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

색인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

조약문에 서명하고 있는 소련 외무부 장관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서 있는 사람 중 왼쪽에서 셋째가 독일 외무부 장관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넷째가 이오시프 스탈린이다.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獨逸-蘇聯 不可侵 條約)은 1939년 8월 23일에 나치 독일과 소련이 상호 불가침을 목적으로 조인한 조약이.

101 처지: 러시아의 대외 관계, 러시아의 역사, 독일, 독일의 대외 관계, 동물 농장, 동부 전선 (제2차 세계 대전), 동구권, 라트비아, 루마니아, 리투아니아, 마하바드 공화국, 방공 협정, 발트 3국, 발트의 길, 바르바로사 작전, 강철 조약,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베저위붕 작전, 겨울 전쟁, 겨울전쟁 연표, 게오르기 주코프, 고노에 후미마로, 볼린 주, 볼히니아, 병합, 불가침 조약, 부코비나, 브레스트 요새 방어전, 빌뉴스, 빅토르 골란츠, 대루마니아, 냉전, 내무인민위원회, 나치 독일, 드랑 나흐 오스텐, 노르웨이 전역, 니콜라이 바투틴,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히라누마 기이치로, 크레시, 폴란드 분할, 폴란드 제2공화국, 폴란드 침공, 폴란드의 역사, 흐로드나, 이탈리아의 역사, 이오시프 스탈린, 이온 안토네스쿠, 적색파시즘, 제2차 세계 대전, ...,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사건 연표, 제2차 세계 대전 연표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추축국 부역,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 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 조지아 내전, 조지아-오세티야 충돌, 좌파 북클럽, 지그문트 베를링, 창사 전투 (1939년), 총독부 (나치 독일), 추축국, 카를 비트포겔, 카를리스 울마니스, 카틴 학살, 커즌 선, 코랑탱 카리우, 유럽 전구 (제2차 세계 대전), 타르투, 호르스트 쾰러, 얄타 회담, 에두아르 달라디에, 에스토니아, 에스토니아인 부대 (제2차 세계 대전), 에어갭 전투, 역사 연표, 사이크스–피코 협정, 삼국 동맹 조약, 세묜 부됸니, 서방 계획, 소련, 소련의 발트 3국 점령 (1940년), 소련의 베사라비아·북부코비나 점령, 소련의 붕괴, 소련의 군사사, 소련의 폴란드 침공, 소련의 역사 (1927년 ~ 1953년), 할리우드 블랙리스트,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아돌프 히틀러, 아제르바이잔 인민 정부, 핀란드 민주공화국, 핀란드의 역사, 신질서 (나치즘), 후구계획, MMP, 1930년대, 1939년, 1946년 이란 위기, 20세기 연표, 8월 23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51 더) »

러시아의 대외 관계

시아는 세계 1위 면적과 세계 9위 인구(1억 4200만명), 국내총생산(GDP) 1조 4200억 달러의 세계 12권 경제대국으로 거대한 내수시장을 보유하고 있. 또한 천연자원이 풍부.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러시아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러시아의 역사

시아의 역사는 일반적으로 동유럽의 슬라브 민족이 분열될 때, 키예프 공국이 세워지고 흥한 것에 의해 모스크바 대공국이 루시의 옛 영토뿐만 아니라 우랄, 중앙아시아, 시베리아에서 극동의 오호츠크 해 연안까지 형성된 국가 발전의 역사로 파악.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러시아의 역사 · 더보기 »

독일

독일 연방공화국(), 줄여서 독일()은 중앙유럽에 있는 나라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독일 · 더보기 »

독일의 대외 관계

독일 연방 공화국(독일)은 중앙유럽에 위치한 나라로 유럽 연합(EU), G8, G20, 경제협력개발기구 그리고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회원국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독일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동물 농장

동물농장의 깃발. 말 발굽과 뿔을 소련의 낫과 망치와 유사하게 배치하였다. 《동물농장》(Animal Farm)은 영국의 작가 조지 오웰이 1945년에 출판한 풍자 소설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동물 농장 · 더보기 »

동부 전선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동부 전선은 추축국 및 공동 교전국 핀란드가 소련,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를 비롯한 다른 연합국과 싸운 전역을 일컫.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동부 전선 (제2차 세계 대전) · 더보기 »

