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라벤나

색인 라벤나

벤나(Ravenna)는 이탈리아의 도시로 라벤나 현의 현도이.

106 처지: 느무르 공작 가스통 드 푸아, 러베나, 람베르투스 스폴레텐시스, 동고트 왕국, 라벤나 FC, 라벤나 전투, 라벤나 전투 (1512년), 라벤나 현, 렌초 모리지, 레온 3세, 롬바르디아 전쟁, 로마, 로마 공국, 로마 약탈 (1527년), 로마 약탈 (410년), 리아리오 가, 마리아 (예수의 어머니), 마우리키우스, 막센티우스, 막시미아누스, 발렌티니아누스 3세, 갈레세, 베네치아 공화국의 역사, 벨리사리우스, 고대 대불가리아, 볼로냐, 빗물세, 비잔티움 제국, 비티게스, 교회학자, 교황 도노, 교황 레오 2세, 교황 바오로 1세, 교황 그레고리오 16세, 교황 그레고리오 2세, 교황 그레고리오 7세, 교황 니콜라오 3세, 교황 스테파노 2세, 교황 스테파노 5세, 교황 우르바노 2세, 교황 요한 13세, 교황 요한 1세, 교황 요한 2세, 교황 요한 3세, 교황 펠라지오 2세, 교황 클레멘스 7세, 교황 인노첸시오 7세, 교황 호노리오 4세, 교황 실베스테르 2세, 교황령, ..., 구이도 3세 스폴레텐시스, 다비데 발라르디니, 단테 알리기에리, FIFA 비치사커 월드컵, 스틸리코, 힐 알바레스 카리요 데 알보르노스, 잠바티스타 마리노, 장미꽃 무늬 창, 페라라, 페라라 공국, 포룸 로마눔, 포강, 이탈리아의 인구순 도시 목록, 이탈리아의 역사, 이탈리아의 통일, 의자의 역사, 제국의회 (신성 로마 제국), 조반니 살비아티, 중세 대학, 체세나티코, 카롤루스 3세 크라수스, 카롤루스 왕조, 카롤루스 왕조 서로마 황제, 카이사르의 내전, 캉브레 동맹 전쟁, 콘스탄스 2세, 코냐크 동맹 전쟁, 유럽의 세계유산, 유스티니아누스 1세, 율리우스 네포스, 수페르코파 디 세리에 C, 오도아케르, 오르델라피가, 오스티아, 호노리우스, 산비탈레 성당, 산타 크로체 성당, 피란, 피피누스 3세 브레비스, 피핀의 기증, 프란체스코 알리도시, 섹사르드, 서로마 제국, 알라리쿠스 1세, 안드레아 만도를리니, 아르뒤노 (이탈리아), 아틸라, 테라모, 테오도라 (6세기), 테오도리쿠스 마그누스, 식민지와 지배 국가 목록, 2011년 FIFA 비치사커 월드컵, 493년, 540년, 5세기, 9월 21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56 더) »

느무르 공작 가스통 드 푸아

무르 공작 가스통 드 푸아(Gaston de Foix, Duc de Nemours, 1489년 12월 10일 ~ 1512년 4월 11일)는 16세기 초 프랑스의 장군으로 이탈리아 전쟁에서 프랑스군 지휘관이 되어 캉브레 동맹 전쟁 중 1511년 - 1512년 사이 6개월간 그가 보여준 눈부신 활약 때문에 이탈리아의 번개(The Thunderbolt of Italy,le foudre d'Italie)라고 불렸으나 라벤나 전투에서 승리 직전 전사.

새로운!!: 라벤나와 느무르 공작 가스통 드 푸아 · 더보기 »

러베나

베나(Ravenna)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라벤나와 러베나 · 더보기 »

람베르투스 스폴레텐시스

베르토 2세(Lambert II of Spoleto, 870년/875년경 - 898년 10월 15일)는 카롤링거 왕조 출신의 스폴레토 공작, 이탈리아의 군주이.

새로운!!: 라벤나와 람베르투스 스폴레텐시스 · 더보기 »

동고트 왕국

동고트 왕국(Ostrogothic Kingdom)은 493년 게르만족의 일파인 동고트족의 테오도릭 대왕이 동로마 제국의 황제 제논의 지원을 받아서, 로마를 점령한 게르만인 오도아케르를 몰아내고 건설하였.

새로운!!: 라벤나와 동고트 왕국 · 더보기 »

라벤나 FC

벤나 FC(Ravenna F.C.)는 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 주 라벤나를 연고지로 한 축구 클럽이.

새로운!!: 라벤나와 라벤나 FC · 더보기 »

라벤나 전투

벤나 전투는 이탈리아의 도시인 라벤나에서 벌어진 전투이.

