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리얼 모드

색인 리얼 모드

리얼 모드(real mode:실제 모드)는 리얼 주소 모드 또는 호환 모. 80286 이후의 x86 호환 CPU의 운영 방식이.

36 처지: Control-Alt-Delete, DPMI, EMM386, 더블스페이스, 도스 확장자, 도스박스, 롱 모드, 리눅스 시작 프로세스, 리얼, 마스터 부트 레코드, 고위 메모리 영역, 보호 모드, 기본 메모리, 비디오 그래픽스 어레이, 널 포인터, IA-32, 작업 적재 레지스터, 인터럽트 서술자 테이블, 윈도우 3.0, 윈도우 95, 윈도우 레지스트리, 윈도우 미, 윈도우 가상 PC, 상위 메모리 영역, 언리얼 모드, 연속 확장 메모리, JMP (x86 명령어), MS-DOS, MS-DOS API, MS-DOS 편집기, QEMM, QEMU, VESA 바이오스 확장, X86, X86 메모리 분할, X86-64.

Control-Alt-Delete

흔히 쓰이는 Control-Alt-Delete 키를 쿼티 자판에서 강조한 모습. 네덜란드의 한 시위자가 Control-Alt-Delete라는 상징을 통해 정부 정책을 "새롭게 다시 시작"하려는 그의 열망을 보여 주고 있다. Control-Alt-Delete (컨트롤 알트 딜리트, 줄여서 Ctrl-Alt-Del)는 PC 호환 시스템의 컴퓨터 키보드 명령으로, 도스의 경우 컴퓨터를 다시 시동하거나,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운영 체제의 경우 작업 관리자 및 윈도우 보안을 불러 오는 데에 쓰일 수 있. Control과 Alt 키를 누르는 동안 Delete 키를 누름으로써 명령을 내릴 수 있. 이러한 키보드 조합은 IBM PC를 설계한 데이비드 브레들리가 도입한 것이.

새로운!!: 리얼 모드와 Control-Alt-Delete · 더보기 »

DPMI

스 보호 모드 인터페이스(DOS Protected Mode Interface), 곧 DPMI는 도스 프로그램이 리얼 모드에서 사용할 수 없는 수많은 프로세서 기능들에 접근할 수 있게 해 주며 보호 모드에서 돌아가도록 도와 주는 인터페이스이.

새로운!!: 리얼 모드와 DPMI · 더보기 »

EMM386

EMM386이라는 이름은 마이크로소프트의 MS-DOS와 디지털 리서치의 DR-DOS의 중첩 확장 메모리 관리자들에 쓰였으며 인텔 80386 CPU에 쓰이는 중첩 확장 메모리를 만들어.

새로운!!: 리얼 모드와 EMM386 · 더보기 »

더블스페이스

블스페이스(DoubleSpace) 또는 드라이브스페이스(DriveSpace)는 MS-DOS 6.0 버전부터 포함된 디스크 압축 소프트웨어의 이름이.

새로운!!: 리얼 모드와 더블스페이스 · 더보기 »

도스 확장자

스 확장자(DOS extender)는 호스트 운영 체제가 리얼 모드에서만 동작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호 모드 환경에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게 도와주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새로운!!: 리얼 모드와 도스 확장자 · 더보기 »

도스박스

스박스(DOSBox)는 MS-DOS 기반의 IBM PC 호환기종 프로그램이 동작할 수 있도록 도스 환경을 구현해 주는 x86 에뮬레이터이.

새로운!!: 리얼 모드와 도스박스 · 더보기 »

롱 모드

x86-64 컴퓨터 아키텍처에서 롱 모드(long mode)는 64비트 응용 프로그램이 64비트 명령어와 레지스터에 접근할 수 있지만 32비트와 64비트 프로그램이 호환성 하위 모드에서 실행되는 상태를 가리.

새로운!!: 리얼 모드와 롱 모드 · 더보기 »

리눅스 시작 프로세스

리눅스 시작 프로세스는 리눅스 부팅 시에 수행되는 다단계 초기화 과정이.

새로운!!: 리얼 모드와 리눅스 시작 프로세스 · 더보기 »

리얼

리얼 또는 레알(Real)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리얼 모드와 리얼 · 더보기 »

마스터 부트 레코드

마스터 부트 레코드() 또는 파티션 섹터()는 파티션된 기억 장치(이를테면 하드 디스크)의 첫 섹터 (섹터 0)인 512 바이트 시동 섹터이.

