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돌궐

색인 돌궐

돌궐 제1제국의 강역 서돌궐의 강역 동돌궐 및 이후 돌궐 제2제국 최전성기의 강역 돌궐(突厥,,, 551년-657년) 또는 괵튀르크(𐰜𐰇𐰚 𐱅𐰇𐰼𐰜, Göktürk)는 천산 산맥에서 발원한 철륵의 하위 부족이.

148 처지: 러시아의 역사, 돌궐 문자, 돌궐 제1카간국, 돌궐어, 독발선비, 동돌궐, 동이교위, 동아시아의 역사, 로마-페르시아 전쟁, 루스 카간국, 맹화유궤, 메르키트 연맹, 몽골, 몽골의 역사, 몽골족, 문성공주, 백제, 발해, 발해 무왕, 발해 고왕, 바가투르, 바흐람 코빈, 강거, 가로쓰기와 세로쓰기, 가르궁린, 가림토, 가가우스인, 가오창 구, 견당사, 고간 (당나라), 고구려, 고구려-당 전쟁, 고구려-수·당 전쟁, 고구려의 대외 관계, 고장공, 고전후 시대, 고창 (역사), 고혜진, 고연수, 고선지, 보장왕, 북제, 북제 문선제, 불가리아인, 대조영 (드라마), 대하돌라, 두막루, 남북조 시대, 당나라, 우문호, ..., 우문헌, 우중문, 우즈베키스탄, 울지공, 습족, 요나라, 요숭, 페르가나, 이넬 카간, 이회수, 이정, 이정 (571년), 의자의 역사, 제1차 고구려-당 전쟁, 제2차 고구려-수 전쟁, 제국의 목록, 절도사, 정령 (민족), 정관의 치, 주민준, 주서, 주필산 전투, 중앙아시아의 역사, 지역패권에 의한 평화 목록, 창족, 초기 무슬림 정복전쟁, 카스 시, 카파간 카간, 카툰 (칭호), 쿠얼러 시, 팍스 시니카, 유라시아 스텝,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14, 유목제국, 유연 (나라), 위구르족, 샤흐르바라즈, 타이위안 시, 타타르 연맹, 투먼 (제도), 수 문제, 수 양제, 수러 현, 수나라, 영양왕, 오대 (오대 십국), 오대 십국 시대, 호스로 1세, 옛 나라 목록, 양민황후, 양충 (북주), 양원왕, 에프탈, 역사 연표, 연개소문 (드라마), 키르기스스탄, 사토, 삼국 시대, 선비 (민족), 선우, 선우도호부, 설인귀, 설연타, 설세웅, 터키인, 터키의 국장, 터키의 역사, 세계 정복, 서돌궐, 서경도, 손만영, 톤유쿡, 소그디아나, 소정방, 소치, 해족, 안 (성씨), 안북도호부, 안녹산, 안시성 전투, 하자르 카간국, 아바르족,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 아프샤르 왕조, 아세나, 신라의 삼국통일, 신당서, 신장 위구르 자치구, 실위, 후한 (오대), 퀼테긴, 왕문도, 왕오천축국전, 1037년, 1194년, 553년, 572년, 7세기.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98 더) »

러시아의 역사

시아의 역사는 일반적으로 동유럽의 슬라브 민족이 분열될 때, 키예프 공국이 세워지고 흥한 것에 의해 모스크바 대공국이 루시의 옛 영토뿐만 아니라 우랄, 중앙아시아, 시베리아에서 극동의 오호츠크 해 연안까지 형성된 국가 발전의 역사로 파악.

새로운!!: 돌궐와 러시아의 역사 · 더보기 »

돌궐 문자

문자(突厥文字)는 돌궐에서 쓰인 표음문자이.

새로운!!: 돌궐와 돌궐 문자 · 더보기 »

돌궐 제1카간국

국()은 몽골 고원 일대에서 돌궐 민족이 수립한 유목제국이.

새로운!!: 돌궐와 돌궐 제1카간국 · 더보기 »

돌궐어

어(突厥語, East Old Turkic)는 튀르크어족 언어로서 최초로 나타나는 언어이.

새로운!!: 돌궐와 돌궐어 · 더보기 »

독발선비

독발선비(禿髮鮮卑) 또는 하서선비(河西鮮卑)는 선비족의 일파로서, 남량을 건국하였.

새로운!!: 돌궐와 독발선비 · 더보기 »

동돌궐

동돌궐과 돌궐 제2제국에 최전성기의 강역. 동돌궐(東突厥) (583년~644년) 은 583년에 수나라의 이간책으로 분리된 돌궐의 한 세력이.

새로운!!: 돌궐와 동돌궐 · 더보기 »

동이교위

동이교위(東夷校尉)는 중국 위진남북조 시기에 요동 지방에 설치되었던 관직이.

새로운!!: 돌궐와 동이교위 · 더보기 »

동아시아의 역사

동아시아 지역 동아시아의 역사는 한국과 일본, 중국 등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의 역사이.

새로운!!: 돌궐와 동아시아의 역사 · 더보기 »

로마-페르시아 전쟁

마, 파르티아, 셀레우코스 제국. 로마와 파르티아는 곧 셀레우코스의 영토를 침입하여 둘다 서아시아의 최강국으로 성장한다. 로마-페르시아 전쟁은 로마 문화권의 국가들과 두 개의 페르시아 제국 사이에 벌어진 오랜 기간의 전쟁을 통틀어 가리.

