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동국통감

색인 동국통감

동국통감(東國通鑑)은 단군조선에서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편년체로 기록한 사서이.

39 처지: 동사강목, 민애왕, 발해, 발해고, 박제상, 강선힐, 거도, 고조선, 복창원주, 기자조선, 김구, 김양 (신라), 대한민국, 단군, 단군기원, 단군조선, 흥덕왕, 정효항, 정습명, 정사 (역사학), 조익정, 조선, 조선 광문회, 조선 성종, 조선 세조, 조선의 출판, 진덕여왕, 칭원법, 위화도 회군, 태 (성씨), 탈해 이사금, 최남선, 최항 (1409년), 연덕궁주 (인종), 표연말, 사화, 삼국사절요, 서거정, 아사달.

동사강목

《동사강목》(東史綱目)은, 조선의 학자 안정복(安鼎福)이 저술한 강목체(綱目體) · 편년체(編年體) 역사서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동사강목 · 더보기 »

민애왕

민애왕(閔哀王,817년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839년 음력 1월 23일, 재위: 838년~839년)은 신라의 제44대 왕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민애왕 · 더보기 »

발해

발해(渤海, 698년 ~ 926년)는 고구려 멸망 이후 고구려를 계승하여 대조영이 건국한 국가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발해 · 더보기 »

발해고

《발해고》(渤海考)는 조선 정조 8년(1784년)에 규장각검서로 일하던 실학자 류득공유득공(柳得恭)은 '유득공'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발해고 · 더보기 »

박제상

박제상(朴堤上, 363년 ~ 418년 추정)은 신라의 충신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박제상 · 더보기 »

강선힐

강선힐(康瑄詰)은 후고구려(高句麗) 태봉(泰封)의 장군이며 조선공(造船工)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강선힐 · 더보기 »

거도

(居道)는 신라 탈해 이사금 때의 장군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거도 · 더보기 »

고조선

조선(古朝鮮, ? ~ 기원전 108년)은 한국의 역사상 최초의 고대 국. 본래 국호는 조선(朝鮮)이나, 일반적으로 14세기 말 이성계(李成桂)가 건국한 같은 이름의 왕조(조선)와의 구분을 위해 '고조선'이라 부른.

새로운!!: 동국통감와 고조선 · 더보기 »

복창원주

복창원주(福昌院主, ? ~ 1195년 음력 11월 27일《고려사》권20〈세가〉권20 - 명종 25년 11월 - 인종 폐비 이씨가 죽다)는 고려의 제17대 왕 인종의 왕비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복창원주 · 더보기 »

기자조선

자조선(箕子朝鮮)은 고조선의 왕조 중 하나인 고대 국가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기자조선 · 더보기 »

김구

(金九, 1876년 8월 29일 ~ 1949년 6월 26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인, 교육자, 통일운동가, 정치인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김구 · 더보기 »

김양 (신라)

양(金陽, 808년~857년)은 신라의 왕족·공신으로, 자는 위흔(魏昕)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김양 (신라)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단군

(檀君 또는 壇君) 또는 단군왕검(檀君王儉)은 한민족의 신화적인 시조이자 고조선의 국조(國祖)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단군 · 더보기 »

단군기원

원(檀君紀元) 또는 단기(檀紀)는 한민족의 역사가 시작되는 시점인 단군의 고조선 건국 연대를 기준으로 하는 상징적인 기년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단군기원 · 더보기 »

단군조선

조선(檀君朝鮮)은 한민족 최초의 국가로 전해지는데, 그 개국 기원에 대해서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기록인 《삼국유사》에서 인용된 《위서》(魏書)에는 단군 왕검이 아사달에 개국한 국가로 기록되어 있. 일반적으로 고조선의 역사를 왕조 또는 지배자에 따라 구분하여 단군이 다스렸던 첫 번째 시기를 지칭.

새로운!!: 동국통감와 단군조선 · 더보기 »

흥덕왕

흥덕왕(興德王, 777년~836년, 재위: 826년~836년)은 신라의 제42대 왕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흥덕왕 · 더보기 »

정효항

정효항(鄭孝恒,?~?).

새로운!!: 동국통감와 정효항 · 더보기 »

정습명

정습명(鄭襲明, 1094년? ~ 1151년 3월 21일)은 고려 중기의 문신, 시인, 작가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정습명 · 더보기 »

정사 (역사학)

정사(正史)는 동아시아의 국가들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편찬한 역사서 또는 역사적 사실을 말. 중국·한국·일본 등에서 주로 등장한 개념으로 특정한 왕조 또는 시대의 역사를 주로 기전체(紀傳體) 형식으로 편찬한 국가 공인 역사서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정사 (역사학) · 더보기 »

조익정

조익정(趙益貞, 1436년 10월 9일 - 1499년 9월 7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조익정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광문회

조선 광문회(朝鮮光文會)는 1910년에 설치된 한국 고전 연구기관이었.

