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마케마케 (왜행성)

색인 마케마케 (왜행성)

마케마케의 상상도. 마케마케(소행성명 136472 Makemake)는 태양계의 왜행성들 중 세 번째로 크며 큐비원족 중 가장 큰 두 개 천체 중 하나이.

21 처지: 마케마케, 마케마케 (신화), 명왕성형 천체, 반지름순 태양계 천체 목록, 겉보기등급, 고전적 카이퍼 대 천체, 궤도 이심률, 디스노미아 (위성), 장축단, 질량순 태양계 천체 목록, 천체, 위성, 위성 목록, 태양계, 타원 궤도, 에리스 (왜행성), 소행성군, 하우메아 (왜행성), 왜행성, (225088) 2007 OR10, 90377 세드나.

마케마케

마케마케(Makemake)에는 다음 뜻이 있.

새로운!!: 마케마케 (왜행성)와 마케마케 · 더보기 »

마케마케 (신화)

스코리아에 새겨진, 탕가타 마누와 마케마케의 모습. 마케마케는 이스터 섬의 라파 누이 신화에 등장하는, 인간의 창조자이.

새로운!!: 마케마케 (왜행성)와 마케마케 (신화) · 더보기 »

명왕성형 천체

명왕성형 천체(Plutoid) 또는 얼음 왜행성(ice dwarf)이란 해왕성 바깥 천체인 왜행성을 말. 국제천문연맹에서는 해왕성 바깥 천체 중 명왕성, 에리스가 왜행성에 속한다고 공식 확인하였.

새로운!!: 마케마케 (왜행성)와 명왕성형 천체 · 더보기 »

반지름순 태양계 천체 목록

이하 표는 반지름 순 태양계 천체 목록으로, 반지름 기준으로 큰 천체부터 작은 천체까지 차례대로 정. 이 목록은 모든 천체를 총망라한 것은 아니며, 태양, 행성, 큰 위성들 및 중요한 천체들을 싣고 있. 이하 표의 순서는 질량순 태양계 천체 목록과 일치하지는 않. 왜냐하면 일부 천체의 경우 다른 천체보다 밀도가 작거나 더 큰 물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

새로운!!: 마케마케 (왜행성)와 반지름순 태양계 천체 목록 · 더보기 »

겉보기등급

소행성 Cybele와 (절대등급 11.6)과 HD 217121 (절대등급 8.7)과 HD 216932 (절대등급 9.1)의 절대등급을 비교했다.두 항성은 50mm이상의 쌍안경으로 보인다. 이 사진 오른쪽 위 HD216932 주위에 은하 PGC 194570과 PGC 101645가 보인다. 겉보기등급 또는 실시등급(實視等級), 안시등급(眼視等級)은 별의 밝기를 측정하는 단위이.

새로운!!: 마케마케 (왜행성)와 겉보기등급 · 더보기 »

고전적 카이퍼 대 천체

전적 카이퍼 대 천체(Classical Kuiper belt object)는 큐비원족(QB1族, Cubewano)라고도 불리며 해왕성 바깥 궤도를 도는 카이퍼 대 천체로, 해왕성의 궤도공명 효과를 받지 않는 천체를 말. 긴 반지름이 40~50AU로, 명왕성과 달리 해왕성의 궤도를 가로지르지 않. 큐비원족이라는 이름은 명왕성과 카론을 제외하고는 처음 발견된 해왕성 바깥 천체인 의 이름에서 왔.

새로운!!: 마케마케 (왜행성)와 고전적 카이퍼 대 천체 · 더보기 »

궤도 이심률

쌍곡선 궤도 (이심률 = 1.3) 궤도 이심률(軌道 離心率)은 물체의 궤도가 완벽한 원에서 벗어나 있는 정도를 수치화한 정도이.

새로운!!: 마케마케 (왜행성)와 궤도 이심률 · 더보기 »

디스노미아 (위성)

스노미아와 에리스의 상상도 디스노미아(Dysnomia)는 왜행성 에리스의 위성이.

새로운!!: 마케마케 (왜행성)와 디스노미아 (위성) · 더보기 »

장축단

점 케플러 궤도 요소: ''F''점은 근점이다. ''H''점은 원점이다. 빨간 선은 장축단의 선이다. 천문학에서 장축단(長軸端, apsis)은 타원 궤도에서 초점에서의 거리가 가장 먼 원점(遠點, apoapsis)과 가장 가까운 근점(近點, periapsis)을 함께 부르는 말이.

새로운!!: 마케마케 (왜행성)와 장축단 · 더보기 »

질량순 태양계 천체 목록

본 문서는 질량 순으로 태양계의 천체들을 큰 것부터 작은 것 순으로 정리.

