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만력제

색인 만력제

만력제(萬曆帝, 1563년 9월 4일 ~ 1620년 8월 18일)는 명나라의 제13대 황제이.

144 처지: 동림당, 동무제, 동관왕묘, 만동묘, 만력, 마귀 (명나라), 마오쩌둥, 마테오 리치, 명과 청 시대의 황릉, 명나라, 명나라의 역대 황제 가계도, 명청 전쟁, 명사 (역사서), 명십삼릉, 문화 대혁명, 묘호, 가정제, 게이테쓰 겐소, 고니시 유키나가, 보바이의 난, 보안현, 공순황귀비, 괴산 만동묘정비, 관우, 북학, 권상하, 귀인 정씨 (선조), 기독교의 역사, 금남면 (하동군), 김륵, 대명천지, 국본지쟁, 효령태황태후, 효경태황태후, 효단현황후, 효단황후, 효정태후, 효정태후 (만력제), 효정태후 (융경제), 효정황후, 효안황후, 효화태후, 장거정, 장태성 (배우), 임진왜란, 임진왜란 1592, 임진왜란 전투 목록, 이인임, 이태후, 제2차 평양성 전투, ..., 정관정요, 정유재란, 조주 석씨, 조선 광해군, 주상윤, 주상순, 주상영, 주상호 (명), 주표, 중국의 황태후 목록, 진린, 징비록 (드라마), 천계제, 충주 박씨, 유정 (1558년), 융경제, 융딩 구 (룽옌 시), 태창 (명), 태창제, 태황태후, 숭정제, 양응룡의 난, 사르후 전투, 삼학사전, 석 (성씨), 석성 (명나라), 성소부부고, 세키가하라 전투, 송응창, 송시열, 소 요시토시, 소오강호 (1990년 영화), 해주 석씨, 한산사 (쑤저우), 아시아의 역사, 신종, 심일관, 심유경, 원숭환, 웅정필, 홍광제, 황귀비, 화정 (드라마), 1563년, 1573년, 1574년, 1575년, 1576년, 1577년, 1578년, 1579년, 1580년, 1581년, 1582년, 1583년, 1584년, 1585년, 1586년, 1587년, 1588년, 1589년, 1590년, 1591년, 1592년, 1593년, 1594년, 1595년, 1596년, 1597년, 1598년, 1599년, 1600년, 1601년, 1602년, 1603년, 1604년, 1605년, 1606년, 1607년, 1608년, 1609년, 1610년, 1611년, 1612년, 1613년, 1614년, 1615년, 1616년, 1617년, 1618년, 1619년, 1620년, 16세기, 2009년 9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94 더) »

동림당

동림당(東林黨)은 중국 명나라 말엽에 생겨난 붕당이자 학파이.

새로운!!: 만력제와 동림당 · 더보기 »

동무제

동무제(東武帝, 1616년 ~ 1649년)는 명나라의 황족이자 남명의 제4대 황제(재위:1647년 ~ 1649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동무제 · 더보기 »

동관왕묘

서울 동관왕묘(서울 東關王廟)는 중국 촉나라의 장수 관우를 모신 사당으로,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 1963년 1월 21일에 보물 제142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만력제와 동관왕묘 · 더보기 »

만동묘

만동묘(萬東廟)는 조선시대 때 지어진 사당으로, 임진왜란 때 조선을 돕기 위하여 조선에 원군을 파병한 명 신종을 기리기 위해서1704년 숙종 30년 오늘날의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화양동 에 지었.

새로운!!: 만력제와 만동묘 · 더보기 »

만력

만력(萬曆)은 명나라 만력제의 연호(元号)이.

새로운!!: 만력제와 만력 · 더보기 »

마귀 (명나라)

마귀(麻貴, ? ~ ?)는 명나라 만력제 때의 후이족 출신 장군이.

