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72 처지: 랭글랜즈 프로그램, 란다우 토션트 상수, 데데킨트 제타 함수, 도형, 뤼로스 상수, 리만 가설, 마이셀-메르텐스 상수, 멜린 변환, 모레라의 정리, 뫼비우스 함수, 바이어슈트라스 제타 함수, 바젤 문제, 밀레니엄 문제, 가우스-쿠즈민-비어징 상수, 베르누이 수, 베른하르트 리만, 골드바흐의 추측, 보스 기체,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복소해석학, 급수, 글레이셔-킨켈린 상수, 대수적 수체, 드 브루인-뉴먼 상수, 디리클레 람다 함수, 디리클레 베타 함수, 디리클레 급수, 디리클레 에타 함수, 디리클레 L-함수, 노먼 레빈슨, 다중로그, 니븐 상수, 특수 함수, 힐베르트 문제, 펠러-토르니어 상수, 큐-아날로그, 포터 상수, 폴리감마 함수, 응오바오쩌우, 제타 (동음이의), 제타 함수, 제타 함수 조절, 정수론, 조화급수, 주어진 수보다 작은 소수의 개수에 관하여, 지프의 법칙, 카시미르 효과, 케어프리 상수, 유리형 함수, 수학 상수, ...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2 더) »
랭글랜즈 프로그램
수학에서 랭글랜즈 프로그램(Langlands program)은 대수적 수 이론에서 갈루아 군들을 보형 형식에 관련시키고 국소체와 아델 환에 대한 대수적 그룹(군)의 표현 이론을 서로 연관짓는 광범위한 영향력 있는 추측의 망이.
란다우 토션트 상수
우 토션트 상수(Landau's totient constant).
데데킨트 제타 함수
수적 수론에서, 데데킨트 제타 함수(Dedekind ζ 函數)는 임의의 대수적 수체에 대하여 정의되는 유리형 함수이.
도형
평면도형과 입체도형 기하학에서 도형(圖形)은 점·선·면·입체의 집합이.
보다 리만 제타 함수와 도형
뤼로스 상수
스 상수(Lueroth 또는 Lüroth constant) c \alpha(8).
리만 가설
임계선 위에 위치한 리만 제타 함수 근의 실수부(적색)과 허수부(청색)를 보여주는 그래프. 리만 제타 함수의 자명하지 않은 근의 허수부 Im(s)는 ±14.135i, ±21.022i, ±25.011i로 시작한다. 수학에서, 리만 가설(-假說) 또는 리만 제타 추측 은 리만 제타 함수의 자명하지 않은 모든 영점의 실수부가 ½라는 추측이.
마이셀-메르텐스 상수
마이셀-메르텐스 상수(Meissel-Mertens constant) 다음은 메르텐스의 정리에서 메르텐스의 제2정리(Mertens' 2nd theorems) 이. 이 수렴값(B_1)을 마이셀-메르텐스 상수(Meissel–Mertens constant) 또는 메르텐스 상수.
멜린 변환
석학에서, 멜린 변환(Mellin變換)은 양의 실수선 위의 함수에 대하여 정의되는 적분 변환의 일종이.
모레라의 정리
시 정리에 따르면 단순열결영역(simply connected domain)에서 해석적인 복소함수는 그 영역안의 닫힌 곡선을 따라 적분하면 그 결과는 항상 0이.
뫼비우스 함수
수론과 조합론에서, 뫼비우스 함수(Möbius函數)는 정수가 제곱 인수가 없는 정수인지 여부에 따라 분류하는 곱셈적 함수이.
바이어슈트라스 제타 함수
바이어슈트라스 제타 함수(Weierstrass Zeta Function) \zeta(z; g_2, g_3) 는 바이어슈트라스 제타 함수는 바이어슈트라스 타원 함수(Weierstrass Elliptic Function)와 주되게 관련되어 나타나는 특수 함수로, 또한 특히 다른 바이어슈트라스 함수들(바이어슈트라스 함수 패밀리)과의 연관성을 복소변수들의 정보로 일관되게 보여준.