동구권

동구권의 영역도. 동구권(東歐圈), 공산권(共産圈), 또는 소비에트 블록(Soviet bloc)은 과거 동유럽과 중앙유럽의 공산주의 국가들을 일컫는 말로, 바르샤바 조약의 가맹국과 더불어 유고슬라비아와 알바니아 를 이르는데, 유고슬라비아는 1948년에, 알바니아는 1960년에 소비에트 연방과 결별하였.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동구권 · 더보기 »

라트비아

비아()는 북유럽에 있는 공화국으로서, 공식 명칭은 라트비아 공화국()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라트비아 · 더보기 »

루마니아

마니아()는 남유럽의 공화국으로 공용어는 루마니아어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루마니아 · 더보기 »

리투아니아

리투아니아()는 북유럽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리투아니아 · 더보기 »

마하바드 공화국

마하바드 공화국()은 이란에 위치한 이란령 쿠르디스탄에 거주하던 쿠르드인이 수립한 소련의 괴뢰 정권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마하바드 공화국 · 더보기 »

방공 협정

방공 협정에 서명하고 있는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독일 외무장관과 무샤노코지 긴토모 독일 주재 일본 대사 방공 협정 일본어 원본 문서 방공 협정(防共協定) 또는 반코민테른 협정()은 1936년 10월 25일 나치 독일과 일본 제국이 코민테른과 소련에 대항하기 위해 맺은 협정으로 독일이나 일본이 소련의 침략을 받을 경우 양국 모두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특별한 조치를 취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 1937년 11월 6일 이탈리아 왕국이 협정에 서명하면서 추축국이 형성되었으며 1941년 11월 25일을 기해 개정된 새 협정에 따라 유효 기간이 5년 연장되었.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방공 협정 · 더보기 »

발트 3국

발트 3국 right 발트 3국(Baltic states, Baltic countries)은 발트해 동쪽의 세 나라를 지칭하는 말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발트 3국 · 더보기 »

발트의 길

발트의 길 발트의 길()은 1989년 8월 23일 발트 3국(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국민 200만 명이 만든 약 600km의 인간 사슬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발트의 길 · 더보기 »

바르바로사 작전

바르바로사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의 동부 전선에서 나치 독일이 소비에트 연방을 침공한 작전명칭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바르바로사 작전 · 더보기 »

강철 조약

강철 조약 체결식 강철 조약(鋼鐵條約)은 1939년 5월 22일 나치 독일과 이탈리아 왕국 양국이 맺은 조약으로 독일의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와 이탈리아의 갈레아초 치아노가 이 조약에 서명.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강철 조약 · 더보기 »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뱌체슬라프 미하일로비치 몰로토프(본명: 뱌체슬라프 미하일로비치 스크랴빈(),, 1890년 3월 9일(율리우스력 2월 25일) ~ 1986년 11월 8일)는 소비에트 연방의 정치가, 외교관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 더보기 »

베저위붕 작전

베저위붕 작전() 또는 베저 작전, 베저뤼붕 작전은 나치 독일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스칸디나비아의 중립국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침공한 작전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베저위붕 작전 · 더보기 »

겨울 전쟁

1940년 핀란드 스키부대 겨울 전쟁()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39년 11월 30일 소련이 핀란드를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으로 소련-핀란드 전쟁 이. 일명 '계속 전쟁' 인 제2차 소련-핀란드 전쟁과 대비하여 제1차 소련-핀란드 전쟁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겨울 전쟁 · 더보기 »

겨울전쟁 연표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겨울전쟁 연표 · 더보기 »

게오르기 주코프

오르기 콘스탄티노비치 주코프(1896년 12월 1일 ~ 1974년 6월 18일)는 소비에트 연방의 군인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게오르기 주코프 · 더보기 »

고노에 후미마로

에 후미마로(1891년 10월 12일 ~ 1945년 12월 16일)는 섭가 고노에 가문 출신의 일본 정치가·공작, 제34·38·39대 일본 내각총리대신을.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고노에 후미마로 · 더보기 »

볼린 주

볼린 주()는 우크라이나 북서부에 위치한 주로 주도는 루츠크이며 면적은 20,144km2, 인구는 1,036,891명(2006년 기준)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볼린 주 · 더보기 »

볼히니아

볼히니아()는 우크라이나 서부에 위치한 역사적 지역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볼히니아 · 더보기 »