새로운!!: 리얼 모드와 마스터 부트 레코드 · 더보기 »

고위 메모리 영역

IBM PC 계열의 물리 메모리 영역, 노랗게 표시된 작은 공간이 고위 메모리 영역 이다. 고위 메모리 영역 (High Memory Area, HMA)은 80286 이상의 시스템에서 FFFF:0010 ~ FFFF:FFFF 사이의 (64 KiB - 16 바이트) 의 크기를 가지는 물리 메모리 공간이.

새로운!!: 리얼 모드와 고위 메모리 영역 · 더보기 »

보호 모드

보호 모드(Protected mode)는 컴퓨터에서 보호 가상 주소 모드라고도 하며 x86 호환 CPU의 운영 방식이.

새로운!!: 리얼 모드와 보호 모드 · 더보기 »

기본 메모리

IBM PC의 메모리 맵. 기본 메모리(Conventional memory)는 IBM 개인용 컴퓨터 메모리의 첫 640 키비바이트를 말.

새로운!!: 리얼 모드와 기본 메모리 · 더보기 »

비디오 그래픽스 어레이

300 px 300 px 비디오 그래픽스 어레이(VGA)는 IBM사가 1987년에 제정한 아날로그 방식의 컴퓨터 디스플레이 표준이.

새로운!!: 리얼 모드와 비디오 그래픽스 어레이 · 더보기 »

널 포인터

인터(null pointer)는 유효한 객체를 참조하지 않는 포인터를 나타내기 위해 예약된 값을 갖. 프로그램들은 일상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길이를 가진 리스트의 끝이나 특정한 행동 수행 실패 같은 조건들을 표현하기 위해 널 포인터를 사용한다; 널 포인터들의 이러한 사용은 Nullabe 타입들, 옵션 타입에서의 Nothing 값과 비교될 수 있. 널 포인터는 반드시 초기화되지 않은 포인터와 혼동되어서는 안된다: 널포인터는 유효한 객체를 가리키는 어느 포인터와 비교해도 같지 않게 보장.

새로운!!: 리얼 모드와 널 포인터 · 더보기 »

IA-32

IA-32(Intel Architecture, 32-bit) 또는 x86-32는 인텔의 32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사용하는 명령 집합 아키텍처이며, 이전에 사용되던 IA-16 아키텍처의 32비트 확장이.

새로운!!: 리얼 모드와 IA-32 · 더보기 »

작업 적재 레지스터

LTR x86 명령어는 load task register 즉 작업 적재 레지스터를 의미하며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운영 체제에서 사용.

새로운!!: 리얼 모드와 작업 적재 레지스터 · 더보기 »

인터럽트 서술자 테이블

인터럽트 디스크립터 테이블 (Interrupt Descriptor Table (IDT))은 인터럽트 벡터 테이블을 구현하기 위해 X86 아키텍처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구조체이.

새로운!!: 리얼 모드와 인터럽트 서술자 테이블 · 더보기 »

윈도우 3.0

윈도우 3.0(Windows 3.0)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의 세 번째 버전의 운영 환경으로, 1990년 5월 22일에 발매되었.

새로운!!: 리얼 모드와 윈도우 3.0 · 더보기 »

윈도우 95

윈도우 95(코드명 시카고)는 마이크로소프트가 1995년 8월 24일에 출시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고객지향(consumer-oriented) PC용 운영 체제이.

새로운!!: 리얼 모드와 윈도우 95 · 더보기 »

윈도우 레지스트리

윈도우 레지스트리(Windows Registry)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32/64비트 버전과 윈도우 모바일 운영 체제의 설정과 선택 항목을 담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 모든 하드웨어,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 대부분의 비운영 체제 소프트웨어, 사용자 PC 선호도 등에 대한 정보와 설정이 들어 있. 사용자가 제어판 설정, 파일 연결, 시스템 정책, 또는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변경하면, 이에 따른 변경 사항들이 레지스트리에 반영되어 저장.

새로운!!: 리얼 모드와 윈도우 레지스트리 · 더보기 »

윈도우 미

윈도우 미(IPA: 정확하게는, 한 글자씩 윈도우 엠이()로 읽는 경우도 있다), 또는 윈도우 밀레니엄 에디션(Windows Millennium Edition)은 16비트/32비트 하이브리드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운영 체제로 2000년 9월 14일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발. 코드네임은 '밀레니엄'(Millennium)이었.

