄경을 주해한 주소본 120권을 찍어낸 것 가운데 41권에 해당하는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방광불화엄경소 · 더보기 »

대방광불화엄경소 목판

방광불화엄경소 목판(大方廣佛華嚴經疏 木板)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방광불화엄경소 목판 · 더보기 »

대방광불화엄경소 권48,64,83

방광불화엄경소 권48,64,83(大方廣佛華嚴經疏 卷四十八,六十四,八十三)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 청주고인쇄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방광불화엄경소 권48,64,83 · 더보기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보물 제1518-2호)

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어음리, 양덕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보물 제1518-2호) · 더보기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1

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1(大方廣圓覺脩多羅了義經 卷1)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1 · 더보기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1의1

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1의1(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卷上 一之一)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금속활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1의1 · 더보기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2의2, 권하3의1~3의2

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_권상2의2,_권하3의1~3의2(大方廣圓覺脩多羅了義經 卷上二之二, 卷下三之一~三之二)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2의2, 권하3의1~3의2 · 더보기 »

대반열반경소

반열반경소 권9~10(大般湟槃經疏 卷九~十)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 사찰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반열반경소 · 더보기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보물 제1939호)

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脩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은 경상북도 경산시 대동, 영남대학교에 있는 조선시대의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보물 제1939호) · 더보기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

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卷1)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 · 더보기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2, 10

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2, 10(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卷二, 十)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2, 10 · 더보기 »

대구 도학동 승탑

학동 승탑(大邱 道鶴洞 僧塔)은 대구광역시 도학동에 세워졌던, 고려시대의 승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구 도학동 승탑 · 더보기 »

대구 동화사 마애여래좌상

동화사 마애여래좌상(大邱 桐華寺 磨崖如來坐像)은 대구광역시 동화사 입구에 있는 남북국 시대의 마애불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구 동화사 마애여래좌상 · 더보기 »

대구 동화사 금당암 동·서 삼층석탑

동화사 금당암 동·서 삼층석탑은 대구광역시 동화사 금당암의 극락전 앞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 2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구 동화사 금당암 동·서 삼층석탑 · 더보기 »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大邱 桐華寺 毘盧庵 三層石塔)은 남북국 시대의 화강암 3층 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 더보기 »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大邱 桐華寺 毘盧庵 石造毘盧遮那佛坐像)은 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 사찰에 있는 통일신라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 · 더보기 »

대구 동화사 당간지주

동화사 당간지주(大邱 桐華寺 幢竿支柱)는 대구광역시 동화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의 당간지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구 동화사 당간지주 · 더보기 »

대구 동화사 지장시왕도

동화사 지장시왕도(李舜臣 宣武功臣敎書)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구 동화사 지장시왕도 · 더보기 »

대구 동화사 삼장보살도

동화사 삼장보살도(大邱 桐華寺 三藏菩薩圖)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 성보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그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구 동화사 삼장보살도 · 더보기 »

대구 무술명 오작비

무술명 오작비(大邱 戊戌銘 塢作碑)는 대구광역시에서 발견된, 신라 시대의 석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구 무술명 오작비 · 더보기 »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복장유물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복장유물(大邱 寶聖禪院 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 및 腹藏遺物)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보성선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과, 그 안에 들어있던 유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복장유물 · 더보기 »

대구 북지장사 지장전

북지장사 지장전(大邱 北地藏寺 地藏殿)은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북지장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구 북지장사 지장전 · 더보기 »

대구 용연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및 복장유물

용연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및 복장유물(大邱 龍淵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 및 腹藏遺物)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용연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구 용연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및 복장유물 · 더보기 »

대구 운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운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大邱 雲興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운흥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구 운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 더보기 »

대구 파계사 건칠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사 건칠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大邱 把溪寺 乾漆觀音菩薩坐像 및 腹藏遺物)은 대구광역시 동구 파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보살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구 파계사 건칠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 더보기 »

대구 파계사 영산회상도

사 영산회상도(大邱 把溪寺 靈山會上圖)는 대구광역시 동구 파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영산회상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구 파계사 영산회상도 · 더보기 »

대구 파계사 원통전

사 원통전(大邱 把溪寺 圓通殿)은 대구광역시 동구, 파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구 파계사 원통전 · 더보기 »

대구 산격동 연화 운룡장식 승탑

산격동 연화 운룡장식 승탑(大邱 山格洞 蓮花 雲龍裝飾 僧塔)은 대구광역시 북구 경북대학교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구 산격동 연화 운룡장식 승탑 · 더보기 »

대구 산격동 사자 주악장식 승탑

산격동 사자 주악장식 승탑(大邱 山格洞 獅子 奏樂裝飾 僧塔)은 대구광역시 북구 경북대학교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구 산격동 사자 주악장식 승탑 · 더보기 »

대구 서봉사 지장시왕도

서봉사 지장시왕도(大邱 瑞鳳寺 地藏十王圖)는 대구광역시 남구 서봉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구 서봉사 지장시왕도 · 더보기 »

대승기신론소 (보물 제1713호)

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는 대구광역시 남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금속활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승기신론소 (보물 제1713호) · 더보기 »

대승아비달마잡집론소 권13~14

승아비달마잡집론소 권13~14(大乘阿毗達磨雜集論疏 卷十三~十四)는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송광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승아비달마잡집론소 권13~14 · 더보기 »

대흥사

흥사(大興寺)는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에 위치한 두륜산 도립공원 내의 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흥사 · 더보기 »

대전 비래사 목조비로자나불좌상

전 비래사 목조비로자나불좌상(大田 飛來寺 木造毘盧遮那佛坐像)은 대전광역시 대덕구 비래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전 비래사 목조비로자나불좌상 · 더보기 »

대전 회덕 동춘당

전 회덕 동춘당(大田 懷德 同春堂, Dongchundang House in Hoedeok, Daejeon)은 대전광역시 송촌동 동춘당 공원 내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전 회덕 동춘당 · 더보기 »

대혜보각선사서 (보물)

혜보각선사서(大慧普覺禪師書)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혜보각선사서 (보물) · 더보기 »

대혜원명 동종

혜원명 동종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우학문화재단에서 소유하고 있는 고려 1223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동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혜원명 동종 · 더보기 »

대성지성문선왕전좌도

성지성문선왕전좌도(大成至聖文宣王殿坐圖)는 공자를 중심으로 제자들이 공자 앞에 길게 늘어서 앉아 있는 그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성지성문선왕전좌도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명승

명승(名勝)은 대한민국의 국가지정문화재로, 문화재청에서 경치가 뛰어난 지역을 대상으로 지정.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한민국의 명승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명승 (제101호 ~ 제200호)

명승(名勝)은 지방지정문화재에 속하는 국가지정문화재로, 문화재청에서 경치가 뛰어난 지역을 대상으로 지정.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한민국의 명승 (제101호 ~ 제200호)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명승 (제1호 ~ 제100호)

명승(名勝)은 지방지정문화재에 속하는 국가지정문화재로, 문화재청에서 경치가 뛰어난 지역을 대상으로 지정.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한민국의 명승 (제1호 ~ 제100호)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문화재

민국의 문화재는 건물·조각·악보·악기·공예품·서적·서예·고문서 등의 유물·유적 가운데 역사적·예술적 가치가 높거나 역사 연구에 자료가 되는 유형문화재, 민속문화재(민속자료), 기념물, 연주·무용·공예·기술 등에서 역사적·예술적 가치가 높은 무형문화재 등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한민국의 문화재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국가민속문화재(國家民俗文化財)는 대한민국에서 의식주, 사회생활, 민속, 신앙 등의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것 가운데 상대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

국가민속문화재(重要民俗文化財)는 대한민국에서 의식주, 사회생활, 민속, 신앙 등의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것 가운데 상대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제1호 ~ 제100호)

국가민속문화재(重要民俗文化財)는 대한민국에서 의식주, 사회생활, 민속, 신앙 등의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것 가운데 상대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제1호 ~ 제100호)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제201호 ~ 제300호)

국가민속문화재(重要民俗文化財)는 대한민국에서 의식주, 사회생활, 민속, 신앙 등의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것 가운데 상대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제201호 ~ 제300호)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보

숭례문(국보 제1호) 대한민국의 국보(大韓民國 國寶)는 대한민국에서, 건축물이나 유물 등의 유형 문화재 가운데에 중요한 가치를 가져 보물로 지정될 만한 문화재 가운데 인류문화적으로 가치가 크고 유례가 드문 것, 독특하고 희귀한 것 등으로 인정되어 따로 지정된 문화유산을 말. 국보와 보물을 나눈 기준은 특별히 엄격하지 않으며 다만 제작 연도가 오래되었고 그 시대의 표준이 될 수 있는 것이나 제작 기술이 특별히 우수한 것 등을 국보로 지정하였.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한민국의 국보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보 (제101호 ~ 제200호)

민국의 국보(大韓民國 國寶)는 대한민국에서, 건축물이나 유물 등의 유형 문화재 가운데에 중요한 가치를 가져 보물로 지정될 만한 문화재 가운데에서 인류문화적으로 가치가 크고 유례가 드문 것, 독특하고 희귀한 것 등으로 인정되어 따로 지정된 문화유산을 말.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한민국의 국보 (제101호 ~ 제200호)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보 (제1호 ~ 제100호)

서울 숭례문(국보 제1호) 대한민국의 국보(大韓民國 國寶)는 대한민국에서, 건축물이나 유물 등의 유형 문화재 가운데에 중요한 가치를 가져 보물로 지정될 만한 문화재 가운데에서 인류문화적으로 가치가 크고 유례가 드문 것, 독특하고 희귀한 것 등으로 인정되어 따로 지정된 문화유산을 말.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한민국의 국보 (제1호 ~ 제100호)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보 (제201호 ~ 제300호)

숭례문(국보 제1호) 대한민국의 국보(大韓民國 國寶)는 대한민국에서, 건축물이나 유물 등의 유형 문화재 가운데에 중요한 가치를 가져 보물로 지정될 만한 문화재 가운데에서 인류문화적으로 가치가 크고 유례가 드문 것, 독특하고 희귀한 것 등으로 인정되어 따로 지정된 문화유산을 말.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한민국의 국보 (제201호 ~ 제300호)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보 (제301호 ~ 제400호)

숭례문(국보 제1호) 대한민국의 국보(大韓民國 國寶)는 대한민국에서, 건축물이나 유물 등의 유형 문화재 가운데에 중요한 가치를 가져 보물로 지정될 만한 문화재 가운데에서 인류문화적으로 가치가 크고 유례가 드문 것, 독특하고 희귀한 것 등으로 인정되어 따로 지정된 문화유산을 말.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한민국의 국보 (제301호 ~ 제400호)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101호 ~ 제200호)

음은 대한민국 천연기념물의 일람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101호 ~ 제200호)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1호 ~ 제100호)

음은 대한민국 천연기념물의 일람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1호 ~ 제100호)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201호 ~ 제300호)

음은 대한민국 천연기념물의 일람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201호 ~ 제300호)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301호 ~ 제400호)

음은 대한민국 천연기념물의 일람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301호 ~ 제400호)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401호 ~ 제500호)

음은 대한민국 천연기념물의 일람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401호 ~ 제500호)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501호 ~ 제600호)

음은 대한민국 천연기념물의 일람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501호 ~ 제600호)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사적

사적(史蹟)은 기념물 가운데 선사시대의 유적 및 고분, 정치 및 전쟁에 관한 유적, 제사ㆍ신앙에 관한 유적, 산업ㆍ교통ㆍ토목에 관한 유적, 교육ㆍ사회사업 관계 유적, 분묘와 비석 등의 유적으로 중요한 것을 말. 다음은 대한민국 문화재청이 지정한 대한민국의 사적지 목록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한민국의 사적 · 더보기 »

대한민국에 관한 문서

right 대한민국은 동아시아 한반도의 남쪽에 위치한 민주 공화국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한민국에 관한 문서 · 더보기 »

대악후보

악후보(大樂後譜)는 영조 35년(1759년)에 서명응이 세조 때의 음악을 편집한 7권 7책의 필사본 악보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대악후보 · 더보기 »

구례 논곡리 삼층석탑

곡리 삼층석탑(求禮 論谷里 三層石塔)은 전라남도 구례군 구례읍 논곡리에 있는 신라 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구례 논곡리 삼층석탑 · 더보기 »

구례 천은사 괘불탱

은사 괘불탱(求禮 泉隱寺 掛佛幀)은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천은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구례 천은사 괘불탱 · 더보기 »

구례 천은사 관세음·대세지보살좌상

은사 관세음·대세지보살좌상(求禮 泉隱寺 觀世音․大勢至菩薩坐像)은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천은사에 있는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구례 천은사 관세음·대세지보살좌상 · 더보기 »

구례 천은사 극락전 아미타후불탱화

은사 극락전 아미타후불탱화(求禮 泉隱寺 極樂殿 阿彌陀後佛幀畵)는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천은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구례 천은사 극락전 아미타후불탱화 · 더보기 »

구례 천은사 삼장보살도

은사 삼장보살도(求禮 泉隱寺 三藏菩薩圖)는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천은사에 있는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구례 천은사 삼장보살도 · 더보기 »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

연곡사 소요대사탑(求禮 鷰谷寺 逍遙大師塔)는 전라남도 구례군 연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승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 · 더보기 »

구례 화엄사 동 오층석탑

화엄사 동 오층석탑(求禮 華嚴寺 東 五層石塔)은 전라남도 구례군 화엄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오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구례 화엄사 동 오층석탑 · 더보기 »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求禮 華嚴寺 木造毘盧遮那三身佛坐像)은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 더보기 »

구례 화엄사 서 오층석탑

화엄사 서 오층석탑(求禮 華嚴寺 西 五層石塔)은 전라남도 구례군 화엄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오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구례 화엄사 서 오층석탑 · 더보기 »

구례 화엄사 화엄석경

화엄사 화엄석경(求禮 華嚴寺 華嚴石經)은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에 있는 석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구례 화엄사 화엄석경 · 더보기 »

구리 동구릉 건원릉 정자각

리 동구릉 건원릉 정자각(九里 東九陵 健元陵 丁字閣)은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로, 건원릉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구리 동구릉 건원릉 정자각 · 더보기 »

구미 도리사 석탑

미 도리사 석탑(龜尾 桃李寺 石塔)은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송곡리 도리사 경내에 위치한 석탑으로, 모전석탑과 유사한 형태를 취하고 있. 각각 한 면에 문틀을 돋을새김한 널돌이 끼워져 있으며, 맨 위의 2개 층이 노반과 탑신부의 구분이 분명치않아 희귀한 모습을 취한 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구미 도리사 석탑 · 더보기 »

구미 대둔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미 대둔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龜尾 大芚寺 乾漆阿彌陀如來坐像)은 경상북도 구미시 대둔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구미 대둔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 더보기 »

구미 대둔사 대웅전

미 대둔사 대웅전(龜尾 大芚寺 大雄殿)은 경상북도 구미시 옥성면 옥관리, 대둔사에 있는 대웅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구미 대둔사 대웅전 · 더보기 »

구미 낙산리 삼층석탑

미 낙산리 삼층석탑(龜尾 洛山里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낙산리의 절터에 위치한 석탑으로, 2단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모전 석탑 계열에 속. 1968년 12월 19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469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구미 낙산리 삼층석탑 · 더보기 »

구미 수다사 영산회상도

미 수다사 영산회상도(龜尾 水多寺 靈山會上圖)는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 상송리, 수다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구미 수다사 영산회상도 · 더보기 »

구미 해평리 석조여래좌상

미 해평리 석조여래좌상(龜尾 海平里 石造如來坐像)은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해평리에 있는 통일신라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구미 해평리 석조여래좌상 · 더보기 »

구미 황상동 마애여래입상

미 황상동 마애여래입상(龜尾 凰顙洞 磨崖如來立像)은 경상북도 구미시 황상동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마애불 입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구미 황상동 마애여래입상 · 더보기 »

국립경주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國立慶州博物館)은 국립중앙박물관의 소속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국립경주박물관 · 더보기 »

국립고궁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國立古宮博物館,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은 궁중유물의 연구·조사·수집·보관 및 전시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 문화재청의 소속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국립고궁박물관 · 더보기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國立中央圖書館, National Library of Korea)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의 소속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국립중앙도서관 · 더보기 »

국가문화유산포털

국가문화유산포털(Korea National Heritage Online)은 대한민국의 유물, 국보, 보물 등 주요 지정문화재 및 전국 박물관 소장 유물정보 등 총 104개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문화유산정보 65만여 건을 DB화하여 제공하는 종합정보시스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국가문화유산포털 · 더보기 »

국조정토록

국조정토록(國朝征討錄)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활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국조정토록 · 더보기 »

군위 대율리 석조여래입상

위 대율리 석조여래입상(軍威 大栗里 石造如來立像)은 경상북도 군위군 부계면, 대율사 용화전 안에 모셔진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군위 대율리 석조여래입상 · 더보기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및 비

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및 비(軍威 麟角寺 普覺國師塔 및 碑)는 경상북도 군위군 인각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탑 및 비석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및 비 · 더보기 »

군위 지보사 삼층석탑

위 지보사 삼층석탑(軍威 持寶寺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군위군 군위읍 지보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군위 지보사 삼층석탑 · 더보기 »

군산 발산리 오층석탑

산 발산리 오층석탑(群山 鉢山里 五層石塔)은 전라북도 군산시 발산초등학교에 있는, 고려시대의 오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군산 발산리 오층석탑 · 더보기 »

군산 발산리 석등

산 발산리 석등(群山 鉢山里 石燈)은 군산시 개정면, 발산초등학교에 있는 고려 시대 초기의 석등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군산 발산리 석등 · 더보기 »

두시언해

《두시언해》(杜詩諺解)는 시인 두보(杜甫)의 작품을 조선 시대 왕명에 의해 조위, 유윤겸, 의침 등이 번역한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두시언해 · 더보기 »

둔촌잡영

《둔촌잡영》(遁村雜詠)은 조선 태종 10년(1410년)에 고려말 학자 둔촌 이집의 문집을 목판본 2권 1책으로 간행한 것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둔촌잡영 · 더보기 »

남명천화상송증도가 (보물 제758-1호)

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歌)는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남명천화상송증도가 (보물 제758-1호) · 더보기 »

남명천화상송증도가 (보물 제758-2호)

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歌)는 경상남도 양산시, 공인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남명천화상송증도가 (보물 제758-2호) · 더보기 »

남구만 초상

만 초상(南九萬 肖像)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남구만 초상 · 더보기 »

남양전씨 종중 문서 일괄

양전씨 종중 문서 일괄(南陽田氏 宗中 文書 一括)은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우곤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문서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남양전씨 종중 문서 일괄 · 더보기 »

남양주 봉선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

양주 봉선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南楊州 奉先寺 毘盧遮那三身掛佛圖)는 경기도 남양주시, 봉선사에 있는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남양주 봉선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 · 더보기 »

남양주 흥국사 소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16나한상 일괄

양주 흥국사 소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16나한상 일괄(南楊州 興國寺 塑造釋迦如來三尊坐像 및 十六羅漢像一括)은 조선전기 불상의 양식계보를 계승하면서도, 아직 16세기 후반의 양식으로 이행되기 바로 전단계의 양식적 특징을 보여주는 작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남양주 흥국사 소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16나한상 일괄 · 더보기 »

남양주 수종사 부도 사리장엄구

양주 수종사 부도 사리장엄구(南陽州 水鐘寺 浮屠 舍利莊嚴具)는 경기도 남양주시 수종사에 있는 석조 부도의 껴묻거리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남양주 수종사 부도 사리장엄구 · 더보기 »

남양주 수종사 부도 사리장엄구-금제구층탑

양주 수종사 부도 사리장엄구-금제구층탑(南陽州 水鐘寺 浮屠 舍利莊嚴具-金製九層塔)은 대한민국의 보물 제259-2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남양주 수종사 부도 사리장엄구-금제구층탑 · 더보기 »

남양주 수종사 부도 사리장엄구-은제 도금 사리기

양주 수종사 부도 사리장엄구-은제 도금 사리기 (南陽州 水鐘寺 浮屠 舍利莊嚴具-銀製 鍍金 舍利器)는 대한민국의 보물 제259-3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남양주 수종사 부도 사리장엄구-은제 도금 사리기 · 더보기 »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

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南陽州 水鐘寺 八角五層石塔)은 경기도 남양주시 운길산 중턱에 위치한 수종사에 전해오는 조선시대의 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 · 더보기 »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 출토유물 일괄

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 출토유물 일괄(南楊州 水鍾寺 八角五層石塔 出土遺物 一括)은 경기도 남양주시 수종사 팔각오층석탑에서 출토된 유물들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 출토유물 일괄 · 더보기 »

남해 용문사 괘불탱

용문사 괘불탱(南海 龍門寺 掛佛幀)은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용문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남해 용문사 괘불탱 · 더보기 »

남해 용문사 대웅전

용문사 대웅전(南海 龍門寺 大雄殿)은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용문사에 있는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대웅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남해 용문사 대웅전 · 더보기 »

남원 만복사지 오층석탑

원 만복사지 오층석탑(南原 萬福寺址 五層石塔)은 전라북도 남원시 왕정동, 만복사지에 있는 오층석탑으로 고려 말과 조선 초의 과도기적인 양식을 보이는 탑파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남원 만복사지 오층석탑 · 더보기 »

남원 만복사지 석조대좌

원 만복사지 석조대좌(南原 萬福寺址 石造臺座)는 전라북도 남원시 만복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 대좌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남원 만복사지 석조대좌 · 더보기 »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

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南原 萬福寺址 石造如來立像)은 전라북도 남원시 왕정동 만복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조 여래 입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 · 더보기 »

남원 백장암 청동은입사향로

원 백장암 청동은입사향로(南原 百丈庵 靑銅銀入絲香爐)는 전라북도 남원시, 백장암에 있는 조선시대의 공예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남원 백장암 청동은입사향로 · 더보기 »

남원 개령암지 마애불상군

원 개령암지 마애불상군(南原 開嶺庵址 磨崖佛像群)은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개령암 터 뒤 절벽에 있는 고려 시대의 마애불상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남원 개령암지 마애불상군 · 더보기 »

남원 용담사지 석조여래입상

원 용담사지 석조여래입상(南原 龍潭寺址 石造如來立像)은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용담리에 있으며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높이 6미터에 이르는 석조여래입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남원 용담사지 석조여래입상 · 더보기 »

남원 선국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원 선국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南原 善國寺 乾漆阿彌陀如來坐像 및 腹藏遺物)은 전라북도 남원시 선국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과 그 안에 들어있던 유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남원 선국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 더보기 »

남원 선원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소조시왕상 일괄

원 선원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소조시왕상 일괄(南原 禪院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塑造十王像 一括)은 전라북도 남원시 도통동, 선원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남원 선원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소조시왕상 일괄 · 더보기 »

남원 선원사 철조여래좌상

원 선원사 철조여래좌상(南原 禪院寺 鐵造如來坐像)은 전라북도 남원시 선원사 있는, 고려시대의 철조 여래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남원 선원사 철조여래좌상 · 더보기 »

남원 실상사 백장암 석등

원 실상사 백장암 석등(南原 實相寺 百丈庵 石燈)은 전라북도 남원시 실상사 백장암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 시대의 석등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남원 실상사 백장암 석등 · 더보기 »

남원 실상사 승탑

원 실상사 승탑(南原 實相寺 僧塔)은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실상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남원 실상사 승탑 · 더보기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원 실상사 증각대사탑(南原 實相寺 證覺大師塔)은 남원시 실상사에 있는, 증각대사 홍척을 기려 만든 승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 더보기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南原 實相寺 證覺大師塔碑)는 전북 남원시 실상사에 있는, 증각대사 홍척을 기려 만든 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 더보기 »

남원 실상사 철조여래좌상

원 실상사 철조여래좌상(南原 實相寺 鐵造如來坐像)은 전라북도 남원시 실상사에 있는, 신라의 철조 여래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남원 실상사 철조여래좌상 · 더보기 »

남원양씨 종중 문서 일괄

원양씨 종중 문서 일괄(南原楊氏 宗中 文書 一括)은 남원 양씨 종중에 전해지는, 고려 시대의 문과 급제 합격증 문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남원양씨 종중 문서 일괄 · 더보기 »

나주 동점문 밖 석당간

주 동점문 밖 석당간(羅州 東漸門 밖 石幢竿)은 전남 나주시 성북동에 있는 고려 시대의 당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나주 동점문 밖 석당간 · 더보기 »