새로운!!: 돌궐와 로마-페르시아 전쟁 · 더보기 »

루스 카간국

스 카간국(Rus' Khaganate)이란 현대의 역사학자들이 8세기 말에서 9세기 중반까지 동유럽에 존재했던, 기록이 거의 남아있지 않은 정체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돌궐와 루스 카간국 · 더보기 »

맹화유궤

원후 1044년 무경총요에 실린 맹화유궤 맹화유궤(猛火油櫃)는 중세 중국의 소이무기이.

새로운!!: 돌궐와 맹화유궤 · 더보기 »

메르키트 연맹

메르키트()는 중세 몽골 부족 연맹체 중 하나이.

새로운!!: 돌궐와 메르키트 연맹 · 더보기 »

몽골

몽골국(음차: 몽고(蒙古))), 약칭 몽골은 동아시아의 내륙국이다. 가장 큰 도시는 수도인 울란바토르고, 정치 체제는 의회 공화국이다. 1992년 민주주의 체제로 변경되었다. 1,564,116km2의 넓은 영토를 가진 몽골은 카자흐스탄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내륙국이나, 인구는 약 300만 명 으로 적다. 13세기 칭기즈 칸이 몽골 제국을 건국했으며, 칭기즈 칸의 손자이자 몽골 제국의 제5대 칸인 쿠빌라이 칸 시절에는 국호를 원으로 개칭하고, 이후 명나라가 중원을 탈환하게 되어서 몽골 초원지대로 물러났다. 이후 1688년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에 복속하여 외몽골로 불렸다. 1911년 제1차 혁명을 일으켰으나 1920년 철폐되었고, 러시아의 10월 혁명에 영향을 받아 1921년 제2차 혁명을 일으켜 현재의 형태로 독립하였다. 북쪽으로 러시아, 남쪽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 접하여 있다.

새로운!!: 돌궐와 몽골 · 더보기 »

몽골의 역사

몽골의 역사는 부족 시대 이후 칭기스 칸이 몽골 제국을 건국하고 청나라의 통치기를 겪은 몽골의 역사를 다루는 문서이.

새로운!!: 돌궐와 몽골의 역사 · 더보기 »

몽골족

몽골족()은 몽골, 러시아, 중국(주로 내몽골 자치구)에 거주하는 민족이.

새로운!!: 돌궐와 몽골족 · 더보기 »

문성공주

브리쿠티(좌)-송첸캄포(中)-문성공주(우) 문성공주(623년경 ~ 680년)는 당나라의 공주로 토번이라 일컫는 티베트 손챈감포 왕의 제2왕비이.

새로운!!: 돌궐와 문성공주 · 더보기 »

백제

백제(百濟, 기원전 18년 ~ 660년 8월 29일)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고구려,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

새로운!!: 돌궐와 백제 · 더보기 »

발해

발해(渤海, 698년 ~ 926년)는 고구려 멸망 이후 고구려를 계승하여 대조영이 건국한 국가이.

새로운!!: 돌궐와 발해 · 더보기 »

발해 무왕

발해 무왕 대무예(渤海 武王 大武藝, ? ~ 737년, 재위: 719년 6월 ~ 737년)는 발해의 제2대 왕이.

새로운!!: 돌궐와 발해 무왕 · 더보기 »

발해 고왕

발해 고왕 대조영(渤海 高王 大祚榮, ? ~719년 6월 재위: 698년~719년 6월)은 남북국 시대(南北國時代)는 발해(渤海)의 초대 왕으로, 걸걸중상(乞乞仲象)의 아들이.

새로운!!: 돌궐와 발해 고왕 · 더보기 »

바가투르

바가투르()는 튀르크-몽골의 역사적인 칭호.

새로운!!: 돌궐와 바가투르 · 더보기 »

바흐람 코빈

바흐람 6세의 동전 바흐람 추빈(페르시아어: بهرام چوبین, 영어: Chubin, Chobina, ? - 591년) 또는 바흐람 6세(영어:Bahram VI)는 사산 왕조 페르시아 제국의 장군이자 샤이.

새로운!!: 돌궐와 바흐람 코빈 · 더보기 »

강거

장건의 보고서에 기술된 나라들 강거 (康居)는 현재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 남부 인근 지역에 세워진 고대 국가이.

새로운!!: 돌궐와 강거 · 더보기 »

가로쓰기와 세로쓰기

《훈민정음 언해본》.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행갈이를 하고 있다. 소식(蘇軾)의 서예 작품 〈한식첩(寒食帖)〉.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행갈이를 하고 있다. 가로쓰기와 세로쓰기는 문서에 문자를 써 나가는 방식이.

새로운!!: 돌궐와 가로쓰기와 세로쓰기 · 더보기 »

가르궁린

르궁린(喝(爾)弓仁 또는 논궁인(論弓仁, 663년 ~ 723년)은 과거 티베트 고원, 서역,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세력을 떨치던 토번(吐番)의 명장이자 재상이기도 하였던 가르친링(喝(爾)欽陵, 論欽陵, ?~699)의 아들이다. 그는 티베트 사람으로써는 최초로 중원 왕조에 들어와 고위의 장군직에 있던 사람이었다. 그는 663년 위우(位于, 현재 산남지구(山南地區)의 궁결현(窮結縣))에서 태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의 할아버지인 가르통첸은 토번의 찬보중 가장 위대하다고 여겨지는 송첸캄포(松贊干布, 581~649)를 도와 외적인 일을 하였던 최고의 재상 중 한 명이었다. 가르통첸과 가르친링 대를 거치면서, 가르(Mgar) 가문은 토번에서 막강한 지위를 갖게 되었다.

