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대홍수 신화

색인 대홍수 신화

신의 복수라는 형태로 인류문명을 파괴하는 대홍수에 관한 이야기는 많은 문화권에서 신화로서 전파되어 왔. 가장 널리 퍼진 것은 성경의 노아의 방주(Noah's Ark)에 나오는 것이.

19 처지: 목도령, 그리스의 이름, 근대성/식민성 그룹, 길가메시 서사시, 비둘기자리, 대홍수, 네피림, 노아, 포모르, 포폴 부흐, 이아페토스, 지우수드라, 카사르 (아일랜드 신화), 캐터클리즘, 파르홀론, 올리브, 에린 왕국 편년사, 에피메테우스, 아카드어.

목도령

목도령(木道令) 또는 나무도령은 한국 설화에 등장하는 신선으로, 계수나무의 정령과 선녀 사이서 태어났다고 전해졌.

새로운!!: 대홍수 신화와 목도령 · 더보기 »

그리스의 이름

리스와 그리스 민족을 이르는 수많은 이름이 있는데, 그리스인들 자신들도 여러 이름으로 부른.

새로운!!: 대홍수 신화와 그리스의 이름 · 더보기 »

근대성/식민성 그룹

성/식민성 그룹()은 21세기 첫 10년 동안 라틴 아메리카에서 활동한 중요한 비판적 사유 집단으로 여러 세대에 걸친 다학문적 지식인 네트워크이.

새로운!!: 대홍수 신화와 근대성/식민성 그룹 · 더보기 »

길가메시 서사시

메시 서사시 (- 敍事詩; Epic of Gilgamesh)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서사시로 수메르 남부의 도시 국가 우루크의 전설적인 왕 길가메시(Gilgaméš)를 노래하였.

새로운!!: 대홍수 신화와 길가메시 서사시 · 더보기 »

비둘기자리

비둘기자리(Columba)는 큰개자리와 토끼자리 아랫쪽에 위치한 작은 별자리이.

새로운!!: 대홍수 신화와 비둘기자리 · 더보기 »

대홍수

홍수(大洪水)는 비가 많이 내려 홍수가 크게 생긴 것을 말.

새로운!!: 대홍수 신화와 대홍수 · 더보기 »

네피림

〈다윗과 골리앗〉- 13세기 프랑스 한 유태인화가 네피림(Nephilim)은 히브리 성경과 성경에 등장하는 족속이.

새로운!!: 대홍수 신화와 네피림 · 더보기 »

노아

아의 제사 노아(Noah)는 이스라엘과 아랍의 전설에 등장하는 인물이자 성경 구약성서의 창세기의 홍수이야기(창세기 6:5-17)에 나오는 인물이.

새로운!!: 대홍수 신화와 노아 · 더보기 »

포모르

400px 포모르()는 아일랜드 신화에 등장하는 신적 존재들이.

새로운!!: 대홍수 신화와 포모르 · 더보기 »

포폴 부흐

《포폴 부흐》의 가장 오래된 판본(1701년경 프란시스코 히메네스 저) 《포폴 부흐》()는 과테말라 서부 고지대의 키체 왕국의 신화-역사적 서사를 다룬 말뭉치이.

새로운!!: 대홍수 신화와 포폴 부흐 · 더보기 »

이아페토스

이아페토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티탄(거신족)으로 우라노스와 가이아의 아들이.

새로운!!: 대홍수 신화와 이아페토스 · 더보기 »

지우수드라

우수드라(그리이스어 크시우트로스, 아카드어 아트라하시스.

새로운!!: 대홍수 신화와 지우수드라 · 더보기 »

카사르 (아일랜드 신화)

사르()는 《에린 침략의 서》(LGE)에 등장하는 인물이.

새로운!!: 대홍수 신화와 카사르 (아일랜드 신화) · 더보기 »

캐터클리즘

리즘(cataclysm)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대홍수 신화와 캐터클리즘 · 더보기 »

파르홀론

르홀론()은 《에린 침략의 서》에 등장하는 인물이.

새로운!!: 대홍수 신화와 파르홀론 · 더보기 »

올리브

올리브(olive)는 물푸레나무과의 식물로서 열매가 올리브기름과 피클을 만드는 데 이용.

새로운!!: 대홍수 신화와 올리브 · 더보기 »

에린 왕국 편년사

사의 기원후 432년 부분. 《에린 왕국 편년사》()는 중세 아일랜드의 편년사이.

새로운!!: 대홍수 신화와 에린 왕국 편년사 · 더보기 »

에피메테우스

에피메테우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거인족 신의 일원으로 이아페토스와 클리메네 (혹은 아시아)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

새로운!!: 대홍수 신화와 에피메테우스 · 더보기 »

아카드어

아카드어로된 길가메시 서사시의 대홍수 신화의 점토판 아카드어 (lišānum akkadītum)는 셈어파이며 고대 메소포타미아 특히 아시리아인과 바빌로니아인들에서 쓰였.(아시로-바빌로니아어이라 불린다.). 최초의 검증된 셈어파의 언어인 그것은 고대 수메르어에서 유래한 쐐기 문자를 사용하였.

새로운!!: 대홍수 신화와 아카드어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대홍수 (신화), 홍수 신화, 홍수신화.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