새로운!!: 라벤나와 라벤나 전투 · 더보기 »

라벤나 전투 (1512년)

벤나 전투는 1512년 4월 11일 북 이탈리아 라벤나에서 가스통 드 푸아가 이끄는 프랑스-페라라 공국군과 프랑스에 대항해 신성동맹을 맺은 스페인-교황령 군대를 이끄는 라몬 카르도나가 맞붙은 전투로 이 전투에서 가스통 드 푸아는 대량의 대포를 이용한 화력전과 보병의 공격으로 교황군대를 격. 하지만 승리 직전 가스통 드 푸아가 전사하는 바람에 이후 프랑스는 이탈리아에서 그 위세를 잃.

새로운!!: 라벤나와 라벤나 전투 (1512년) · 더보기 »

라벤나 현

벤나 현의 위치 라벤나 현()은 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 주의 현이.

새로운!!: 라벤나와 라벤나 현 · 더보기 »

렌초 모리지

모리지(1895년 2월 28일 ~ 1962년 4월 13일)는 이탈리아의 사격 선수로 1932년 하계 올림픽에서 25m 속사권총 종목의 금메달을 획득하였.

새로운!!: 라벤나와 렌초 모리지 · 더보기 »

레온 3세

온 3세 이사우로스(685년경 - 741년 6월 18일)는 717년 3월 25일 반란으로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가 되어 741년 죽을 때까지 통. 비잔티움 제국의 오랜 혼란을 끝내고 제위에 올라 재위 기간 중 아랍인의 침공을 성공적으로 막아내었으나 성상파괴 명령으로 제국 내 오랜 종교 갈등을 가져오기도 하였.

새로운!!: 라벤나와 레온 3세 · 더보기 »

롬바르디아 전쟁

바르디아 전쟁(Guerre di Lombardia)은 베네치아 공화국과 밀라노 공국 그리고 그들의 동맹국 사이에 벌어진 일련의 분쟁이며, 북부 이탈리아를 두고 4번의 패권 싸움을 벌여, 롬바르디아의 경제 파괴와 베네치아의 국력이 쇠약해졌.

새로운!!: 라벤나와 롬바르디아 전쟁 · 더보기 »

로마

마()는 이탈리아의 수도이자 라치오 주의 주도로, 테베레 강 연안에 있. 로마시의 행정구역 면적은 1,285km2로 서울시의 2배정도이고, 2014년 인구는 290여만명이.

새로운!!: 라벤나와 로마 · 더보기 »

로마 공국

마 공국은 5세기부터 752년까지 로마와 라티움일대에 존속하던 명목상 비잔티움 제국의 속국인 역대 로마 주교들의 영향을 받던 국가를 말. 752년 교황령의 성립으로 해체되어 교황령의 일부.

새로운!!: 라벤나와 로마 공국 · 더보기 »

로마 약탈 (1527년)

마 약탈은 1527년 5월 6일 교황령의 수도 로마를 침략한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카를 5세가 이끈 신성로마제국군 가운데 일부가 통제에서 벗어나 로마 시내에서 무차별적으로 약탈을 자행한 사건이.

새로운!!: 라벤나와 로마 약탈 (1527년) · 더보기 »

로마 약탈 (410년)

마 약탈 (410년) (Sack of Rome)은, 서기 410년 8월 24일에 일어난 알라리크 1세가 이끄는 서고트족이 서로마 제국의 로마를 침공・함락시키고 시내를 약탈한 사건을 말. 서로마 제국의 수도는 402년 이후 라벤나로 옮겨져 있었고, 동로마 제국은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하고 있었.

새로운!!: 라벤나와 로마 약탈 (410년) · 더보기 »

리아리오 가

리아리오 가문의 문장. 리아리오 가문(Casa Riario)은 제노바 인근 사보나 출신의 이탈리아 귀족 가문이며, 때로는 리아리오스포르차 가문(Casa Riario-Sforza)으로도 불린.

새로운!!: 라벤나와 리아리오 가 · 더보기 »

마리아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기원전 18년경 – 서기 41년경)는 신약성경에서 예수의 어머니로 등장하는 갈릴래아의 나자렛 출신 유대인 여성이.

새로운!!: 라벤나와 마리아 (예수의 어머니) · 더보기 »

마우리키우스

마우리키우스(Flavius Mauricius Tiberius Augustus, 539년 - 602년)는 비잔티움의 황제로 582년부터 602년 반란으로 제위에서 쫓겨나 죽을 때까지 비잔티움 제국을 다스.

새로운!!: 라벤나와 마우리키우스 · 더보기 »

막센티우스

막센티우스 마르쿠스 아우엘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센티우스 (Marcus Aurelius Valerius Maxentius, 278년추정 - 312년 10월 28일)은 306년부터 312년까지 로마 황제였.

새로운!!: 라벤나와 막센티우스 · 더보기 »

막시미아누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헤르쿨리우스(250년 추정 - 310년 7월)은 286년부터 305년까지 디오클레티아누스와 함께 로마를 통치한 로마 황제이.

