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랑고바르드인

색인 랑고바르드인

250px 랑고바르드족또는 롬바르드족은 스칸디나비아 반도에서 기원한 게르만족의 하나로서, 1세기에는 수에비 족의 일부를 형성하였.

99 처지: 랑고바르드 왕국, 란차노, 데루타, 동게르만족, 동고트 왕국, 동서 교회의 분열, 롬바르디아주, 로마 원로원, 로베르 기스카르, 루도비쿠스 3세 카에쿠스, 루카 (토스카나 주), 만토바, 만토바 공국, 마르틴시쿠로, 마우리키우스, 몬차, 몬테풀차노, 미하일 4세, 바이에른 공국, 밀라노, 가릴리아노강,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 공화국의 역사, 게르만족의 대이동, 고대 대불가리아, 고대 후기, 보야노, 그리스의 역사, 비잔티움 제국, 비사차, 대립교황, 교황 레오 2세, 교황 베네딕토 1세, 교황 그레고리오 1세, 교황 그레고리오 2세, 교황 그레고리오 3세, 교황 비탈리아노, 교황 스테파노 2세, 교황 요한 3세, 교황 요한 6세, 교황 요한 7세, 교황 자카리아, 교황 펠라지오 2세, 교황 사비니아노, 교황 시신니오, 교황령, 구아르디알피에라, 나르세스, 노르차, 스폴레토, ..., 힐데가르다 (프랑크 왕비), 페스카라, 폴리뇨, 이리니, 이탈리아, 이탈리아 북부, 이탈리아인, 이탈리아의 역사, 죄르, 중세 이탈리아 왕국, 중세 전기, 체카노, 첼라노, 카라마니코테르메, 카롤루스 1세 마그누스, 카롤루스 마르텔루스, 카를로마누스 (궁재), 카푸아, 카세르타, 카솔리, 콘스탄스 2세, 콘스탄티누스의 기증, 콘스탄티노스 5세, 코르두시오 역, 유스티누스 2세, 유트인, 술탄아흐메트 광장, 헝가리의 역사, 역사 연표, 산 칼리스토의 카타콤베, 산미니아토, 산카시아노데이바니, 피피누스 3세 브레비스, 피피누스 4세 기부스, 프랑크 왕국, 토디, 토스카나 변경백국, 토이토부르크 숲 전투, 알도브란데스키가, 아벨리노, 아체라, 아시아노, 아시시, 테라모, 테마 제도, 신성 로마 제국, 시질로, 시에나, 시에나 공화국.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49 더) »

랑고바르드 왕국

랑고바르드 왕국(568년~774년) 또는 롬바르드 왕국은 스칸디나비아에서 남하한 게르만계 랑고바르드족이 도나우강에 정착한 이후 알보인왕의 명령 아래 동로마 제국령 이탈리아를 침공하여 북이탈리아를 빼앗고 세운 왕국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랑고바르드 왕국 · 더보기 »

란차노

()는 이탈리아 아브루초 주 키에티 현에 있는 코무네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란차노 · 더보기 »

데루타

()는 이탈리아 움브리아 주 페루자 현에 위치한 코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데루타 · 더보기 »

동게르만족

outline.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동게르만족 · 더보기 »

동고트 왕국

동고트 왕국(Ostrogothic Kingdom)은 493년 게르만족의 일파인 동고트족의 테오도릭 대왕이 동로마 제국의 황제 제논의 지원을 받아서, 로마를 점령한 게르만인 오도아케르를 몰아내고 건설하였.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동고트 왕국 · 더보기 »

동서 교회의 분열

동서 교회의 분열(東西 敎會의 分裂)은 기독교 역사상 11세기에 로마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가 상호 파문으로 분리된 사실을 말. 이에 대해 단일한 기독교 공동체에서 로마 가톨릭교회가 이탈한 것으로 이해하는 동방 정교회의 시각과 교황과의 일치로부터 동방 정교회가 이탈한 것으로 이해하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시각차이가 오늘날까지도 대립하고 있.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동서 교회의 분열 · 더보기 »

롬바르디아주

right 롬바르디아 주(Lombardia)는 이탈리아 북부의 주로 주도는 밀라노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롬바르디아주 · 더보기 »