나주 불회사 건칠비로자나불좌상

주 불회사 건칠비로자나불좌상(羅州 佛會寺 乾漆 毘盧遮那佛坐像)은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 불회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나주 불회사 건칠비로자나불좌상 · 더보기 »

나주 다보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소조십육나한좌상

주 다보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소조십육나한좌상(羅州 多寶寺 木造釋迦如來三尊像 및 塑造十六羅漢坐像)은 전라북도 나주시, 다보사 영산전에 있는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나주 다보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소조십육나한좌상 · 더보기 »

나주 죽림사 세존괘불탱

주 죽림사 세존괘불탱(羅州 竹林寺 世尊掛佛幀)은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죽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괘불 탱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나주 죽림사 세존괘불탱 · 더보기 »

나주 철천리 마애칠불상

주 철천리 마애칠불상(羅州 鐵川里 磨崖七佛像)은 전라남도 나주시 봉황면 철천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마애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나주 철천리 마애칠불상 · 더보기 »

나주 철천리 석조여래입상

주 철천리 석조여래입상(羅州 鐵川里 石造如來立像)은 전라남도 나주시 봉황면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조 여래 입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나주 철천리 석조여래입상 · 더보기 »

나주 서성문 안 석등

주 서성문 안 석등(羅州 西城門 - 石燈)은 본래 전라남도 나주시 성북동의 나주읍성 내 서문 안에 있던 석등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나주 서성문 안 석등 · 더보기 »

나주 심향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주 심향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羅州 尋香寺 乾漆 阿彌陀如來坐像)은 전라남도 나주시 심향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나주 심향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 더보기 »

나주향교 대성전

주향교 대성전(羅州鄕校大成殿)은 나주향교의 대성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나주향교 대성전 · 더보기 »

낙산사

낙산사 (洛山寺)는 대한민국 강원도 양양군 오봉산에 있는 사찰로 조계종 제3교구 신흥사의 말사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낙산사 · 더보기 »

낙산사 동종

낙산사 동종(洛山寺 銅鐘)은 조선 예종이 1469년(예종 1년) 그의 아버지 세조를 위해 낙산사에 보시한 종이었.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낙산사 동종 · 더보기 »

낙산사 칠층석탑

낙산사 칠층석탑(洛産寺 七層石塔)은 강원도 낙산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낙산사 칠층석탑 · 더보기 »

농경문 청동기

농경문 청동기(農耕文 靑銅器)는 한 면에 밭을 일구는 남성과 새 잡는 여성, 다른 한 면에는 나뭇가지 위에 새가 앉아 있는 장면을 새긴, 청동 의기(儀器)로 추정되는 유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농경문 청동기 · 더보기 »

노자권재구의

자권재구의(老子鬳齋口義)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청주고인쇄박물관조선시대의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노자권재구의 · 더보기 »

노인 금계일기

인 금계일기(魯認 錦溪日記)는 경남 진주시  남강로 626-35, 국립진주박물관 (남성동,진주성)에 있는 조선시대의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노인 금계일기 · 더보기 »

노영 필 아미타여래구존도·고려 태조 담무갈보살 예배도

영 필 아미타여래구존도·고려 태조 담무갈보살 예배도(魯英 筆 阿彌陀如來九尊圖·高麗 太祖 曇無竭菩薩 禮拜圖)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노영 필 아미타여래구존도·고려 태조 담무갈보살 예배도 · 더보기 »

논산 돈암서원 응도당

산 돈암서원 응도당(論山 遯岩書院 凝道堂)은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논산 돈암서원 응도당 · 더보기 »

논산 개태사지

산 개태사지(論山 開泰寺址)는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천호리에 있는 사철 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논산 개태사지 · 더보기 »

논산 관촉사 석등

산 관촉사 석등(論山 灌燭寺 石燈)은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사에 있는 10세기 무렵 고려의 석등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논산 관촉사 석등 · 더보기 »

논산 노강서원 강당

산 노강서원 강당(論山 魯岡書院 講堂)은 충청남도 논산시 광석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논산 노강서원 강당 · 더보기 »

논산 쌍계사 대웅전

산 쌍계사 대웅전(論山 雙溪寺 大雄殿)는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 중산리에 있는 쌍계사의 대웅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논산 쌍계사 대웅전 · 더보기 »

논산 쌍계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

산 쌍계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論山 雙溪寺 塑造釋迦如來三佛坐像)은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 쌍계사에 있는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논산 쌍계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 · 더보기 »

단양 향산리 삼층석탑

양 향산리 삼층석탑(丹陽 香山里 三層石塔)은 충청북도 단양군 가곡면 향산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단양 향산리 삼층석탑 · 더보기 »

단양읍

양읍(丹陽邑)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단양군의 군청 소재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단양읍 · 더보기 »

달마대사관심론 목판

마대사관심론 목판(達磨大師觀心論 木板)은 충청남도 서산시, 개심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달마대사관심론 목판 · 더보기 »

달마대사혈맥론 목판

마대사혈맥론 목판(達磨大師血脈論 木板)은 충청남도 서산시, 개심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달마대사혈맥론 목판 · 더보기 »

달마산 (전라남도)

마산(達摩山)은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높이 489m의 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달마산 (전라남도) · 더보기 »

달성 도동서원 중정당·사당·담장

성 도동서원 중정당·사당·담장(達城 道東書院 中正堂·祠堂·담장)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서원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달성 도동서원 중정당·사당·담장 · 더보기 »

달성 용연사 금강계단

성 용연사 금강계단(達城 龍淵寺 金剛戒壇)은 대구 달성군 용연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계단(戒壇, 계를 수여하는 식장)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달성 용연사 금강계단 · 더보기 »

달성 태고정

성 태고정(達城 太古亭)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가옥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달성 태고정 · 더보기 »

달성 현풍 석빙고

성 현풍 석빙고(達城 玄風 石氷庫)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달성 현풍 석빙고 · 더보기 »

담양 객사리 석당간

양 객사리 석당간(潭陽 客舍里 石幢竿)은 전라남도 담양군 객사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조 당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담양 객사리 석당간 · 더보기 »

담양 개선사지 석등

양 개선사지 석등(潭陽 開仙寺址 石燈)은 전라남도 담양군 남면 개선사지에 있는 남북국시대 신라의 석등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담양 개선사지 석등 · 더보기 »

담양 남산리 오층석탑

양 남산리 오층석탑(潭陽 南山里 五層石塔)은 담양군 당양읍 남산리 342번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담양 남산리 오층석탑 · 더보기 »

담양 용흥사 동종

양 용흥사 동종(潭陽 龍興寺 銅鍾)은 전라남도 담양군 월산면 용흥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담양 용흥사 동종 · 더보기 »

당진 영탑사 금동비로자나불삼존좌상

당진 영탑사 금동비로자나불삼존좌상(唐津 靈塔寺 金銅毘盧遮那佛三尊坐像)은 충청남도 당진시 영탑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금동삼존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당진 영탑사 금동비로자나불삼존좌상 · 더보기 »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唐津 安國寺址 石造如來三尊立像)은 고려 후기의 석조 여래 삼존불 입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 · 더보기 »

당진 안국사지 석탑

당진 안국사지 석탑(唐津 安國寺址 石塔)은 충청남도 당진시 정미면 수당리, 안국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당진 안국사지 석탑 · 더보기 »

당진 신암사 금동여래좌상

당진 신암사 금동여래좌상(唐津 申庵寺 金銅如來坐像)은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신암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당진 신암사 금동여래좌상 · 더보기 »

당진동

당진1동(唐津1洞), 당진2동(唐津2洞), 당진3동(唐津3洞)은 당진시의 행정동으로, 역천의 지류 우안에 위치하고 있. 당진평야의 농산물을 집산하며 무명, 명주 등을 거래하고 있. 부근에는 영랑사(보물 제409호)와 안국사지에 있는 석불입상(보물 제100호), 석탑(보물 제101호) 등의 고적이 있. 시 승격과 동시에 11개 법정리는 모두 법정동으로 전환되었으며, 행정동으로 당진1동 · 당진2동 · 당진3동이 신설되었.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당진동 · 더보기 »

용문사 (예천군)

용문사(龍門寺)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내지리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용문사 (예천군) · 더보기 »

용문사 (양평군)

용문사(龍門寺)는 경기도 양평군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용문사 (양평군) · 더보기 »

용감수경

용감수경(龍龕手鏡) 거란 성종(聖宗) 15년(997)에 거란의 승려 행균(行均)이 편찬한 한자 자전(字典)이며, 용감(龍龕)이란 말은 불전(佛典)을 의미.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용감수경 · 더보기 »

용비어천가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는 조선 세종 때 권제와 정인지, 안지 등이 세종의 명을 받아 지은 악장·서사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용비어천가 · 더보기 »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龍仁 瑞鳳寺址 玄悟國師塔碑)는 고려의 승려인 현오국사(玄悟國師)의 행적을 기록한 탑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 더보기 »

용암동

용암동(龍岩洞)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중남부에 있는 동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용암동 · 더보기 »

우주두율

우주두율(虞註杜律)은 인천광역시 연수구 옥련동, 가천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우주두율 · 더보기 »

울주 망해사지 승탑

울주 망해사지 승탑(蔚州 望海寺址 僧塔)은 울산 울주군 청량읍 망해사지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승탑 2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울주 망해사지 승탑 · 더보기 »

울주 간월사지 석조여래좌상

울주 간월사지 석조여래좌상(蔚州 澗月寺址 石造如來坐像)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에 있는 신라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울주 간월사지 석조여래좌상 · 더보기 »

울주 청송사지 삼층석탑

울주 청송사지 삼층석탑(蔚州 靑松寺址 三層石塔)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송사지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울주 청송사지 삼층석탑 · 더보기 »

울주 석남사 승탑

울주 석남사 승탑(蔚州 石南寺 僧塔)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석남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승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울주 석남사 승탑 · 더보기 »

울진 불영사 응진전

울진 불영사 응진전(蔚珍 佛影寺 應眞殿)은 경상북도 울진군 불영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교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울진 불영사 응진전 · 더보기 »

울산 태화사지 십이지상 사리탑

울산 태화사지 십이지상 사리탑(蔚山 太和寺址 十二支像 舍利塔)은 울산광역시 태화사지에 세워졌던, 신라의 사리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울산 태화사지 십이지상 사리탑 · 더보기 »

울산왜성

울산왜성(蔚山倭城)은 울산광역시 중구 학성동에 남아있는 일본식 성곽(왜성)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울산왜성 · 더보기 »

요계관방지도

요계관방지도(遼薊關防地圖)는 서울특별시 관악구,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있는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병풍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요계관방지도 · 더보기 »

자경전

경복궁 자경전(景福宮慈慶殿)은 조선 후기 흥선 대원군이 경복궁 재건사업을 하던 고종 4년(1867년) 대왕대비 조씨를 위하여 경복궁에 지은 전각으로, 화재로 불탄 것을 고종 25년(1888년)에 다시 지었.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자경전 · 더보기 »

자경전 십장생 굴뚝

경복궁 자경전 십장생 굴뚝(景福宮慈慶殿十長生-)은 경복궁 자경전 뒤꼍 담의 중앙부에 위치한 조선 시대 굴뚝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자경전 십장생 굴뚝 · 더보기 »

자비도량참법집해

자비도량참법집해(慈悲道場懺法集解)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청주고인쇄박물관에 있는 목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자비도량참법집해 · 더보기 »

자치통감 권226~229

자치통감 권226~229(資治通鑑 卷二百二十六~二百二十九)은 울산광역시 남구 신정동, 울산박물관에 있는 자치통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자치통감 권226~229 · 더보기 »

자수 초충도 병풍

자수 초충도 병풍(刺繡 草蟲圖 屛風)은 부산광역시 서구 동아대학교 박물관에 있는 병풍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자수 초충도 병풍 · 더보기 »

자수가사

자수가사(刺繡袈裟)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한국자수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가사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자수가사 · 더보기 »

장말손 종가 고문서

장말손 종가 고문서(張末孫 宗家 古文書)는 경상북도 영주시 장수면 화기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기록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장말손 종가 고문서 · 더보기 »

장말손 초상

장말손 초상(張末孫 肖像)은 경상북도 영주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장말손 초상 · 더보기 »

장계 홍패 및 장말손 백패·홍패

장계 홍패 및 장말손 백패·홍패(張桂 紅牌 및 張末孫 白牌ㆍ紅牌)는 인동 장씨의 조상인 장계(張桂)와 그의 후손인 장말손(張末孫)에게 과거에 급제한 것을 알리는 합격증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장계 홍패 및 장말손 백패·홍패 · 더보기 »

장관 개국원종공신녹권

장관 개국원종공신녹권(張寬 開國原從功臣錄券)은 전라북도 정읍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문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장관 개국원종공신녹권 · 더보기 »

장승법수 (보물 제703-1호)

장승법수(藏乘法數)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장승법수 (보물 제703-1호) · 더보기 »

장승법수 (보물 제703-2호)

장승법수(藏乘法數)는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장승법수 (보물 제703-2호) · 더보기 »

장승법수 (보물 제704호)

장승법수(藏乘法數)는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장승법수 (보물 제704호) · 더보기 »

장흥 보림사 동 승탑

장흥 보림사 동 승탑(長興 寶林寺 東 僧塔)은 전라남도 장흥군 보림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승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장흥 보림사 동 승탑 · 더보기 »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長興 寶林寺 木造四天王像)은 전라남도 장흥군 보림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사천왕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 더보기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은 전라남도 장흥군 보림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승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 더보기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碑)는 전라남도 장흥군 보림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비석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 더보기 »

장흥 보림사 서 승탑

장흥 보림사 서 승탑(長興 寶林寺 西 僧塔)은 전라남도 장흥군 보림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탑 2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장흥 보림사 서 승탑 · 더보기 »

장성 백양사 소요대사탑

장성 백양사 소요대사탑(長城 白羊寺 逍遙大師塔)은 전라남도 장성군 백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부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장성 백양사 소요대사탑 · 더보기 »

장안사 (기장군)

장안사(長安寺)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로 482에 있는 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장안사 (기장군) · 더보기 »

재조본 유가사지론 권20

재조본 유가사지론 권20(再雕本 瑜伽師地論 巻二十)은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재조본 유가사지론 권20 · 더보기 »

재조본 사분율 권47~50

재조본 사분율 권47~50(再雕本 四分律 卷四十七~五十)은 부산광역시 서구 동아대학교박물관에 있는, 보 제32호인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을 조선 초기에 인출한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재조본 사분율 권47~50 · 더보기 »

임신서기석

임신서기석(壬申誓記石)은 1934년 경상북도 경주시 현곡면 금장리의 언덕에서 발견된 자연석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임신서기석 · 더보기 »

임실 진구사지 석등

임실 진구사지 석등(任實 珍丘寺址 石燈)은 전라북도 임실군 신평면 용암리 진구사 터에 있는 석등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임실 진구사지 석등 · 더보기 »

포항 보경사 적광전

항 보경사 적광전(浦項 寶鏡寺 寂光殿)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보광사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포항 보경사 적광전 · 더보기 »

포항 중성리 신라비

항 중성리 신라비(浦項 中城里 新羅碑)는 경상북도 경주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서 소장하고 있는 신라시대에 만들어진 비석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포항 중성리 신라비 · 더보기 »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복장유물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복장유물(平昌 上院寺 木造文殊童子坐像 腹藏遺物)은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 상원사에 있는 목조문수동자상(국보 제221호)에서 1984년 7월 불상의 유래를 밝힐 수 있는 2개의 발원문(發願文)과 조선 전기의 복식, 전적류 등 23점의 복장유물이 발견된 유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복장유물 · 더보기 »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平昌 上院寺 木造文殊菩薩坐像 및 腹藏遺物)은 강원도 평창군, 상원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조 보살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 더보기 »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복장전적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복장전적(平昌 上院寺 木造文殊菩薩坐像 腹藏典籍)은 '백지묵서금강반야바라밀경(白紙墨書金剛般若波羅蜜經)'과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권6' 이. 2014년 1월 20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812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복장전적 · 더보기 »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平昌 上院寺 重創勸善文)은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상원사에 있는 기록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 더보기 »

평창군

평창군(平昌郡)은 대한민국 강원도 중남부의 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평창군 · 더보기 »

흥천사명 동종

흥천사명 동종(興天寺銘 銅鍾)은 서울특별시 중구 덕수궁에 있는 조선시대의 범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흥천사명 동종 · 더보기 »

희경루방회도

희경루방회도(喜慶樓榜會圖)는 서울특별시 중구 동국대학교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계회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희경루방회도 · 더보기 »

이덕성 초상 및 관련자료 일괄

이덕성 초상 및 관련자료 일괄(李德成 肖像 및 關聯資料 一括)은 부산광역시 남구, 부산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덕성 초상 및 관련자료 일괄 · 더보기 »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李景奭 几杖 및 賜几杖 宴會圖 畵帖)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경기도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유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 · 더보기 »

이광사 초상

이광사 초상(李匡師 肖像)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광사 초상 · 더보기 »

이광악 선무공신교서

이광악 선무공신교서(李光岳 宣武功臣敎書)는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국왕문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광악 선무공신교서 · 더보기 »

이기룡필 남지기로회도

이기룡필 남지기로회도(李起龍筆南池耆老會圖)는 조선 중기 도화서 화원이었던 이기룡이 인조 7년의 기로회 모임을 기념해 그린 계회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기룡필 남지기로회도 · 더보기 »

이이 남매 화회문기

이이 남매 화회문기(李珥 男妹 和會文記)는 조선 명종 때의 화회문기로, 대한민국 보물 제477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이 남매 화회문기 · 더보기 »

이제 개국공신교서

이제 개국공신교서(李濟 開國功臣敎書)는 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 진주성에 있는 조선시대의 국왕문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제 개국공신교서 · 더보기 »

이종주 고신왕지 및 이임 무과홍패

이종주 고신왕지 및 이임 무과홍패(李從周 告身王旨 및 李臨 武科紅牌)은 울산광역시 남구, 울산박물관에 있는 이종주 종손가에 소장되어 있는 2점의 왕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종주 고신왕지 및 이임 무과홍패 · 더보기 »

이중로 정사공신교서 및 초상 - 이중로 정사공신교서

이중로 정사공신교서 및 초상 - 이중로 정사공신교서(李重老 靖社功臣敎書 및 肖像-李重老 靖社功臣敎書)은 경기도 용인시, 경기도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국왕문서 및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중로 정사공신교서 및 초상 - 이중로 정사공신교서 · 더보기 »

이중로 정사공신교서 및 초상 - 이중로 초상

이중로 정사공신교서 및 초상 - 이중로 초상(李重老靖社功臣敎書 및 肖像 - 李重老肖像)은 경기도 용인시, 경기도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중로 정사공신교서 및 초상 - 이중로 초상 · 더보기 »

이천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

이천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利川 長岩里 磨崖菩薩半跏像)은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장암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천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 · 더보기 »

이천 영월암 마애여래입상

이천 영월암 마애여래입상(利川 映月庵 磨崖如來立像)은 경기도 이천시 관고동 영월암에 있는, 고려시대의 마애 여래 입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천 영월암 마애여래입상 · 더보기 »

이상룡 (1858년)

이상룡(李相龍, 1858년 12월 28일 ~ 1932년 6월 15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며 본관은 고성(固城)이고 1925년 9월 24일부터 1926년 1월까지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역임하였.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상룡 (1858년) · 더보기 »

이상길 초상

이상길 초상(李尙吉 肖像)은 조선 인조 때의 문신인 충숙공 이상길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상길 초상 · 더보기 »

이색 초상

이색초상(李穡肖像)은 고려말 삼은 가운데 1인이었던 목은 이색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색 초상 · 더보기 »

이색초상-목은영당본

이색초상-목은영당본(李穡肖像-牧隱影堂本)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조선시대 목은 이색(1328∼1396) 선생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색초상-목은영당본 · 더보기 »

이색초상-영모영당본

이색초상-영모영당본(李穡肖像-永慕影堂本)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국립부여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 목은 이색(1328∼1396) 선생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색초상-영모영당본 · 더보기 »

이순신 유물 일괄

이순신 유물 일괄(李舜臣 遺物 一括)은 충청남도 아산시, 현충사에 보관하고 있는 충무공 이순신의 유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순신 유물 일괄 · 더보기 »

이순신 선무공신교서

이순신 선무공신교서(李舜臣 宣武功臣敎書)는 충청남도 아산시, 현충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국왕문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순신 선무공신교서 · 더보기 »

이순신처 방씨 고신교지

이순신처 방씨 고신교지(李舜臣妻 方氏 告身敎旨)는 1598년(조선 선조 31년) 노량해전에서 전사한 이순신에게 우의정이 증직된 후 그 처인 상주 방씨를 정경부인으로 봉하면서 내린 교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순신처 방씨 고신교지 · 더보기 »

이현보 종가 문적

이현보 종가 문적(李賢輔 宗家 文籍)은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기록유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현보 종가 문적 · 더보기 »

이현보 초상

이현보 초상(李尙吉 肖像)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시조 작가인 이현보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현보 초상 · 더보기 »

이형 좌명원종공신녹권 및 함

이형 좌명원종공신녹권 및 함(李衡佐命原從功臣錄券附函)은 조선 태종 때의 공신녹권과 그것을 담은 함으로, 대한민국 보물 제1657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형 좌명원종공신녹권 및 함 · 더보기 »

이성윤 초상

이성윤 초상(李誠胤 肖像)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성윤 초상 · 더보기 »

이성윤 위성공신교서 및 관련유물

이성윤 위성공신교서 및 관련유물(李誠胤 衛聖功臣敎書 및 關聯遺物)은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문서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성윤 위성공신교서 및 관련유물 · 더보기 »

이하응 초상 일괄

이하응 초상 일괄(李昰應 肖像 一括)은 운현궁에 전해오던 것으로 이하응이 회갑을 맞이한 해에 이한철과 이창옥이 그리고 한홍적이 꾸며 만든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하응 초상 일괄 · 더보기 »

이십공신회맹축 - 보사공신녹훈후

이십공신회맹축 - 보사공신녹훈후(二十功臣會盟軸 - 保社功臣錄勳後)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기록유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십공신회맹축 - 보사공신녹훈후 · 더보기 »

이십공신회맹축 - 영국공신녹훈후

이십공신회맹축 - 영국공신녹훈후(二十功臣會盟軸 - 寧國功臣錄勳後)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있는 기록유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십공신회맹축 - 영국공신녹훈후 · 더보기 »

이원익 초상

이원익 초상(李元翼 肖像)은 경기도 광명시, 충현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 오리 이원익(1547∼1634)이 1604년 호성공신(扈聖功臣) 2등에 녹훈(錄勳)된 것을 기념해 제작된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원익 초상 · 더보기 »

이황필적 - 퇴도선생필법 및 퇴도선생유첩

이황필적 - 퇴도선생필법 및 퇴도선생유첩(李滉筆蹟 - 退陶先生筆法 및 退陶先生遺帖)은 경상북도 안동시 한국국학진흥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서간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황필적 - 퇴도선생필법 및 퇴도선생유첩 · 더보기 »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은 1935년에 개관한 이화여자대학교의 대학 박물관으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대현동에 위치하고 있. 전시관은 상설전시관, 기획전시관, 기증전시관, 담인복식미술관으로 구성되었.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 더보기 »

인목왕후 어필 칠언시

인목왕후 어필 칠언시(仁穆王后御筆 七言詩)는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사에 있는, 조선시대 인목왕후(仁穆王后, 1584~1632)가 큰 글자로 쓴 칠언절구의 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인목왕후 어필 칠언시 · 더보기 »

인제 봉정암 오층석탑

인제 봉정암 오층석탑(麟蹄 鳳頂庵 五層石塔)은 강원도 인제군 봉정암에 있는 고려시대의 오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인제 봉정암 오층석탑 · 더보기 »

인제 한계사지 북 삼층석탑

인제 한계사지 북 삼층석탑(麟蹄 寒溪寺址 北 三層石塔)은 강원도 인제군 한계사 터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인제 한계사지 북 삼층석탑 · 더보기 »

인정문

창덕궁 인정문(昌德宮仁政門)은 창덕궁 정전인 인정전에 이르는 출입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인정문 · 더보기 »

인조 별서 유기비

인조 별서 유기비(仁祖 別墅 遺基碑)는 조선왕조 제16대 임금 인조가 반정으로 왕위에 오르기 전에 머물렀던 별서를 기념하고자 숙종 21년(1695) 7월에 세운 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인조 별서 유기비 · 더보기 »