병합

병합(倂合, Annexation)은 외국 영토의 일부 또는 전체를 자국 영토에 편입하여 주권을 넘겨받는 것을 말. 주권을 완전히 이양하지 않는 점령이나 조차지, 보호국, 보호령과는 구별.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병합 · 더보기 »

불가침 조약

불가침 조약(不可侵條約, non-aggression pact), 중립 조약(neutrality pact)은 서로 군사적인 행동에 관여하지 않겠다고 약속하는 둘 이상의 국가 간 조약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불가침 조약 · 더보기 »

부코비나

우크라이나 지도에 표시된 부코비나의 위치 역사적 몰다비아와 함께 표시된 부코비나 부코비나(독일어와 폴란드어: Bukowina)는 중앙유럽에 위치한 역사적 지역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부코비나 · 더보기 »

브레스트 요새 방어전

브레스트 요새 방어전()은 1941년 6월 22일부터 29일까지 계속된 전투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브레스트 요새 방어전 · 더보기 »

빌뉴스

빌뉴스()는 리투아니아의 수도로, 옛 이름은 빌나 (Vilna) 였. 전간기에는 리투아니아 대공국, 후에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영토였.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빌뉴스 · 더보기 »

빅토르 골란츠

빅토르 골란츠 경(Sir Victor Gollancz, , 1893년 4월 9일 ~ 1967년 2월 8일)은 영국의 출판인이며 인도주의자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빅토르 골란츠 · 더보기 »

대루마니아

1930년 당시의 대루마니아의 행정 구역 지도 대루마니아()는 1919년부터 1940년까지 루마니아 왕국이 지배했던 영토를 가리키는 용어로 총면적은 295,649km2였.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대루마니아 · 더보기 »

냉전

냉전(冷戰)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부터 1991년까지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을 비롯한 양측 동맹국 사이에서 갈등, 긴장, 경쟁 상태가 이어진 대립 시기를 말. '냉전'이라는 표현은 버나드 바루크가 1947년에 트루먼 독트린에 관한 논쟁 중 이 말을 써서 유명해졌는데, 이것은 무기를 들고 싸운다는 의미의 전쟁인 열전(熱戰)과 다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냉전 · 더보기 »

내무인민위원회

무인민위원회(內務人民委員會)는 소비에트 연방의 정부기관이자 비밀경찰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내무인민위원회 · 더보기 »

나치 독일

독일은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과 아돌프 히틀러 치하의 1933년부터 1945년까지의 독일을 가리.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나치 독일 · 더보기 »

드랑 나흐 오스텐

1939년 독일의 폴란드 침공 이후 추방당하는 폴란드인. 폴란드의 서부는 독일 식민 계획의 일환으로 독일인의 이주시키기 위해 폴란드인이 추방되었다. 드랑 나흐 오스텐 (독일어로 "동부에 대한 갈망" "동부로 돌격",Ulrich Best, Transgression as a Rule: German-Polish cross-border cooperation, border discouse and EU-enlargement, 2008, p. 58,, "동부로의 전진",Jerzy Jan Lerski, Piotr Wróbel, Richard J. Kozicki, Historical Dictionary of Poland, 966–1945, 1996, p. 118,, "동부로의 진전"Edmund Jan Osmańczyk, Anthony Mango, Encyclopedia of the United Nations and International Agreements, 2003, p. 579,,, "동부로의 욕망"을 뜻함)은 19세기 독일 확장을 위해 슬라브 민족의 땅을 점령한다는 개념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드랑 나흐 오스텐 · 더보기 »

노르웨이 전역

르웨이 전역은 나치 독일의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가짜 전쟁 중의 노르웨이의 전역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노르웨이 전역 · 더보기 »

니콜라이 바투틴

이 표도로비치 바투틴 (1901년 12월 16일 ~ 1944년 4월 14일)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한 소련의 군인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니콜라이 바투틴 · 더보기 »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1936년 방공 협정 체결식에 참석한 무샤노코지 긴토모와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울리히 프리드리히 빌헬름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Ulrich Friedrich Wilhelm Joachim von Ribbentrop, 1893년 4월 30일 ~ 1946년 10월 16일)는 나치 독일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 더보기 »

히라누마 기이치로

히라누마 기이치로(1867년 9월 28일 ~ 1952년 8월 22일)는 일본의 정치가이며, 남작, 법학 박사, 니혼 대학 총장, 다이토 분카 대학 총장, 제35대 내각총리대신을.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히라누마 기이치로 · 더보기 »

