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동래군

색인 동래군

동래군(東萊郡)은 현재의 부산광역시 전역과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일부를 차지하던 옛 행정 구역이었.

123 처지: 동래, 동래부, 동래구, 동면 (양산시), 동해선, 문정창, 민락동 (부산), 감전동, 방진태, 백광흠, 백금녀, 박관용, 박두영, 박차정, 박태준 (1927년), 박순천, 박영택, 경상도, 경상남도, 경상남도 (일제 강점기), 보충대, 곽상훈, 변한, 광역시, 북면, 부군면 통폐합, 부전동 (부산),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의 역사, 부산궤도, 부산진구, 기장군, 금관가야, 금정구, 김동주 (1944년), 김경주, 김규식, 김용곡, 김우영 (1886년), 김성한 (1887년), 김해군, 김약수, 대륙고무주식회사,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구포동 (부산), ..., 구포교, 남면, 나혜석, 울주, 울주군, 울주군 (선거구), 울주군의 행정 구역, 울산광역시의 행정 구역, 울산광역시의 역사, 장교, 장영실, 장안면, 이백순, 이하영, 이십삼부, 일본의 노벨상 수상자 목록, 조선인민유격대, 조선의 대외 관계, 주례역, 진수일, 철마면, 청룡공립보통학교, 천부교, 유진후, 윤관 (1897년), 윤인구 (1903년), 수영동, 수영구, 영남 지방, 오윤 (화가), 현철 (가수), 최백호, 최원봉, 양산 내원사, 양산시, 양산시 갑, 양산시 을, 양산시의 국회의원, 연제구, 허정숙, 사상면, 사상구, 사상역 (도시철도), 사하구, 삼포 개항, 삽량주, 성지초등학교 (부산), 서면, 서면 (부산), 서면공립보통학교, 서면역, 서진규, 서생면, 손진태, 송정동 (해운대구), 소 요시아키라, 해운대구, 한미 관계, 한규복 (1881년), 한국의 삼국 시대의 행정 구역, 한석명, 안용복, 안희제, 신라대학교, 신라의 행정 구역, 신평동 (부산), 신증동국여지승람, 왜구, 1018년, 1396년, 1405년, 1409년, 1963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73 더) »

동래

동래(東萊, Dongnae)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동래군와 동래 · 더보기 »

동래부

동래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동래군와 동래부 · 더보기 »

동래구

동래구(東萊區)는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의 중북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동래군와 동래구 · 더보기 »

동면 (양산시)

동면(東面)은 경상남도 양산시의 남동부에 위치한 면이.

새로운!!: 동래군와 동면 (양산시) · 더보기 »

동해선

동해선(東海線)은 부산광역시 동구의 부산진역과 경상북도 포항시의 (구)포항역, 경상북도 경주시의 모량신호장과 경상북도 영덕군의 영덕역을 잇는 2개의 본선과, 7개의 지선으로 구성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이.

새로운!!: 동래군와 동해선 · 더보기 »

문정창

문정창(文定昌, 일본식 이름: 文山定昌, 1899년, 부산 ~ 1980년)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의 재야 역사학자이.

새로운!!: 동래군와 문정창 · 더보기 »

민락동 (부산)

민락동(民樂洞)은 부산광역시 수영구의 동이.

새로운!!: 동래군와 민락동 (부산) · 더보기 »

감전동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감전역 감전동(甘田洞)은 부산광역시 사상구에 있는 행정동이.

새로운!!: 동래군와 감전동 · 더보기 »

방진태

방진태(房鎭汰, 일본식 이름: 房村敬之助, 1896년 10월 ~ ?)는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새로운!!: 동래군와 방진태 · 더보기 »

백광흠

백광흠(白光欽, 1895년 ~1927년)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동래군와 백광흠 · 더보기 »

백금녀

백금녀(白金女, 1931년 ~ 1995년 3월 17일)는 대한민국의 희극영화배우이며 본명은 김정분이.

새로운!!: 동래군와 백금녀 · 더보기 »

박관용

박관용(朴寬用, 1938년 6월 6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동래군와 박관용 · 더보기 »

박두영

박두영(朴斗榮, 일본식 이름: 木下斗榮, 1880년 11월 28일 ~ 1960년 2월 10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군인이.

새로운!!: 동래군와 박두영 · 더보기 »

박차정

박차정(朴次貞, 1910년 5월 7일 ∼ 1944년 5월 27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로, 김원봉의 두 번째 부인이며 독립운동가이자 북한의 초대 국가원수 겸 초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김두봉의 조카딸이었.