인천안목

《인천안목》(人天眼目)은 남송 때 선종의 청안조사 지소가 선문오가의 각종 조사들의 유고, 잔게, 칭제, 수시 등과 5종의 강요를 수집하고 그 특징을 밝힌 불분권 3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인천안목 · 더보기 »

인천안목 목판

인천안목 목판(人天眼目 木板)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인천안목 목판 · 더보기 »

일월반도도 병풍

일월반도도 병풍(日月蟠桃圖 屛風)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산수화 병풍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일월반도도 병풍 · 더보기 »

의령 보리사지 금동여래입상

의령 보리사지 금동여래입상(宜寧 菩提寺址 金銅如來立像)은 의령군 보리사지에서 출토된, 금동으로 만든 여래 입상(立像)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의령 보리사지 금동여래입상 · 더보기 »

의령 보천사지 승탑

의령 보천사지 승탑(宜寧 寶泉寺址 僧塔)은 경상남도 의령군 보천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의령 보천사지 승탑 · 더보기 »

의령 보천사지 삼층석탑

의령 보천사지 삼층석탑(宜寧 寶泉寺址 三層石塔)은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하리 보천사지에 있는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의령 보천사지 삼층석탑 · 더보기 »

의겸등필 수월관음도

의겸등필 수월관음도(義謙等筆 水月觀音圖)는 다양한 모습으로 중생 앞에 나타나 중생의 고통을 없애주고, 안락의 세계로 이끌어 주는 자비를 상징하는 관음보살을 묘사한 그림 가운데 하나로, 조선 영조 6년(1730년)에 제작된 것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의겸등필 수월관음도 · 더보기 »

의성 만취당

의성 만취당(義城 晩翠堂)은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에 있는, 퇴계 이황의 제자 김사원(金士元, 1539~1602)이 학문을 닦고 후진을 양성하기 위해 세운 건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의성 만취당 · 더보기 »

의성 고운사 석조여래좌상

의성 고운사 석조여래좌상(義城 孤雲寺 石造如來坐像)은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석조 여래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의성 고운사 석조여래좌상 · 더보기 »

의성 관덕동 석사자

의성 관덕동 석사자(義城 觀德洞 石獅子)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국립대구박물관에 있는 통일신라의 조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의성 관덕동 석사자 · 더보기 »

의성 관덕리 삼층석탑

의성 관덕리 삼층석탑(義城 觀德里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의성 관덕리 삼층석탑 · 더보기 »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義城 氷山寺址 五層石塔)은 경상북도 의성군, 빙산사지에 있는 오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 · 더보기 »

의성 대곡사 대웅전

의성 대곡사 대웅전(義城 大谷寺 大雄殿)은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대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대웅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의성 대곡사 대웅전 · 더보기 »

의왕 청계사 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 의왕청계사동종(思印比丘 製作 銅鍾 - 儀旺淸溪寺銅鍾)은 경기도 의왕시, 청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의왕 청계사 동종 · 더보기 »

익재난고 권6~7

익재난고 권6~7(益齋亂藁 卷六~七)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에 있는, 고려시대 말기의 대표적인 문신이며 학자인 익재 이제현(益齋 李齊賢, 1287 ~ 1367)의 시문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익재난고 권6~7 · 더보기 »

익산 미륵사지 당간지주

익산 미륵사지 당간지주(益山 彌勒寺址 幢竿支柱)는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미륵사 절터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화강석 당간지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익산 미륵사지 당간지주 · 더보기 »

익산 관음사 목조보살입상

익산 관음사 목조보살입상(益山 觀音寺 木造菩薩立像)은 전라북도 익산시 관음사에 있는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익산 관음사 목조보살입상 · 더보기 »

익산 숭림사 보광전

익산 숭림사 보광전(益山 崇林寺 普光殿)은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숭림사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익산 숭림사 보광전 · 더보기 »

익산 연동리 석조여래좌상

익산 연동리 석조여래좌상(益山 蓮洞里 石造如來坐像)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익산시 삼기면 연동리에 있는 백제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익산 연동리 석조여래좌상 · 더보기 »

익산 심곡사 칠층석탑 출토 금동불감 및 금동아미타여래칠존좌상

익산 심곡사 칠층석탑 출토 금동불감 및 금동아미타여래칠존좌상(益山 深谷寺 七層石塔 出土 金銅佛龕 및 金銅阿彌陀如來七尊坐像)은 2012년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심곡사에 있는 칠층석탑을 해체ㆍ수리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것이다. 2015년 12월 31일 예고를 거쳐문화재청공고제2015-411호,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예고》, 대한민국 관보 제18670호(그2), 391면, 2015-12-31, 2016년 2월 2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890호로 지정되었다문화재청공고제2016-9호,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대한민국 관보 제18703호, 58면, 2016-2-22.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익산 심곡사 칠층석탑 출토 금동불감 및 금동아미타여래칠존좌상 · 더보기 »

응제시주

《응제시주》(應製詩註)는 조선 전기에 권람(權擥)이 조부 권근(權近)의 응제시(應製詩)에 주석(註釋)을 붙인 책으로 권람은 응제시 24수와 어제시 3수에 대하여 1460년부터 주석을 붙이기 시작하여 1461년 가을에 탈고를 하고 1462년(세조 8년)에 《응제시주》를 간행하였.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응제시주 · 더보기 »

은렬사

은렬사(殷烈祠)는 은렬공 강민첨을 배향한 사당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은렬사 · 더보기 »

은입사귀면문철퇴

은입사귀면문철퇴(銀入絲鬼面文鐵鎚)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철퇴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은입사귀면문철퇴 · 더보기 »

은제도금화형탁잔

은제도금화형탁잔(銀製鍍金花形托盞)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는 고려시대의 탁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은제도금화형탁잔 · 더보기 »

은해사

은해사(銀海寺)는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치일리에 위치한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은해사 · 더보기 »

제주 불탑사 오층석탑

제주 불탑사 오층석탑(濟州 佛塔寺 五層石塔)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양일동, 불탑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오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제주 불탑사 오층석탑 · 더보기 »

제주향교

제주향교(濟州鄕校)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용담1동에 있는 향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제주향교 · 더보기 »

제주향교 대성전

제주향교 대성전(濟州鄕校 大成殿)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용담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제주향교 대성전 · 더보기 »

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

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堤川 德周寺 磨崖如來立像) 은 제천시 한수면 월악산 꼭대기 아래에 있는 높이 13m의 고려 시대 마애불로 대한민국의 보물 제406호.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 · 더보기 »

제천 장락동 칠층모전석탑

제천 장락동 칠층모전석탑(堤川 長樂洞 七層謀塼石塔)은 충청북도 제천시 장락동에 있는 신라시대의 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제천 장락동 칠층모전석탑 · 더보기 »

제천 청풍 한벽루

제천 청풍 한벽루(堤川 淸風 寒碧樓)는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제천 청풍 한벽루 · 더보기 »

제천 사자빈신사지 사사자 구층석탑

제천 사자빈신사지 사사자 구층석탑(堤川 獅子頻迅寺址 四獅子 九層石塔)은 충청북도 제천시 사자빈신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제천 사자빈신사지 사사자 구층석탑 · 더보기 »

제왕운기

《제왕운기》(帝王韻紀)는 고려 시대의 학자 이승휴(李承休)가 충렬왕 13년(1287년) 한국과 중국의 역사를 시로 쓴 역사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제왕운기 · 더보기 »

전 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

(전)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傳)光州 聖居寺址 五層石塔)는 광주광역시 남구에 위치한 성거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오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전 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 · 더보기 »

전 구미 강락사지 삼층석탑

전 구미 강락사지 삼층석탑(傳 龜尾 江洛寺址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구미시 강락사지에 있던 것으로 전하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전 구미 강락사지 삼층석탑 · 더보기 »

전 낙수정 동종

전 낙수정 동종(傳 樂壽亭 銅鍾)은 전라북도 전주시, 국립전주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전 낙수정 동종 · 더보기 »

전 회양 장연리 금동관음보살좌상

전 회양 장연리 금동관음보살좌상(傳 淮陽 長淵里 金銅觀音菩薩坐像)은 강원도 춘천시 국립춘천박물관에 있는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전 회양 장연리 금동관음보살좌상 · 더보기 »

전 윤효전 초상

전 윤효전 초상(傳 尹孝全 肖像)은 대구광역시 중구에 있는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전 윤효전 초상 · 더보기 »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傳)原州 興法寺址 廉居和尙塔)은 신라 말의 고승 염거화상의 사리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 더보기 »

전등사

전등사(傳燈寺)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의 정족산에 위치한 사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전등사 · 더보기 »

전주 경기전 정전

전주 경기전 정전(全州 慶基殿 正殿)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풍남동, 전주 한옥마을 부근에 있는 조선 시대의 묘사(廟祠)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전주 경기전 정전 · 더보기 »

전주 풍패지관

전주 풍패지관(全州 豊沛之館)은 전라북도 전주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전주 풍패지관 · 더보기 »

전주이씨 고림군파 종중 문서 일괄

전주이씨 고림군파 종중 문서 일괄(全州李氏 高林君派 宗中 文書 一括)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국립전주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문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전주이씨 고림군파 종중 문서 일괄 · 더보기 »

전주시

전주시(全州市)는 대한민국 전라북도의 중앙부에 위치한 시이자 전라북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전주시 · 더보기 »

정명경집해관중소 권3~4

정명경집해관중소 권3~4(淨名經集解關中疏 卷三~四)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정명경집해관중소 권3~4 · 더보기 »

정읍 보화리 석조이불입상

정읍 보화리 석조이불입상(井邑普化里石造二佛立像)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정읍시 소성면 보화리에 있는 2기의 백제 석불입상으로, 보물 제914호로 지정되어 있. 오른쪽 어깨에 법의를 걸치지 않고 맨살을 내놓은 우견편단(右肩偏袒)의 모습인데 신라 통일 이전에는 금동불이나 마애불에는 이 같은 수법의 사용이 있었으나 화강암의 완전한 입상석불에 사용된 것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정읍 보화리 석조이불입상 · 더보기 »

정읍 은선리 삼층석탑

정읍 은선리 삼층석탑(井邑 隱仙里 三層石塔)은 정읍시 영원면 은선리에 있는 고려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정읍 은선리 삼층석탑 · 더보기 »

정읍 천곡사지 칠층석탑

정읍 천곡사지 칠층석탑(井邑 泉谷寺址 七層石塔)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정읍시 망제동 천곡사 터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정읍 천곡사지 칠층석탑 · 더보기 »

정읍 피향정

정읍 피향정(井邑 披香亭)은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 태창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누정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정읍 피향정 · 더보기 »

정조 어찰첩

정조 어찰첩(正祖 御札牒)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기록유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정조 어찰첩 · 더보기 »

정조필 국화도

정조필 국화도(正祖筆 菊花圖)는 서울특별시 중구, 동국대학교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 정조(재위 1776∼1800)가 그린 국화그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정조필 국화도 · 더보기 »

정조필 파초도

정조필 파초도(正祖筆 芭蕉圖)는 동국대학교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그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정조필 파초도 · 더보기 »

정종 적개공신 교서 및 관련 고문서

정종 적개공신 교서 및 관련 고문서(鄭種 敵愾功臣 敎書 및 關聯 古文書)는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기록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정종 적개공신 교서 및 관련 고문서 · 더보기 »

정탁 문적 - 약포유고 및 고문서

정탁 문적 - 약포유고 및 고문서(鄭琢 文籍 - 藥圃遺稿 및 古文書)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약포 정탁(1526∼1605) 선생의 유고와 문서들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정탁 문적 - 약포유고 및 고문서 · 더보기 »

정탁 초상

정탁 초상(鄭琢 肖像)은 경상북도 안동시 퇴계로 19, 한국국학진흥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정탁 초상 · 더보기 »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旌善 淨岩寺 水瑪瑙塔)은 강원도 정선군 고한읍에 있는 고려시대의 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 · 더보기 »

정선 필 육상묘도

정선 필 육상묘도(鄭敾 筆 毓祥廟圖)는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의 거장 겸재 정선이 서울 궁정동에 있는 육상묘와 배경을 이루고 있는 백악산을 그린 것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정선 필 육상묘도 · 더보기 »

정선 필 해악전신첩

정선 필 해악전신첩(鄭敾 筆 海嶽傳神帖)은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산수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정선 필 해악전신첩 · 더보기 »

정선군

정선군(旌善郡)은 대한민국 강원도 동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정선군 · 더보기 »

정선필 풍악도첩

정선필 풍악도첩(鄭敾筆 楓嶽圖帖)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산수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정선필 풍악도첩 · 더보기 »

정선필 해악팔경 및 송유팔현도 화첩

정선필 해악팔경 및 송유팔현도 화첩(鄭敾筆 海嶽八景 및 宋儒八賢圖 畵帖)은 조선시대 후기의 대표적 화가인 겸재 정선의 작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정선필 해악팔경 및 송유팔현도 화첩 · 더보기 »

조흡 고신왕지 (육군사관학교)

조흡 고신왕지(曺恰 告身王旨)는 조선 태종 때의 왕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조흡 고신왕지 (육군사관학교) · 더보기 »

조흡 사패왕지

조흡 사패왕지(曺恰 賜牌王旨)는 조선 태종 때의 왕지로, 대한민국의 보물 제899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조흡 사패왕지 · 더보기 »

조정 임진란기록 일괄

조정 임진란기록 일괄(趙靖 壬辰亂記錄 一括)은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면, 상주박물관에 있는 조선 선조∼인조 때의 학자이며 관료인 조정(1555∼1636)이 임진왜란 당시에 보고 듣고 겪은 일들을 손수 적은 일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조정 임진란기록 일괄 · 더보기 »

조정 종가 문적 (보물 1004-1호)

조정 종가 문적(趙靖 宗家 文籍)은 경상북도 상주시, 상주박물관에 있는, 조선 선조에서부터 인조 때까지의 문신이었던 조정(1555∼1636)의 종손가에 소장된 고문서와 책들로 총 10종 62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조정 종가 문적 (보물 1004-1호) · 더보기 »

조정 종가 문적 (보물 1004-2호)

조정 종가 문적(趙靖 宗家 文籍)은 경상북도 상주시, 상주박물관에 있는, 조선 선조 ∼ 인조 때의 학자이며 문신이었던 검간 조정(1555 ∼1636)의 종손가에 소장된 고문서와 전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조정 종가 문적 (보물 1004-2호) · 더보기 »

조영복 초상

조영복 초상(趙榮福 肖像)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경기도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조영복 초상 · 더보기 »

조헌 관련 유품

조헌 관련 유품(趙憲 關聯 遺品)은 충청남도 금산군, 칠백의총에 있는 조선시대 조헌(1544∼1592)이 남긴 유물로 총 6종 7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조헌 관련 유품 · 더보기 »

조선 태조 어진

조선태조어진(朝鮮太祖御眞)은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초상화로 대한민국의 국보 제317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조선 태조 어진 · 더보기 »

조선경국전 (보물 제1924호)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은 경기도 수원시 수원화성박물관에 있는 법전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조선경국전 (보물 제1924호) · 더보기 »

조선본 천하여지도

조선본 천하여지도(朝鮮本 天下輿地圖)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지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조선본 천하여지도 · 더보기 »

조선팔도고금총람도

조선팔도고금총람도(朝鮮八道古今總攬圖)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본 지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조선팔도고금총람도 · 더보기 »

조선후기 문인 초상

조선후기 문인 초상(朝鮮後期 文人 肖像)은 부산광역시 남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조선후기 문인 초상 · 더보기 »

조선왕릉

조선왕릉(朝鮮王陵)은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 추존왕들의 무덤을 총칭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1897년에 수립된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와 황후의 무. 조선왕릉은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의 왕릉 제도의 영향을 받았는데, 고구려의 호석(護石)제도는 신라와 고려를 거쳐 조선왕릉에 그대로 전해졌고, 조선왕릉의 전체적인 형태는 공민왕의 무덤인 현정릉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조선왕릉 · 더보기 »

조선왕조의궤

《원행을묘정리의궤》의 처용무 그림 의궤(儀軌)는 조선 왕실에서 국가의 주요 행사가 있을 때 훗날 참고하기 위해 남기는 기록문서를 가리.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조선왕조의궤 · 더보기 »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4호)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4호)는 경상남도 사천시 사천읍에 있는 조선시대의 의궤 3건 3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4호) · 더보기 »

종묘

종묘(宗廟)는 조선 왕조의 역대 국왕들과 왕후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례를 봉행하는 유교 사당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종묘 · 더보기 »

종경촬요 목판

종경촬요 목판(宗鏡撮要 木板)은 전라남도 순천시.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종경촬요 목판 · 더보기 »

주범망경

《주범망경(注梵網經)》은 송나라 승려 혜인(惠因)이 《범망경》에 주석을 추가한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주범망경 · 더보기 »

주역참동계 (보물 제1900호)

주역참동계(周易參同契)는 서울특별시 강서구 가양동, 겸재정선미술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금속활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주역참동계 (보물 제1900호) · 더보기 »

주역천견록

주역천견록(周易淺見錄)은 조선 세종 연간(1418년 ∼ 1450년)에 양촌 권근이 저술한 주역의 해설서이며, 3권 3책의 목판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주역천견록 · 더보기 »

주세붕 초상

주세붕 초상(周世鵬 肖像)은 조선의 문신이며 학자였던 주세붕의 상반신을 그린 초상화.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주세붕 초상 · 더보기 »

중수정화경사증류비용본초 권17

중수정화경사증류비용본초 권17(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 卷十七)은 인천광역시 연수구 가천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의학서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중수정화경사증류비용본초 권17 · 더보기 »

중화전 및 중화문

덕수궁의 중화전 및 중화문(德壽宮의中和殿및中和門)은 각각 덕수궁의 정전(正殿)과 정전으로 드나드는 정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중화전 및 중화문 · 더보기 »

중완구

중완구(中碗口)는 보물 제858호로, 진주시 남성동 171-1 국립진주박물관에 있. 전장은 64.5cm, 통장은 20.5cm, 약실장은 44cm이며 구경은 23.5cm, 외경은 27.1cm(청동)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중완구 · 더보기 »

직지사

직지사 입구 직지사(直指寺)는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황악산(黃嶽山)에 위치한 사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직지사 · 더보기 »

직지심체요절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은 백운화상 경한(景閑)이 1372년에 초록한 불교 서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직지심체요절 · 더보기 »

진도 금골산 오층석탑

산 오층석탑(珍島 金骨山 五層石塔)은 전라남도 진도군, 금성초등학교 내에 있는 고려 시대의 오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진도 금골산 오층석탑 · 더보기 »

진일유고

일유고(眞逸遺稿)는 조선 초 좌정언(左正言)을 역임한 진일재(眞逸齋) 성간(成侃: 1427-1456)의 시문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진일유고 · 더보기 »

진주 묘엄사지 삼층석탑

주 묘엄사지 삼층석탑(晉州 妙嚴寺址 三層石塔)은 경상남도 진주시 수곡면 묘엄사지에 남아있는 고려시대의 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진주 묘엄사지 삼층석탑 · 더보기 »

진주 용암사지 승탑

주 용암사지 승탑(晉州 龍巖寺址 僧塔)은 경남 진주시 이반성면 용암사지에 있는 고려 시대의 승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진주 용암사지 승탑 · 더보기 »

진주 응석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주 응석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晉州 凝石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은 경상남도 진주시, 응석사에 있는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진주 응석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 더보기 »

진주 청곡사 목조제석천·대범천의상

주 청곡사 목조 제석천·대범천의상(晋州靑谷寺木造帝釋天·大梵天倚像)은 경상남도 진주시 금산면, 청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진주 청곡사 목조제석천·대범천의상 · 더보기 »

진주 청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주 청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晉州靑谷寺木造地藏菩薩三尊像및 十王像一括)은 경상남도 진주시, 청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진주 청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 더보기 »

진주 청곡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주 청곡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晉州 靑谷寺 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은 경상남도 진주시, 청곡사에 있는 목조 석가여래 삼존불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진주 청곡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 더보기 »

진주 월명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주 월명암 목조아미타여재좌상(晉州 月明庵 木造阿彌陀如來坐像)은 경상남도 진주시 월명사에 있는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진주 월명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 · 더보기 »

진천 영수사 영산회괘불탱

영수사 영산회괘불탱(鎭川 靈水寺 靈山會掛佛幀)은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영수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괘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진천 영수사 영산회괘불탱 · 더보기 »

진천 연곡리 석비

연곡리 석비(鎭川 蓮谷里 石碑)는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연곡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비석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진천 연곡리 석비 · 더보기 »

진충귀

충귀 (陳忠貴, ? ~ 1412년)는 조선 초기의 문신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진충귀 · 더보기 »

진충귀 개국원종공신녹권

〈진충귀개국원종공신녹권〉(陳忠貴開國原從功臣錄券)은 조선 태조 때 진충귀에게 내린 공신녹권으로, 대한민국의 보물 제1160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진충귀 개국원종공신녹권 · 더보기 »

진충귀 고신왕지

충귀 고신왕지(陳忠貴告身王旨)는 조선 시대의 왕지로, 대한민국 보물 제1161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진충귀 고신왕지 · 더보기 »

진산세고

산세고(晉山世稿)는 조선 초기의 문신인 사숙재 강희맹이 조부 통정 강회백, 부 완역재 강석덕, 인재 강희안이 지은 행장과 시문을 1권으로 하고, 강희안의 양화소록 1권을 합하여 4권 1책으로 엮어 성종 7년에 목판본으로 간행된 것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진산세고 · 더보기 »

진안 금당사 괘불탱

안 금당사 괘불탱(鎭安 金塘寺 掛佛幀)은 전라북도 진안군, 금당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진안 금당사 괘불탱 · 더보기 »

진실주집 (보물 제1014호)

실주집(眞實珠集)은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구인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진실주집 (보물 제1014호) · 더보기 »

진실주집 (보물 제1775호)

실주집(眞實珠集)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에 있는 목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진실주집 (보물 제1775호) · 더보기 »

진실주집 (보물 제921-3호)

실주집(眞實珠集)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양덕사에 있는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진실주집 (보물 제921-3호) · 더보기 »

진실주집 (보물 제921호)

실주집(眞實珠集)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있는 목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진실주집 (보물 제921호) · 더보기 »

지자총통

자총통(地字銃筒)이란 조선시대 대형 총통 중에서 두 번째로 큰 총통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지자총통 · 더보기 »

지장도

장도(地藏圖)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고려시대의 유물 보살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지장도 · 더보기 »

지장보살본원경 (보물 제1011호)

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아단문고에 있는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지장보살본원경 (보물 제1011호) · 더보기 »

지장보살본원경 (보물 제1104호)

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호림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지장보살본원경 (보물 제1104호) · 더보기 »

지장보살본원경 (보물 제1567호)

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지장보살본원경 (보물 제1567호) · 더보기 »

지장보살본원경 (보물 제933호)

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지장보살본원경 (보물 제933호) · 더보기 »

지장보살본원경 (보물 제966호)

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구인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지장보살본원경 (보물 제966호) · 더보기 »

창덕궁

창덕궁(昌德宮)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있는 조선 시대 궁궐로 동쪽으로 창경궁과 맞닿아 있. 경복궁의 동쪽에 있어서 조선 시대에는 창경궁과 더불어 동궐(東闕)이라 불. 창덕궁은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중요한 고궁이며, 특히 창덕궁 후원은 한국의 유일한 궁궐후원이라는 점과 한국의 정원을 대표한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글로벌 세계대백과》〈창덕궁〉 1997년에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창덕궁 · 더보기 »

창덕궁 금천교

창덕궁 금천교(昌德宮 錦川橋)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창덕궁(사적 제122호)에 있는 조선시대의 교량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창덕궁 금천교 · 더보기 »

창덕궁 측우대

창덕궁 측우대(昌德宮測雨臺)는 본래 창덕궁 금문원(檎文院)에 설치되었던 측우대로, 직경 16.2cm, 길이 4.3cm의 구멍이 파여 그 안에 측우기를 앉혀 놓게 되어 있는 대(臺)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창덕궁 측우대 · 더보기 »

창덕궁 선원전

창덕궁 선원전(昌德宮 璿源殿)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덕궁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창덕궁 선원전 · 더보기 »

창경궁

창경궁(昌慶宮)은 서울시에 있는 조선 성종 때에 건축한 궁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창경궁 · 더보기 »

창경궁 관천대

창경궁 관천대(昌慶宮 觀天臺)는 창경궁에 있는 관천대로, 천체의 위치를 관측하는 천문기구인 소간의(小簡儀)를 놓았던 돌로 만든 대(臺)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창경궁 관천대 · 더보기 »