새로운!!: 라벤나와 막시미아누스 · 더보기 »

발렌티니아누스 3세

발렌티니아누스 3세가 새겨진 로마 금화 플라비우스 플라키디우스 발렌티니아누스(Flavius Placidius Valentinianus) 또는 발렌티니아누스 3세(Valentinianus III, 419년 7월 2일 - 455년 3월 16일)는, 서로마 제국의 황제(皇帝)이다(재위: 425년 10월 23일 - 455년 3월 16일).

새로운!!: 라벤나와 발렌티니아누스 3세 · 더보기 »

갈레세

세()는 이탈리아 라치오 주 비테르보 현에 위치한 코무.

새로운!!: 라벤나와 갈레세 · 더보기 »

베네치아 공화국의 역사

베네치아 공화국의 역사는 421년 3월 25일 금요일 정오에, 파도바에서 온 관리들이 이 지역에 교역소를 세우고자 기초를 다지기 시작하면서 시작했다고 전. 이 사건을 기념하기 위하여 베네치아에 성 야고보 교회가 세워진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것이 실제로 일어난 일인지 여부는 확실치는 않으며, 실제 일어난 일이라 해도 이에 후속하는 조치는 거의 없어 한참 후까지 여기에 정주하는 (또는 자기 자신을 주민이라 여기는) 인구는 거의 없었.

새로운!!: 라벤나와 베네치아 공화국의 역사 · 더보기 »

벨리사리우스

비우스 벨리사리우스(Flavius Belisarius, 505년 - 565년)는 비잔티움 제국의 유명한 장군으로 유스티니아누스 1세 치세의 장군이.

새로운!!: 라벤나와 벨리사리우스 · 더보기 »

고대 대불가리아

불가리아(Old Great Bulgaria) 혹은 대불가리아(Great Bulgaria, 비잔티움의 연대기에서는 Παλαιά Μεγάλη Βουλγαρία)는 비잔티움 제국의 역사서에 등장하는 용어로써 7세기 볼가 강(Volga) 하류에서 드네스트르 강(Dniester)까지 범위의 캅카스 산맥 북부, 스텝 지대를 지배했던 불가르(Bulgar)의 군주 쿠브라트(Kubrat)의 치세를 가리.

새로운!!: 라벤나와 고대 대불가리아 · 더보기 »

볼로냐

볼로냐(Bologna)는 이탈리아 북부 내륙에 있는 대학 도시이.

새로운!!: 라벤나와 볼로냐 · 더보기 »

빗물세

빗물세는 빗물을 처리하는데 드는 비용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이.

새로운!!: 라벤나와 빗물세 · 더보기 »

비잔티움 제국

마 제국 또는 동로마 제국, 중세 로마 제국, 비잔티움 제국, 비잔틴 제국()은 중세 시대에 콘스탄티노폴리스 천도 이후의 로마 제국을 일컫는 명칭으로, 수도는 콘스탄티노폴리스(현재의 이스탄불)였고 로마 황제가 다스.

새로운!!: 라벤나와 비잔티움 제국 · 더보기 »

비티게스

비티게스(Witiges 혹은 Vitiges, ? ~ 540년, 재위 536년 ~ 540년)은 동고트 왕국의 제4대 국왕으로, 아말라순타의 딸 마테수엔타과 결혼.

새로운!!: 라벤나와 비티게스 · 더보기 »

교회학자

회학자(敎會學者) 또는 교회박사(敎會博士)는 기독교에서 주로 신학이나 교리 분야의 발전 및 보호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은 사람에게 주어지는 명칭이.

새로운!!: 라벤나와 교회학자 · 더보기 »

교황 도노

황 도노(라틴어: Donus PP., 이탈리아어: Papa Dono)는 제78대 교황(재위: 676년 11월 2일 - 678년 4월 11일)이.

새로운!!: 라벤나와 교황 도노 · 더보기 »

교황 레오 2세

황 레오 2세()는 제80대 교황(재위: 681년 12월 ~ 683년 7월 3일)이.

새로운!!: 라벤나와 교황 레오 2세 · 더보기 »

교황 바오로 1세

황 바오로 1세(라틴어: Paulus PP. I, 이탈리아어: Papa Paolo I)는 제93대 교황(재위: 757년 5월 29일 - 767년 6월 28일)이.

새로운!!: 라벤나와 교황 바오로 1세 · 더보기 »

교황 그레고리오 16세

황 그레고리오 16세(라틴어: Gregorius PP. XVI, 이탈리아어: Papa Gregorio XVI)는 제254대 교황(재위: 1831년 2월 2일 ~ 1846년 6월 1일)이.

새로운!!: 라벤나와 교황 그레고리오 16세 · 더보기 »

교황 그레고리오 2세

황 그레고리오 2세(라틴어: Gregorius PP. II, 이탈리아어: Papa Gregorio II)는 제89대 교황(재위: 715년 5월 19일 - 731년 2월 11일)이.

새로운!!: 라벤나와 교황 그레고리오 2세 · 더보기 »

교황 그레고리오 7세

황 그레고리오 7세()는 제157대 교황(재위: 1073년 4월 22일 - 1085년 5월 25일)이.