새로운!!: 만력제와 마귀 (명나라) · 더보기 »

마오쩌둥

천안문에 있는 유화 마오쩌둥(1893년 12월 26일 ~ 1976년 9월 9일)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만력제와 마오쩌둥 · 더보기 »

마테오 리치

마테오 리치(1552년 10월 6일 ~ 1610년 5월 11일)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사제이자,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대륙에 기독교 신앙을 정착시킨 이탈리아 출신 예수회 선교사이.

새로운!!: 만력제와 마테오 리치 · 더보기 »

명과 청 시대의 황릉

명·청 황가의 능침()은 중국의 황조인 명과 청 및 청의 전신 후금의 25명의 황제의 능묘를 포함한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된 물건의 고분군을 말. 2000년에 최초로 3건이 등록된 이후, 2003년과 2004년에 여러 건이 추가등록 되었.

새로운!!: 만력제와 명과 청 시대의 황릉 · 더보기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새로운!!: 만력제와 명나라 · 더보기 »

명나라의 역대 황제 가계도

명나라 중국의 역사 분류:중국의 황제.

새로운!!: 만력제와 명나라의 역대 황제 가계도 · 더보기 »

명청 전쟁

명청 전쟁(明清戰爭)은 17세기 중국 대륙의 패권을 두고 명나라와 청나라 사이에서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만력제와 명청 전쟁 · 더보기 »

명사 (역사서)

《명사》()은 중국 청나라 때 편찬된 기전체 역사서로 이십사사 중의 하나이.

새로운!!: 만력제와 명사 (역사서) · 더보기 »

명십삼릉

명십삼릉으로 들어가는 입구의 신도 명십삼릉(明十三陵)은 중국 베이징 시 창핑 구 천수산에 위치한 역대 명나라 황제와 황후의 능묘군이.

새로운!!: 만력제와 명십삼릉 · 더보기 »

문화 대혁명

1976년 베이징. “(윗줄) 신선한 피와 생명으로 당중앙을 보위하자! (아랫줄) 신선한 피와 생명으로 마오(마오쩌둥) 주석을 보위하자! 문화 대혁명(文化大革命)은 1966년 5월부터 1976년 12월까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벌어졌던 사회상·문화상·정치상 소란으로, 공식 명칭은 무산계급문화대혁명()이고 약칭은 문혁()이.

새로운!!: 만력제와 문화 대혁명 · 더보기 »

묘호

묘호(廟號)는 중국, 한국, 베트남 등 동양의 봉건 왕조 국가에서 황제 또는 국왕과 같은 군주에게만 붙인 칭호로 군주가 승하한 뒤 태묘(太廟, 또는 종묘)에서 군주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되었.

새로운!!: 만력제와 묘호 · 더보기 »

가정제

정제(嘉靖帝, 1507년 9월 16일 ~ 1567년 1월 23일)는 중국 명나라 제11대 황제(재위 1521년 ~ 1567년)이며 휘는 후총(厚熜)이.

새로운!!: 만력제와 가정제 · 더보기 »

게이테쓰 겐소

이테쓰 겐소(1537년 ~ 1611년 11월 26일)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살았던 임제종(臨済宗)의 승려이.

새로운!!: 만력제와 게이테쓰 겐소 · 더보기 »

고니시 유키나가

시 유키나가(세례명: 아우구스티노, 1555년 ~ 1600년 음력 10월 1일) 는 일본 상인(商人) 출신의 무장이.

새로운!!: 만력제와 고니시 유키나가 · 더보기 »

보바이의 난

보바이의 난(哱拜之乱) 또는 영하의 역(寧夏之役)은 명나라 만력제 재위 20년(1590년) 영하(오늘날의 닝샤 후이족 자치구)에서 몽골인 보바이가 일으킨 반란이.

새로운!!: 만력제와 보바이의 난 · 더보기 »

보안현

1866년의 보안현 지도. 현 홍콩과 선전 일대가 옛 중국의 보안현에 속해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보안현 (하카어: Bau3on1 Hien4), 또는 옛이름인 신안현 (하카어: Sin1on1 Hien4)은 중국 남방에 있었던 역사상의 지방이.