창경궁 옥천교

창경궁 옥천교(昌慶宮 玉川橋)는 창경궁의 정문인 홍화문(弘化門) 앞을 흐르는 금천(禁川)인 옥류천을 가로 질러 놓여 있는 다리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창경궁 옥천교 · 더보기 »

창녕 관룡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대좌

창녕 관룡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대좌(昌寧 觀龍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 및 臺座)는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관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 및 그 대좌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창녕 관룡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대좌 · 더보기 »

창녕 관룡사 대웅전

창녕 관룡사 대웅전(昌寧 觀龍寺 大雄殿)은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관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창녕 관룡사 대웅전 · 더보기 »

창녕 관룡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

창녕 관룡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昌寧 觀龍寺 大雄殿 觀音菩薩 壁畵)는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관룡사 대웅전에 있는 18세기 초에 만들어진 벽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창녕 관룡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 · 더보기 »

창녕 관룡사 용선대 석조여래좌상

창녕 관룡사 용선대 석조여래좌상(昌寧 觀龍寺 龍船臺 石造如來坐像)은 경상남도 창녕군 관룡사 근처 용선대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석조 여래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창녕 관룡사 용선대 석조여래좌상 · 더보기 »

창녕 관룡사 석조여래좌상

창녕 관룡사 석조여래좌상(昌寧 觀龍寺 石造如來坐像)는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관룡사 약사전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창녕 관룡사 석조여래좌상 · 더보기 »

창녕 인양사 조성비

창녕 인양사 조성비(昌寧 仁陽寺 造成碑)는 경상남도 창녕군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비석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창녕 인양사 조성비 · 더보기 »

창녕 술정리 서 삼층석탑

창녕 술정리 서 삼층석탑(昌寧 述亭里 西 三層石塔)은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술정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창녕 술정리 서 삼층석탑 · 더보기 »

창녕 영산 만년교

창녕 영산 만년교(昌寧 靈山 萬年橋)는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에 있는, 조선 시대의 아치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창녕 영산 만년교 · 더보기 »

창녕 영산 석빙고

창녕 영산 석빙고(昌寧 靈山 石氷庫)는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창녕 영산 석빙고 · 더보기 »

창녕 석빙고

창녕 석빙고(昌寧 石氷庫)는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에 있는 석빙고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창녕 석빙고 · 더보기 »

창녕 송현동 마애여래좌상

창녕 송현동 마애여래좌상(昌寧 松峴洞 磨崖如來坐像)은 경상남도 창녕군 송현동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마애 여래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창녕 송현동 마애여래좌상 · 더보기 »

창의문

창의문(彰義門)은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4소문(小門) 중의 하나로 서북쪽에 있는 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창의문 · 더보기 »

창원 성주사 감로왕도

창원 성주사 감로왕도(昌原 聖住寺 甘露王圖)는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성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창원 성주사 감로왕도 · 더보기 »

채제공 초상 일괄-시복본

제공 초상 일괄-시복본(蔡濟恭 肖像 一括-時服本)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창룡대로 21-0 (매향동) 수원화성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채제공 초상 일괄-시복본 · 더보기 »

철종어진

종어진(哲宗御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철종어진 · 더보기 »

철원 도피안사 삼층석탑

원 도피안사 삼층석탑(鐵原 到彼岸寺 三層石塔)은 강원도 철원군, 도피안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철원 도피안사 삼층석탑 · 더보기 »

청량답순종심요법문 목판

청량답순종심요법문 목판(淸凉答順宗心要法門 木板)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량답순종심요법문 목판 · 더보기 »

청량산 괘불탱

청량산 괘불탱(淸凉山 掛佛幀)은 석가모니불이 독존의 형태로 그려진 괘불로 조선영조 원년에 조성된 것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량산 괘불탱 · 더보기 »

청도 박곡리 석조여래좌상

청도 박곡리 석조여래좌상(淸道 珀谷里 石造如來坐像)은 경상북도 청도군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석조 여래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도 박곡리 석조여래좌상 · 더보기 »

청도 대비사 대웅전

청도 대비사 대웅전(淸道 大悲寺 大雄殿)은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대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대웅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도 대비사 대웅전 · 더보기 »

청도 대비사 영산회상도

청도 대비사 영산회상도(淸道 大悲寺 靈山會上圖)은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대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영산회상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도 대비사 영산회상도 · 더보기 »

청도 대적사 극락전

청도 대적사 극락전(淸道 大寂寺 極樂殿)은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도 대적사 극락전 · 더보기 »

청도 용천사 영산회상도

청도 용천사 영산회상도(淸道 湧泉寺 靈山會上圖)은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용천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영산회상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도 용천사 영산회상도 · 더보기 »

청도 운문사 동호

청도 운문사 동호(淸道 雲門寺 銅壺)는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항아리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도 운문사 동호 · 더보기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淸道 雲門寺 金堂 앞 石燈)은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석등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 · 더보기 »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淸道 雲門寺 大雄寶殿)은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대웅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 더보기 »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관음보살 달마대사 벽화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관음보살 달마대사 벽화(淸道 雲門寺 大雄寶殿 觀音菩薩 達摩大師 壁畵)는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 대웅보전에 있는 18세기 초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관음보살 달마대사 벽화 · 더보기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淸道 雲門寺 圓鷹國師碑)는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 더보기 »

청도 장연사지 동·서 삼층석탑

청도 장연사지 동·서 삼층석탑(淸道 長淵寺址 東·西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청도군 장연사지에 있는, 신라의 삼층석탑 두 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도 장연사지 동·서 삼층석탑 · 더보기 »

청도 석빙고

청도 석빙고(淸道 石氷庫)는 경상북도 청도군에 있는 조선시대의 석빙고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도 석빙고 · 더보기 »

청동은입사포류수금문향완

청동은입사포류수금문향완(靑銅銀入絲蒲柳水禽文香垸)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고려시대의 향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동은입사포류수금문향완 · 더보기 »

청룡사 (안성시)

청룡사(靑龍寺)는 경기도 안성시에 위치한 사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룡사 (안성시) · 더보기 »

청구도

〈청구도〉(靑邱圖)는 1834년(순조 34년) 김정호(金正浩)가 만든 한국 지도로, 〈청구선표도〉(靑邱線表圖)라고도 부른.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구도 · 더보기 »

청자 구룡형 주전자 (보물)

청자 구룡형 주전자(靑磁 龜龍形 注子)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청자 주전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구룡형 주전자 (보물) · 더보기 »

청자 음각모란 상감보자기문 유개매병

청자 음각모란 상감보자기문 유개매병(靑磁 陰刻牡丹 象嵌襆紗文 有蓋梅甁)은 음각으로 모란을 새기고, 상감 기법으로 보자기 무늬를 새겨 넣은, 고려청자 뚜껑 있는 매병매병이란 병의 아가리가 좁고 몸의 어깨는 넓으며 아래로 갈수록 홀쭉해지는 병을 말.이.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342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음각모란 상감보자기문 유개매병 · 더보기 »

청자 음각국화당초문 완

청자 음각국화당초문 완(靑磁 陰刻菊花唐草文 盌)은 음각으로 국화와 덩굴무늬를 새겨넣은, 고려청자 완(접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음각국화당초문 완 · 더보기 »

청자 음각용문 주전자

청자 음각용문 주전자(靑磁 陰刻龍文 注子)는 음각으로 용 무늬를 새겨넣은, 고려청자 주전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음각용문 주전자 · 더보기 »

청자 음각운문 병

청자 음각 운문 병(靑磁 陰刻雲文 甁)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고려시대의 청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음각운문 병 · 더보기 »

청자 음각연화문 팔각장경병

청자 음각연화문 팔각장경병(靑磁 陰刻蓮花文 八角長頸甁)은 연꽃 무늬를 음각으로 넣은 고려청자 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음각연화문 팔각장경병 · 더보기 »

청자 음각연화당초 상감국화문 완

청자 음각연화당초 상감국화문 완(靑磁 陰刻蓮花唐草 象嵌菊花文 碗)은 음각으로 연꽃과 덩굴무늬를, 상감기법으로 국화 무늬를 새겨넣은, 고려청자 완(대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음각연화당초 상감국화문 완 · 더보기 »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항아리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항아리(靑磁 陰刻蓮花唐草文 壺)는 음각으로 연꽃과 덩굴무늬를 새겨넣은, 고려청자 항아리)이다.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으며, 1990년 5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028호로 지정되었다.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항아리 · 더보기 »

청자 죽순모양 주전자

청자 죽순모양 주전자(靑磁 竹筍形 注子)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청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죽순모양 주전자 · 더보기 »

청자 철채양각연판문 병

청자 철채양각연판문 병(靑磁 鐵彩陽刻蓮瓣文 甁)은 철채철이 함유된 안료를 칠하는 기법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철채양각연판문 병 · 더보기 »

청자 철화초충조문 매병

청자 철화초충조문 매병(靑磁 鐵畵草蟲鳥文 梅甁)은 철화 기법산화철이 함유된 흙을 개서 안료로 삼아 그림을 그려 넣는 기법으로 새와 풀벌레를 그려 넣은, 고려청자 매병매병이란 병의 아가리가 좁고 몸의 어깨는 넓으며 아래로 갈수록 홀쭉해지는 병을 말.이. 서울특별시 삼성미술관 Leeum에 있으며, 2003년 12월 30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383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철화초충조문 매병 · 더보기 »

청자 유개항아리

청자 유개 항아리(靑磁 有蓋壺)는 조선의 청자 뚜껑 덮인 항아리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유개항아리 · 더보기 »

청자 상감‘덕천’명 연화양류문 매병

청자 상감‘덕천’명 연화양류문 매병(靑磁 象嵌'德泉'銘 蓮花楊柳文 梅甁)은 ‘덕천’(德泉)이라는 글자와, 상감 기법으로 연꽃과 버드나무 무늬를 새겨 넣은, 고려청자 매병매병이란 병의 아가리가 좁고 몸의 어깨는 넓으며 아래로 갈수록 홀쭉해지는 병을 말.이. 서울특별시 호림박물관에 있으며, 2006년 1월 17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452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상감‘덕천’명 연화양류문 매병 · 더보기 »

청자 상감‘상약국’명 음각운룡문 합

청자 상감‘상약국’명 음각운룡문 합(靑磁 象嵌‘尙藥局’銘 陰刻雲龍文 盒)은 상감 기법으로 ‘상약국’이라는 글자와, 음각으로 구름 위를 노니는 용 무늬를 새겨 넣은, 고려청자 합(盒)합(盒)이란 음식을 담는 그릇의 하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상감‘상약국’명 음각운룡문 합 · 더보기 »

청자 상감‘신축’명 국화모란문 벼루

청자 상감‘신축’명 국화모란문 벼루(靑磁 象嵌‘辛丑’銘 菊花牡丹文 硯)는 상감 기법으로 ‘신축’이라는 글자와 국화·모란 무늬를 새겨 넣은, 고려청자 벼루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상감‘신축’명 국화모란문 벼루 · 더보기 »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 (보물 제1168호)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靑磁 象嵌梅鳥竹文 梅甁)은 상감기법으로 매화와 대나무, 학 무늬를 새겨 넣은, 고려청자 매병(梅甁)매병은 아가리가 좁고 어깨가 넓으며 밑은 홀쭉하게 빠진 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 (보물 제1168호) · 더보기 »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 (보물 제903호)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靑磁 象嵌梅鳥竹文 梅甁)은 매화와 대나무, 학 무늬를 상감기법으로 새겨 넣은 고려청자 매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 (보물 제903호) · 더보기 »

청자 상감모란문 발우 및 접시

청자 상감모란문 발우 및 접시(靑磁 象嵌牡丹文 鉢盂 및 楪匙)는 상감 기법으로 모란 무늬를 새겨 넣은, 고려청자 발우 3점과 접시 1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상감모란문 발우 및 접시 · 더보기 »

청자 상감모란문 주전자

청자 상감모란문 주전자(靑磁 象嵌牡丹文 注子)는 상감 기법으로 모란꽃 무늬를 새겨넣은, 고려청자 주전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상감모란문 주전자 · 더보기 »

청자 상감모란양류문 주전자 및 승반

청자 상감모란양류문 주전자 및 승반(靑磁 象嵌牡丹楊柳文 注子 및 承盤)은 상감 기법으로 모란꽃과 버드나무 무늬를 새겨 넣은, 고려청자 주전자와 받침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상감모란양류문 주전자 및 승반 · 더보기 »

청자 상감국화모란당초문 모자합

청자 상감국화모란당초문 모자합(靑磁象嵌母子盒)은 국화와 모란, 덩굴 무늬를 상감기법으로 새겨 넣은, 고려청자 모자합(母子盒)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상감국화모란당초문 모자합 · 더보기 »

청자 상감국화모란유로죽문 매병 및 죽찰

청자 상감국화모란유로죽문 매병 및 죽찰(靑磁 象嵌菊花牡丹柳蘆竹文 梅甁 및 竹札)은 상감 기법으로 여러 가지 무늬를 새겨 넣은 고려청자 매병(梅甁)매병(梅甁)이란 병의 아가리가 좁고 몸의 어깨는 넓으며 아래로 갈수록 홀쭉해지는 병을 말. 과 죽찰죽찰이란 대나무를 세로로 쪼갠 조각에 글자를 적은 것을 일컫.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상감국화모란유로죽문 매병 및 죽찰 · 더보기 »

청자 상감운학모란국화문 매병

청자 상감 운학모란국화문 매병(靑磁 象嵌雲鶴牡丹菊花文 梅甁)은 상감 기법으로 구름 사이를 노니는 학과 모란, 국화 무늬를 새겨 넣은, 고려청자 매병매병이란 병의 아가리가 좁고 몸의 어깨는 넓으며 아래로 갈수록 홀쭉해지는 병을 말.이.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으며, 1971년 12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558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상감운학모란국화문 매병 · 더보기 »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보물)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靑磁 象嵌雲鶴文 梅甁)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청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보물) · 더보기 »

청자 상감운학국화문 병형 주전자

청자 상감운학국화문 병형 주전자(靑磁 象嵌雲鶴菊花文 甁形 注子)는 상감기법으로 구름 사이를 노니는 학과 국화 무늬를 새긴, 고려청자 병 모양 주전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상감운학국화문 병형 주전자 · 더보기 »

청자 상감오리모양 주전자

청자 상감오리모양 주전자(靑磁 象嵌鴨形 注子)는 깃털을 상감 기법으로 장식한, 고려청자 오리 모양 주전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상감오리모양 주전자 · 더보기 »

청자 상감어룡문 매병

청자 상감어룡문 매병(靑磁 象嵌魚龍文 梅甁)은 상감 기법으로 물고기와 용 무늬를 새겨 넣은, 조선 시대의 청자 매병매병이란 병의 아가리가 좁고 몸의 어깨는 넓으며 아래로 갈수록 홀쭉해지는 병을 말.이. 서울특별시 삼성미술관 Leeum에 있으며, 2003년 12월 30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386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상감어룡문 매병 · 더보기 »

청자 상감연판문 매병

청자 상감 연판문 매병(靑磁 象嵌蓮瓣紋 梅甁)은 각진 입 부분과 짧은 목, 어깨로부터 팽창되었다 서서히 좁아져 다시 벌어져 세워진 큰 키의 홀쭉한 매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상감연판문 매병 · 더보기 »

청자 상감앵무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청자 상감앵무문 표주박모양 주전자(靑磁 象嵌鸚鵡文 瓢形 注子)는 상감 기법으로 앵무새 무늬를 새겨 넣은, 표주박 모양의 고려청자 주전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상감앵무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 더보기 »

청자 투각고리문 의자

청자 투각고리문 의자(靑磁 透刻連環文 墩) 또는 청자 투각돈(靑瓷透刻墩)은 투각 기법으로 고리 무늬를 넣은 고려청자 의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투각고리문 의자 · 더보기 »

청자 투각연당초문 붓꽂이

청자 투각연당초문 붓꽂이(靑磁 透刻蓮唐草文 筆架)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청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투각연당초문 붓꽂이 · 더보기 »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靑磁 淳化四年銘 壺)는 ‘순화 4년’이 새겨진 고려 청자 항아리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 · 더보기 »

청자 양각갈대기러기문 정병

청자 양각갈대기러기문 정병(靑磁 陽刻葦蘆文 淨甁)은 양각으로 갈대와 기러기를 새긴, 청자 정병정병(淨甁)은 부처 앞에 깨끗한 물을 담아 바치는 물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양각갈대기러기문 정병 · 더보기 »

청자 양각운룡문 매병

청자 양각운룡문 매병(靑磁 陽刻雲龍文 梅甁)은 구름 위를 노니는 용 무늬를 돋을새김한, 고려청자 매병매병(梅甁)이란 병의 아가리가 좁고 몸의 어깨는 넓으며 아래로 갈수록 홀쭉해지는 병을 말.이.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으며, 2003년 12월 30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385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양각운룡문 매병 · 더보기 »

청자 양각연판문 접시

청자 양각연판문 접시(靑磁 陽刻蓮瓣文 楪匙)는 연꽃잎 무늬를 돋을새김한, 고려청자 접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양각연판문 접시 · 더보기 »

청자 양각연화당초 상감운학문 완

청자 양각연화당초 상감운학문 완(靑磁 陰刻蓮花唐草 象嵌雲鶴文 碗)은 연꽃과 덩굴무늬를 양각으로, 구름 위를 노니는 학 무늬를 상감 기법으로 새겨 넣은 고려청자 대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양각연화당초 상감운학문 완 · 더보기 »

청자 표주박모양 주전자

청자 표주박모양 주전자(靑磁 瓢形 注子)는 표주박 모양의 고려청자 주전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표주박모양 주전자 · 더보기 »

청자 퇴화문 두꺼비모양 벼루

청자 퇴화문 두꺼비모양 벼루(靑磁 堆花文 蟾形 硯)는 전라남도 목포시,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 있는 고려시대의 청자 벼루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퇴화문 두꺼비모양 벼루 · 더보기 »

청자 퇴화초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및 승반

청자 퇴화초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및 승반(靑磁 堆花草花文 瓢形 注子 및 承盤)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청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퇴화초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및 승반 · 더보기 »

청자 퇴화화문 주전자 및 승반

청자 퇴화화문 주전자 및 승반(靑磁 堆花花文 注子 및 承盤)은 퇴화 기법으로 꽃무늬를 새겨 넣은, 고려청자 주전자와 그 받침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자 퇴화화문 주전자 및 승반 · 더보기 »

청주 명암동 출토 ‘단산오옥’명 고려 먹

청주 명암동 출토 ‘단산오옥’명 고려 먹(淸州 明岩洞 出土 ‘丹山烏玉’銘 高麗 墨)은 충청북도 청주시 국립청주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 목관묘에서 출토된 현존(現存)하는 가장 오래된 고려 먹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주 명암동 출토 ‘단산오옥’명 고려 먹 · 더보기 »

청주 계산리 오층석탑

청주 계산리 오층석탑(淸州 桂山里 五層石塔)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에 있는 고려시대의 오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주 계산리 오층석탑 · 더보기 »

청주 비중리 석조여래삼존상 및 석조여래입상

청주 비중리 석조여래삼존상 및 석조여래입상(淸州飛中里石造如來三尊像 및 石造如來立像)은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지중리에 있는 삼국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주 비중리 석조여래삼존상 및 석조여래입상 · 더보기 »

청주 용화사 석조불상군

청주 용화사 석조불상군(淸州 龍華寺 石造佛像群)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사직동, 용화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주 용화사 석조불상군 · 더보기 »

청주 영조 태실

청주 영조 태실(淸州 英祖 胎室)은 조선 영조의 태실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주 영조 태실 · 더보기 »

청주 안심사 대웅전

청주 안심사 대웅전(淸州 安心寺 大雄殿)은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안심사의 주존불을 모신 법당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주 안심사 대웅전 · 더보기 »

청양 운장암 금동보살좌상

청양 운장암 금동보살좌상(靑陽 雲藏庵 金銅菩薩坐像)은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장곡리, 장곡사 하대웅전에 있는 고려시대의 보살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양 운장암 금동보살좌상 · 더보기 »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靑陽 長谷寺 金銅藥師如來坐像)은 충청남도 청양군 장곡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금동 약사여래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 더보기 »

청양 장곡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및 석조대좌

청양 장곡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및 석조대좌(靑陽 長谷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 및 石造臺座)는 충청남도 청양군 장곡사에 있는, 철로 만든 비로자나불 좌상과 돌로 만든 불상 받침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양 장곡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및 석조대좌 · 더보기 »

청양 장곡사 상 대웅전

청양 장곡사 상 대웅전(靑陽 長谷寺 上 大雄殿)은 충청남도 청양군 장곡사에 있는 불교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양 장곡사 상 대웅전 · 더보기 »

청양 장곡사 하 대웅전

청양 장곡사 하 대웅전(靑陽 長谷寺 下 大雄殿)은 충청남도 청양군 장곡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불교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양 장곡사 하 대웅전 · 더보기 »

청양 읍내리 석조여래삼존입상

청양 읍내리 석조여래삼존입상(靑陽 邑內里 石造如來三尊立像)은 충청남도 청양군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양 읍내리 석조여래삼존입상 · 더보기 »

청양 서정리 구층석탑

청양 서정리 구층석탑(靑陽 西亭里 九層石塔)은 충청남도 청양군 정산면 서정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양 서정리 구층석탑 · 더보기 »

청양읍

청양읍(靑陽邑)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청양군의 군청소재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양읍 · 더보기 »

청풍 문화재 단지

병헌(왼)과 응청각(오른) 한벽루 청풍 문화재 단지(淸風文化財團地)는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 에 위치한 관광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풍 문화재 단지 · 더보기 »

청송 보광사 극락전

청송 보광사 극락전(靑松 普光寺 極樂殿)은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보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송 보광사 극락전 · 더보기 »

청송 대전사 보광전

청송 대전사 보광전(靑松 大典寺 普光殿)은 경상북도 청송군, 대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송 대전사 보광전 · 더보기 »

청암사

청암사(靑巖寺)는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 평촌리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청암사 · 더보기 »

체징

징(體澄, 804년~880년 5월 25일(음력 4월 13일))은 신라 후기의 선승(禪僧)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체징 · 더보기 »

천마총 금제 관식 (보물 제617호)

마총 금제 관식(天馬塚 金製冠飾)은 경상북도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에 있는 신라의 장신구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천마총 금제 관식 (보물 제617호) · 더보기 »

천마총 금제 관식 (보물 제618호)

마총 금제 관식(天馬塚 金製冠飾)은 경상북도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에 있는 신라의 장신구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천마총 금제 관식 (보물 제618호) · 더보기 »

천자총통

자총통(天字銃筒)은 조선시대 대형 총통 중에서 가장 큰 총통으로 천ㆍ지ㆍ현ㆍ황 중 가장 대형 화포였.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천자총통 · 더보기 »

천은사 (구례군)

은사(泉隱寺)는 지리산 서남쪽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천은사 (구례군) · 더보기 »

천지명양수륙잡문 목판

명양수륙잡문 목판(天地冥陽水陸雜文 木板)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천지명양수륙잡문 목판 · 더보기 »

천안 광덕사 감역교지

안 광덕사 감역교지(天安廣德寺減役敎旨)는 조선 세조가 1457년에 충청남도 천안에 있는 광덕사와 개천사에 내린 교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천안 광덕사 감역교지 · 더보기 »

천안 광덕사 고려사경

《천안 광덕사 고려사경》(天安 廣德寺 高麗寫經)은 충청남도 천안시 광덕사에 전해지는, 《묘법연화경》을 베껴 쓴 사경(寫經) 6첩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천안 광덕사 고려사경 · 더보기 »

천안 광덕사 조선사경

안 광덕사 조선사경(天安 廣德寺 朝鮮寫經)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천안 광덕사 조선사경 · 더보기 »

천안 삼태리 마애여래입상

안 삼태리 마애여래입상(天安 三台里 磨崖如來立像)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삼태리에 위치해 있는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천안 삼태리 마애여래입상 · 더보기 »

초조본 법원주림 권82

조본 법원주림 권82(初雕本 法苑珠林 卷八十二)는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호림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초조본 법원주림 권82 · 더보기 »

초조본 불정최승다라니경

조본 불정최승다라니경(初雕本 佛頂㝡勝陁羅尼經)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호림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초조본 불정최승다라니경 · 더보기 »

초조본 불설문수사리일백팔명범찬

조본 불설문수사리일백팔명범찬(初雕本 佛說文殊師利一百八名梵讚)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호림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초조본 불설문수사리일백팔명범찬 · 더보기 »

