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Play 스토어에서 Unionpedia 앱을 복원하기 위해 작업 중입니다
나가는들어오는
🌟더 나은 탐색을 위해 디자인을 단순화했습니다!
Instagram Facebook X LinkedIn

등각

색인 등각

불교에서 등각(等覺)은 다음의 세 가지 뜻으로 사용되고 있.

목차

  1. 27 처지: AdS/CFT 대응성, 도 (불교), 뢰야삼위, 반야, 반야심경, 바라밀, 보살, 보살 수행계위, 보살영락본업경, 불교 용어 목록/ㄷ, 불교 용어 목록/ㅇ, 불교 용어 목록/정, 대사, 구경각, 등각, 인 (불교), 인왕경, 오주지번뇌, 오십이위, 삼도, 송·명 시대의 사상, 십회향, 십주, 십지, 십행, 십신, 화엄경.

AdS/CFT 대응성

양자 중력을 포함한 반 더 시터르 공간에 대한 등각 경계 위의 게이지 이론이리라 예상되는 등각 장론의 개념도 반 더 시터르 공간/등각 장론 대응성(약자 AdS/CFT) 또는 말다세나 이중성()은 반 더 시터르 공간(AdS)을 남기고 축소화한 끈 이론과, 그보다 낮은 차원에서의 등각 장론(CFT)이 반 더 시터르 공간의 등각 경계에서 동등하다는 가설이.

보다 등각와 AdS/CFT 대응성

도 (불교)

불교 용어로서의 도(道)는 대표적인 뜻으로는 길 또는 진리를 뜻하는데,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여러 가지 뜻이 있.

보다 등각와 도 (불교)

뢰야삼위

야3위(賴耶三位) 또는 뇌야3위(賴耶三位)는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의 수행론의 일부로서, 수행이 향상되면서 모든 번뇌 즉 번뇌장과 소지장을 단멸함에 따라 일어나는 제8식 즉 아뢰야식의 변화를 크게 3단계로 나눈 아애집장현행위(我愛執藏現行位)선악업과위(善惡業果位)상속집지위(相續執持位)의 3가지 지위 또는 계위를 말.

보다 등각와 뢰야삼위

반야

반야(般若)는 산스크리트어 프라즈냐(प्रज्ञा prajñā) 또는 팔리어 빤냐(paññā)를 음에 따라 번역한 낱말로, 뜻에 따라 번역하여 지혜(智慧)라고도 하며 간단히 지(智) 또는 혜(慧).

보다 등각와 반야

반야심경

《반야심경》(般若心經)은 《대반야바라밀다경》의 요점을 간략하게 설명한 짧은 경전으로, 당나라 삼장법사인 현장(玄裝)이 번역한 것이.

보다 등각와 반야심경

바라밀

바라밀(婆羅蜜) 또는 바라밀다(波羅蜜多)는 산스크리트어 빠라미따(पारमिता pāramitā)를 음에 따라 번역한 것으로, 완전한 상태구극(究極)의 상태최고의 상태를 뜻.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초기 대승불교의 사상 > 6바라밀,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6바라밀: 六婆羅蜜 바라밀이란 빠라미따(Paramita)의 음사(音寫)로서 완전·구극(究極)·최고의 상태라는 뜻인데, 불교의 교리상으로는 도피안(到彼岸), 즉 이상경(理想境)으로 들어가는 것을 말하며, 현실의 차안(此岸)에서 이상의 피안으로 사람들을 넘기기 위한 행(行)이라는 점에서 도(度)라고도 번역.

보다 등각와 바라밀

보살

거란의 요나라시기 제작된 관세음보살상: 유희좌 자세를 취하고 있다 보살(菩薩)은 부처(깨달은 사람 또는 존재)가 되기 위해 수행하는 사람(초기불교 경전-니까야에서의 정의), 또는 여러 생을 거치며 선업을 닦아 높은 깨달음의 경지에 다다른 위대한 사람을 뜻.

보다 등각와 보살

보살 수행계위

보살 수행계위(菩薩修行階位)는 보살 즉 보살승(菩薩乘)의 수행자 즉 대승불교의 수행자가 처음 보리심(菩提心)을 발한 후 수행의 공덕을 쌓아서 불과(佛果) 즉 부처의 상태에 도달하기까지 거쳐가는 단계 또는 계위(階位)를 말. 보살의 수행계위보살수행의 계위 또는 보살계위(菩薩階位).