새로운!!: 만력제와 보안현 · 더보기 »

공순황귀비

공순황귀비 유호록씨(恭順皇貴妃 钮祜綠氏, 1787년 ~ 1860년 4월 23일)는 중국 청나라 제7대 황제 가경제(嘉慶帝)의 후궁(後宮)이.

새로운!!: 만력제와 공순황귀비 · 더보기 »

괴산 만동묘정비

산 만동묘정비(槐山 萬東廟庭碑)는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화양리에 있는 비석이.

새로운!!: 만력제와 괴산 만동묘정비 · 더보기 »

관우

우(? ~ 219년 음력 12월)는 중국 후한 말의 무장으로, 자는 운장(雲長)이며 사례 하동군 해현(解縣) 사람이.

새로운!!: 만력제와 관우 · 더보기 »

북학

북학(北學)은 조선 후기 실학의 한 유파이.

새로운!!: 만력제와 북학 · 더보기 »

권상하

수암 권상하 권상하(權尙夏, 1641년 - 1721년 9월 2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학자, 교육자로 효종, 현종, 숙종 때의 성리학자였.

새로운!!: 만력제와 권상하 · 더보기 »

귀인 정씨 (선조)

인 정씨(貴人 鄭氏, 1557년 음력 10월 ~ 1579년 음력 4월)는 조선 선조의 후궁이.

새로운!!: 만력제와 귀인 정씨 (선조) · 더보기 »

기독교의 역사

독교의 역사(history of Christianity)에는 예수 시대에서부터 오늘날까지 기독교의 형성과 전파, 발전 과정에서 나타난 사건들과 여러 교파로 나뉘어 있는 교회의 역사 등이.

새로운!!: 만력제와 기독교의 역사 · 더보기 »

금남면 (하동군)

면(金南面)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하동군의 면이.

새로운!!: 만력제와 금남면 (하동군) · 더보기 »

김륵

륵(金玏, 1540년 ~ 1616년)은 조선 선조·광해군 때의 문신·학자이.

새로운!!: 만력제와 김륵 · 더보기 »

대명천지

명천지(大明天地)는 "크게(大) 밝은(明) 하늘(天)과 땅(地)"이라는 뜻이.

새로운!!: 만력제와 대명천지 · 더보기 »

국본지쟁

국본지쟁(國本之爭) 또는 쟁국본(爭國本)이란 명나라 신종 만력제 때 황자들 중 누구를 황태자로 세울지를 둘러싸고 일어난 계승분쟁이.

새로운!!: 만력제와 국본지쟁 · 더보기 »

효령태황태후

효령태황태후 정씨(孝寧太皇太后, 가정 44년(1565년) ~ 숭정 3년 5월 6일(1630년 6월 16일))는 명나라의 후궁이.

새로운!!: 만력제와 효령태황태후 · 더보기 »

효경태황태후

효경태황태후 이씨(孝敬太皇太后 李氏, 생년 미상 ~ 만력 25년 3월 21일(1597년 5월 6일))는 중국 명나라 제13대 황제 신종 만력제(神宗 萬曆帝)의 후궁(後宮)이.

새로운!!: 만력제와 효경태황태후 · 더보기 »

효단현황후

효단현황후 왕씨(孝端顯皇后 王氏, 가정 43년 10월 4일(1564년 11월 7일) ~ 만력 48년 4월 6일(1620년 5월 7일))는 만력제의 황후이.

새로운!!: 만력제와 효단현황후 · 더보기 »

효단황후

효단황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만력제와 효단황후 · 더보기 »

효정태후

효정태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명.

새로운!!: 만력제와 효정태후 · 더보기 »

효정태후 (만력제)

효정황태후 왕씨(孝靖皇太后 王氏, 가정 44년 정월 17일(1565년 2월 27일) ~ 만력 39년 9월 13일(1611년 10월 18일))는 만력제의 후비이자 태창제의 생모이.