로마 원로원

thumb 로마 원로원(元老院)은 고대 로마의 정치 기관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로마 원로원 · 더보기 »

로베르 기스카르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로베르 기스카르 · 더보기 »

루도비쿠스 3세 카에쿠스

비쿠스 3세 카에쿠스(880년경 – 928년 6월 28일)은 프로방스의 왕 (887년 11월부터), 이탈리아왕(900년 10월 또는 12월부터), 901년부터 905년까지 신성 로마 제국 황제였.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루도비쿠스 3세 카에쿠스 · 더보기 »

루카 (토스카나 주)

()는 현재 이탈리아 중북부 토스카나 주 루카 현의 현도로, 북쪽과 서쪽에 아푸안알프스 산맥이 있.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루카 (토스카나 주) · 더보기 »

만토바

만토바 궁전(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만토바()는 이탈리아 북부 롬바르디아 주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만토바 · 더보기 »

만토바 공국

만토바 공국(Ducato di Mantova)은 이탈리아 북부에 있었던 국가로, 신성 로마 제국에 속해있었.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만토바 공국 · 더보기 »

마르틴시쿠로

마르틴시쿠로()는 이탈리아 아브루초 주 테라모 현에 위치한 코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마르틴시쿠로 · 더보기 »

마우리키우스

마우리키우스(Flavius Mauricius Tiberius Augustus, 539년 - 602년)는 비잔티움의 황제로 582년부터 602년 반란으로 제위에서 쫓겨나 죽을 때까지 비잔티움 제국을 다스.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마우리키우스 · 더보기 »

몬차

몬차 몬차 대성당 몬차()는 이탈리아 북부 롬바르디아 주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몬차 · 더보기 »

몬테풀차노

몬테풀차노()는 이탈리아 토스카나 주 시에나 현에 있는 코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몬테풀차노 · 더보기 »

미하일 4세

미하일 4세 주화 미하일 4세 파플라고니아인(그리스어: Μιχαήλ Δ΄ Παφλαγών, 1010년 – 1041년 12월 10일)은 1034년부터 1041년까지 비잔티움의 황제였.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미하일 4세 · 더보기 »

바이에른 공국

바이에른 공작령 (Herzogtum Bayern)은 6세기부터 8세기 동안에 메로빙거 왕국의 남동쪽 변경 지역이였.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바이에른 공국 · 더보기 »

밀라노

밀라노()는 이탈리아의 북부에 있는 도시로, 롬바르디아 주의 주도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밀라노 · 더보기 »

가릴리아노강

릴리아노 강()은 이탈리아 중부 지역에 있는 강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가릴리아노강 · 더보기 »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 공화국()은 이탈리아 북부의 도시 베네치아에 있던 도시국가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베네치아 공화국 · 더보기 »

베네치아 공화국의 역사

베네치아 공화국의 역사는 421년 3월 25일 금요일 정오에, 파도바에서 온 관리들이 이 지역에 교역소를 세우고자 기초를 다지기 시작하면서 시작했다고 전. 이 사건을 기념하기 위하여 베네치아에 성 야고보 교회가 세워진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것이 실제로 일어난 일인지 여부는 확실치는 않으며, 실제 일어난 일이라 해도 이에 후속하는 조치는 거의 없어 한참 후까지 여기에 정주하는 (또는 자기 자신을 주민이라 여기는) 인구는 거의 없었.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베네치아 공화국의 역사 · 더보기 »

게르만족의 대이동

민족 대이동 게르만족의 대이동 또는 민족 대이동(民族大移動)은 4세기 경부터 6세기 경에 걸쳐 게르만 민족 및 관련 여러 민족이 서유럽·남유럽 방면에 이동한 사실을 말하는데, 넓게는 노르만인의 이동도 포함시켜 11세기 경까지를 보는 경우도 있. 이동의 원인으로서는 일반적으로 인구의 증가, 경지의 부족, 타민족의 압박 등을 들고 있으나, 구체적인 대이동의 계기는 훈족의 서진(西進)이며, 게르만 여러 족속은 보다 좋은 기후와 비옥한 땅을 찾아서 당시 방위력이 약화되었던 로마 제국으로 대거 침입.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게르만족의 대이동 · 더보기 »