크레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 국토의 이동. 파란 선은 1919년 12월 8일 커즌 선, 분홍색 지역은 전쟁 이후 폴란드에 할양된 독일 영토, 회색 지역은 전쟁 이후 소련에 할양된 폴란드 영토이다. 크레시()는 폴란드의 옛 동부 지역을 가리키는 용어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크레시 · 더보기 »

폴란드 분할

색 계열 폴란드 분할() 또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분할은 18세기에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영토가 세 차례에 걸쳐 프로이센 왕국, 러시아 제국, 오스트리아(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세 주변국에 의해 분할된 사건을 말.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폴란드 분할 · 더보기 »

폴란드 제2공화국

제2공화국()은 전간기 폴란드의 정치체제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폴란드 제2공화국 · 더보기 »

폴란드 침공

공(), 또는 9월 전역(), 1939년 방어전(), 제4차 폴란드 분할() 나치 독일에서는 (독일어: Polenfeldzug) 또는 백색 상황()으로 불리는 전투는 독일과 소비에트 연방, 슬로바키아가 제2차 세계 대전 중 폴란드를 침공한 사건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폴란드 침공 · 더보기 »

폴란드의 역사

원래 지금의 폴란드 땅에는 게르만족들이 살고 있었.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폴란드의 역사 · 더보기 »

흐로드나

흐로드나()는 벨라루스의 도시로 흐로드나 주의 주도이며 인구는 327,540명(2009년 기준)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흐로드나 · 더보기 »

이탈리아의 역사

마 프레스코 벽화(기원후 45-79년) 이탈리아의 역사는 선사 시대인 85만년 전 무렵에 살았던 구석기인의 유적인 몬테포기올로까지 소급될 수 있.(이탈리아어) 또한 4만 3천년 전 무렵부터는 크로마뇽인이 거주 하였.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이탈리아의 역사 · 더보기 »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비사리오노비치 스탈린(1879년 12월 18일 ~ 1953년 3월 5일)은 러시아의 정치가, 공산주의 운동가 · 노동운동가이자 소비에트 연방의 군인·정치인·작가·시인, 언론인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이오시프 스탈린 · 더보기 »

이온 안토네스쿠

이온 빅토르 안토네스쿠(1882년 6월 15일 ~ 1946년 6월 1일)는 루마니아의 군인이자 권위주의 정치인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이온 안토네스쿠 · 더보기 »

적색파시즘

적색파시즘은 스탈린주의와 마오주의등을 파시즘에 비유하는 경멸적인 용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적색파시즘 · 더보기 »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또는 World War II)은 1939년 9월 1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치러진,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남긴 가장 파괴적인 전쟁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제2차 세계 대전 · 더보기 »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사건 연표

이 연표는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이전인 1918년 10월부터 1939년 8월까지의 연표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사건 연표 · 더보기 »

제2차 세계 대전 연표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 연표 (1939년)은 제2차 세계 대전 초기 1939년 9월 ~ 12월까지 4개월간 일어났던 전투와 사건들을 소개한 것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제2차 세계 대전 연표 (1939년) · 더보기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추축국 부역

축국의 영향 국가에서, 일부 시민은 민족주의, 타민족 증오, 반공주의, 반유대주의, 기회주의 또는 잠재적 사망 원인을 피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추축국에 대한 부역을.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추축국 부역 · 더보기 »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

녹색이 연합국, 하늘색이 추축국의 최대 세력 범위, 노란색이 중립국 처칠. 장제스, 루즈벨트와 처칠. 루즈벨트와 처칠은 팔꿈치를 마주 대고 같이 앉아 있다. 태평양 전쟁의 연합군 지도자가 1943년 카이로 회담에서 참석하였다. 카사블랑카 회담에 참석한 미국의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영국의 수상 윈스턴 처칠 연합국(聯合國)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추축국에 대항하여 만들어진 연합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 · 더보기 »

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

1939년 9월 1일 베스테르플라테의 독일 전함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이 발포로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었다. 진주만 공격 당시, 일본 항공대의 폭격에 유폭되어 폭발한 USS 쇼 (DD-373). 진주만 공격 당시 2발의 공중 투하 폭탄, 7발의 어뢰가 명중해 침몰한 USS 웨스트버지니아 (BB-48). 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은 국가 간 긴장,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해결되지 않은 과제, 전간기 기간의 분개, 1930년대 대공황 등 여러 사건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졌.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 · 더보기 »