새로운!!: 돌궐와 가르궁린 · 더보기 »

가림토

《환단고기》에 등장하는 가림토 가림토(加臨土) 또는 가림다(加臨多)는 기원전 22세기에 고조선에서 만들어졌다고 《환단고기》(桓檀古記)에 등장하는 가공의 문자이.

새로운!!: 돌궐와 가림토 · 더보기 »

가가우스인

우스 족(Gagauz)는 주로 몰도바에 거주하는 투르크계 민족이.

새로운!!: 돌궐와 가가우스인 · 더보기 »

가오창 구

오창 구()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 투루판 시의 시할구이.

새로운!!: 돌궐와 가오창 구 · 더보기 »

견당사

당사()는, 일본 야마토 정권과 나라 시대(710년~794년)와 헤이안 시대(794년~1185년)에 일본 조정에서 당(唐, 618년~907년)《당서》에는 왜국이 당에 파견한 조공 사절로 되어 있. 일본에서 견당사를 파견하기 이전에도 쇼토쿠 태자는 수(隋)에 견수사()와 유학승(留學僧)을 보. 619년 중국에서는 수가 멸망하고 새로 당이 개창하였는데, 그때까지는 왜에서 중국으로 파견되던 사신을 견수사라 불렀었.

새로운!!: 돌궐와 견당사 · 더보기 »

고간 (당나라)

(高侃, 高偘, ? ~ ?)은 당나라의 장군이.

새로운!!: 돌궐와 고간 (당나라) · 더보기 »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새로운!!: 돌궐와 고구려 · 더보기 »

고구려-당 전쟁

-당 전쟁은 645년에서 668년까지 고구려와 당나라 사이에서 벌어졌던 전쟁이.

새로운!!: 돌궐와 고구려-당 전쟁 · 더보기 »

고구려-수·당 전쟁

수나라 및 당나라를 맞아 싸운 일련의 전쟁을 고구려-수·당 전쟁이라 총칭.

새로운!!: 돌궐와 고구려-수·당 전쟁 · 더보기 »

고구려의 대외 관계

이글은 고구려의 대외 관계를 나라별로 서술한 글이.

새로운!!: 돌궐와 고구려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고장공

장공(高長恭, 541년 ~ 573년)은 중국 남북조시대의 북제(北齊)의 황족이며 무장이.

새로운!!: 돌궐와 고장공 · 더보기 »

고전후 시대

전근대(Pre-Modern Era) 또는 고전후 시대(post-classical era), 고대후 시대(Post-Ancient Era)는 고대와 근세 사이의 시대를 일컫는 말이.

새로운!!: 돌궐와 고전후 시대 · 더보기 »

고창 (역사)

비단길위의 위치 고창(高昌)은 고대 실크로드 도시로 중국의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의 황량한 타클라마칸 사막의 북쪽 주변에 건설되었.

새로운!!: 돌궐와 고창 (역사) · 더보기 »

고혜진

혜진(高惠眞, ? ~ ?)은 고구려 말의 무장이.

새로운!!: 돌궐와 고혜진 · 더보기 »

고연수

연수(高延壽, ? ~ 645년)는 고구려 말의 무장이.

새로운!!: 돌궐와 고연수 · 더보기 »

고선지

선지(高仙芝, ? ~ 755년)는 고구려 유민 출신 당나라 장군이.

새로운!!: 돌궐와 고선지 · 더보기 »

보장왕

보장왕(寶臧王, ? ~ 682년)은 고구려의 제28대 국왕(재위: 642년 11월 ~ 668년 9월)이.

새로운!!: 돌궐와 보장왕 · 더보기 »

북제

위진 남북조 왕조들의 계통도 북제(北齊, 550년 ~ 577년)는 중국 남북조 시대(439년 ~ 589년) 중에 강태공의 후예인 강성(姜姓) 고씨(高氏)에 의해 건국한 왕조이.

새로운!!: 돌궐와 북제 · 더보기 »

북제 문선제

제 현조 문선황제 고양(齊 顯祖 文宣皇帝 高洋, 526년 ~ 559년)은 중국 남북조 시대 북제의 초대 황제로, 자는 자진(子進)이.

새로운!!: 돌궐와 북제 문선제 · 더보기 »

불가리아인

불가리아인()은 주로 불가리아에서 살고 있는 남슬라브족으로 불가리아어를 시용하는 민족 및 그 혈통을 말. 또 다른 뜻으로는 불가리아의 국민(시민권자)를 말하지만, 보통은 남슬라브족의 불가리아 민족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사용.

새로운!!: 돌궐와 불가리아인 · 더보기 »

대조영 (드라마)

《대조영》(大祚榮)은 KBS가 2006년 9월 16일부터 2007년 12월 23일까지 방영한 고구려·발해사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돌궐와 대조영 (드라마) · 더보기 »

대하돌라

(大賀咄羅, ? ~ ?)는 거란(契丹)의 추장이.

새로운!!: 돌궐와 대하돌라 · 더보기 »

두막루

막루(豆莫婁, 서기 410년? ~ 726년)는 부여의 유민들이 나하를 건너가 건국한 나라이.