새로운!!: 라벤나와 교황 그레고리오 7세 · 더보기 »

교황 니콜라오 3세

황 니콜라오 3세(라틴어: Nicholaus PP. III, 이탈리아어: Papa Niccolò III)는 제188대 교황(재위: 1277년 11월 25일 - 1280년 8월 22일)이.

새로운!!: 라벤나와 교황 니콜라오 3세 · 더보기 »

교황 스테파노 2세

황 스테파노 2세()는 제92대 교황(재위: 752년 3월 26일 ~ 757년 4월 26일)이.

새로운!!: 라벤나와 교황 스테파노 2세 · 더보기 »

교황 스테파노 5세

황 스테파노 5세()는 제110대 교황(재위: 885년 9월 ~ 891년 9월 14일)이.

새로운!!: 라벤나와 교황 스테파노 5세 · 더보기 »

교황 우르바노 2세

황 우르바노 2세(라틴어: Urbanus PP. II, 이탈리아어: Papa Urbano II)는 제159대 교황(재위: 1088년 3월 12일 - 1099년 7월 29일)이.

새로운!!: 라벤나와 교황 우르바노 2세 · 더보기 »

교황 요한 13세

황 요한 13세(라틴어: Ioannes PP. XIII, 이탈리아어: Papa Giovanni XIII)는 제133대 교황(재위: 965년 10월 1일 - 972년 9월 6일)이.

새로운!!: 라벤나와 교황 요한 13세 · 더보기 »

교황 요한 1세

황 요한 1세(470년 ~ 526년)는 제53대 교황(재위: 523년 8월 13일 ~ 526년 5월 18일)이.

새로운!!: 라벤나와 교황 요한 1세 · 더보기 »

교황 요한 2세

황 요한 2세()는 제56대 교황(재위: 533년 1월 2일 ~ 535년 5월 8일)이.

새로운!!: 라벤나와 교황 요한 2세 · 더보기 »

교황 요한 3세

황 요한 3세()는 제61대 교황(재위: 561년 7월 17일 ~ 574년 7월 13일))이다. 로마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교황 연대표》에 의하면, 그의 부친은 아나스타시우스로서 로마 원로원에서 가장 높은 직책을 가진 의원이었다고 한다. 역사학자 에바그리우스의 주장에 따르면, 출생 당시의 이름은 카텔리누스(Catelinus)였으나, 나중에 요한이라는 이름으로 개명했다고 한다. 그는 그리스 교부들의 강론 모음집을 저술하고, 교황 펠라지오 1세가 임기를 시작할 때 《교부들의 생애》(Vitae patrum)를 라틴어로 번역하는 작업을 마친 차부제 요한과 동일인물일 가능성이 있다. 요한 3세가 교황으로 재위하던 시절에 두 가지 커다란 사건이 일어났다. 그 가운데 첫 번째는 565년 동로마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사망한 것이다. 제프리 리처드의 말을 인용하면, 유스티니아누스 1세의 통치는 한마디로 ‘비정상’이었으며, “역사라는 거대한 물의 흐름을 잠시 댐으로 막은 것에 불과하였다.” 그가 사망한 후, 동로마 제국의 관심은 로마와 서방에서 발칸 반도와 페르시아, 아랍 지역 등으로 이동하였다. 이탈리아는 지리학적으로 제국의 중심인 콘스탄티노폴리스로부터 멀리 떨어진 변방이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전략적 우선순위에서 최하위에 자리잡게 되었다. 또 다른 주요 사건은 568년 발발한 랑고바르드족의 침략이다. 이탈리아 반도의 중추라고 할 수 있는 이탈리아 북부 지역 다수가 랑고바르드족의 침략을 받자, 제국 정부는 곧 혼란에 빠졌다. 그리고 어느새 영원한 도시 로마의 생존까지 위협받게 되었다. 랑고바르드족이 등장함으로써 거의 소멸 직전에 있던 아리우스주의가 다시 득세하면서 절대적인 우세를 점하던 가톨릭 신앙이 위협받게 되었다. 이탈리아의 새로운 총독으로 임명된 롱기누스는 랑고바르드족의 남하를 막지 못한 채 라벤나에서 그저 무력하게 손놓고 있었다. 요한 3세 교황은 이전 총독인 나르세스가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돌아가려고 한다는 소식을 듣고, 그가 있는 나폴리까지 가서 이탈리아에 계속 남아서 지켜달라고 부탁하였다. 본래 나르세스는 가혹한 조세 정책을 펼친다는 이유로 이탈리아인들의 원망을 사게 되면서, 새 황제 유스티누스 2세로부터 콘스탄티노폴리스로의 소환 명령을 받은 상태였다. 그러나 요한 3세의 요청에 따라 로마로 돌아갔다. 하지만 그가 로마로 돌아오게 되면서 그에 대한 이탈리아 주민들의 반발이 극심해졌다. 이 소요는 상당히 격렬해져서 결국 교황까지 로마를 떠나 아피아 가도의 프레텍스타투스 무덤으로 거처를 옮겨 그곳에서 선종할 때까지 주교 서임식을 포함한 업무를 수행하였다. 기록상으로 전해지는 당시 요한 3세의 활동 가운데 하나는 앙브뤵의 주교 살로니우스와 가프의 주교 사기타리우스와 관련된 문제(567년경)이다. 이들은 리옹에서 열린 교회회의에서 비난을 받았는데, 정작 당사자들은 자신들이 부당한 비난을 받았다고 생각했다. 그들은 부르고뉴의 왕 군트람에게 찾아가서 하소연하였으며, 군트람 왕은 요한 3세에게 상소하였다. 왕의 편지를 받아 읽은 요한 3세는 살로니우스와 사기타리우스가 자신들의 교구로 복귀해야 한다는 결정을 내렸다. 《교황 연대표》에 따르면, 요한 3세는 574년 7월 13일에 선종하였다.

