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도참

색인 도참

(圖讖) 또는 참위(讖緯)는 내용형식에 관계 없이 미래에 일어날 일에 대한 예언 혹은 징조를 통칭하는 낱말로, 특히 인간 생활의 길흉화복 또는 성쇠득실(盛衰得失)에 대한 예언 혹은 징조를 가리키는 낱말이.

36 처지: 도교, 도참, 도선, 도선비기, 동부 (후한), 묘청의 난, 방술, 고려, 고려의 건국 신화, 고려의 행정 구역, 공손도, 괘서사건, 당간, 용덕궁, 평양직할시, 중국 철학, 창녕 관룡사 용선대 석조여래좌상, 윤치병, 윤치성, 팔관회, 서운관, 서영석 (1879년), 토정비결, 해동 (별칭), 한·당 시대의 사상, 한규복 (1881년), 한국 불교의 역사, 한국 철학, 한국의 도교, 한국의 수도, 한성부, 하도낙서, 원술, 훈요십조, 홍경래의 난, 홍사익.

도교

(道敎)는 고대 중국에서 발생한 종교로서, 신선사상을 근본으로 하여 음양오행복서무축참위 등을 더하고, 거기에 도가(道家)의 철학을 도입하고, 다시 불교의 영향을 받아 성립.

새로운!!: 도참와 도교 · 더보기 »

도참

(圖讖) 또는 참위(讖緯)는 내용형식에 관계 없이 미래에 일어날 일에 대한 예언 혹은 징조를 통칭하는 낱말로, 특히 인간 생활의 길흉화복 또는 성쇠득실(盛衰得失)에 대한 예언 혹은 징조를 가리키는 낱말이.

새로운!!: 도참와 도참 · 더보기 »

도선

순천 선암사 선각국사 도선 진영 도선(道詵, 827~898, 전라남도 영암 출생)은 신라 말기의 승려이며 풍수설의 대가이.

새로운!!: 도참와 도선 · 더보기 »

도선비기

《도선비기》(道詵秘記)는 통일신라 후기의 승려 도선(道詵, 827~898)이 지었다고 전하는 풍수서로 현재 원본은 전해지지 않고 《고려사》에 언급된 것이 있을 뿐이.

새로운!!: 도참와 도선비기 · 더보기 »

동부 (후한)

동부(董扶, ? ~ ?)는 중국 후한 말의 인물로 자는 무안(茂安)이며 익주 광한군 면죽현(綿竹縣) 사람이.

새로운!!: 도참와 동부 (후한) · 더보기 »

묘청의 난

묘청의 난(妙淸-亂, 1135년 1월 19일(음력 1월 4일) ~ 1136년)은 고려 인종 때 승려 묘청 등이 금국정벌론과 서경천도론이 개경 귀족들의 방해로 무산되자 서경(西京)에서 국호를 대위(大爲), 연호를 천개(天開), 군호(軍號)를 천견충의군(天遣忠義軍)이라 하여 대위국(大爲國)을 선언하고 일으킨 반란이.

새로운!!: 도참와 묘청의 난 · 더보기 »

방술

시귀(蓍龜)에 사용되던 갑골문자방술(方術)이란 자연현상에서 규칙성을 이끌어내고 그러한 규칙에 의해 길흉을 점치거나 불로장생을 추구하는 학문들의 통칭이.

새로운!!: 도참와 방술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도참와 고려 · 더보기 »

고려의 건국 신화

의 임금들은 용왕의 외손으로 고려 왕족은 그래서 겨드랑이에 비늘이 있다는 전설이 있. 태조를 비롯하여 태조의 조상들, 작제건, 보육에 대한 전설과 신화가 내려온.

새로운!!: 도참와 고려의 건국 신화 · 더보기 »

고려의 행정 구역

의 행정 구역은 성종 초부터 정비되었으며, 전국을 5도 양계와 경기로 크게 나뉘었.

새로운!!: 도참와 고려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공손도

공손 도(公孫度, ? ~ 204년) 또는 공손 탁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승제(升濟)이며 유주 요동군 양평현(襄平縣) 사람이.

새로운!!: 도참와 공손도 · 더보기 »

괘서사건

서 사건(掛書事件)은 조선 중기 이후 삼정의 문란과 세도 정치에 시달린 일반 민중들이 인생의 길·흉·화·복이나 왕조의 운명·성쇠를 예언하는 비기(秘記) 및 참설(讖設) 등을 믿고 괘서·방서(榜書) 등의 벽보를 이용하여 그 비기 및 참설을 민간에 전파시켜 민심을 현혹한 사건이.

새로운!!: 도참와 괘서사건 · 더보기 »

당간

양 객사리 석당간 당간(幢竿)은 한국 사찰에 설치되었던 시설물로, 사찰의 입구에 세워 법회나 기도 등의 행사가 있을 때나 불전을 장엄하게 하기 위하여 당(幢)이라는 이름의 기를 내거는 기둥이.

새로운!!: 도참와 당간 · 더보기 »

용덕궁

용덕궁(龍德宮)은 고려 예종(睿宗) 때 도참설에 의하여 서경 용언 지리에 세운 궁궐로 용언궁(龍堰宮)이.