새로운!!: 동래군와 박차정 · 더보기 »

박태준 (1927년)

박태준(朴泰俊, 1927년 10월 24일 ~ 2011년 12월 13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기업가, 정치가, 학교법인인이.

새로운!!: 동래군와 박태준 (1927년) · 더보기 »

박순천

박순천(朴順天, 1898년 10월 24일(음력 9월 10일) ~ 1983년 1월 9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교육자이며 대한민국의 저술가, 여성운동가, 정치인이.

새로운!!: 동래군와 박순천 · 더보기 »

박영택

박영택(朴英澤, 1899년 10월 12일 ~ 1968년 2월 13일)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당시까지 부산 지역의 경제인이며, 1954년 박영학원을 설립한 교육인이.

새로운!!: 동래군와 박영택 · 더보기 »

경상도

경상도 경상도(慶尙道)는 경상남도, 경상북도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영남 지방(嶺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동래군와 경상도 · 더보기 »

경상남도

경상남도(慶尙南道)는 대한민국 남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동래군와 경상남도 · 더보기 »

경상남도 (일제 강점기)

일제 강점기 시대의 경상남도청 청사 경상남도(慶尙南道)는 일제 강점기 시대였던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존재했던 행정 구역 가운데 하나로 도청 소재지는 부산부이며 면적은 12,304.58km2(1940년 당시 기준), 인구는 2,241,902명(1940년 당시 기준), 인구 밀도는 182.2명/km2이.

새로운!!: 동래군와 경상남도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보충대

보충대(補充隊)는 입대하는 입대자들이 신병교육대로 가기 전에 대기하며, 충원을 필요로 하는 부대로 전입병을 배치하는 부대이.

새로운!!: 동래군와 보충대 · 더보기 »

곽상훈

곽상훈(郭尙勳, 1896년 10월 21일 ~ 1980년 1월 19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1~5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동래군와 곽상훈 · 더보기 »

변한

3세기 초 변한 변한(弁韓), 또는 변진(弁辰)은 한반도 남부에 있던 삼한의 하나이.

새로운!!: 동래군와 변한 · 더보기 »

광역시

광역시(廣域市)는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동래군와 광역시 · 더보기 »

북면

북면 (北面)은 북쪽에 면한 지역, 또는 "대체적으로 북쪽 지역"에 있는 행정 구역 면을 가리.

새로운!!: 동래군와 북면 · 더보기 »

부군면 통폐합

부군면 통폐합(府郡面 統廢合)은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가 시행한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도의 위치·관할 구역 변경 및 부·군의 명칭·위치·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1913년 12월 29일 공포)에 의하여 대대적인 행정 구역 개편을 단행(13도 12부 220군)한 것이.

새로운!!: 동래군와 부군면 통폐합 · 더보기 »

부전동 (부산)

부전동(釜田洞)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에 있는 동이.

새로운!!: 동래군와 부전동 (부산) · 더보기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는 대한민국 동남부 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동래군와 부산광역시 · 더보기 »

부산광역시의 역사

1900년대 초의 부산항 1945년 이전의 부산부청 1945년 이전의 변천정 2호선의 환승역으로 부산에서 제일 번화한 서면역의 출입구 1호선 교대앞역의 출입구 사상역의 출입구 종합운동장역 부산 APEC에서의 정상들 2008년의 부산불꽃축제 부산(釜山)은 대한민국 제 2의 도시로, 삼한 시대 변한의 거칠산국의 작은 지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조선 시대는 부산진으로 발전하였고, 조선 통신사의 출항지가 되었.

새로운!!: 동래군와 부산광역시의 역사 · 더보기 »

부산궤도

부산궤도(釜山軌道)는 부산진에서 동래온천 사이를 잇던 협궤 노선으로, 대한민국 역사상 최초의 사철이었.

새로운!!: 동래군와 부산궤도 · 더보기 »

부산진구

서면 부산진구(釜山鎭區)는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중앙에 있는 구이.

새로운!!: 동래군와 부산진구 · 더보기 »

기장군

장군청사 기장군(機張郡)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동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동래군와 기장군 · 더보기 »

금관가야

야(金官伽倻), 본가야(本伽倻)는 42년부터 532년까지 존재했던 나라로, 신라에게 멸망하기 전 국명은 가락국(駕洛國)이었.