새로운!!: 라벤나와 교황 요한 3세 · 더보기 »

교황 펠라지오 2세

황 펠라지오 2세(라틴어: Pelagius PP. II, 이탈리아어: Papa Pelagio II)는 제63대 교황(재위: 579년 11월 26일 - 590년 2월 7일)이.

새로운!!: 라벤나와 교황 펠라지오 2세 · 더보기 »

교황 클레멘스 7세

황 클레멘스 7세()는 제219대 교황(재위: 1523년 11월 26일 ~ 1534년 9월 25일)이.

새로운!!: 라벤나와 교황 클레멘스 7세 · 더보기 »

교황 인노첸시오 7세

황 인노첸시오 7세()는 제204대 교황(재위: 1404년 10월 17일 ~ 1406년 11월 6일)이.

새로운!!: 라벤나와 교황 인노첸시오 7세 · 더보기 »

교황 호노리오 4세

황 호노리오 4세(라틴어: Honorius PP. IV, 이탈리아어: Papa Onorio IV)는 제190대 교황(재위: 1285년 4월 2일 - 1287년 4월 3일)이.

새로운!!: 라벤나와 교황 호노리오 4세 · 더보기 »

교황 실베스테르 2세

황 실베스테르 2세(라틴어: Silvester PP. II, 이탈리아어: Papa Silvestro II)는 제139대 교황(재위: 999년 4월 2일 - 1003년 5월 12일)이.

새로운!!: 라벤나와 교황 실베스테르 2세 · 더보기 »

교황령

황령(敎皇領)은 기독교에서, 교황의 세속적인 지배권이 미치는 유형의 영토를 뜻. 교회령(敎會領) 또는 베드로 세습령(∼世襲領)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라벤나와 교황령 · 더보기 »

구이도 3세 스폴레텐시스

이도 3세 스폴레텐시스(840년/855년 - 894년 12월 12일)는 이탈리아왕이자 스폴레토 공작, 카메리노의 후작이고,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891년 - 894년)이었.

새로운!!: 라벤나와 구이도 3세 스폴레텐시스 · 더보기 »

다비데 발라르디니

비데 발라르디니(1964년 1월 6일 ~)는 이탈리아의 축구 감독이.

새로운!!: 라벤나와 다비데 발라르디니 · 더보기 »

단테 알리기에리

리 알리기에리(1265년 3월 1일경 ~ 1321년 9월 13일 또는 9월 14일)는 두란테의 약칭인 단테(Dante) 또는 단테 알리기에리(Dante Alighieri)로 널리 알려진 이탈리아의 시인이.

새로운!!: 라벤나와 단테 알리기에리 · 더보기 »

FIFA 비치사커 월드컵

FIFA 비치사커 월드컵(FIFA Beach Soccer World Cup)은 국제기구인 FIFA에 가맹된 남자 비치사커 대표팀끼리 승부를 겨루는 국제 비치사커 대회이.

새로운!!: 라벤나와 FIFA 비치사커 월드컵 · 더보기 »

스틸리코

비우스 스틸리코(라틴어: Flavius Stilicho, 365년 ~ 408년 8월 22일)는 서로마 제국 말기의 반(半)게르만계 장군 · 정. 각지를 전전하면서 로마를 방위했고 호노리우스를 서로마 제국 황제로 옹립해 정치적 ·군사적 실권을 장악.

새로운!!: 라벤나와 스틸리코 · 더보기 »

힐 알바레스 카리요 데 알보르노스

프라도 미술관에 있는 마티아스 모레노가 그린 추기경 힐 알바레스 카리요 데 알보르노스 힐 알바레스 카리요 데 알보르노스 (1310년 – 1367년 8월 23일)는 스페인의 추기경이자 교회군 지도자이.

새로운!!: 라벤나와 힐 알바레스 카리요 데 알보르노스 · 더보기 »

잠바티스타 마리노

''Lira'', 1674 잠바티스타 마리노(Giambattista Marino, 1569년 ~ 1625년)는 이탈리아의 시인이.