초조본 불설가섭부불반열반경

조본 불설가섭부불반열반경(初雕本 佛說迦葉赴佛般涅槃經)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불교중앙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초조본 불설가섭부불반열반경 · 더보기 »

초조본 불설우바새오계상경

조본 불설우바새오계상경(初雕本 佛說優婆塞五戒相經)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호림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초조본 불설우바새오계상경 · 더보기 »

초조본 불설일체여래금강삼업최상비밀대교왕경 권4

조본 불설일체여래금강삼업최상비밀대교왕경 권4(初雕本 佛說一切如來金剛三業最上秘密大敎王經 卷四)는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호림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초조본 불설일체여래금강삼업최상비밀대교왕경 권4 · 더보기 »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0

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0(初雕本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三十)은 강원도 원주시 주)한솔제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다. 1994년 1월 5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191호로 지정되었다.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0 · 더보기 »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41

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41(初雕本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41)은 경상북도 경산시, 영남대학교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41 · 더보기 »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7, 77

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7, 77(初雕本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六十七, 七十七)은 인천광역시 연수구 가천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7, 77 · 더보기 »

초조본 잡아비담심론 권9

조본 잡아비담심론 권9(初雕本 雜我毘曇心論 卷九)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대학교중앙도서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초조본 잡아비담심론 권9 · 더보기 »

초조본 집대승상론 권하

조본 집대승상론 권하(初雕本 集大乘相論 卷下)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계명대학교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초조본 집대승상론 권하 · 더보기 »

초조본 수용삼수요행법

조본 수용삼수요행법(初雕本 受用三水要行法)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대학교중앙도서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초조본 수용삼수요행법 · 더보기 »

초조본 사두간진일태자이십팔수경

조본 사두간진일태자이십팔수경(初雕本 舍頭諫晉日太子二十八宿經)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초조본 사두간진일태자이십팔수경 · 더보기 »

초조본 성지세다라니경

조본 성지세다라니경(初雕本 聖持世陀羅尼經)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경기도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초조본 성지세다라니경 · 더보기 »

초조본 아비달마대비바사론 권38

조본 아비달마대비바사론 권38(初雕本阿毗達磨大毗婆娑論卷三十八)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계명대학교에 있는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초조본 아비달마대비바사론 권38 · 더보기 »

초조본 아비달마식신족론 권13

조본 아비달마식신족론 권13(初雕本 阿毗達磨識身足論 卷十三)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호림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초조본 아비달마식신족론 권13 · 더보기 »

초조본 아비담비파사론 권16

조본 아비담비파사론 권16(初雕本 阿毗曇毗婆沙論 卷十六)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호림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초조본 아비담비파사론 권16 · 더보기 »

초조본 아비담팔건도론 권24

조본 아비담팔건도론 권24(初雕本 阿毗曇八揵度論 卷二十四)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호림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초조본 아비담팔건도론 권24 · 더보기 »

초조본 십주비바사론 권17

조본 십주비바사론 권17(初雕本 十住毗婆沙論 卷十七)은 인천광역시 연수구 가천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초조본 십주비바사론 권17 · 더보기 »

충명국사

충명국사 각응(冲明國師 覺膺, 생몰년 미상)은 고려의 왕자이자 승려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충명국사 · 더보기 »

충담

충담 (忠湛, 869년 ~ 940년) 은 신라 말 고려 초의 승려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충담 · 더보기 »

충주 미륵리 오층석탑

충주 미륵리 오층석탑(忠州 彌勒里 五層石塔)은 충청북도 충주시, 미륵대원지에 있는 고려 시대의 오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충주 미륵리 오층석탑 · 더보기 »

충주 미륵리 석조여래입상

충주 미륵리 석조여래입상(忠州 彌勒里 石造如來立像)은 충청북도 충주시 미륵대원지에 있는 고려 시대에 돌로 만든 여래 입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충주 미륵리 석조여래입상 · 더보기 »

충주 백운암 철조여래좌상

충주 백운암 철조여래좌상(忠州 白雲庵 鐵造如來坐像)은 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 괴동리, 백운암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충주 백운암 철조여래좌상 · 더보기 »

충주 봉황리 마애불상군

충주 봉황리 마애불상군(忠州 鳳凰里 磨崖佛像群)은 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봉황리에 있는, 삼국 시대와 남북국 시대의 마애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충주 봉황리 마애불상군 · 더보기 »

충주 대원사 철조여래좌상

 충주 대원사 철조여래좌상(忠州 大圓寺 鐵造如來坐像)은 충청북도 충주시 대원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철조 여래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충주 대원사 철조여래좌상 · 더보기 »

충주 단호사 철조여래좌상

충주 단호사 철조여래좌상(忠州 丹湖寺 鐵造如來坐像)은 충청북도 충주시, 단호사 대웅전에 모셔져 있는 철불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충주 단호사 철조여래좌상 · 더보기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忠州 淨土寺址 法鏡大師塔碑)는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정토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더보기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忠州 淨土寺址 弘法國師塔碑)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비석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더보기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앞 사자 석등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앞 사자 석등(忠州 靑龍寺址 普覺國師塔 앞 獅子 石燈)은 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청룡사지에 있는, 조선시대의 석등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앞 사자 석등 · 더보기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忠州 靑龍寺址 普覺國師塔碑)는 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청룡사지에 있는, 조선시대의 석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 더보기 »

춘천 근화동 당간지주

화동 당간지주(春川 槿花洞 幢竿支柱)는 강원도 춘천시에 있는, 고려시대의 당간지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춘천 근화동 당간지주 · 더보기 »

춘천 청평사 회전문

청평사 회전문(春川 淸平寺 回轉門)은 강원도 춘천시 청평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춘천 청평사 회전문 · 더보기 »

춘천 칠층석탑

층석탑(春川 七層石塔)은 강원도 춘천시 소양로 2가에 있는, 고려시대의 칠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춘천 칠층석탑 · 더보기 »

춘추경좌씨전구해 권60~70 (보물 제1208-1호)

경좌씨전구해 권60~70(春秋經左氏傳句解 卷六十~七十)은 인천광역시 연수구 옥련동, 가천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춘추경좌씨전구해 권60~70 (보물 제1208-1호) · 더보기 »

춘추경좌씨전구해 권60~70 (보물 제1208-2호)

경좌씨전구해 권60~70(春秋經左氏傳句解 卷六十~七十)은 경상남도 합천군에 있는 조선시대의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춘추경좌씨전구해 권60~70 (보물 제1208-2호) · 더보기 »

칠곡 기성리 삼층석탑

곡 기성리 삼층석탑(漆谷 箕聖里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기성리에 있는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칠곡 기성리 삼층석탑 · 더보기 »

칠곡 노석리 마애불상군

곡 노석리 마애불상군(漆谷 老石里 磨崖佛像群)은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노석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마애불 4구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칠곡 노석리 마애불상군 · 더보기 »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곡 선봉사 대각국사비(漆谷 僊鳳寺 大覺國師碑)는 경상북도 칠곡군 선봉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비석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 더보기 »

칠곡 송림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곡 송림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漆谷 松林寺 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은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송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칠곡 송림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 더보기 »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곡 송림사 오층전탑(漆谷 松林寺 五層塼塔)은 경상북도 칠곡군, 송림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오층전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 더보기 »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

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漆谷 松林寺 五層塼塔 舍利莊嚴具)는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보물 제189호)을 1959년에 수리하기 위해 해체하면서 탑 안에서 발견된 유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 · 더보기 »

칠곡 송림사 석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곡 송림사 석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漆谷 松林寺 石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은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송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칠곡 송림사 석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 더보기 »

칠태부인 경수연도

부인 경수연도(七太夫人 慶壽宴圖)는 왕(숙종)의 명령과 보조를 받아 70세 이상 모친을 모시고 있는 신하 7명이 1691년 8월 경수연(慶壽宴)을 치른 후 기념으로 제작하였던 것을 1745년 이전 어느 시점(영조 재임기간)에 새롭게 제작한 작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칠태부인 경수연도 · 더보기 »

유몽인 위성공신 교서

유몽인 위성공신 교서(柳夢寅 衛聖功臣 敎書)는 전라남도 고흥군에 있는 조선시대의 국왕문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유몽인 위성공신 교서 · 더보기 »

유근 초상

유근 초상(柳根 肖像)은 충청북도 괴산군 소수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유근 초상 · 더보기 »

유형문화재

유형문화재(有形文化財)는 형태가 없는 무형문화재와는 달리 건조물·회화·조각·공예품·서적·서예 등 일정한 형태를 갖춘 것으로, 역사적·예술적 가치가 높은 것을 말. 유형문화재 가운데 중요한 것은 보물로 지정하며, 보물 가운데 더욱 높은 가치를 지닌 것을 국보로 지정.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유형문화재 · 더보기 »

유한지 예서 기원첩

유한지 예서 기원첩(兪漢芝 隸書 綺園帖)은 19세기 전반의 전예 명필 기원 유한지(1760-1834)가 칠언ㆍ오언ㆍ사언대구를 다양한 예서풍으로 쓴 것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유한지 예서 기원첩 · 더보기 »

윤봉길 의사 유품

윤봉길 의사 유품(尹奉吉義士遺品)은 한국의 독립 운동가 윤봉길의 유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윤봉길 의사 유품 · 더보기 »

윤단학 노비허여문기 및 입안

윤단학 노비허여문기 및 입안(尹丹鶴 奴婢許與文記 및 立案)은 고려 공민왕 3년(1354)에 윤광전이 그의 아들 윤단학에게 노비를 상속한 문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윤단학 노비허여문기 및 입안 · 더보기 »

윤증 초상 일괄

윤증 초상 일괄(尹拯 肖像 一括)은 충청남도 공주시 금흥동 충남역사문화연구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윤증 초상 일괄 · 더보기 »

윤선도 종가 문적

윤선도 종가 문적(尹善道 宗家 文籍)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시조작가인 고산 윤선도(1587∼1671) 선생이 직접 손으로 쓰거나, 엮어 펴낸 수적들과 선생과 관계된 여러 문헌들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윤선도 종가 문적 · 더보기 »

휴대용 앙부일구

휴대용 앙부일구(携帶用 仰釜日晷)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휴대용 해시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휴대용 앙부일구 · 더보기 »

파계사

사(把溪寺)는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구 파계로 741(중대동)에 있는 절로, 대한불교조계종 동화사의 말사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파계사 · 더보기 »

팔공산

공산(八公山)은 대구광역시 동구와 경상북도 영천시, 군위군, 칠곡군, 경산시에 걸쳐 있는 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팔공산 · 더보기 »

팔달문

문(八達門)은 수원 화성의 남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팔달문 · 더보기 »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9~10 (보물 제1543호)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9~10(詳校正本慈悲道場懺法 卷九~十)은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수덕사 성보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9~10 (보물 제1543호) · 더보기 »

상주 북장사 영산회괘불탱

상주 북장사 영산회괘불탱(尙州 北長寺 靈山會掛佛幀)은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북장사에 있는 탱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상주 북장사 영산회괘불탱 · 더보기 »

상주 남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상주 남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尙州 南長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은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조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상주 남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 더보기 »

상주 남장사 감로왕도

상주 남장사 감로왕도(尙州 南長寺 甘露王圖)는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상주 남장사 감로왕도 · 더보기 »

상주 남장사 보광전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상주 남장사 보광전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尙州 南長寺 普光殿 木刻阿彌陀如來說法像)은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남장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각탱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상주 남장사 보광전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 더보기 »

상주 남장사 관음선원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상주 남장사 관음선원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尙州 南長寺 觀音禪院 木刻阿彌陀如來說法像)은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남장사에 있는 목각탱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상주 남장사 관음선원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 더보기 »

상주 남장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상주 남장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尙州 南長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은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상주 남장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 더보기 »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입상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입상(尙州 曾村里 石造如來立像)은 경상북도 상주시 증촌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입상 · 더보기 »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좌상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좌상(尙州 曾村里 石造如來坐像)은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 용화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좌상 · 더보기 »

상주 양진당

상주 양진당(尙州 養眞堂)은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가옥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상주 양진당 · 더보기 »

상주 화달리 삼층석탑

상주 화달리 삼층석탑(尙州 化達里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면 화달리, 전사벌왕릉 서쪽에 있는 남북국 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상주 화달리 삼층석탑 · 더보기 »

상지은니대반야바라밀다경 권305

상지은니대반야바라밀다경 권305(橡紙銀泥大般若波羅蜜多經 卷三百五)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호림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필사본 사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상지은니대반야바라밀다경 권305 · 더보기 »

상지은니대지도론 권28

상지은니대지도론 권28(橡紙銀泥大智度論 卷二十八)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호림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필사본 사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상지은니대지도론 권28 · 더보기 »

상설고문진보대전전집 권7~8

상설고문진보대전전집 권7~8≫은 송(宋)의 황견(黃堅)이 편찬한 것으로, 조선조 서당에서 고문의 연변(演變)과 체법(體法)을 익히기 위하여 교재로 쓰던 시문선집 20 권10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상설고문진보대전전집 권7~8 · 더보기 »

탐라순력도

순력도(耽羅巡歷圖)는 1702년 (숙종 18년)에 당시 제주목사 겸 병마수군절제사였던 이형상이 제주도의 각 고을을 순회한 장면을 기록한 채색 화첩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탐라순력도 · 더보기 »

태인 고현동 향약

인고현동향약(泰仁古縣洞鄕約)은 전라북도 정읍시 에 있는 조선시대의 필사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태인 고현동 향약 · 더보기 »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

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泰安 東門里 磨崖三尊佛立像)은 대한민국 국보 제307호로 지정된 문화재로 충청남도 태안군 태안읍 동문리에 있는 백제의 마애삼존불 입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 · 더보기 »

태안읍

안읍(泰安邑)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태안군의 읍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태안읍 · 더보기 »

태환이식

환이식(太環耳飾)이란 금으로 만든 굵은 고리의 귀걸이를 말. 대한민국의 보물에 태환이식이라는 명칭의 문화재가 2건이 있었으나 한자어라 이해하기 어려워 명칭이 변경되었.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태환이식 · 더보기 »

탑골공원

탑골 공원(塔谷公園)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2가에 있는 공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탑골공원 · 더보기 »

탑산사명 동종

탑산사명 동종(塔山寺銘 銅鍾)은 전라남도 해남군 대흥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탑산사명 동종 · 더보기 »

투각

각 기법이 사용된 청자 투각고리문 의자. 대한민국 보물 제416호.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 투각(透刻)은 조각 기법의 중 하나로 재료의 면을 도려내거나 깎아서 원하는 무늬를 나타내는 것을 말. 보통은 원하는 시문 부분만 남기고 나머지 배경을 모두 구멍을 뚫는데 경우에 따라서 이와 반대로 시문 부분만 뚫을 수도 있. 이 장식기법을 사용하는 재료는 다양하여 도자기, 목가구 등에 모두 사용.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투각 · 더보기 »

순천 동화사 삼층석탑

순천 동화사 삼층석탑(順天 桐華寺 三層石塔)은 전라남도 순천시 동화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순천 동화사 삼층석탑 · 더보기 »

순천 매곡동 석탑 청동불감 및 금동아미타여래삼존좌상

순천 매곡동 석탑 청동불감 및 금동아미타여래삼존좌상(順天 梅谷洞 石塔 靑銅佛龕 및 金銅阿彌陀如來三尊坐像)은 광주광역시 북구 국립광주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순천 매곡동 석탑 청동불감 및 금동아미타여래삼존좌상 · 더보기 »

순천 금둔사지 삼층석탑

순천 금둔사지 삼층석탑(順天 金芚寺址 三層石塔)은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순천 금둔사지 삼층석탑 · 더보기 »

순천 정혜사 대웅전

순천 정혜사 대웅전(順天 定慧寺 大雄殿)은 전라남도 순천시 서면, 정혜사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순천 정혜사 대웅전 · 더보기 »

순천 선암사 33조사도

순천 선암사 33조사도(順天 仙巖寺 三十三祖師圖)는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그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순천 선암사 33조사도 · 더보기 »

순천 선암사 동 승탑

순천 선암사 동 승탑(順天 仙巖寺 東 僧塔)은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순천 선암사 동 승탑 · 더보기 »

순천 선암사 동종

순천 선암사 동종(順天 仙巖寺 銅鍾)은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 성보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순천 선암사 동종 · 더보기 »

순천 선암사 북 승탑

순천 선암사 북 승탑(順天 仙巖寺 北 僧塔)는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순천 선암사 북 승탑 · 더보기 »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順天仙巖寺大覺國師義天眞影)은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선암사에 있는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 더보기 »

순천 선암사 대각암 승탑

순천 선암사 대각암 승탑(順天 仙巖寺 大覺庵 僧塔)은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순천 선암사 대각암 승탑 · 더보기 »

순천 선암사 승선교

순천 선암사 승선교(順天 仙岩寺 昇仙橋)는 전라남도 순천시 선암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아치교이다. 1963년 9월 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400호로 지정되었다. 길이 14m, 높이 4.7m, 폭 4m로 조선 숙종 39년(1713년) 호암화상이 6년 만에 완공한 다리이다. 기저부(基底部)에 별다른 가설이 없고 홍예(虹預)는 하단부부터 곡선을 그려 전체의 문양은 반원형을 이루고 한 개의 아치로 이루어졌다. 다리 중심석 아래의 조그맣게 돌출시킨 석재는 용의 머리 같기도 하다. 고통의 세계에서 부처의 세계로 건너는 중생들을 보호 수용하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다.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순천 선암사 승선교 · 더보기 »

순천 선암사 석가모니불괘불탱 및 부속유물일괄

순천 선암사 석가모니불괘불탱 및 부속유물일괄(順天 仙巖寺 釋迦牟尼佛掛佛幀 및 附屬遺物一括)은 전라남도 순천시 선암사에 있는, 1753년(조선 영조 29)에 만들어진 탱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순천 선암사 석가모니불괘불탱 및 부속유물일괄 · 더보기 »

순천 선암사 선각국사 도선 진영

순천 선암사 선각국사 도선 진영(順天 仙巖寺 先覺國師 道詵 眞影)은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순천 선암사 선각국사 도선 진영 · 더보기 »

순천 선암사 서부도암 감로왕도

순천 선암사 서부도암 감로왕도(順天 仙巖寺 西浮屠庵 甘露王圖)는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순천 선암사 서부도암 감로왕도 · 더보기 »

순천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소조16나한상 일괄

순천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소조16나한상 일괄(順天 松廣寺 木造釋迦如來三尊像 및 塑造十六羅漢像 一括)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에 있는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순천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소조16나한상 일괄 · 더보기 »

순천 송광사 경질

순천 송광사 경질(順天 松廣寺 經帙)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경질(經帙)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순천 송광사 경질 · 더보기 »

순천 송광사 경패

순천 송광사 경패(順天 松廣寺 經牌)는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경패(經牌)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순천 송광사 경패 · 더보기 »

순천 송광사 금동 요령

순천 송광사 금동 요령(順天 松廣寺 金銅 搖鈴)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금동 요령(搖鈴)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순천 송광사 금동 요령 · 더보기 »

순천 송광사 영산전

순천 송광사 영산전(順天 松廣寺 靈山殿)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교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순천 송광사 영산전 · 더보기 »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順天 松廣寺 塑造四天王像)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명부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 · 더보기 »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 복장유물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 복장유물(順天 松廣寺 塑造四天王像 腹藏遺物)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에 있는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의 전체적인 해체보수 과정에서 발견된 복장전적 12종 14책, 인본다라니 383장, 후령통 등의 복장유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 복장유물 · 더보기 »

순천 송광사 하사당

순천 송광사 하사당(順天 松廣寺 下舍堂)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교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순천 송광사 하사당 · 더보기 »

순천 송광사 십육조사진영

순천 송광사 십육조사진영(順天 松廣寺 十六祖師眞影)은 조선 시대에 고려 후기 활동한 고승 16명을 그린 회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순천 송광사 십육조사진영 · 더보기 »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順天 松廣寺 華嚴經變相圖)는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 · 더보기 »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水陸無遮平等齋儀撮要)는 수륙무차평등재(수륙재), 곧 물과 땅에서 죽은 고혼들을 달래기 위해 평등하게 공양하며 재를 올릴 때의 의식절차를 요약한 의례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 · 더보기 »

수종사

수종사(水鍾寺)는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수종사 · 더보기 »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水原 彰聖寺址 眞覺國師塔碑)는 고려 우왕 12년(1386년)에 진각국사 천희(千熙, 1307년~1382년)를 추모하기 위하여 수원 광교산 창성사 경내에 건립한 탑비.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 더보기 »

수원 화성

화성의 지도 수원 화성(水原 華城)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와 장안구에 걸쳐 있는 길이 5.52킬로미터의 성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수원 화성 · 더보기 »

수월관음도 (보물 제1426호)

수월관음도(水月觀音圖)는 경기도 용인시 아모레퍼시픽 미술관에 소장된 고려시대의 보살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수월관음도 (보물 제1426호) · 더보기 »

숙명신한첩

숙명신한첩(淑明宸翰帖)은 효종(孝宗, 1619~1659), 현종(顯宗, 1641~1674), 인조계비 장렬왕후(莊烈王后, 1624~1688), 효종비 인선왕후(仁宣王后, 1618~1674)가 효종의 셋째딸 숙명공주(淑明公主)에게 보낸 한글어찰을 모은 첩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숙명신한첩 · 더보기 »

숙신옹주 가옥허여문기

숙신옹주 가옥허여문기(淑愼翁主 家屋許與文記)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조선 태조 이성계가 그의 후궁에게서 난 딸을 뒤에 숙신옹주로 봉하고 집을 하사한다는 내용의 분재기(分財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숙신옹주 가옥허여문기 · 더보기 »

영덕 장육사 건칠관음보살좌상

영덕 장육사 건칠관음보살좌상(盈德 莊陸寺 乾漆觀音菩薩坐像)은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갈천리, 장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보살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덕 장육사 건칠관음보살좌상 · 더보기 »

영덕 유금사 삼층석탑

영덕 유금사 삼층석탑(盈德 有金寺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영덕군 유금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덕 유금사 삼층석탑 · 더보기 »

영동 영국사 승탑

영동 영국사 승탑(永同 寧國寺 僧塔)은 충북 영동군 영국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동 영국사 승탑 · 더보기 »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비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비(永同 寧國寺 圓覺國師碑)는 고려 중기의 승려 원각국사(圓覺國師) 덕소(德素, 1119∼1174)의 행적을 기록한 탑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비 · 더보기 »

영동 신항리 석조여래삼존입상

영동 신항리 석조여래삼존입상 (永同 新項里 石造如來三尊立像)은 충청북도 영동군 옛 석은사 터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불입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동 신항리 석조여래삼존입상 · 더보기 »

영광 불갑사 불복장 전적

영광 불갑사 불복장 전적(靈光 佛甲寺 佛腹藏 典籍)는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사의 명부전과 팔상전 그리고 사천왕상에서 나온 복장전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광 불갑사 불복장 전적 · 더보기 »

영광 신천리 삼층석탑

영광 신천리 삼층석탑(靈光 新川里 三層石塔)은 전라남도 영광군 묘량면 신천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광 신천리 삼층석탑 · 더보기 »

영남루

영남루(嶺南樓)는 경상남도 밀양시 내일동에 있는 누각으로 구 객사(舊客舍)의 부속건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남루 · 더보기 »

영조 기로연·수작연도 병풍

영조 기로연·수작연도 병풍(英祖 耆老宴·受爵宴圖 屛風)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 두 개의 행사장면이 실려 있는 병풍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조 기로연·수작연도 병풍 · 더보기 »

영조대왕태실석난간조배의궤

영조대왕태실석난간조배의궤(英祖大王胎室石欄干造排儀軌)는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무성리에 있는 조선 영조의 태실(胎室)을 가봉(加封)하는데 따른 경위와 과정 또는 의식절차 등 모든 관련사실을 적은 필사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조대왕태실석난간조배의궤 · 더보기 »

영조어진

영조어진(英祖御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2, 국립고궁박물관 (세종로,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조어진 · 더보기 »

영주 북지리 석조여래좌상

영주 북지리 석조여래좌상(榮州 北枝里 石造如來坐像)은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주 북지리 석조여래좌상 · 더보기 »

영주 부석사 고려목판

영주 부석사 고려목판(榮州 浮石寺 高麗木板)은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주 부석사 고려목판 · 더보기 »

영주 부석사 당간지주

영주 부석사 당간지주(榮州 浮石寺 幢竿支柱)는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당간지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주 부석사 당간지주 · 더보기 »