새로운!!: 돌궐와 두막루 · 더보기 »

남북조 시대

위진 남북조 왕조들의 계통도 남북조 시대(南北朝時代: 420~589)는 한족이 세운 남조와 유목민족이 세운 북조가 대립하다, 수나라가 통일할 때까지의 시기를 말. 이 시기 강남에는 송(宋), 제(齊), 양(梁), 진(陳)의 4개 왕조가 차례로 흥망했는데, 이것을 가리켜 남조(南朝)라고 불. 또한 같은 건강(建康; 건업(建業)의 새 이름)을 수도로 삼았던 삼국시대의 오나라와 동진을 합쳐 육조(六朝)라고 불러 이 시대를 육조 시대라고 부르기도 하나, 이는 주로 문화사를 다룰 때 쓰이는 시대 구분이.

새로운!!: 돌궐와 남북조 시대 · 더보기 »

당나라

당(唐, 618년 ~ 907년)은 수나라 멸망 뒤 건국된 중국의 정통왕조이.

새로운!!: 돌궐와 당나라 · 더보기 »

우문호

우문호(宇文護, 513년 ~ 572년)는 중국 남북조 시대 북주의 황족, 정치가이.

새로운!!: 돌궐와 우문호 · 더보기 »

우문헌

우문헌(宇文憲, 544년 ~ 578년)은 중국 남북조 시대 북주(北周)의 황족이며, 자는 비하돌(毗賀突)이.

새로운!!: 돌궐와 우문헌 · 더보기 »

우중문

우중문(于仲文, 545년 - 613년)은 북주, 수나라의 정치가 겸 장군이.

새로운!!: 돌궐와 우중문 · 더보기 »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 약칭 우즈베키스탄()은 중앙아시아에 있는 내륙국이고, 수도는 타슈켄트이.

새로운!!: 돌궐와 우즈베키스탄 · 더보기 »

울지공

울지공 울지공(尉遲恭, 585년 ~ 658년) 또는 위지공은 중국의 당나라 초기의 무장이.

새로운!!: 돌궐와 울지공 · 더보기 »

습족

습족(霫族) 또는 백습(白霫)은 고대 중국 남북조시대, 만주 서부 시라무렌 강 츠펑에서 살았던 유목민족으로, 수렵과 유목이 주 생활이었.

새로운!!: 돌궐와 습족 · 더보기 »

요나라

요(大遼, 916년 ~ 1125년)는 거란족이 중국 북부와 몽골 지역에 세운 왕조이.

새로운!!: 돌궐와 요나라 · 더보기 »

요숭

요숭(姚崇, 650년 ~ 721년)은, 중국 당 왕조의 정치가이.

새로운!!: 돌궐와 요숭 · 더보기 »

페르가나

르가나 페르가나()는 중앙아시아의 동부, 아랄 해로 흘러 들어가는 시르다리야 강 상류와 카라테긴 산지에 위치한 페르가나 분지를 중심으로 한 도시로 페르가나 주의 주. 이 지역의 주민들은 우즈베크계 주민과 타지크계 주민으.

새로운!!: 돌궐와 페르가나 · 더보기 »

이넬 카간

이넬 카간은 카파간 카간의 아들이며 돌궐 제 2 제국의 3대 카간이.

새로운!!: 돌궐와 이넬 카간 · 더보기 »

이회수

이회수(李懷秀, ? ~ ?)는 거란 요련씨(遙輦氏)의 두 번째 가한이.

새로운!!: 돌궐와 이회수 · 더보기 »

이정

이정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돌궐와 이정 · 더보기 »

이정 (571년)

이정(李靖, 571년~649년)은 중국 당나라의 명장으로, 중국 섬서성 장안(長安)에서 출생하였.

새로운!!: 돌궐와 이정 (571년) · 더보기 »

의자의 역사

4750-4600BC 경의 진흙으로 만든 유럽식 의자 의자(椅子)는 아주 오랜 역사를 갖고 있. 수천년동안 이것은 실용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기보다는 존엄과 위엄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되었.

새로운!!: 돌궐와 의자의 역사 · 더보기 »

제1차 고구려-당 전쟁

제1차 고구려-당전쟁(第一次高句麗-唐戰爭)은 서기 645년 당 태종이 고구려를 침공하여 일어난 전쟁이.

새로운!!: 돌궐와 제1차 고구려-당 전쟁 · 더보기 »

제2차 고구려-수 전쟁

제2차 고구려-수 전쟁(第二次高句麗-隋戰爭)은 612년 수나라(隋)의 양제가 고구려를 공격해 일어난 전쟁이.

새로운!!: 돌궐와 제2차 고구려-수 전쟁 · 더보기 »

제국의 목록

이 문서는 제국의 목록에 대해 서술.

새로운!!: 돌궐와 제국의 목록 · 더보기 »

절도사

절도사(節度使)는, 중국 당(唐) 왕조에서 북송(北宋) 왕조에 걸쳐 존재했던 지방 조직인 번진(藩鎭)을 통솔했던 수장을 말. 관찰사(觀察使) 등을 겸하는 수도 있었으며, 지방의 군사와 재정을 통괄하였.

새로운!!: 돌궐와 절도사 · 더보기 »

정령 (민족)

정령(丁零) 또는 고거/고차(高車), 철륵(鐵勒)은 투르크 계통의 유목 민족이.