새로운!!: 마케마케 (왜행성)와 질량순 태양계 천체 목록 · 더보기 »

천체

양한 천체의 모습. 천체(天體)는 우주에 존재하여 천문학의 연구 대상이 되는 것으로, 암석·기체·먼지 등 여러 물질이 중력에 의해 묶여 있는 상태로 존재하는 것과 그 집합을 가리켜 부르는 말이.

새로운!!: 마케마케 (왜행성)와 천체 · 더보기 »

위성

양계 위성 자연위성(自然衛星) 또는 단순히 위성(衛星)은 행성 따위의 둘레를 도는 천체를 말. 사람이 만든 위성은 인공위성이.

새로운!!: 마케마케 (왜행성)와 위성 · 더보기 »

위성 목록

양계의 행성과 왜행성들을 도는, 공식적으로 인정된 위성들은 181개이.

새로운!!: 마케마케 (왜행성)와 위성 목록 · 더보기 »

태양계

양계의 행성과 왜행성. 크기 비교는 정확한 편이지만, 거리는 상당히 왜곡되었다. 태양계(太陽系)는 대략 46억 년 전 분자운의 중력붕괴로 형성된 태양과, 항성인 태양의 중력에 이끌려 있는 주변 천체가 이루는 체계를 말.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행성은 소행성대를 기준으로 안쪽에 있는 네 개의 고체 행성인 수성, 금성, 지구, 화성, 즉 지구형 행성과, 바깥쪽에 있는 네 개의 유체 행성인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즉 목성형 행성으로 알려져 있. 행성 외에도 태양계의 구성 천체로는 소천체로 이루어진 띠도 있.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소행성대의 천체 무리는 대부분 지구형 행성과 비슷한 성분을 지니고 있. 카이퍼 대와 그 소집단 산란 분포대는 해왕성 궤도 너머에 있으며, 이곳의 천체는 대부분 물, 암모니아, 메탄 등이 얼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 소행성대와 카이퍼 대, 산란분포대 천체 세레스, 명왕성, 하우메아, 마케마케, 에리스는 행성만한 힘은 없지만 자체 중력으로 구형을 유지할 만큼 크다고 인정되어 왜행성이라고 불린.

새로운!!: 마케마케 (왜행성)와 태양계 · 더보기 »

타원 궤도

원 궤도(楕圓軌道, elliptic orbit)란 원일점과 근일점 의 차이가 크게 나는 공전 궤도를 말. 예를 들면 왜소행성 이나(명왕성, 에리스, 하우메아, 마케마케) 그리고 왜행성 후보이.

새로운!!: 마케마케 (왜행성)와 타원 궤도 · 더보기 »

에리스 (왜행성)

스노미아의 상상도 에리스(임시 명칭 2003 UB313)는 산란 분포대에서 발견된 왜행성으로 캘리포니아 주 팔로마 천문대의 천문학자 마이클 E. 브라운이 발견하였.

새로운!!: 마케마케 (왜행성)와 에리스 (왜행성) · 더보기 »

소행성군

thumb 소행성군(小行星群), 또는 소행성체군()은 서로 비슷한 궤도를 도는 소행성체들의 모임이.

새로운!!: 마케마케 (왜행성)와 소행성군 · 더보기 »

하우메아 (왜행성)

우메아(소행성명 136108 Haumea)는 카이퍼 대에 있는 왜행성이.

새로운!!: 마케마케 (왜행성)와 하우메아 (왜행성) · 더보기 »

왜행성

왜행성 에리스 왜행성(矮行星, dwarf planet)은 태양계를 돌고 있는 천체를 분류하는 기준 중 하나로, 국제천문연맹에서 2006년 8월 24일 정의하였.

새로운!!: 마케마케 (왜행성)와 왜행성 · 더보기 »

(225088) 2007 OR10

(225088) 2007 OR은 해왕성 바깥의 산란 분포대에 존재하는 거대 미행성이며, 태양계에 존재하는 미행성 중에는 가장 크기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 대략 마케마케 및 하우메아와 비슷한 크기이며, 천문학계에서 왜소행성으로 분류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 분류:해왕성 바깥 천체 분류:왜행성 후보 분류:2007년 발견한 천체 분류:산란원반 천체.

새로운!!: 마케마케 (왜행성)와 (225088) 2007 OR10 · 더보기 »

90377 세드나

90377 세드나(90377 Sedna)는 그 궤도가 태양계 외곽에 미치는 커다란 소행성체이.

새로운!!: 마케마케 (왜행성)와 90377 세드나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136472) 2005 FY9, 136472 마케마케, 2005 FY9, 2005 FY9 마케마케, 2005FY9.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