영주 부석사 오불회 괘불탱

영주 부석사 오불회 괘불탱(榮州 浮石寺 五佛會 掛佛幀)은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주 부석사 오불회 괘불탱 · 더보기 »

영주 부석사 삼층석탑 (보물)

영주 부석사 삼층석탑(榮州 浮石寺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주 부석사 삼층석탑 (보물) · 더보기 »

영주 부석사 석조석가여래좌상

영주 부석사 석조석가여래좌상(榮州 浮石寺 石造釋迦如來坐像)은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에 있는 통일신라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주 부석사 석조석가여래좌상 · 더보기 »

영주 숙수사지 당간지주

영주 숙수사지 당간지주(榮州 宿水寺址 幢竿支柱)는 경상북도 영주시 숙수사지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당간지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주 숙수사지 당간지주 · 더보기 »

영주 영주동 석조여래입상

영주 영주동 석조여래입상(榮州 榮州洞 石造如來立像)은 경상북도 영주시 영주공공도서관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주 영주동 석조여래입상 · 더보기 »

영주 석교리 석조여래입상

영주 석교리 석조여래입상(榮州 石橋里 石造如來立像)은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석교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주 석교리 석조여래입상 · 더보기 »

영주 성혈사 나한전

영주 성혈사 나한전(榮州 聖穴寺 羅漢殿)은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성혈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주 성혈사 나한전 · 더보기 »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榮州 新岩里 磨崖如來三尊像)은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에 있는 통일신라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 · 더보기 »

영천 봉림사 영산회상도 및 복장유물

영천 봉림사 영산회상도 및 복장유물(永川 鳳林寺 靈山會上圖 및 腹藏遺物)은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봉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와 유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천 봉림사 영산회상도 및 복장유물 · 더보기 »

영천 은해사 백흥암 극락전

영천 은해사 백흥암 극락전(永川 銀海寺 百興庵 極樂殿)은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치일리, 은해사 백흥암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천 은해사 백흥암 극락전 · 더보기 »

영천 은해사 백흥암 수미단

영천 은해사 백흥암 수미단(永川 銀海寺 百興庵 須彌壇)은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은해사 백흥암 극락전에 있는 높이 125cm, 너비 413cm의 조선 후기에 만든 불단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천 은해사 백흥암 수미단 · 더보기 »

영천 은해사 괘불탱

영천 은해사 괘불탱(永川 銀海寺 掛佛幀)은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치일리, 은해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천 은해사 괘불탱 · 더보기 »

영천 은해사 운부암 금동보살좌상

영천 은해사 운부암 금동보살좌상(永川 銀海寺 雲浮庵 金銅菩薩坐像)은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치일리, 은해사 운부암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천 은해사 운부암 금동보살좌상 · 더보기 »

영천 은해사 청동북 및 북걸이

영천 은해사 청동북 및 북걸이(永川 銀海寺 靑銅金鼓 및 金鼓虡)는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은해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유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천 은해사 청동북 및 북걸이 · 더보기 »

영천 은해사 염불왕생첩경도

영천 은해사 염불왕생첩경도(永川 銀海寺 念佛往生捷徑圖)는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은해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천 은해사 염불왕생첩경도 · 더보기 »

영천 청제비

영천 청제비(永川 菁堤碑)은 경상북도 영천시 도남동에 있는 신라시대의 비석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천 청제비 · 더보기 »

영천 숭렬당

영천 숭렬당(永川 崇烈堂)은 경상북도 영천시 성내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천 숭렬당 · 더보기 »

영천 선원동 철조여래좌상

영천 선원동 철조여래좌상(永川 仙源洞 鐵造如來坐像)은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선원리 선정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철조 여래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천 선원동 철조여래좌상 · 더보기 »

영천 신월리 삼층석탑

영천 신월리 삼층석탑(永川 新月里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신흥사에 있는, 9세기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천 신월리 삼층석탑 · 더보기 »

영천향교 대성전

영천향교 대성전(永川鄕校 大成殿)은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동 영천향교 내에 있. 대한민국의 보물 제616호로 지정되어 있. 공자를 비롯한 성현 7명의 위패를 봉안하고 봄, 가을마다 제향을 올리고 있. 조선 세종 17년(1435년)에 건립되었고 그 후 중종 8년(1513년)경 군수 김흠조가 중수하였으며, 광해군 14년(1622년)경 군수 황효의가 다시 중수하는 등 여러 차례의 중수를 거쳐 오늘날에 이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천향교 대성전 · 더보기 »

영양 현리 삼층석탑

영양 현리 삼층석탑(英陽 縣里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영양군 영양읍 현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양 현리 삼층석탑 · 더보기 »

영양 화천리 삼층석탑

영양 화천리 삼층석탑(英陽 化川里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영양군 영양읍 화천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양 화천리 삼층석탑 · 더보기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수미선사비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守眉禪師碑)는 전라남도 영암군 도갑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승려인 도선국사와 조선시대 수미왕사의 행적을 기록한 석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수미선사비 · 더보기 »

영암 도갑사 오층석탑

영암 도갑사 오층석탑(靈巖 道岬寺 五層石塔)은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오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암 도갑사 오층석탑 · 더보기 »

영암 성풍사지 오층석탑

영암 성풍사지 오층석탑(靈巖 聖風寺址 五層石塔)은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용흥리, 성풍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오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암 성풍사지 오층석탑 · 더보기 »

영암 월출산 용암사지 삼층석탑

영암 월출산 용암사지 삼층석탑(靈巖 月出山 龍巖寺址 三層石塔)은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에 있는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암 월출산 용암사지 삼층석탑 · 더보기 »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寧越 興寧寺址 澄曉大師塔碑)는 강원도 영월군 무릉도원면 흥녕사 옛터에 있는, 흥녕사를 크게 발전시킨 징효대사의 행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석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 더보기 »

오운 종가 문적

오운 종가 문적(吳澐 宗家 文籍)은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송림리, 죽유종택에 있는 조선시대의 문적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오운 종가 문적 · 더보기 »

오자치 초상

오자치 초상(吳自治 肖像)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 무신인 오자치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오자치 초상 · 더보기 »

오재순 초상

오재순 초상(吳載純 肖像)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오재순 초상 · 더보기 »

오죽헌

오죽헌 사랑채 오죽헌(烏竹軒)은 보물 제165호로, 강원도 강릉시에 있는 신사임당과 율곡 이이(栗谷 李珥)의 생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오죽헌 · 더보기 »

옥천사

옥천사(玉泉寺)는 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 연화산에 위치한 신라 천년의 고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옥천사 · 더보기 »

호법론

호법론(護法論)은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호법론 · 더보기 »

호조랑관계회도

호조랑관계회도(戶曹郞官契會圖)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계회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호조랑관계회도 · 더보기 »

예천 동본리 삼층석탑

예천 동본리 삼층석탑(醴泉 東本里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동본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예천 동본리 삼층석탑 · 더보기 »

예천 동본리 석조여래입상

예천 동본리 석조여래입상(醴泉 東本里 石造如來立像)은 경상북도 예천군에 있는 통일신라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예천 동본리 석조여래입상 · 더보기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醴泉 鳴鳳寺 境淸禪院慈寂禪師陵雲塔碑)는 경상북도 예천군 명봉사에 있는, 통일신라 말기로부터 고려시대 초기까지 활동한 승려 자적선사(慈寂禪師, 882~939년)의 행적을 기록한 석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 더보기 »

예천 개심사지 오층석탑

예천 개심사지 오층석탑(醴泉 開心寺址 五層石塔)은 경상북도 예천군 개심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오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예천 개심사지 오층석탑 · 더보기 »

예천 용문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예천 용문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醴泉 龍門寺 木刻阿彌陀如來說法像)은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각탱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예천 용문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 더보기 »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醴泉 龍門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은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용문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 더보기 »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醴泉 龍門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은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용문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 더보기 »

예천 용문사 대장전

용문사 대장전(龍門寺 大藏殿)은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사에 있는, 조선 중기의 목조 불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예천 용문사 대장전 · 더보기 »

예천 용문사 천불도

예천 용문사 천불도(醴泉 龍門寺 千佛圖)는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용문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예천 용문사 천불도 · 더보기 »

예천 용문사 영산회괘불탱

예천 용문사 영산회괘불탱(醴泉 龍門寺 靈山會掛佛幀)은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용문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예천 용문사 영산회괘불탱 · 더보기 »

예천 야옹정

예천 야옹정(醴泉 野翁亭)은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제곡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예천 야옹정 · 더보기 »

예천 한천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예천 한천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醴泉 寒天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은 경상북도 예천군 감천면, 한천사에 있는 통일신라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예천 한천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 더보기 »

예천권씨 초간종택 별당

예천권씨 초간종택 별당(醴泉權氏 草澗宗宅 別堂)은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죽림리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초간 권문해(1534∼1591) 선생의 할아버지 권오상 선생이 지었다고 전하는 건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예천권씨 초간종택 별당 · 더보기 »

예산 삽교읍 석조보살입상

예산 삽교읍 석조보살입상(禮山 揷橋邑 石造菩薩立像)은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조 보살 입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예산 삽교읍 석조보살입상 · 더보기 »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禮山 花田里 石造四面佛像)은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 화전리에 있는, 삼국 시대 백제의 석조사면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 · 더보기 »

예안 김씨 가전계회도 일괄

예안 김씨 가전계회도 일괄(禮安 金氏 家傳契會圖 一括)은 부산광역시 동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계회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예안 김씨 가전계회도 일괄 · 더보기 »

협주명현십초시

협주명현십초시(夾注名賢十抄詩)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협주명현십초시 · 더보기 »

옛 보신각 동종

옛 보신각 동종(舊普信閣 銅鍾)은 조선시대 만들어진 종으로, 1985년까지 서울 종로 보신각에서 제야(除夜)의 종을 칠 때 사용되었.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옛 보신각 동종 · 더보기 »

최문병 의병장 안장

문병 의병장 안장(崔文炳義兵將鞍裝)은 1983년 5월 7일 보물 제747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최문병 의병장 안장 · 더보기 »

최익현 초상

익현 초상(崔益鉉 肖像)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국립제주박물관에 있는 대한제국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최익현 초상 · 더보기 »

최유련 개국원종공신녹권

유련개국원종공신녹권(崔有漣開國原從功臣錄券)은 조선 태조 때 최유련에게 내린 공신녹권의 필사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최유련 개국원종공신녹권 · 더보기 »

최석정 초상 및 함

석정 초상 및 함(崔錫鼎 肖像 및 函)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동, 국립청주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 최석정(崔錫鼎, 1646-1715)의 초상화 및 함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최석정 초상 및 함 · 더보기 »

향약제생집성방

《향약제생집성방》(鄕藥齊生集成方)은 조선 초에 김희선 등이 편찬한 의학서로서, 대한민국의 보물 제1178호로 지정된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향약제생집성방 · 더보기 »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탑 및 비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탑 및 비(楊平 龍門寺 正智國師塔 및 碑)는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신점리, 용문사에서 약 300m 떨어진 동쪽에 자리하고 있으며, 정지국사(1324∼1395)의 행적 등을 기록한 것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탑 및 비 · 더보기 »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楊州 檜巖寺址 無學大師塔)은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회암사지 북쪽 능선 위에 지공(指空), 나옹(懶翁)의 승탑과 함께 서있는 무학대사(無學大師)의 묘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 더보기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楊州 檜巖寺址 禪覺王師碑)는 고려시대의 석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더보기 »

양천구

양천구(陽川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남서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양천구 · 더보기 »

양양 낙산사 해수관음공중사리탑·비 및 사리장엄구 일괄

양양 낙산사 해수관음공중사리탑·비 및 사리장엄구 일괄(襄陽 洛山寺 海水觀音空中舍利塔·碑 및 舍利莊嚴具 一括)은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낙산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승탑이다. 2011년 11월 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723호로 지정되었다.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양양 낙산사 해수관음공중사리탑·비 및 사리장엄구 일괄 · 더보기 »

양양 진전사지 도의선사탑

전사지 도의선사탑(陳田寺址 道義禪師塔)은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둔전리에 있는 진전사터에 세워진, 남북국 시대 신라의 도의선사 묘탑으로 대한민국의 보물 제439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양양 진전사지 도의선사탑 · 더보기 »

양양 오색리 삼층석탑

양양 오색리 삼층석탑(襄陽 五色里 三層石塔)은 강원도 양양군 서면 오색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양양 오색리 삼층석탑 · 더보기 »

양양 선림원지 승탑

양양 선림원지 승탑(襄陽 禪林院址 僧塔)은 강원도 양양군 서면 황이리에 있는 선림원터에 세워진 승탑으로 대한민국의 보물 제447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양양 선림원지 승탑 · 더보기 »

양양 선림원지 삼층석탑

선림원지 삼층석탑(禪林院址 三層石塔)은 강원도 양양군 서면 황이리에 있는 선림원터에 세워진 석탑으로 대한민국의 보물 제444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양양 선림원지 삼층석탑 · 더보기 »

양양 선림원지 석등

선림원지 석등(禪林院址 石燈)은 강원도 양양군 서면 황이리에 있는 선림원터에 세워진 석등으로 대한민국의 보물 제445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양양 선림원지 석등 · 더보기 »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禪林院址 弘覺禪師塔碑)은 강원도 양양군 서면 황이리에 있는 선림원터에 세워진 석등으로 대한민국의 보물 제446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 더보기 »

양사언 초서

양사언 초서 (楊士彦 草書)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백범로 35, 서강대학교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축(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양사언 초서 · 더보기 »

양산 미타암 석조아미타여래입상

양산 미타암 석조아미타여래입상(梁山 彌陀庵 石造阿彌陀如來立像)은 경상남도 양산시 미타암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석조 아미타불 입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양산 미타암 석조아미타여래입상 · 더보기 »

양산 금조총 출토 유물 일괄

양산 금조총 출토 유물 일괄(梁山金鳥塚出土遺物一括) 유물은 경주에서 벗어난 양산 지역에서 발전된 신라의 고분 문화의 전파와 계보를 연구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작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양산 금조총 출토 유물 일괄 · 더보기 »

양산 내원사 청동북

양산 내원사 청동북(梁山 內院寺 靑銅金鼓)은 경상남도 양산시 내원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교 의식법구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양산 내원사 청동북 · 더보기 »

양산 통도사 동종

양산 통도사 동종(梁山 通度寺 銅鍾)은 경상남도 양산시, 통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양산 통도사 동종 · 더보기 »

양산 통도사 봉발탑

양산 통도사 봉발탑(梁山 通度寺 奉鉢塔)은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양산 통도사 봉발탑 · 더보기 »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梁山 通度寺 大光明殿)은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 · 더보기 »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 삼신불도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 삼신불도(梁山 通度寺 大光明殿 三身佛圖)는 통도사성보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 삼신불도 · 더보기 »

양산 통도사 청동은입사향완 (보물 제1354호)

통도사 청동은입사향완(通度寺 靑銅銀入絲香垸)은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 성보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양산 통도사 청동은입사향완 (보물 제1354호) · 더보기 »

양산 통도사 청동은입사향완 (보물 제1735호)

양산 통도사 청동은입사향완(梁山 通度寺 靑銅銀入絲香垸)은 경상남도 양산시 통도사성보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향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양산 통도사 청동은입사향완 (보물 제1735호) · 더보기 »

양산 통도사 영산전

양산 통도사 영산전(梁山 通度寺 靈山殿)는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양산 통도사 영산전 · 더보기 »

양산 통도사 영산전 벽화

양산 통도사 영산전 벽화(梁山 通度寺 靈山殿 壁畵)는 경상남도 양산시, 통도사 사찰에 있는 조선시대의 벽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양산 통도사 영산전 벽화 · 더보기 »

양산 통도사 영산전 팔상도

양산 통도사 영산전 팔상도(梁山 通度寺 靈山殿 八相圖)는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성보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양산 통도사 영산전 팔상도 · 더보기 »

양산 통도사 아미타여래설법도

통도사 아미타여래설법도(通度寺 阿彌陀如來說法圖)는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 성보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양산 통도사 아미타여래설법도 · 더보기 »

양산 신흥사 대광전

양산 신흥사 대광전(梁山 新興寺 大光殿)은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에 있는, 비로자나불을 모시고 있는 건물로 신흥사의 중심 법당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양산 신흥사 대광전 · 더보기 »

양산 신흥사 대광전 벽화

양산 신흥사 대광전 벽화(梁山 新興寺 大光殿 壁畵)는 경상남도 양산시, 양산 신흥사 대광전에 있는 조선시대의 벽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양산 신흥사 대광전 벽화 · 더보기 »

양산이씨 종가 고문서

양산이씨 종가 고문서(梁山李氏 宗家 古文書)는 경상남도 양산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문서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양산이씨 종가 고문서 · 더보기 »

여주 고달사지 쌍사자 석등

여주 고달사지 쌍사자 석등(驪州 高達寺址 雙獅子 石燈)은 사찰에서 법등을 밝히던 고려시대의 석등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여주 고달사지 쌍사자 석등 · 더보기 »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驪州 高達寺址 元宗大師塔)은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고달사터에 세워져 있는 비로, 원종대사를 기리기 위한 것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 · 더보기 »

여주 효종 영릉재실

여주 효종 영릉재실(驪州 孝宗 寧陵齋室)은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왕대리, 영녕릉에 있는 부속건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여주 효종 영릉재실 · 더보기 »

여주 출토 동종

여주 출토 동종(驪州 出土 銅鍾)는 고려시대의 범종으로 1967년 경기도 여주군 금사면 상품리에서 고철 수집 때 우연히 발견되었.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여주 출토 동종 · 더보기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驪州 神勒寺 普濟尊者石鍾 앞 石燈)은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등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 · 더보기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驪州 神勒寺 普濟尊者石鍾碑)는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 사찰에 있는 고려시대의 비석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 더보기 »

여주 신륵사 대장각기비

여주 신륵사 대장각기비(驪州 神勒寺 大藏閣記碑)는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 사찰에 있는 고려시대의 비석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여주 신륵사 대장각기비 · 더보기 »

여주 신륵사 조사당

여주 신륵사 조사당(驪州 神勒寺 祖師堂)은 경기도 여주시 천송동, 신륵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여주 신륵사 조사당 · 더보기 »

여주이씨 옥산문중 고문서

여주이씨 옥산문중 고문서(驪州李氏 玉山門中 古文書)은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독락당에 있는 조선시대의 문서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여주이씨 옥산문중 고문서 · 더보기 »

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 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

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 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驪州李氏 玉山門中 典籍 - 驪州李氏 玉山門中 典籍)은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독락당에 있는 조선시대의 전적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 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 · 더보기 »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해동명적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해동명적(驪州李氏 玉山門中 遺墨-海東名蹟)은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조선 중종 때의 문신인 신공제(1469∼1536) 선생이 우리나라 역대 명필의 글씨가 돌에 새겨 있는 것을 탁본하여 상하 2책으로 묶은 것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해동명적 · 더보기 »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원조오잠, 사산오대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 - 원조오잠, 사산오대(驪州李氏 玉山門中 遺墨 - 元朝五箴,四山五臺)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서예 작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원조오잠, 사산오대 · 더보기 »

여수 흥국사 동종

여수 흥국사 동종(麗水 興國寺 銅鍾)은 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 흥국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여수 흥국사 동종 · 더보기 »

여수 흥국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시왕상 일괄 및 복장유물

여수 흥국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시왕상 일괄 및 복장유물(麗水 興國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十王像 一括 및 腹藏遺物)은 전라남도 여수시 흥국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과 복장유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여수 흥국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시왕상 일괄 및 복장유물 · 더보기 »

여수 흥국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여수 흥국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麗水 興國寺 木造釋迦如來三尊像)은 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 흥국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여수 흥국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 더보기 »

여수 흥국사 대웅전

여수 흥국사 대웅전(麗水 興國寺 大雄殿)은 전라남도 여수시, 흥국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여수 흥국사 대웅전 · 더보기 »

여수 흥국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

여수 흥국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麗水 興國寺 大雄殿 觀音菩薩 壁畵)는 전라남도 여수시 흥국사에 있는 벽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여수 흥국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 · 더보기 »

여수 흥국사 대웅전 후불탱

여수 흥국사 대웅전 후불탱(麗水 興國寺 大雄殿 後佛幀)은 전라남도 여수시 흥국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여수 흥국사 대웅전 후불탱 · 더보기 »

여수 흥국사 홍교

여수 흥국사 홍교(麗水 興國寺 虹橋)는 전라남도 여수시 흥국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다리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여수 흥국사 홍교 · 더보기 »

여수 진남관

여수 진남관(麗水 鎭南館)은 조선시대 사백여 년간 수군의 본거지(전라좌수영)로 혹은 구국의 성지로 이용되었고 전승의 사명을 다한 역사적 현장으로 여수를 상징하는 곳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여수 진남관 · 더보기 »

여수 타루비

여수 타루비(麗水 墮淚碑)은 전라남도 여수시에 있는 조선시대 중기의 명장인 이순신의 덕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여수 타루비 · 더보기 »

역옹패설

《역옹패설》(櫟翁稗說)은 1342년(충혜왕 복위 3년) 역옹(櫟翁) 이제현이 저술한 시화집(詩話集)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역옹패설 · 더보기 »

연잉군 초상

연잉군 초상(延礽君 肖像)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연잉군 초상 · 더보기 »

연정계회도

연정계회도(蓮亭契會圖)는 소속이 같은 문인들의 친목 도모를 위한 모임인 계회를 그린 16세기 중엽에 제작된 작가미상의 기록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연정계회도 · 더보기 »

염제신 초상

염제신 초상(廉悌臣 肖像)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염제신 초상 · 더보기 »

허목 초상

목 초상(許穆 肖像)은 강원도 춘천시 국립춘천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허목 초상 · 더보기 »

풍남문

전주 풍남문(全州 豊南門)은 조선 시대 전라감영의 소재지였던 전주를 둘러싼 성곽의 남쪽 출입문으로 성벽이 헐린 후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풍남문 · 더보기 »

풍아익

《풍아익》(風雅翼)은 전라남도 장흥군 안양면 기양사(岐陽祠)에 있는 조선시대의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풍아익 · 더보기 »

사마방목 (보물 제1464호)

사마방목(司馬榜目)은 연산군 7년(1501)에 시행한 생원·진사의 합격자 명부이다. 2006년 4월 28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464호로 지정되었다. 『홍치십사년신유사마방목』은 연산군 7년(1501년)에 시행한 생원·진사의 합격자 명부이다. 진사시 일소(一所)의 주시관(主試官)은 우참찬 유순(柳洵)과 호조참판 김심(金諶), 이조정랑 남곤(南袞) 등 6명이고, 이소(二所)의 주시관은 대사헌 성현(成俔) 등 6명이다. 생원시의 장원은 이수정(李守貞)이고, 진사시의 장원은 김안국(金安國)이었다. 이 책에 수록된 인물중 시관이었던 남곤(南袞)과 진사방의 1등 5인중 한 명인 김안로(金安老)의 성명에는 사마시 합격자 발표 이후에 죄인이 된 관계로 모두 먹으로 칠해져 있다. 이 책은 당시 진사시험에 합격한 문의공(文毅公) 김식(金湜, 1482-1520) 후손가에 전해져 온 것으로, 예조에서 직접 간행해서 반포한 초주갑인자본이다. 조선전기 과거제도 및 인물관계를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이다.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사마방목 (보물 제1464호) · 더보기 »

사마방목 (보물 제524-1호)

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 - 정덕계유사마방목(驪州李氏 玉山門中 典籍 - 正德癸酉司馬榜目)은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독락당에 있는 조선시대의 금속활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사마방목 (보물 제524-1호) · 더보기 »

사직공원

사직 공원(社稷公園)은 서울 종로구 사직동에 위치한 공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사직공원 · 더보기 »

사직단 대문

사직단 대문(社稷壇 大門)은 서울 사직단의 대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사직단 대문 · 더보기 »

사천 흥사리 매향비

사천 흥사리 매향비(泗川 興士里 埋香碑)은 경상남도 사천시 곤양면 흥사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비석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사천 흥사리 매향비 · 더보기 »

산청 법계사 삼층석탑

산청 법계사 삼층석탑(山淸 法界寺 三層石塔)은 경상남도 산청군, 법계사 사찰에 있는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산청 법계사 삼층석탑 · 더보기 »

산청 대포리 삼층석탑

산청 대포리 삼층석탑(山淸 大浦里 三層石塔)은 경상남도 산청군 삼장면 대포리에 있는,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산청 대포리 삼층석탑 · 더보기 »