고대 대불가리아

불가리아(Old Great Bulgaria) 혹은 대불가리아(Great Bulgaria, 비잔티움의 연대기에서는 Παλαιά Μεγάλη Βουλγαρία)는 비잔티움 제국의 역사서에 등장하는 용어로써 7세기 볼가 강(Volga) 하류에서 드네스트르 강(Dniester)까지 범위의 캅카스 산맥 북부, 스텝 지대를 지배했던 불가르(Bulgar)의 군주 쿠브라트(Kubrat)의 치세를 가리.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고대 대불가리아 · 더보기 »

고대 후기

후기(Late Antiquity)는 서양사에서 적용되는 시대 구분으로 기원후 2세기부터 8세기까지의 시대를 가리.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고대 후기 · 더보기 »

보야노

보야노()는 이탈리아 몰리세 주 캄포바소 현의 코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보야노 · 더보기 »

그리스의 역사

리스의 역사는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그리스인이 살았던 지역의 역사에서부터 현재의 그리스의 역사까지 폭 넓은 범주를 지니는 역사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그리스의 역사 · 더보기 »

비잔티움 제국

마 제국 또는 동로마 제국, 중세 로마 제국, 비잔티움 제국, 비잔틴 제국()은 중세 시대에 콘스탄티노폴리스 천도 이후의 로마 제국을 일컫는 명칭으로, 수도는 콘스탄티노폴리스(현재의 이스탄불)였고 로마 황제가 다스.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비잔티움 제국 · 더보기 »

비사차

비사차()는 이탈리아 캄파니아 주 아벨리노 현의 코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비사차 · 더보기 »

대립교황

립교황()은 기독교의 역사에서 비합법적으로 교황권을 행사한 사람을 가리.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대립교황 · 더보기 »

교황 레오 2세

황 레오 2세()는 제80대 교황(재위: 681년 12월 ~ 683년 7월 3일)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교황 레오 2세 · 더보기 »

교황 베네딕토 1세

황 베네딕토 1세()는 제62대 교황(재위: 575년 6월 2일 ~ 579년 7월 30일)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교황 베네딕토 1세 · 더보기 »

교황 그레고리오 1세

황 그레고리오 1세(라틴어: Gregorius PP. I, 이탈리아어: Papa Gregorio I)는 제64대 교황(재위: 590년 9월 3일 - 604년 3월 12일)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교황 그레고리오 1세 · 더보기 »

교황 그레고리오 2세

황 그레고리오 2세(라틴어: Gregorius PP. II, 이탈리아어: Papa Gregorio II)는 제89대 교황(재위: 715년 5월 19일 - 731년 2월 11일)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교황 그레고리오 2세 · 더보기 »

교황 그레고리오 3세

황 그레고리오 3세(라틴어: Gregorius PP. III, 이탈리아어: Papa Gregorio III)는 제90대 교황(재위: 731년 3월 18일 - 741년 11월 28일)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교황 그레고리오 3세 · 더보기 »

교황 비탈리아노

황 비탈리아노(라틴어: Vitalianus PP., 이탈리아어: Papa Vitaliano)는 제76대 교황(재위: 657년 7월 30일 - 672년 1월 27일Kirsch, Johann Peter (1912). "Pope St. Vitalian" in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 15.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교황 비탈리아노 · 더보기 »

교황 스테파노 2세

황 스테파노 2세()는 제92대 교황(재위: 752년 3월 26일 ~ 757년 4월 26일)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교황 스테파노 2세 · 더보기 »