새로운!!: 도참와 용덕궁 · 더보기 »

평양직할시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도참와 평양직할시 · 더보기 »

중국 철학

중국 철학(中國哲學Chinese philosophies) 또는 중국의 사상(中國의 思想Chinese thoughts)은 중국에서 전개된 철학 또는 사상을 가리.

새로운!!: 도참와 중국 철학 · 더보기 »

창녕 관룡사 용선대 석조여래좌상

창녕 관룡사 용선대 석조여래좌상(昌寧 觀龍寺 龍船臺 石造如來坐像)은 경상남도 창녕군 관룡사 근처 용선대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석조 여래 좌상이.

새로운!!: 도참와 창녕 관룡사 용선대 석조여래좌상 · 더보기 »

윤치병

윤치병(尹致昞, 1880년 음력 6월 4일 - 1940년 양력 1월 24일)은 한말의 무신, 군인이.

새로운!!: 도참와 윤치병 · 더보기 »

윤치성

윤치성(尹致晟, 1875년 음력 3월 2일 - 1936년 양력 8월 11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군인, 관료,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도참와 윤치성 · 더보기 »

팔관회

회(八關會)는 신라 때 시작되어 고려 때까지 이어진 불교 의식(儀式)이.

새로운!!: 도참와 팔관회 · 더보기 »

서운관

서운관(書雲觀)은 고려시대부터 존재하였던 기구로, 천문학, 지리학(地理學)·역수(曆數: 책력)·측후(測候)·각루(刻漏) 등의 업무를 맡아보던 관청이.

새로운!!: 도참와 서운관 · 더보기 »

서영석 (1879년)

서영석(徐英錫, 1879년 2월 5일 ~ 1966년 2월 29일)은 대한제국의 군인, 무신이.

새로운!!: 도참와 서영석 (1879년) · 더보기 »

토정비결

정비결(土亭秘訣)은 조선 중기의 학자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이 지은 도참서(圖讖書)로 신수 석중결 또는 석중결(石中訣) 이라 고도 불린.

새로운!!: 도참와 토정비결 · 더보기 »

해동 (별칭)

동(海東)은 한국에 대한 별칭이.

새로운!!: 도참와 해동 (별칭) · 더보기 »

한·당 시대의 사상

이 문서 한·당 시대의 사상(漢唐時代의 思想)은, 한나라(漢: 기원전 206~기원후 220) 시대로부터 위진남북조 시대(魏晉南北朝時代: 220~589)를 지나 수나라(隋: 581~618)당나라(唐: 618~907)오대십국 시대(五代十國時代: 907~960)에 이르기까지 약 1천년 동안의 중국의 중세(中世) 시대에서 전개된 사상을 설명.

새로운!!: 도참와 한·당 시대의 사상 · 더보기 »

한규복 (1881년)

복 한규복(韓圭復, 일본식 이름: 井垣圭復, 1881년 7월 7일 ~ 1967년 9월 13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통역관, 화가, 서예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화가, 서예가로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새로운!!: 도참와 한규복 (1881년)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새로운!!: 도참와 한국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한국 철학

국 철학은 신라와 고려의 불교 사상, 조선의 성리학, 실학 등 유교 사상을.

새로운!!: 도참와 한국 철학 · 더보기 »

한국의 도교

국의 도교는 한국에서 전개된 도교이.

새로운!!: 도참와 한국의 도교 · 더보기 »

한국의 수도

음은 한국사에 존재했던 여러 나라들의 수도이.

새로운!!: 도참와 한국의 수도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도참와 한성부 · 더보기 »

하도낙서

(河圖)와 낙서(洛書 또는 雒書)는 태극과 팔괘의 효시가 되는 그림이.

새로운!!: 도참와 하도낙서 · 더보기 »

원술

원술(袁術, ? ~ 199년)은 중국 후한 말의 장군으로 자는 공로(公路)이며 예주 여남군 여양현(汝陽縣) 사람이.

새로운!!: 도참와 원술 · 더보기 »

훈요십조

훈요 십조(訓要十條)는 《고려사》에 수록된, 고려 태조가 후손에게 남겼다는 열 가지 가르침이.

새로운!!: 도참와 훈요십조 · 더보기 »

홍경래의 난

홍경래의 난(洪景來의 亂)은 1811년(순조 11년) 음력 12월 18일(양력 1812년 1월 31일)부터 1812년(순조 12년) 5월 29일(음력 4월 19일)까지 홍경래·우군칙 등을 중심으로 평안도에서 일어난 넓은 의미에서의 농민 반란이.

새로운!!: 도참와 홍경래의 난 · 더보기 »

홍사익

홍사익과 그 가족 홍사익(洪思翊, 1887년 2월 2일 ~ 1946년 9월 26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일본의 군인이며, 일제 강점기에 일본군 육군 중장을.

새로운!!: 도참와 홍사익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고구려비기, 도참 사상, 도참사상, 도참설, 도참서, 백제망국참언, 음양도참, 음양도참설, 참위, 참위설, 참위서, 참위학, 참설, 신라망국참언, 왕창근 경문참.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