산청 대원사 다층석탑

산청 대원사 다층석탑(山淸 大源寺 多層石塔)는 경상남도 산청군 삼장면 유평리, 대원사에 있는 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산청 대원사 다층석탑 · 더보기 »

산청 내원사 삼층석탑

산청 내원사 삼층석탑(山淸 內院寺 三層石塔)은 경상남도 산청군 내원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산청 내원사 삼층석탑 · 더보기 »

산청 단속사지 서 삼층석탑

산청 단속사지 서 삼층석탑(山淸 斷俗寺址 西 三層石塔)은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단속사지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산청 단속사지 서 삼층석탑 · 더보기 »

산청 율곡사 대웅전

산청 율곡사 대웅전(山淸 栗谷寺 大雄殿)은 경상남도 산청군 율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산청 율곡사 대웅전 · 더보기 »

산청 사월리 석조여래좌상

산청 사월리 석조여래좌상(山淸 沙月里 石造如來坐像)은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사월리에서 출토한, 남북국 시대 신라의 석조 여래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산청 사월리 석조여래좌상 · 더보기 »

살곶이다리

살곶이다리는 조선의 수도인 한성부와 한반도 남동부를 잇는 주요 교통로에 세워진 다리로 강릉·충주 지방을 연결하는 주요 통로였.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살곶이다리 · 더보기 »

삼강행실도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는 조선 세종 16년(1434) 직제학 설순(偰循) 등이 세종의 명에 따라서 조선과 중국의 서적에서 군신·부자·부부의 삼강에 거울이 될 만한 충신·효자·열녀의 행실을 모아 그림과 함께 만든 책으로 3권 3책의 목판 인쇄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삼강행실도 · 더보기 »

삼국유사

《삼국유사》(三國遺事)는 고려의 승려인 일연(一然)이 고려 충렬왕 7년(1281년) 에 인각사(麟角寺)에서 편찬한 삼국 시대의 역사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삼국유사 · 더보기 »

삼국유사 권1~2

삼국유사 권1~2(三國遺事 卷一~二)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삼국유사 권1~2 · 더보기 »

삼국사기

《삼국사기》(三國史記)는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김부식(金富軾)이 1145년(인종 23)에 완성한 삼국시대사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삼국사기 · 더보기 »

삼존불비상

삼존불비상(三尊佛碑像)은 동국대학교박물관에 있는 통일신라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삼존불비상 · 더보기 »

삼척시

삼척시(三陟市)는 대한민국 강원도 동해안 최남단에 있는 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삼척시 · 더보기 »

삼현수간

삼현수간(三賢手簡)은 주로 구봉(龜峯) 송익필(宋翼弼, 1534∼1599), 우계(牛溪) 성혼(成渾, 1535∼1598),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6∼1584) 사이에 왕래한 편지를 후대에 4첩(帖)으로 제작한 것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삼현수간 · 더보기 »

석조지장보살좌상

석조지장보살좌상(石造地藏菩薩坐像)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조선 시대의 석조 지장보살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석조지장보살좌상 · 더보기 »

선본사

선본사(禪本寺)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대한리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선본사 · 더보기 »

선정전

창덕궁 선정전(昌德宮 宣政殿)은 평상시 임금이 신하와 일상업무를 논하던 편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선정전 · 더보기 »

선조국문유서

선조국문유서(宣祖國文諭書)는 부산광역시 남구, 부산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국왕문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선조국문유서 · 더보기 »

선조어서사 송언신 밀찰첩

선조어서사 송언신 밀찰첩(宣祖御書賜宋言愼密札帖)은 경기도 용인시, 경기도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서간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선조어서사 송언신 밀찰첩 · 더보기 »

선조어서사 송언신 밀찰첩 및 송언신 초상

선조어서사 송언신 밀찰첩 및 송언신 초상(宣祖御書賜 宋言愼 密札帖 및 宋言愼 肖像)은 경기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 6, 경기도박물관 (상갈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유물 / 일반회화/ 인물화/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선조어서사 송언신 밀찰첩 및 송언신 초상 · 더보기 »

선종영가집

선종영가집(禪宗永嘉集)은 당나라 현각선사가 선관을 닦아 일숙각한 선종의 요결과 심득사항을 찬술한 것으로서, 그가 죽은 뒤 당나라 경주자사인 위정이 모아 10문으로 나누어 엮고 또한 이에 송나라 행정이 주석하여 2권으로 성편한 것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선종영가집 · 더보기 »

선암사

선암사(仙巖寺)는 전라남도 순천시의 조계산에 위치한 사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선암사 · 더보기 »

설곡시고

설곡시고(雪谷詩藁)는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설곡시고 · 더보기 »

설씨부인 권선문

설씨부인 권선문(薛氏夫人 勸善文)은 전라북도 전주시, 국립전주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서간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설씨부인 권선문 · 더보기 »

성리대전서절요

성리대전서절요(性理大全書節要)는 충청북도 청주시, 청주고인쇄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활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성리대전서절요 · 더보기 »

성균관

성균관(成均館)은 한국의 옛 대학(大學)으로 그 명칭은 고려 충선왕 때 국학(國學)을 성균관으로 개명한 데서 비롯하였.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성균관 · 더보기 »

성주 법수사지 삼층석탑

성주 법수사지 삼층석탑(星州 法水寺址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성주군 법수사지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성주 법수사지 삼층석탑 · 더보기 »

성주 금봉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성주 금봉리 석조비로자나불좌상(星州 金鳳里 石造毘盧遮那佛坐像)은 대좌(臺座)와 광배(光背)를 모두 갖추고 있는 신라 후기에 만들어진 석조 비로자나불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성주 금봉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 더보기 »

성주 선석사 영산회 괘불탱

성주 선석사 영산회 괘불탱(星州 禪石寺 靈山會 掛佛幀)는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선석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성주 선석사 영산회 괘불탱 · 더보기 »

성주도씨 종중 문서 일괄

성주도씨 종중 문서 일괄(星州都氏宗中文書一括)은 조선 태조 2년(1393년)부터 6년(1397년)까지 도응(都膺)이 하사받은 5매의 고문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성주도씨 종중 문서 일괄 · 더보기 »

성주향교 대성전 및 명륜당

성주향교 대성전 및 명륜당(星州鄕校 大成殿 및 明倫堂)은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향교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성주향교 대성전 및 명륜당 · 더보기 »

성수침

저서 청송서 필첩 성수침(成守琛, 1493년 ~ 1564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성수침 · 더보기 »

성수침 필적

성수침 필적 (成守琛 筆蹟)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노은동길 100, 대전선사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서첩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성수침 필적 · 더보기 »

성석린 고신왕지

성석린 고신왕지(成石璘 告身王旨)는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조선시대 성석린(1338∼1423)에게 내려진 왕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성석린 고신왕지 · 더보기 »

성세창 제시 미원계회도

성세창 제시 미원계회도(成世昌 題詩 薇垣契會圖)는 서울특별시 용산구ㅡ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그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성세창 제시 미원계회도 · 더보기 »

성세창 제시 하관계회도

성세창 제시 하관계회도(成世昌 題詩 夏官契會圖)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계회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성세창 제시 하관계회도 · 더보기 »

세종 연화사 칠존불비상

세종 연화사 칠존불비상(世宗 蓮花寺 七尊佛碑像)은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연화사에 있는 통일신라의 조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세종 연화사 칠존불비상 · 더보기 »

세종대학교

세종대학교(世宗大學校, Sejong University)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군자동에 위치한 사립 종합대학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세종대학교 · 더보기 »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世宗特別自治市)는 대한민국 중앙부에 있는 특별자치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세종특별자치시 · 더보기 »

세총통

세총통(細銃筒)은 세종 14년에 창제된 휴대 총통으로, 지금까지 우리 나라에서 개발된 총통 중에서 가장 작. 이는 국조오례의서례의 병기도설 조에 화기의 크기에 따라, 총통완구, 장군화통, 일총통, 이총통, 삼총통, 팔전총통, 사전총통, 사전장총통, 세총통의 순서로 서술되는 점으로 알 수 있. 세종통에 관한 첫 기록은 다음과 같이 확인.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세총통 · 더보기 »

서문중 초상 및 함

서문중 초상 및 함(徐文重 肖像 및 函)은 경기도 포천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문중 초상 및 함 · 더보기 »

서거정 필적

서거정 필적 (徐居正 筆蹟)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 6, 경기도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서첩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거정 필적 · 더보기 »

서경우 초상 및 함

서경우 초상 및 함(徐景雨 肖像 및 函)은 경기도 포천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경우 초상 및 함 · 더보기 »

서봉총 금관

서봉총 금관(瑞鳳塚 金冠)은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신라 무덤인 서봉총에서 출토된 금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봉총 금관 · 더보기 »

서북피아양계만리일람지도

〈서북피아양계만리일람지도〉(西北彼我兩界萬里一覽之圖)는 작자, 연대 미상의 한국 관북 관서 지방과 만주 지방, 러시아의 연해주를 포함하는 관방지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북피아양계만리일람지도 · 더보기 »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서울 開運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및 發願文)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개운사 소유의 고려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 · 더보기 »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 전적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서울 開運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腹藏典籍)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견지동, 불교중앙박물관에 있는 복장전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 전적 · 더보기 »

서울 경국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서울 경국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서울 慶國寺 木刻阿彌陀如來說法像)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 경국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각탱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울 경국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 더보기 »

서울 보타사 마애보살좌상

서울 보타사 마애보살좌상(서울 普陀寺 磨崖菩薩坐像)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개운사의 암자(칠성암)인 보타사 대웅전 뒤쪽 암벽에 조각된 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울 보타사 마애보살좌상 · 더보기 »

서울 보타사 금동보살좌상

서울 보타사 금동보살좌상(서울 普陀寺 金銅菩薩坐像)은 서울 보타사에 있는, 금동(金銅)으로 만든 보살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울 보타사 금동보살좌상 · 더보기 »

서울 봉은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서울 봉은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서울 奉恩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에 있는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울 봉은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 더보기 »

서울 승가사 석조승가대사좌상

서울 승가사 석조승가대사좌상(-- 僧伽寺 石造僧伽大師坐像)은 북한산 승가사의 석굴에 있는 승가대사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울 승가사 석조승가대사좌상 · 더보기 »

서울 흥천사 금동천수관음보살좌상

서울 흥천사 금동천수관음보살좌상(서울 興天寺 金銅千手觀音菩薩坐像)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돈암동, 흥천사에 있는 여말선초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울 흥천사 금동천수관음보살좌상 · 더보기 »

서울 이윤탁 한글영비

서울 이윤탁 한글영비(李允濯 한글靈碑)는 묵재 이문건이 1535년 태릉 조성부지에 있던 아버지 이윤탁의 묘를 이전하여 어머니 고령 신씨의 묘와 합장하면서 직접 글을 쓰고 글씨를 새겨 1536년 묘 앞에 세운 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울 이윤탁 한글영비 · 더보기 »

서울 청룡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서울 청룡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서울 靑龍寺 石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울 청룡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 더보기 »

서울 청진동 출토 백자항아리

서울 청진동 출토 백자항아리(서울 淸進洞 出土 白磁壺)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백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울 청진동 출토 백자항아리 · 더보기 »

서울 수국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서울 수국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서울 守國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및 腹藏遺物)은 서울특별시 은평구 구산동, 수국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과 복장유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울 수국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 더보기 »

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

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서울 玉泉庵 磨崖菩薩坐像)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옥천암에 있는 고려시대의 보살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 · 더보기 »

서울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

서울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서울 三川寺址 磨崖如來立像)은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삼천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마애 여래 입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울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 · 더보기 »

서울 원각사지 대원각사비

서울 원각사지 대원각사비(서울 圓覺寺址 大圓覺寺碑)는 원각사의 창건 내력을 기록한 석비로 조선 성종 2년인 1471년에 세워졌.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울 원각사지 대원각사비 · 더보기 »

서울 화계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서울 화계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서울 華溪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은 서울특별시 강북구, 화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보살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울 화계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서직수 초상

서직수 초상(徐直修 肖像)은 조선 후기의 화가 이명기와 김홍도가 1796년에 문신 서직수를 그린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직수 초상 · 더보기 »

서천 봉서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서천 봉서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舒川 鳳棲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은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봉서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천 봉서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 더보기 »

서천 성북리 오층석탑

서천 성북리 오층석탑(舒川 城北里 五層石塔)은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북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오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천 성북리 오층석탑 · 더보기 »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瑞山 明宗大王 胎室 및 碑)는 충청남도 서산시에 있는, 조선 제 13대 왕인 명종의 태를 묻었던 곳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 · 더보기 »

서산 문수사 금동여래좌상 복장유물

서산 문수사 금동여래좌상 복장유물(瑞山 文殊寺 金銅如來坐像 腹藏遺物)은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4호로 지정된 금동여래좌상에서 나온 것인데, 1993년 불상은 도난당하고 복장유물만이 전. 2008년 8월 28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572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산 문수사 금동여래좌상 복장유물 · 더보기 »

서산 개심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서산 개심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瑞山 開心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은 충청남도 서산시 개심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조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산 개심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 더보기 »

서산 개심사 제석·범천도 및 팔금강·사위보살도

서산 개심사 제석·범천도 및 팔금강·사위보살도(瑞山 開心寺 帝釋·梵天圖 및 八金剛·四位菩薩圖)는 충청남도 서산시 개심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산 개심사 제석·범천도 및 팔금강·사위보살도 · 더보기 »

서산 개심사 영산회괘불탱

서산 개심사 영산회괘불탱(瑞山 開心寺 靈山會掛佛幀)은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개심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산 개심사 영산회괘불탱 · 더보기 »

서산 개심사 오방오제위도 및 사직사자도

서산 개심사 오방오제위도 및 사직사자도(瑞山 開心寺 五方五帝位圖 및 四直使者圖)는 충청남도 서산시 개심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산 개심사 오방오제위도 및 사직사자도 · 더보기 »

서산 보원사지

서산 보원사지(瑞山 普願寺址)는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에 있는 신라시대의 절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산 보원사지 · 더보기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瑞山 普願寺址 法印國師塔碑)는 충청남도 서산시에 위치한 보원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려 법인국사 탄문을 기리는 탑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 더보기 »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瑞山 普願寺址 五層石塔)은 충청남도 서산시에 위치한 보원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오층석탑으로 대한민국의 보물 제104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 더보기 »

서산 보원사지 석조

서산 보원사지 석조(瑞山 普願寺址 石槽)은 충청남도 서산시, 보원사지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석조石槽, 큰 돌의 안을 파내어 물을 담아 쓰는 용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서산 보원사지 석조 · 더보기 »

속초 향성사지 삼층석탑

속초 향성사지 삼층석탑(束草 香城寺址 三層石塔)은 대한민국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향성사지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속초 향성사지 삼층석탑 · 더보기 »

속초 신흥사 극락보전

속초 신흥사 극락보전(束草 神興寺 極樂寶殿)은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신흥사에 있는 극락보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속초 신흥사 극락보전 · 더보기 »

손기정

손기정(孫基禎, 1912년 8월 29일 ~ 2002년 11월 15일)은 일제 강점기 때 활약한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이자 체육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손기정 · 더보기 »

토기 융기문 발

융기문 발(土器 隆起文 鉢)은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선동 패총에서 출토한, 신석기 시대의 융기된 무늬가 장식되어 있는 토기 그릇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토기 융기문 발 · 더보기 »

송악면

송악면(松岳面)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아산시에 있는 면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송악면 · 더보기 »

소총통

소총통(小銃筒)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휴대용 화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소총통 · 더보기 »

소상팔경도

소상팔경도(瀟湘八景圖)는 경상남도 진주시, 국립진주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산수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소상팔경도 · 더보기 »

통명전

창경궁 통명전(昌慶宮通明殿)은 창경궁에 있는 왕의 침전 겸 연회용 건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통명전 · 더보기 »

통영 충렬사 팔사품 일괄

통영 충렬사 팔사품 일괄(統營 忠烈祠 八賜品 一括)은 임진왜란 때 이순신의 뛰어난 무공이 전해지자 명나라 임금인 신종이 충무공 이순신에게 내린 8종류의 유물 15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통영 충렬사 팔사품 일괄 · 더보기 »

통영 측우대

통영 측우대(統營 測雨臺)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동, 국립중앙과학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측우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통영 측우대 · 더보기 »

퇴계선생문집

선생문집(退溪先生文集)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에 있는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 선생의 문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퇴계선생문집 · 더보기 »

퇴계선생문집 목판

선생문집 목판(退溪先生文集木板)은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한국국학진흥원에 있는 목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퇴계선생문집 목판 · 더보기 »

함양 덕전리 마애여래입상

양 덕전리 마애여래입상(咸陽 德田里 磨崖如來立像)은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덕전리에 있는, 고려 시대의 마애 여래 입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함양 덕전리 마애여래입상 · 더보기 »

함양 법인사 감로왕도

양 법인사 감로왕도(咸陽 法印寺 甘露王圖)는 경상남도 함양군 법인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다. 2011년 12월 23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731호로 지정되었다.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함양 법인사 감로왕도 · 더보기 »

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

《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咸陽 校山里 石造如來坐像)은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함양중학교내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 · 더보기 »

함양 승안사지 삼층석탑

양 승안사지 삼층석탑(咸陽 昇安寺址 三層石塔)은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승안사지에 있는, 고려 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함양 승안사지 삼층석탑 · 더보기 »

함양박씨 정랑공파 문중 전적

양박씨 정랑공파 문중 전적(咸陽朴氏 正郞公派 門中 典籍)은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함양 박씨 문중에서 보관하고 있는 것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함양박씨 정랑공파 문중 전적 · 더보기 »

함양읍

양읍(咸陽邑)은 함양군의 군청소재지이며, 군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 남강 상류 함양분지의 중심으로 산간지방의 교통 요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함양읍 · 더보기 »

함통6년명 청동북

통6년명 청동북(咸通六年銘 靑銅金鼓)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청동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함통6년명 청동북 · 더보기 »

함안 대산리 석조삼존상

안 대산리 석조삼존상(咸安 大山里 石造三尊像)은 경상남도 함안군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함안 대산리 석조삼존상 · 더보기 »

합천 백암리 석등

합천 백암리 석등(陜川 伯岩里 石燈)은 경상남도 합천군 백암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석등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합천 백암리 석등 · 더보기 »

합천 청량사 석등

합천 청량사 석등(陜川 淸凉寺 石燈)은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청량사에 있는 9세기 후반 남북국 시대 신라의 석등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합천 청량사 석등 · 더보기 »

합천 청량사 석조여래좌상

합천 청량사 석조여래좌상(陜川 淸凉寺 石造如來坐像)은 경상남도 합천군 청량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합천 청량사 석조여래좌상 · 더보기 »

합천 치인리 마애여래입상

합천 치인리 마애여래입상(陜川 緇仁里 磨崖如來立像)은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에 있는, 9세기 남북국 시대 신라의 마애 여래 입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합천 치인리 마애여래입상 · 더보기 »

합천 영암사지 귀부

합천 영암사지 귀부(陜川 靈岩寺址 龜趺)는 경상남도 합천군 가회면 둔내리, 영암사지에 있는 통일신라의 귀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합천 영암사지 귀부 · 더보기 »

합천 영암사지 쌍사자 석등

합천 영암사지 쌍사자 석등(陜川 靈岩寺址 雙獅子 石燈)은 경상남도 합천군 영암사지에 있는, 남북국 시대 9세기 신라의 석등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합천 영암사지 쌍사자 석등 · 더보기 »

합천 영암사지 삼층석탑

합천 영암사지 삼층석탑(陜川 靈岩寺址 三層石塔)은 경상남도 합천군 가회면 둔내리, 영암사지에 있는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합천 영암사지 삼층석탑 · 더보기 »

합천 해인사 동종

합천 해인사 동종(陜川 海印寺 銅鍾)은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동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합천 해인사 동종 · 더보기 »

합천 해인사 감로왕도

합천 해인사 감로왕도(陜川 海印寺 甘露王圖)는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합천 해인사 감로왕도 · 더보기 »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陜川 海印寺 乾漆希朗大師坐像)은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 조사였던 고려시대 희랑대사의 진영상(眞影像)으로, 해인사에 모셔져 있. 1989년 4월 10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999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 · 더보기 »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陜川 海印寺 法寶殿 木造毘盧遮那佛坐像 및 腹藏遺物)은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 법보전에 있는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 더보기 »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전적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전적(陜川 海印寺 法寶殿 木造毘盧遮那佛坐像 腹藏典籍)은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 법보전에 있는 고려시대의 전적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전적 · 더보기 »

합천 해인사 길상탑

합천 해인사 길상탑(陜川 海印寺 吉祥塔)은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에 있는 통일신라의 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합천 해인사 길상탑 · 더보기 »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유물(陜川 海印寺 大寂光殿 木造毘盧遮那佛坐像 腹藏遺物)은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전적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 더보기 »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전적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전적(陜川 海印寺 大寂光殿 木造毘盧遮那佛坐像 腹藏典籍)은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에 있는 전적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전적 · 더보기 »

합천 해인사 지장시왕도

합천 해인사 지장시왕도(陜川 海印寺 地藏十王圖)는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합천 해인사 지장시왕도 · 더보기 »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陜川 海印寺 靈山會上圖)는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 · 더보기 »

합천 해인사 석조여래입상

합천 해인사 석조여래입상(陜川 海印寺 石造如來立像)은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합천 해인사 석조여래입상 · 더보기 »

합천 해인사 원당암 다층석탑 및 석등

합천 해인사 원당암 다층석탑 및 석등(陜川 海印寺 願堂庵 多層石塔 및 石燈)은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다층석탑과 석등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합천 해인사 원당암 다층석탑 및 석등 · 더보기 »

합천 해인사 홍제암

합천 해인사 홍제암(陜川 海印寺 弘濟庵)은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합천 해인사 홍제암 · 더보기 »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및 석장비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및 석장비(陜川 海印寺 弘濟庵 四溟大師塔 및 石藏碑)는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및 석장비 · 더보기 »

해동조계복암화상잡저

동조계복암화상잡저(海東曹溪宓庵和尙雜著)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해동조계복암화상잡저 · 더보기 »

해동여지도

〈해동여지도〉(海東輿地圖)는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한국의 옛 지도로서, 한국을 경위선식으로 표현하여 전국을 하나로 묶은 최초의 지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해동여지도 · 더보기 »

해남 미황사 괘불탱

미황사 괘불탱(海南 美黃寺 掛佛幀)은 전라남도 해남군 미황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해남 미황사 괘불탱 · 더보기 »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삼층석탑

흥사 북미륵암 삼층석탑(海南 大興寺 北彌勒庵 三層石塔)은 전라남도 해남군 대흥사 북미륵암에 있는,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삼층석탑 · 더보기 »

해남 대흥사 금동관음보살좌상

흥사 금동관음보살좌상(海南 大興寺 金銅觀音菩薩坐像)은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보살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해남 대흥사 금동관음보살좌상 · 더보기 »

해남 대흥사 삼층석탑

흥사 삼층석탑(海南 大興寺 三層石塔)은 전라남도 해남군 대흥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해남 대흥사 삼층석탑 · 더보기 »

해남 대흥사 석가여래삼불좌상

흥사 석가여래삼불좌상은 전라남도 해남군 대흥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해남 대흥사 석가여래삼불좌상 · 더보기 »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탑

흥사 서산대사탑(海南 大興寺 西山大師塔)은 전라남도 해남군 대흥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승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탑 · 더보기 »

해남 윤씨 가전 고화첩 일괄

윤씨 가전 고화첩 일괄(海南 尹氏 家傳 古畵帖 一括)은 조선 후기의 선비 화가인 윤두서(1668∼1715)의 서화첩 등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해남 윤씨 가전 고화첩 일괄 · 더보기 »

해운정

운정(海雲亭)은 강원도 강릉시 운정동에 있는 정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해운정 · 더보기 »

해서암행일기

서암행일기(海西暗行日記)는 조선조 문신인 박만정이 숙종 22년 황해도 암행어사로 임명되어 3월 7일부터 5월 12일까지 65일 동안 암행활동을 적은 초고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해서암행일기 · 더보기 »

한글비석로

비석로(Hangeulbiseok-ro)는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동과 상계동을 잇는 도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한글비석로 · 더보기 »

한국미술박물관

국미술박물관은 대한민국의 서울 종로구 원서동에 있는 사립박물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한국미술박물관 · 더보기 »

한국의 문화

국의 문화(韓國의 文化)는 한국의 전통 예술, 의식주 및 생활 양식을 포함해 다양한 범위를 가리.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한국의 문화 · 더보기 »