새로운!!: 동래군와 금관가야 · 더보기 »

금정구

정구(金井區)는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의 북부 중앙에 위치한 구이.

새로운!!: 동래군와 금정구 · 더보기 »

김동주 (1944년)

동주(金東周, 1944년 5월 20일 ~)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동래군와 김동주 (1944년) · 더보기 »

김경주

경주(金敬注, 일본식 이름: 金山敬注, 1896년 ~ ?)는 일제 강점기의 불교 승려이며, 친일 공산주의 운동가이.

새로운!!: 동래군와 김경주 · 더보기 »

김규식

식(金奎植, 1881년 2월 28일 ~ 1950년 12월 10일)은 대한제국의 종교가,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 학자, 시인, 사회운동가, 교육자였다 언더우드 선교사의 비서, 경신학교의 교수와 학감 등을 지내고 미국에 유학하였.

새로운!!: 동래군와 김규식 · 더보기 »

김용곡

용곡(金龍谷, ? ~ ?)은 일제 강점기 초기에 활동했던 불교 승려이.

새로운!!: 동래군와 김용곡 · 더보기 »

김우영 (1886년)

우영(金雨英, 일본식 이름: 金雨英, 1886년 10월 23일 ~ 1958년 4월 16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화가 나혜석의 남편이었.

새로운!!: 동래군와 김우영 (1886년) · 더보기 »

김성한 (1887년)

성한(金星漢, 1887년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동래군와 김성한 (1887년) · 더보기 »

김해군

(金海郡)은 경상남도에 있었던 행정 구역으로, 1995년에 김해시와 통합하여 도농복합도시가 되었.

새로운!!: 동래군와 김해군 · 더보기 »

김약수

약수(金若水, 1890년 10월 21일 ~ 1964년 1월 10일)는 일제 강점기의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가, 통일운동가이며,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동래군와 김약수 · 더보기 »

대륙고무주식회사

륙고무주식회사는 한국 최초의 고무제품 제조공장으로, 1919년 8월 1일 일제 강점기 조선의 경성 원효정 1정목에서 이하영에 의해 설립되었.

새로운!!: 동래군와 대륙고무주식회사 · 더보기 »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는 1950년 5월 30일 실시되었.

새로운!!: 동래군와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 더보기 »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는 1954년 5월 20일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로 총 32개의 선거구에서 32인이 당선되었으며, 선거인 1,564,962명 중 1,407,456명이 투표를 하여 89.9%의 투표율을 기록하였.

새로운!!: 동래군와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 더보기 »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는 1963년 11월 26일 시행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이.

새로운!!: 동래군와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 더보기 »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는 1967년 6월 8일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로 1개의 선거구에서 1인을 선출하는 소선거구제를 취해 총 20개의 선거구에서 20인이 당선되었으며, 선거인 1,546,754명(부재자선거인수: 53,689명) 중 1,300,006명(부재자투표수: 50,986명)이 투표를 하여 84.0%의 투표율을 기록하였.

새로운!!: 동래군와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 더보기 »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는 1971년 5월 25일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로 1개의 선거구에서 1인을 선출하는 소선거구제를 취해 총 18개의 선거구에서 18인이 당선되었으며, 선거인 1,537,640명(부재자선거인수: 53,198 명) 중 1,218,958명(부재자투표수: 51,175명)이 투표를 하여 79.3%의 투표율을 기록하였.

새로운!!: 동래군와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 더보기 »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는 1948년 5월 10일 시행된 대한민국 최초의 국회의원 선거이.

새로운!!: 동래군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 더보기 »

구포동 (부산)

역 구포동(龜浦洞)은 부산광역시 북구의 법정동으로, 북구청이 위치해 있.

새로운!!: 동래군와 구포동 (부산) · 더보기 »

구포교

(龜浦橋)는 1932년부터 2008년까지 존속하였던 부산광역시의 다리이.

새로운!!: 동래군와 구포교 · 더보기 »

남면

면(南面)은 남쪽에 면한 지역, 또는 "대체적으로 남쪽 지역"에 있는 행정 구역 면을 가리.

새로운!!: 동래군와 남면 · 더보기 »

나혜석

혜석(羅蕙錫, 1896년 4월 28일 ~ 1948년 12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화가이자 작가, 시인, 조각가, 여성운동가, 사회운동가, 언론인이.