새로운!!: 만력제와 효정태후 (만력제) · 더보기 »

효정태후 (융경제)

효정황태후 이씨(孝定皇太后 李氏, 가정 25년 11월 19일(1546년 12월 21일) ~ 만력 42년 2월 9일(1614년 3월 18일))는 융경제의 후궁이자 만력제의 생모이.

새로운!!: 만력제와 효정태후 (융경제) · 더보기 »

효정황후

효정황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효정황후(孝貞皇后).

새로운!!: 만력제와 효정황후 · 더보기 »

효안황후

효안황후 진씨(孝安皇后 陳氏, 가정 15년 1월 29일(1536년 2월 20일) ~ 만력 24년 7월 13일(1596년 8월 6일))은 융경제의 황후이자 계실이.

새로운!!: 만력제와 효안황후 · 더보기 »

효화태후

효화황태후 왕씨(孝和皇太后 王氏, 만력 10년(1582년) ~ 만력 47년 3월 23일(1619년 5월 6일))는 태창제의 후궁이자 천계제의 생모이.

새로운!!: 만력제와 효화태후 · 더보기 »

장거정

장거정 장거정(張居正, 1525년 ~ 1582년) 은 중국 명나라의 정치가이.

새로운!!: 만력제와 장거정 · 더보기 »

장태성 (배우)

장태성(張泰成, 1980년 9월 27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만력제와 장태성 (배우)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만력제와 임진왜란 · 더보기 »

임진왜란 1592

《임진왜란 1592》는 2016년 9월 3일부터 2016년 9월 29일까지 KBS 1TV에서 방영된 5부작 드라마로, 중국 CCTV와 공동으로 제작하였.

새로운!!: 만력제와 임진왜란 1592 · 더보기 »

임진왜란 전투 목록

임진왜란 전투 목록은 임진왜란 중 있었던 전투 목록이.

새로운!!: 만력제와 임진왜란 전투 목록 · 더보기 »

이인임

이인임(李仁任, ? ~ 1388년)은 고려 말기의 간신(奸臣), 권신(權臣)이자 시인(詩人)이었.

새로운!!: 만력제와 이인임 · 더보기 »

이태후

이태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만력제와 이태후 · 더보기 »

제2차 평양성 전투

평양성이 함락된 후 의주에 피란하던 선조는 여러 차례 명나라에 사신을 파견해 원군을 요청하였고 명 황제 만력제는 요동 부총병이자 당시 중국에서 이름난 장수였던 조승훈을 우군 부총병으로 임명하고 3000명의 군사를 주어 조선의 명나라 1차 원군으.

새로운!!: 만력제와 제2차 평양성 전투 · 더보기 »

정관정요

《정관정요》(貞觀政要)는 중국 당 때에 오긍이 편찬했다고 전하는 당 태종의 언행록이.

새로운!!: 만력제와 정관정요 · 더보기 »

정유재란

정유재란(丁酉再亂)은 1597년 8월 도요토미 정권 일본군이 임진왜란의 정전회담이 결렬됨에 따라 재차 조선을 침공하여 이듬해인 1598년 12월까지 지속된 전쟁이.

새로운!!: 만력제와 정유재란 · 더보기 »

조주 석씨

조주 석씨(潮州石氏)는 석성(石星)을 시조로 하고, 그의 아들 석재금(石在錦)을 2세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만력제와 조주 석씨 · 더보기 »

조선 광해군

광해군(光海君, 1575년 6월 4일 (음력 4월 26일) ~ 1641년 8월 7일 (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5대 임금이.

새로운!!: 만력제와 조선 광해군 · 더보기 »

주상윤

혜왕 주상윤(惠王 朱常潤, 1594년 ~ 1647년 1월 7일)은 중국 명나라 제13대 군주 신종 만력제의 서자이며 남명(南明) 왕조의 종실이.