새로운!!: 리얼 모드와 윈도우 미 · 더보기 »

윈도우 가상 PC

윈도우 가상 PC(Windows Virtual PC)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운영 체제용 가상화 제품군이며, 파워피씨 기반 시스템의 맥 오에스 텐용 에뮬레이션 제품군이.

새로운!!: 리얼 모드와 윈도우 가상 PC · 더보기 »

상위 메모리 영역

상위 메모리 영역은 640 KB와 1024 KB 사이에 위치한다. 상위 메모리 영역(Upper Memory Area:UMA)은 IBM PC 호환기종 컴퓨터에서 640KiB와 1024KiB 사이의 주소(A0000h–FFFFFh)를 가진 메모리 영역을 말. IBM PC의 8088 CPU는 최대 1024KiB까지의 메모리 주소 한계를 가지고 있는데 IBM은 이중 384KiB를 ROM과 주변기기 등에 할당하였.

새로운!!: 리얼 모드와 상위 메모리 영역 · 더보기 »

언리얼 모드

언리얼 모드(Unreal mode)는 리얼 모드 (PE.

새로운!!: 리얼 모드와 언리얼 모드 · 더보기 »

연속 확장 메모리

연속 확장 메모리, XMS는 80286 이후의 프로세서서에 내장된 IBM PC의 주소 공간의 첫 메가 바이너리 바이트(MiB) 위의 메모리이.

새로운!!: 리얼 모드와 연속 확장 메모리 · 더보기 »

JMP (x86 명령어)

x86 어셈블리어에서, JMP 명령어는 무조건 점프를 수행.

새로운!!: 리얼 모드와 JMP (x86 명령어) · 더보기 »

MS-DOS

MS-DOS(Microsoft Disk Operating System)는 도스의 일종으로서, 마이크로소프트사가 IBM사의 의뢰를 받아 시애틀 컴퓨터시스템사로부터 사들여 개발한 IBM PC용 운영 체제(CP/M-86 호환의 DOS)로, 사상 최초로 대중화된 운영 체제이.

새로운!!: 리얼 모드와 MS-DOS · 더보기 »

MS-DOS API

MS-DOS API는 86-DOS를 기원으로 하고 MS-DOS/PC-DOS 및 기타 도스 호환 운영 체제에 쓰이는 API이.

새로운!!: 리얼 모드와 MS-DOS API · 더보기 »

MS-DOS 편집기

MS-DOS 편집기(MS-DOS Editor)는 MS-DOS 버전 5 이상과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에서 제공되는 문서 편집기이.

새로운!!: 리얼 모드와 MS-DOS 편집기 · 더보기 »

QEMM

QEMM(Quarterdeck Expanded Memory Manager)은 쿼터데크 오피스 시스템즈가 1980년대 말부터 1990년대 말까지 생산한 메모리 관리자이.

새로운!!: 리얼 모드와 QEMM · 더보기 »

QEMU

QEMU는 가상화 소프트웨어 가운.

새로운!!: 리얼 모드와 QEMU · 더보기 »

VESA 바이오스 확장

VESA 확장 BIOS는 높은 해상도 및 많은 색상을 표현할 때 호환 비디오 보드에 접근하는 소프트웨어에서 사용 가능한 인터페이스인 VESA 표준이.

새로운!!: 리얼 모드와 VESA 바이오스 확장 · 더보기 »

X86

x86 또는 80x86은 인텔이 개발한 마이크로프로세서 계열을 부르는 말이자, 이들과 호환되는 프로세서들에서 사용한 명령어 집합 구조들을 통칭하는 말이.

새로운!!: 리얼 모드와 X86 · 더보기 »

X86 메모리 분할

x86 메모리 분할(x86 memory segmentation)은 인텔 x86 명령어 구조를 사용하는 컴퓨터에서 구현된 메모리 분할기법을 말. 메모리 분할은 1978년 발표된 인텔 8086 에서 도입되어 프로그램이 메모리상의 640 KiB 이상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

새로운!!: 리얼 모드와 X86 메모리 분할 · 더보기 »

X86-64

x86-64는 x86 명령어 집합 아키텍처의 64비트 모임이.

새로운!!: 리얼 모드와 X86-64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리얼모드, 실 방식, 실방식, 실제 모드, 실제모드.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