새로운!!: 동래군와 나혜석 · 더보기 »

울주

울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동래군와 울주 · 더보기 »

울주군

울주군(蔚州郡)은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서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동래군와 울주군 · 더보기 »

울주군 (선거구)

울산 울주군은 대한민국 국회의 국회의원이 대표하는 지역구로, 울산광역시 울주군 일대를.

새로운!!: 동래군와 울주군 (선거구) · 더보기 »

울주군의 행정 구역

울주군의 행정 구역은 4읍 8면으로 구성되어 있. 울주군의 면적은 756.05km2이며, 인구는 2013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80,442세대, 215,659명이.

새로운!!: 동래군와 울주군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울산광역시의 행정 구역

울산광역시의 행정 구역은 4구 1군, 7읍 7면 44동(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 울산광역시의 면적은 1,060.19km2이며, 인구는 2013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461,595세대, 1,178,907명이.

새로운!!: 동래군와 울산광역시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울산광역시의 역사

반구대암각화 울산광역시의 역사는 선사시대 무렵부터 시작하여 반구대암각화라는 역사적 증거물을 남겼고, 이후에도 한강 이남의 지정학적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

새로운!!: 동래군와 울산광역시의 역사 · 더보기 »

장교

2005년, 미국 해군 사관학교 졸업생들이 모자를 집어던지며 기뻐하고 있다. 장교(將校, commissioned officers)는 한국군에서 위관급 이상의 계급의 간부를 말. 부사관과 병을 지휘하는 계급으로 사관학교나 일반대학교 재학자 또는 졸업자들 가운데 선발.

새로운!!: 동래군와 장교 · 더보기 »

장영실

장영실 동상 장영실 동상 (천안아산역 소재) 장영실(蔣英實, 1390년? ~ 1450년?)은 조선 전기의 관료이며 과학자, 기술자, 발명가이.

새로운!!: 동래군와 장영실 · 더보기 »

장안면

장안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동래군와 장안면 · 더보기 »

이백순

이백순(李泊淳, 1909년 2월 18일 ~ 1990년 3월 9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공무원이.

새로운!!: 동래군와 이백순 · 더보기 »

이하영

이하영(李夏榮, 1858년 8월 15일 ~ 1929년 2월 27일)은 조선 말기의 통역관, 외교관이자 대한제국의 정치인, 일제 강점기의 기업인으로 일제로부터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동래군와 이하영 · 더보기 »

이십삼부

23부제 이십삼부제(二十三府制, 23부제)는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에 시행된 조선의 지방 제도로, 최상위 행정 구역을 부(府)로 개편하고 그 하위 행정 구역을 군(郡) 으로 명칭을 통일하여 부군제(府郡制)라고도 부른.

새로운!!: 동래군와 이십삼부 · 더보기 »

일본의 노벨상 수상자 목록

스즈키 아키라(왼쪽)와 네기시 에이이치(가운데) 이 문서는 일본인 노벨상 수상자에 대한 내용이.

새로운!!: 동래군와 일본의 노벨상 수상자 목록 · 더보기 »

조선인민유격대

조선인민유격대(朝鮮人民遊擊隊)는 한국 전쟁을 전후하여 대한민국 영역에서 유격전을 수행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파르티잔 부대이.

새로운!!: 동래군와 조선인민유격대 · 더보기 »

조선의 대외 관계

조선 시대의 대외 관계에서, 조선은 건국 초부터 대명(對明) 외교에서 사대적인 정책을 취함으로써 왕조의 권위를 보장받으려고 하였.

새로운!!: 동래군와 조선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주례역

주례역(周禮驛)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동에 있는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지하철역이.

새로운!!: 동래군와 주례역 · 더보기 »

진수일

수일(陳秀一, 1943년 6월 5일 ~ 2009년 9월 17일)은 대한민국의 의사 및 의학박사이자 평론가 겸 대학 교수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대위이.

새로운!!: 동래군와 진수일 · 더보기 »

철마면

마면(鐵馬面)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기장군의 면이.

새로운!!: 동래군와 철마면 · 더보기 »

청룡공립보통학교

청룡공립보통학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동래군와 청룡공립보통학교 · 더보기 »

천부교

부교(天父敎)는 본래 개신교(대한예수교장로회)의 장로였던 박태선이 1955년에 창시한 기독교계 신흥 종교이.

새로운!!: 동래군와 천부교 · 더보기 »

유진후

유진후(兪鎭厚, 일본식 이름: 杞元春盛, 1888년 2월 22일 ~ 1951년 1월 16일)는 일제 강점기의 경찰 겸 관료로, 본적은 경상남도 동래군 동래면이.