보다 등각와 보살 수행계위

보살영락본업경

《보살영락본업경(菩薩瓔珞本業經)》(K.530, T.1485)은 대승불교의 경전으로, 보살의 본업(本業)인 10주(十住)10행(十行)10회향(十廻向)10지(十地)등각(等覺)묘각(妙覺)의 42현성(四十二賢聖)의 수행과 그에 따라 증득되는 수행의 결과 또는 과보를 설한 경전이.

보다 등각와 보살영락본업경

불교 용어 목록/ㄷ

(斷見)은 세간(世間)과 자아(自我)는 사후(死後)에 완전히 소멸된다는 견해로, 즉 인과의 상속, 업(業)의 상속 또는 심상속(心相續)을 부정하는 견해이.

보다 등각와 불교 용어 목록/ㄷ

불교 용어 목록/ㅇ

아가사(阿迦舍)는 허공(虛空)의 다른 말이.

보다 등각와 불교 용어 목록/ㅇ

불교 용어 목록/정

불교 용어로서의 정에는 다음의 용어들이 있.

보다 등각와 불교 용어 목록/정

대사

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보다 등각와 대사

구경각

삼매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구경각(究竟覺, ultimate enlightenment, final enlightenment, supreme enlightenment)은 불교의 수행이 완성되어 증득(證得)하게 된 완전한 깨달음을 가리키는데 곧 부처의 상태를 이룬 것이나 부처가 되는 자리를 뜻.

보다 등각와 구경각

등각

불교에서 등각(等覺)은 다음의 세 가지 뜻으로 사용되고 있.

보다 등각와 등각

인 (불교)

불교 용어인 인(因)은 다음을 뜻.

보다 등각와 인 (불교)

인왕경

《인왕경(仁王經)》은 동일한 원본의 두 가지 한역 경전인 《불설인왕반야바라밀경(佛說仁王般若波羅蜜經)》(K.19, T.245)와 《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仁王護國般若波羅蜜多經)》(K.1340, T.246)의 약칭이.

보다 등각와 인왕경

오주지번뇌

5주지번뇌(五住地煩惱,, five entrenchments of mental disturbances)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등각와 오주지번뇌

오십이위

52위(五十二位)는 대승불교에서 보살 즉 대승불교의 수행자의 수행계위를 52가지로 나눈 것으로, 10신(十信)10주(十住)10행(十行)10회향(十廻向)10지(十地)등각(等覺)묘각(妙覺)을 말. 대승불교의 경전과 논서에서는 보살 수행계위의 수와 명칭에 차이가 있으므로, 이런 점에서 52위는 여러 보살 수행계위 체계들 가운데 하나이.

보다 등각와 오십이위

삼도

3도(三道,, mārga-traya,, three paths)는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에서 공통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수행(修行)의 3단계인 견도(見道)수도(修道)무학도(無學道)를 말. 즉, 3도는 성문과 보살 모두에게 해당하는 수행의 3단계이.

보다 등각와 삼도

송·명 시대의 사상

중국 송·명 시대의 사상의 특징은 한나라(漢)6조(六朝)수나라(隋)당나라(唐) 시대의 유가(儒家)도가(道家)불가(佛家)의 3교 정립의 상태를 지양하고 종합함으로써 유가를 중심한 3교 합일의 사상을 전개한 것이.

보다 등각와 송·명 시대의 사상

십회향

10회향(十廻向, 十迴向,, ten dedications, ten dedications of merit)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등각와 십회향

십주

10주(十住,, ten abodes)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등각와 십주

십지

10지(十地,,, ten stages)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등각와 십지

십행

10행(十行)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등각와 십행

십신

10신(十信,, ten stages of faith)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등각와 십신

화엄경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줄여서 《화엄경(華嚴經)》() 또는 《잡화경(雜華經)》()은 초기 대승불교의 가장 중요한 경전 중 하나로,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6001 > 화엄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화엄경: 華嚴經 원명은 부다아바탐사카 나마 마하바이풀랴 수트라(Buddha­avatamsaka­nama­mahavaipulya­sutra)이고 자세하게 말해서 이라 부른.

보다 등각와 화엄경

또한 금강심, 마하사트바, 마하살타, 일생보처보살, 일생보처의 보살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