새로운!!: 돌궐와 정령 (민족) · 더보기 »

정관의 치

정관의 치(貞觀之治, 627년~649년) 중국 당나라의 2대 황제 태종 이세민의 치세를 일컫는 말. 중국 역사상 가장 번영했던 시대 가운데 하나로써, 이때 태종을 보좌했던 재상으로는 위징, 방현령, 장손무기 등이 있. 태종은 이들의 보좌를 받으며 밖으로는 돌궐을 제압하는 한편 토번을 회유했으며, 안으로는 조용조 제도와 부병제, 균전제 등의 제도를 마련하고 과거제를 정비.

새로운!!: 돌궐와 정관의 치 · 더보기 »

주민준

주민준(1978년 6월 10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며 본명은 이영호이.

새로운!!: 돌궐와 주민준 · 더보기 »

주서

주서(周書)는 당나라의 영호덕분 등이 당나라 당 태종의 칙명에 의해서 저술한 기전체의 단대사로, 이십사사 중 하나이.

새로운!!: 돌궐와 주서 · 더보기 »

주필산 전투

주필산 전투(駐蹕山 戰鬪)는 고구려-당 전쟁 중에 645년(보장왕 4)에 당나라 태종이 지휘하는 당의 대군과 이에 반격하려는 고구려의 15만 대군이 동원되어 안시성 부근에서 교전하였던 중국 한족과-한국 한민족 간에 벌어진 고대의 대규모 전투이.

새로운!!: 돌궐와 주필산 전투 · 더보기 »

중앙아시아의 역사

중앙아시아의 국가 중앙아시아사는 주로 그 지역의 기후와 지리에 의해 결정.

새로운!!: 돌궐와 중앙아시아의 역사 · 더보기 »

지역패권에 의한 평화 목록

역패권에 의한 평화는 "팍스"(- 평화)와 제국의 라틴어 이름을 합성하여 그 시대의 제국이나 국가의 패권에 의한 안정, 평화적이었던 시대를 일컫는 용어로 표현하는데 이러한 지역패권에 의한 평화 목록은 다음과 같.

새로운!!: 돌궐와 지역패권에 의한 평화 목록 · 더보기 »

창족

창족(羌族, 강족)은 칭하이 성에 사는 티베트, 진족, 한족, 유목 민족(몽골 족의 일부), 일부 돌궐 혼합 민족이.

새로운!!: 돌궐와 창족 · 더보기 »

초기 무슬림 정복전쟁

이슬람의 초기 정복 전쟁(الفتوحات الإسلامية, al-Futūḥāt al-Islāmiyya)은 아랍 원정이나 초기 이슬람 정복전쟁 등으로 불린.

새로운!!: 돌궐와 초기 무슬림 정복전쟁 · 더보기 »

카스 시

스()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있는 현급 도시이.

새로운!!: 돌궐와 카스 시 · 더보기 »

카파간 카간

(? ~ 716년)은 돌궐 제2제국 제2대 카간으로, 휘는 아쉬나 쿠이(阿史那 懷)이.

새로운!!: 돌궐와 카파간 카간 · 더보기 »

카툰 (칭호)

300px 카툰()은 몽골계 귀족 칭호로서, 칸 또는 카간의 여성형이.

새로운!!: 돌궐와 카툰 (칭호) · 더보기 »

쿠얼러 시

얼러 또는 코를라는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에 위치한 중소 도시이.

새로운!!: 돌궐와 쿠얼러 시 · 더보기 »

팍스 시니카

팍스 시니카()는 중국에 의한 평화라는 라틴어의 뜻으로 중국의 패권에 의해 동아시아에 평화가 오는 것을 의미.

새로운!!: 돌궐와 팍스 시니카 · 더보기 »

유라시아 스텝

유라시아 스텝의 위치 유라시아 스텝()은 유라시아에 위치한 광대한 스텝 생태지역이.

새로운!!: 돌궐와 유라시아 스텝 · 더보기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14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14는 59번째로 열릴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이.

새로운!!: 돌궐와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14 · 더보기 »

유목제국

유목제국(遊牧帝國; Nomadic empire)이란 유라시아 대초원의 활을 들고 말을 탄 유목민들이 궐기하여 세운 제국들로, 이러한 국가는 고전 고대(스키타이)부터 근세(중가르 칸국)까지 존재해 왔.;.

새로운!!: 돌궐와 유목제국 · 더보기 »

유연 (나라)

유연()은 4세기 말부터 6세기 말까지 중국 북쪽 경계 지역에 존재했던 유목민족의 국명이.

새로운!!: 돌궐와 유연 (나라) · 더보기 »

위구르족

위구르족()은 중앙아시아의 투르크계 민족으로 현재 중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중앙아시아에 살고 있는 민족이.

새로운!!: 돌궐와 위구르족 · 더보기 »

샤흐르바라즈

샤흐르바라즈(파로칸)의 동전 샤흐르바라즈(? - 630년) 또는 파로칸()은 사산 왕조 페르시아 제국의 장군이자 샤이.

새로운!!: 돌궐와 샤흐르바라즈 · 더보기 »

타이위안 시

이위안(태원)은 중국 산시 성(山西省)의 성도이며 옛날에는 진양(晉陽)이라 불렀던 도시이.

새로운!!: 돌궐와 타이위안 시 · 더보기 »

타타르 연맹

르()는 12세기 몽골 고원의 주요 다섯 부족연맹체(몽골, 케레이트, 메르키트, 나이만, 타타르) 중 하나이.