새로운!!: 라벤나와 잠바티스타 마리노 · 더보기 »

장미꽃 무늬 창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대성당의 장미 창 건축 도안 스트라스부르 대성당의 장미 창 외경 스트라스부르스 대성당의 실내에서 보는 장미 창 장미 창(rose window) 또는 장미꽃 무늬 창(또는 캐서린 창)은 원형 창에 적용되는 총칭적인 용어로 자주 사용되지만, 특히 고딕 건축 양식의 교회들의 건축물에 사용되고 중간 문설주와 트레이서리의 조각들로 세분화.

새로운!!: 라벤나와 장미꽃 무늬 창 · 더보기 »

페라라

()는 이탈리아 북부 에밀리아로마냐 주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라벤나와 페라라 · 더보기 »

페라라 공국

공국(Ducato di Ferrara)은 오늘날 이탈리아 북부에 있었던 국가이.

새로운!!: 라벤나와 페라라 공국 · 더보기 »

포룸 로마눔

마눔의 전경 포룸 로마눔()은 고대 로마 시대의 유적지로, 이탈리아 로마에 있으며 현재는 관광지로 매우 유명.

새로운!!: 라벤나와 포룸 로마눔 · 더보기 »

포강

강 포 강은 이탈리아 북부를 흐르는 강이.

새로운!!: 라벤나와 포강 · 더보기 »

이탈리아의 인구순 도시 목록

이탈리아 지도. 표시된 도시는 인구 15만 이상의 도시.(도시명은 영어) 이 문서는 이탈리아의 도시를 인구 순으로 배열해 정리한 것이.

새로운!!: 라벤나와 이탈리아의 인구순 도시 목록 · 더보기 »

이탈리아의 역사

마 프레스코 벽화(기원후 45-79년) 이탈리아의 역사는 선사 시대인 85만년 전 무렵에 살았던 구석기인의 유적인 몬테포기올로까지 소급될 수 있.(이탈리아어) 또한 4만 3천년 전 무렵부터는 크로마뇽인이 거주 하였.

새로운!!: 라벤나와 이탈리아의 역사 · 더보기 »

이탈리아의 통일

통일 되기 전의 이탈리아 반도 리소르지멘토()는 이탈리아 반도에 할거한 여러 국가들을 하나의 통일된 국가인 이탈리아로 통일하자는 정치적, 사회적 움직임이었.

새로운!!: 라벤나와 이탈리아의 통일 · 더보기 »

의자의 역사

4750-4600BC 경의 진흙으로 만든 유럽식 의자 의자(椅子)는 아주 오랜 역사를 갖고 있. 수천년동안 이것은 실용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기보다는 존엄과 위엄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되었.

새로운!!: 라벤나와 의자의 역사 · 더보기 »

제국의회 (신성 로마 제국)

1675년 판화에 있는 레겐스부르크 시청에서 이뤄진 제국의회 시작시의 좌석 배치 계획: 황제와 선제후들이 위쪽에 위차하고, 세속 제후들은 왼쪽에, 교회 제후들은 오른쪽에, 제국 도시들의 의원들은 판화의 정면에 위치한다. 제국의회는 신성 로마 제국의 입법 기관이자 자문 기관이.

새로운!!: 라벤나와 제국의회 (신성 로마 제국) · 더보기 »

조반니 살비아티

에르 프란체스코 포스키 (Pier Francesco Foschi, 1502년–1567년)가 캔버스에 유화로 그린 조반니 살비아티의 초상. 조반니 살비아티 (Giovanni Salviati, 1490년 3월 24일 – 1553년 10월 28일)는 피렌체의 외교관이자 추기경이.

새로운!!: 라벤나와 조반니 살비아티 · 더보기 »

중세 대학

중세 시기 파리 대학교 총장과 소속 박사들의 접견 모습 중세 대학은 서양 중세 중기에 등장한 고등교육기관으로서 초기에는 조합의 형태를 띠고 있었.

새로운!!: 라벤나와 중세 대학 · 더보기 »

체세나티코

세나티코 체세나티코()는 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 주 포를리체세나 현에 위치한 코무네로 면적은 45km2, 높이는 3m, 인구는 25,796명(2016년 1월 1일 기준), 인구 밀도는 570명/km2이.

새로운!!: 라벤나와 체세나티코 · 더보기 »

카롤루스 3세 크라수스

스 3세 크라수스(839년 6월 13일 – 888년 1월 13일)는 카롤루스 왕조의 군주 중. "크라수스"란 "비만하다"라는 뜻이.

새로운!!: 라벤나와 카롤루스 3세 크라수스 · 더보기 »

카롤루스 왕조

링거 왕조의 가계도 카롤루스 왕조(Carolingian dynasty)는 프랑크족 카롤루스 일족이 세운 왕조이.

새로운!!: 라벤나와 카롤루스 왕조 · 더보기 »

카롤루스 왕조 서로마 황제

링거 제국의 황제들의 명단이.