바젤 문제
바젤 문제는 스위스 바젤시의 바젤 대학에 재직하던 야코프 베르누이와 요한 베르누이에 의해 제기된 것으로 다음의 급수를 닫힌 형식으로 나타내라는 것이었.
밀레니엄 문제
밀레니엄 문제()는 2000년 5월 24일에 클레이 수학연구소(CMI)가 정한, 21세기 사회에 가장 크게 공헌할 수 있지만 아직까지 풀리지 않은 미해결 문제 7가지를 말. "오랫동안 풀리지 않은 중요한 기본 문제"로 여겨지고 있. CMI는 각 문제를 처음으로 해결하는 사람에게는 100만 달러씩을 수여한다고 하였.
가우스-쿠즈민-비어징 상수
수학에서 가우스-쿠즈민-비어징 상수(또는 가우스-쿠즈민-와이싱 상수)는 가우스(Carl Gauss), 쿠즈민(Rodion Osievich Kuzmin) 및 비어징(Eduard Wirsing)의 이름을 따서 명명 된 가우스-쿠즈민-비어징 (Gauss-Kuzmin-Wirsing) 연산자로서 연분수 연구에 사용.
베르누이 수
수론에서, 베르누이 수(Bernoulli數)는 거듭제곱수의 합,삼각함수의 멱급수 따위의 다양한 공식에 등장하는 유리수 수열이.
베른하르트 리만
오르크 프리드리히 베른하르트 리만(1826년 9월 17일~1866년 7월 20일)은 독일의 수학자이.
골드바흐의 추측
바흐의 추측(Goldbach's conjecture)은 오래전부터 알려진 정수론의 미해결 문제로, 2보다 큰 모든 짝수는 두 개의 소수(Prime number)의 합으로 표시할 수 있다는 것이.
보스 기체
통계역학에서, 보스 기체(Bose氣體, Bose gas)는 서로 상호작용하지 않는, 같은 종류의 보손으로 이루어.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은 보손 입자들이 절대 영도에 가까운 온도로 냉각되었을 때 나타나는 물질의 상이.
복소해석학
복소해석학(複素解析學)은 복소변수 함수(복소함수)를 연구하는 수학의 한 분야이.
급수
수학에서, 급수(級數)는 수열의 모든 항을 더한 것이.
보다 리만 제타 함수와 급수
글레이셔-킨켈린 상수
이셔-킨켈린 상수 (Glaisher-Kinkelin constant)는 K함수와 G함수.
대수적 수체
수적 수론에서, 대수적 수체(代數的數體), 줄여서 수체(數體)는 유리수체 \mathbb Q의 유한 확대이.
드 브루인-뉴먼 상수
브루인-뉴먼 상수(De Bruijn–Newman constant)는 \Lambda 로 표시되고 니콜라스 드 브루인(Nicolaas Govert de Bruijn)과 찰스 뉴먼(Charles M. Newman)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 함수 H(\lambda, z) 의 영점을 통해 정의.
디리클레 람다 함수
리클레 람다 함수(Dirichlet Lamda Function) \lambda(s)는 로 정의되는 함수이.
디리클레 베타 함수
리클레 베타 함수 수학에서 디리클레 베타 함수(Dirichlet beta function) 혹은 카탈랑 베타 함수(Catalan beta function)는 리만 제타 함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특수 함수이.
디리클레 급수
리클레 급수(Dirichlet series)는 복소수 s, 복소 수열 \에 대하여 로 정의되는 급수이.
디리클레 에타 함수
수학의 해석적 수론 영역에서 디리클레 에타 함수 (Dirichlet eta function)는 실수 부분이 0 보다 큰 복소수에 수렴하는 다음의 디리클레 급수 로 정의.
디리클레 L-함수
리클레 L-함수(Dirichlet L-Function)의 디리클레 급수(Dirichlet Series)형식은, 디리클레 L-함수는 다른 L-함수계열처럼 가산(덧셈)과 곱셈의 수학적 상관관계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리만 제타 함수를 근간으로 하는 특수 함수이.