교황 요한 3세

황 요한 3세()는 제61대 교황(재위: 561년 7월 17일 ~ 574년 7월 13일))이다. 로마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교황 연대표》에 의하면, 그의 부친은 아나스타시우스로서 로마 원로원에서 가장 높은 직책을 가진 의원이었다고 한다. 역사학자 에바그리우스의 주장에 따르면, 출생 당시의 이름은 카텔리누스(Catelinus)였으나, 나중에 요한이라는 이름으로 개명했다고 한다. 그는 그리스 교부들의 강론 모음집을 저술하고, 교황 펠라지오 1세가 임기를 시작할 때 《교부들의 생애》(Vitae patrum)를 라틴어로 번역하는 작업을 마친 차부제 요한과 동일인물일 가능성이 있다. 요한 3세가 교황으로 재위하던 시절에 두 가지 커다란 사건이 일어났다. 그 가운데 첫 번째는 565년 동로마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사망한 것이다. 제프리 리처드의 말을 인용하면, 유스티니아누스 1세의 통치는 한마디로 ‘비정상’이었으며, “역사라는 거대한 물의 흐름을 잠시 댐으로 막은 것에 불과하였다.” 그가 사망한 후, 동로마 제국의 관심은 로마와 서방에서 발칸 반도와 페르시아, 아랍 지역 등으로 이동하였다. 이탈리아는 지리학적으로 제국의 중심인 콘스탄티노폴리스로부터 멀리 떨어진 변방이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전략적 우선순위에서 최하위에 자리잡게 되었다. 또 다른 주요 사건은 568년 발발한 랑고바르드족의 침략이다. 이탈리아 반도의 중추라고 할 수 있는 이탈리아 북부 지역 다수가 랑고바르드족의 침략을 받자, 제국 정부는 곧 혼란에 빠졌다. 그리고 어느새 영원한 도시 로마의 생존까지 위협받게 되었다. 랑고바르드족이 등장함으로써 거의 소멸 직전에 있던 아리우스주의가 다시 득세하면서 절대적인 우세를 점하던 가톨릭 신앙이 위협받게 되었다. 이탈리아의 새로운 총독으로 임명된 롱기누스는 랑고바르드족의 남하를 막지 못한 채 라벤나에서 그저 무력하게 손놓고 있었다. 요한 3세 교황은 이전 총독인 나르세스가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돌아가려고 한다는 소식을 듣고, 그가 있는 나폴리까지 가서 이탈리아에 계속 남아서 지켜달라고 부탁하였다. 본래 나르세스는 가혹한 조세 정책을 펼친다는 이유로 이탈리아인들의 원망을 사게 되면서, 새 황제 유스티누스 2세로부터 콘스탄티노폴리스로의 소환 명령을 받은 상태였다. 그러나 요한 3세의 요청에 따라 로마로 돌아갔다. 하지만 그가 로마로 돌아오게 되면서 그에 대한 이탈리아 주민들의 반발이 극심해졌다. 이 소요는 상당히 격렬해져서 결국 교황까지 로마를 떠나 아피아 가도의 프레텍스타투스 무덤으로 거처를 옮겨 그곳에서 선종할 때까지 주교 서임식을 포함한 업무를 수행하였다. 기록상으로 전해지는 당시 요한 3세의 활동 가운데 하나는 앙브뤵의 주교 살로니우스와 가프의 주교 사기타리우스와 관련된 문제(567년경)이다. 이들은 리옹에서 열린 교회회의에서 비난을 받았는데, 정작 당사자들은 자신들이 부당한 비난을 받았다고 생각했다. 그들은 부르고뉴의 왕 군트람에게 찾아가서 하소연하였으며, 군트람 왕은 요한 3세에게 상소하였다. 왕의 편지를 받아 읽은 요한 3세는 살로니우스와 사기타리우스가 자신들의 교구로 복귀해야 한다는 결정을 내렸다. 《교황 연대표》에 따르면, 요한 3세는 574년 7월 13일에 선종하였다.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교황 요한 3세 · 더보기 »

교황 요한 6세

황 요한 6세()는 제85대 교황(재위: 701년 10월 30일 ~ 705년 1월 11일)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교황 요한 6세 · 더보기 »

교황 요한 7세

황 요한 7세()는 제86대 교황(재위: 705년 3월 1일 ~ 707년 10월 18일)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교황 요한 7세 · 더보기 »

교황 자카리아

황 자카리아(라틴어: Zacharias PP., 이탈리아어: Papa Zaccaria)는 제91대 교황(재위: 741년 12월 3일 - 752년 3월 22일)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교황 자카리아 · 더보기 »

교황 펠라지오 2세

황 펠라지오 2세(라틴어: Pelagius PP. II, 이탈리아어: Papa Pelagio II)는 제63대 교황(재위: 579년 11월 26일 - 590년 2월 7일)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교황 펠라지오 2세 · 더보기 »