한호 필적-석봉진적첩

호 필적-석봉진적첩(韓濩 筆蹟-石峰眞蹟帖)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서첩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한호 필적-석봉진적첩 · 더보기 »

한산후

산후 왕윤 또는 왕균(漢山侯 王昀, 생몰년 미상)은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한산후 · 더보기 »

한석봉증유여장서첩

석봉증류여장서첩(韓石峯贈柳汝章書帖)은 한호 석봉(1543∼1605)이 류여장에게 써준 서첩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한석봉증유여장서첩 · 더보기 »

안동 도산서원 전교당

안동 도산서원 전교당(安東 陶山書院 典敎堂)은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동 도산서원 전교당 · 더보기 »

안동 도산서원 상덕사 및 삼문

안동 도산서원 상덕사 및 삼문(安東 陶山書院 尙德祠 및 三門)은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서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동 도산서원 상덕사 및 삼문 · 더보기 »

안동 개목사 원통전

안동 개목사 원통전(安東 開目寺 圓通殿)은 경상북도 안동시 개목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동 개목사 원통전 · 더보기 »

안동 광흥사 동종

안동 광흥사 동종(安東 廣興寺 銅鍾)은 경상북도 안동시 광흥사에 있던, 16세기 조선의 구리 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동 광흥사 동종 · 더보기 »

안동 봉정사 고금당

안동 봉정사 고금당(安東 鳳停寺 古金堂)은 경상북도 안동시, 봉정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동 봉정사 고금당 · 더보기 »

안동 봉정사 영산회괘불도

안동 봉정사 영산회괘불도(安東 鳳停寺 靈山會掛佛圖)는 경상북도 안동시 봉정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동 봉정사 영산회괘불도 · 더보기 »

안동 봉정사 영산회상벽화

안동 봉정사 영산회상벽화(安東鳳停寺靈山會上壁畵)는 경상북도 안동시 봉정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영산회상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동 봉정사 영산회상벽화 · 더보기 »

안동 봉정사 아미타설법도

안동 봉정사 아미타설법도(安東 鳳停寺 阿彌陀說法圖)는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동 봉정사 아미타설법도 · 더보기 »

안동 봉정사 화엄강당

안동 봉정사 화엄강당(安東 鳳停寺 華嚴講堂)은 경상북도 안동시 봉정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동 봉정사 화엄강당 · 더보기 »

안동 운흥동 오층전탑

안동 운흥동 오층전탑(安東 雲興洞 五層塼塔)은 경북 안동시 운흥동 231에 있는 남북국 시대의 오층 전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동 운흥동 오층전탑 · 더보기 »

안동 평화동 삼층석탑

안동 평화동 삼층석탑(安東 平和洞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안동시 평화동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동 평화동 삼층석탑 · 더보기 »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安東 泥川洞 磨崖如來立像)은 경상북도 안동시 이천동에 있는 고려 시대의 마애불 입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 · 더보기 »

안동 의성김씨 종택

안동 의성김씨 종택(安東 義城金氏 宗宅)은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의성 김씨의 종가 가옥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동 의성김씨 종택 · 더보기 »

안동 조탑리 오층전탑

안동 조탑리 오층전탑은 경북 안동시 일직면 조탑리에 있는, 남북국 시대의 전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동 조탑리 오층전탑 · 더보기 »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安東 太師廟 三功臣 遺物 一括)은 경상북도 안동시 북문동, 태사묘에 있는 고려시대의 유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 · 더보기 »

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

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安東 安寄洞 石造如來坐像)은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 · 더보기 »

안동 하회 충효당

안동 하회 충효당(安東 河回 忠孝堂)은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의 생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동 하회 충효당 · 더보기 »

안중근

안중근(安重根, 1879년 9월 2일 ~ 1910년 3월 26일) 의사는 대한제국의 항일 의병장 겸 정치 사상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중근 · 더보기 »

안중근 의사 유묵

안중근 체포직후 추정되는 사진 안중근은 만주의 여순(旅順:중국식 발음으로는 뤼순) 감옥에서 많은 글씨를.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중근 의사 유묵 · 더보기 »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安養 中初寺址 幢竿支柱)는 경기도 안양시 석수동 중초사지에 있는 당간지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 더보기 »

안양 중초사지 삼층석탑

안양 중초사지 삼층석탑(安養 中初寺址 三層石塔)은 경기도 안양시 중초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양 중초사지 삼층석탑 · 더보기 »

안성 봉업사지 오층석탑

안성 봉업사지 오층석탑(安城 奉業寺址 五層石塔)은 경기도 안성시, 봉업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성 봉업사지 오층석탑 · 더보기 »

안성 봉업사지 석조여래입상

안성 봉업사지 석조여래입상(安城 奉業寺址 石造如來立像)은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사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성 봉업사지 석조여래입상 · 더보기 »

안성 청룡사 감로탱

안성 청룡사 감로탱(安城 靑龍寺 甘露幀)은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청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성 청룡사 감로탱 · 더보기 »

안성 청룡사 대웅전

안성 청룡사 대웅전(安城 靑龍寺 大雄殿)은 경기도 안성시, 청룡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성 청룡사 대웅전 · 더보기 »

안성 청룡사 영산회괘불탱

안성 청룡사 영산회괘불탱(安城 靑龍寺 靈山會掛佛幀)은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청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성 청룡사 영산회괘불탱 · 더보기 »

안성 청원사 건칠아미타여래불좌상 복장전적

안성 청원사 건칠아미타여래불좌상 복장전적(安城 淸源寺 乾漆阿彌陀如來佛坐像 腹藏典籍)은 경기도 안성시 청원사에 있는 건칠 아매타여래불 좌상 안에 넣어 두었던, 고려시대의 《화엄경》 네 권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성 청원사 건칠아미타여래불좌상 복장전적 · 더보기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安城 七長寺 慧炤國師碑)는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비석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더보기 »

안성 칠장사 삼불회괘불탱

장사 삼불회괘불탱(七長寺 三佛會掛佛幀)은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성 칠장사 삼불회괘불탱 · 더보기 »

안성 석남사 영산전

안성 석남사 영산전(安城 石南寺 靈山殿)은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석남사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성 석남사 영산전 · 더보기 »

안압지 출토 금동판 불상 일괄

안압지 출토 금동판 불상 일괄(雁鴨池 出土 金銅板 佛像 一括)은 경상북도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에 있는 통일신라의 금속조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압지 출토 금동판 불상 일괄 · 더보기 »

안심사 (청주시)

안심사(安心寺)는 충청북도 청주시 남이면 사동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안심사 (청주시) · 더보기 »

하동 쌍계사 감로왕도

동 쌍계사 감로왕도(河東 雙磎寺 甘露王圖)는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하동 쌍계사 감로왕도 · 더보기 »

하동 쌍계사 괘불도

동 쌍계사 괘불도(河東 雙磎寺 掛佛圖)는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하동 쌍계사 괘불도 · 더보기 »

하동 쌍계사 승탑

동 쌍계사 승탑(河東 雙磎寺 僧塔)은 보물 제380호로, 통일신라시대의 부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하동 쌍계사 승탑 · 더보기 »

하동 쌍계사 적묵당

동 쌍계사 적묵당(河東 雙溪寺 寂默堂)은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당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하동 쌍계사 적묵당 · 더보기 »

하동 쌍계사 팔상전 영산회상도

동 쌍계사 팔상전 영산회상도(河東 雙磎寺 八相殿 靈山會相圖)는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에 있는, 석가가 영취산에서 설법한 내용을 묘사한 영산회상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하동 쌍계사 팔상전 영산회상도 · 더보기 »

하남 동사지 오층석탑

동사지 오층석탑(河南 桐寺址 五層石塔)은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 하남 동사지(桐寺址)에 있는 고려의 오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하남 동사지 오층석탑 · 더보기 »

하남 동사지 삼층석탑

동사지 삼층석탑(河南 桐寺址 三層石塔)은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에 있는 고려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하남 동사지 삼층석탑 · 더보기 »

하남 교산동 마애약사여래좌상

산동 마애약사여래좌상(河南 校山洞 磨崖藥師如來坐像)은 경기도 하남시 교산동에 있는 고려 시대의 마애 약사여래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하남 교산동 마애약사여래좌상 · 더보기 »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河南 下司倉洞 鐵造釋迦如來坐像)은 경기도 하남시 하사창동의 절터에서 발견된 고려의 철조석가여래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 · 더보기 »

아미타여래도

아미타여래도(阿彌陀如來圖)는 서방 극락정토에 있으면서 죽은 이의 영혼을 극락왕생의 길로 이끌어주는 불교의 부처 중 한명인 아미타여래를 주로 그린 불화를 말. 대한민국의 보물 제1238호로 지정된 아미타여래도는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아미타여래를 그린 불화로, 용인대학교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아미타여래도 · 더보기 »

아산 평촌리 석조약사여래입상

아산 평촌리 석조약사여래입상(牙山 坪村里 石造藥師如來立像)은 아산시 송악면 평촌리에 있으며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석조 약사여래 입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아산 평촌리 석조약사여래입상 · 더보기 »

아산 읍내동 당간지주

아산 읍내동 당간지주(牙山 邑內洞 幢竿支柱)는 충청남도 아산시 읍내동에 있는 고려시대의 당간지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아산 읍내동 당간지주 · 더보기 »

필암서원 문적 일괄

암서원 문적 일괄(筆巖書院 文籍 一括)은 국립광주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문서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필암서원 문적 일괄 · 더보기 »

앙부일구

앙부일구(仰釜日晷)는 1434년 조선 세종대왕 16년 이후로 제작·사용된 해시계로, 과학·역사·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1985년 8월 9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845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앙부일구 · 더보기 »

식물본초

《식물본초》(食物本草)는 보물 제1227호로 지정된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식물본초 · 더보기 »

신륵사

신륵사(神勒寺)는 경기도 여주시 봉미산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로서 신라 시대 때 창건되었다고 여.한국사 > 고대사회의 발전 > 삼국의 성립과 발전 > 고대문화의 발전 > 신륵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일반적으로 한국의 절은 산 속에 짓는 경우가 많은데 반하여 신륵사는 남한강이 보이는 강변에 세워져 있. 조계종 제2교구 본사 용주사의 말사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신륵사 · 더보기 »

신묘삼월 문무과전시방목

신묘삼월 문무과전시방목(辛卯三月 文武科殿試榜目)는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금속활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신묘삼월 문무과전시방목 · 더보기 »

신경행 청난공신교서 및 관련문적

신경행 청난공신교서 및 관련문적(辛景行 淸難功臣敎書 및 關聯文籍)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국립청주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국왕문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신경행 청난공신교서 및 관련문적 · 더보기 »

신법 지평일구 (보물 제840호)

신법 지평일구(新法 地平日晷)란 새로운 서양의 역법에 의해 만들어진 평면 해시계란 뜻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신법 지평일구 (보물 제840호) · 더보기 »

신편산학계몽

《신편산학계몽》(新編算學啓蒙)은 원나라에서 수입한 산학서(算學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신편산학계몽 · 더보기 »

신응경

《신응경》(新應經)은 보물 제1180호로 지정된 의학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신응경 · 더보기 »

신찬벽온방

《신찬벽온방》은 허준이 광해군 5년(1613년)에 온역(瘟疫)을 치료하기 위해 발간한 의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신찬벽온방 · 더보기 »

신숙주 초상

신숙주 초상(申叔舟 肖像)은 충청북도 청주시에 있는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신숙주 초상 · 더보기 »

신여량 밀부유서

신여량 밀부유서(申汝樑 密符諭書)는 광주광역시 북구 매곡동, 국립광주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국왕문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신여량 밀부유서 · 더보기 »

신여량 상가교서

신여량 상가교서(申汝樑 賞加敎書)는 광주광역시 북구 매곡동, 국립광주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국왕문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신여량 상가교서 · 더보기 »

신한첩 곤

신한첩 곤(宸翰帖 坤)은 조선시대 효종 등 왕실 사람들이 한글로 써서 양반가에 출가한 효종의 딸 숙휘공주와 공주의 남편 정제현에게 보낸 편지글들을 모은 것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신한첩 곤 · 더보기 »

심복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평택 심복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平澤 深福寺 石造毘盧舍那佛坐像)은 평택시 현덕면 덕목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석조 비로자나불 입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심복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 더보기 »

심득경 초상

심득경 초상(沈得經 肖像)은 조선 후기의 화가 윤두서가 1710년에 심득경을 그린 초상화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심득경 초상 · 더보기 »

시용향악보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는 조선 성종 ∼ 중종 연간(1469년 ~ 1544년)에 향악의 악보를 기록한 악보집으로 1권 1책의 목판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시용향악보 · 더보기 »

시천견록 및 서천견록

《시천견록·서천견록》은 조선 세종 연간(1418∼1450)에 양촌 권근이 저술한 《시경》·《서경》의 해설서로서 1책의 목판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시천견록 및 서천견록 · 더보기 »

원각류해 권3

원각류해 권3(圓覺類解 卷三)은 서울특별시 중구, 동국대학교도서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경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원각류해 권3 · 더보기 »

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

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原州 居頓寺址 三層石塔)은 강원도 원주시 거돈사지에 있는, 9세기 통일신라 후기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 · 더보기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原州 居頓寺址 圓空國師塔)은 고려시대 초기의 고승 원공국사의 사리를 봉안한 승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 더보기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原州 居頓寺址 圓空國師塔碑)는 강원도 원주시 거돈사지에 있는, 고려의 고승 원공국사(930년 ~ 1018년)의 행적을 기록한 비로 대한민국의 보물 제78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더보기 »

원주 구룡사 삼장보살도

원주 구룡사 삼장보살도(原州 龜龍寺 三藏菩薩圖)는 강원도 월정사에 있는 보살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원주 구룡사 삼장보살도 · 더보기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原州 興法寺址 眞空大師塔 및 石棺)은 신라 말 고려 초의 고승 진공대사의 사리탑과 석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 · 더보기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原州 興法寺址 眞空大師塔碑)는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안창리 흥법사지에 있는 진공대사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로 대한민국의 보물 제463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 더보기 »

원주 흥법사지 삼층석탑

원주 흥법사지 삼층석탑(原州 興法寺址 三層石塔)는 강원도 원주시 흥법사지라고 전하는 밭 가운데에 서 있는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원주 흥법사지 삼층석탑 · 더보기 »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原州 令傳寺址 普濟尊者塔)은 고려 후기의 승려인 보제존자의 사리를 봉안한 승탑으로 대한민국의 보물 제358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 더보기 »

원주 학성동 철조약사여래좌상

원주 학성동 철조약사여래좌상(原州 鶴城洞 鐵造藥師如來坐像)은 강원도 춘천시 국립춘천박물관에 있는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원주 학성동 철조약사여래좌상 · 더보기 »

월인천강지곡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은 조선 세종이 지은 악장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월인천강지곡 · 더보기 »

월인석보 권11, 12

월인석보 권11, 12(月印釋譜 卷十一, 十二)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을 합하여 세조 5년(1459)에 편찬한 불경언해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월인석보 권11, 12 · 더보기 »

월인석보 권17~18

월인석보 권17~18(月印釋譜 卷 十七~十八)은 강원도 홍천군 동면, 수타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월인석보 권17~18 · 더보기 »

월인석보 권21

월인석보 권21(月印釋譜 卷二十一)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본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월인석보 권21 · 더보기 »

월인석보목판

월인석보목판(月印釋譜木板)은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갑사에 있는, 월인석보를 새겨 책으로 찍어내던 판각으로서 대한민국에 남아있는 것 중 유일한 판목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월인석보목판 · 더보기 »

월중도

월중도(越中圖)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그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월중도 · 더보기 »

홍가신 청난공신 교서 및 관련 고문서

홍가신 청난공신 교서 및 관련 고문서(洪可臣 淸難功臣 敎書 및 關聯 古文書)은 충청남도 아산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문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홍가신 청난공신 교서 및 관련 고문서 · 더보기 »

홍천 물걸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홍천 물걸리 석조비로자나불좌상(洪川 物傑里 石造毘盧遮那佛坐像)은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 대승사에 있는 통일신라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홍천 물걸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 더보기 »

홍천 물걸리 석조대좌

홍천 물걸리 석조대좌(洪川 物傑里 石造臺座)은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 대승사에 있는 통일신라의 대좌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홍천 물걸리 석조대좌 · 더보기 »

홍천 물걸리 석조대좌 및 광배

홍천 물걸리 석조대좌 및 광배(洪川 物傑里 石造臺座 및 光背)은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 대승사에 있는 신라의 석조대좌와 광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홍천 물걸리 석조대좌 및 광배 · 더보기 »

홍천 물걸리 석조여래좌상

홍천 물걸리 석조여래좌상(洪川 物傑里 石造如來坐像)은 대한민국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 물걸리, 대승사에 있는 석조여래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홍천 물걸리 석조여래좌상 · 더보기 »

홍천 희망리 당간지주

홍천 희망리 당간지주(洪川 希望里 幢竿支柱)는 강원도 홍천군에 있는 고려시대의 당간지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홍천 희망리 당간지주 · 더보기 »

홍성 고산사 대웅전

홍성 고산사 대웅전(洪城 高山寺 大雄殿)은 충청남도 홍성군, 고산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홍성 고산사 대웅전 · 더보기 »

홍성 오관리 당간지주

홍성 오관리 당간지주(洪城 五官里 幢竿支柱)는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오관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당간지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홍성 오관리 당간지주 · 더보기 »

홍성 신경리 마애여래입상

홍성 신경리 마애여래입상(洪城 新耕里 磨崖如來立像)은 충청남도 홍성군 용봉산의 바위에 새겨진, 고려시대의 마애불 입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홍성 신경리 마애여래입상 · 더보기 »

홍화문

홍화문(弘化門)은 창경궁의 정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홍화문 · 더보기 »

황리현명 청동북

황리현명 청동북(黃利縣銘 靑銅金鼓)은 고려 선종 2년인 1085년 황리현(黃利縣, 현 경기도 여주)의 호장(戶長)이자 무산계(武散階) 정9품 인용부위(仁勇副尉)인 민씨(閔氏) 등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황리현과 가까운 원주시 부론면 법천리에서 발견된 것으로 전. 2013년 9월 4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810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황리현명 청동북 · 더보기 »

황기로 초서-이군옥시

황기로 초서-이군옥시 (黃耆老 草書-李羣玉詩)는 강원도 강릉시 율곡로 3139번길 24, 오죽헌시립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서예 작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황기로 초서-이군옥시 · 더보기 »

황기로 초서-차운시

황기로 초서-차운시 (黃耆老 草書-次韻詩)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견지동 93, 동산방 화랑에 있는 조선시대의 서예작품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황기로 초서-차운시 · 더보기 »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慶州 路西洞 金製頸飾)는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대총 북쪽 봉분에서 출토된, 금으로 만든 굽다리접시(고배)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 더보기 »

환두대도

환두대도(環頭大刀)는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고구려 시대에 만들어진 고리자루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환두대도 · 더보기 »

화천 계성리 석등

화천 계성리 석등(華川 啓星里 石燈)은 강원도 화천군 하남면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등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화천 계성리 석등 · 더보기 »

화순 운주사 구층석탑

화순 운주사 구층석탑(和順 雲住寺 九層石塔)은 전라남도 화순군 운주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구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화순 운주사 구층석탑 · 더보기 »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和順 雲住寺 石造佛龕)은 전라남도 화순군 운주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조 불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 · 더보기 »

화순 운주사 원형 다층석탑

화순 운주사 원형 다층석탑(和順 雲住寺 圓形 多層石塔)은 전라남도 화순군 운주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원형 다층석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화순 운주사 원형 다층석탑 · 더보기 »

화순 쌍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화순 쌍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和順 雙峰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一括)은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쌍봉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보살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화순 쌍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 더보기 »

화순 쌍봉사 대웅전

화순 쌍봉사 대웅전(和順 雙峰寺 大雄殿)은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쌍봉사에 있던 대웅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화순 쌍봉사 대웅전 · 더보기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和順 雙峯寺 澈鑒禪師塔碑)는 전라남도 화순군 쌍봉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비석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 더보기 »

화순 유마사 해련탑

화순 유마사 해련탑(和順 維摩寺 海蓮塔)은 전라남도 화순군 남면, 유마사에 있는 승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화순 유마사 해련탑 · 더보기 »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불좌상복장전적일괄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불좌상복장전적일괄(華城 鳳林寺 木造阿彌陀佛坐像腹藏典籍一括)은 경기도 화성시 봉림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전적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불좌상복장전적일괄 · 더보기 »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華城 鳳林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은 경기도 화성시 봉림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 더보기 »

화성 용주사 대웅보전

화성 용주사 대웅보전(華城 龍珠寺 大雄寶殿)은 경기도 화성시 송산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화성 용주사 대웅보전 · 더보기 »

화성행행도 병풍

화성행행도 병풍(華城行幸圖 屛風)은 조선의 제22대 국왕 정조가 아버지인 사도세자의 묘소에 행차한 모습을 그린 그림을 담은 8폭 병풍을 말. 대한민국의 보물 제1430호로 지정되어 있. 정조가 부친인 사도세자의 회갑을 맞이하여, 정조 19년(1795년) 윤 2월 9일부터 8일간에 걸쳐 모친인 혜경궁 홍씨를 모시고 사도세자의 묘소가 있는 화성의 현륭원(顯隆園)을 행행했을 때 거행한 주요 행사를 그린 8첩 병풍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화성행행도 병풍 · 더보기 »

화성성역의궤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는 조선 후기 화성 성곽 축조에 관한 경위와 제도, 의식 등을 수록한 책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화성성역의궤 · 더보기 »

화서문

수원 화서문(水原 華西門)는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수원 화성의 서문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화서문 · 더보기 »

화원 우배선 의병진 관련자료-교지(교첩)

화원 우배선 의병진 관련자료-교지(교첩)(花園 禹拜善 義兵陳 關聯資料-敎旨(敎牒))은 대구광역시 달서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국왕문서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화원 우배선 의병진 관련자료-교지(교첩) · 더보기 »

완주 정수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완주 정수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完州 淨水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은 전라북도 완주군 상관면, 정수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완주 정수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 더보기 »

완주 위봉사 보광명전

완주 위봉사 보광명전(完州 威鳳寺 普光明殿)은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위봉사에 있는 불전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완주 위봉사 보광명전 · 더보기 »

완주 송광사 대웅전

완주 송광사 대웅전(完州 松廣寺 大雄殿)은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송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완주 송광사 대웅전 · 더보기 »

완주 송광사 종루

완주 송광사 종루(完州 松廣寺 鍾樓)는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송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완주 송광사 종루 · 더보기 »

완주 송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

완주 송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完州 松廣寺 塑造釋迦如來三佛坐像 및 腹藏遺物)은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송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완주 송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 · 더보기 »

완주 안심사 금강계단

완주 안심사 금강계단(完州 安心寺 金剛戒壇)은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안심사에 있는, 17세기 중반 이후 1759년 이전에 조성된 부처의 치아사리(齒牙舍利)와 의습(衣襲)을 봉안한 불사리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완주 안심사 금강계단 · 더보기 »

완주 화암사 우화루

완주 화암사 우화루(完州 花巖寺 雨花樓)는 전라북도 완주군 경천면 가천리, 화암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완주 화암사 우화루 · 더보기 »

완산부지도

완산부지도(完山府地圖)는 전라북도 전주시 국립전주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지리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완산부지도 · 더보기 »

완산구

완산구(完山區)는 대한민국 전라북도 전주시 남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완산구 · 더보기 »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王世子誕降陳賀圖 屛風)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병풍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 · 더보기 »

(전)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전)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傳 楊平 菩提寺址 大鏡大師塔)은 경기도 양평군 보리사지에 있던 것으로 전하는, 고려시대에 대경대사의 사리를 봉안한 승탑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전)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 더보기 »

1001

1001(천일)은 1000보다 크고 1002보다 작은 자연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1001 · 더보기 »

1200

1200(천이백)은 1199보다 크고 1201보다 작은 자연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1200 · 더보기 »

1337

1337(천삼백삼십칠)은 1336보다 크고 1338보다 작은 자연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1337 · 더보기 »

1344

1344(천삼백사십사)는 1343보다 크고 1345보다 작은 자연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1344 · 더보기 »

1500

1500(천오백)은 1499보다 크고 1501보다 작은 자연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1500 · 더보기 »

1944

1944(천구백사십사)은 1943보다 크고 1945보다 작은 자연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1944 · 더보기 »

911

911(구백십일)은 910보다 크고 912보다 작은 자연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911 · 더보기 »

918

918(구백십팔)은 917보다 크고 919보다 작은 자연수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보물와 918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대한민국 보물.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