노먼 레빈슨
먼 레빈슨(Norman Levinson, 1912년 8월 11일 매사추세츠 주 린 ~ 1975년 10월 10일 보스턴)은 미국의 수학자였.
다중로그
수학에서, 다중로그(多重log) 또는 폴리로그는 로그를 일반화한 특수 함수이.
니븐 상수
수 이론에서 니븐 상수(Niven constant)는 이반 니븐(Ivan Niven)의 이름을 따서 지어 졌는데, "자연적으로" 자연수 n 의 소수 분해에 나타나는 가장 큰 지수.
특수 함수
수학에서, 특수 함수(特殊函數)는 일반적으로 형식적인 정의는 따로 갖고 있지 않지만, 해석학, 함수해석학, 물리학 등에서의 중요성으로 인해 확립된 명칭을 가지는 몇몇 수학적 함수를 가리.
힐베르트 문제
힐베르트의 문제(Hilbert's problems)는 수학 문제 23개로, 독일의 수학자인 다비트 힐베르트가 1900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세계 수학자 대회에서 20세기에 풀어야 할 가장 중요한 문제로 제안한 것이.
펠러-토르니어 상수
-토르니어 상수(Feller-Tornier constant)는 소수 요소가 수적으로 포함돼있는 정수의 밀도를.
큐-아날로그
-아날로그(q-analog)는 큐-팩토리얼,큐-감마함수,조합론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팩토리얼(계승) 이론이.
포터 상수
(porter) 상수 C 포터 상수 C는 유클리드 알고리즘의 수식에대한 효율성 표현 상수 이.
폴리감마 함수
마 함수의 미분은 다음과 같이 폴리감마 함수(polygamma function) \psi_(z)로 주어.
응오바오쩌우
응오바오쩌우(쯔놈: 吳寶珠,, 1972년 6월 28일 ~)는 베트남·프랑스의 수학자이.
제타 (동음이의)
제타는 다음을 가리.
제타 함수
제타 함수()는 그리스 문자 ζ(제타)를 따라 붙여진 이름으로,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지는 함수를 의미.
제타 함수 조절
제타 함수 조절()은 물리학에서 쓰이는 조절 기법의.
정수론
타원곡선 정수론(整數論) 또는 수론(數論)은 수학의 한 분야로, 각종 수의 성질을 대상으.
조화급수
조화급수(harmonic series) 란 다음의 발산하는 무한급수를 가리.
주어진 수보다 작은 소수의 개수에 관하여
〈주어진 수보다 작은 소수의 개수에 관하여〉()는 베른하르트 리만이 1859년 11월에 베를린 학술원에 발표한 8페이지짜리의 독창적인 논문이.
보다 리만 제타 함수와 주어진 수보다 작은 소수의 개수에 관하여
지프의 법칙
의 법칙(Zipf's law)은 수학적 통계를 바탕으로 밝혀진 경험적 법칙으로, 물리 및 사회 과학 분야에서 연구된 많은 종류의 정보들이 지프 분포에 가까운 경향을 보인다는 것을 뜻. 지프 분포는 이산 멱법칙 확률분포와 관계된 확률분포의 하나이.
카시미르 효과
평행판 사이의 카시미르 힘 평행판 사이의 카시미르 힘 물리학에서, 카시미르 효과() 또는 카시미르-폴더르 힘()은 양자장론에서 진공의 양자론적 효과로 인하여 발생하는 힘이.
케어프리 상수
어프리 상수(Carefree constant) 또는 케어프리 커플(carefree couple) 수학 상수는 각각 다음과 같. 케어프리 상수(Carefree constant) 강한 케어프리 상수(strongly carefree constant) 약한 케어프리 상수(weakly carefree couples).
유리형 함수
복소해석학에서, 유리형 함수(有理型函數)는 극점을 가질 수 있지만 본질적 특이점을 가지지 않고, 특이점을 제외한 다른 모든 점에서 정칙인 복소 함수.
수학 상수
수학에서 상수란 그 값이 변하지 않는 불변량으로, 변수의 반대말이.