교황 사비니아노

황 사비니아노(라틴어: Sabinianus PP., 이탈리아어: Papa Sabiniano)는 제65대 교황(재위: 604년 9월 13일 - 606년 2월 22일)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교황 사비니아노 · 더보기 »

교황 시신니오

황 시신니오(라틴어: Sisinnius PP., 이탈리아어: Papa Sisinnio)는 제87대 교황(재위: 708년 1월 15일 - 708년 2월 4일)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교황 시신니오 · 더보기 »

교황령

황령(敎皇領)은 기독교에서, 교황의 세속적인 지배권이 미치는 유형의 영토를 뜻. 교회령(敎會領) 또는 베드로 세습령(∼世襲領)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교황령 · 더보기 »

구아르디알피에라

아르디알피에라()는 이탈리아 몰리세 주 캄포바소 현의 코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구아르디알피에라 · 더보기 »

나르세스

르세스(Narses, 478년 ~ 573년)는 벨리사리우스와 함께 비잔티움 제국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 대의 2명의 명장 중 하나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나르세스 · 더보기 »

노르차

르차()는 라틴어로 누르시아(Nursia)라고도 하는 이탈리아 움브리아 주 테르니 현에 위치한 코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노르차 · 더보기 »

스폴레토

스폴레토()는 이탈리아 움브리아 주 동부 지역에 위치한 페루자 현의 코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스폴레토 · 더보기 »

힐데가르다 (프랑크 왕비)

복녀 힐데가르트 드 빈츠가우(Hildegarde de Vintzgau, 750년경 ~ 783년 4월 30일)는 프랑크 왕국 샤를마뉴 대제의 왕비이자 게르만 족 출신 귀족으로 히스파니아 백작 빈츠가우의 게롤드와 엠메 폰 알레만니아의 딸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힐데가르다 (프랑크 왕비) · 더보기 »

페스카라

스카라()는 이탈리아 아브루초 주 페스카라 현의 현도이기도한 코무네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페스카라 · 더보기 »

폴리뇨

리뇨()는 테베레 강이 가로지르는 이탈리아 중부 움브리아 주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폴리뇨 · 더보기 »

이리니

이리니 또는 아테네의 이리니(752년 경 - 803년 8월 9일)는 797년부터 802년까지 비잔티움 제국의 여제였.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이리니 · 더보기 »

이탈리아

이탈리아 공화국(음역어: 이태리(伊太利))은 남유럽의 이탈리아 반도와 지중해의 두 섬 시칠리아 및 사르데냐로 이루어진 단일 의회 공화국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이탈리아 · 더보기 »

이탈리아 북부

이탈리아 북부()는 이탈리아 반도의 북부 지역을 가리키는 말로, 북부(), 북이탈리아(), 구 이탈리아() 등으로 불리.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이탈리아 북부 · 더보기 »

이탈리아인

이탈리아인()은 일반적인 이탈리아 문화와 혈통을 공유하고 이탈리아어를 모국어로 말하는, 이탈리아 출신의 국민과 민족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이탈리아인 · 더보기 »

이탈리아의 역사

마 프레스코 벽화(기원후 45-79년) 이탈리아의 역사는 선사 시대인 85만년 전 무렵에 살았던 구석기인의 유적인 몬테포기올로까지 소급될 수 있.(이탈리아어) 또한 4만 3천년 전 무렵부터는 크로마뇽인이 거주 하였.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이탈리아의 역사 · 더보기 »

죄르

죄르()는 헝가리 북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죄르모숀쇼프론 주의 주도이며 면적은 174.61km2, 인구는 131,267명(2011년 기준), 인구 밀도는 730.71명/km2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죄르 · 더보기 »

중세 이탈리아 왕국

11세기 신성 로마 제국 내에 있는 이탈리아 왕국. 이탈리아 왕국(라틴어: Regnum Italiae 또는 Regnum Italicum, 이탈리아어: Regno d'Italia)은 독일, 보헤미아, 부르군트 왕국과 함께 신성 로마 제국의 구성 왕국 중 하나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중세 이탈리아 왕국 · 더보기 »

중세 전기

중세 전기(中世 前期)는 유럽사의 중세기간 중 일부이며, 476년부터 1000년까지를 일컫는 용어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중세 전기 · 더보기 »