새로운!!: 돌궐와 타타르 연맹 · 더보기 »

투먼 (제도)

먼() 또는 만호제(萬户制)는, 돌궐 및 몽골 제국의 군사 편성 제도로써, 과거 흉노(匈奴)와의 연관성이 지적되고 있. 칭기즈 칸이 1204년에 몽골을 통일하고 전 몽골의 군사제도를 개편하였는데, 십진법에 따라 서로 가까운 곳에 사는 10인을 묶어 십호, 십호 열 곳을 묶어 백호, 백호 열 곳을 묶어 밍간(천호)이라 하였고, 밍간(천호) 열 곳이 모여 만호가 되었.

새로운!!: 돌궐와 투먼 (제도) · 더보기 »

수 문제

수 고조 문황제 양견(隋 高祖 文皇帝 楊堅, 541년 ~ 604년)은 중국 수나라의 초대 황제이.

새로운!!: 돌궐와 수 문제 · 더보기 »

수 양제

수 세조 명황제 양광(隋 世祖 明皇帝 楊廣, 569년 ~ 618년 3월 11일)은 중국 수나라의 제2대 황제이.

새로운!!: 돌궐와 수 양제 · 더보기 »

수러 현

슈가르옝기사하르 현의 위치 수러 현() 은 신장 위구르 자치구 카스 지구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돌궐와 수러 현 · 더보기 »

수나라

수나라와 그 외 국가 형세 수(隋, 581년 3월 4일 ~ 619년 5월 23일)는 중국 남북조 시대의 혼란을 진정시키고, 서진이 멸망한 후 분열되었던 중국을 약 300년 만에 재통일한 국. 그러나 제2대 황제인 양제 때 폭정으로 인해 약간의 혼란기를 거친 후 멸망하였고, 그 후 당나라가 중국을 재통일하였.

새로운!!: 돌궐와 수나라 · 더보기 »

영양왕

영양왕(嬰陽王, ?~618년)은 고구려의 제26대 국왕(재위: 590년~618년)으로 일명 평양왕(平陽王), 대흥왕(大興王)이.

새로운!!: 돌궐와 영양왕 · 더보기 »

오대 (오대 십국)

오대(五代)는 당나라가 멸망하고 송나라가 건국되기 이전까지의 과도기에 중원에서 흥망한 다섯 왕조이.

새로운!!: 돌궐와 오대 (오대 십국) · 더보기 »

오대 십국 시대

오대 십국 시대(五代十國時代, 907년~960년)는 중국의 역사에서 당나라가 멸망한 907년부터, 송나라가 건립된 960년까지, 황하 유역을 중심으로 화북을 통치했던 5개의 왕조(오대)와 화중·화남과 화북의 일부를 지배했던 여러 지방정권(십국)이 흥망을 거듭한 정치적 격변기를 가리.

새로운!!: 돌궐와 오대 십국 시대 · 더보기 »

호스로 1세

호스로 1세의 사냥하는 모습 호스로 1세(501년~579년, 재위 531년~579년)는 사산 왕조의 영주(英主)이.

새로운!!: 돌궐와 호스로 1세 · 더보기 »

옛 나라 목록

옛 나라 목록에서는 인류 역사상 과거에 존재했던 국가, 국제 기구 또는 영토를 점유한 게릴라, 정부, 정권, 테러 조직, 망명 정부, 부대 그리고 무장단체 등을 기술하였습.

새로운!!: 돌궐와 옛 나라 목록 · 더보기 »

양민황후

양민황후 소씨(煬愍皇后 蕭氏, 566년 ~ 648년)는 중국 수나라의 두 번째 황후이며, 수 양제 양광의 정실 부인이.

새로운!!: 돌궐와 양민황후 · 더보기 »

양충 (북주)

양충(楊忠, 507년 ~ 568년)은 중국 섬서(陝西) 화음(華陰)사람으로 남북조 시대 북조인 서위와 북주의 대신으로 수 문제 양견의 부친이.

새로운!!: 돌궐와 양충 (북주) · 더보기 »

양원왕

양원왕(陽原王, ? ~ 559년, 재위: 545년 ~ 559년)은 고구려의 제24대 군주이.

새로운!!: 돌궐와 양원왕 · 더보기 »

에프탈

에프탈(Ephthalites 또는 Hephthalites)은 5세기 중엽부터 약 1세기 동안 투하리스탄을 중심으로 투르키스탄과 서북 인도에 세력을 떨친 페르시아계(系) 유목 민족이.

새로운!!: 돌궐와 에프탈 · 더보기 »

역사 연표

역사 연표는 세계사를 적은 연표로 한국사도 포함되어 있.

새로운!!: 돌궐와 역사 연표 · 더보기 »

연개소문 (드라마)

《연개소문》(淵蓋蘇文)은 2006년 7월 8일 ~ 2007년 6월 17일까지 SBS에서 방영된 대하사극이.

새로운!!: 돌궐와 연개소문 (드라마) · 더보기 »

키르기스스탄

르기스 공화국(), 약칭 키르기스스탄()은 중앙아시아 내륙의 공화국으로 소련의 구성 공화국이었다가 1991년에 독립한 국가이.

새로운!!: 돌궐와 키르기스스탄 · 더보기 »

사토

사타, 사토(沙陀), 또는 사토 투지에(沙陀突厥, 산스크리트어: 살트)는 투르크계 유목민 부족이.