수학적 구조
수학적 구조(數學的構造) 또는 수론적 구조는 임의의 집합이 주어졌을때에 여기에 부여한 수학적 성질로 인해 그 집합이 갖추게 되는 형태를 말. 수학적 성질을 제공하는 기능으로는 대수학, 위상수학, 순서론 등의 영역이 있. 이들은 각각 대수적 구조, 위상 구조, 순서 구조.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정수론에서,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常數)는 조화급수를 자연 로그로 근사한 경우의 오차를 나타내는 수학 상수이.
오일러의 곱셈 공식
오일러의 곱셈 공식(Euler product formula)은 모든 소수에 대한 디리클레 급수(Dirichlet series)를 무한곱으로 표현한 것이.
예르겐 페데르센 그람
thumb 요르겐 페데센 그램(예르겐 페데르센 그람,Jørgen Pedersen Gram,1850 년 6 월 27 일 - 1916 년 4 월 29 일)은 덴마크의 슐레스비히 공국 누스트룹(Nuchrup)에서 태어 났으며 덴마크 코펜하겐 에서 사망한 덴마크의 보험계리사이자 수학자 이.
Ζ
Ζ, ζ()는 그리스 문자의 여섯째 글자이.
보다 리만 제타 함수와 Ζ
킨친 상수
아래는 킨친 상수(Khinchin constant)에 대한 설명이.
산술의 기본 정리
산술의 기본 정리(算術의基本定理)는 모든 양의 정수는 유일한 소인수 분해를 갖는다는 정리이.
프라임 제타 함수
수학에서 프라임 제타 함수(Prime zeta function) 는 리만 제타 함수 의 유형으로 글레이셔(Glaisher,1891)가 연. 소수 제타 함수이.
서로소 아이디얼
수론과 환론에서, 서로소(-素整數)는 정수나 다항식들끼리의 최대 공약수가 1이라는 뜻의 표현이.
소수 계량 함수
소수 계량 함수(素數計量函數)는 주어진 양의 실수 x에 대해 그 값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의 개수를 세는 함수이.
소수 정리
석적 수론에서, 소수 정리(素數定理,, 약자 PNT)는 소수의 분포를 근사적으로 기술하는 정리이.
함수 행렬식
수 행렬식(函數行列式)은 무한차원 내적공간 (주로 함수 공간)에서의 선형 연산자의 행렬식이.
해석적 연속
복소해석학에서, 해석적 연속(解析的連續, analytic continuation),은 주어진 정칙함수에 대한 정의역을 늘이는 방법이.
알라디-그린스테드 상수
알라디-그린스테드 상수(Alladi–Grinstead constant)는 알라디 (K. Alladi)와 그린스테드(C. Grinstead)로부터 명명되었.
하세-베유 제타 함수
수학에서, 하세-베유 제타 함수()는 주어진 대수다양체의 일부 성질들을 나타내는 L-함수의 하나이.
아페리 상수
수학에서, 아페리 상수(Apéry's constant)는 여러 곳에서 발견되는 상수이.
아이젠슈타인 열
수학에서, 아이젠슈타인 열()은 일련의 모듈러 형식들이.
테오도로스 수
오도로스의 수 (Theodorus Constant)는 T 를 가리키나 또는 다른 상수 \sqrt를 가리.
원주율
원주율(圓周率)은 원둘레와 지름의 비 즉, 원의 지름에 대한 둘레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학 상수이.
후르비츠 제타 함수
수학에서, 후르비츠 제타 함수()는 리만 제타 함수의 일반화이.
L-함수
리만 제타 함수는 모든 L-함수의 원형으로 생각할 수 있다. L-함수(L-function)는 복소평면에서 정의된 유리형 함수로 몇 가지 수학적 대상과 연결되어 있. L-시리즈는 디리클레 급수로 복소 상반 평면에서 수렴하며 해석적 확장을 통해 L-함수를 만들 수 있.
L-함수의 특별한 값
수학에서 L-함수의 특별한 값은 원주율 \pi에 대한 라이프니츠 (Leibniz) 수식처럼 L-함수의 수식이 일반화하는 데 사용되는 수 이론의 하위 필드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