체카노

()는 이탈리아 라치오 주 프로시노네 현에 위치한 코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체카노 · 더보기 »

첼라노

()는 이탈리아 아브루초 주 라퀼라 현에 있는 코무네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첼라노 · 더보기 »

카라마니코테르메

마니코테르메()는 이탈리아 아브루초 주 페스카라 현에 위치한 코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카라마니코테르메 · 더보기 »

카롤루스 1세 마그누스

스 마그누스(740년 혹은 742년 4월 2일 또는 747년 ~ 814년 1월 28일)는 카롤링거 왕조 프랑크 왕국의 2대 국왕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카롤루스 1세 마그누스 · 더보기 »

카롤루스 마르텔루스

스 마르텔루스(680년 8월 23일 – 741년 10월 22일)은 카롤링거 왕조 출신 프랑크 왕국의 군주이자 정치, 군사 지도자로, 718년 이후 프랑크 왕국의 동쪽 지방인 아우스트라시아의 궁재로 사실상 아우스트라시아, 네우스트리아, 부르군트 3개로 나뉜 프랑크 왕국 전체를 지배했으며 프랑크 공작이자 프린스의 호칭을 획득하였다. 그의 별칭 마리텔은 "망치"라는 뜻이다. 사라센의 침략을 격퇴하여 신망을 얻었으며, 로마 교회는 이슬람 세력을 물리치는 데 공이 컸던 카를루스 마르텔의 아들인 피핀의 왕위를 승인하게 된다. 714년 아버지 피핀 2세가 죽은 뒤, 궁재직 계승권에 반발하여 쿠데타를 일으킨 뒤 717년 아우스트라시아 분국의 궁재직을 차지하였다. 프랑크 왕국의 궁재직을 석권한 뒤 갈리아의 패권을 장악하였으며, 외부 원정으로는 바이에른과 알레마니아를 공략하여 프랑크 왕국의 영향권 하에 두었고, 아키텐을 속국화하였으며, 프리지아로까지 진출했다. 작센 족과의 전투에서는 패배하였지만 732년 투르-푸아티에의 전투에서 사라센 제국의 이슬람 군대를 크게 격퇴하였다. 737년부터는 공석이던 프랑크 왕국의 국왕을 대신하여 왕국을 통치하기도 했다. 자신을 도운 이복 형제 힐데브란트를 비롯한 부하 관료들에게 공작, 백작, 기사 등의 칭호를 부여해주었는데 일각에서는 이를 봉건 제도의 시발점으로 보기도 한다. 그의 사후 프랑크 왕국의 궁재직은 카를로만 1세와 피핀 3세가 나누어 차지하였다. 종교적으로는 성 보니파시오의 보호자이자 후견자였으며, 교황청은 한때 그에게 왕관을 제의하였지만 거절하였다. 732년 이슬람 교도와 치른 투르 전투 때 자신을 따르는 자들에게 교회의 땅을 징발하여 나누어줌으로서 교회와 서로 틈이 생겼다. 그는 군사물자 및 식량 조달과 가신들에게 봉토 제공 등 목적으로 교회, 수도원, 수녀원의 토지와 재산을 수시로 압수하여 군비와 봉토로 조달하였다.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카롤루스 마르텔루스 · 더보기 »

카를로마누스 (궁재)

를로만 1세(Carloman I, Karlmann I) 또는 아우스트라시아의 카를로만(Carloman I of Austrasia, Karlmann I of Austrasia, 706년/707년에서 713년 사이 ~ 754년)은 카롤링거 왕조 출신 프랑크 왕국의 궁재, 관료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카를로마누스 (궁재) · 더보기 »

카푸아

아()는 이탈리아 캄파니아 주 카세르타 지방에 위치한 도시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카푸아 · 더보기 »

카세르타

세르타()는 이탈리아 캄파니아 주의 카세르타 현의 현. 카세르타는 중요한 농업과 상업, 산업 도시.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카세르타 · 더보기 »

카솔리

솔리()는 이탈리아 아브루초 주 키에티 현에 있는 코무네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카솔리 · 더보기 »