새로운!!: 돌궐와 사토 · 더보기 »

삼국 시대

삼국 시대(三國時代)는 기원전 1세기부터 중앙집권적 국가로 발전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과 그 판도에 영향을 끼친 가야 연맹을 포함한 4개 국가가 한반도와 만주 일대에 세워지면서부터 7세기에 신라에 의해 통일되기까지의 시대를 가리.

새로운!!: 돌궐와 삼국 시대 · 더보기 »

선비 (민족)

샨베이 벨트 버클 3-4세기 선비(기원전 1세기 ~ 6세기)는 몽골과 중국 화북 지방에서 살았던 유목 민족으로, 튀르크족의 조상 중 하나이.

새로운!!: 돌궐와 선비 (민족) · 더보기 »

선우

선우()는 흉노제국의 황제를 나타내는 말이.

새로운!!: 돌궐와 선우 · 더보기 »

선우도호부

선우도호부(單于都護府)는 당나라가 현재 네이멍구 지역에 두어 돌궐제부족을 관할한 당나라의 도호부 중의 하나이.

새로운!!: 돌궐와 선우도호부 · 더보기 »

설인귀

설인귀(薛仁貴, 613년 ~ 683년)은 당나라 초기의 명장 중의 하나이.

새로운!!: 돌궐와 설인귀 · 더보기 »

설연타

설연타(薛延陀)는 6세기에서 7세기에 걸쳐, 중앙 아시아(현재의 몽골 중가리아(Jungaria) 북부)에 분포해 있었던 투르크계 유목 민족 철륵의 유력 부족 중 하나로 그 중심 씨족은 일리질씨(一利咥氏)였으며, 철륵 부족 중에서도 가장 세력이 강한 부족이었.

새로운!!: 돌궐와 설연타 · 더보기 »

설세웅

설세웅(薛世雄, 555년 ~ 617년)은 수나라의 장군이.

새로운!!: 돌궐와 설세웅 · 더보기 »

터키인

인()은 터키의 국민(시민권자)을 뜻하거나, 터키어를 구사하는 튀르크계 민족이.

새로운!!: 돌궐와 터키인 · 더보기 »

터키의 국장

의 비공식 국장 터키 외교부, 터키의 재외공관이 사용하는 문장 터키는 현재 공식적인 국장을 갖고 있지 않. 다만 여권 표지에는 터키의 국기에 그려져 있는 초승달과 별을 터키를 상징하는 문장으로 사용하고 있. 터키 외교부, 터키의 재외공관에서는 빨간색 타원 안에 하얀색 초승달과 별이 그려져 있으며 초승달 별 위에는 터키의 공식 명칭인 "터키 공화국"("Türkiye Cumhuriyeti")이 터키어로 쓰여져 있는 형태의 디자인을 한 국장을 사용하고 있. 1925년에는 터키 국가교육부가 국장 공모전을 실시.

새로운!!: 돌궐와 터키의 국장 · 더보기 »

터키의 역사

이 문서는 기원전 6,500년부터 현재까지 이어진 터키의 역사에 대해 서술.

새로운!!: 돌궐와 터키의 역사 · 더보기 »

세계 정복

세계 정복 (世界征服)은 국가 또는 단체 군사력을 배경으로 세계에 있는 다른 모든 국가를 타도해 해체·병합을 실시하는 것으로, 세계 및 그에 거주하는 모든 인류를 자기의 지배하에 두는 것을 가리.

새로운!!: 돌궐와 세계 정복 · 더보기 »

서돌궐

서돌궐(西突厥)은 583년에 수나라의 이간책으로 독립한 돌궐의 한 세력이.

새로운!!: 돌궐와 서돌궐 · 더보기 »

서경도

서경도(西京道)는 요나라가 설치한 5도 가운데 하나로 석경당이 거란에 투항하면서 할양한 연운십육주 중 산시 성 다퉁 시 일대에 있던 지역들을 관리하기 위해 설. 도의 중심지는 대동부가 있던 다퉁 시에 있었.

새로운!!: 돌궐와 서경도 · 더보기 »

손만영

손만영(孫萬榮, ? ~ 697년, 재위: 696년~697년)은 거란(契丹)의 추장이.

새로운!!: 돌궐와 손만영 · 더보기 »

톤유쿡

유쿡(돌궐어:𐱃𐰆𐰪𐰸𐰸,, 646년경 ~ 726년경)은 돌궐 제2제국의 바가타르칸(군사 지도자)로, 네 명의 카간을 섬겼으며 그 중 빌게 카간이 유명.

새로운!!: 돌궐와 톤유쿡 · 더보기 »

소그디아나

소그디아나 또는 소그디아(Суғд, 수구다, سغد, Σογδιανῆ)는 이란계 민족(소그드인)이 일으킨 고대 문명권이.

새로운!!: 돌궐와 소그디아나 · 더보기 »

소정방

소정방(蘇定方, 592년 ~ 667년)은 당나라의 장군이.

새로운!!: 돌궐와 소정방 · 더보기 »

소치

소치()는 러시아 크라스노다르 지방에 있는 도시로, 조지아/압하지야, 흑해와 맞닿아 있. 그레이터 소치 또는 행정 구역의 총 면적은 3,526km2이며 도시가 퍼져 있는 캅카스 산맥부터 흑해까지는 145 km, 도시 실제 면적은 176.77km2이.

