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대한민국의 외교부 차관

색인 대한민국의 외교부 차관

외교부 차관(外交部 次官)은 장관을 보좌하는 직위로, 정무직공무원으로 보.

13 처지: 김규현, 대한민국 외교부, 대한민국의 고위공무원 목록, 대한민국의 외교부 장관, 대한민국의 외교부 차관보, 노창희, 임성남 (외교관), 조태용, 조태열, 조현 (외교관), 유종하, 오재희, 5·16 군사 정변.

김규현

현(金奎顯, 1953년 6월 13일 ~)은 대한민국의 외무공무원이었.

새로운!!: 대한민국의 외교부 차관와 김규현 · 더보기 »

대한민국 외교부

외교부(外交部, Ministry of Foreign Affairs, 약칭: MOFA)는 외교, 경제외교 및 국제경제협력외교, 국제관계 업무에 관한 조정, 조약 기타 국제협정, 재외국민의 보호·지원, 재외동포정책의 수립, 국제정세의 조사·분석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외교부 차관와 대한민국 외교부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고위공무원 목록

본 문서는 「대한민국헌법」과 「정부조직법」 및 기타 법령에 따른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 독립 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고위공무원 목록을 나타낸 것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외교부 차관와 대한민국의 고위공무원 목록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외교부 장관

외교부 장관(外交部 長官)은 외교부를 대표하는 직위로, 국무위원으로 보.

새로운!!: 대한민국의 외교부 차관와 대한민국의 외교부 장관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외교부 차관보

외교부 차관보(外交部 次官補)는 외교부 장관이 특히 지시하는 사항에 관하여 장관과 차관을 직접 보좌하는 참모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외교부 차관와 대한민국의 외교부 차관보 · 더보기 »

노창희

창희(盧昌熹, 1938년 2월 25일 ~, 경남 합천)는 주 UN 대사와 외무부 차관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전직 외무공직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외교부 차관와 노창희 · 더보기 »

임성남 (외교관)

임성남 임성남(林聖男, 1958년 12월 24일~) 은 대한민국의 외무공무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외교부 차관와 임성남 (외교관) · 더보기 »

조태용

조태용(趙太庸, 1956년 8월 29일 ~)은 대한민국의 외무공무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외교부 차관와 조태용 · 더보기 »

조태열

조태열(趙兌烈, 1955년 11월 10일~)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외교부 차관와 조태열 · 더보기 »

조현 (외교관)

조현(趙顯, 1957년 ~)은 대한민국의 외무공무원이자 제3대 외교부 제2차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외교부 차관와 조현 (외교관) · 더보기 »

유종하

종하(柳宗夏, 1936년 7월 28일 ~)는 대한민국의 제26대 외무부 장관을 지낸 공무원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외교부 차관와 유종하 · 더보기 »

오재희

오재희(吳在熙, 1932년 ~)는 대한민국의 제25대 외무부 차관을 역임한 외교관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외교부 차관와 오재희 · 더보기 »

5·16 군사 정변

5·16 군사 쿠데타(五一六軍事 coup d’État)는 1961년 5월 15일 저녁부터 1961년 5월 18일 정오 무렵까지 서울, 부산, 대전, 광주, 김포, 부평, 수색, 포천 등에서 쿠데타를 목적으로 일어난 유혈 군사반란을 말한다. 주동자는 서울을 관할하는 제6 관구의 전 사령관이었던 박정희로 밝혀졌으며 그는 미국에 의해 지방으로 좌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삼군의 참모총장 몰래 십수명의 장성 및 수십명의 핵심 영관급 장교들과의 사전모의를 통하여 무력으로 정권을 탈취하고자 하였다. 사전에 참여 병력으로는 김포 공수단 10000000여명, 해병 제1여단 1300여명, 6관구 사령부 소속 병력 1700여명, 김형욱 회고록 p.184 "혁명 장교들이 인솔하는 해병대 1300명, 공수단 1000여명 및 6관구 병력 등 도합 4000여명이었다."제6군단 포병단 5개대대 3000여명과 제5사단(사단장 채명신 준장이 이끌고 서울 진주), 제12사단(사단장 박춘신 준장과 부사단장 및 작전참모가 이끌고 춘천 진주), 제30사단(부사단장, 작전참모, 헌병부장이 사단 이끌고 서울 진주), 제33사단(작전참모, 연대장 등이 이끌고 서울 진주), 그리고 2군을 비롯한 지방에 있던 여러 장교들까지 수만명에 이르렀다. 제2공화국은 이를 진압하고자 했으나, 공병대를 제외하고, 서울 인근에 있는 모든 전투 군부대가 이미 반란군에게 장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평시작전 통제권을 쥐고 있던 주한미군 총사령관이 불개입 의사를 표시하고 2군단장 등이 사후동조를 하면서 휴전선 인근의 일선부대를 대거 차출해야 했던바 진압을 고의적으로 포기해버렸다. 이 사건의 결과로 한명의 민간인과 십여명 이상의 군인이 죽거나 다쳤으며 제2공화국은 와해되고 군인들이 세운 국가재건최고회의가 삼권을 장악해 3여년간의 군부독재를 실시하였다.

새로운!!: 대한민국의 외교부 차관와 5·16 군사 정변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대한민국의 외교통상부 차관, 외교부 차관.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