콘스탄스 2세

스탄스 2세 또는 콘스탄스 포고나토스 (그리스어:Κώνστας Β' Πωγωνάτος, 630년 11월 7일 - 668년 9월 15일)은 641년부터 668년 죽을 때까지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였.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콘스탄스 2세 · 더보기 »

콘스탄티누스의 기증

실베스터 1세가 콘스탄티누스에게 위증문서를 기증하고 있는 것을 묘사한 프레스코화, 13세기경 프레스코 콘스탄티누스의 기증 (라틴어, Constitutum Donatio Constantini 또는 Constitutum domini Constantini imperatoris) 은 750년에서 850년 사이에 조작된 로마 황제의 칙령문서로 중세 유럽의 유명한 사기 문서로 간주.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콘스탄티누스의 기증 · 더보기 »

콘스탄티노스 5세

스탄티노스 5세 코프로니모스 (718년 - 775년 9월 14일)는 741년 동로마 제국 황제가 되었으나 아르타바스도스의 반란으로 퇴위되었다가 743년 다시 권좌에 복귀하여 775년 죽을 때까지 통. 코프로니모스(Κοπρώνυμος)라는 별칭은 똥싸개라는 뜻으로 그의 성상 파괴 운동의 반대자들이 그를 경멸적으로 불렀던 이름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콘스탄티노스 5세 · 더보기 »

코르두시오 역

르두시오 역()은 밀라노 지하철 1호선의 역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코르두시오 역 · 더보기 »

유스티누스 2세

유스티누스 2세 (Flavius Iustinus Iunior Augustus, 520년경 - 578년 10월 4일은 비잔티움의 황제로 유스티니아누스 대제의 조카로 565년 대제가 죽자 황제에 추대되었다. 그의 치세는 아바르족과 롬바르드족의 침입과 사산조 페르시아와의 전쟁으로 얼룩졌다. 565년 11월 황제가 된 직후 유스티누스는 아바르족과 사산조 페르시아의 공물요구를 단호하게 물리쳐 시민들의 인기를 얻었지만 효과적으로 대처하지는 못했다. 비잔티움 제국이 아바르족의 침입에 대처하느라고 여력이 없는 동안 롬바르드족은 568년 이탈리아를 침공해 토스카나지방에서 정착하고 스폴레토와 베네벤토에 독립 공국을 세웠다. 572년 아르메니아 왕국이 기독교로 개종하고 사산조 페르시아와 마찰을 일으키자 비잔티움 제국은 이에 개입하여 사산조와 전쟁을 벌였다. 초기부터 페르시아는 비잔티움의 공격을 물리치고 영토를 침공하여 573년 11월 다라를 비롯한 수많은 제국의 도시를 점령했다. 유스티누스는 정신질환을 앓게되고 황후 소피아가 그를 대신해서 정치에 관여하고 574년 사산조와 평화 협상에 착수했고 공물을 바치는 조건으로 휴전을 맺었다. 유스티누스의 정신병은 주변 사람을 마구 폭행하는 광기로 번져 결국 소피아는 티베리우스 장군을 부제(caesar)로 삼고 공동으로 섭정을 맡았다. 종교적으로도 황제는 즉위전에는 단성론자였다가 제위 초기에는 정통 기독교로 돌아서면서 단성론자에 대한 관용정책을 폈으나 나중에는 대대적인 탄압을 폈다. 유스티누스는 578년 10월 4일 후계자 없이 죽었고 티베리우스가 뒤를 이어 황제가 되었다. 분류:520년 태어남 분류:578년 죽음 분류:유스티니아누스 왕조 분류: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분류:로마 제국의 집정관.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유스티누스 2세 · 더보기 »

유트인

유트인(Jutes)은 5세기에 앵글인, 색슨인과 함께 영국으로 이주한 민족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유트인 · 더보기 »

술탄아흐메트 광장

광장의 모습으로, 콘스탄틴 오벨리스크 (앞)와 테오도시우스 오벨리스크 (오른쪽)가 보인다. 광장의 지도 술탄아흐메트 광장()은 터키 이스탄불에 위치한 광장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술탄아흐메트 광장 · 더보기 »

헝가리의 역사

헝가리의 역사에서는 헝가리의 역사에 대하여.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헝가리의 역사 · 더보기 »