새로운!!: 동래군와 유진후 · 더보기 »

윤관 (1897년)

윤관(尹灌, 일본식 이름: 平沼灌次, 1897년 10월 3일 ~ 1970년 1월 30일)은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새로운!!: 동래군와 윤관 (1897년) · 더보기 »

윤인구 (1903년)

윤인구(尹仁駒, 1903년 11월 1일 ~ 1986년 1월 25일)는 경상남도 부산 출신의 대한민국의 종교인이자 교육자이.

새로운!!: 동래군와 윤인구 (1903년) · 더보기 »

수영동

수영동(水營洞)은 부산광역시 수영구의 동이.

새로운!!: 동래군와 수영동 · 더보기 »

수영구

수영구(水營區)는 부산광역시 남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동래군와 수영구 · 더보기 »

영남 지방

영남 지방(嶺南地方)은 소백산맥 동남부에 위치한 한국의 지역 구분 용어이.

새로운!!: 동래군와 영남 지방 · 더보기 »

오윤 (화가)

오윤(吳潤, 1946년 4월 13일 ~ 1986년 7월 5일)은 대한민국 화. 1980년대 신군부 정권과 자본주의 체제가 드러낸 모순이 격화된 대한민국 사회에 등장한 민중 미술의 대표적인 작가였.

새로운!!: 동래군와 오윤 (화가) · 더보기 »

현철 (가수)

현철(玄哲, 본명: 강상수,, 1942년 6월 17일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

새로운!!: 동래군와 현철 (가수) · 더보기 »

최백호

백호(崔百浩, 1950년 4월 23일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싱어송라이터이.

새로운!!: 동래군와 최백호 · 더보기 »

최원봉

원봉(崔元鳳, 1922년 ~ 1950년 11월 10일)은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이었.

새로운!!: 동래군와 최원봉 · 더보기 »

양산 내원사

원사(內院寺)는 경상남도 양산시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동래군와 양산 내원사 · 더보기 »

양산시

양산시청 양산시(梁山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동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동래군와 양산시 · 더보기 »

양산시 갑

양산시 갑은 대한민국 국회의 국회의원이 대표하는 지역구로, 경상남도 양산시 일부를.

새로운!!: 동래군와 양산시 갑 · 더보기 »

양산시 을

양산시 을은 대한민국 국회의 국회의원이 대표하는 지역구로, 경상남도 양산시 일부를.

새로운!!: 동래군와 양산시 을 · 더보기 »

양산시의 국회의원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동래군와 양산시의 국회의원 · 더보기 »

연제구

연제구(蓮堤區)는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중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동래군와 연제구 · 더보기 »

허정숙

정숙(許貞淑, 1902년 7월 16일 ~ 1991년 6월 5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며 여성운동가, 사회주의자이.

새로운!!: 동래군와 허정숙 · 더보기 »

사상면

사상면(沙上面)은 경상남도 동래군에 있었던 행정구역으로, 지금은 부산광역시 사상구에 편입되었.

새로운!!: 동래군와 사상면 · 더보기 »

사상구

사상구(沙上區)는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의 서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동래군와 사상구 · 더보기 »

사상역 (도시철도)

사상역(沙上驛) 또는 사상(서부터미널)역(沙上(西部터미널)驛)은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 있는 부산 도시철도 2호선과 부산-김해 경전철의 환승역이.

새로운!!: 동래군와 사상역 (도시철도) · 더보기 »

사하구

부산 사하구청 사하구(沙下區)는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남서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동래군와 사하구 · 더보기 »

삼포 개항

삼포 개항(三浦開港)은 1426년(세종 8년) 대마도주 소 사다모리()의 청에 따라 기존에 개방하였던, 웅천(진해)의 내이포(乃而浦), 부산포 이외에도 울산의 염포(鹽浦)를 추가로 개항하고 일본인에게 교역을 허락한 일이.

새로운!!: 동래군와 삼포 개항 · 더보기 »

삽량주

남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삽량주(歃良州) 또는 양주(良州)는 신라의 광역 행정구역인 9주 5소경의 한 주(州)이.

새로운!!: 동래군와 삽량주 · 더보기 »

성지초등학교 (부산)

성지초등학교는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

새로운!!: 동래군와 성지초등학교 (부산) · 더보기 »

서면

서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동래군와 서면 · 더보기 »

서면 (부산)

서면 일대 서면(西面)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의 도심으로, 부산진구 부전동을 중심으로 전포동 일대까지 각종 상업시설과 금융기관, 의료기관, 교육기관 등이 밀집해 있는 부산광역시 최대의 번화가이.