새로운!!: 돌궐와 소치 · 더보기 »

해족

족(奚族)은 북방 민족인 동호에서 발원한 민족이며, 선비 우문부의 한 지파이.

새로운!!: 돌궐와 해족 · 더보기 »

안 (성씨)

안(安, 顔)씨는 한국의 성씨 및 중국의 성씨.

새로운!!: 돌궐와 안 (성씨) · 더보기 »

안북도호부

안북 도호부(安北都護府)는 당나라 때의 몽골 고원과 바이칼 호 일대의 거주하던 투르크 계 유목민 돌궐을 다스리기 위한 당 6 도호부 중 하나이.

새로운!!: 돌궐와 안북도호부 · 더보기 »

안녹산

안녹산(안록산, 안루산, ? ~ 757년 1월 29일)은 당나라의 무장으로 안녹산의 난을 일으.

새로운!!: 돌궐와 안녹산 · 더보기 »

안시성 전투

안시성 전투(645년, 보장왕 4년)는 고구려-당 전쟁 중에 당나라 태종이 지휘하는 군대가 대규모로 고구려를 침공하여 3개월 가량 안시성을 포위하고 공격했으나 끈질긴 항전으로 이를 물리치고 고구려가 승리한 싸움이.

새로운!!: 돌궐와 안시성 전투 · 더보기 »

하자르 카간국

자르족()은 7세기부터 10세기에 걸쳐 카스피 해의 북쪽에서 거주했던 투르크계 민족이었.

새로운!!: 돌궐와 하자르 카간국 · 더보기 »

아바르족

6세기 경 아바르족의 영토 아바르족(Avars)은 5~9세기에 중앙 아시아 및 중앙 유럽, 동유럽에서 활약했던 유목 민족이.튀르크계라는 설도 있.중앙 아시아에서 이주하여 중앙 및 동유럽에 이르는 넓은 제국을 건설했으며, 주변 국가를 위협했으나 비잔티움 제국과의 전쟁에서 패해 쇠약해졌으며, 후에 카롤루스 대제의 프랑크 왕국에게 멸망하였.

새로운!!: 돌궐와 아바르족 · 더보기 »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Afrasiab Painting)는 1965년에 우즈베키스탄의 옛 사마르칸트 지역에서 발굴된 소그드인의 대표적인 예술 유적이.

새로운!!: 돌궐와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 · 더보기 »

아프샤르 왕조

아프샤르 왕조(1736년 ~ 1796년)는 나디르 샤가 시작한 왕조이.

새로운!!: 돌궐와 아프샤르 왕조 · 더보기 »

아세나

아세나()는 터키의 보즈쿠르트 데스타니(Bozkurt Destanı)에 나오는 암늑대 전설이.

새로운!!: 돌궐와 아세나 · 더보기 »

신라의 삼국통일

신라의 삼국통일(新羅-三國統一)은 한민족의 역사에서 최초의 민족 통일로 간주되는 사건으로, 676년 신라가 한반도의 제국가(諸國家)를 통일한 것을 말. 신라는 가야, 백제, 고구려 등 한반도에 있던 나라들을 차례로 멸망시켜 병합하였고, 676년에 당나라 군대를 대동강 북쪽으로 축출하여 통일을 달성하였.

새로운!!: 돌궐와 신라의 삼국통일 · 더보기 »

신당서

《신당서》(新唐書)는 북송 인종이 《구당서》(舊唐書)의 내용이 왜곡된 것이 많고 너무 부실하다고 하여 구양수 등에 명하여 1044년 ~ 1060년에 걸쳐 완성한 당나라의 역사를 서술한 책이.

새로운!!: 돌궐와 신당서 · 더보기 »

신장 위구르 자치구

신장 위구르 자치구(신장 위구르 압토놈 라요니)는 중화인민공화국 북서쪽에 위치하는 자치구이.

새로운!!: 돌궐와 신장 위구르 자치구 · 더보기 »

실위

실위(室韋, 병음:Shìwéi)는 6세기에서 10세기까지 중국 동북부의 넌장 강, 아르군 강, 흑룡강 유역에 존재했던 민족이.

새로운!!: 돌궐와 실위 · 더보기 »

후한 (오대)

후한(後漢, 947년~951년)은 중국 오대십국 시대 오대(五代)의 네 번째 왕조로서, 건국자인 유지원(劉知遠)은 돌궐 사타족 출신인 후진(後晉)황제 석경당의 부장이었.

새로운!!: 돌궐와 후한 (오대) · 더보기 »

퀼테긴

상. 퀼테긴(685년 ~ 731년)은 돌궐 제2카간국의 장군이.

새로운!!: 돌궐와 퀼테긴 · 더보기 »

왕문도

왕문도(王文度, ? ~ 660년)는 당나라의 무장이.

새로운!!: 돌궐와 왕문도 · 더보기 »

왕오천축국전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은 신라 성덕왕 때, 승려 혜초가 인도 5국(五國) 부근의 여러 나라를 순례하고 그 행적을 적은 여행기이.

새로운!!: 돌궐와 왕오천축국전 · 더보기 »

103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돌궐와 1037년 · 더보기 »

119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돌궐와 1194년 · 더보기 »

55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돌궐와 553년 · 더보기 »

57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돌궐와 572년 · 더보기 »

7세기

7세기는 601년부터 700년까지이.

새로운!!: 돌궐와 7세기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괵튀르크, 돌궐족, 전돌궐.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