역사 연표

역사 연표는 세계사를 적은 연표로 한국사도 포함되어 있.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역사 연표 · 더보기 »

산 칼리스토의 카타콤베

리스토 카타콤바 내부 벽감에 있는 무덤들 산 칼리스토의 카타콤베()는 이탈리아 로마의 아피아 가도에 있는 로마의 카타콤바 가운데 하나로서 2세기에서 4세기까지 재위한 몇몇 교황의 유해가 묻혀 있기 때문에 교황 납골당()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산 칼리스토의 카타콤베 · 더보기 »

산미니아토

산 니아토의 로카 성 산 도메니코 교회 산미니아토()는 이탈리아 토스카나 주의 피사 현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산미니아토 · 더보기 »

산카시아노데이바니

산카시아노데이바니()는 이탈리아 토스카나 주 시에나 현에 있는 코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산카시아노데이바니 · 더보기 »

피피누스 3세 브레비스

스 3세 브레비스(Pippinus III Brevis 714년 – 768년 9월 24일)는 카롤링거 왕조 출신 프랑크 왕국의 군주였.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피피누스 3세 브레비스 · 더보기 »

피피누스 4세 기부스

샤를마뉴 (오른쪽 앉은 이)와 피핀 (왼쪽), 830년경 작 곱사등이 피핀 혹은 곱추왕 피핀(Pepin the Hunchback, Pépin le Bossu, Pippin der Bucklige, 768년 - 811년)은 프랑크 왕국 카롤링거 왕조 샤를마뉴 대제의 첫 번째 아들이었.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피피누스 4세 기부스 · 더보기 »

프랑크 왕국

랑크 왕국()은 5세기 말 게르만족의 한 부족인 프랑크족이 현재의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를 아우르는 지역에 세운 왕국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프랑크 왕국 · 더보기 »

토디

()는 이탈리아 움브리아 주 페루자 현에 있는 코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토디 · 더보기 »

토스카나 변경백국

스카나 변경백국()은 중세 시대 기간 중세 이탈리아 왕국과 신성 로마 제국의 변경백국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토스카나 변경백국 · 더보기 »

토이토부르크 숲 전투

이토부르크 숲 전투() 또는 바루스 참사()는 기원후 9년 아르미니우스가 통합한 게르만족 연맹과 푸블리우스 큉크틸리우스 바루스 총독이 지휘한 로마군 사이에서 일어난 전투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토이토부르크 숲 전투 · 더보기 »

알도브란데스키가

스칼리노에 있는 알도브란데스키 가문의 성. 알도브란데스키 가문(Aldobrandeschi)은 토스카나 주 남부 출신의 이탈리아 귀족 가문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알도브란데스키가 · 더보기 »

아벨리노

아벨리노()는 이탈리아 캄파니아 주 아벨리노 현의 코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아벨리노 · 더보기 »

아체라

아체라()는 이탈리아 캄파니아 주의 나폴리 현에 있는 코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아체라 · 더보기 »

아시아노

아시아노()는 이탈리아 토스카나 주 시에나 현에 있는 코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아시아노 · 더보기 »

아시시

아시시()는 이탈리아 움브리아 주 페루자 현에 위치한 코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아시시 · 더보기 »

테라모

모()는 이탈리아 아브루초 주 테라모 현에 위치하고 테라모 현의 현도인 코무네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테라모 · 더보기 »

테마 제도

마 제도()는 비잔티움 제국의 지방 행정 구역 제도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테마 제도 · 더보기 »

신성 로마 제국

신성 로마 제국()은 중세에서 근대 초까지 이어진 기독교 성향이 강한 유럽 국가들의 정치적 연방체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신성 로마 제국 · 더보기 »

시질로

시질로()는 이탈리아 움브리아 주 동부 지역에 위치한 페루자 현의 코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시질로 · 더보기 »

시에나

시에나()는 이탈리아 중부 토스카나 주의 도시로, 시에나 현의 현도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시에나 · 더보기 »

시에나 공화국

시에나 공화국()은 이탈리아 중부 토스카나 주에 있는 시에나에 있었던 나라이.

새로운!!: 랑고바르드인와 시에나 공화국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롬바르드 족, 롬바르드족, 랑고바르드족.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