새로운!!: 동래군와 서면 (부산) · 더보기 »

서면공립보통학교

서면공립보통학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동래군와 서면공립보통학교 · 더보기 »

서면역

서면역(西面驛)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서면 교차로에 있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환승역이.

새로운!!: 동래군와 서면역 · 더보기 »

서진규

서진규(1948년 ~)는 미국 육군 예비역 영관급 장교이자 작가이.

새로운!!: 동래군와 서진규 · 더보기 »

서생면

서생면(西生面)은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면이.

새로운!!: 동래군와 서생면 · 더보기 »

손진태

손진태(孫晉泰, 1900년 12월 28일 - ?)는 일제 강점기의 사학자, 민속학자로 호는 남창(南滄), 본관은 밀양이며 경상남도 동래군(현재의 부산광역시) 출신이.

새로운!!: 동래군와 손진태 · 더보기 »

송정동 (해운대구)

송정동(松亭洞)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의 법정동이자 행정동이.

새로운!!: 동래군와 송정동 (해운대구) · 더보기 »

소 요시아키라

소 요시아키라 소 요시아키라(1847년 12월 13일 ~ 1902년 5월 25일)는 쓰시마 후추 번의 마지막(제16대) 번주이.

새로운!!: 동래군와 소 요시아키라 · 더보기 »

해운대구

해운대 해수욕장 누리마루와 광안대교 해운대구(海雲臺區)는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동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동래군와 해운대구 · 더보기 »

한미 관계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2017년 11월. 한국과 미국의 관계는 19세기 중반 조선의 통상을 요구하던 제너럴 셔먼호 사건으로 거슬러 올. 그 후 1882년(고종 19년) 청나라의 중재로 양국 간의 조미 수호 통상 조약이 체결되면서 공식적으로 외교 관계가 수립되었.

새로운!!: 동래군와 한미 관계 · 더보기 »

한규복 (1881년)

복 한규복(韓圭復, 일본식 이름: 井垣圭復, 1881년 7월 7일 ~ 1967년 9월 13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통역관, 화가, 서예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화가, 서예가로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새로운!!: 동래군와 한규복 (1881년) · 더보기 »

한국의 삼국 시대의 행정 구역

이 문서는 삼국 시대의 행정 구역에 대한 문서이.

새로운!!: 동래군와 한국의 삼국 시대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한석명

석명(韓錫命, 1890년 ~ ?)은 일제 강점기의 경찰 출신 관료로, 본관은 청주이.

새로운!!: 동래군와 한석명 · 더보기 »

안용복

안용복(安龍福, 생몰년 미상)은 조선 시대 17세기의 어부이자 능로군(能櫓軍)이.

새로운!!: 동래군와 안용복 · 더보기 »

안희제

안희제(安熙濟, 1885년 9월 12일(음력 8월 4일) ~ 1943년 8월 3일)는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

새로운!!: 동래군와 안희제 · 더보기 »

신라대학교

신라대학교(新羅大學校)는 부산광역시 사상구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 대학이.

새로운!!: 동래군와 신라대학교 · 더보기 »

신라의 행정 구역

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남북국 시대에 신라의 행정 구역은 9주 5소경(九州五小京)으로 요약할 수 있.

새로운!!: 동래군와 신라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신평동 (부산)

신평동(新平洞)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사하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동래군와 신평동 (부산) · 더보기 »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은 조선 성종 때의 지리서이.

새로운!!: 동래군와 신증동국여지승람 · 더보기 »

왜구

16세기 왜구들의 활동 범위 왜구들의 약탈을 그린 회화 (16세기) 왜구(倭寇)는 통상적으로 고려와 원나라의 연합군이 일본 열도 침략에 실패한 이후인 13세기부터 16세기에 걸쳐 한반도와 중국 대륙의 연안부나 일부 내륙 지역을 약탈하고 밀무역을 행하던 무리를 가리.

새로운!!: 동래군와 왜구 · 더보기 »

101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동래군와 1018년 · 더보기 »

139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동래군와 1396년 · 더보기 »

140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동래군와 1405년 · 더보기 »

140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동래군와 1409년 · 더보기 »

1963년

196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동래군와 1963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동래도호부, 동래부 (1896년), 동래부 (1906년), 동래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