새로운!!: 만력제와 주상윤 · 더보기 »

주상순

주상순(朱常洵, 만력 14년 음력 1월 5일(1586년 2월 22일) ~ 숭정 14년 음력 1월 21일(1641년 3월 2일)은 명나라의 황족이자 추존 황제이다. 만력제의 3남으로, 어머니는 정귀비이다. 아들인 주유숭이 유숭 등과 같이 명-청 전쟁이후 남명을 건국한 이후, 아버지를 공종(恭宗)으로 추존하였다. 분류:1586년 태어남 분류:1641년 죽음 분류:명나라의 추존황제 분류:만력제의 황자 분류:명나라의 친왕 분류:사형된 사람.

새로운!!: 만력제와 주상순 · 더보기 »

주상영

주상영(朱常瀛, 1597년 3월 10일 ~ 1645년 12월 21일)은 중국 명나라의 황족 종실이며, 만력제의 일곱째 아들이고, 어머니는 공순황귀비 이씨이며, 영력제의 아버지이.

새로운!!: 만력제와 주상영 · 더보기 »

주상호 (명)

주상호(朱常浩, 1590년 ~ 1644년)는 중국 명나라의 황족으로 만력제의 다섯째 아들이.

새로운!!: 만력제와 주상호 (명) · 더보기 »

주표

명 흥종(明 興宗) 주표(朱標, 1355년 ~ 1392년)는 명나라의 황태자이자 추존황제이.

새로운!!: 만력제와 주표 · 더보기 »

중국의 황태후 목록

중국의 황태후는 기록상의 중국 최초의 태후가 진(秦)나라의 진 혜문왕(惠文王)의 서후인 선태후(宣太后) 미팔자(芈八子)이나, 진 시황이 황제를 칭제하고나서 후에 최초로 황태후라고 칭한 태후는 한나라의 초대황제 유방(劉邦)의 황후인 고황후(高皇后) 여치(呂雉)이.

새로운!!: 만력제와 중국의 황태후 목록 · 더보기 »

진린

린(陳璘, 1543년 ~ 1607년)은 중국 광둥 지방의 무관(武官), 장군(將軍), 제독(提督)이.

새로운!!: 만력제와 진린 · 더보기 »

징비록 (드라마)

《징비록》은 KBS 1TV에서 2015년 2월 14일부터 2015년 8월 2일까지 방송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만력제와 징비록 (드라마) · 더보기 »

천계제

제(天啓帝, 1605년 12월 23일 ~ 1627년 9월 30일)는 중국 명나라의 15대 황제(재위:1620년 ~ 1627년).

새로운!!: 만력제와 천계제 · 더보기 »

충주 박씨

충주 박씨(忠州 朴氏)는 충청북도 충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만력제와 충주 박씨 · 더보기 »

유정 (1558년)

유정(劉挺, 1558년 ~ 1619년)은 중국의 명 말기 신종 시대의 무장으로 유현(劉顕)의 아들이.

새로운!!: 만력제와 유정 (1558년) · 더보기 »

융경제

융경제(隆慶帝, 1537년 3월 4일 ~ 1572년 7월 5일)는 명나라의 제12대 황제(재위: 1567년 ~ 1572년).

새로운!!: 만력제와 융경제 · 더보기 »

융딩 구 (룽옌 시)

융딩의 토루 융딩 구()는 중화 인민 공화국 푸젠 성 룽옌 시의 시할구이.

새로운!!: 만력제와 융딩 구 (룽옌 시) · 더보기 »

태창 (명)

창(泰昌)은 명나라 광종 태창제의 연호이.

새로운!!: 만력제와 태창 (명) · 더보기 »

태창제

창제(泰昌帝, 1582년 8월 28일 ~ 1620년 9월 26일)는 중국 명나라의 14대 황제(재위: 1620년).

새로운!!: 만력제와 태창제 · 더보기 »

태황태후

황태후(太皇太后)는 현 황제의 조모뻘로, 주로 선선대 황제의 정실 부인이.