새로운!!: 동국통감와 조선 광문회 · 더보기 »

조선 성종

조선 성종(成宗, 1457년 8월 19일 (음력 7월 30일) ~ 1495년 1월 19일 (음력 1494년 12월 24일), 재위 1469년 ~ 1494년)은 조선의 제9대 왕이며 시인, 유학자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조선 성종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조선의 출판

이 문서는 조선시대의 출판과 편찬 사업에 대해 설명한 글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조선의 출판 · 더보기 »

진덕여왕

경주 진덕여왕릉 (사적 24호)진덕여왕(眞德女王, ? ~ 654년, 재위: 647년 ~ 654년) 또는 진덕왕(眞德王) 은 신라 제28대 왕이며 두번째 여왕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진덕여왕 · 더보기 »

칭원법

칭원법(稱元法)은 전근대 동아시아에서 군주의 재위 원년(元年)을 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칭원법 · 더보기 »

위화도 회군

위화도 회군(威化島 回軍)은 고려 말기 1388년(우왕 14) 음력 5월, 요동 정벌차 군사를 이끌고 압록강 하류의 위화도까지 이른 우군 도통사(右軍 都統使) 이성계가 개경(開京)으로 회군(回軍)한 사건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위화도 회군 · 더보기 »

태 (성씨)

(太)씨는 발해 고왕 대조영(大祚榮)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태 (성씨) · 더보기 »

탈해 이사금

이사금 (脫解尼師今, 기원전 19년?~80년, 재위: 57년~80년)은 신라의 제4대 국왕으로, 성(姓)은 석(昔)이고, 휘는 탈해(脫解)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탈해 이사금 · 더보기 »

최남선

선(崔南善, 1890년 4월 26일 ~ 1957년 10월 10일)은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친일 문학가이자 대한민국의 문화운동가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최남선 · 더보기 »

최항 (1409년)

항(崔恒, 1409년 ~ 1474년)은 조선의 문신이자 학자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최항 (1409년) · 더보기 »

연덕궁주 (인종)

연덕궁주(延德宮主, ? ~ 1139년 음력 8월 4일)는 고려의 제17대 왕 인종의 왕비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연덕궁주 (인종) · 더보기 »

표연말

연말(表沿沫, 1449년 ~ 1498년)은 조선의 문신이다. 본관은 신창(新昌). 자(字)는 소유(少游), 호(號)는 남계(藍溪). 아버지는 상주교수(尙州敎授) 표계(表繼)이다. 1469년(예종 1)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하고, 1472년(성종 3)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봉교(藝文館奉敎)를 거쳐 1484년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역임하였다. 과거시험에서 서거정(徐居正)의 문생이 된 인연으로 《필원잡기(筆苑雜記)》의 서문을 쓰기도 하였다. 1485년 장례원 사의(掌隷院司議)로서 《동국통감》 찬수에 참여하였다. 1486년(성종 17년) 중시 문과에 다시 급제한 뒤, 조봉대부(朝奉大夫) 수 사헌부 장령(守司憲府掌令)이 되었다. 1490년 이조참의, 대사성, 1492년 홍문관 응교(弘文館應敎), 대제학을 역임하고, 1493년 봉렬대부(奉列大夫)로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이 되었다. 1494년(연산군 즉위년) 홍문관 직제학(弘文館直提學)을 역임하였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서 소릉(昭陵) 추복(追復)에 관한 사실을 사초(史草)에 적은 것과 김종직의 행장(行狀)을 미화(美化)해 썼다는 이유로 1498년(연산군 4년) 무오사화에 연루되어 경원(慶源)으로 유배가던 중 객사하였다.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 때 조위(曺偉), 정여창(鄭汝昌) 등과 함께 부관참시(剖棺斬屍)당하였다. 1507년(중종 2) 신원(伸寃)되어 함양의 남계서원(藍溪書院), 함창의 임호서원(臨湖書院)에 제향되었다. 1517년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새로운!!: 동국통감와 표연말 · 더보기 »

사화

사화(士禍)는 선비들이 정치적 반대파에게 화를 입는 일을 가리키며, 한국사에서는 특히 조선 중기에 사림 세력이 화를 당한 연산군 때부터 명종 즉위년까지 발생한 4차례의 옥사를 말. 이들 사화는 1498년(연산군 4년)의 무오사화, 1504년(연산군 10년)의 갑자사화, 1519년(중종 14년)의 기묘사화, 1545년(명종 즉위년)의 을사사화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를 ‘4대 사화’라고 부른.

새로운!!: 동국통감와 사화 · 더보기 »

삼국사절요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는 삼국 시대의 역사에서 요점을 간추려 연대별로 편찬한 조선시대의 책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삼국사절요 · 더보기 »

서거정

서거정(徐居正, 1420년~1488년)은 조선 문종, 세조, 성종 때의 문신이며 학자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서거정 · 더보기 »

아사달

아사달(阿斯達)은 고조선(古朝鮮)의 수도로 전해지는 지명이.

새로운!!: 동국통감와 아사달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