새로운!!: 라벤나와 카롤루스 왕조 서로마 황제 · 더보기 »

카이사르의 내전

이사르의 내전은 로마 공화정 말기 카이사르의 민중파와 폼페이우스를 비롯한 원로원파 사이에 벌어진 내전을 말. 이 내전에서 카이사르는 원로원 공화정파를 제압하고 권력을 잡았고 로마 공화정은 그 종말로 한걸음 다가가게 되었.

새로운!!: 라벤나와 카이사르의 내전 · 더보기 »

캉브레 동맹 전쟁

캉브레 동맹 전쟁(Guerre de la Ligue de Cambrai, Guerra della Lega di Cambrai)은 이탈리아 전쟁에서의 주요 전쟁 중 하나이며, 신성 동맹 전쟁과 다른 이름으로도 알려져있.

새로운!!: 라벤나와 캉브레 동맹 전쟁 · 더보기 »

콘스탄스 2세

스탄스 2세 또는 콘스탄스 포고나토스 (그리스어:Κώνστας Β' Πωγωνάτος, 630년 11월 7일 - 668년 9월 15일)은 641년부터 668년 죽을 때까지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였.

새로운!!: 라벤나와 콘스탄스 2세 · 더보기 »

코냐크 동맹 전쟁

동맹 전쟁(1526년 ~ 1530년)은 카를 5세의 합스부르크 지배지 - 주로 신성 로마 제국과 합스부르크 스페인 - 과 프랑스, 교황 클레멘스 7세, 베네치아 공화국, 잉글랜드 왕국, 밀라노 공국, 피렌체 공화국이 결성한 동맹인 코냐크 동맹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라벤나와 코냐크 동맹 전쟁 · 더보기 »

유럽의 세계유산

이 문서에서는 유럽의 세계유산 목록에.

새로운!!: 라벤나와 유럽의 세계유산 · 더보기 »

유스티니아누스 1세

유스티니아누스 1세 또는 유스티니아누스 대제(482년경 – 565년 11월 14일)는 527년부터 565년까지 로마 제국의 황제였.

새로운!!: 라벤나와 유스티니아누스 1세 · 더보기 »

율리우스 네포스

율리우스 네포스(Julius Nepos. 430년경 ~ 480년 5월 9일)는 고대 로마 제국의 장군이자 서로마 제국의 황제이.

새로운!!: 라벤나와 율리우스 네포스 · 더보기 »

수페르코파 디 세리에 C

수페르코파 디 세리에 C(Supercoppa di Serie C, 과거 수페르코파 디 레가 프로)는 세리에 C 세 조의 우승팀이 치루는 이탈리아의 축구 대회이.

새로운!!: 라벤나와 수페르코파 디 세리에 C · 더보기 »

오도아케르

오도아케르(Odoacer, 433년 ~ 493년 3월 14일) 혹은 오도바카르(Odovacar), 게르만식으로 아우다바크르(Audawakr)는 초대 이탈리아왕(재위 480-493)이.

새로운!!: 라벤나와 오도아케르 · 더보기 »

오르델라피가

오르델라피 가문의 문장. 오르델라피 가문(Ordelaffi)는 13세기부터 1504년까지 로마냐 저지대를 다스렸던 이탈리아의 귀족 가문이.

새로운!!: 라벤나와 오르델라피가 · 더보기 »

오스티아

오스티아 (Ostia)는 이탈리아 로마 수도 광역시 제5 무니치피오에 속한 큰 동네이.

새로운!!: 라벤나와 오스티아 · 더보기 »

호노리우스

호노리우스가 새겨진 로마의 화폐 호노리우스(384년 9월 9일 ~ 423년 8월 15일, 재위 395년~ 423년)는 서로마 제국의 황제.

새로운!!: 라벤나와 호노리우스 · 더보기 »

산비탈레 성당

산비탈레 성당 산비탈레 성당()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중앙집중식 성당으로 이탈리아의 라벤나에서 가장 유명한 건물이면서 서유럽의 비잔티움 미술과 건축의 중요한 사례로 손꼽힌.

새로운!!: 라벤나와 산비탈레 성당 · 더보기 »

산타 크로체 성당

산타 크로체 성당(성 십자가 성당)은 이탈리아 피렌체에 위치한 프란치스코회의 주요 교회이자, 로마 가톨릭교회의 소 바실리카이.

새로운!!: 라벤나와 산타 크로체 성당 · 더보기 »

피란

()는 슬로베니아 남서쪽에 있는 마을이자 지방 자치체로, 아드리아 해 피란 만에 위치해 있. 이름의 기원은 불확실하며, 언덕 위의 정착지를 뜻하는 켈트어 "bior-dun" (언덕 위의 정착지)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지만, 반도 끝에 위치한 등대를 뜻하는 그리스어 단어 "pyr"(불)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 피란은 중세 건축과 풍부한 문화 유산을 갖고 있으며, 좁은 거리와 조밀한 집들은 이 마을의 매력을 준. 피란은 이 지역의 행정 중심지이자 슬로베니아에서 관광객이 많은 곳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라벤나와 피란 · 더보기 »

피피누스 3세 브레비스

스 3세 브레비스(Pippinus III Brevis 714년 – 768년 9월 24일)는 카롤링거 왕조 출신 프랑크 왕국의 군주였.