새로운!!: 만력제와 태황태후 · 더보기 »

숭정제

숭정제(崇禎帝, 1611년 2월 6일 ~ 1644년 4월 25일)는 중국 명나라의 제16대 황제(재위: 1628년 ~ 1644년).

새로운!!: 만력제와 숭정제 · 더보기 »

양응룡의 난

양응룡의 난(楊応龍之乱) 또는 귀주의 역(播州之役)은 명나라 만력제 재위 19년(서기 1591년)부터 28년(서기 1600년)에 걸쳐 귀주에서 토사(土司) 앙응룡이 주도해 일어난 반란이.

새로운!!: 만력제와 양응룡의 난 · 더보기 »

사르후 전투

사르후 전투()는 1619년 명나라에 쳐들어오는 후금에 대항하기 위해 명나라, 조선, 여진족까지 참전한 대전.

새로운!!: 만력제와 사르후 전투 · 더보기 »

삼학사전

삼학사전 《삼학사전》(三學士傳)은 1671년 조선의 유학자인 송시열이 편찬한 삼학사의 전기문으로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 《송자대전》 제113권에 원문이 수록되어 있으며 필사본 1책이 규장각 도서로 편찬되었.

새로운!!: 만력제와 삼학사전 · 더보기 »

석 (성씨)

석(石, 昔)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만력제와 석 (성씨) · 더보기 »

석성 (명나라)

석성(생년 미상 ~ 만력 27년(1599년)은 명나라의 문신이다. 자는 공진(拱辰), 호는 동천(東泉). 북직례 동명현(현재의 산둥 성 둥밍 현) 출신.

새로운!!: 만력제와 석성 (명나라) · 더보기 »

성소부부고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는 조선 중기의 문인인 성소(惺所) 허균이 편찬한 시문집이.

새로운!!: 만력제와 성소부부고 · 더보기 »

세키가하라 전투

세키가하라 전투()는 1600년 음력 9월 15일(10월 21일)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에 일어난 야전이.

새로운!!: 만력제와 세키가하라 전투 · 더보기 »

송응창

송응창(1536년 ~ 1606년)은 명나라의 관료이.

새로운!!: 만력제와 송응창 · 더보기 »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새로운!!: 만력제와 송시열 · 더보기 »

소 요시토시

소 요시토시(1568년 ~ 1615년 1월 31일)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전기에 걸쳐 활약한 무장, 다이묘이.

새로운!!: 만력제와 소 요시토시 · 더보기 »

소오강호 (1990년 영화)

소오강호()는 1990년 홍콩에서 개봉한 무협영화를 말. 제작자는 서극이며, 감독은 호금전, 정소동, 안휘, 서극, 금양화이고, 출연은 허관걸, 엽동, 장학우, 장민, 원결영이 하였.

새로운!!: 만력제와 소오강호 (1990년 영화) · 더보기 »

해주 석씨

주 석씨(海州石氏)는 황해도 해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만력제와 해주 석씨 · 더보기 »

한산사 (쑤저우)

산사 풍교의 나룻배 장계의 동상 종 한산사의 불상 한산사(寒山寺)는 장쑤 성 쑤저우 시 성 서쪽 창먼(閶門) 밖으로 5km 풍교진에 있는 임제종의 불교 사찰이.

새로운!!: 만력제와 한산사 (쑤저우) · 더보기 »

아시아의 역사

아시아의 문명을 잇는 실크로드 몽골제국 이전의 아시아 아시아의 역사는 동아시아와 남아시아, 중동등의 해안 지역과 이를 잇는 유라시아 스텝 지역의 역사 등으로 이루어져 있. 해안 지역에서는 메소포타미아와 인더스 강, 황하 등의 큰 강 유역에서 주요 고대 문명이 발생하였.

새로운!!: 만력제와 아시아의 역사 · 더보기 »

신종

신종(神宗)은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이.

새로운!!: 만력제와 신종 · 더보기 »

심일관

심일관(沈一貫, 1531년 ~ 1615년)은 중국 명나라의 정치인, 관료, 학자이.