조지아 내전

조지아 내전(Georgian Civil War)은 남오세티야(1988~1992년)와 압하스(1992~1993년) 내 민족간 국내 충돌이며, 1991년 12월 21일 ~ 1992년 1월 6일에 처음으로 민주적으로 선출된 조지아의 대통령 즈비아드 감사쿠르디아와 그 뒤로 권력을 되찾으려고 시도한 봉기(1993년)에 대항한 격렬한 군사 쿠데타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조지아 내전 · 더보기 »

조지아-오세티야 충돌

조지아-오세티야 충돌은 1989년에 전개되어 1991~1992년 남오세티야 전쟁으로 발전한 조지아의 남오세티야 자치 지역에서의 민족적-정치적 충돌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조지아-오세티야 충돌 · 더보기 »

좌파 북클럽

좌파 북클럽(The Left Book Club)은 1930년대 후반과 40년대 영국의 주요 좌익 단체로, 1936년에 스태포드 크립스와 빅토르 골란츠, 이블린 존 스트레이치가 영국의 좌파들에게 교육과 새바람을 넣어주기 위해 설립한 단체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좌파 북클럽 · 더보기 »

지그문트 베를링

문트 헨리크 베를링(1896년 4월 17일 – 1980년 7월 11일)은 폴란드의 장군이자 정치인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지그문트 베를링 · 더보기 »

창사 전투 (1939년)

1차 창사 전투 또는 창사 전투()는 중일 전쟁 도중 중국의 창사에 일어난 1939년 9월 17일부터 10월 6일까지 발발한 첫 번째 전투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창사 전투 (1939년) · 더보기 »

총독부 (나치 독일)

총독부()란 제2차 세계 대전 개전 때 나치 독일과 소련이 폴란드 제2공화국을 분할한 이후 옛 폴란드 및 우크라이나 지역에 설치한 행정기구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총독부 (나치 독일) · 더보기 »

추축국

축국 참가 국가 (파란색). 추축국(樞軸國)은 20세기의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연합국 측에 대항하여 전쟁을 한 세력을 일컫.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추축국 · 더보기 »

카를 비트포겔

를 아우구스트 비트포겔(Karl August Wittfogel, 1896년 9월 6일 ~ 1988년 5월 25일)은 독일계 미국인 중국학자, 역사학자, 사회학자, 경제학자, 극작가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카를 비트포겔 · 더보기 »

카를리스 울마니스

를리스 아우구스츠 빌헬름스 울마니스(1877년 9월 4일 ~ 1942년 9월 20일)는 라트비아의 제4대 대통령이자 군티스 울마니스의 종조부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카를리스 울마니스 · 더보기 »

카틴 학살

학살과 관련된 장소 카틴 학살 (zbrodnia katyńska, "카틴 범죄"; Катынский расстрел Katynskij rasstrel, "카틴 사격")은 소련 경찰기관이었던 내무인민위원회가 1940년 4월부터 5월까지 수행한 폴란드인 대량학살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카틴 학살 · 더보기 »

커즌 선

선(Curzon Line)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군 최고 위원회가 설정한 폴란드 제2공화국과 볼셰비키 러시아 간의 휴전선이며, 차후 국경선이 될 예정인 선이었.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커즌 선 · 더보기 »

코랑탱 카리우

랑탱 마리 카리우(Corentin Marie Cariou, 1898년 12월 13일 - 1942년 3월 7일)는 프랑스의 노동운동가이자 공산주의 정치가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코랑탱 카리우 · 더보기 »

유럽 전구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의 유럽 전구, 유럽 전쟁은 유럽에서 일어난 거대한 전구 중 하나로 나치 독일이 폴란드 제2공화국을 침공한 1939년 9월 1일부터 독일이 무조건 항복한 1945년 5월 8일(유럽 전승 기념일)까지 지속되었.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유럽 전구 (제2차 세계 대전) · 더보기 »

타르투

르투()는 에스토니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로 인구는 98,449명(2013년)이고 면적은 38.8 km²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타르투 · 더보기 »

호르스트 쾰러

호르스트 쾰러(1943년 2월 22일 ~) 는 독일의 정치인으로 2004년 7월 1일부터 독일연방공화국의 제9대 대통령에 재임했으나 2010년 5월 31일 중도 사임.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호르스트 쾰러 · 더보기 »