새로운!!: 라벤나와 피피누스 3세 브레비스 · 더보기 »

피핀의 기증

의 기증이란 프랑크 왕 피핀이 자기의 왕위를 교황 자카리아에게서 승인을 받고, 그 대상으로서 다음대의 교황 스테파노 2세가 롬바르드 국왕의 압박을 받아 구원을 요청해 온 데 대해서 754년 이탈리아에 원정하여 라벤나 지방을 평정하고 그 땅을 교황에게 헌상 한 것이.

새로운!!: 라벤나와 피핀의 기증 · 더보기 »

프란체스코 알리도시

라파엘로가 그린 프란체스코 알리도시. 프란체스코 알리도시 (Francesco Alidosi, 1455년 – 1511년 5월 24일)는 이탈리아의 추기경 및 콘도티에로이.

새로운!!: 라벤나와 프란체스코 알리도시 · 더보기 »

섹사르드

섹사르드 시가지 섹사르드()는 헝가리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톨너 주의 주도이며 면적은 148.40km2, 인구는 49,850명(2011년 기준), 인구 밀도는 334.35명/km2이.

새로운!!: 라벤나와 섹사르드 · 더보기 »

서로마 제국

서로마 제국()은 285년부터 476년 또는 480년까지 유럽에 존재하던 제국이.

새로운!!: 라벤나와 서로마 제국 · 더보기 »

알라리쿠스 1세

알라리크 1세 알라리크 1세(Alaric I, 370년~410년, 재위 395년~410년)는 초대 서고트 왕으로, 다뉴브 강 하류 지방의 출신이.

새로운!!: 라벤나와 알라리쿠스 1세 · 더보기 »

안드레아 만도를리니

안드레아 만도를리니(1960년 7월 17일 ~)는 이탈리아의 전직 축구 선수이자 축구 감독이.

새로운!!: 라벤나와 안드레아 만도를리니 · 더보기 »

아르뒤노 (이탈리아)

아르뒤노 아르뒤노(Arduino, 955년 - 1015년 12월 14일) 또는 아르두인(Arduin)은 이탈리아 출신 이탈리아의 마지막 통치자이.

새로운!!: 라벤나와 아르뒤노 (이탈리아) · 더보기 »

아틸라

아틸라의 최대 판도 (434-453) 아틸라(406년 ~ 453년)는 훈족 최후의 왕이며 유럽 훈족 가운데 가장 강력한 왕이었.

새로운!!: 라벤나와 아틸라 · 더보기 »

테라모

모()는 이탈리아 아브루초 주 테라모 현에 위치하고 테라모 현의 현도인 코무네이.

새로운!!: 라벤나와 테라모 · 더보기 »

테오도라 (6세기)

오도라 황후(이탈리아 라벤나 산 비탈레 성당의 비잔티움식 모자이크) 테오도라(500년경 – 548년 6월 28일)은 비잔티움 제국의 황후로 유스티니아누스 1세의 부인이었.

새로운!!: 라벤나와 테오도라 (6세기) · 더보기 »

테오도리쿠스 마그누스

오도리쿠스 대왕(Theodoric the Great, 454년 ~ 526년 8월 30일, 재위 488년 ~ 526년)은 동고트 왕국의 초대 국왕이며 로마 제국의 군인이자, 이탈리아의 군주였.

새로운!!: 라벤나와 테오도리쿠스 마그누스 · 더보기 »

식민지와 지배 국가 목록

이 목록은 식민지, 보호국, 주권 위임국, 신탁 통치 지역, 지배 또는 부속된 국가, 다른 국가에 의존하는 국가, 다른 주권 권력 또는 (불공평한) 동군연합에 소속된 정치 독립체와 이들을 지배한 국가 (또는 제국)에 관한 넓고 다양한 범위를 대상으.

새로운!!: 라벤나와 식민지와 지배 국가 목록 · 더보기 »

2011년 FIFA 비치사커 월드컵

2011년 FIFA 비치사커 월드컵은 2011년 9월 1일부터 9월 11일까지 이탈리아 공화국의 라벤나에서 열린 열여섯번째 FIFA 비치사커 월드컵 대회이.

새로운!!: 라벤나와 2011년 FIFA 비치사커 월드컵 · 더보기 »

49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라벤나와 493년 · 더보기 »

54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라벤나와 540년 · 더보기 »

5세기

5세기는 401년부터 500년까지이.

새로운!!: 라벤나와 5세기 · 더보기 »

9월 21일

9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4번째(윤년일 경우 26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라벤나와 9월 21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라베나.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