새로운!!: 만력제와 심일관 · 더보기 »

심유경

심유경(沈惟敬, 중국어:션 웨이징, 생년 미상 ~ 1597년)은 명(明)의 무장이.

새로운!!: 만력제와 심유경 · 더보기 »

원숭환

원숭환 원숭환(袁崇煥, 1584년 - 1630년)은 명나라 말기의 무장이.

새로운!!: 만력제와 원숭환 · 더보기 »

웅정필

웅정필 웅정필(熊廷弼, 1569년-1625년)은 명나라 말기의 장수이.

새로운!!: 만력제와 웅정필 · 더보기 »

홍광제

홍광제(弘光帝, 1607년-1646년 5월 23일)는 명나라 부흥군의 지도자로 남명의 제1대 황제(재위:1644년-1645년)이며 명나라로는 제17대 황제이.

새로운!!: 만력제와 홍광제 · 더보기 »

황귀비

황귀비(皇貴妃)는 명(明)·청(淸)·대한 제국의 황제의 후궁의 작위 중 하나이.

새로운!!: 만력제와 황귀비 · 더보기 »

화정 (드라마)

《화정》(華政)은 2015년 4월 13일부터 2015년 9월 29일까지 MBC에서 방영된 월화드라마이.

새로운!!: 만력제와 화정 (드라마) · 더보기 »

156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만력제와 1563년 · 더보기 »

157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만력제와 1573년 · 더보기 »

157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만력제와 1574년 · 더보기 »

157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만력제와 1575년 · 더보기 »

157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만력제와 1576년 · 더보기 »

157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만력제와 1577년 · 더보기 »

157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만력제와 1578년 · 더보기 »

1579년

1579년은 율리우스력에서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579년 · 더보기 »

1580년

1580년은 율리우스력에서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580년 · 더보기 »

1581년

1581년은 율리우스력에서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581년 · 더보기 »

1582년

1582년은 율리우스력에서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582년 · 더보기 »

1583년

1583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583년 · 더보기 »

1584년

1584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584년 · 더보기 »

1585년

158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585년 · 더보기 »

1586년

158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586년 · 더보기 »

1587년

158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587년 · 더보기 »

1588년

1588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588년 · 더보기 »

1589년

158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589년 · 더보기 »

1590년

159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590년 · 더보기 »

1591년

159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591년 · 더보기 »

1592년

159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592년 · 더보기 »

1593년

1593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593년 · 더보기 »

1594년

159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594년 · 더보기 »

1595년

159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595년 · 더보기 »

1596년

159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596년 · 더보기 »

1597년

159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597년 · 더보기 »

1598년

159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598년 · 더보기 »

1599년

159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599년 · 더보기 »

1600년

160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16세기의 마지막 해이.

새로운!!: 만력제와 1600년 · 더보기 »

1601년

160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601년 · 더보기 »

1602년

160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602년 · 더보기 »

1603년

160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603년 · 더보기 »

1604년

160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604년 · 더보기 »

1605년

160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605년 · 더보기 »

1606년

160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606년 · 더보기 »

1607년

160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607년 · 더보기 »

1608년

16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608년 · 더보기 »

1609년

160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609년 · 더보기 »

1610년

161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610년 · 더보기 »

1611년

161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611년 · 더보기 »

1612년

161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612년 · 더보기 »

1613년

161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613년 · 더보기 »

1614년

161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614년 · 더보기 »

1615년

161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615년 · 더보기 »

1616년

161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616년 · 더보기 »

1617년

1617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617년 · 더보기 »

1618년

1618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618년 · 더보기 »

1619년

1619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619년 · 더보기 »

1620년

162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만력제와 1620년 · 더보기 »

16세기

16세기는 1501년부터 1600년까지이.

새로운!!: 만력제와 16세기 · 더보기 »

2009년 9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만력제와 2009년 9월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만력황제, 명 만력제, 명 신종, 명 현제, 주익균, 신종 만력제, 신종 만력제 (명).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