얄타 회담

얄타 회담()은 1945년 2월 4일부터 2월 11일까지 소련 흑해 연안에 있는 크림 반도의 얄타에서 미국·영국·소련의 수뇌자들이 모여 나치 독일의 제2차 세계 대전의 패전과 그 관리에 대하여 의견을 나눈 회담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얄타 회담 · 더보기 »

에두아르 달라디에

에두아르 달라디에(Édouard Daladier, 1884년 6월 18일 ~ 1970년 10월 10일)는 프랑스의 정치가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에두아르 달라디에 · 더보기 »

에스토니아

에스토니아()는 북유럽에 위치하며 북쪽과 서쪽은 발트 해, 동쪽은 러시아, 남쪽은 라트비아와 닿아 있. 수도는 탈린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에스토니아 · 더보기 »

에스토니아인 부대 (제2차 세계 대전)

에스토니아인 부대(제2차 세계 대전)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측에서 전쟁에 참전한 부. 에스토니아는 제1차 세계 대전 후에 독립국이 되었다가 1939년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의 비밀 부속 조약문에 따라 소련이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고 다시 점령하였다(1940년 4월).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에스토니아인 부대 (제2차 세계 대전) · 더보기 »

에어갭 전투

에어갭 전투(Air Gap Battle)는 1939년 9월 3일에서 1940년 5월 8일까지 영국 연방을 비롯한 연합군과 독일군 U보트와 대서양 간극에서 벌인 전투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에어갭 전투 · 더보기 »

역사 연표

역사 연표는 세계사를 적은 연표로 한국사도 포함되어 있.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역사 연표 · 더보기 »

사이크스–피코 협정

1917년 11월 26일 가디언 지에서 발췌한 기사. 이 기사는 사이크스-피코 협정을 알린 첫 번째 영문 기사 중 하나이다. 공식적으로 소아시아 협정(Asia Minor Agreement)으로 알려진 사이크스 피코 협정(Sykes–Picot Agreement)은 러시아 제국의 동의와 함께 대영제국, 프랑스간에 맺어진 비밀 합의로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협상국이 오스만 제국을 격파한 이후 중동의 세력권을 나누기 위한 협정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사이크스–피코 협정 · 더보기 »

삼국 동맹 조약

1938년 일본에서 제작된 삼국 동맹 조약 선전 엽서 《사이가 좋은 세 나라(仲良し三国)》 1940년 9월 삼국 동맹 조약 체결을 기념하기 위해 베를린 주재 일본 대사관에 내걸린 세 나라의 국기 삼국 동맹 조약(三國同盟條約)은 1940년 9월 27일 나치 독일과 이탈리아 왕국, 일본 제국 세 나라가 독일 베를린에서 체결한 군사 동맹 조약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의 추축국을 형성한 조약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삼국 동맹 조약 · 더보기 »

세묜 부됸니

세묜 미하일로비치 부됸니 (러시아어: Семён Михайлович Будённый, 로마자표기: Semiyon Mikhailovich Budyonny, 다른 표기는 로마자로는 Budennii, Budenny, Budyenny 등이 있다) (1883년 4월 13일 – 1973년 10월 26일)는 소련의 군인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세묜 부됸니 · 더보기 »

서방 계획

1939년 8월 31일 독일의 배치 병력 및 작전 계획. 서방 계획(Plan Zachód)은 나치 독일의 침공을 방어하기 위한 폴란드군의 군사 작전으로, 1930년대 후반에 입안되었.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서방 계획 · 더보기 »

소련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약칭 소비에트 연방()또는 소련(蘇聯) 은 1922년 12월 30일부터 1991년 12월 26일까지 유라시아 북부에 존재하였던 세계 최초의 공산주의 국가였.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소련 · 더보기 »

소련의 발트 3국 점령 (1940년)

소비에트 연방의 발트 3국 점령()은 발트 3국의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 라트비아를 1940년 6월 14일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의 내용에 따라 소련이 점령한 사건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소련의 발트 3국 점령 (1940년) · 더보기 »

소련의 베사라비아·북부코비나 점령

소련의 베사라비아·북부코비나 점령은 옛 루마니아 왕국의 지역인 베사라비아, 북부코비나, 그리고 헤르자 지역을 소련의 적군이 1940년에 점령한 사건을 일컫.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소련의 베사라비아·북부코비나 점령 · 더보기 »

소련의 붕괴

15. 우즈베키스탄 소련의 붕괴는 1991년 12월 26일 소련 최고 소비에트의 142-Н 선언으로 일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소련의 붕괴 · 더보기 »

소련의 군사사

공산주의는 원래 히틀러가 극도로 싫어할 정도로 미워하였으나, 히틀러의 계획을 이루는데 소련이 끼어들면 이룰 수 없었기 때문에, 그 둘은 서로 다른 계획으로 독소불가침조약을 맺. 이 조약에는 서로 침범하지 않으며, 동유럽의 세력권과 서로 나눌 영토까지 협졍한 비밀조약이었.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소련의 군사사 · 더보기 »

소련의 폴란드 침공

1939년 소비에트 연방의 폴란드 침공()은 극동에서 소비에트 연방과 일본 제국이 할힌골 전투를 치룬 직후인 1939년 9월 17일 공식적인 선전 포고 없이 폴란드와 소비에트 연방 간에 일어난 전쟁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소련의 폴란드 침공 · 더보기 »

소련의 역사 (1927년 ~ 1953년)

1927년부터 1953년까지 소비에트 연방의 역사는 흔히 스탈린의 지배기로도 불린.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소련의 역사 (1927년 ~ 1953년) · 더보기 »

할리우드 블랙리스트

리우드 블랙리스트(Hollywood blacklist)란 20세기 중반 무렵 그들의 정치적인 신념이나 가입한 조직 때문에 연예산업(entertainment industry)에서 활동이 거부당한 극본/각본가, 배우, 감독, 음악가 등(의 목록)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할리우드 블랙리스트 · 더보기 »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알렉산드라 미하일로브나 콜론타이(Aleksandra Mikhailovna Kollontai, Александра Михайловна Коллонтай, 1872년 3월 31일 ~ 1952년 3월 9일)는 러시아 제국과 소비에트 연방의 노동 운동가, 페미니스트 운동가, 정치인이자 외교관, 소설가, 사회주의자.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 더보기 »

아돌프 히틀러

아돌프 히틀러(1889년 4월 20일 ~ 1945년 4월 30일)는 독일의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의 지도자이자 정치인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아돌프 히틀러 · 더보기 »

아제르바이잔 인민 정부

아제르바이잔 인민 정부())는 이란 서부에 위치한 이란령 아제르바이잔에 거주하던 아제르바이잔인이 수립한 소련의 괴뢰 정권이다.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아제르바이잔 인민 정부 · 더보기 »

핀란드 민주공화국

민주공화국()은 겨울전쟁 기간 동안 존재한 소련의 괴뢰국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핀란드 민주공화국 · 더보기 »

핀란드의 역사

200px 핀란드의 역사는 기원전 8,000년부터 현재까지 이어진 핀란드의 역사를 말.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핀란드의 역사 · 더보기 »

신질서 (나치즘)

신질서 (新秩序) 또는 유럽 신질서는 나치 독일이 유럽에 부과한 정치적 계획, 궁극적으로는 세계 정복 계획의 이름을 뜻. 신질서는 이미 제2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구축되었으나, 1941년 아돌프 히틀러의 선언으로 공개적으로 선포되었.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신질서 (나치즘) · 더보기 »

후구계획

후구계획() 혹은 육족협화()는 1930년대에 일본에서 추진된 유대인 난민을 만주국으로 이주시키려던 계획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후구계획 · 더보기 »

MMP

MMP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MMP · 더보기 »

1930년대

1930년대는 1930년부터 193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1930년대 · 더보기 »

1939년

193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1939년 · 더보기 »

1946년 이란 위기

1945-1946년의 아제르바이잔 자치 공화국 및 마하바드 공화국의 지도. 1946년 이란 위기 또는 이란-아제르바이잔 위기는 제2차 세계 대전 말 반복된 보증에도 불구하고 소련이 점령한 이란 영토에서 철수를 거부하면서 발생한 위기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1946년 이란 위기 · 더보기 »

20세기 연표

20세기의 연표이.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20세기 연표 · 더보기 »

8월 23일

8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5번째(윤년일 경우 23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와 8월 23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독-소 불가침 조약, 독-소 불가침조약, 독-소불가침조약,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 독소 불가침 조약, 독소 불가침조약, 독소불가침조약, 리벤트로프-몰로토프 밀약,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